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929B1 -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 Google Patents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8929B1 KR102338929B1 KR1020210066840A KR20210066840A KR102338929B1 KR 102338929 B1 KR102338929 B1 KR 102338929B1 KR 1020210066840 A KR1020210066840 A KR 1020210066840A KR 20210066840 A KR20210066840 A KR 20210066840A KR 102338929 B1 KR102338929 B1 KR 102338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scaffolding
- bar
- ladder
- vertical lad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06C7/505—Anchors being adapted to fix a ladder to a vertical structure, e.g. ladder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에 간편하게 걸쳐져서 사용될 수 있는 수직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개의 세로대와, 세로대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두 개의 세로대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시키는 가로대와; 상기 두 개의 세로대 각각의 상단 외주면에 부착되어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재에 거치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로재 걸이;로 구성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에 있어서, 세로대의 상단에서는 각각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부위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되는 부위는 상기 가로대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을 향해 굴곡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출구간이 형성됨으로써, 발판이 비계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지 않고도 설치될 수 있어, 발판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발이 빠져 추락될 위험이 감소되므로,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보다 더 상부로 연장되게 제작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도모되며, 비계용 수직사다리를 설치하는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는 안전 로프의 설치도 가능한 효과가 있는 비계용 수직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ladder that can be conveniently hung on a scaffold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and includes: a crosspiece installed between two vertical bar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to connect the two vertical bars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consisting of; a horizontal member hanger attached to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two vertical bars to be mounted on a horizontal member constituting a scaffold structure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eam, each by a certain length An extended portion is formed, and the extended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section in the form of protruding to form a curve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ming a right angle with the crossbar, so that the footrest is not pushed away from the cross member constituting the scaffolding structure. Since it can be installed without the need for installation, the risk of falling off the foot of a worker working on the scaffold is reduced, so it can be manufactured to extend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work, and using the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that is effective even in the installation of a safety rope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the installing work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에 간편하게 걸쳐져서 사용될 수 있는 수직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der, and in particular, to a vertical ladder that can be conveniently hung over a scaffold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건설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의지할 수 있는 작업대인 비계가 통상적으로 설치된다. 비계구조물(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지는 수직 기둥(11)과, 건물의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재(13)와, 건물의 깊이 방향으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장선이 서로 만나는 지점마다 조인트(미도시)로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Scaffolding, which is a workbench on which workers can rely, is usually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As shown in FIG. 2 , the scaffolding structure 10 includes a
그리고 건물의 각 층 또는 시설물의 일정한 높이 마다 작업자가 딛고 움직일 수 있도록 발판(16)이 설치되고, 작업자의 허리 높이쯤에 난간대(14)가 설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발판(16)은 건물의 층 높이와 대체로 일치하는 지점마다 설치된다.In addition, the
높은 고층 또는 고고도의 시설물의 공사에서는 가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만 일반적인 건설 현장의 비계구조물(10)에는 작업자가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계단이나 종래의 비계용 사다리(20)가 설치된다.Temporary elevators are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or high-altitude facilities, but stairs or
특히 종래의 비계용 사다리(20)는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비계용 사다리는 계단 설치가 곤란한 지점에서 주로 사용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conventional ladder for
통상의 비계용 사다리(2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다리의 상단에 후크 형태의 가로재 걸이(23)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로재 걸이(23)로 도 1b 및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층의 난간대(14)나 가로재(13)의 내측에 가로재 걸이(23)를 거치시킨 다음 사용된다.A typical ladder for
그런데 비계용 사다리(2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재(13)의 내측에 설치되므로 비계용 사다리(20)의 세로대(21)가 발판(16)과 가로재(13) 사이에 배치되면서 발판(16)과 가로재(13) 사이에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을 형성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따라서 종래의 비계용 사다리(20)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시키고자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대(21)의 높이는 후크 형태의 가로재 걸이(23)가 부착된 지점까지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만약 세로대(21)의 높이가 가로재 걸이(23)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구조물(10)을 이루는 가로재(13)와 발판(16)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켜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이 형성되기 때문이다.Therefore, in the
이처럼 비계용 사다리(20)의 높이가 한정된다면 가로재 걸이(23)의 바로 위에 설치된 발판(16)으로 올라가고자 할 경우 의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없어 극히 위험할 수 있다.As such, if the height of the ladder for the
이처럼 가로재(13)와 발판(16) 간의 간격으로 인해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의 사용 과정에서 실제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종래기술인 등록특허공보 제10-1846471호(공고일자: 2018. 04. 09)와 같은 기술에서는 틈새막이판에 대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지만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처하기에는 미흡하다. 이처럼 위험함에도 현재로서는 비계용 수직사다리에 이러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는 수단이 개발되지는 못한 실정이다.As such, due to the gap between the
또한 이처럼 비계용 수직사다리의 높이가 가로재 걸이가 설치되는 지점까지로 제한된다면, 비계용 수직사다리의 설치 과정에서 도 1e에 도시된 해치발판의 해치를 열고 작업자가 올라갈 때 작업자가 잡고 의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비계용 수직사다리를 설치하는 작업자 또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f the height of the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is limited to the point where the horizontal member hanger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can hold and rely on the hatch of the hatch scaffold shown in FIG. Since there is no means, there is a problem that workers who install the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are also exposed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등록특허공보 제10-1846471호(공고일자: 2018. 04. 09)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46471 (Announcement Date: 2018. 04. 09)
이에 본 발명은 가로재와 발판 사이에 설치되되, 발판이 밀려나지 않고도 설치 가능한 비계용 수직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scaffolding, which can be installed without the scaffolding being pushed ou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는 서로 평행하는 두 개의 세로대와, 상기 두 개의 세로대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두 개의 세로대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시키는 가로대와, 상기 두 개의 세로대 각각의 상단 외주면에 부착되어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재에 거치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로재 걸이로 구성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의 상단에서는 각각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부위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되는 부위는 상기 가로대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을 향해 굴곡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출구간으로 형성된다.A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two vertical bars parallel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cross bars installed between the two vertical bars to connect the two vertical bars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two vertical bars, respectively In the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which is attached to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is provided so as to be mounted on a horizontal member constituting a scaffolding structure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a portion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eam, respectively. However, the extended portion is formed as a protrusion section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so as to form a cur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ming a right angle with the crossbar.
여기서 상기 돌출구간은 바람직하게는 두 세로대의 상단에서 각각 정면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봉과, 하부 돌출봉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단부 돌출봉과, 단부 돌출봉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세로대의 상단의 상부까지 후퇴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돌출봉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protrusion section preferably includes a lower protrusion bar each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two vertical bars to the front, an end protrusion bar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lower protrusion bar, and an end protrusion bar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end protrusion bar, respectively,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It consists of an upper protrusion rod formed in a direction to retreat to the upper part.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돌출봉의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 상부를 향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상부 연장 세로대와, 두 개의 상기 상부 연장 세로대 사이를 일정 간격마다 연결시키는 상부 가로대가 더 형성된다.In this case, preferably, an upper longitudinal bar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nd of the upper protruding bar toward the vertical upper part, and an upper cross bar connecting the two upper extended longitudinal bars at regular intervals are further form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가로대 중에서 가장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가로대에는 안전 로프가 더 설치된다.Also preferably, a safety rop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crosspiec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upper crosspiece.
그리고 상기 세로대와 상기 하부 돌출봉이 만나는 지점과, 상기 상부 연장 세로대와 상기 상부 돌출봉이 만나는 지점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가로대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crossbar may be preferably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vertical bar and the lower protruding rod meet, and at a point where the upper extended vertical bar and the upper protruding bar meet.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는 발판이 비계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지 않고도 설치될 수 있어, 발판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발이 빠져 추락될 위험이 줄어들므로,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보다 더 상부로 연장되게 제작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도모되며, 비계용 수직사다리를 설치하는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는 안전로프의 설치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without the scaffold being pushed away from the horizontal member constituting the scaffolding structure, so that the risk of falling off the feet of the worker working on the scaffolding is reduced, so that the conventional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to extend further upward, the convenience of work is further promoted,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afety rope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who installs the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용 사다리의 사시도,
도 1b 는 종래의 비계용 사다리가 통상의 비계구조물에 설치된 정면도,
도 1c는 발판과 가로재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사진,
도 1d는 종래의 비계사다리와 발판의 평면도,
도 1e는 해치 발판의 사시도,
도 1f 및 도 1g는 종래의 비계용 사다리의 높이가 제한되는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서 돌출구간의 확대도,
도 2c는 도 2b의 측면도,
도 2d는 도 1d에서 종래의 수직사다리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사다리로 교체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에 안전로프가 추가된 개념도,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dder for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1b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ladder for scaffolding installed in a conventional scaffolding structure;
1c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pacing between the scaffold and the horizontal member;
1d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scaffolding ladder and scaffolding;
1E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tch scaffold;
1f and 1g is a conceptual view in which the height of the conventional ladder for scaffolding is limited;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otrusion section in Figure 2a,
Fig. 2c is a side view of Fig. 2b;
Figure 2d is a plan view in which the conventional vertical ladder is replaced with a vertical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d,
3 is a conceptual view in which a safety rope is added to the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는 두 개의 세로대(110)와, 두 개의 세로대(110)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두 개의 세로대(110)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시키는 가로대(120)와, 두 개의 세로대(110) 각각의 상단 외주면에 부착되어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재(13)에 거치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로재 걸이(130)로 구성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에 있어서, 세로대(110)의 상단에서는 각각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부위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되는 부위는 가로대(120)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을 향해 굴곡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출구간(140)이 형성된다.The
비계용 수직사다리(20,100)는 안전을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구조물(10)의 안쪽에 설치된다.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는 세로대(21)가 수직 방향으로 일자로 형성되므로 만약 발판(16)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뻗어나가는 길이로 세로대(21)가 길게 형성된다면 결국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6)이 세로대(21)의 두께 내지는 그 이상으로 밀려나야만 설치가 가능하다. 즉 세로대(21)가 길게 형성된다면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는 도 1f에 도시된 측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세로대(21)의 두께만큼 발판(16)이 오른쪽으로 밀려나야만 설치가 가능하다.The scaffolding
그런데 발판(16)이 도 1d 및 도 1f와 같이 밀려나면, 도 1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발이 빠져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이 형성된다.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은 이를 통해 공구나 자재가 빠질 우려도 있고, 이것을 잡는 과정에서 작업자도 위험에 처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발판(16) 위에서 작업하는 동안에는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수밖에 없다.However, when the
따라서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는 이러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방지될 수 있도록 세로대(21)의 높이가 도 1a 및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형태의 가로재 걸이(23)가 설치되는 높이까지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즉 만일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20)가 도 1f에 도시된 것처럼 어느 하나의 발판(16)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작된다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연적으로 발판(16)이 밀려나면서 비계구조물(10)을 이루는 가로재(13)와 발판(16) 사이에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이 발생될 수밖에 없어 높이가 대폭 제한되므로 작업자가 층간을 오르내릴 때 불편함과 위험이 대폭 증가될 수밖에 없다.That is, if the conventional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10)에서는 바로 이러한 발판(16) 밀림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구간(140)이 형성된다. In the
돌출 구간(140)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의 정면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6)이 돌출 구간(140)의 내측에 내포될 수 있다.The
돌출 구간(140)은 보다 구체적으로 두 세로대(110)의 상단에서 각각 정면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봉(141)과, 하부 돌출봉(141)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단부 돌출봉(143)과, 단부 돌출봉(143)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세로대(110)의 상단의 상부까지 후퇴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돌출봉(142)으로 이루어진다.The
특히 돌출 구간(140)은 도 1c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발판(16)과 가로재(13) 사이에 높이 차이가 형성되는 점이 이용된다. In particular, the protruding
도 1c의 사진과 도 2c를 함께 참조하면, 하부 돌출봉(141)이 가로재(13)와 발판(16) 사이의 높이 차이로 형성되는 틈을 통과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하부 돌출봉(141)의 단부로부터 차례로 단부 돌출봉(143)과 상부 돌출봉(142)이 도 2c의 형태와 같이 발판(16)의 단부를 감싸면서 다시 후퇴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돌출 구간(140)이 완성된다.Referring to the photo of FIG. 1C and FIG. 2C together, the lower protruding
이와 같이 돌출 구간(140)이 형성됨으로 인해 비로소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10)는 상부로 더 연장되더라도 발판(16)과 가로재(13) 사이에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A)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As such, since the
가로재 걸이(130)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더 상부로 연장되는 구간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돌출봉(142)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수직 상부를 향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상부 연장 세로대(150)와, 두 개의 상부 연장 세로대(150) 사이를 일정 간격마다 연결시키는 상부 가로대(160)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section extending further upward from the point where the
이 경우 상부 가로대(16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가로대(160)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로프(R)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safety rope (R)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안전 로프(R)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설치 전에 미리 허리에 착용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를 설치한 후에, 해치(H)를 통과하여 올라갈 때 작업자의 안전이 보다 더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의 설치를 위해 해치(H)가 도 3과 같이 개방된 경우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 해 줄 수 있도록 지면의 역할을 대신 해 주는 발판이 없어지기 때문이다.The safety rope (R) is especially worn on the waist by the worker who wants to install the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대(110)와 하부 돌출봉(141)이 만나는 지점과, 상부 연장 세로대(150)와 상부 돌출봉(142)이 만나는 지점에는 각각 가로대(120)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b, the
이처럼 세로대(110)의 방향이 전환되는 부위마다 가로대(120)가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는 굴곡이 형성되는 돌출구간(140)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구조적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As such, by installing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수직사다리(100)는 비계구조물(10)의 두 개 이상의 층에 걸쳐 설치될 수 있도록 돌출 구간(140)도 각 층에 해당되는 지점마다 설치되어, 돌출 구간(140)이 복수개로 층고 간격마다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A : 추락이 우려되는 공간 HP : 해치 발판
H : 해치 R : 안전 로프
10 : 비계구조물 11 : 수직 기둥
13 : 가로재 14 : 난간대
15 : 밑둥 잡이 16 : 발판
20 : 종래의 비계용 수직사다리 21,110 : 세로대
22,120 : 가로대 23,130 : 가로재 걸이
100 : 본 발명에 따른 수직사다리 140 : 돌출 구간
141 : 하부 돌출봉 142 : 상부 돌출봉
143 : 단부 돌출봉 150 : 상부 연장 세로대
160 : 상부 가로대A : Space where there is a risk of falling HP : Hatch footrest
H : Hatch R : Safety Rope
10: scaffolding structure 11: vertical column
13: horizontal member 14: handrail
15: strut 16: footrest
20: conventional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21,110: vertical bar
22,120: crossbar 23,130: crossbar hanger
100: vertical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0: protrusion section
141: lower protruding bar 142: upper protruding bar
143: end protrusion bar 150: upper extension vertical bar
160: upper crossbar
Claims (5)
상기 세로대의 상단에서는 각각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부위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되는 부위는 상기 가로대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을 향해 굴곡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출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구간은 두 세로대의 상단에서 각각 정면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봉과, 하부 돌출봉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단부 돌출봉과, 단부 돌출봉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세로대의 상단의 상부까지 후퇴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돌출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two longitudinal bars parallel to each other; a cross bar installed between the two vertical bars to connect the two vertical bars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comprising; a horizontal member hanger attached to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two vertical bars to be mounted on a horizontal member forming a scaffolding structure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a portion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nd the exten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section in the form of protruding to form a curve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ming a right angle with the cross bar,
The protrusion section includes a lower protrusion bar each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two vertical bars to the front, an end protrusion bar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lower protrusion bar, and an end protrusion bar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end protrusion bar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respectively. A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upper protruding rod formed in the direction.
상기 상부 돌출봉의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 상부를 향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상부 연장 세로대와,
두 개의 상기 상부 연장 세로대 사이를 일정 간격마다 연결시키는 상부 가로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extension column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nd of the upper protruding rod toward the vertical upper portion, respectively;
A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rossbar connecting the two upper extended vertical bars at regular intervals is further formed.
상기 상부 가로대 중에서 가장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가로대에는 안전 로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4. The method of claim 3,
A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rop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crosspiec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upper crosspiece.
상기 세로대와 상기 하부 돌출봉이 만나는 지점과, 상기 상부 연장 세로대와 상기 상부 돌출봉이 만나는 지점에는 각각 가로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수직사다리.4. The method of claim 3,
A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bar is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vertical bar and the lower protruding bar meet, and at a point where the upper extended vertical bar and the upper protruding bar me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6840A KR102338929B1 (en) | 2021-05-25 | 2021-05-25 |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6840A KR102338929B1 (en) | 2021-05-25 | 2021-05-25 |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8929B1 true KR102338929B1 (en) | 2021-12-10 |
Family
ID=7886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6840A Active KR102338929B1 (en) | 2021-05-25 | 2021-05-25 |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892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00913U (en) | 2023-12-07 | 2025-06-16 | (주)포스코퓨처엠 | Lifting prohibition device for vertical lifting ladd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32369A (en) * | 1999-11-05 | 2001-05-15 | Sekisui House Ltd | Ladder for slope and method of installing ladder |
KR101846471B1 (en) | 2017-06-22 | 2018-04-09 | 박상민 | A gap plate of construction scaffolding |
-
2021
- 2021-05-25 KR KR1020210066840A patent/KR1023389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32369A (en) * | 1999-11-05 | 2001-05-15 | Sekisui House Ltd | Ladder for slope and method of installing ladder |
KR101846471B1 (en) | 2017-06-22 | 2018-04-09 | 박상민 | A gap plate of construction scaffoldin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00913U (en) | 2023-12-07 | 2025-06-16 | (주)포스코퓨처엠 | Lifting prohibition device for vertical lifting lad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9111B1 (en) | Tilting access stairway structure for approaching bridge inspection passage | |
JP2009541612A (en) | Construction site stairs | |
DK168769B1 (en) | Ascent device for scaffolding with at least one staircase | |
KR102338929B1 (en) | Vertical ladder for scaffolding | |
KR101895535B1 (en) | Safety work table | |
KR102602451B1 (en) | Fcaffolding Type Cage | |
US3307653A (en) | Demountable stairway unit | |
US6015028A (en) | Pump jack hoisting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railing for protecting workers from accidental falling | |
KR100559118B1 (en) | Aerial work platform | |
KR102717170B1 (en) | Stepladder | |
KR20100055605A (en) | Improved model assembly stairway | |
US3490559A (en) | Knockdown scaffolding | |
KR200378403Y1 (en) | Working tower for a high place | |
JP4011722B2 (en) | Hanging stairs | |
KR100583775B1 (en) | Construction scaffolding | |
JP6574726B2 (en) | Handrail frame of staircase opening in temporary scaffold | |
KR100758111B1 (en) | Safety Stairs for Construction Sites | |
JP2018168663A (en) | Temporary scaffold for staircase work | |
KR920004954Y1 (en) | Laminated folding scaffolding | |
CN211817911U (en) | Telescopic scaffold stair | |
JP2005248628A (en) | Vent equip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214195492U (en) | Hoisting type platform | |
CN221169392U (en) | Staircase for interior decoration | |
KR200499261Y1 (en) | Stairs for climbing and descending in gang form | |
JP4986419B2 (en) | Temporary stair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5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