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8929B1 - 비계용 수직사다리 - Google Patents

비계용 수직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929B1
KR102338929B1 KR1020210066840A KR20210066840A KR102338929B1 KR 102338929 B1 KR102338929 B1 KR 102338929B1 KR 1020210066840 A KR1020210066840 A KR 1020210066840A KR 20210066840 A KR20210066840 A KR 20210066840A KR 102338929 B1 KR102338929 B1 KR 10233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caffolding
bar
ladder
vertical lad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익
Original Assignee
최병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익 filed Critical 최병익
Priority to KR102021006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9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06C7/505Anchors being adapted to fix a ladder to a vertical structure, e.g. ladder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에 간편하게 걸쳐져서 사용될 수 있는 수직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개의 세로대와, 세로대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두 개의 세로대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시키는 가로대와; 상기 두 개의 세로대 각각의 상단 외주면에 부착되어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재에 거치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로재 걸이;로 구성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에 있어서, 세로대의 상단에서는 각각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부위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되는 부위는 상기 가로대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을 향해 굴곡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출구간이 형성됨으로써, 발판이 비계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지 않고도 설치될 수 있어, 발판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발이 빠져 추락될 위험이 감소되므로,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보다 더 상부로 연장되게 제작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도모되며, 비계용 수직사다리를 설치하는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는 안전 로프의 설치도 가능한 효과가 있는 비계용 수직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비계용 수직사다리{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본 발명은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에 간편하게 걸쳐져서 사용될 수 있는 수직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의지할 수 있는 작업대인 비계가 통상적으로 설치된다. 비계구조물(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지는 수직 기둥(11)과, 건물의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재(13)와, 건물의 깊이 방향으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장선이 서로 만나는 지점마다 조인트(미도시)로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물의 각 층 또는 시설물의 일정한 높이 마다 작업자가 딛고 움직일 수 있도록 발판(16)이 설치되고, 작업자의 허리 높이쯤에 난간대(14)가 설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발판(16)은 건물의 층 높이와 대체로 일치하는 지점마다 설치된다.
높은 고층 또는 고고도의 시설물의 공사에서는 가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만 일반적인 건설 현장의 비계구조물(10)에는 작업자가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계단이나 종래의 비계용 사다리(20)가 설치된다.
특히 종래의 비계용 사다리(20)는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비계용 사다리는 계단 설치가 곤란한 지점에서 주로 사용된다.
통상의 비계용 사다리(2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다리의 상단에 후크 형태의 가로재 걸이(23)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로재 걸이(23)로 도 1b 및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층의 난간대(14)나 가로재(13)의 내측에 가로재 걸이(23)를 거치시킨 다음 사용된다.
그런데 비계용 사다리(2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재(13)의 내측에 설치되므로 비계용 사다리(20)의 세로대(21)가 발판(16)과 가로재(13) 사이에 배치되면서 발판(16)과 가로재(13) 사이에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비계용 사다리(20)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시키고자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대(21)의 높이는 후크 형태의 가로재 걸이(23)가 부착된 지점까지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만약 세로대(21)의 높이가 가로재 걸이(23)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구조물(10)을 이루는 가로재(13)와 발판(16)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켜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비계용 사다리(20)의 높이가 한정된다면 가로재 걸이(23)의 바로 위에 설치된 발판(16)으로 올라가고자 할 경우 의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없어 극히 위험할 수 있다.
이처럼 가로재(13)와 발판(16) 간의 간격으로 인해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의 사용 과정에서 실제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종래기술인 등록특허공보 제10-1846471호(공고일자: 2018. 04. 09)와 같은 기술에서는 틈새막이판에 대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지만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처하기에는 미흡하다. 이처럼 위험함에도 현재로서는 비계용 수직사다리에 이러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는 수단이 개발되지는 못한 실정이다.
또한 이처럼 비계용 수직사다리의 높이가 가로재 걸이가 설치되는 지점까지로 제한된다면, 비계용 수직사다리의 설치 과정에서 도 1e에 도시된 해치발판의 해치를 열고 작업자가 올라갈 때 작업자가 잡고 의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비계용 수직사다리를 설치하는 작업자 또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46471호(공고일자: 2018. 04. 09)
이에 본 발명은 가로재와 발판 사이에 설치되되, 발판이 밀려나지 않고도 설치 가능한 비계용 수직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는 서로 평행하는 두 개의 세로대와, 상기 두 개의 세로대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두 개의 세로대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시키는 가로대와, 상기 두 개의 세로대 각각의 상단 외주면에 부착되어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재에 거치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로재 걸이로 구성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의 상단에서는 각각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부위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되는 부위는 상기 가로대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을 향해 굴곡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출구간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구간은 바람직하게는 두 세로대의 상단에서 각각 정면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봉과, 하부 돌출봉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단부 돌출봉과, 단부 돌출봉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세로대의 상단의 상부까지 후퇴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돌출봉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돌출봉의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 상부를 향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상부 연장 세로대와, 두 개의 상기 상부 연장 세로대 사이를 일정 간격마다 연결시키는 상부 가로대가 더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가로대 중에서 가장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가로대에는 안전 로프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대와 상기 하부 돌출봉이 만나는 지점과, 상기 상부 연장 세로대와 상기 상부 돌출봉이 만나는 지점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가로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는 발판이 비계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지 않고도 설치될 수 있어, 발판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발이 빠져 추락될 위험이 줄어들므로,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보다 더 상부로 연장되게 제작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도모되며, 비계용 수직사다리를 설치하는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는 안전로프의 설치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용 사다리의 사시도,
도 1b 는 종래의 비계용 사다리가 통상의 비계구조물에 설치된 정면도,
도 1c는 발판과 가로재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사진,
도 1d는 종래의 비계사다리와 발판의 평면도,
도 1e는 해치 발판의 사시도,
도 1f 및 도 1g는 종래의 비계용 사다리의 높이가 제한되는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서 돌출구간의 확대도,
도 2c는 도 2b의 측면도,
도 2d는 도 1d에서 종래의 수직사다리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사다리로 교체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에 안전로프가 추가된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는 두 개의 세로대(110)와, 두 개의 세로대(110)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두 개의 세로대(110)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시키는 가로대(120)와, 두 개의 세로대(110) 각각의 상단 외주면에 부착되어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재(13)에 거치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로재 걸이(130)로 구성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에 있어서, 세로대(110)의 상단에서는 각각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부위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되는 부위는 가로대(120)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을 향해 굴곡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출구간(140)이 형성된다.
비계용 수직사다리(20,100)는 안전을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구조물(10)의 안쪽에 설치된다.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는 세로대(21)가 수직 방향으로 일자로 형성되므로 만약 발판(16)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뻗어나가는 길이로 세로대(21)가 길게 형성된다면 결국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6)이 세로대(21)의 두께 내지는 그 이상으로 밀려나야만 설치가 가능하다. 즉 세로대(21)가 길게 형성된다면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는 도 1f에 도시된 측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세로대(21)의 두께만큼 발판(16)이 오른쪽으로 밀려나야만 설치가 가능하다.
그런데 발판(16)이 도 1d 및 도 1f와 같이 밀려나면, 도 1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발이 빠져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이 형성된다.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은 이를 통해 공구나 자재가 빠질 우려도 있고, 이것을 잡는 과정에서 작업자도 위험에 처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발판(16) 위에서 작업하는 동안에는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는 이러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방지될 수 있도록 세로대(21)의 높이가 도 1a 및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형태의 가로재 걸이(23)가 설치되는 높이까지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즉 만일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가 도 1f에 도시된 것처럼 어느 하나의 발판(16)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작된다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연적으로 발판(16)이 밀려나면서 비계구조물(10)을 이루는 가로재(13)와 발판(16) 사이에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이 발생될 수밖에 없어 높이가 대폭 제한되므로 작업자가 층간을 오르내릴 때 불편함과 위험이 대폭 증가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10)에서는 바로 이러한 발판(16) 밀림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구간(140)이 형성된다.
돌출 구간(140)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의 정면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6)이 돌출 구간(140)의 내측에 내포될 수 있다.
돌출 구간(140)은 보다 구체적으로 두 세로대(110)의 상단에서 각각 정면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봉(141)과, 하부 돌출봉(141)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단부 돌출봉(143)과, 단부 돌출봉(143)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세로대(110)의 상단의 상부까지 후퇴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돌출봉(142)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돌출 구간(140)은 도 1c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발판(16)과 가로재(13) 사이에 높이 차이가 형성되는 점이 이용된다.
도 1c의 사진과 도 2c를 함께 참조하면, 하부 돌출봉(141)이 가로재(13)와 발판(16) 사이의 높이 차이로 형성되는 틈을 통과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하부 돌출봉(141)의 단부로부터 차례로 단부 돌출봉(143)과 상부 돌출봉(142)이 도 2c의 형태와 같이 발판(16)의 단부를 감싸면서 다시 후퇴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돌출 구간(140)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돌출 구간(140)이 형성됨으로 인해 비로소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10)는 상부로 더 연장되더라도 발판(16)과 가로재(13) 사이에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가로재 걸이(130)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더 상부로 연장되는 구간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돌출봉(142)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수직 상부를 향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상부 연장 세로대(150)와, 두 개의 상부 연장 세로대(150) 사이를 일정 간격마다 연결시키는 상부 가로대(160)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부 가로대(16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가로대(160)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로프(R)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안전 로프(R)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설치 전에 미리 허리에 착용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를 설치한 후에, 해치(H)를 통과하여 올라갈 때 작업자의 안전이 보다 더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의 설치를 위해 해치(H)가 도 3과 같이 개방된 경우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 해 줄 수 있도록 지면의 역할을 대신 해 주는 발판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대(110)와 하부 돌출봉(141)이 만나는 지점과, 상부 연장 세로대(150)와 상부 돌출봉(142)이 만나는 지점에는 각각 가로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세로대(110)의 방향이 전환되는 부위마다 가로대(120)가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는 굴곡이 형성되는 돌출구간(140)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구조적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는 비계구조물(10)의 두 개 이상의 층에 걸쳐 설치될 수 있도록 돌출 구간(140)도 각 층에 해당되는 지점마다 설치되어, 돌출 구간(140)이 복수개로 층고 간격마다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A :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 HP : 해치 발판
H : 해치 R : 안전 로프
10 : 비계구조물 11 : 수직 기둥
13 : 가로재 14 : 난간대
15 : 밑둥 잡이 16 : 발판
20 :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 21,110 : 세로대
22,120 : 가로대 23,130 : 가로재 걸이
100 : 본 발명에 따른 수직사다리 140 : 돌출 구간
141 : 하부 돌출봉 142 : 상부 돌출봉
143 : 단부 돌출봉 150 : 상부 연장 세로대
160 : 상부 가로대

Claims (5)

  1. 서로 평행하는 두 개의 세로대와; 상기 두 개의 세로대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두 개의 세로대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시키는 가로대와; 상기 두 개의 세로대 각각의 상단 외주면에 부착되어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재에 거치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로재 걸이;로 구성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의 상단에서는 각각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부위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되는 부위는 상기 가로대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을 향해 굴곡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출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구간은 두 세로대의 상단에서 각각 정면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봉과, 하부 돌출봉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단부 돌출봉과, 단부 돌출봉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세로대의 상단의 상부까지 후퇴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돌출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돌출봉의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 상부를 향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상부 연장 세로대와,
    두 개의 상기 상부 연장 세로대 사이를 일정 간격마다 연결시키는 상부 가로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로대 중에서 가장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가로대에는 안전 로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와 상기 하부 돌출봉이 만나는 지점과, 상기 상부 연장 세로대와 상기 상부 돌출봉이 만나는 지점에는 각각 가로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
KR1020210066840A 2021-05-25 2021-05-25 비계용 수직사다리 Active KR102338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840A KR102338929B1 (ko) 2021-05-25 2021-05-25 비계용 수직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840A KR102338929B1 (ko) 2021-05-25 2021-05-25 비계용 수직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929B1 true KR102338929B1 (ko) 2021-12-10

Family

ID=7886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840A Active KR102338929B1 (ko) 2021-05-25 2021-05-25 비계용 수직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9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2369A (ja) * 1999-11-05 2001-05-15 Sekisui House Ltd 勾配面用梯子および梯子の設置方法
KR101846471B1 (ko) 2017-06-22 2018-04-09 박상민 건축 비계용 틈새막이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2369A (ja) * 1999-11-05 2001-05-15 Sekisui House Ltd 勾配面用梯子および梯子の設置方法
KR101846471B1 (ko) 2017-06-22 2018-04-09 박상민 건축 비계용 틈새막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41612A (ja) 建設現場用階段
KR100989111B1 (ko)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DK168769B1 (da) Opstigningsindretning til stilladser med mindst én trappe
KR101895535B1 (ko) 안전 작업대
KR102602451B1 (ko) 비계형 케이지
KR102338929B1 (ko) 비계용 수직사다리
US3307653A (en) Demountable stairway unit
US6015028A (en) Pump jack hoisting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railing for protecting workers from accidental falling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US3490559A (en) Knockdown scaffolding
KR200378403Y1 (ko) 고소작업대
JP4011722B2 (ja) 吊り階段
KR102167622B1 (ko) 달비계용 틈새막이 안전발판
KR20210080954A (ko)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JP6091138B2 (ja) 階段開口部用手摺枠
KR102717170B1 (ko) 비계대
KR100583775B1 (ko) 건축용 비계구조
JP6574726B2 (ja) 仮設足場における階段開口部の手摺枠
KR100758111B1 (ko) 건설현장용 안전계단
JP2018168663A (ja) 階段室作業用仮設足場
KR920004954Y1 (ko) 적층 절첩식 비계
CN211817911U (zh) 可伸缩脚手架楼梯
JP2005248628A (ja) ベント設備とその構築方法
CN221169392U (zh) 一种室内装修用扶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