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1498B1 -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498B1
KR100591498B1 KR1020060009837A KR20060009837A KR100591498B1 KR 100591498 B1 KR100591498 B1 KR 100591498B1 KR 1020060009837 A KR1020060009837 A KR 1020060009837A KR 20060009837 A KR20060009837 A KR 20060009837A KR 100591498 B1 KR100591498 B1 KR 10059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wall board
wall
square block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09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4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건축단지의 옹벽과 법면에 사각블록을 설치하여 법면의 토사가 유실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조경 및 메시지 전달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정한 넓이의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저면부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각각 돌출되는 수평돌출부와 수직돌출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면부에 일정 높이를 갖는 중간연결재가 구비되는 내벽판재와, 내벽판재의 상면부에 구비되는 중간연결재의 상면부에 외벽판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벽판재가 외벽판재보다 크기가 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네 모서리에 원호모양을 형성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절개된 외벽판재가 형성된 사각블록; 사각블록의 수직돌출부와 수평돌출부에 각각 구비되는 관통홀에 삽설되어 다수개의 사각블록을 성토법면에 고정시키는 결합로드; 및 사각블록이 다수 개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로드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사각블록의 사이에 존재하는 원형홈을 통해 삽입설치되는 식재박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을 제공한다.
사각블록, 식재박스, 결합로드, 박스지지봉

Description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BLOCK STRUCTURE FOR INSTALLING AT HOUSING DEVELOPMENT}
도 1은 종래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성토법면 200: 콘크리트 옹벽
300: 사각블록 400: 결합로드
500: 환형고리 600: 고정핀
700: 식재박스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단지의 옹벽과 법면에 사각블록을 설치하여 법면의 토사가 유실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조경 및 메시지(message)전달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단지의 외곽에는 종종 법면이 구비되고, 상기 법면에는 법면으로부터 토사가 건축단지로 유입되지 않도록 옹벽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은 단지를 구성함에 있어 평지인 경우에는 손쉽게 터파기를 시행하고 공동주택 단지를 조성할 수 있지만, 법면인 경우에는 절토 또는 성토를 시행한 연후에 공동주택 단지를 조성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공동주택 단지가 성토법면을 가지는 경우, 보강토 및 콘크리트 옹벽 또는 콘크리트 블록 등을 이용하여 성토법면에 대한 안정화 구조물을 조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 법면(10)에는 콘크리트 옹벽(20)이 입설되어 안정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옹벽(20)만을 이용한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는, 홍수 또는 폭우에 의해 법면에 존재하는 토사 표층이 슬라이딩되어 유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런데,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경우 법면으로부터 다량으로 유실되는 토사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옹벽을 월류하여 그 콘크리트 옹벽 측으로 시공된 도로 및 공동주택 등을 덮치는 사고가 발생된다.
상기 옹벽은 법면으로부터 토사가 흘러내리게 되면 이를 차단함으로써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옹벽에 의해 지지되는 법면의 경우 우수가 인가되면 부분적으로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하다. 따라서, 법면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있지만 폭우가 인가되는 경우 토사가 유실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단지의 옹벽에 인접한 법면에 식재함이 장착될 수 있는 사각블록을 설치하여 법면의 토사가 유실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조경 및 메시지(message)전달하는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넓이의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저면부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각각 돌출되는 수평돌출부와 수직돌출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면부에 일정 높이를 갖는 중간연결재가 구비되는 내벽판재와, 내벽판재의 상면부에 구비되는 중간연결재의 상면부에 외벽판재가 일체로 형 성되고, 내벽판재가 외벽판재보다 크기가 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네 모서리에 원호모양을 형성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절개된 외벽판재가 형성된 사각블록; 사각블록의 수직돌출부와 수평돌출부에 각각 구비되는 관통홀에 삽설되어 다수개의 사각블록을 성토법면에 고정시키는 결합로드; 및 사각블록이 다수 개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로드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사각블록의 사이에 존재하는 원형홈을 통해 삽입설치되는 식재박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로드는 길이방향 양측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환형고리가 나사결합되고, 환형고리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성토법면에 조경블록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재박스는 저면부에 박스지지봉이 형성되고, 박스지지봉의 끝단에 원기둥형상의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식재박스는 다수개의 사각블록이 밀착되어 형성시킨 원형홈을 통해 삽입설치되고, 사각블록을 구성하는 외벽판재의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간격의 공간을 통해 식재박스의 걸림턱과 박스지지봉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의 상세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의 안정화 구조물의 사용 상태도이다.
콘크리트 옹벽(200)이 시공된 측면 성토법면(100)에는 다수개의 조경 블록(300)이 결합 로드(400)와 고정핀(600)에 의해 성토법면(100)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안정화 구조물을 구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조경 블록(300)의 전방에 식재박스(700)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안정화 구조물이 구성된다.
즉, 성토법면(100)에는 일측에 콘크리트 옹벽(200)이 시공되고, 그 성토법면(100)을 따라 사각블록(300)이 설치되어 안정화 구조물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사각블록(300)은 사각형의 형상을 하며, 상기 사각블록(300)이 다수 개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즉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상호 결합되어 성토법면(100)에 설치된다.
상기 사각블록(300)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판재(310)와, 내벽판재(3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중간연결재(320)와, 중간연결재(32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벽판재(330)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벽판재(310)가 외벽판재(330)보다 넓이가 넓고, 상기 외벽판재(330)는 중간연결재(320)보다 넓이가 넓게 형성되며, 상기 내벽판재(310)와, 외벽판재(330) 및 중간연결재(3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사각블록(300)의 내벽판재(310) 저면부에는 수직돌출부(314)와 수평돌출부(316)가 구비되고, 수직돌출부(314)와 수평돌출부(316)의 중심에는 각각 관통 홀(3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사각블록(300)은 수직돌출부(314)와 수평돌출부(316) 중의 어느 하나가 크기를 크게 하여 관통홀(315)이 중간에서 서로 만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사각블록(300)은 내벽판재(310)의 모서리부분에 결합돌기(311) 또는 결합홈(312)이 하나씩 구비되어 다른 사각블록(300)의 내벽판재(310)와 밀착되면 결합돌기(311)와 결합홈(312)이 상호 결합되며, 상기 사각블록(300)은 외벽판재(330)의 모서리에 원호(332) 모양을 형성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절개된다.
따라서, 상기 사각블록(300)이 네 개가 상호 밀착되면 네 외벽판재(330)가 인접하는 부분에 도 3과 같이 원형홈(350)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블록(300)은 외벽판재(330)와 외벽판재(330)의 빗면의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틈이 생김으로써 공간(370)이 형성된다.
상기 사각블록(300)은 내벽판재(310)에 구비되는 관통홀(315)에 결합로드(400)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결합로드(400)는 다수 개의 사각블록(300)의 관통홀(315)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삽설됨으로써 사각블록(300)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로드(400)의 끝단에는 나사산(4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로드(400)의 나사산(410)은 환형고리(500)의 일측 돌출봉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환형고리(500)에 고정핀(600)이 삽설되면서 고정핀(600)이 성토법면(100)에 착설되어 고정되고, 상기 사각블록(300)에는 수직방향으로 삽설되는 결합로드(400)의 경우 하측의 환형고리(500)가 콘크리트 옹벽(200)에 고정된다.
상기 사각블록(300)에 설치되는 식재박스(700)의 저면부에는 박스지지봉 (720)이 돌출형성되고, 박스지지봉(720)의 타측단에 원기둥형상의 걸림턱(730)이 형성되는 한편, 걸림턱(730)과 함께 박스지지봉(720)이 사각블록(300)의 외벽판재(330)에 형성되는 원형홈(350)에 삽설되고, 식재박스(700)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턱(730)이 원형홈(350)의 크기보다 적게 형성되므로 원활하게 삽입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상기 다수개의 사각블록(300)이 밀착되어 형성되는 원형홈(350)에 걸림턱(730)이 삽입되고, 박스지지봉(720)의 크기는 외벽판재(330)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370)의 간격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식재박스(700)는 걸림턱(730)과 박스지지봉(720)이 다수개의 사각블록(300)이 밀착되어 형성시킨 원형홈(350)에 삽입된 후 공간(370)를 따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식재박스(700)의 저면 바닥에는 다수개의 관통되는 배수홀(712)이 구비되므로 식재박스(700)에 유입되는 우수가 원할하게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식물이 원할하게 식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재박스(700)는 박스지지봉(720)의 저면부에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착설됨으로써 성토법면(100)에 착설되는 식재박스(700)가 상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식재박스(700)는 사각블록(300)이 밀착되어 형성시킨 공간(370)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다수 개의 식재박스를 일정한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원거리에서 식재박스를 보았을 때 다수 개의 식재박스(700)가 문자 또는 문양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안정화 구조물에 대한 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100)에 설치되는 사각블록(300)은 사각형의 형상을 하는 한편, 내벽판재(310)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수평돌출부(316)와 수직돌출부(314)에 각각 관통홀(31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15)에 각각 결합로드(400)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사각블록(300)이 성토법면(100)에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사각블록(300)은 외벽판재(330)에 모서리가 각각 원호모양으로 절개되어 있으므로 외벽판재(330)가 맞닿는 부위에 의해 다수개의 사각블록(300)이 밀착되면 원형홈(350)이 형성되어 식재박스(700)가 삽입설치된다.
또한, 상기 사각블록(300)은 외벽판재(330)와 내벽판재(310)의 사이에 작은 면적을 갖는 중간연결재(320)의 둘레면에 의해 공간(370)이 확보되는 바, 원형홈(350)에 식재박스(700)의 저면부에 형성된 박스지지봉(720)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박스지지봉(720)의 끝단 원기둥형상의 걸림턱(730)이 삽입되어 걸림턱(730)과 박스지지봉(720)이 공간(370)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외벽판재(330)의 저면부에 밀착되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사각블록(300)은 내벽판재(310)의 모서리 측면에 결합돌기(311)와 결합홈(312)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결합돌기(311)가 결합홈(312)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사각블록(300)이 밀착될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결합로드(400)의 끝단에는 환형고리(500)가 나사결합시킨 후 환형고리(500)에 고정핀(600)을 체결시키게 되면 결 합로드(400)도 성토법면(100) 또는 콘크리트 옹벽(200)에 고정되어 사각블록(300)이 단단하게 고정된다.
상기 사각블록(300)은 다수 개의 식재박스(700)를 공간(370)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면 원하는 문양이나 문구를 배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식재박스(700)를 배열하여 '가나'와 같은 문구를 도시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은 성토법면에 콘크리트 옹벽이 구비되고, 콘크리트 옹벽과 함께 성토법면에 사각블록이 설치되어 안정화 구조물을 이루는 바, 상기 사각블록은 다수 개를 결합로드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로드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에 식재박스를 설치하게 되므로 식재박스는 사각블록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을 통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식재박스에는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사각블록이 임의의 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부지조성 성토법면에 대한 안정화 구조물을 제공함은 물론, 식재박스를 이동시켜 가면서 원하는 광고문구를 형성시킬 수 있어 메시지전달을 통한 광고효과도 얻고 식재박스에 식물이 식재됨으로써 친환경적인 성토법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일정한 넓이의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저면부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각각 돌출되는 수평돌출부와 수직돌출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면부에 일정 높이를 갖는 중간연결재가 구비되는 내벽판재와, 내벽판재의 상면부에 구비되는 중간연결재의 상면부에 외벽판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벽판재가 외벽판재보다 크기가 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네 모서리에 원호모양을 형성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절개된 외벽판재가 형성된 사각블록;
    사각블록의 수직돌출부와 수평돌출부에 각각 구비되는 관통홀에 삽설되어 다수개의 사각블록을 성토법면에 고정시키는 결합로드;
    및 사각블록이 다수 개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로드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사각블록의 사이에 존재하는 원형홈을 통해 삽입설치되는 식재박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로드는 길이방향 양측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환형고리가 나사결합되고, 환형고리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성토법면에 조경블록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식재박스는 저면부에 박스지지봉이 형성되고, 박스지지봉의 끝단에 원기둥형상의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식재박스는 다수개의 사각블록이 밀착되어 형성시킨 원형홈을 통해 삽입설치되고, 사각블록을 구성하는 외벽판재의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간격의 공간을 통해 식재박스의 걸림턱과 박스지지봉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KR1020060009837A 2006-02-01 2006-02-01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Active KR10059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837A KR100591498B1 (ko) 2006-02-01 2006-02-01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837A KR100591498B1 (ko) 2006-02-01 2006-02-01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498B1 true KR100591498B1 (ko) 2006-06-20

Family

ID=3718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837A Active KR100591498B1 (ko) 2006-02-01 2006-02-01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6154A (zh) * 2022-08-25 2022-11-11 上海澜道环境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带雨水收集利用功能的屋顶绿化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2615A (ja) 1985-01-10 1986-07-23 Masaki Tomiyasu 地面等の舗装材
KR200201458Y1 (ko) 2000-05-15 2000-11-01 나성민 사면용 식생대
KR200306399Y1 (ko) 2002-11-20 2003-03-11 주식회사세강엔지니어링 하천 제방 밀림방지용 법면 보호공 구조
KR200318120Y1 (ko) 2003-03-14 2003-06-27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사각 블록과 계단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유실방지법면 보호구조
KR200327416Y1 (ko) 2003-05-23 2003-09-22 한국희 게다블럭 체결구조
KR100504361B1 (ko) 2004-08-18 2005-08-03 (주)건축사사무소아라건축 친환경적인 도로용 옹벽
KR100509271B1 (ko) 2004-08-30 2005-09-05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친환경적인 건축용 옹벽시설물
KR100545940B1 (ko) 2005-10-05 2006-01-25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KR20060026136A (ko) * 2004-09-18 2006-03-23 재 술 나 평면식 사면안정화 보강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2615A (ja) 1985-01-10 1986-07-23 Masaki Tomiyasu 地面等の舗装材
KR200201458Y1 (ko) 2000-05-15 2000-11-01 나성민 사면용 식생대
KR200306399Y1 (ko) 2002-11-20 2003-03-11 주식회사세강엔지니어링 하천 제방 밀림방지용 법면 보호공 구조
KR200318120Y1 (ko) 2003-03-14 2003-06-27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사각 블록과 계단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유실방지법면 보호구조
KR200327416Y1 (ko) 2003-05-23 2003-09-22 한국희 게다블럭 체결구조
KR100504361B1 (ko) 2004-08-18 2005-08-03 (주)건축사사무소아라건축 친환경적인 도로용 옹벽
KR100509271B1 (ko) 2004-08-30 2005-09-05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친환경적인 건축용 옹벽시설물
KR20060026136A (ko) * 2004-09-18 2006-03-23 재 술 나 평면식 사면안정화 보강용 구조물
KR100545940B1 (ko) 2005-10-05 2006-01-25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6154A (zh) * 2022-08-25 2022-11-11 上海澜道环境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带雨水收集利用功能的屋顶绿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507B1 (ko) 식생블록
KR20100100093A (ko) 식생 옹벽패널
KR20160006924A (ko)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GB2522887A (en) Shuttering system
KR100591498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KR200399797Y1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 블록
KR100943222B1 (ko)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KR100663091B1 (ko)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
KR100509408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100636085B1 (ko) 조립식 옹벽 구조체
KR100742335B1 (ko) 절토부의 자연석을 이용한 조경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34879B1 (ko) 건축단지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 구조
KR100653381B1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KR20150083386A (ko) 조립식 토목 블록
KR20020028527A (ko) 콘크리트 벽돌 및 이의 축조방법
KR20190140231A (ko)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JP2007255162A (ja) 仕切り壁用基礎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ブロックユニット
KR102337526B1 (ko) 배수필터망을 구비하는 격자형 절토부 패널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0590411B1 (ko) 건축 단지내에서의 친환경적인 옹벽 구조물
KR100589329B1 (ko) 건축단지 비탈면 옹벽의 조경블럭 설치구조
KR100447265B1 (ko) 친환경적 하천 호안 시설물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100545940B1 (ko)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KR100582651B1 (ko) 건축물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2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4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