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536B1 -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 - Google Patents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0536B1 KR102340536B1 KR1020190059379A KR20190059379A KR102340536B1 KR 102340536 B1 KR102340536 B1 KR 102340536B1 KR 1020190059379 A KR1020190059379 A KR 1020190059379A KR 20190059379 A KR20190059379 A KR 20190059379A KR 102340536 B1 KR102340536 B1 KR 1023405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sleeve
- horizontal support
- casing
- h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22—Sealing by weld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 내지 4 는 종래의 일반적인 건식 에어 덕트 슬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가 화재시 제연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의 제 1,2 결합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에서 보조 돌출부의 구성과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즉, 도 14 내지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03)을 이용하여 화재시 방염 또는 방열의 역할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슬리브(100)와 상기 보조 슬리브(2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것이다.
101 ... 베이스 두부
102 ... 베이스 미부
103 ... 베이스 케이싱
103a ... 돌출 리브
103b ... 제 1 결합공간
103c ... 제 2 결합공간
104 ... 베이스 중공
105 ... 베이스 두부돌출부
105a ... 결합요부
106 ... 수평 지지재
106a ... 만곡부
106b ... 경사부
107 ... 삽입 가이더
107a ... 내화재
108 ... 수직 지지재
109 ... 베이스 미부돌출부
200 ... 보조 슬리브
201 ... 보조 중공
202 ... 보조 돌출부
203 ... 결합부재
10 ... 종래의 삽입 슬리브
20 ... 종래의 매립 슬리브
S ... 슬래브
A ... 연기
F ... 밀폐재
Claims (8)
- 건물 층간을 형성하는 슬래브(S)에 매립되어 층간 사이로 공기를 유도하도록 상기 슬래브(S)의 두께에 대응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베이스 두부(101), 베이스 미부(102) 및 베이스 케이싱(103)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 내측인 상기 베이스 두부(101)와 상기 베이스 미부(102)의 사이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 중공(104)이 형성되고, 상부 베이스 두부(101)에서 외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두부돌출부(105)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두부(101)의 직하 위치인 상기 베이스 중공(104)이 위치한 내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수평 지지재(106)와 상기 수평 지지재(106)에서 상기 베이스 두부(101)가 위치한 직상 방향으로 수직 절곡 되어 보조 슬리브(200)을 가이드 하도록 삽입 가이더(107)가 형성되도록 수직 지지재(108)가 구비되는 베이스 슬리브(100); 및
상기 베이스 두부(101) 테두리의 내경과 상기 삽입 가이더(107)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슬리브(100)에 형성된 상기 베이스 중공(104)을 연장하여 공기 유도로를 연장하도록 보조 중공(201)이 구비되는 상기 보조 슬리브(200);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은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중공(104) 대향인 외주면에 돌출 리브(103a)가 더 포함되며, 상기 돌출 리브(103a)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의 외주면을 360°회전하면서 나선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미부(102)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의 외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돌출되는 베이스 미부돌출부(109)가 더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미부돌출부(109)는 지면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에 삽입되거나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에 스폿 용접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평 지지재(106)는 상기 수평 지지재(106)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과 만나는 부위와 상기 수직 지지재(108)가 만나는 부위의 높이보다 상기 수평 지지재(106) 중심의 높이가 낮게 구비되어 상기 수평 지지재(106)의 상부 방향 단면이 유자형(U) 또는 역삼각형으로 형성되도록 중심 양쪽에 만곡부(106a) 또는 경사부(106b) 중 어느 하나가 적어도 구비되며,
상기 수평 지지재(106)의 상부 면인 상기 삽입 가이더(107)의 저면에 내화재(107a)가 더 포함되되 상기 내화재(107a)는 상기 삽입 가이더(107)의 저면에서 상기 두부(101)까지 구비되어 상기 삽입 가이더(107)의 높이를 일부 또는 전부 채우도록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은 상기 수평 지지재(106)가 결합 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의 상기 베이스 중공(104)의 외측으로 측면이 돌출 형성되어 내측으로 제 1 결합공간(103b)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결합공간(103b)의 하부 방향에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의 외측으로 측면이 돌출 형성되어 내측으로 제 2 결합공간(103c)이 구비되며,
상기 제 1,2 결합공간(103b,103c)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에서 상기 수평 지지재(106) 방향으로 상기 수평 지지재(106)가 배치되는 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의 상부와 하부 양쪽에서 상기 수평 지지재(106)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3)의 진행방향과 경사지게 구비되어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거나 또는 만곡지게 구비되어 단면이 호형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9379A KR102340536B1 (ko) | 2019-05-21 | 2019-05-21 |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9379A KR102340536B1 (ko) | 2019-05-21 | 2019-05-21 |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3990A KR20200133990A (ko) | 2020-12-01 |
KR102340536B1 true KR102340536B1 (ko) | 2021-12-20 |
Family
ID=7379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9379A Active KR102340536B1 (ko) | 2019-05-21 | 2019-05-21 |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053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7169B1 (ko) * | 2021-05-26 | 2022-01-04 | ㈜세이프코리아 | 내화 채움재가 내장된 페놀덕트용 사각 슬리브 |
KR20230046016A (ko) | 2021-09-29 | 2023-04-05 |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 덕트용 내화발포 슬리브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1451B1 (ko) * | 2014-07-18 | 2014-12-15 | 주식회사 수성공조 | 건물 슬라브 설치용 덕트 연결 슬리브 |
KR101529144B1 (ko) * | 2014-11-25 | 2015-06-16 | 주식회사 수성공조 |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
KR200479400Y1 (ko) * | 2015-09-15 | 2016-02-12 | 탁준 | 입상배관 시공구조 |
KR101602773B1 (ko) * | 2014-10-14 | 2016-03-11 | (주)상신엔지니어링 |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용 방화 슬리브와 이것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0792B1 (ko) * | 2014-07-15 | 2015-01-09 | 주식회사 동영기계공조 |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
-
2019
- 2019-05-21 KR KR1020190059379A patent/KR10234053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1451B1 (ko) * | 2014-07-18 | 2014-12-15 | 주식회사 수성공조 | 건물 슬라브 설치용 덕트 연결 슬리브 |
KR101602773B1 (ko) * | 2014-10-14 | 2016-03-11 | (주)상신엔지니어링 |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용 방화 슬리브와 이것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
KR101529144B1 (ko) * | 2014-11-25 | 2015-06-16 | 주식회사 수성공조 |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
KR200479400Y1 (ko) * | 2015-09-15 | 2016-02-12 | 탁준 | 입상배관 시공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3990A (ko) | 2020-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0536B1 (ko) |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 | |
KR101597891B1 (ko) |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 |
JP7344782B2 (ja) | 排水配管継手 | |
KR102201372B1 (ko) | 입상덕트 또는 에어덕트 또는 사각덕트용 내화 슬리브 | |
KR101480792B1 (ko) |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 |
JP3567427B2 (ja) | 排水管継手 | |
JP2024024060A (ja) | 排水配管継手および排水配管継手の施工方法 | |
RU2354883C1 (ru) | Изол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содержащий трубчатую оболочку в виде обмотки, выполненный в виде готового элемента для помещения в него горячей трубы | |
JP5485580B2 (ja) | 継手用アダプター及びこの継手用アダプターを用いた排水構造 | |
KR102347169B1 (ko) | 내화 채움재가 내장된 페놀덕트용 사각 슬리브 | |
KR102036122B1 (ko) | 방화충전재가 구비되는 건식 에어덕트 고정슬리브 및 시공방법 | |
KR200441364Y1 (ko) | 가이드조절판이 부설된 습식입상형 에어덕트용 방화댐퍼 | |
KR102541030B1 (ko) | 방화댐퍼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수직관 | |
KR102460991B1 (ko) | 신속한 화재차단기능의 내화충전구조를 가진 슬리브 | |
US2358397A (en) | Means for ventilating attic spaces | |
JP2007056536A (ja) | 排水配管構造及び排水集合管及び排水管用耐火性付属部材 | |
JP5014450B2 (ja) | 排水配管構造 | |
JP2020076294A (ja) | 集合継手システム | |
CN210767685U (zh) | 一种便于组装多层的防火住宅排气道 | |
KR101737582B1 (ko) | 방화 슬리브형 환기 시스템 | |
KR101480879B1 (ko) |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 |
KR102132819B1 (ko) | 일체형 배기덕트 | |
JP2024144136A (ja) | 排水管、および、その排水管を用いた排水配管構造 | |
KR102657859B1 (ko) | 일체형 내화 소켓 | |
CN215406340U (zh) | 一种单立管微降板同层排水管件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217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09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4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9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8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4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