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8224B1 -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224B1
KR102338224B1 KR1020167029002A KR20167029002A KR102338224B1 KR 102338224 B1 KR102338224 B1 KR 102338224B1 KR 1020167029002 A KR1020167029002 A KR 1020167029002A KR 20167029002 A KR20167029002 A KR 20167029002A KR 102338224 B1 KR102338224 B1 KR 102338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dio data
transmission
uncompressed video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750A (ko
Inventor
야스히사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4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2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09G2370/047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using display data channel standard [DDC]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HDMI 등의 기기와 IP(DLNA) 기기 간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제어를 양호하게 행한다.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휴대 단말기(14)로부터 와이어리스 전송로(16)를 통하여 전송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HDMI 접속된 BD 리코더(11)로부터 취득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와이어리스 전송로(16)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4)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기(14)는 수신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를 일람 표시하고, 선택된 콘텐츠의 제어 정보를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MMUNICATION APPARATUS OR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데이터의 송신, 수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의 재송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비압축(기저 대역)된 화상 신호(화상 데이터)와, 그 화상 신호에 부수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음성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HDMI(등록 상표)(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가 보급되고 있다. HDMI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데이터의 송신측은 HDMI 소스 기기이고, 데이터의 수신측은 HDMI 싱크 기기이다.
예를 들어 HDMI 소스 기기로서의 BD(Blu-Ray Disc) 리코더나 STB(Set Top Box), 그 외의 AV 소스(Audio Visual Source)와, HDMI 싱크 기기로서의 텔레비전 수신기, 프로젝터, 기타 디스플레이를 HDMI 인터페이스로 접속한 AV 시스템 등이 생각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또한 BD 리코더 등의 HDMI 소스 기기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는, 텔레비전 수신기 등의 HDMI 싱크 기기측으로부터 BD 리코더를 직접 제어 선택하여 HDMI 싱크 기기에서 화면 표시되는 것을 상정한 제어 방법이 정의되어 있다.
한편, IP(Internet Protocol)에 의한 제어 방식으로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 의한 기기 간 제어도 실용화되어 있다. DLNA에서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상당하는 DMS(Digital Media Server)와, 재생하는 클라이언트에 상당하는 DMP(Digital Media Player)를 포함하는 2-Box Pull 형식(System Usage)이나, 클라이언트가 DMR(Digital Media Renderer) 및 DMC(Digital Media Controller)를 포함하는 3-Box System Usage가 정의되어 있다. 후자인 3-Box System에서는, DMC를 조작하여 DMS로부터 콘텐츠를 DMR에 송신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DLNA의 베이스로 되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에서는, DMS(Digital Media Server)가 갖는 콘텐츠의 리스트와 정보를 계층화하여 배신하는 CDS(Content Directory Service) 기능이 책정되어 있으며, DLNA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를 참조).
그런데 DLNA와 HDMI가 혼재하는 기기 구성에서는, DLNA 기기로부터 HDMI의 콘텐츠의 제어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HDMI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제어 사양은 HDMI 접속된 기기 간뿐이기 때문이다. 또는 IP 접속된 기기 간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제어 사양은 DLNA에서 제안되어 있지만, 그 네트워크 범위를 초과하는 기기의 제어에는 대응되어 있지 않다.
특히 DLNA의 M-DMC(Mobile Digital Media Controller)와 같이, 휴대형의 단말 기기가 기기 제어의 디바이스로 되는 3Box Control의 사용예가 유저로부터 요구되고 있지만, HDMI 콘텐츠의 제어는 불가능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526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13111호 공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목적은, HDMI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전송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HDMI 등의 기기와 IP(DLNA) 기기 간에서 적절히 전송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원은 상기 과제를 참작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술은,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와,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이다.
본원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통신 장치는, 상기 외부 기기가 대응 가능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송신부에서 사용하는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방식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방식 선택부가 선택한 방식에 따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의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에 삽입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의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소정의 라인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쌍방향 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의 청구항 5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의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제어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의 청구항 6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의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로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길이 정보, 연주 시간 정보, 타이틀 정보, 콘텐츠의 섬네일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7에 기재된 기술은,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스텝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8에 기재된 기술은,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도록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원의 청구항 8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상에서 소정의 처리를 실현하도록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정의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본원의 청구항 8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인스톨함으로써 컴퓨터 상에서는 협동적 작용이 발휘되어, 본원의 청구항 1에 따른 통신 장치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9에 기재된 기술은,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이다.
본원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9에 기재된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 자신이 대응 가능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와, 상기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원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의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으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의 상기 정보 수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소정의 라인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쌍방향 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의 상기 정보 수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제어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의 청구항 14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9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상기 통신 장치 자신에서 취득한 부가 정보를 부가하여 콘텐츠 정보를 구성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는, 콘텐츠 정보를 제2 전송로로 제2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제2 정보 송신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원의 청구항 15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14에 기재된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순차 번호 또는 확장자, 상기 외부 기기의 어드레스 정보(CEC 어드레스),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 정보(상기 외부 기기가 접속된 단자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 정보로서 부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의 청구항 16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청구항 14에 기재된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2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접속 제어부에 의하여 접속된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17에 기재된 기술은,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스텝과,
상기 데이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 스텝과,
상기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스텝
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이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18에 기재된 기술은,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도록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원의 청구항 18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상에서 소정의 처리를 실현하도록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정의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본원의 청구항 18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인스톨함으로써 컴퓨터 상에서는 협동적 작용이 발휘되어, 본원의 청구항 9에 따른 통신 장치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19에 기재된 기술은,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일람 정보를 표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일람 정보 중에서 선택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이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20에 기재된 기술은,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일람 정보를 표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일람 정보 중에서 선택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도록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원의 청구항 20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상에서 소정의 처리를 실현하도록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정의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본원의 청구항 20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인스톨함으로써 컴퓨터 상에서는 협동적 작용이 발휘되어, 본원의 청구항 19에 관한 통신 장치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의하면, HDMI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전송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HDMI 등의 기기와 IP(DLNA) 기기 간에서 적절히 전송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의하면, HDMI 소스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HDMI 싱크 기기에서 시청하는 AV 시스템에 있어서, HDMI 싱크 기기와는 IP 접속된 DLNA 기기에서 관련 정보를 취득하여, DLNA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상기 효과 이외에 부가적인 효과를 더 발휘하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또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나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한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적용한 AV 시스템(10)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BD 리코더(11)측의 HDMI 송신부(11b)와, 텔레비전 수신기(13)측의 HDMI 수신부(13b)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TDMS 채널 #0, #1, #2에 있어서, 가로×세로가 1920픽셀×1080라인인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각종 전송 데이터의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BD 리코더(11)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텔레비전 수신기(13)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휴대 단말기(14)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E-EDID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VSDB 영역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VSIF 패킷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IP 패킷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CEC 패킷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부가 정보를 부가하여 콘텐츠 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기기 접속 시에 HDMI 소스 기기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HDMI 소스 기기에 있어서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HDMI 싱크 기기에 있어서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텔레비전 수신기(싱크 기기)(13)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콘텐츠 조작이 행해졌을 때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휴대 단말기(14)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V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적용한 AV 시스템(10)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AV 시스템(10)은, HDMI 소스 기기로서의 BD 리코더(11) 및 STB(12)와, HDMI 싱크 기기 및 DLNA의 DMR(Digital Media Renderer)로서의 텔레비전 수신기(13)와, DLNA의 M-DMC로서의 휴대 단말기(14)를 구비하고 있다. BD 리코더(11), STB(12)와 텔레비전 수신기(13) 간은 전송로로서의 HDMI 케이블(15-1, 15-2)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텔레비전 수신기(13)와 휴대 단말기(14) 간은 전송로로서의 와이어리스 전송로(16)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AV 시스템(10)은, BD 리코더(11) 또는 STB(12)와 텔레비전 수신기(13)를 포함하는 HDMI 베이스의 AV 시스템으로서의 측면과, BD 리코더(11) 또는 STB(12)와 텔레비전 수신기(13)와 휴대 단말기(14)를 포함하는 DLNA의 3-Box System으로서의 측면을 갖는다.
BD 리코더(11)에는, HDMI 송신부(HDMI TX)(11b) 및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고속 버스 I/F)(11c)가 접속된 HDMI 단자(11a)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STB(12)에는, HDMI 송신부(HDMI TX)(12b) 및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고속 버스 I/F)(12c)가 접속된 HDMI 단자(12a)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쪽 텔레비전 수신기(13)에는, HDMI 수신부(HDMIRX)(13b)와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고속 버스 I/F)(13c)가 접속된 HDMI 단자(13a)와, HDMI 수신부(HDMI RX)(13e)와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고속 버스 I/F)(13f)가 접속된 HDMI 단자(13d)가 설치되어 있다. HDMI 케이블(15-1)의 일단부는 BD 리코더(11)의 HDMI 단자(11a)에 접속되고, 이 HDMI 케이블(15-1)의 타단부는 텔레비전 수신기(13)의 HDMI 단자(13a)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HDMI 케이블(15-2)의 일단부는 STB(12)의 HDMI 단자(12a)에 접속되고, 이 HDMI 케이블(15-2)의 타단부는 텔레비전 수신기(13)의 HDMI 단자(13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텔레비전 수신기(13)에는 DLNA용의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3g)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4)에는 DLNA용의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4a)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리스 전송로(16)는 텔레비전 수신기(13)의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3g)와 휴대 단말기(14)의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4a) 간에 무선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에 있어서, BD 리코더(11)에서 재생하여 얻어진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는 HDMI 케이블(15-1)을 통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된다. 또한 STB(12)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얻어진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는 HDMI 케이블(15-2)을 통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된다. 텔레비전 수신기(13)에서는, HDMI 단자(13a 또는 13d)를 선택함으로써, BD 리코더(11) 또는 STB(12)로부터 송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한쪽의 화상 표시와 음성 출력이 행해진다.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있어서의 HDMI 단자(13a 또는 13d)의 입력 전환은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리모콘 조작에 의하여 행할 수도 있다.
[HDMI 전송로의 구성예]
도 2에는, 도 1에 도시한 AV 시스템(10)에 있어서의, BD 리코더(11)측의 HDMI 송신부(11b)와, 텔레비전 수신기(13)측의 HDMI 수신부(13b)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BD 리코더(11)와 텔레비전 수신기(13) 간의 HDMI 송신부(11b)와 HDMI 수신부(13b)의 예로 구성을 설명했지만, 다른 쪽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조합인, STB(12)의 HDMI 송신부(12b)와 HDMI 수신부(13e)의 내부 구성도 마찬가지로 된다.
HDMI는, 물리층에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천이 시간 최단 차동 신호 전송 방식)를 이용하는 고속 디지털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HDMI 케이블(14)은, TMDS는 R(Red: 적색)/G(Green: 녹색)/B(Blue: 청색)라는 3종류의 화상 신호 전송용의 3개의 TDMS 채널 #0, #1, #2와, 레퍼런스용의 1개의 TMDS 클럭 채널의 합계 4채널로 구성된다. 도 3에는, TDMS 채널 #0, #1, #2에 있어서, 가로×세로가 1920픽셀×1080라인인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각종 전송 데이터의 구간을 나타내고 있다.
HDMI 송신부(11b)는, 1개의 수직 동기 신호(VSYNC)로부터 다음 수직 동기 신호까지의 구간으로부터 수평 귀선 구간(22) 및 수직 귀선 구간(23)을 제외한 구간인 유효 화상 구간(21)(이하, 적절히 액티브 비디오 구간이라고도 함)에 있어서, 비압축된 1화면 분의 화상 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복수의 TMDS 채널 #0 내지 #2에서 HDMI 수신부(13b)에 일 방향으로 송신한다. 또한 HDMI 송신부(11b)는, 수평 귀선 구간(22) 또는 수직 귀선 구간(23)에 있어서, 적어도 화상에 부수되는 음성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 그 외의 보조 데이터 등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복수의 TMDS 채널 #0 내지 #2에서 HDMI 수신부(13b)에 일 방향으로 송신한다.
HDMI 송신부(11b)는 HDMI 트랜스미터(31)를 구비하고 있다. HDMI 트랜스미터(31)는, 예를 들어 비압축된 화상 화소 데이터를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여, 복수의 채널인 3개의 TMDS 채널 #0, #1, #2에서 HDMI 수신부(13b)에 일 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또한 HDMI 트랜스미터(31)는 비압축된 화상에 부수되는 음성 데이터, 나아가, 필요한 제어 데이터 및 그 외의 보조 데이터 등을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여, 3개의 TMDS 채널 #0, #1, #2에서 HDMI 수신부(13b)에 일 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또한 HDMI 트랜스미터(31)는 3개의 TMDS 채널 #0, #1, #2에서 송신하는 화소 데이터에 동기한 픽셀 클럭을 TMDS 클럭 채널에서 HDMI 수신부(13b)에 송신한다. 여기서, 1개의 TMDS 채널 #i(i=0, 1, 2)에서는, 픽셀 클럭의 1클럭 간에 10비트의 화소 데이터가 송신된다.
HDMI 수신부(13b)는 액티브 비디오 구간(21)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에서 HDMI 송신부(11b)로부터 일 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HDMI 수신부(13b)는 수평 귀선 구간(22) 또는 수직 귀선 구간(23)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에서 HDMI 송신부(11b)로부터 일 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음성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즉, HDMI 수신부(13b)는 HDMI 리시버(32)를 갖는다. HDMI 리시버(32)는 TMDS 채널 #0, #1, #2에서, HDMI 케이블(15-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HDMI 송신부(11b)로부터 일 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와, 음성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마찬가지로 HDMI 송신부(11b)로부터 TMDS 클럭 채널에서 송신되어 오는 픽셀 클럭에 동기하여 수신한다.
HDMI 송신부(11b)와 HDMI 수신부(13b)를 포함하는 HDMI 시스템의 전송 채널에는, 화소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로서의 3개의 TMDS 채널 #0, #1, #2와, 픽셀 클럭을 전송하는 전송 채널로서의 TMDS 클럭 채널 외에, DDC(Display Data Channel)(33)나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라인(34)이라 칭해지는 전송 채널이 있다.
DDC(33)는, HDMI 케이블(15-1)이 포함되는 2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며, HDMI 송신부(11b)가, HDMI 케이블(15-1)을 통하여 접속된 HDMI 수신부(13b)로부터 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판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HDMI 수신부(13b)는 HDMI 리시버(32) 외에, 자신의 성능(Configuration Capability)에 관한 성능 정보인 E-EDID를 기억하고 있는 EDID ROM(Read Only Memory)을 구비하고 있다.
HDMI 송신부(11b)는, HDMI 케이블(15-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HDMI 수신부(13b)로부터 당해 HDMI 수신부(13b)의 E-EDID를 DDC(33)를 통하여 판독한다. 그리고 HDMI 송신부(11b)는 그 E-EDID에 기초하여 HDMI 수신부(13b)의 성능의 설정, 즉, 예를 들어 HDMI 수신부(13b)를 갖는 HDMI 싱크 기기(13)가 대응하고 있는 화상의 포맷(프로파일), 예를 들어 RGB, YCbCr 4:4:4, YCbCr 4:2:2 등을 인식한다.
CEC 라인(34)은 HDMI 케이블(15-1)이 포함되는 1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며, HDMI 송신부(11b)와 HDMI 수신부(13b) 간에서 제어용의 데이터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HDMI 케이블(15-1)에는, HPD(Hot Plug Detect)라 칭해지는 19핀에 접속되는 HPD/Ether+ 라인(35)이 포함되어 있다. BD 리코더(11)(HDMI 소스 기기)는 HPD 라인(35)을 이용하여, 직류 바이어스 전위에 의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HDMI 싱크 기기)의 접속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HPD 라인(35)은 HDMI 소스 기기측에서 보면, 직류 바이어스 전위에 의하여 HDMI 싱크 기기로부터 접속 상태의 통지를 받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된다. 한편, HDMI 싱크 기기측에서 보면, HPD 라인(35)은 직류 바이어스 전위에 의하여 HDMI 소스 기기에 접속 상태를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된다.
또한 HDMI 케이블(15-1)에는, HDMI 소스 기기로부터 HDMI 싱크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원 라인(36)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HDMI 케이블(15-1)에는, 비어 있는(Reserve) 14핀에 접속되는 리저브/Ether- 라인(37)이 포함되어 있다. HPD/Ether+ 라인(35)과 리저브/Ether- 라인(37)을 사용하여 1쌍의 차동 전송로를 구성하여, 고속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이 가능한 쌍방향 통신로, 즉, 고속 버스(High speed Ether Channel: HEC)로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BD 리코더(11)측의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와 텔레비전 수신기(13)측의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 간에서 이러한 고속 버스(HEC 라인)를 통한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TB(12)측의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2c)와 텔레비전 수신기(13)측의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f) 간에서도 고속 버스(HEC 라인)를 통한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낸 TDMS 전송 데이터의 구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해 둔다. HDMI의 3개의 TMDS 채널 #0, #1, #2에서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비디오 필드(Video Field)에는, 전송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도면 중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상승하는 사선으로 메꿔서 나타낸 비디오 데이터 구간(24)(Video Data Period), 좌측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사선으로 메꿔서 나타낸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25)(Data Island Period), 및 도트 문양으로 메꿔서 나타낸 컨트롤 구간(26)(Control Period)의 3종류의 구간이 존재한다
비디오 필드는 어느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 엣지(Active Edge)로부터 다음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 엣지까지의 구간이며, 수평 귀선 기간(22)(Horizontal Blanking), 수직 귀선 기간(23)(Vertical Blanking), 및 비디오 필드 구간으로부터 수평 귀선 기간 및 수직 귀선 기간을 제외한 구간인 유효 화소 구간(21)(Active Video)으로 나뉜다.
비디오 데이터 구간(24)은 유효 화소 구간(21)에 할당된다. 이 비디오 데이터 구간(24)에서는, 비압축된 1화면 분의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1920픽셀(화소)×1080라인 분의 유효 화소(Active Pixel)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한편,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25) 및 컨트롤 구간(26)은 수평 귀선 기간(22) 및 수직 귀선 기간(23)에 할당된다. 이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25) 및 컨트롤 구간(26)에서는, 보조 데이터(Auxiliary Data)가 전송된다.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25)은 수평 귀선 기간(22)과 수직 귀선 기간(23)의 일부분에 할당되어 있다. 이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25)에서는, 보조 데이터 중, 제어에 관계되지 않는 데이터인,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의 패킷 등이 전송된다. 또한 컨트롤 구간(26)은 수평 귀선 기간(22)과 수직 귀선 기간(23)의 다른 부분에 할당되어 있다. 이 컨트롤 구간(26)에서는, 보조 데이터 중의, 제어에 관계하는 데이터인, 예를 들어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HSYNC), 제어 패킷 등이 전송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BD 리코더(11)는 텔레비전 수신기(13)로부터 HDMI 케이블(15-1)을 통하여, 이 텔레비전 수신기(13)가 대응 가능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자신이 대응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하고 있으며, 이 전송 방식 정보를 HDMI 케이블(15-1)을 통하여 BD 리코더(11)에 송신한다. 또한 종래에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사양이 없어 상이한 메이커 간에서의 전송이 불가능하여, 호환성이 없었다.
BD 리코더(11)측에서는, 텔레비전 수신기(13)로부터 수신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가 대응 가능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으로부터 소정의 전송 방식을 선택한다. 이 경우, BD 리코더(11)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신기(13)가 대응 가능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이 복수인 경우에는, 가장 전송 속도가 빠른 전송 방식을 선택한다.
그리고 BD 리코더(11)는 텔레비전 수신기(13)로부터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요구 정보를 수신했을 때, 선택한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HDMI 케이블(15-1)을 통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한다.
텔레비전 수신기(13)는 BD 리코더(11)로부터 HDMI 케이블(15-1)을 통하여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선택된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수신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자신의 기억부에 기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휴대 단말기(14)로부터 와이어리스 전송로(16)를 통하여, 이 텔레비전 수신기(13)에 HDMI 접속된 BD 리코더(11)가 재생 가능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요구 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사전에 BD 리코더(11)로부터 취득하여 기억하고 있었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와이어리스 전송로(16)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4)에 송신한다.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전송 요구 정보에 따라 BD 리코더(11)에 요구 정보를 전송한 결과, 취득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와이어리스 전송로(16)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4)에 송신한다. 또한 종래에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재생 제어를 위한 제어 사양이 없어, HDMI 접속된 HDMI 소스 기기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재생 제어는 DLNA 사양에서는 불가능했다.
[BD 리코더의 구성예]
도 4에는 HDMI 소스 기기로서의 BD 리코더(1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BD 리코더(11)는, HDMI 단자(11a)와, HDMI 송신부(11b)와,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BD 리코더(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와, 내부 버스(102)와, 플래시 ROM(Read Only Memory)(103)과, SDRAM(Synchronous Random Access Memory)(104)과, 리모콘 수신부(105)와, 리모콘 송신기(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BD 리코더(11)는, 기록 매체 제어 인터페이스(107)와, BD(Blu-Ray Disc) 드라이브(108), HDD(Hard Disk Drive) 드라이브(109), 또는 SSD(Solid State Disc)(118) 중 적어도 하나의 기록 매체를 구비하고 있다. 기록 매체로서 BD 드라이브(108) 또는 HDD(109)를 장비하는 경우, 기록 매체 제어 인터페이스(107)로서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기록 매체로서 SSD(118)를 장비하는 경우, 기록 매체 인터페이스(107)로서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BD 리코더(11)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디코더(110)와, 그래픽 생성 회로(111)와, 화상 출력 단자(112)와, 음성 출력 단자(1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BD 리코더(11)는, 표시 제어부(114)와, 패널 구동 회로(115)와, 표시 패널(116)과, 전원부(117)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 CPU(101), 플래시 ROM(103), SDRAM(104), 리모콘 수신부(105), 기억 매체 제어 인터페이스(107) 및 MPEG 디코더(110)는 내부 버스(102)에 접속되어 있다.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와 HDMI 수신부(11b)는 HDMI 단자(11a)에 접속되어 있다.
CPU(101)는 BD 리코더(11)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플래시 ROM(103)은 제어 소프트웨어의 저장 및 데이터의 보관을 행한다. SDRAM(104)은 CPU(101)의 워크 에리어를 구성한다. CPU(101)는, 플래시 ROM(103)으로부터 판독한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를 SDRAM(104) 상에 전개하고 소프트웨어를 기동시켜, BD 리코더(11)의 각 부를 제어한다.
리모콘 수신부(105)는 리모콘 송신기(106)로부터 송신된 리모트 컨트롤 신호(리모콘 코드)를 수신하여 CPU(101)에 공급한다. CPU(101)는 리모콘 코드에 따라 BD 리코더(11)의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BD 리코더(11)는 유저 지시 입력부로서 리모콘 송신기(106)를 나타내고 있지만, BD 리코더(11)의 유저 지시 입력부는 그 외의 구성, 예를 들어 스위치, 휠, 근접/터치에 의하여 지시 입력을 행하는 터치 패널부, 마우스, 키보드, 카메라에서 지시 입력을 검출하는 제스처 입력부, 음성에 의하여 지시 입력을 행하는 음성 입력부 등(어느 것도 도시 생략)이어도 된다.
BD 드라이브(108)는 디스크형 기록 미디어로서의 BD 미디어(도시 생략)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이 BD 미디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 BD 드라이브(108)는 기록 매체 제어 인터페이스(107)를 통하여 내부 버스(10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HDD 드라이브(109)는 HDD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이 HDD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 HDD 드라이브(109)는 기록 매체 제어 인터페이스(107)를 통하여 내부 버스(10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SSD(118)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이 SSD(118)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 SSD(118)는 기록 매체 제어 인터페이스(107)를 통하여 내부 버스(102)에 접속되어 있다. MPEG 디코더(110)는 BD 드라이브(108), HDD 드라이브(109), 또는 SSD(118)에서 재생된 MPEG2 스트림에 대하여 디코딩 처리를 행하여 화상 및 음성의 데이터를 얻는다.
그래픽 생성 회로(111)는 MPEG 디코더(110)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의 중첩 처리 등을 행한다. 화상 출력 단자(112)는 그래픽 생성 회로(11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성 출력 단자(113)는 MPEG 디코더(110)에서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패널 구동 회로(115)는 그래픽 생성 회로(11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16)을 구동한다. 표시 제어부(114)는 그래픽스 생성 회로(111)나 패널 구동 회로(115)를 제어하여, 표시 패널(116)에 있어서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패널(116)은,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CPU(101) 외에 표시 제어부(114)를 구비하는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표시 패널(116)에 있어서의 표시를 CPU(101)가 직접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CPU(101)와 표시 제어부(114)는 하나의 칩으로 되어 있어도, 복수 코어여도 된다. 전원부(117)는 BD 리코더(11)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전원부(117)는 AC 전원이어도, 전지(축전지, 건전지)여도 된다.
HDMI 송신부(HDMI 소스)(11b)는 HDMI에 준거한 통신에 의하여 기저 대역 화상과 음성의 데이터를 HDMI 단자(11a)로부터 텔레비전 수신기(13)(싱크 기기)에 송출한다.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는 HDMI 케이블(15-1)에 포함되어 있는 소정 라인(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HPD/Ether+ 라인(35)과 리저브/Ether- 라인(37)을 사용한 1쌍의 차동 전송로로 구성되는 고속 버스 HEC 라인)을 통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HDMI 싱크 기기)측의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 간에서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쌍방향 통신로의 인터페이스이다. 이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는 내부 버스(102)와 HDMI 단자(101)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는, CPU(101)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HDMI 단자(11a)로부터 HDMI 케이블(15-1)을 통하여 상대측의 기기(HDMI 싱크 기기)에 송신한다. 또한 이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는, HDMI 케이블(15-1)로부터 HDMI 단자(11a)를 통하여 상대측의 기기(HDMI 싱크 기기)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를 CPU(101)에 공급한다.
도 4에 도시한 BD 리코더(11)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기록 시에는, 도시 생략된 디지털 튜너를 통하여, 또는 HDMI 단자(11a)로부터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를 통하여, 기록해야 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취득된다. 이 콘텐츠 데이터는 기록 매체 제어 인터페이스(107)에 입력되어, BD 드라이브(108)에 의하여 BD 미디어에 기록되거나, 또는 HDD(109)이나 SSD(118)에 기록된다.
한편, 재생 시에는, BD 드라이브(108)에 의하여 BD 미디어로부터 재생되거나, 또는 HDD 드라이브(109)나 SSD(118)로부터 재생된 콘텐츠 데이터(MPEG 스트림)는 기록 매체 제어 인터페이스(107)를 통하여 MPEG 디코더(110)에 공급된다. MPEG 디코더(110)에서는, 재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디코딩 처리가 행해져 기저 대역의 화상 및 음성의 데이터가 얻어진다. 화상 데이터는 그래픽 생성 회로(111)를 통하여 화상 출력 단자(112)로부터 외부에 출력된다. 또한 음성 데이터는 음성 출력 단자(113)로부터 외부에 출력된다.
또한 재생 시에는, MPEG 디코더(110)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가 유저 조작에 따라 그래픽 생성 회로(111)를 통하여 패널 구동 회로(115)에 공급되어, 표시 패널(116)에 재생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MPEG 디코더(110)에서 얻어진 음성 데이터가 유저 조작에 따라 도시 생략된 스피커에 공급되어, 재생 화상에 대응한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이 재생 시에, MPEG 디코더(110)에서 얻어진 화상 및 음성의 데이터를 HDMI의 TMDS 채널에서 송신하는 경우에는, 이들 화상 및 음성의 데이터는 HDMI 송신부(11b)에 공급되고 패킹되어, 이 HDMI 송신부(11b)로부터 HDMI 단자(11a)에 출력된다.
또한 BD 드라이브(108), HDD 드라이브(109), 또는 SSD(118)로부터 판독된 압축 콘텐츠 데이터를 HDMI 케이블(15-1)의 쌍방향 통신로에 송출할 때는, 당해 압축 콘텐츠 데이터는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를 통하여 HDMI 단자(11a)에 출력된다. 여기서, 압축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기 전에 저작권 보호 기술, 예를 들어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DTC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 DTCP+ 등을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나서 전송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적용한 AV 시스템에 이용 가능한 HDMI 소스 기기로서 BD 리코더(11)나 STB(12)를 예로 들었지만, BD 이외의 디스크 리코더,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 비압축 화상 데이터를 송출하는 기타 다양한 타입의 HDMI 대응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텔레비전 수신기의 구성예]
도 5에는, HDMI 싱크 기기로서의 텔레비전 수신기(13)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텔레비전 수신기(13)는, HDMI 단자(13a와 13d)와, HDMI 수신부(13b와 13e)와,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와 13f)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안테나 단자(201)와, 디지털 튜너(202)와, MPEG 디코더(203)와, 화상 신호 처리 회로(204)와, 그래픽 생성 회로(205)와, 패널 구동 회로(206)와, 표시 패널(20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208)와, 음성 증폭 회로(209)와, 스피커(210)와, 내부 버스(211)와, CPU(212)와, 플래시 ROM(213)과, SDRAM(21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3g)와, 리모콘 수신부(215)와, 리모콘 송신기(2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표시 제어부(218)와, 전원부(219)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 단자(201)는 수신 안테나(도시 생략)에서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입력하는 단자이다. 디지털 튜너(202)는 안테나 단자(201)에 입력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유저의 선택 채널에 대응한 소정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파셜 TS(Transport Stream)(화상 데이터의 TS 패킷, 음성 데이터의 TS 패킷)를 추출한다.
또한 디지털 튜너(202)는 얻어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를 취출하여 CPU(212)에 출력한다. 디지털 튜너(202)에서 얻어진 복수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임의의 채널의 파셜 TS를 추출하는 처리는, PSI/SI(PAT/PMT)로부터 당해 임의의 채널의 패킷 ID(PID)의 정보를 얻음으로써 가능해진다.
MPEG 디코더(203)는, 디지털 튜너(202)에서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의 TS 패킷에 의하여 구성되는 화상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패킷에 대하여 디코딩 처리를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또한 MPEG 디코더(203)는, 디지털 튜너(202)에서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의 TS 패킷에 의하여 구성되는 음성 PES 패킷에 대하여 디코딩 처리를 행하여 음성 데이터를 얻는다.
화상 신호 처리 회로(204) 및 그래픽 생성 회로(205)는, MPEG 디코더(203)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 또는 HDMI 수신부(13b 또는 13d)에서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스케일링 처리(해상도 변환 처리), 다이내믹 레인지 조정 처리, 그래픽 데이터의 중첩 처리 등을 행한다.
패널 구동 회로(206)는 그래픽 생성 회로(205)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화상)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07)을 구동한다. 표시 제어부(218)는 그래픽스 생성 회로(205)나 패널 구동 회로(206)를 제어하여, 표시 패널(207)에 있어서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패널(207)은, 예를 들어 LCD, 유기 EL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CPU(212) 외에 표시 제어부(218)를 구비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표시 패널(207)에 있어서의 표시를 CPU(212)가 직접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CPU(212)와 표시 제어부(218)는 하나의 칩으로 되어 있어도, 복수 코어여도 된다. 전원부(219)는 텔레비전 수신기(13)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전원부(219)는 AC 전원이어도, 전지(축전지, 건전지)여도 된다.
음성 신호 처리 회로(208)는 MPEG 디코더(203)에서 얻어진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D/A 변환 등의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음성 증폭 회로(209)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208)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10)에 공급한다. 또한 스피커(210)는 모노럴이어도, 스테레오여도 된다. 또한 스피커(210)는 1개여도 되고, 2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스피커(210)는 이어폰, 헤드폰이어도 된다. 또한 스피커(210)는 2.1채널이나 5.1채널 등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스피커(210)는 텔레비전 수신기(13)와 무선으로 접속해도 된다. 또한 스피커(210)는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외부 접속되는 다른 기기여도 된다.
CPU(212)는 텔레비전 수신기(13)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플래시 ROM(213)은 제어 소프트웨어의 저장 및 데이터의 보관을 행한다. SDRAM(214)은 CPU(212)의 워크 에리어를 구성한다. CPU(212)는, 플래시 ROM(213)으로부터 판독한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를 SDRAM(214) 상에 전개하고 소프트웨어를 기동시켜, 텔레비전 수신기(13)의 각 부를 제어한다.
리모콘 수신부(215)는 리모콘 송신기(216)로부터 송신된 리모트 컨트롤 신호(리모콘 코드)을 수신하여 CPU(212)에 공급한다. CPU(212)는 이 리모콘 코드에 기초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의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유저 지시 입력부로서 리모트 컨트롤부를 도시하고 있지만, 텔레비전 수신기(13)의 유저 지시 입력부는 그 외의 구성, 예를 들어 근접/터치에 의하여 지시 입력을 행하는 터치 패널부, 마우스, 키보드, 카메라에서 지시 입력을 검출하는 제스처 입력부, 음성에 의하여 지시 입력을 행하는 음성 입력부(어느 것도 도시 생략) 등이어도 된다.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와 13f), CPU(212), 플래시 ROM(213), SDRAM(214),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3g), MPEG 디코더(203) 및 표시 제어부(218)는 내부 버스(21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와 HDMI 수신부(13b)는 HDMI 단자(13a)에 접속되고,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f)와 HDMI 수신부(13e)는 HDMI 단자(13d)에 접속되어 있다.
HDMI 수신부(HDMI 싱크)(13b와 13e)는 HDMI에 준거한 통신에 의하여, HDMI 케이블(15-1, 15-2)을 통하여 HDMI 단자(13a와 13d)에 공급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와 13f)는 상술한 BD 리코더(11)의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와 마찬가지로, HDMI 케이블(15-1, 15-2)에 포함되어 있는 소정 라인(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HPD/Ether+ 라인(35)과 리저브/Ether- 라인(37)을 사용한 1쌍의 차동 전송로로 구성되는 고속 버스(HEC 라인)을 통하여, BD 리코더(11)와 STB(12)측의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1c와 12c) 각각과의 사이에서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쌍방향 통신로의 인터페이스이다. 이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와 13f)는 내부 버스(211)와 HDMI 단자(13a 또는 13d)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와 13f)는 CPU(212)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HDMI 단자(13a 또는 13d)로부터 HDMI 케이블(15-1, 15-2)을 통하여 상대측의 기기(HDMI 소스 기기)에 송신한다. 또한 이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와 13f)는 HDMI 케이블(15-1, 15-2)로부터 HDMI 단자(13a 또는 13d)를 통하여 상대측의 기기(HDMI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한 전송 데이터를 CPU(212)에 공급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신한 압축 콘텐츠 데이터를 HDMI 케이블(15-1, 15-2)의 쌍방향 통신로를 통하여 송수신할 때는, 당해 압축 콘텐츠 데이터는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 또는 13f)를 통하여 HDMI 단자(13a 또는 13d)에서 입출력된다. 여기서, 압축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기 전에 저작권 보호 기술, 예를 들어 HDCP, DTCP, DTCP+ 등을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나서 전송해도 된다.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3g)는 내부 버스(102)를 통하여 CPU(101)와 외부 기기와의 와이어리스 통신을 행한다.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3g)는, 예를 들어 Wi-Fi(등록 상표)(Wireless Fidelity), Bluetooth(등록 상표) 통신이나 BLE(Bluetooth(등록 상표) Low Energy) 통신 등의 와이어리스 통신 규격에 준하여 와이어리스 통신을 행한다. 도 1에 도시한 AV 시스템(10)의 구성예에서는, 외부 기기로서 휴대 단말기(14)를 상정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DLNA용의 와이어리스 통신을 행한다.
도 5에 도시하는 텔레비전 수신기(13)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안테나 단자(201)에 입력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디지털 튜너(202)에 공급된다. 이 디지털 튜너(202)에서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유저의 선택 채널에 대응한 소정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출력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파셜 TS(화상 데이터의 TS 패킷, 음성 데이터의 TS 패킷)가 추출되며, 당해 파셜 TS는 MPEG 디코더(203)에 공급된다.
MPEG 디코더(203)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TS 패킷에 의하여 구성되는 화상 PES 패킷에 대하여 디코딩 처리가 행해져 화상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 화상 데이터는 화상 신호 처리 회로(204) 및 그래픽 생성 회로(205)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스케일링 처리(해상도 변환 처리), 다이내믹 레인지 조정 처리, 그래픽 데이터의 중첩 처리 등이 행해진 후에 패널 구동 회로(206)에 공급된다. 그 때문에, 표시 패널(207)에는 유저의 선택 채널에 대응한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MPEG 디코더(203)에서는, 음성 데이터의 TS 패킷에 의하여 구성되는 음성 PES 패킷에 대하여 디코딩 처리가 행해져 음성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 음성 데이터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208)에서 D/A 변환 등의 필요한 처리가 행해지고, 추가로 음성 증폭 회로(209)에서 증폭된 후에 스피커(210)에 공급된다. 그 때문에, 스피커(210)로부터, 유저의 선택 채널에 대응한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HDMI 단자(13a 또는 13d)로부터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 또는 13f)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 콘텐츠 데이터는 내부 버스(211)를 경유하여 MPEG 디코더(203)에 공급된다. 이후에는 상술한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수신 시와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되어, 표시 패널(207)에 화상이 표시되고 스피커(210)로부터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HDMI 수신부(13b 또는 13e)에서는, HDMI 단자(13a 또는 13d)에 HDMI 케이블(15-1, 15-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BD 리코더(11)나 STB(12) 등의 HDMI 소스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가 취득된다. 화상 데이터는 화상 신호 처리 회로(204)에 공급된다. 또한 음성 데이터는 직접 음성 신호 처리 회로(208)에 공급된다. 이후에는 상술한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수신 시와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되어, 표시 패널(207)에 화상이 표시되고 스피커(210)로부터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적용한 AV 시스템에 이용 가능한 HDMI 싱크 기기로서 텔레비전 수신기(13)를 예로 들었지만, 프로젝터나 퍼스널 컴퓨터 등, 비압축 화상 데이터를 표시 출력하는 기타 다양한 타입의 HDMI 대응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구성예]
휴대 단말기(14)는, 예를 들어 DLNA의 3-Box System에 있어서의 DMC로서 동작한다. 도 6에는 휴대 단말기(14)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휴대 단말기(14)는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4a)와 공중 회선망 송수신부(3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휴대 단말기(14)는, CPU(301)와, 내부 버스(302)와, 플래시 ROM(303)과, SDRAM(304)과, 음성 처리부(305)와, 스피커(312)와, 음성 입력 마이크(313)를 갖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4)는, 표시 제어부(307)와, 그래픽 생성 회로(308)와, 패널 구동 회로(309)와, 표시 패널(310)과, 입력부(311)와, 전원부(314)를 구비하고 있다.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4a), CPU(301), 플래시 ROM(303), SDRAM(304), 음성 처리부(305), 공중 회선망 송수신부(306), 표시 제어부(307) 및 입력부(311)는 내부 버스(302)에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휴대 단말기(14)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플래시 ROM(303)은 제어 소프트웨어의 저장 및 데이터의 보관을 행한다. SDRAM(304)은 CPU(301)의 워크 에리어를 구성한다. CPU(301)는 플래시 ROM(303)으로부터 판독한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를 SDRAM(304) 상에 전개하고 소프트웨어를 기동시켜, 휴대 단말기(14)의 각 부를 제어한다.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4a)는 내부 버스(302)를 통하여 CPU(301)와 외부 기기와의 와이어리스 통신을 행한다.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4a)는, 예를 들어 Wi-Fi(등록 상표)(Wireless Fidelity), Bluetooth(등록 상표) 통신이나 BLE(Bluetooth(등록 상표) Low Energy) 통신 등의 와이어리스 통신 규격에 준하여 와이어리스 통신을 행한다. 도 1에 도시한 AV 시스템(10)의 구성예에서는, 외부 기기로서 텔레비전 수신기(13)를 상정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DLNA용의 와이어리스 통신을 행한다.
공중 회선망 송수신부(306)는 내부 버스(302)를 통하여 CPU(301)와 공중 회선망과의 통신을 행한다. 음성 처리부(305)는 CPU(30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312)에 출력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306)는 마이크(313)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처리하여 음성 데이터를 CPU(301)에 출력한다.
그래픽 생성 회로(308)는 CPU(301)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의 중첩 처리 등을 행한다. 패널 구동 회로(309)는 그래픽 생성 회로(308)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310)을 구동한다. 표시 제어부(307)는 그래픽스 생성 회로(308)나 패널 구동 회로(309)를 제어하여, 표시 패널(310)에 있어서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패널(310)은, 예를 들어 LCD, 유기 EL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310)은 터치 패널에 의한 유저 입력이 가능하다. 입력부(311)에서 터치 패널에 의한 유저 입력을 검출하고 내부 버스(302)를 통하여 CPU(301)에 공급하여, 휴대 단말기(14)의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유저 지시 입력부로서 입력부(311)을 나타내고 있지만, 휴대 단말기(14)의 유저 지시 입력부는 그 외의 구성, 예를 들어 스위치, 휠, 카메라에서 지시 입력을 검출하는 제스처 입력부, 음성에 의하여 지시 입력을 행하는 음성 입력부 등이어도 된다.
또한 도 6에서는, CPU(301) 외에 표시 제어부(307)를 갖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표시 패널(310)에 있어서의 표시를 CPU(301)가 직접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CPU(301)와 표시 제어부(307)는 하나의 칩으로 되어 있어도, 복수 코어여도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307)와 그래픽 생성 회로(308)는 하나의 칩으로 되어 있어도, 복수 코어여도 된다. 전원부(314)는 휴대 단말기(14)의 각 부에 축전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한다.
도 6에 도시하는 휴대 단말기(14)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음성 통신 시에는, 공중 회선망 송수신부(306)에서 취득한 음성 데이터는 내부 버스(302)를 통하여 음성 처리부(305)에 공급된다. 음성 처리부(305)에서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디코딩 처리가 행해져 기저 대역의 음성이 얻어져, 스피커(312)로부터 음성 출력된다. 또한 마이크(313)로부터 입력된 음성은, 음성 처리부(305)에서 음성 데이터에 인코드 처리가 행해져, 내부 버스(302)를 통하여 공중 회선망 송수신부(306)에 출력된다.
또한 데이터 통신 시에는, 공중 회선망 송수신부(306)에서 취득한 데이터는 내부 버스(302)를 통하여 SDRAM(304)에 기억된다. CPU(301)는 기억된 데이터를 표시 화면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여 표시 제어부(307)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307)는 화면 데이터를 그래픽 생성 회로(308)를 경유하여 패널 구동 회로(309)에 공급하여, 표시 패널(310)에 데이터 통신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표시 패널(310)에 표시된 화면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입력부(311)는 화면 제어 정보를 내부 버스(302)를 경유하여 CPU(301)에 공급한다.
또한 HDMI 소스 기기의 제어 시에는, 휴대 단말기(14)는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4a)와 와이어리스 전송로(16)를 통하여 콘텐츠 리스트 등의 데이터 전송 요구를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한다. 텔레비전 수신기(13)로부터의 콘텐츠 리스트 등의 관련 정보와 부가 정보는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4a)에서 수신되어, 상기 데이터 통신 시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표시 패널(310)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 패널(310)에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 등의 정보 화면을 조작한다. 그리고 화면 상에서 HDMI 소스 기기의 콘텐츠가 선택되었을 때는, 입력부(311)는 해당하는 콘텐츠의 관련 정보와 부가 정보를 검출하여 CPU(301)에 출력한다. CPU(301)는 HDMI 소스 기기의 콘텐츠 제어 요구를 생성하여, 와이어리스 송수신부(14a)를 통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적용한 AV 시스템에 이용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 전자 서적, 노트북 컴퓨터 등, 와이어리스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기기를 들 수 있다.
[EDID의 데이터 구조예]
텔레비전 수신기(13) 내의 HDMI 수신부(13b)가 EDID ROM에 텔레비전 수신기(13) 자신의 성능 정보인 E-EDID를 기억하고 있음은 이미 설명하였다. 도 7에는 E-EDID의 데이터 구조예(700)를 나타내고 있다. 이 E-EDID(700)는 기본 블록(710)과 확장 블록(720)으로 구성된다.
기본 블록(710)의 선두에는, "E-EDID1.3 Basic Structure"로 표시되는 E-EDID1.3의 규격에서 정해진 데이터(711)가 배치되고, 계속해서 "Preferred timing"으로 표시되는 종래의 EDID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타이밍 정보(712), 및 "2nd timing"으로 표시되는 종래의 EDID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Preferred timing"과는 상이한 타이밍 정보(7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본 블록(710)에는 "2nd timing"에 이어서, "Monitor NAME"으로 표시되는 표시 장치의 이름을 나타내는 정보(714), 및 "Monitor Range Limits"로 표시되는, 애스펙트비가 4:3 및 16:9인 경우에 관한 표시 가능한 화소 수를 나타내는 정보(715)가 차례대로 배치되어 있다.
확장 블록(720)의 선두에는, "Short Video Descriptor"로 표시되는, 표시 가능한 화상 크기(해상도)(721), 프레임 레이트, 인터레이스인지 프로그레시브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애스펙트비 등의 정보가 기술된 데이터, "Short Audio Descriptor"로 표시되는, 재생 가능한 음성 코덱 방식, 샘플링 주파수, 컷오프 대역, 코덱 비트 수 등의 정보(722)가 기술된 데이터, 및 "Speaker Allocation"으로 표시되는 좌우의 스피커에 관한 정보(723)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확장 블록(720)에는 "Speaker Allocation"에 이어서, "Vender Specific"으로 표시되는 메이커마다 고유하게 정의된 데이터 블록(VSDB)(724), "3rd timing"으로 표시되는 종래의 EDID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타이밍 정보(725), 및 "4th timing"으로 표시되는 종래의 EDID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타이밍 정보(726)가 배치되어 있다.
[VendorSpecificDataBlock(VSDB) 영역의 데이터 구조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VSDB 영역에,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기억하기 위하여 확장하는 데이터 에리어를 정의한다. 도 8에는 VSDB 영역의 데이터 구조예(800)를 나타내고 있다. 이 VSDB 영역에는 1바이트의 블록인 제0 블록 내지 제N 블록이 형성되어 있다.
제8 바이트의 제4 비트 및 이미 정의된 제0 바이트 내지 제13 바이트에 이어지는 제14 바이트에, 싱크 기기(본 실시 형태에서는 텔레비전 수신기(13))가 기억해 두어야 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의 데이터 영역이 정의된다.
먼저, 제0 바이트 내지 제8 바이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Vender Specific"으로 표시되는 데이터의 선두에 배치된 제0 바이트에는, "Vendor-Specific tag code(=3)"로 표시되는 데이터 영역을 나타내는 헤더 및 "Length(=N)"로 표시되는 VSDB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배치된다. 또한 제1 바이트 내지 제3 바이트에는, "24bit IEEE Registration Identifier(0x000C03) LSB first"로 표시되는 HDMI용으로서 등록된 번호 "0x000C03"을 나타내는 정보가 배치된다.
또한 제4 바이트 및 제5 바이트에는, "A", "B", "C" 및 "D" 각각에 의하여 표시되는, 24bit의 싱크 기기의 물리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배치된다. 제6 바이트에는, "Supports-AI"로 표시되는 싱크 기기가 대응하고 있는 기능을 나타내는 플래그, "DC-48bit", "DC-36bit" 및 "DC-30bit"의 각각으로 표시되는 1픽셀당 비트 수를 지정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각 플래그, "DC-Y444"로 표시되는, 싱크 기기가 YCbCr 4:4:4의 화상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DVI-Dual"로 표시되는, 싱크 기기가 듀얼 DVI(Digital Visual Interface)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7 바이트에는, "Max-TMDS-Clock"으로 표시되는 TMDS의 픽셀 클럭의 최대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배치된다. 제8 바이트에는, Latency 필드의 존재를 지정하는 정보, Interlace Latency 필드의 존재를 지정하는 정보,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확장 존재를 지정하는 정보, 콘텐츠 타입(CNC)의 기능의 대응을 지정하는 정보의 플래그 CNC3 내지 CNC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8 바이트의 제4 비트에, 싱크 기기가 대응하는 상기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의 확장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의 플래그(List_Query_Extension)가 신규로 배치된다. 이 플래그가 True인 경우에는, 제14 바이트에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14 바이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4 바이트의 제7 비트 내지 제5 비트에는, 당해 HDMI 싱크 기기(본 실시 형태에서는 텔레비전 수신기(13))가 대응하고 있는 상기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인 3가지의 대응 전송 방식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입된다. 제14 바이트의 제4 비트 내지 제0 비트는, 이 이외의 방식이 제안되었을 경우에 할당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한 예로서, 제7 비트가 True인 경우에는, 당해 HDMI 싱크 기기는 CEC 라인(34)에 의한 상기 관련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제6 비트가 True인 경우에는, 당해 HDMI 싱크 기기는 TMDS 전송 데이터 중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25)(또는 컨트롤 구간(26))에 삽입되는 VSIF(Vendor Specific InfoFrame)에 의한 상기 관련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제5 비트가 True인 경우에는, 당해 HDMI 싱크 기기는 HEC 라인(고속 버스 인터페이스(13c와 13f))에 의한 상기 관련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VSDB 영역을 이용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기억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단, E-EDID의 데이터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VCDB(Video Capability Data Block)와 같이 이 이외의 데이터 영역에서도 실현 가능하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VSDB 영역을 이용하여 기억시키는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AV 시스템(10)에 있어서, BD 리코더(소스 기기)(11)의 CPU(101)는, HPD 라인(35)(도 2을 참조)에서 텔레비전 수신기(싱크 기기)(13)의 접속을 확인한다. 그 후, BD 리코더(11)의 CPU(101)는, DDC(33)(도 2를 참조)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로부터 E-EDID에 포함되어 있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판독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가 대응하는 상기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을 인식한다.
도 1에 도시한 AV 시스템(10)에 있어서, BD 리코더(11)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전송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신기(13)로부터 판독한 상기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가 대응 가능한 상기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중 어느 한 전송 방식을 선택하여, 상기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그때, BD 리코더(11)는 텔레비전 수신기(13)에, 현재 전송하고 있는 상기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에 관한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
BD 리코더(11)는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에, 현재 전송하고 있는 상기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관련 정보와 함께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BD 리코더(11)는, 예를 들어 HDMI의 Vendor Specific InfoFrame(이후, 「VSIF」라 칭함) 패킷 등을 사용하여, 현재 전송하고 있는 상기 관련 정보를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에 삽입한다. VSIF 패킷은 상술한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25)(또는 컨트롤 구간(26))(도 3을 참조)에 배치된다.
또는 BD 리코더(11)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그 전송 방식에 관한 정보를, CEC 라인(34)이나 HPD/Ether+ 라인(35)과 리저브/Ether- 라인(37)을 사용한 1쌍의 차동 전송로로 구성되는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HEC 라인)를 통하여, IP 패킷으로서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할 수 있다.
[VSIF 패킷의 데이터 구조예]
도 9에는 VSIF 패킷(900)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고 있다. HDMI에서는, 이 VSIF 패킷에 의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HDMI 소스 기기로부터 HDMI 싱크 기기에 전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VSIF 패킷(900)의 제0 바이트에 데이터의 체크 섬이 정의되어 있다. 제1 바이트 내지 제3 바이트에는, "24bit IEEE Registration Identifier(0x000C03) LSB first"로 표시되는 HDMI용으로서 등록된 번호 "0x000C03"을 나타내는 정보가 배치된다.
제4 바이트의 제0 비트에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가 VSIF 패킷으로 전송될지의 여부의 정보가 지정된다. 제0 비트가 하이 레벨 「1」로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VSIFF 패킷에 의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나타낸다. 제0 비트가 로우 레벨 「0」으로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VSIF 패킷으로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는 전송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제4 바이트의 제0 비트가 하이 레벨 「1」로 지정되어, VSIF 패킷에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 제6 바이트 이후에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가 지정된다. 이 경우, 제6 바이트는, "Number of Content(N)"로 표시되는, 전송되는 비압축 영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총 수가 지정된다. 제7 바이트는, "Length#1(=L)"로 표시되는, 전송되는 제1 번째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바이트 수가 지정된다. 제8 바이트와 제9 바이트는, "Duration#1(min)"로 표시되는, 전송되는 제1 번째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연주 시간이 지정된다. 제10 바이트 내지 제8+L 바이트는, "Title#1"로 표시되는, 전송되는 제1 번째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타이틀이 지정된다. 또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로서, 콘텐츠의 섬네일 등 기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이후의 바이트는, 전송되는 제1 번째의 비압축 영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총수 N-1회만큼 반복되며, 각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바이트 수, 연주 시간, 타이틀이 각각 지정된다.
[IP 패킷의 데이터 구조예]
도 10에는,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HEC 라인)에서 사용되는 IP 패킷의 데이터 구조예(1000)를 나타내고 있다. HDMI에서는, 이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IP 패킷에 의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HDMI 소스 기기로부터 HDMI 싱크 기기에 전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 윗쪽에 나타낸 바와 같이, IP 패킷(1000)은, 26옥텟의 MAC 헤더(1010)와, 가변 길이의 데이터 영역(1020)으로 구성된다. MAC 헤더(1010)는, 7옥텟의 프리앰블부(1011)와, 1옥텟의 SFD(Start Frame Delimiter)(1012)와, 6옥텟의 전송처의 MAC 어드레스(1013)와, 6옥텟의 전송원의 MAC 어드레스(1014)와, 2옥텟의 TPID(Tag Protocol Identifier)(1015)와, 2옥텟의 TCI(Tag Control Information)(1016)와, 2옥텟의 데이터 길이 형식(Len Type)(1017)으로 구성되어 있다. MAC 헤더(1010)에 이어서, 42옥텟 내지 1500옥텟의 페이로드부(1021)와 4옥텟의 FCS(Frame Check Sequence)(1022)로 데이터 영역(1020)이 구성되어 있다.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는 IP 패킷(1000)의 페이로드부(1021)에 삽입되며, 상술한 VSIF 패킷에서의 전송 데이터 구조와 동일한 형식으로 되어 있다. 도 10 아래쪽에는, 페이로드부(1021)에 삽입되는 관련 정보의 데이터 구조예(1030)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바이트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id)가 설정된다. 다음으로, 전송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총수-1(number_Content_minus 1)이 설정된다. 계속해서, number_Content_minus 1의 수만큼 루프가 반복되며, 각 루프 내는 데이터 길이(length)와 콘텐츠의 연주 시간 정보(Duration)와 타이틀(Title)로 구성되어,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구성한다. 또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로서, 콘텐츠의 섬네일 등 기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CEC 패킷의 데이터 구조예]
도 11에는, CEC 라인(34)에서 사용되는 CEC 패킷(1100)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고 있다. CEC 라인(34)은 전송 레이트가 낮지만,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HDMI 소스 기기로부터 HDMI 싱크 기기에 전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 윗쪽에 나타낸 바와 같이, CEC 패킷(1100)은, 10비트 길이의 CEC 헤더(1110)와, CEC 데이터(1120)로 구성된다. CEC 헤더(1110)는, "Initiator"로 표시되는 4비트의 전송원의 CEC 어드레스(1111)와, "Destination"로 표시되는 4비트의 전송처의 CEC 어드레스(1112)와, 1비트의 EOM(End Of Message)(1113)과, 1비트의 ACK(Acknowledge)(1114)로 구성되어 있다. CEC 헤더(1110)에서 이어지는 CEC 데이터(1120)는, 1바이트의 제어 코드(Opecode)(1121)와 최대 14바이트의 제어 데이터부(Operand)(1122)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 아래쪽에는 HDMI CEC 커맨드의 확장예(1130)를 나타내고 있다. CEC의 제어 코드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 전송 요구 커맨드로서 제어 코드 "0xC8"을, 전송 요구 커맨드에의 리스펀스로서 제어 코드 "0xC9"를 각각 신규로 할당한다. 리스펀스 커맨드는 제어 코드 "0xC9"의 후의 제어 데이터부(1122)이며, 1콘텐츠마다 연주 시간 정보(Duration)와 타이틀(Title)을 최대 255바이트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생략했지만,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로서, 콘텐츠의 섬네일 등 기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단, CEC 패킷의 제어 데이터부(1122)는 최대 14바이트 길이이므로(상술), 14바이트를 초과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EOM 비트를 이용하여, 연속하는 제어 데이터부(1122)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EOM 비트가 「0」일 때는, 연속하는 데이터 블록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EOM 비트가 「1」일 때는, 데이터 블록의 전송이 완료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여, EOM 비트를 사용함으로써 CEC 패킷(1100)을 사용하여 14바이트를 초과하는 데이터 블록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1회의 전송 요구 커맨드로 1개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자 할 때는, 전송 요구 커맨드를 반복하여 전송함으로써, 취득이 가능해진다. 전송 요구 커맨드에 대하여, 리스펀스 커맨드가 "Abort"의 제어 데이터부(1122)를 반송했을 때, 수신하는 HDMI 싱크 기기측에서는, 더 이상의 관련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전송 요구 처리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CEC 라인(34)에서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 취득을 위해, 전송 방식 정보 요구 커맨드로서 제어 코드 "0xCA"을, 그 커맨드의 리스펀스로서 제어 코드 "0xCB"을 각각 신규로 할당한다. 전송 방식 정보 요구 커맨드를 송신하는 경우, 제어 데이터부(1122)의 제1 비트 내지 제0 비트에,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3가지 전송 방식 중 어느 것이 선택되어 있는지의 정보가 지정된다. 제1 비트 내지 제0 비트가 "0b11"로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HEC 라인)에 의한 관련 정보의 전송을 나타낸다. 제1 비트 내지 제0 비트가 "0b10"로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25)(또는 컨트롤 구간(26)) VSIF 패킷에 의한 관련 정보의 전송을 나타낸다. 제1 비트 내지 제0 비트가 "0b01"로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CEC 라인(34)을 사용한 CEC 패킷에 의한 관련 정보의 전송을 나타낸다. 제1 비트 내지 제0 비트가 "0b00"로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는 전송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제7 비트 내지 제2 비트는, 이 이외의 방식이 제안되었을 경우에 할당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VSIF 패킷을 사용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AV(Auxiliary Video) InfoFrame과 같이 이 이외의 데이터·패킷으로도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이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관련 정보 및 부가 정보의 데이터 구조예]
본 실시 형태에 따른 AV 시스템(10)에서는, 텔레비전 수신기(13) 등의 HDMI 싱크 기기는, BD 리코더(11) 등의 HDMI 소스 기기로부터 수취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부가 정보를 더 부가하여 휴대 단말기(14)에 전송한다.
도 12에는, HDMI 소스 기기로부터 HDMI 싱크 기기에 전송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HDMI 싱크 기기에서 취득한 부가 정보를 부가하여 콘텐츠 정보를 구성하여, 휴대 단말기(14)에 전송하는 데이터 구조(1200)를 나타내고 있다. HDMI 싱크 기기로부터 휴대 단말기(14)에의 전송 패킷으로는 IP 패킷을 이용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는, 도 10에 나타낸 IP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삽입된다.
제1 바이트는, 콘텐츠 정보의 패킷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id)가 설정된다. 다음으로, 전송되는 콘텐츠 정보의 총수-1(number_Content_minus 1)이 설정된다. 계속해서, number_Content_minus 1의 수만큼 루프가 반복되며, 각 루프 내에는 콘텐츠 정보가 저장된다. 콘텐츠 정보는, 데이터 길이(length), 콘텐츠의 연주 시간 정보(Duration), 취득한 HDMI 소스 기기의 CEC 어드레스(CEC_address), HDMI 싱크 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HDMI 단자 번호(HDMI_terminal_number) 및 HDMI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확장자(.hdmi)(또는 확장자와 HDMI 콘텐츠를 나타내는 순차 번호 중 적어도 한쪽)를 부가한 타이틀(Titl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로 구성되어,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구성한다. 또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로서, 콘텐츠의 섬네일 등 기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휴대 단말기(14)의 브라우저에서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때, 텔레비전 수신기(13)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정보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기술되며, HTML5로 확장된 <video> 태그를 이용한다. HTML 태그의 기술예를 이하에 표시하여 둔다. 콘텐츠를 나타내는 <source> 태그 내에 CEC 어드레스와 HDMI 단자 번호의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신기(13)에서의 콘텐츠 선택이 용이해진다.
<video>
<source src="title.hdmi" cec="0x02" port="1">
</video>
[기기 접속 시의 HDMI 소스 기기의 처리예]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한 AV 시스템(10)에 있어서, BD 리코더(HDMI 소스 기기)(11)가 텔레비전 수신기(HDMI 싱크 기기)(13)의 접속 시에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도 13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BD 리코더(11)는 스텝 ST1에 있어서 처리를 개시하고, 그 후에 스텝 ST2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2에 있어서, BD 리코더(11)는 HPD 신호가 하이 레벨 「H」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HPD 신호가 하이 레벨 「H」에 없을 때(스텝 ST2의 "아니오"), BD 리코더(11)에 텔레비전 수신기(싱크 기기)(13)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때, BD 리코더(11)는 곧바로 스텝 ST9로 진행하여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HPD 신호가 하이 레벨 「H」에 있을 때(스텝 ST2의 "예"), BD 리코더(11)는 스텝 ST3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의 HDMI 수신부(13b) 내의 EDID ROM으로부터 E-EDID를 판독한다. 그리고 BD 리코더(11)는 스텝 ST4에 있어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E-EDID에 전송 방식 정보가 없을 때(스텝 ST4의 "아니오"), BD 리코더(11)는 스텝 ST8에 있어서, VSIF 패킷 또는 CEC에 비전송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설정하고, 그 후에 스텝 ST9로 진행하여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여기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비전송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설정이란, VSIF 패킷(도 9을 참조)의 제4 바이트의 제1 비트와 제0 비트를 로우 레벨 「L」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CEC 패킷(도 11을 참조)의 리스펀스 커맨드 "0xCB"의 Operand 바이트를 로우 레벨 「L」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E-EDID에 전송 방식 정보가 있는 경우(스텝 ST4의 "예"), BD 리코더(11)는 스텝 ST5에 있어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그리고 BD 리코더(11)는 스텝 ST6에 있어서, HDMI 싱크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HDMI 싱크 기기로부터 전송 요구가 없을 때(스텝 ST6의 "아니오"), BD 리코더(11)는 스텝 ST6으로 복귀된다.
HDMI 싱크 기기로부터 전송 요구가 있을 때(스텝 ST6의 "예"), BD 리코더(11)는 스텝 ST7에 있어서, 스텝 ST4에서 수신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CEC 패킷 또는 VSIF 패킷 또는 IP 패킷 중 어느 하나에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요구원의 HDMI 싱크 기기에 송신하고, 그 후에 스텝 ST9로 진행하여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HDMI 소스 기기에서의 관련 정보 전송 방식 결정의 처리예]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에 있어서, BD 리코더(HDMI 소스 기기)(11)에 있어서의 관련 정보 전송 방식의 결정 처리(도 13 중의 스텝 ST5의 처리)에 대하여, 도 14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관련 정보 전송 방식 결정의 처리는, 예를 들어 CPU(101)가 중심으로 되어 실시한다.
BD 리코더(11)는 스텝 ST11에 있어서 처리를 개시하고, 그 후에 스텝 ST12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12에 있어서, BD 리코더(11)는 텔레비전 수신기(HDMI 싱크 기기)(13)의 VSDB 영역의 제14 바이트의 제5 비트가 하이 레벨 「H」에 있는지의 여부, 즉, HDMI 싱크 기기는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HEC 라인)에 의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8을 참조). 제14 바이트의 제5 비트가 하이 레벨 「H」에 없을 때(스텝 ST12의 "아니오"), BD 리코더(11)는 스텝 ST15로 진행한다.
제14 바이트의 제5 비트가 하이 레벨 「H」에 있을 때(스텝 ST12의 "예"), BD 리코더(11)는 스텝 ST13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13에 있어서, BD 리코더(11)는 자신이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에 대응하고 있지 않을 때(스텝 ST13의 "아니오"), 다음 스텝 ST15로 진행한다.
BD 리코더(11)는 자신이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에 대응하고 있을 때(스텝 ST13의 "예"), 다음 스텝 ST14로 진행한다. BD 리코더(11)는 스텝 ST14에 있어서,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IP 패킷에, 전송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설정하고, VSIF 패킷 또는 CEC 패킷의 소정의 비트를 하이 레벨 「H」로 설정하고, 다음 스텝 ST22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BD 리코더(11)는 스텝 ST15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싱크 기기)(13)의 VSDB 영역의 제14 바이트의 제6 비트가 하이 레벨 「H」에 있는지의 여부, 즉, HDMI 싱크 기기는 VSIF에 의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14 바이트의 제6 비트가 하이 레벨 「H」에 없을 때(스텝 ST15의 "아니오"), BD 리코더(11)는 스텝 ST18로 진행한다.
스텝 ST15에서 제14 바이트의 제6 비트가 하이 레벨 「H」에 있을 때, BD 리코더(11)는 스텝 ST16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16에 있어서, BD 리코더(11)는 자신이 VSIF 패킷에 의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VSIF 패킷에 의한 전송에 대응하고 있지 않을 때(스텝 ST16의 "아니오"), 다음 스텝 ST18로 진행한다.
BD 리코더(11)는 자신이 VSIF 패킷에 의한 전송에 대응하고 있을 때, 다음 스텝 ST17로 진행한다. BD 리코더(11)는 스텝 ST17에 있어서, VSIF 패킷의 소정의 바이트에, 전송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설정하고, VSIF 패킷 또는 CEC 패킷의 소정의 비트를 하이 레벨 「H」로 설정하고, 스텝 ST22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BD 리코더(11)는 스텝 ST18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싱크 기기)(13)의 VSDB 영역의 제14 바이트의 제7 비트가 하이 레벨 「H」에 있는지의 여부, 즉, HDMI 싱크 기기는 CEC 패킷에 의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14 바이트의 제7 비트가 하이 레벨 「H」에 없을 때(스텝 ST18의 "아니오"), BD 리코더(11)는 다음 스텝 ST20으로 진행한다.
스텝 ST18에서, 제14 바이트의 제7 비트가 하이 레벨 「H」에 있을 때, BD 리코더(11)는 스텝 ST19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19에 있어서, BD 리코더(11)는 자신이 CEC 패킷에 의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EC 패킷에 의한 전송에 대응하고 있지 않을 때(스텝 ST19의 "아니오"), 다음 스텝 ST20으로 진행한다.
BD 리코더(11)는 자신이 CEC 패킷에 의한 전송에 대응하고 있을 때(스텝 ST19의 "예"), 다음 스텝 ST21로 진행한다. BD 리코더(11)는 스텝 ST21에 있어서, CEC 패킷의 소정의 바이트에, 전송하는 비압축 영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설정하고, CEC 패킷의 소정의 비트를 하이 레벨 「H」로 설정하고, 스텝 ST22로 진행하여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BD 리코더(11)는 스텝 ST20에 있어서, 어느 전송 방식에도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VSIF 패킷 및 CEC 패킷의 소정의 비트를 로우 레벨 「L」로 설정하고, 스텝 ST22로 진행하여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HDMI 싱크 기기의 처리예]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HDMI 싱크 기기)(13)에 있어서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처리에 대하여, 도 15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스텝 ST31에 있어서 처리를 개시하고, 그 후에 스텝 ST32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32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HPD35가 하이 레벨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HPD35가 로우 레벨 「0」일 때(스텝 ST32의 "아니오"), BD 리코더(HDMI 소스 기기)(1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스텝 ST39로 진행하여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HPD35가 하이 레벨 「1」일 때(스텝 ST32의 "예"), BD 리코더(HDMI 소스 기기)(11)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텔레비전 수신기(13)는 다음 스텝 ST33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33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CEC 라인(34)을 사용하여(CEC 라인(34)으로 전송 방식 정보 요구 커맨드를 송신하여), BD 리코더(HDMI 소스 기기)(11)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결정된 전송 방식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스텝 ST34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34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판독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전송로를 사용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요구를 송신하고, 다음 스텝 ST35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35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BD 리코더(HDMI 소스 기기)(11)로부터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스텝 ST35의 "아니오"), 스텝 ST35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BD 리코더(HDMI 소스 기기)(11)로부터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스텝 ST35의 "예"), 텔레비전 수신기(13)는 다음 스텝 ST36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36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수신한 관련 정보에, 자신에서 취득한 부가 정보를 부가하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다음 스텝 ST37의 처리로 이행한다.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예를 들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화한 콘텐츠 정보를 생성한다.
이 스텝 ST37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콘텐츠 정보의 전송 요구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스텝 ST37의 "아니오"), 스텝 ST37의 처리를 반복한다.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콘텐츠 정보의 전송 요구를 수신할 수 있었는 경우에는(스텝 ST37의 "예"), 텔레비전 수신기(13)는 다음 스텝 ST38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38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스텝 ST36에서 생성한(XML화한) 콘텐츠 정보를 휴대 단말기(14)에 송신하고, 스텝 ST39로 진행하여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HDMI 싱크 기기의 콘텐츠 조작 처리예]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싱크 기기)(13)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콘텐츠 조작이 행해졌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도 16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스텝 ST41에 있어서 처리를 개시하고, 그 후에 스텝 ST42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42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휴대 단말기(14)가 와이어리스 전송로(16)로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휴대 단말기(14)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T42의 "아니오"),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콘텐츠 제어는 없다고 판단하고, 그 후, 스텝 ST47로 진행하여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스텝 ST42에서 휴대 단말기(14)가 와이어리스 전송로(16)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텔레비전 수신기(13)는 다음 스텝 ST43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 ST43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콘텐츠 제어 정보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T43의 "아니오"),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스텝 ST43으로 진행하여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T43에서 콘텐츠 제어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텔레비전 수신기(13)는 다음 스텝 ST44로 진행한다. 이 스텝 ST44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콘텐츠 제어 정보를 취득하고, 다음 스텝 ST45로 진행한다. 콘텐츠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XML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스텝 ST45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콘텐츠 제어 정보 중에서 CEC 어드레스를 추출하여 CEC 커맨드의 헤더에 설정하고, HDMI 단자(13a와 13d)의 CEC 라인(34)에 콘텐츠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다음 스텝 ST46으로 진행한다.
스텝 ST46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콘텐츠 제어 정보 중에서 HDMI 단자 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그 단자 번호에 기초하여 HDMI 입력 단자로 입력을 전환한다. 그 후, 스텝 ST47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휴대 단말기의 처리예]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한 AV 시스템(10)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4)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관련 정보의 처리에 대하여, 도 17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14)는, 예를 들어 DLNA의 3-Box System에 있어서의 DMC로서 동작한다.
휴대 단말기(14)는 스텝 ST50에 있어서 처리를 개시하고, 그 후에 스텝 ST51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51에 이어서, 휴대 단말기(14)는 자신의 주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주전원이 오프인 경우에는(스텝 ST51의 "아니오"),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콘텐츠 제어는 없다고 판단하고, 그 후, 스텝 ST57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51에서, 휴대 단말기(14)의 주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4)는 다음 스텝 ST52로 진행한다. 이 스텝 ST52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4)는 DLNA의 CDS를 사용하여, DLNA 네트워크 내에 접속되어 있는 DLN 기기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취득하고, 다음 스텝 ST53으로 진행한다.
스텝 ST53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4)는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콘텐츠 정보의 일람 표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T53으로 복귀되어 유저의 지시를 기다린다. 유저의 지시가 있었을 경우에는 다음 스텝 ST54로 진행한다.
스텝 ST54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4)는 콘텐츠 정보의 일람 표시를 자신의 표시 패널(310)에 표시하고, 다음 스텝 ST55로 진행한다.
스텝 ST55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4)는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콘텐츠 정보의 일람 표시로부터 특정한 콘텐츠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콘텐츠의 선택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T55에 복귀되어 유저의 선택을 기다린다. 유저의 선택이 있었던 경우에는 스텝 ST56으로 진행한다.
스텝 ST56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4)는 선택된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 제어 정보를, 선택된 콘텐츠를 보유하는 DLNA 서버(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한다. 그 후, 스텝 ST57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어 정보는 XML 형식으로 기술되며, CEC 어드레스와 HDMI 단자 번호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텔레비전 수신기(13)는 휴대 단말기(14)로부터의 콘텐츠 제어 정보 중에서 CEC 어드레스를 추출하여 CEC 커맨드의 헤더에 설정하고, HDMI 단자(13a와 13d)의 CEC 라인(34)에 콘텐츠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추가로 콘텐츠 제어 정보 중에서HDMI 단자 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그 단자 번호에 기초하여 HDMI 입력 단자로 입력을 전환하여, 원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해당하는 HDMI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의하면, HDMI 소스 기기, HDMI 싱크 기기, 및 휴대 단말기라는 3개의 기기 간에 있어서의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선택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에 있어서는, BD 리코더(11)로부터 텔레비전 수신기(13)에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가 HDMI 케이블(15-1)을 통하여 송신된다. 이에 대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는 자신에서 취득한 부가 정보를 부가한 정보를 더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14)에 송신함으로써, HDMI 케이블(15-1)에서 접속된 HDMI 기기 간의 콘텐츠 제어를 DLNA M-DMC의 휴대 단말기(14)로부터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BD 리코더(11)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 및 전송 방식 정보를 VSIF 패킷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화상 신호)의 블랭킹 기간에 삽입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하고 있다.
또한 BD 리코더(11)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 및 전송 방식 정보를, HDMI 케이블(15-1)의 제어 데이터 라인인 CEC 라인(34)을 통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BD 리코더(11)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 및 전송 방식 정보를, HDMI 케이블(15-1)의 리저브 라인(37) 및 HPD 라인(35)으로 구성되는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HEC)를 통하여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텔레비전 수신기(13)의 E-EDID에는, 당해 텔레비전 수신기(13)가 대응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BD 리코더(11)는 HDMI 케이블(15-1)의 DDC(33)를 통하여 E-EDID를 판독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신기(13)가 대응하는 비압축 영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고 있다.
또는, BD 리코더(11)는 텔레비전 수신기(13)가 대응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텔레비전 수신기(13)로부터 HDMI 케이블(15-1)의 제어 데이터 라인인 CEC 라인(34)이나, HDMI 케이블(15-1)의 리저브 라인(37) 및 HPD 라인(35)으로 구성되는 쌍방향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HEC)를 통하여 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BD 리코더(11)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 및 전송 방식 정보의 양쪽을 텔레비전 수신기(13)에 송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어느 한쪽을 송신하는 구성도 생각된다.
이상,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해당 실시 형태의 수정이나 대용을 이룰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HDMI의 전송로를 사용하는 AV 시스템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해 왔다. 그러나 기저 대역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는 HDMI 외에,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인터페이스, DP(Display Port) 인터페이스, 60㎓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와이어리스 인터페이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이들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 및 전송 방식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송신 장치(소스 기기)로서 BD 리코더(11)를 사용하고 수신 장치(싱크 기기)로서 텔레비전 수신기(13)를 사용한 AV 시스템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해 왔지만, 그 외의 송신 장치, 수신 장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도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요컨대, 예시라는 형태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해 온 것이며,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 청구범위를 참작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와,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1-1)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차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1-2) 상기 전송로는 1쌍의 차동 전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차동 전송로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 상태의 통지 기능을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2) 상기 외부 기기가 대응 가능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송신부에서 사용하는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방식 선택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방식 선택부가 선택한 방식에 따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2-1) 상기 방식 선택부는, 상기 외부 기기가 대응 가능하고 또한 상기 통신 장치 자신이 대응 가능한 전송 방식 중에서, 상기 정보 송신부에서 사용하는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에 삽입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상기 (1) 또는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
(4)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소정의 라인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쌍방향 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상기 (1) 또는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제어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상기 (1) 또는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
(6)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로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길이 정보, 연주 시간 정보, 타이틀 정보, 콘텐츠의 섬네일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장치.
(7)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스텝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8)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도록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9-1)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차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상기 (9)에 기재된 통신 장치.
(9-2) 상기 전송로는 1쌍의 차동 전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차동 전송로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 상태의 통지 기능을 구비하는,
상기 (9)에 기재된 통신 장치.
(10) 상기 통신 장치 자신이 대응 가능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와,
상기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더 구비하는, 상기 (9)에 기재된 통신 장치.
(10-1) 상기 정보 기억부는, 상기 통신 장치 자신이 대응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전송 방식마다의 플래그를 기억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통신 장치.
(11)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으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추출하는,
상기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
(12) 상기 정보 수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소정의 라인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쌍방향 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
(13) 상기 정보 수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제어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
(14)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상기 통신 장치 자신에서 취득한 부가 정보를 부가하여 콘텐츠 정보를 구성하고,
콘텐츠 정보를 제2 전송로로 제2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제2 정보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상기 (9)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
(15)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순차 번호 또는 확장자, 상기 외부 기기의 어드레스 정보(CEC 어드레스),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 정보(상기 외부 기기가 접속된 단자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 정보로서 부가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통신 장치.
(16) 상기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2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접속 제어부에 의하여 접속된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통신 장치.
(16-1) 상기 접속 제어부는, 수신한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 기기의 어드레스 정보(CEC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접속 단자를 선택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통신 장치.
(17)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스텝과,
상기 데이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 스텝과,
상기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스텝
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
(17-1) 상기 데이터 처리 스텝에서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상기 통신 장치 자신에서 취득한 부가 정보를 부가하여 콘텐츠 정보를 구성하고,
콘텐츠 정보를 제2 전송로로 제2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제2 정보 송신 스텝과,
상기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정보 수신 스텝과,
상기 제2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스텝과,
상기 접속 제어 스텝에 있어서 접속된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
을 더 갖는, 상기 (17)에 기재된 통신 방법.
(18)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도록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
(19)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일람 정보를 표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일람 정보 중에서 선택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0)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일람 정보를 표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일람 정보 중에서 선택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도록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AV 시스템
11: BD 리코더
11a: HDMI 단자
11b: HDMI 송신부
11c: 고속 버스 I/F
12: STB(Set Top Box)
12a: HDMI 단자
12b: HDMI 송신부
12c: 고속 버스 I/F
13: 텔레비전 수신기
13a, 13d: HDMI 단자
13b, 13e: HDMI 수신부
13c, 13f: 고속 버스 I/F
13g: 와이어리스 송수신부
14: 휴대 단말기
14a: 와이어리스 송수신부
15-1, 15-2: HDMI 케이블
16: 와이어리스 전송로
31: HDMI 트랜스미터
32: TMDS 리시버
101: CPU
102: 내부 버스
103: 플래시 ROM
104: SDRAM
105: 리모콘 수신부
106: 리모콘 송신기
107: 기록 매체 제어 인터페이스
108: BD 드라이브
109: HDD
110: MPEG 디코더
111: 그래픽 생성 회로
112: 화상 출력 단자
113: 음성 출력 단자
114: 표시 제어부
115: 패널 구동 회로
116: 표시 패널
117: 전원부
118: SSD
201: 안테나 단자
202: 디지털 튜너
203: MPEG 디코더
204: 화상 신호 처리 회로
205: 그래픽 생성 회로
206: 패널 구동 회로
207: 표시 패널
208: 음성 신호 처리 회로
209: 음성 증폭 회로
210: 스피커
211: 내부 버스
212: CPU
213: 플래시 ROM
214: SDRAM
215: 리모콘 수신부
216: 리모콘 송신기
218: 표시 제어부
219: 전원부
301: CPU
302: 내부 버스
303: 플래시 ROM
304: SDRAM
305: 음성 처리부
306: 공중 회선망 송수신부
307: 표시 제어부
308: 그래픽 생성 회로
309: 패널 구동 회로
310: 표시 패널
311: 입력부
312: 음성 출력 마이크
313: 스피커
314: 전원부

Claims (20)

  1.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와,
    전송 방식의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을 위한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방식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가 대응 가능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식 선택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송신부에서 사용하는 전송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방식 선택부가 선택한 방식에 따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에 삽입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소정의 라인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쌍방향 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제어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로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길이 정보, 연주 시간 정보, 타이틀 정보, 콘텐츠의 섬네일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
  7.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스텝과,
    전송 방식의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을 위한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방식 선택 스텝과,
    상기 선택된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 스텝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8.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스텝,
    전송 방식의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을 위한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방식 선택 스텝,
    상기 선택된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 스텝에서 송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 스텝
    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전송 방식의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 자신이 대응 가능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전송 방식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와,
    상기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더 구비하는, 통신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블랭킹 기간으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추출하는, 통신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소정의 라인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쌍방향 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장치.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에 포함되는 제어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장치.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상기 통신 장치 자신에서 취득한 부가 정보를 부가하여 콘텐츠 정보를 구성하고,
    콘텐츠 정보를 제2 전송로로 제2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제2 정보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통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순차 번호 또는 확장자, 상기 외부 기기의 어드레스 정보(CEC 어드레스),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 정보(상기 외부 기기가 접속된 단자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 정보로서 부가하는, 통신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2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접속 제어부에 의하여 접속된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
  17.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스텝과,
    전송 방식의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 스텝과,
    상기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스텝
    을 구비하는, 통신 방법.
  18.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스텝,
    전송 방식의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되는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와 전송 방식 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 스텝,
    상기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스텝
    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9. 전송 방식의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일람 정보를 표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일람 정보 중에서 선택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0. 전송 방식의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스텝,
    상기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일람 정보를 표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스텝,
    상기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일람 정보 중에서 선택된 비압축 화상 음성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 스텝
    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7029002A 2014-05-01 2015-02-13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ctive KR102338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4752 2014-05-01
JPJP-P-2014-094752 2014-05-01
PCT/JP2015/054039 WO2015166685A1 (ja) 2014-05-01 2015-02-13 通信装置又は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750A KR20160147750A (ko) 2016-12-23
KR102338224B1 true KR102338224B1 (ko) 2021-12-10

Family

ID=5435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002A Active KR102338224B1 (ko) 2014-05-01 2015-02-13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73787B2 (ko)
EP (1) EP3139620B1 (ko)
JP (1) JP6551401B2 (ko)
KR (1) KR102338224B1 (ko)
CN (1) CN106233743B (ko)
RU (1) RU2671945C2 (ko)
WO (1) WO2015166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4241B2 (en) * 2014-06-12 2019-1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HDMI
CN106302462A (zh) * 2016-08-16 2017-01-04 合肥东上多媒体科技有限公司 数字家庭多媒体播放系统
US11221980B2 (en) * 2019-10-31 2022-01-11 Sigmasense, Llc. Low voltage drive circuit operable to convey data via a bus
JP2021150790A (ja) 2020-03-18 2021-09-2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装置
JP2021150791A (ja) 2020-03-18 2021-09-2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GB202019640D0 (en) * 2020-12-13 2021-01-27 Crawford John A wireless audio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5254A (ja) * 2006-06-22 2008-01-10 Sony Corp 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7083B2 (ja) * 2006-06-02 2012-06-2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092206A (ja) * 2006-09-29 2008-04-17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データ設定方法
KR101299683B1 (ko) * 2006-10-20 2013-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113198A (ja) * 2006-10-30 2008-05-15 Sony Corp 伝送方法、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101306706B1 (ko) * 2006-11-09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와 연결된 외부기기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JP2008259117A (ja) * 2007-04-09 2008-10-23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ダウンロード方法
JP5240491B2 (ja) * 2007-06-26 2013-07-17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4766023B2 (ja) * 2007-09-28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Dlna対応機器、dlna接続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37370B2 (ja) * 2007-11-13 2013-11-06 ソニー エスパナ,エス.エー. 表示装置、表示装置における映像信号送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映像信号の送信方法
JP5358931B2 (ja) * 2007-11-28 2013-12-04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5593596B2 (ja) * 2008-02-04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送信装置および映像信号送信方法
EP2141925B1 (en) * 2008-03-05 2016-12-21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JP5572929B2 (ja) * 2008-03-05 2014-08-20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
JP5338166B2 (ja) * 2008-07-16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立体画像データ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受信方法
JP5587089B2 (ja) * 2010-07-29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US8504672B2 (en) * 2010-11-19 2013-08-06 Silicon Image, Inc. Discovery of electronic devices in a combined network
WO2012099378A2 (ko) * 2011-01-17 2012-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트 송수신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2213111A (ja) 2011-03-31 2012-11-01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並びに通信方法
US9226020B2 (en) * 2011-05-03 2015-12-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443495B2 (en) * 2011-06-14 2016-09-13 Koninklijke Philips N.V. Graphics processing for high dynamic range video
JP2013005265A (ja) 2011-06-17 2013-01-07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JP2013085052A (ja) * 2011-10-07 2013-05-09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及び再生装置
EP2624582A1 (en) * 2012-01-31 2013-08-07 Kabushiki Kaisha Toshiba Source apparatus, control method of a source apparatus, sin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a sink apparatus
WO2013121823A1 (ja) * 2012-02-16 2013-08-22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装置
US9489981B2 (en) * 2012-03-15 2016-11-08 Echostar Technologies L.L.C. Successive initialization of television channel recording
US20140007158A1 (en) * 2012-06-29 2014-01-02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Emergency alert system (eas) alert generation
KR101330671B1 (ko) * 2012-09-28 201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9137570B2 (en) * 2013-02-04 2015-09-1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monitoring and intent determin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5254A (ja) * 2006-06-22 2008-01-10 Sony Corp 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9620A4 (en) 2017-12-13
US9973787B2 (en) 2018-05-15
JPWO2015166685A1 (ja) 2017-04-20
RU2671945C2 (ru) 2018-11-08
KR20160147750A (ko) 2016-12-23
CN106233743A (zh) 2016-12-14
JP6551401B2 (ja) 2019-07-31
RU2016141637A3 (ko) 2018-04-25
EP3139620A1 (en) 2017-03-08
RU2016141637A (ru) 2018-04-25
US20170055005A1 (en) 2017-02-23
WO2015166685A1 (ja) 2015-11-05
CN106233743B (zh) 2020-12-11
EP3139620B1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595047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6702455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102338224B1 (ko)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307856B2 (ja) 送信装置、広色域画像データ送信方法、受信装置、広色域画像データ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24788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163264A1 (ja)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