[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42862B1 -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862B1
KR102342862B1 KR1020200114830A KR20200114830A KR102342862B1 KR 102342862 B1 KR102342862 B1 KR 102342862B1 KR 1020200114830 A KR1020200114830 A KR 1020200114830A KR 20200114830 A KR20200114830 A KR 20200114830A KR 102342862 B1 KR102342862 B1 KR 102342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coupled
power tool
gear set
fixed c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이종진
이상홍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8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1/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 B25D11/0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 B25D11/10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comprising a cam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에 전동공구의 비트가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스핀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동공구에 결합되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제1 기어세트 내지 제3 기어세트가 결합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결합되며, 상기 제3 기어세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캐리어세트; 및 상기 캐리어세트 내부에 결합되는 고정캠;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스핀들의 단부가 상기 고정캠을 관통하여 상기 제3 기어세트의 선기어의 스핀들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스핀들 안착홈의 높이 길이에 한하여 직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스핀들 고정구조가 전동공구의 필수 구성요소인 기어세트 내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간 확보가 불필요하여 전동공구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휴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Fixing Structure for Electric Tool Spindle}
본 발명은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공구의 비트가 결합되는 스핀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동공구는 유선 또는 배터리를 통해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내장된 모터를 구동하여 드라이버 및 드릴 등의 작업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된 비트를 회전시켜 나사를 체결하거나 구멍을 뚫는 등 다중작업을 할 수 있는 공구이다.
이러한 전동공구는, 목적에 따라 드릴, 드라이버, 해머 등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단을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모터의 출력을 감속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동공구는, 복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모터의 출력을 감속시키는 기어박스가 형성되고, 기어박스의 전방에는 스핀들, 클러치 등이 결합된다.
이때, 해머 기능으로 전동공구의 동작을 수행할 경우, 축 방향으로 충격을 가하기 위해 스핀들이 축방향으로 직선이동 하게 된다. 따라서, 해머 기능이 있는 전동공구는 스핀들의 직선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스핀들 고정구조를 필요로 한다.
종래의 전동공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어세트, 캐리어세트(16) 및 고정캠(15) 등이 결합되는 기어박스(10)가 형성되며, 스핀들(13)은 기어박스(10)의 전방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핀들(1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베어링(14)과 고정캠(15) 사이의 위치에서 스핀들(13)의 외주면에 고정링(1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핀들(13)이 직선운동을 할 때,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면 고정링(13a)이 베어링(14)에 접하고, 우측으로 이동하면 고정캠(15)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베어링(14)과 고정캠(15) 사이의 위치에 고정링(13a)을 형성함으로써 스핀들(13)의 직선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전동공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스핀들(13)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링(13a)이 기어박스(10) 전방에 형성되도록 할 경우, 스핀들(13)의 이동 거리만큼 베어링(14)과 고정캠(15) 사이의 간격을 확보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즉, 스핀들(13)의 축방향으로 전동공구의 길이가 증대됨으로써 전동공구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공구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스핀들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에 전동공구의 비트가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스핀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동공구에 결합되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제1 기어세트 내지 제3 기어세트가 결합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결합되며, 상기 제3 기어세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캐리어세트; 및 상기 캐리어세트 내부에 결합되는 고정캠;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스핀들의 단부가 상기 고정캠을 관통하여 상기 제3 기어세트의 선기어의 스핀들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스핀들 안착홈의 높이 길이에 한하여 직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스핀들 안착홈에 삽입된 상기 단부에, 상기 스핀들의 지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은, 상기 스핀들의 타단의 지름 및 상기 고정캠의 스핀들 삽입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 안착홈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은,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단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캠은, 상기 스핀들 삽입홀과 연통되되, 상기 스핀들 삽입홀보다 큰 지름으로 상기 고정캠을 관통하는 스핀들 안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 삽입홀과 상기 스핀들 안착홀의 지름 차이에 의해 상기 고정캠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핀들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캠은, 상기 제3 기어세트와 접하지 않는 일측에서 상기 스핀들 걸림턱까지의 거리가 상기 스핀들 안착홈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턱의 지름은, 상기 스핀들 삽입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 안착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스핀들 고정구조가 전동공구의 필수 구성요소인 기어세트 내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간 확보가 불필요하여 전동공구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동공구의 소형화로 인해 휴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핀들 고정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여 설계가 용이하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스핀들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정캠에도 추가적인 고정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스핀들의 직선이동에 의해 기어세트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공구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부품의 수명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형화를 위해 스핀들 고정구조가 삭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스핀들 고정구조를 적용할 경우, 소형화를 함과 동시에 스핀들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제품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효과는 상기의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가 적용된 전동공구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절단선 Ⅳ-Ⅳ'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구역 Ⅴ의 확대도.
도 6은 도 4의 스핀들이 이동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구역 Ⅶ의 확대도.
도 8은 도 3의 스핀들의 사시도.
도 9는 도 5의 제3 기어세트의 선기어의 사시도.
도 10은 도 5의 고정캠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고정캠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가 적용된 전동공구의 일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절단선 Ⅳ-Ⅳ'에 의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구역 Ⅴ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의 스핀들이 이동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구역 Ⅶ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3의 스핀들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5의 제3 기어세트의 선기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의 고정캠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고정캠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의 스핀들 결합구조는, 전동공구의 전방에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전동공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기어박스(100) 등이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동공구의 비트가 결합되는 측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을 전방으로 말하며, 후방은 그 반대 방향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핀들(1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전동공구의 통상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어박스(100)에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복수의 기어세트 등이 결합되며, 기어박스(100)의 전방에는 라쳇, 클러치 등 기능을 전환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구비되며, 이들을 관통하여 스핀들(130)이 결합된다. 또한, 라쳇, 클러치 등 복수의 부품이 결합되는 전방에는 복수의 부품을 감싸도록 외주면에 토크핸들(200)이 결합된다. 토크핸들(200)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전동공구의 토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토크핸들(200)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스핀들(130)의 고정구조와는 무관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어박스(100)는, 통상적으로 모터의 전방에 결합되는데, 어퍼하우징(110)과 로어하우징(120)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제1 기어세트(170) 내지 제3 기어세트(190)가 결합된다. 또한 제3 기어세트(190)의 전방에는 캐리어세트(160), 고정캠(150) 및 베어링(140)이 결합된다. 그리고, 스핀들(130)의 단부는 베어링(140) 및 고정캠(150)을 관통하여 제3 기어세트(190)에 삽입된다.
제1 기어세트(170)는 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기어세트(170)의 전방에 순차적으로 제2 기어세트(180) 및 제3 기어세트(190)가 결합된다. 이때, 제1 기어세트(170) 내지 제3 기어세트(190)는 기어의 감속비에 따라 감속된 모터의 회전속도를 스핀들(130)로 전달하게 된다.
제3 기어세트(190)의 선기어(191)에는 스핀들 안착홈(192)이 형성된다. 스핀들 안착홈(192)은 스핀들(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선기어(191)의 중심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스핀들 안착홈(192)의 깊이는 스핀들(130)이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캐리어세트(160)는, 제3 기어세트(190)의 전방에 결합되며, 제1 기어세트(170) 내지 제3 기어세트(190)를 거쳐 감속된 속도를 최종적으로 스핀들(13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캐리어세트(160)와 스핀들(130)을 연결해주기 위해 고정캠(150)이 결합된다.
고정캠(150)은 캐리어세트(160)의 내주면에 맞물려 결합되며, 스핀들(1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캠(150)의 외주면은 캐리어세트(160)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캐리어세트(160)의 형상과 맞물려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내주면은 스핀들(130)의 외주면에 밀착해 접하도록 스핀들 삽입홀(151)이 형성된다. 이때, 스핀들 삽입홀(151)의 내경의 스핀들(13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정캠(150)에는 스핀들 안착홀(152)이 형성된다. 스핀들 안착홀(152)은 스핀들 삽입홀(151)과 연통되어 형성되며, 스핀들 삽입홀(151)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스핀들 삽입홀(151)과 스핀들 안착홀(152)은 스핀들(130)의 축 방향으로 연통되되, 스핀들 삽입홀(151)이 제3 기어세트(190)에 인접한 측에 형성된다. 즉, 고정캠(15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스핀들 삽입홀(151)과 스핀들 안착홀(152)이 형성됨으로써, 내주면에 스핀들 걸림턱(153)이 형성된다. 스핀들 걸림턱(153)은 스핀들 삽입홀(151)과 스핀들 안착홀(152)이 연통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스핀들(130)의 단턱(131)이 접한다. 여기서, 스핀들 안착홀(152)이 형성되는 고정캠(150)의 일측에서부터 스핀들 걸림턱(153)까지의 거리는, 앞서 설명한 스핀들 안착홈(192)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핀들(130)이 직선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여 스핀들(130)의 단부가 스핀들 안착홈(192)에 접하여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캐리어세트(160)와 맞물려 결합되고, 스핀들(130)의 외주면에 결합된 고정캠(150)은, 캐리어세트(160)와 함께 회전하면서 스핀들(13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베어링(140)은 고정캠(150)의 전방에 결합되어 스핀들(130)의 회전이 원활하게 하고, 전술한 부품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모터, 제1 기어세트(170) 내지 제3 기어세트(190), 캐리어세트(160) 및 고정캠(15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그 전방의 위치에서 스핀들(130)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고정캠(15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스핀들(130)이 걸림없이 매끄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베어링(140)과 캐리어세트(160) 사이에는 고정 플레이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스핀들(130)은, 제1 기어세트(170) 내지 제3 기어세트(190)로부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으로서, 전동공구의 기능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스핀들(130)은 전방의 단부에 전동공구의 비트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후방의 단부는 제3 기어세트(190)의 선기어(19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선기어(191)의 스핀들 안착홈(192)에 삽입되는 스핀들(130)의 단부에는 고정링(133)이 결합된다. 고정링(133)은 내주면이 스핀들(13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스핀들(130)의 단부가 스핀들 안착홈(19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133)의 외경은 선기어(191)의 전방에 결합된 고정캠(150)의 스핀들 삽입홀(15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스핀들(1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핀들 안착홈(192)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스핀들(130)의 직선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정링(133)은 스핀들(130)의 단부에 형성된 링결합홈(132)에 결합된다. 링결합홈(132)은 스핀들(130)의 외주면에 스핀들(130)의 둘레를 따라 함몰된 홈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링(133)이 링결합홈(132)에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링(133)은 스핀들 안착홈(192)에 삽입되는 스핀들(130)의 단부에, 스핀들(130)의 지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턱이 형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스핀들(130) 단부의 지름보다 크고, 스핀들 삽입홀(15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스핀들(1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현되면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스핀들(130)에는 링결합홈(132)으로부터 스핀들(130) 축 방향의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단턱(131)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단턱(131)은, 전술한 스핀들 걸림턱(153)에 접하는 것으로서, 스핀들(130)의 직선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단턱(131)은 스핀들(13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정 지점에서 스핀들(130)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으며, 스핀들(130)의 축방향으로 지름이 다른 구간이 형성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도면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스핀들(130)이 축방향으로 일정 구간마다 지름이 다르도록 형성될 경우, 스핀들(1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부품들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속의 회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턱(131)은 스핀들(130)이 전방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했을 때, 베어링(140)과 고정캠(150)이 맞닿는 곳에 형성되며, 스핀들(130)이 후방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했을 때, 스핀들 안착홀(152)로 삽입되어 스핀들 걸림턱(153)에 접함으로써 스핀들(13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단턱(131)의 지름은 스핀들 삽입홀(151)의 지름보다는 크고, 스핀들 안착홀(152)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됨으로써, 스핀들(130)의 이동에 따라 용이하게 스핀들 안착홀(152)에 삽입될 수 있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핀들 고정구조는, 고정캠(150)과 제3 기어세트(190)의 선기어(191)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스핀들(130)의 동작에 따라, 스핀들(130)이 고정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스핀들(130)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133)이 고정캠(150)의 일단에 접하게 된다. 즉, 고정링(133)이 고정캠(150)의 스핀들 삽입홀(15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스핀들(130)의 직선 이동에 따라 고정링(133)이 고정캠(150)의 일단에 접하게 되면, 전방으로의 스핀들(130)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처럼, 스핀들(130)의 전방으로의 이동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스핀들(1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핀들(13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130)의 단턱(131)이 스핀들 안착홀(152) 내부로 이동되어 스핀들 걸림턱(153)에 접하게 된다. 즉, 단턱(131)의 외경이 스핀들 삽입홀(15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스핀들(130)의 직선 이동에 따라 단턱(131)이 스핀들 걸림턱(153)에 접하게 되면, 후방으로의 스핀들(130)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때, 스핀들 안착홀(152)의 깊이(스핀들의 축방향 길이)는, 고정링(133)이 고정캠(150)의 일단에 접해있을 때 스핀들(130)의 단부에서 스핀들 안착홈(192)의 바닥면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핀들(130)의 단부가 스핀들 안착홈(192)의 바닥면에 접하기 전에 단턱(131)이 스핀들 걸림턱(153)에 접하여 스핀들(130)의 후방으로의 길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스핀들(130)이 스핀들 안착홈(192)의 바닥면에 접하면서 제3 기어세트(190)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스핀들(130)은 매우 간단한 고정구조에 의해 제한된 거리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종래의 전동공구에서 스핀들(130)에 단턱(131) 및 고정링(133)을 형성하고, 고정캠(150)에 스핀들 안착홀(152)을 형성함으로써 스핀들 걸림턱(153)이 형성되도록 하며, 제3 기어세트(190)의 선기어(191)에 스핀들 안착홈(192)을 형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공구의 설계 변경이 용이하며 이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핀들 고정구조가 전동공구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제3 기어세트(190)의 선기어(191)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동공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고정캠(150)과 베어링(140) 사이 또는 베어링(140)의 전방에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여 스핀들(130) 고정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스핀들(130)의 축방향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동공구의 축방향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동공구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비용 절감 및 휴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최근 제품의 소형화를 위해 스핀들 고정구조를 삭제하는 경우가 다수 있으나, 본 발명의 스핀들 고정구조는 전동공구의 필수요소인 기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핀들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품의 소형화를 달성함과 동시에, 스핀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작업 중 스핀들이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스핀들(130)의 단턱(131)이 스핀들 걸림턱(153)에 접하여 스핀들(130)의 후방으로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핀들(13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제3 기어세트(190)에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제3 기어세트(19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동공구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부품의 수명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기어박스 110 : 어퍼하우징
120 : 로어하우징 130 : 스핀들
131 : 단턱 132 : 링결합홈
133 : 고정링 140 : 볼베어링
150 : 고정캠 151 : 스핀들 삽입홀
152 : 스핀들 걸림턱 160 : 캐리어세트
170 : 제1 기어세트 180 : 제2 기어세트
190 : 제3 기어세트 191 : 선기어
192 : 스핀들 안착홈 200 : 토크핸들

Claims (6)

  1. 일단에 전동공구의 비트가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스핀들(1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동공구에 결합되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제1 기어세트(170) 내지 제3 기어세트(190)가 결합되는 기어박스(100);
    상기 기어박스(100)에 결합되며, 상기 제3 기어세트(190)의 일측에 결합되는 캐리어세트(160); 및
    상기 캐리어세트(160) 내부에 결합되는 고정캠(150);
    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130)은,
    상기 스핀들(130)의 단부가 상기 고정캠(150)을 관통하여 상기 제3 기어세트(190)의 선기어(191)의 스핀들 안착홈(192)에 삽입되며,
    상기 스핀들 안착홈(192)의 높이 길이에 한하여 직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130)은,
    상기 스핀들 안착홈(192)에 삽입된 상기 단부에, 상기 스핀들(130)의 지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링(133);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133)은, 상기 스핀들(130)의 타단의 지름 및 상기 고정캠(150)의 스핀들 삽입홀(15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 안착홈(192)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133)은, 상기 스핀들(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결합홈(13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4. 청구항 2 또는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130)은,
    상기 스핀들(13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단턱(131);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캠(150)은,
    상기 스핀들 삽입홀(151)과 연통되되, 상기 스핀들 삽입홀(151)보다 큰 지름으로 상기 고정캠(150)을 관통하는 스핀들 안착홀(152)이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 삽입홀(151)과 상기 스핀들 안착홀(152)의 지름 차이에 의해 상기 고정캠(15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핀들 걸림턱(15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150)은,
    상기 제3 기어세트(190)와 접하지 않는 일측에서 상기 스핀들 걸림턱(153)까지의 거리가 상기 스핀들 안착홈(192)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턱(131)의 지름은, 상기 스핀들 삽입홀(15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 안착홀(152)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KR1020200114830A 2020-09-08 2020-09-08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Active KR10234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830A KR102342862B1 (ko) 2020-09-08 2020-09-08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830A KR102342862B1 (ko) 2020-09-08 2020-09-08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862B1 true KR102342862B1 (ko) 2021-12-27

Family

ID=7917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830A Active KR102342862B1 (ko) 2020-09-08 2020-09-08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8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2547A (ja) * 1999-12-10 2001-06-19 Makita Corp 回転打撃工具
KR102152336B1 (ko) * 2018-09-28 2020-09-07 계양전기 주식회사 스핀들 록킹장치와 이를 적용한 전동공구 및 차량용 액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2547A (ja) * 1999-12-10 2001-06-19 Makita Corp 回転打撃工具
KR102152336B1 (ko) * 2018-09-28 2020-09-07 계양전기 주식회사 스핀들 록킹장치와 이를 적용한 전동공구 및 차량용 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441B2 (en) Multispeed power tool transmission
US8760102B2 (en) Electric power tool
US6857983B2 (en) First stage clutch
US6431289B1 (en) Multi-speed power tool transmission
US6502648B2 (en) 360 degree clutch collar
US7124839B2 (en) Impact driver having an external mechanism which operation mode can be selectively switched between impact and drill modes
US6805207B2 (en) Housing with functional overmold
EP2535147B1 (en) Impact tool
US8047057B2 (en) Output mode switching apparatus
US20050061524A1 (en) Housing with functional overmold
CN104646724A (zh) 多速摆线传动
JPH07502214A (ja) 動力工具
EP3546132B1 (en) Power tool
KR102342862B1 (ko)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CN201881359U (zh) 动力工具
JP2002178206A (ja) 振動ドリル
KR102533152B1 (ko) 전동공구
CN103707253B (zh) 冲击旋转工具
JP2018051713A (ja) 電動工具
WO2014125813A1 (en) Impact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