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526B1 - 배수필터망을 구비하는 격자형 절토부 패널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수필터망을 구비하는 격자형 절토부 패널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7526B1 KR102337526B1 KR1020210009902A KR20210009902A KR102337526B1 KR 102337526 B1 KR102337526 B1 KR 102337526B1 KR 1020210009902 A KR1020210009902 A KR 1020210009902A KR 20210009902 A KR20210009902 A KR 20210009902A KR 102337526 B1 KR102337526 B1 KR 1023375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row
- panels
- quadrants
- tension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5 wor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1—Membranes permeable
- E02D2450/102—Membranes permeable for liqu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장재가 고정되는 절토부 패널을 적층하여 형성된 옹벽으로서,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정면이 4사분면으로 분할되는 제1,2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패널은 상기 4사분면중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2개 분면은 돌출부로 형성되고, 나머지 2개 분면은 평평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2패널은 상기 4사분면중 상기 제1패널에서 평평부로 형성된 2개 분면이 돌출부로 형성되고, 상기 4사분면중 상기 제1패널에서 돌출부로 형성된 2개 분면이 평평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패널을 제1열에 설치하고, 상기 제1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열에는 상기 제2패널을 상기 제1열에 설치된 제1패널에 엇갈리게 인터로킹 방식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2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열에는 상기 제1패널을 상기 제2열에 설치된 제2패널에 엇갈리게 인터로킹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절토부 패널 옹벽 전체에걸쳐 돌출부가 교대로 균등하게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 는 본 발명의 격자형 절토부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의 중심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격자형 절토부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격자형 절토부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의 배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은 본 발명의 격자형 절토부 패널을 구성하는 토사유출방지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격자형 절토부 패널 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2개의 패널을 이용하여 격자형 절토부 패널 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1개의 패널을 이용하여 격자형 절토부 패널 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종래기술에서 인터로킹 방식으로 절토부 패널 옹벽을 시공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20 : 제2패널
Claims (5)
- 인장재가 고정되는 절토부 패널을 적층하여 형성된 옹벽으로서,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정면이 4 사분면(a,b,c,d)으로 분할되는 제1,2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패널은 상기 4 사분면 중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2개 분면(b,d)은 돌출부로 형성되고, 나머지 2개 분면(a,c)은 평평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2패널은 상기 4 사분면 중 상기 제1패널에서 평평부로 형성된 2개 분면(a,c)에 대응하는 2개 분면이 돌출부로 형성되고, 상기 4사분면중 상기 제1패널에서 돌출부로 형성된 2개 분면(b,d)에 대응하는 2개 분면이 평평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패널을 제1열에 설치하고,
상기 제1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열에는 상기 제2패널을 상기 제1열에 설치된 제1패널에 엇갈리게 인터로킹 방식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2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열에는 상기 제1패널을 상기 제2열에 설치된 제2패널에 엇갈리게 인터로킹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절토부 패널 옹벽 전체에걸쳐 돌출부가 교대로 균등하게 형성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2패널의 중심에는 두께방향으로 인장재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인장재 수용홈은,
상기 제1,2패널의 두께방향으로 후방에 형성되는 인장재 지지홈과,
상기 인장재 지지홈의 전방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전면캡 수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장재 지지홈에는 인장재가 인장재 지지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전면캡 수용홈에는 전면캡이 삽입고정되며,
상기 전면캡의 전면은 상기 제1,2패널에 형성된 돌출부와 평평부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패널의 배면에는 전면으로 관통하는 배수홀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에는 토사유출 방지캡이 삽입고정되며,
상기 토사유출 방지캡은,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부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골재가 포함되는 필터망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필터망을 구비하는 격자형 절토부 패널식 옹벽 - 인장재가 고정되는 절토부 패널을 적층하여 형성된 옹벽으로서,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정면은 4사분면으로 분할되는 제1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패널은 상기 4 사분면 중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2개 분면(b,d)은 돌출부로 형성되고, 나머지 2개 분면(a,c)은 평평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패널을 제1열에 설치하고,
상기 제1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열에는 상기 제1패널을 90도 회전한 상태로 상기 제1열에 설치된 제1패널에 엇갈리게 인터로킹 방식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2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열에는 상기 제1패널을 상기 제2열에 설치된 제1패널에 엇갈리게 인터로킹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절토부 패널 옹벽 전체에걸쳐 돌출부가 교대로 균등하게 형성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2패널의 중심에는 두께방향으로 인장재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인장재 수용홈은,
상기 제1,2패널의 두께방향으로 후방에 형성되는 인장재 지지홈과,
상기 인장재 지지홈의 전방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전면캡 수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장재 지지홈에는 인장재가 인장재 지지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전면캡 수용홈에는 전면캡이 삽입고정되며,
상기 전면캡의 전면은 상기 제1,2패널에 형성된 돌출부와 평평부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패널의 배면에는 전면으로 관통하는 배수홀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에는 토사유출 방지캡이 삽입고정되며,
상기 토사유출 방지캡은,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부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골재가 포함되는 필터망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필터망을 구비하는 격자형 절토부 패널식 옹벽.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9902A KR102337526B1 (ko) | 2021-01-25 | 2021-01-25 | 배수필터망을 구비하는 격자형 절토부 패널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9902A KR102337526B1 (ko) | 2021-01-25 | 2021-01-25 | 배수필터망을 구비하는 격자형 절토부 패널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7526B1 true KR102337526B1 (ko) | 2021-12-10 |
Family
ID=7886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9902A Active KR102337526B1 (ko) | 2021-01-25 | 2021-01-25 | 배수필터망을 구비하는 격자형 절토부 패널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752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972B1 (ko) | 2005-06-10 | 2007-02-15 | 김목치 | 블록식 보강토 옹벽 |
KR101628079B1 (ko) * | 2015-06-22 | 2016-06-08 | (주)케미우스코리아 | 사면 보강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
KR20180049819A (ko) * | 2018-04-23 | 2018-05-11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불규칙 돌출방식의 장식용 판석 선붙임 구조의 옹벽패널 및 그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패널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KR20190045445A (ko) * | 2017-10-24 | 2019-05-03 | 공학봉 |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
KR101984916B1 (ko) * | 2018-12-20 | 2019-06-03 | 주식회사 지명 | 옹벽용 배수시설 |
-
2021
- 2021-01-25 KR KR1020210009902A patent/KR10233752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972B1 (ko) | 2005-06-10 | 2007-02-15 | 김목치 | 블록식 보강토 옹벽 |
KR101628079B1 (ko) * | 2015-06-22 | 2016-06-08 | (주)케미우스코리아 | 사면 보강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
KR20190045445A (ko) * | 2017-10-24 | 2019-05-03 | 공학봉 |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
KR20180049819A (ko) * | 2018-04-23 | 2018-05-11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불규칙 돌출방식의 장식용 판석 선붙임 구조의 옹벽패널 및 그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패널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KR101984916B1 (ko) * | 2018-12-20 | 2019-06-03 | 주식회사 지명 | 옹벽용 배수시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2388B1 (ko) |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 |
KR20220012525A (ko) |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 |
KR102210048B1 (ko) | 침투수의 선택적 배출 기능이 구비된 옹벽 시스템 | |
KR102337526B1 (ko) | 배수필터망을 구비하는 격자형 절토부 패널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185613Y1 (ko) | 호안용 블록 | |
CN110306588B (zh) | 一种用于加筋土挡墙的面板模块单元及加筋土挡墙 | |
KR20050027625A (ko) | 보강토 옹벽용 조립체 | |
KR100326868B1 (ko) |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 |
KR100388077B1 (ko) | 이피에스블록을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 및수평 토압 저감시스템 | |
JP5271720B2 (ja) |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190142927A (ko) | 옹벽구조물 | |
KR102337545B1 (ko) | 콘크리트 파일과 토류판을 이용한 지하 흙막이 공법 | |
KR100317471B1 (ko) | 식생 및 토사유출 방지용 블록과 그 시공방법 | |
KR100635416B1 (ko) | 마감용 시트파일 | |
US10648148B2 (en) | Sheet for use in ground works | |
KR100694874B1 (ko) |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 |
KR200374618Y1 (ko) |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 |
KR101775431B1 (ko) | 친환경 식생 호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2003147788A (ja) | 擁壁ブロック | |
KR200273547Y1 (ko) | 보강토옹벽 축조구조 | |
KR100591498B1 (ko) |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 |
KR100383124B1 (ko) | 호안스톤옹벽의 축조방법 | |
KR100592721B1 (ko) | 도로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 | |
JP2957995B1 (ja) | 擁壁裏込め枠体 | |
KR20060004413A (ko) |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와,이것에 의한 친환경적 호안 축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3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