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9788B1 -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788B1
KR102339788B1 KR1020200177338A KR20200177338A KR102339788B1 KR 102339788 B1 KR102339788 B1 KR 102339788B1 KR 1020200177338 A KR1020200177338 A KR 1020200177338A KR 20200177338 A KR20200177338 A KR 20200177338A KR 102339788 B1 KR102339788 B1 KR 102339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earable device
guard
security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상
강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랜
Priority to KR102020017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7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06K9/00664
    • G06K9/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 근무 경비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유의 식별번호를 가지며 선택된 경비원의 신체 또는 장구류에 장착되어 경비원의 활동 영역에 대한 촬영 영상과 음성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기기; 방범 현장에서 복수의 단위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어 구역별 촬영 영상인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고정식카메라;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및 고정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수신 및 모니터링하여 방범 현장에서의 위험요소 및 사고유무를 판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웨어러블기기와 고정식카메라 및 관리서버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방범 근무에 집중하는 경비원의 활동 영역을 촬영하고 그 영상이 원격지의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 되게 하여 안전 관리자의 육안 확인 없이도 현장 내의 안전 상황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경비원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Smart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camera}
우리나라 실정상 대규모 주거시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는 문제로 입주민과 경비원 사이 폭언, 폭행 등의 갑질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또한 경비원의 경우 대부분 고령자인 경우가 많아 입주민과의 문제가 몸싸움으로 번질 시 자력으로 위급상황을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경비원의 인권을 향상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경비원의 신체 또는 장구류에 장착되어 경비원의 활동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원격지 관제센터에서 모니터할 수 있고 또한, 필요시 적극적인 SOS구조 신호를 보내 위급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현대 주거시설은 아파트 단지 등 대규모 주거시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많은 주거민이 밀집하여 주거생활을 이루는 만큼 예상치 못한 사건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 예로 갑질문제를 들 수 있고, 최근 기사에 따르면 폭행 및 협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외 강요, 업무방해, 모욕 등의 피해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정신적 피해를 극복하지 못하고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상기 언급된 문제를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한 법안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법률이 재정된다 하더라도 갑질 피해 현장에서는 즉각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경비원의 인권을 보호하고 주거시설 방범을 강화하기위한 노력으로서 다수의 인원을 고용하거나, 전문 보안 업체를 선정하여 위탁하는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인력 고용과 보안 업체 선정에 대한 비용이 모두 입주민의 부담이 되므로 이 또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부족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경비원이 방범 현장에서 겪게 되는 위급상황에 대한 대처뿐만 아니라 입주민과의 폭언, 폭행 등의 갑질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안전보안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1882호
따라서 본 발명은 경비원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경비원의 신체 또는 의류에 장착되는 웨어러블기기를 적극 활용하여 경비원의 활동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 하여 경비원을 원격지에서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경비원이 신체 위협을 느끼는 피해 상황에서 즉각적인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SOS구조 수단이 마련된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칭함)은 주거시설 경비 시스템에 있어서, 고유의 식별번호를 가지며 선택된 경비원의 신체 또는 장구류에 장착되어 경비원의 활동 영역에 대한 촬영 영상과 음성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기기; 방범 현장에서 복수의 단위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어 구역별 촬영 영상인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고정식카메라;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및 고정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수신 및 모니터링하여 방범 현장에서의 위험요소 및 사고유무를 판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상기 경비원의 목에 착용되는 링 형상의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마이크가 마련되어 상기 경비원 주변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음성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상기 경비원의 맥박, 체온, 활동량을 계측하며 계측한 제3 신호를 송신하고, 경비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4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제4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딥러닝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며 방범 현장의 위치와 경비원에 대한 위험요소 또는 사고유무를 판단하고, 그 결과 정보를 출력 및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경비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GPS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GPS모듈은 경비원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방범 현장에서 복수의 단위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비콘모듈이 더 구성되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상기 비콘모듈과 송수신하여 경비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비콘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비콘모듈은, 비콘칩이 내장된 PCB 기판과, 배터리와, 상기 PCB 기판 및 배터리가 내재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배면에 구성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옥사브로모페닐에테르, 아이티온산염, 열안정제, 무기충전제, 고무충전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기포제거제, 사이코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구조요청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고 상기 구조요청신호와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버튼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송신하는 구조요청신호와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경비원의 위치와 해당 경비원의 구조요청 상황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경비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단어 또는 문장을 변환하는 음성인식모듈 및 구조요청을 추정하기 위하여 사전 설정된 복수의 키워드가 저장되며 상기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변환한 단어 또는 문장에서 기저장된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구조요청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송신하는 구조요청신호와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경비원의 위치와 해당 경비원의 구조요청 상황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제4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비원의 시간에 따른 이동경로 및 주변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주변 영상과 음성이 기록되는 순찰일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경비원의 신체 또는 장구류에 장착되어 경비원의 활동 영역을 촬영하고 그 영상이 원격지의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 되게 하여 안전 관리자의 육안 확인 없이도 방범 현장 내의 안전 상황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안전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기존에 경비원이 당할 수 있었던 폭언, 폭행의 갑질문제 뿐만 아니라 범죄현장에 처하게 되는 등의 상황에서 즉각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므로 고령자의 경비원이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웨어러블기기를 착용하고 SOS구조 수단을 적극 활용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웨어러블기기는 그 도입 및 착용이 용이하므로 노후화된 CCTV를 대체할 수 있는 실효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딥러닝 기반의 영상 분석을 통해 현장 및 경비원에 대한 위험요소와 사고유무 등을 판단하고 상황의 경중에 따라 적합한 기관이나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구난, 구조 및 응급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인명 사고와 경제적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기기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비콘모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웨어러블기기(10)를 이용한 안전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한다), 고유의 식별번호를 가지며 선택된 경비원의 신체 또는 장구류에 장착되어 경비원의 활동 영역에 대한 촬영 영상과 음성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기기(10); 방범 현장(1)에서 복수의 단위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어 구역별 촬영 영상인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고정식카메라(30);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10) 및 고정 카메라(12)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수신 및 모니터링하여 방범 현장(1)에서의 위험요소 및 사고 유무를 판단하는 관리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웨어러블기기(1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12),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상기 관리서버(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웨어러블기기(10)를 이용하여 경비원의 활동에 따른 영상과 음성을 수집 및 저장함으로써, 경비원에 대한 폭언, 폭행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비원의 인권 침해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웨어러블기기(10)를 통해 영상 및 음성 수집 사실을 공지하여 입주자로 하여금 인격 모독의 발언에 주의를 줄 수 있도록 하며, 교통사고, 범죄사고, 생활사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사고에 대한 예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어러블기기(10)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에 저장됨으로써 법정 분쟁 시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파트 단지 등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될 경우, 웨어러블기기(10)가 노후화된 CCTV를 대체하여 근접 촬영이 가능하고 노후화 CCTV 교체에 따른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아파트 주민들의 보안강화에 따른 가치 상승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기기(10)는 경비원의 신체 또는 의상에 착용될 수 있는 형상의 몸체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일 예로 몸체부(11)는 경비원의 목 둘레에 착용되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 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소형 카메라(12)의 형태로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링 형상의 몸체부(11)로 이루어지는 경우 링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12)가 마련될 수 있다.
웨어러블기기(10)의 몸체부(11)가 일반적인 소형 카메라(12)의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일측에 카메라(12)와 마이크가 마련될 수 있으며 타측에 의상에 부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웨어러블기기(10)는 경비원의 전면, 후면, 측면 등의 한군데 이상에 마련되는 것이 사각지대 없이 주변이 촬영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할 수 있다.
웨어러블기기(10)는 경비원의 신체에 인접하여 구성될 수 있어 경비원의 생체정보 예를 들어 맥박, 체온, 호흡, 혈중산소농도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상기의 생체정보를 제 3신호로 하여 관리서버(2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기기(10)는 GPS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GPS모듈에서 파악되는 경비원의 위치정보를 제4 신호로 하여 관리서버(2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기기(10)는 경비원의 방범 근무중 기록되는 모든 영상, 음성, 위치 정보 및 경비원의 생체정보를 종합하여 관리서버(20)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방범 현장(1)에는 복수의 단위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비콘모듈(40)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비콘(Beacon)은 블루투스 저에너지(BLE)기술을 기반으로 한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서, 소량의 패킷 전송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통상적으로 무선 통신에 있어 상호 기기 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페어링(Pariring)이 불필요하며 저전력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 저비용으로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특히 GPS가 불가한 실내에서도 위치 파악이 가능하여 단위 구역 내에서 보다 신뢰도 있는 경비원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기기(10)는 상기 비콘모듈(40)과 송수신하여 경비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비콘리더(15)를 포함하고, 비콘리더(15)에서 파악되는 경비원의 위치정보를 제4 신호로 하여 관리서버(20)에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비콘리더(15)로부터 송신하는 제4 신호를 수신 및 저장하고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방범 현장(1) 내에서 경비원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비콘리더(15)에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되며 식별정보는 제4 신호와 함께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서버(20)로 송신될 수 있다.
고정식카메라(30)는 둘 이상의 방향을 촬영하는 다방향카메라(12)이거나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촬영방향이 설정되는 PTZ(Pan Tilt Zoom)카메라(12)일 수 있다. 일 예로 고정식카메라(30)는 주거시설 단지내에 소정 높이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식카메라(30)는 경비원의 활동이 제한된 구역이거나 안전 취약 구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고정식 카메라(12)의 존재로 인해 웨어러블기기(10)에서 촬영이 곤란한 영역의 영상확보를 통해 방범 취약 구역에 대한 안전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때 제어신호는 관리서버(20)에 접속된 관리자단말(200)의 입력부에 의해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취약 구역은 물론 경비원의 활동 영역 내 시선뿐만 아니라 다방향에서 상시 영상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방범 현장(1)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비원의 안전사고, 화재, 도난, 자연재해 등을 조기에 파악하며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관리서버(20)는 제1 신호 내지 제 4신호를 수신하고 관리자단말(200)을 통해 영상 및 음성으로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방범 현장(1)에 대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단말(200)은 관리서버(20)로부터 접속 권한이 부여된 단말로서 데스크탑과 같이 고정성을 가지는 단말이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포함하는 이동성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으며,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모니터링 영상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단말(200)이 모바일 단말일 경우 사전에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는 서비스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관리서버(20)는 모니터링 영상을 분석하여 방범 현장(1)에서의 위험요소 및 사고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는 딥러닝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된 비교모델과 제 1신호 내지 제 4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방범 현장(1)과 경비원에 대한 위험요소와 사고유무를 판단하고, 그 결과 정보를 출력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수집모듈(210), 데이터베이스(220), 특징도출모듈(230), 학습모듈(240), 모델생성모듈(250) 및 비교모듈(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집모듈(210)은 각 단위 구역별로 촬영되는 영상들과 개별 경비원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및 음성들은 물론 영상에 나타난 다양한 배경 및 사물 정보들을 수집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수집모듈(210)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 및 누적할 수 있다.
특징도출모듈(230)은 수집모듈(210)로부터 수집되는 수집정보에서 학습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
즉 특징도출모듈(230)은 방범 현장(1)의 위험요소 및 사고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사전 수집되는 방대한 정보에서 학습에 필요한 주요 인자를 추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방범 현장 내 위험 장애물, 화재, 경비원이나 거동 이상자의 이상 행동 등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학습모듈(240)은 특징도출모듈(230)에서 추출된 특징을 기반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모듈(240)에 의한 학습은 공지의 학습 알고리즘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적용할 수 있다. 학습모듈(240)은 딥러닝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딥러닝 학습 신경망 계열에 속하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모델생성모듈(250)은 학습모듈(240)에서 학습된 결과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바탕으로 수신한 영상들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교 모델은 수집모듈(210)로부터 수집되는 수집 정보에 의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때 모델생성모듈(250)로부터 생성되는 비교 모델은 방범 현장(1)이 복수의 단위 구역으로 구획되는 경우, 각 단위 구역별 환경과 지리 정보가 상이한바, 각 구역별마다 하나씩의 비교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모듈(260)은 모델생성모듈(250)에서 생성된 비교 모델을 기반으로 제1 신호 내지 제4 신호 및 비콘 위치정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방범 현장(1) 내 위험요소와 사고유무를 판단하고 그 결과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비교모듈(260)에서 출력되는 결과 정보는 관리서버(20)와 연계되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리자단말(200)로 알람신호로 송신되어 관리자가 용이하게 위험요소 및 사고유무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관리서버(20)는 알람신호를 통해 메시지 형태에 더하여 해당 구역에 대한 영상정보를 함께 송신하여 관리자단말(200)에서 표시되게 함으로써 더욱 사고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서버(20)는 송신되는 제1 신호 내지 제4 신호를 모니터링 하여 경비원의 시간에 따른 위치와 방범 근무중 영상을 추적 및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0)는 위험요소 및 사고유무 등을 판단함에 있어 그 경중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경미한 사고의 경우 현장 안전관리자의 관리자단말(200)로 해당 정보를 송신하여 현장 조치가 취해지게 할 수 있으며, 시급을 다투는 안전사고의 경우 현장 안전관리자의 관리자단말(200)은 물론 인접한 소방서, 경찰서, 관공서 등에서 긴급재난 구조요청이 자동으로 알려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기기(10)는 경비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로폰(100)과, 마이크로폰(10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단어 또는 문장을 변환하는 음성인식모듈(110) 및 구조요청을 추정하기 위하여 사전 설정된 복수의 키워드가 메모리(121)에 저장되며 음성인식모듈(110)을 통해 변환한 단어 또는 문장에서 메모리(121)에 기저장된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식별정보와 함께 관리서버(20)로 송신하는 구조요청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기기(10)는 경비원의 구조요청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구조요청신호로 생성하여 관리서버(20)로 송신하게 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경비원의 식별과 보다 신속한 구조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웨어러블기기(10)는 구조요청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고 상기 구조요청신호와 식별정보를 관리서버(20)로 송신하기 위한 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경비원의 음성 입력이 곤란한 경우 경비원이 직접 버튼부를 조작하여 사고 및 구조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관리서버(20)는 웨어러블기기(10)로부터 송신하는 구조요청신호와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경비원의 위치와 해당 경비원의 구조요청 상황을 식별함으로써, 범죄 현장 등에 적극 개입하여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관리서버(20)에는 각 경비원의 시간에 따른 동선이 모두 기록될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관리서버(20)에는 상기의 제1 신호 내지 제4 신호를 종합하여 방범 순찰일지가 기록될 수 있다. 순찰일지에는 웨어러블기기(10), 고정식카메라(30), 비콘모듈(40) 또는 GPS모듈로부터 수신받은 정보가 취합되어 선택된 경비원의 방범 경로, 근무시간, 근무중 영상과 음성 기록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경비원이 수기 또는 직접 컴퓨터 등의 저장장치에 작성하던 수고를 덜 수 있다. 부수적인 효과로서 관리서버(20)에 순찰일지가 자동으로 작성됨으로 근무지를 이탈하거나 방범 업무를 태만 시 하는 경비원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근태 관리에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비콘모듈(40)은 비콘칩이 내장된 PCB 기판(41)과, 배터리(42)와, PCB 기판(41) 및 배터리(42)가 내재되는 합성 수지 재질의 케이스(43)와, 케이스(43)의 내부 배면에 구성되는 반사판(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CB 기판(41)은 비콘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비콘 칩(411)이 내장되어 케이스(43) 내부에 배치되며, 배터리(42) 또한 케이스(43) 내부에 배치되어 PCB 기판(4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PCB 기판(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비콘모듈(40)은 비콘칩이 내장된 PCB 기판(41)과, 배터리(42)와, PCB 기판(41) 및 배터리(42)가 내재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43)와, 케이스(43)의 내부 배면에 구성되는 반사판(44)을 포함하고, 케이스(43)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옥사브로모페닐에테르, 아이티온산염, 열안정제, 무기충전제, 고무청전제, 디옥틸레프탈레이트, 기포제거제, 사이코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PCB 기판(41)과 배터리(42)는 케이스(43)의 내부에 투영된 면적이 서로 겹침 영역 없이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PCB 기판(41)에는 배터리(42)와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될 수 있도록 별도의 접촉 단자(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음)가 배터리(42)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접촉 단자는 배터리(42)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접촉 연결될 수 있도록 양극 접촉 단자와 음극 접촉 단자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PCB 기판(41)과 배터리(42)가 서로 겹침 영역 없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됨에 따라 케이스(43)를 소형화 할 수 있는 것이다.
PCB 기판(41)의 비콘 칩(411)으로부터 발생된 비콘 신호가 케이스(43)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송출되는데 이때 비콘 신호는 금속 재질은 통과하지 못하고 비금속 재질을 영역만을 통과하게 되는 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케이스(43)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케이스(43)의 전체 면으로 비콘 신호가 통과된다.
그런데 케이스(43)의 배면은 구조물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배면으로 비콘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그만큼 비콘 신호의 집중도가 분산되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케이스(43) 내부로서 배면에 즉 구조물에 부착되는 면에 금속재질의 반사판(44)이 구성되도록 하는 바, 반사판(44)의 구성에 의해 비콘 신호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강도 높은 비콘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케이스(43)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비콘신호가 통과하도록 하는 바, 기존 알루미늄 재질 등에 의한 케이스(43)의 경우 별도의 비콘신호가 통과되도록 할 수 있는 투과부가 더 구성되어야 하며 화재 등의 경우 외기가 그대로 비콘 칩(411) 등에 전달되어 열화에 노출되기 용이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43)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케이스(43)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기존 알루미늄 재질 등 금속재질에 비해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특히 화재시에는 열에 취약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43)를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되, 이러한 문제를 보강하기 위한 실시 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 예의 케이스(43)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옥사브로모페닐에테르, 아이티온산염, 열안정제, 무기충전제, 고무충전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기포제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옥사브로모페닐에테르는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다. 그런데 옥사브로모페닐에테르만을 첨가하는 경우 난연성은 부여되나 연소시 유독성의 염소가스의 발생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문제도 야기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조성물에는 아이티온산염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이티온산염은 분해작용에 의해 화재시 발생되는 염소의 분해가 촉진되고 염화수소를 거쳐 고체상의 염화아연으로 고정화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옥사브로모페닐에테르가 첨가되도록 하여 케이스(43)에 난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화재시에 옥사브로모페닐에테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염소가스를 고정화시켜 무해화 하는 것이다.
열안정제는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안정제로서는 삼염기성황산납, 이염기성프탈산납, 스테아린산바륨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43)는 외력에 대해 비콘 칩(411) 등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당연히 강도 및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바, 이러한 강도 및 내충격성의 향상을 위해 무기충전제와 고무충전제가 더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무기충전제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예로 마이카, 월러스토나이트, 클레이, 실리카, 탄산칼슘 및 금속수화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무충전제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예로 SBR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가 더 첨가되는데,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가 첨가되는 이유는 저온에서도 탄성을 잃지 않는 재질특성에 의해 동결융해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페이스트의 계속적인 신축에도 이러한 신축에 대한 충격을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가 완화토록 하여 동절기 등에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저온에서 페이스트에 동결융해가 반복되면 반복적인 신축에 의해 페이스트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는데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가 저온에서도 탄성을 유지할 수 있어 이러한 신축을 보상할 수 있으므로 동결융해에 따른 페이스트의 균열 등의 이상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점성제로서 사이코스가 더 첨가되도록 한다. 사이코스가 단독으로 적용되거나 타 점성제와 혼합하여 사용됨이 타당하다. 사이코스를 점성제로 사용하는 이유는 조성간에 점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은 물론 케이스(43) 외주연에 침적된 물방울이 동절기에 어는 것을 제어하는 것이며 빙질이 형성되더라도 결정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여 빙질의 녹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케이스(43) 외주연에서 아이스가 형성이 반복되는 경우 케이스(43)에 인장 및 압축이 반복되어 피로에 의한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상기 조성물에는 사이코스가 더 첨가되도록 하여 점성제로서 기능이 발현되도록 함과 동시에 아이스의 형성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옥사브로모페닐에테르 1 내지 5중량부, 아이티온산염 0.1 내지 2중량부, 열안정제 0.01 내지 1중량부, 무기충전제 1 내지 5중량부, 고무충전제 1 내지 5중량부,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3중량부, 기포제거제 0.01 내지 0.1 중량부, 사이코스 0.01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웨어러블기기 11 : 몸체부
12 : 카메라 15 : 비콘리더
20 : 관리서버 30 : 고정식카메라
40 : 비콘모듈

Claims (9)

  1. 주거시설 경비 시스템에 있어서,
    고유의 식별번호를 가지며 선택된 경비원의 신체 또는 장구류에 장착되어 경비원의 활동 영역에 대한 촬영 영상과 음성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기기;
    방범 현장에서 복수의 단위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어 구역별 촬영 영상인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고정식카메라;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및 고정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수신 및 모니터링하여 방범 현장에서의 위험요소 및 사고 유무를 판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상기 경비원의 목에 착용되는 링 형상의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마이크가 마련되어 상기 경비원 주변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음성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비원의 맥박, 체온, 활동량을 계측하여 계측한 제3 신호를 송신하며 경비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4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제4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딥러닝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며 방범 현장의 위치와 경비원에 대한 위험요소 또는 사고 유무를 판단하고, 그 결과 정보를 출력 및 모니터링 하되,
    상기 방범 현장에서 복수의 단위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비콘모듈이 더 구성되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상기 비콘모듈과 송수신하여 경비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비콘리더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모듈은,
    비콘칩이 내장된 PCB 기판과, 배터리와, 상기 PCB 기판 및 배터리가 내재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배면에 구성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옥사브로모페닐에테르 1 내지 5중량부, 아이티온산염 0.1 내지 2중량부, 열안정제 0.01 내지 1중량부, 무기충전제 1 내지 5중량부, 고무충전제 1 내지 5중량부,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3중량부, 기포제거제 0.01 내지 0.1 중량부, 사이코스 0.01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옥사브로모페닐에테르에 의해 난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아이티온산염의 분해 작용을 통해 화재시 발생되는 염소의 분해가 촉진되게 하고 염화수소를 거쳐 고체상의 염화아연으로 고정화되게 함으로써 옥사브로모페닐에테르의 연소 시 발생되는 염소가스를 고정화시켜 무해화되게 하며, 사이코스의 첨가로 동절기에 수분이 동결되는 것을 제어하면서 동결 융해의 반복으로 인한 페이스트의 신축 균열을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의 첨가로 신축 보상하여 페이스트의 균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구조요청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고 상기 구조요청신호와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버튼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송신하는 구조요청신호와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경비원의 위치와 해당 경비원의 구조요청 상황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경비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단어 또는 문장을 변환하는 음성인식모듈 및 구조요청을 추정하기 위하여 사전 설정된 복수의 키워드가 저장되며 상기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변환한 단어 또는 문장에서 기저장된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식별정보와 함께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구조요청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송신하는 구조요청신호와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경비원의 위치와 해당 경비원의 구조요청 상황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제4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비원의 시간에 따른 이동경로 및 주변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주변 영상과 음성이 기록되는 순찰일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
KR1020200177338A 2020-12-17 2020-12-17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 Active KR102339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38A KR102339788B1 (ko) 2020-12-17 2020-12-17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38A KR102339788B1 (ko) 2020-12-17 2020-12-17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788B1 true KR102339788B1 (ko) 2021-12-16

Family

ID=7903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338A Active KR102339788B1 (ko) 2020-12-17 2020-12-17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7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0176A (zh) * 2022-01-18 2022-04-22 南宁市景英旭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军警民用识别指挥系统
KR102657374B1 (ko) * 2023-11-23 2024-04-16 주식회사 엠큐리티 인공지능 기반 경비원 관리 및 예측 시스템
KR20240063219A (ko) * 2022-10-28 2024-05-1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안경을 이용한 화재 감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596A (ko) * 2015-07-28 2017-02-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안전 강화 방법 및 장치
KR20170090612A (ko) * 2016-01-29 2017-08-08 (주)선우콘트롤 Iot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101841882B1 (ko) 2017-10-12 2018-05-04 유가현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8109A (ko) * 2019-08-0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596A (ko) * 2015-07-28 2017-02-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안전 강화 방법 및 장치
KR20170090612A (ko) * 2016-01-29 2017-08-08 (주)선우콘트롤 Iot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101841882B1 (ko) 2017-10-12 2018-05-04 유가현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8109A (ko) * 2019-08-0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0176A (zh) * 2022-01-18 2022-04-22 南宁市景英旭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军警民用识别指挥系统
KR20240063219A (ko) * 2022-10-28 2024-05-1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안경을 이용한 화재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2736169B1 (ko) * 2022-10-28 2024-11-2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안경을 이용한 화재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2657374B1 (ko) * 2023-11-23 2024-04-16 주식회사 엠큐리티 인공지능 기반 경비원 관리 및 예측 시스템
KR102671675B1 (ko) * 2023-11-23 2024-06-04 주식회사 엠큐리티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비 인력 지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5904B2 (en) Drone-augmented emergency response services
KR102339788B1 (ko)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보안 시스템
KR102195174B1 (ko) 웨어러블 카메라를 이용한 건설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N109064698B (zh) 居民安防预警方法和居民安防预警系统
CN111199622A (zh) 一种大数据机房智能监控及调度的方法和系统
KR101841882B1 (ko)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101514696B1 (ko)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KR20100106049A (ko) 방범시스템
KR100956978B1 (ko) 교통사고 유의지역 통합관리 시스템
US202201571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erty monitoring
CN214253376U (zh) 一种营区周界防入侵预警系统
JP2007195130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JP2006089256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CN107481470A (zh) 一种远程监控自动报警方法及装置
CN108031050A (zh) 基于物联网的消防监管系统
US20200168074A1 (en) Wearable personal or public safety device
KR102531280B1 (ko) Cctv 네트워크를 이용한 침수 감지 시스템
KR20230087008A (ko) 스마트 폴을 이용한 위험상황 정보 처리장치
KR102662452B1 (ko) 음성인식 비상벨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CN205408034U (zh) 基于半开放式小区的监控系统
KR101543993B1 (ko) 무선형 비상신호 가동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KR20230087656A (ko) 스마트 폴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상황 정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054194B1 (ko) 개인 휴대용 블랙박스
CN105096493A (zh) 一种校园安防系统
KR101416076B1 (ko) 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6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4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8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4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