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4462B1 - Method for using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using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462B1
KR102334462B1 KR1020210021592A KR20210021592A KR102334462B1 KR 102334462 B1 KR102334462 B1 KR 102334462B1 KR 1020210021592 A KR1020210021592 A KR 1020210021592A KR 20210021592 A KR20210021592 A KR 20210021592A KR 102334462 B1 KR102334462 B1 KR 102334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mode
usb3
switch
chan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래
황유리
김용국
Original Assignee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1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4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46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상에서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은 프로세서가 장치 상에서 USB(universal serial bus) 타입 C의 플러그의 삽입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른 메인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와 프로세서가 삽입 방향에 따른 미사용 USB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us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a method. A method of us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includes: a processor determining an insertion direction of a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 C plug on a device; a processor connecting a main channel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and a processor determining an inser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It may include connecting an unused USB channel.

Description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using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Method for using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시스템(또는 장치) 상에서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는 핀을 추가적인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상에서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or apparatus)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metho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for using an unused pin in a system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for an additional purpose,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B(universal serial bus)는 PC(personal computer)의 주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포트의 규격으로, 복잡한 PC 및 주변기기 설치 작업을 플러그 하나를 꽂는 수준으로 단순화시킨 것이다. USB는 일반적으로 그 형태에 따라 USB Type-A, USB Type-B, USB Type-C로 나뉜다.USB (universal serial bus) is a standard for a new port for connecting peripheral devices of a personal computer (PC), and it simplifies the complex installation of PCs and peripherals to the level of inserting a single plug. USB is generally divided into USB Type-A, USB Type-B, and USB Type-C according to its type.

이중 USB Type-C는 개인용 컴퓨터 주변 기기에 가장 많이 보급된 범용 인터페이스 규격인 범용 직렬 버스(USB) 중 2014년 8월 정해진 최신 표준으로서 소형화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향후 확장을 위해 고안되었다. 2013년 7월 출시된 USB 3.1 스펙과 동시에 대략적으로 개발되었으나, USB Type-C 1.0으로 분리되어 정의되었다.Among them, USB Type-C is the latest standard established in August 2014 among Universal Serial Bus (USB), which is the most popular universal interface standard for personal computer peripherals, and is designed for miniaturized mobile devices and future expansion. It was developed roughly at the same time as the USB 3.1 specification released in July 2013, but it was defined separately as USB Type-C 1.0.

USB Type-C는 기존의 USB Type-A에 비해 크기가 작고, 앞뒤의 구분이 없어 연결이 쉽다. 데이터 전송 능력은 10Gbps이고, 전력 송신 능력은 최대 100W이며, USB 변환 단자가 활성화되어 기존의 USB 3.0이나 USB 2.0 제품 및 다양한 디지털 장비들과 호환 연결이 가능하다.USB Type-C is smaller than the existing USB Type-A, and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so it is easy to connect. The data transmission capacity is 10Gbps, the power transmission capacity is up to 100W, and the USB conversion terminal is activated, making it compatible with existing USB 3.0 or USB 2.0 products and various digital devices.

현재 USB Type-C를 기반으로 장치 간 연결을 수행하여 USB 3x 통신을 수행시 특정 동작 모드에서 USB Type-C 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레인(lane)들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휴 레인(lane)들을 추가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Currently, when USB 3x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connecting devices based on USB Type-C, there are lanes that are not used on USB Type-C in a specific operation mo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method for additionally utilizing these idle lan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of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USB 타입 C를 기반으로 한 장치 간 연결시 미사용되는 레인(lane)을 추가적인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utilizing an unused lane for an additional purpose when connecting devices based on USB Type C.

또한, 본 발명은 USB 타입 C를 기반으로 한 장치 간 연결시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미사용되는 레인을 추가적인 통신 라인으로 사용하여 장치 간의 통신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dditionally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by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when connecting devices based on USB Type C and using an unused lane as an additional communication lin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do it wi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A representati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상에서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은 프로세서가 장치 상에서 USB(universal serial bus) 타입 C의 플러그의 삽입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른 메인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른 미사용 USB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us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includes: a processor determining an insertion direction of a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 C plug on a device; the processor selecting a main channel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It may include a step of connecting and the step of the processor connecting an unused USB channel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한편, 상기 메인 채널과 상기 미사용 USB 채널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channel and the unused USB channel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또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장치의 USB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사용 USB 채널은 상기 USB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y the processor, determining a USB operation mode of the device, wherein the unused USB channel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B operation mo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하는 장치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구현된 USB 타입 C 포트와 상기 USB 타입 C 포트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장치 상에서 USB(universal serial bus) 타입 C의 플러그의 삽입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따른 메인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따른 미사용 USB 채널을 연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us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includes a USB Type-C port implemented to communicate with another device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USB Type-C port, wherein the processor includes a universal serial bus (USB) on the device. ) may be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ype C plug, connect a main channel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and connect an unused USB channel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한편, 상기 메인 채널과 상기 미사용 USB 채널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channel and the unused USB channel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의 USB 동작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미사용 USB 채널은 상기 USB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Further, the processor is implemented to determine a USB operation mode of the device, and the unused USB channel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B operation mode.

본 발명에 의하면, USB 타입 C를 기반으로 한 장치 간 연결시 미사용되는 라인이 추가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nused line can be used for an additional purpose when connecting devices based on USB Type-C.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USB 타입 C를 기반으로 한 장치 간 연결시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미사용되는 라인을 추가적인 통신 라인으로 사용하여 장치 간의 통신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when connecting devices based on USB Type C, and an unused line is used as an additional communication lin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can be additional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기반의 장치 간 결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 C의 커넥터 핀 맵(connector pin map)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coupling between USB-based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connector pin map of USB Type-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6B, and 6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changes from one embodiment to ano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taken as encompassing the scope of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s thereto.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치 간 연결을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장치(360도 웨어러블 넥밴드 카메라)가 예시적으로 개시되나, 다른 다양한 장치 간 결합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device (360 degree wearable neckband camera) is exemplarily disclosed in describing the connection between devices, but in connection between various other devices, addition 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thods of using interface channel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methods may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기반의 장치 간 결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coupling between USB-based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는 충전 및 통신을 위한 복수의 장치 간의 연결 구조가 개시된다.1 illustrates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for charging and commun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제1 장치(크래들(cradle))(110), 제2 장치(브릭(brick))(120), 제3 장치(넥 밴드(neckband))(130)가 개시된다.Referring to FIG. 1 , a first device (cradle) 110 , a second device (brick) 120 , and a third device (neckband) 130 are disclosed.

제1 장치(크래들)(110)은 DC 잭(jack)과 이더넷 포트(ethernet port)를 가질 수 있고, 전원과 연결되어 제2 장치(브릭)(120) 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제2 장치(브릭)(120)을 통해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device (cradle) 110 may have a DC jack and an Ethernet port, and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device (brick) 120 , and the second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communicate via (brick) 120 .

제2 장치(브릭)(120)은 제1 장치(크래들)(110) 및 제3 장치(넥 밴드)(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장치(브릭)(120)은 제1 장치(크래들)(110)과 커넥터(connector) 기반으로 연결되고, 제2 장치(브릭)(120)은 제3 장치(넥 밴드)(130)와 USB 타입C를 기반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brick) 1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cradle) 110 and the third device (neck band) 130 . The second device (brick)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cradle) 110 based on a connector, and the second device (brick) 120 is connected to the third device (neckband) 130 and It can be connected based on USB Type-C.

제2 장치(브릭)(120)은 배터리, 통신 모듈(LTE-동글(dongle)), 크래들 커넥터, USB 타입C 커넥터, 배터리(LED)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brick) 120 may be implemented based on a battery, a communication module (LTE-dongle), a cradle connector, a USB Type-C connector, and a battery (LED).

제3 장치(넥 밴드)(130)는 제2 장치(브릭)(120)과 USB 타입 C를 기반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장치(넥 밴드)(110)는 웨어러블 360도 카메라로서 시스템 보드, 배터리, 카메라, USB C 타입 커넥터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hird device (neck band)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evice (brick) 120 based on USB Type-C. The third device (neck band) 110 is a wearable 360 degree camera and may be implemented based on a system board, a battery, a camera, and a USB C type connector.

위의 제1 장치(크래들)(110), 제2 장치(브릭)(120) 및 제3 장치(넥 밴드)(130)는 장치 간 연결을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은 장치 간 USB 타입 C가 연결된 경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first device (cradle) 110 , the second device (brick) 120 , and the third device (neck band) 130 above are an example for connection between devices, and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using the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the top is applicable to all devices when USB Type-C is connected.

구체적인 제1 장치(크래들)(110), 제2 장치(브릭)(120) 및 제3 장치(넥 밴드)(130)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Specific operations of the first device (cradle) 110 , the second device (brick) 120 , and the third device (neck band) 130 are as follows.

제3 장치(넥 밴드)(130)는 제2 장치(브릭)(120) 없이도 동작이 가능한 웨어러블 카메라이다. 제3 장치(넥 밴드)(130)는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USB 타입 C 커넥터를 가지고 있다.The third device (neck band) 130 is a wearable camera that can operate without the second device (brick) 120 . The third device (neckband) 130 has a USB Type-C connector for power supply and data communication.

제2 장치(브릭)(120)은 제3 장치(넥 밴드)(130)에 전원을 공급하고, USB 타입 C 통신 모듈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제1 장치(크래들)(110)과 제3 장치(넥 밴드)(130)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brick) 120 supplies power to the third device (neckband) 130 and can connect a USB Type-C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first device (cradle) 110 and the third device ( The neck band) 130 may be connected to enable communication.

제1 장치(크래들)(110)은 아답터(adapter)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고, 이더넷 포트(ethernet port)로 제3 장치(넥 밴드)(130)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cradle) 110 may receive power from an adapter, and may transmit data of the third device (neckband) 130 to the outside through an Ethernet port.

제3 장치(넥 밴드)(130)는 제2 장치(브릭)(120) 없이도 제2 장치(브릭)(120)이 제공하는 기능을 제외하고는 독립적인 동작 수행이 가능하다.The third device (neck band) 130 can perform independent operations without the second device (brick) 120 except for functions provided by the second device (brick) 120 .

제3 장치(넥 밴드)(130)는 USB 타입C 커넥터를 통해 통상적인 기능(트레블 아답터를 통한 충전, PC와의 연결 등)의 수행이 가능하다.The third device (neck band) 130 can perform normal functions (charging through a travel adapter, connection to a PC, etc.) through a USB Type-C connector.

제2 장치(브릭)(120)은 USB 3.x 프로토콜을 따르는 통신 모듈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장치(크래들)(110)의 이더넷 전송을 담당하기 위한 USB 허브(Hub)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제3 장치(넥 밴드)(130)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장치(브릭)(120)의 상황을 제어하기 위한 MICOM (제어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brick) 12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module conforming to the USB 3.x protocol, and a USB hub for in charge of Ethernet transmission of the first device (cradle) 110 may be built-in. can In addition, a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ird device (neck band) 130 is configured. And it may include a MICOM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tuation of the second device (brick) (120).

제1 장치(크래들)(110)은 외장 파워 아답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브릭 배터리(brick battery) 충전을 위한 충전 회로 및 보호 회로와 USB를 통해 받은 데이터를 이더넷(ethernet)으로 전달하는 IC(integrated circuit)를 가지고 있다.The first device (cradle) 11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adapter and receives a charging circuit and a protection circuit for charging a brick battery, and an integrated circuit (IC) that transmits data received through USB to ethernet ) ha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USB 핀(또는 레인(lane))을 통신 채널로 확보하여 장치 간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되지 않은 USB 핀을 기반으로 한 통신 채널은 미사용 USB 채널이라는 용어로 표현되고, 사용되지 않은 USB 핀을 기반으로 한 통신은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In the method of us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y securing an unused USB pin (or lane) as a communication channel. A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an unused USB pin may be expressed as an unused USB channel, and a communication based on an unused USB pin may be expressed as an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구체적으로 제2 장치(브릭)(120)에 연결되는 통신 모듈, 제1 장치(크래들)(110)의 USB 3 이더넷 컨트롤러(Ethernet Controller) 등은 USB 3.x 프로토콜로서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다.Specifically,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second device (brick) 120, a USB 3 Ethernet controller of the first device (cradle) 110, and the like may exchange data as a USB 3.x protoco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장치(브릭)(120)은 제3 장치(넥 밴드)(130)의 상태(예를 들어, WiFi 연결, 카메라 동작 등)을 제2 장치(브릭)(120) 상에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패널을 가질 수 있다. 제2 장치(브릭)(120)과 제3 장치(넥 밴드)(130) 간의 제3 장치(넥 밴드)(130)의 상태 정보(넥 밴드)의 전달은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brick)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tate (eg, WiFi connection, camera operation, etc.) of the third device (neckband) 130 to the second device (brick) 120 . ) may have an indicator panel displayed on it. The transfer of status information (neckband) of the third device (neckband) 130 between the second device (brick) 120 and the third device (neckband) 130 may be performed through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have.

또한, 제2 장치(브릭)(120)의 배터리 잔량 등에 대한 정보를 제3 장치(넥 밴드)(130)로 전달할 수 있는 마찬가지로 제3 장치(넥 밴드)(130)과 제2 장치(브릭)(120) 간의 상태 정보(브릭)의 전달은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device (neckband) 130 and the second device (brick) similarly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second device (brick) 120 to the third device (neckband) 130 . The transfer of state information (bricks) between 120 may be performed through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이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 구현에 따라 제2 장치(브릭)(120)에 버튼을 두어 제3 장치(넥 밴드)(130)에 대한 파워 온/오프(Power On/Off)가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파워 제어도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face, a button is placed on the second device (brick) 120 to power on/off the third device (neck band) 130 may be performed, such Power control can also be performed through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즉, 이러한 장치간 데이터가 미사용 USB 채널을 통해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을 기반으로 교환될 수 있다.That is, data between these devices may be exchanged based on the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through the unused USB channel.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 C의 커넥터 핀 맵(connector pin map)을 나타낸 개념도이다.2A and 2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connector pin map of USB Type-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USB 타입 C의 경우 양 방향으로 삽입 방향의 구분이 없이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 the USB Type-C may be inserted in both directions without distinction of an insertion direction.

HS(high speed) PHY(220)의 DP(data plus), DM(data minus)은 USB 2.0 규격을 위한 포트이고, SS(super speed)0 PHY(210), SS1 PHY(230)는 USB 3.0 규격을 위한 포트일 수 있다. DP 컨트롤러와 연결된 DP_AUX_N, DP_AUX_P(240)는 DP 연결 여부에 대한 확인을 위한 포트일 수 있다.DP(data plus) and DM(data minus) of HS(high speed) PHY(220) are ports for USB 2.0 standard, SS(super speed)0 PHY(210), SS1 PHY(230) are USB 3.0 standard It may be a port for DP_AUX_N and DP_AUX_P 240 connected to the DP controller may be ports for checking whether a DP is connected.

구체적으로 USB 타입 C에서는 PMIC의 CC_OUT핀(250)이 USB 타입 C의 삽입 방향을 알려주고, USB 타입 C의 삽입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SS0 PHY(210)가 연결되고, USB 타입 C의 삽입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SS1 PHY(230)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USB Type C, the CC_OUT pin 250 of the PMIC inform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SB Type C, and whe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SB Type C is the first direction, the SS0 PHY 210 is connected and the USB Type C is inserted. When the direction is the second direction, the SS1 PHY 230 may be connected.

즉, USB 타입 C의 삽입 방향에 따라 SS0 PHY(210) 또는 SS1 PHY(230)가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USB 타입 C의 삽입 방향에 따라 연결되는 채널은 메인 채널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That is, the SS0 PHY 210 or the SS1 PHY 230 may selectively operate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SB Type-C. A channel connect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SB Type-C may be expressed as a main chann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은 USB 타입 C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USB Type-C.

USB 타입 C의 동작 모드는 아래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The operation mode of USB Type C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1. USB 타입 C의 동작 모드1 : USB 3-only1. USB Type C operation mode 1: USB 3-only

USB 3-only 모드는 Tx/Rx 쌍이 할당되되, 2개의 Tx/Rx 쌍 중 1개의 Tx/Rx 쌍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USB 3-only mode, a Tx/Rx pair is allocated, but one Tx/Rx pair out of two Tx/Rx pairs can be used.

2. USB 타입 C의 동작 모드2 : DP-only2. USB Type C operation mode 2: DP-only

DP-only 모드는 4개의 레인(lane)이 DP(display port)로 할당될 수 있다.In the DP-only mode, four lanes may be allocated as a display port (DP).

3. USB 타입 C의 동작 모드3 : concurrent USB 3-only3. USB Type C operation mode 3: concurrent USB 3-only

concurrent USB 3-only 모드는 2개의 레인이 USB로 할당되고, 2개의 레인이 DP(display port)로 할당될 수 있다.In the concurrent USB 3-only mode, two lanes may be allocated as USB, and two lanes may be allocated as a display port (DP).

USB 타입 C의 동작 모드2(DP-only), USB 타입 C의 동작 모드3(concurrent USB 3-only)는 디스플레이 포트 연결을 통한 대량 데이터(예를 들어, 4k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Operation mode 2 of USB Type-C (DP-only) and Operation Mode 3 of USB Type-C (concurrent USB 3-only) can be used to transfer large amounts of data (eg, 4k video data) through a DisplayPort connection.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은 USB 3-only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을 위해 장치 간 연결시 USB 3-only 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USB 3-only 모드인 경우,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of us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a USB 3-only mode. According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vice is in the USB 3-only mode when connecting devices to use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the system, and in the case of the USB 3-only mode,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USB 3-only 모드로 동작시 SuperSpeed(SS) TX/RX 0와 1 둘 중 한쪽만이 메인 채널로서 사용되고, DP 지원 모드(DP-only 모드와 Concurrent USB 3-DP 모드)에서는 SuperSpeed TX/RX 0와 1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P-only 모드와 concurrent USB 3-DP 모드가 가능한 장치가 연결되었을 경우, 체크(check) 과정을 통해 USB 동작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operating in USB 3-only mode, only one of SuperSpeed (SS) TX/RX 0 and 1 is used as the main channel, and in DP support mode (DP-only mode and Concurrent USB 3-DP mode), SuperSpeed TX/RX/ Both RX 0 and 1 can be used. Specifically, when a device capable of DP-only mode and concurrent USB 3-DP mode is connected, the USB operation mode may be determined through a check proces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장치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이 개시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pecif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이러한 메인 채널 및/또는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을 위한 동작은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제어될 수 있고, USB 타입 C 기반 연결을 위한 USB 포트는 통신부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An operation for communication of such a main channel and/or an unused USB channel may be controlled based on a processor, and a USB port for USB type-C-based connection may be expressed as a communication uni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DP를 지원하지 않은 장치에서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이 개시된다. DP를 지원하지 않은 장치의 경우 USB 3-only 모드로만 동작하므로 별도의 USB 동작 모드에 대한 판단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3 discloses a method for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in a device that does not support DP. In the case of a device that does not support DP, since it operates only in the USB 3-only mode, the determination of a separate USB operation mode may not be performed.

도 3을 참조하면, USB 타입 C의 삽입 방향이 결정된다(단계 S300).Referring to FIG. 3 , the insertion direction of USB Type-C is determined (step S300 ).

USB 타입 C의 플러그가 제1 삽입 방향 또는 제2 삽입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는 USB 타입 C의 플러그의 삽입 방향(direction)을 결정할 수 있다.The USB Type-C plug may be inserted in the first insertion direction or the second insertion direction, and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may determine an insertion direction of the USB Type-C plug.

USB 타입 C의 삽입 방향에 따라 USB3 스위치A 또는 USB3 스위치B 중 하나가 연결 USB3 스위치로 결정된다(단계 S310).One of the USB3 switch A or the USB3 switch B is determined as the connection USB3 switch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SB type C (step S310).

PMIC에 의해 결정된 삽입 방향에 따라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가 셀렉트 핀(select pin)을 통해 USB3 스위치A 또는 USB3 스위치B 중 하나를 연결 USB3 스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삽입 방향에 따라 연결되지 않은 USB3 스위치A 또는 USB3 스위치B 중 하나는 연결 USB3 스위치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nsertion direction determined by the PMIC, a 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 can configure either USB3 switch A or USB3 switch B as a connecting USB3 switch via a select pin. Depending on the insertion direction, either the unconnected USB3 switch A or USB3 switch B may be expressed in terms of a connected USB3 switch.

연결 USB3 스위치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통신을 위해 미사용 USB 채널이 설정된다(단계 S320).An unused USB channel is set for addition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connected USB3 switch (step S320).

연결 USB3 스위치와 SS0 PHY가 메인 채널로서 연결된 경우, 미연결 USB3 스위치와 SS1 PHY가 미사용 USB 채널로 설정되어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연결 USB3 스위치와 SS1 PHY가 메인 채널로서 연결된 경우, 미연결 USB3 스위치와 SS0 PHY가 미사용 USB 채널로 설정되어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connected USB3 switch and SS0 PHY are connected as main channels, the unconnected USB3 switch and SS1 PHY are set as unused USB channels, so that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Conversely, when the connected USB3 switch and SS1 PHY are connected as main channels, the unconnected USB3 switch and SS0 PHY are set as unused USB channels, so that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4A and 4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4b에서는 구체적인 회로 블록 상에서 DP 지원을 하지 않은 장치에서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이 개시된다.4A and 4B, a method for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in a device that does not support DP on a specific circuit block is disclosed.

도 4a 및 도4b를 참조하면, DP 지원을 하지 않는 장치인 경우, 장치는 USB 3-only 모드만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DP-only 모드, concurrent USB 3-only에 대한 별도의 체크할 필요없이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이 결정될 수 있다.4A and 4B , in the case of a device that does not support DP, the device operates only in the USB 3-only mode. Accordingly, an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can be determined without a separate check for the DP-only mode and concurrent USB 3-only.

우선 USB 타입 C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PMIC에서 방향을 알려주고, 제어(control)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가 셀렉트 핀(select pin)을 통해 USB3 스위치A(410) 또는 USB3 스위치B(420)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First of all, when a USB Type C plug is inserted, the PMIC informs the direction, and the control GPIO (general-purpose input/output) sends a USB3 switch A (410) or USB3 switch B ( 420) can be selected.

도 4a는 USB 타입 C의 플러그가 제1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 경우이다.4A is a case in which the USB Type-C plug is inserted in the first insertion direction.

도 4a는 USB 타입 C의 플러그가 제1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 경우, USB3 스위치A(410)가 선택될 수 있다. USB3 스위치A(410)의 SS0_A, HS_A, SS1_A 각각이 프로세서의 SSO PHY, HS PHY, GPIO(I2C/UART)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Tx0, Rx0만이 사용되는 상태로서 Tx1, Rx1은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 상태일 수 있다. 따라2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의 SS1 PHY와 USB3 스위치B(420)의 SS1_B를 연결하여 추가적인 통신을 위해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이 설정되고,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을 통해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In FIG. 4A , when the USB Type-C plug is inserted in the first insertion direction, the USB3 switch A 410 may be selected. Each of SS0_A, HS_A, and SS1_A of the USB3 switch A 41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SSO PHY, HS PHY, and GPIO (I2C/UART) of the processor. In this case, only Tx0 and Rx0 are used, and Tx1 and Rx1 may be unused.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is set for additional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he SS1 PHY of the processor and SS1_B of the USB3 switch B 420, and the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can be

도 4b는 USB 타입 C의 플러그가 제2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 경우이다.4B is a case in which the USB Type-C plug is inserted in the second insertion direction.

도 4b는 USB 타입 C의 플러그가 제2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 경우, USB3 스위치B(420)가 선택될 수 있다. USB3 스위치B(420)의 SS0_B, HS_B, SS1_B 각각이 프로세서의 SS1 PHY, HS PHY, GPIO(I2C/UART)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Tx1, Rx1만이 사용되는 상태로서 Tx0, Rx1은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의 SS0 PHY와 USB3 스위치B(420)의 SS1_A를 연결하여 추가적인 통신을 위해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이 설정되고,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을 통해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In FIG. 4B , when the USB Type-C plug is inserted in the second insertion direction, the USB3 switch B 420 may be selected. Each of SS0_B, HS_B, and SS1_B of the USB3 switch B 420 may be connected to an SS1 PHY, HS PHY, and GPIO (I2C/UART) of the processor. In this case, only Tx1 and Rx1 are used, and Tx0 and Rx1 may be unused.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is set for additional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he SS0 PHY of the processor and SS1_A of the USB3 switch B 420, and the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DP지원을 하는 장치에서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이 개시된다. DP지원을 하는 장치의 경우, 제1 USB3 스위치와 제2 USB3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In FIG. 5, a method for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in a device supporting DP is disclosed. In the case of a device supporting DP, the first USB3 switch and the second USB3 switch may be used.

도 5를 참조하면, USB 타입 C가 삽입되면 아래의 절차에 따라 체크하여 연결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when USB Type-C is inserted, a connection state may be determined by checking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USB 타입 C의 연결 방향이 결정된다(단계 S500).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USB type-C is determined (step S500).

USB 타입 C의 플러그가 제1 삽입 방향 또는 제2 삽입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PMIC는 USB 타입 C의 플러그의 삽입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The USB Type-C plug may be inserted in the first insertion direction or the second insertion direction, and the PMIC may determin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SB Type-C plug.

USB only 모드인지 DP 지원 모드(DP-only 모드 또는 concurrent USB 3-only 모드) 인지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S510).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B only mode or the DP support mode (DP-only mode or concurrent USB 3-only mode) is (step S510).

제2 USB 스위치와 프로세서는 DP 지원 모드인 경우,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제2 USB 스위치와 프로세서는 USB only 모드인 경우, 제1 USB 스위치를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USB switch and the processor may be directly connected in the DP support mode, and the second USB switch and the process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USB switch in the USB only mode.

구체적인 USB only 모드 또는 DP 지원 모드에 대한 결정 방법은 도 6에서 후술된다.A specific method of determining the USB only mode or the DP support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USB only 모드 또는 DP 지원 모드에 따른 통신이 수행된다(단계 S520).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USB only mode or the DP support mode is performed (step S520).

USB only 모드일 경우 스위치 삽입 방향에 따라 연결된 메인 통신 채널과 미사용 USB 채널을 기반으로 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DP 지원 모드일 경우, 유휴 채널이 없으므로 전체 레인(lane)을 통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USB only mode, communication based on the main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ed and the unused USB channel can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switch insertion direction. In the DP support mode, since there is no idle channel,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ll lane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상의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o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는 구체적인 회로 블록상에서 DP지원을 하는 장치에서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연결 방법이 개시된다.6 discloses a method for connecting an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in a device supporting DP on a specific circuit block.

도 6을 참조하면, DP를 지원을 하는 장치인 경우, 장치는 USB 3-only 모드 또는 DP 지원 모드(DP-only 모드 또는 concurrent USB 3-only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USB 동작 모드에 대한 체크를 수행하고,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the case of a device supporting DP, the device may operate in a USB 3-only mode or a DP support mode (DP-only mode or concurrent USB 3-only mode). Accordingly, the USB operation mode may be checked, and whether to communicate through an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determined.

USB only 모드에서는 프로세서와 제1 USB3 스위치가 연결되고, 제1 USB3 스위치와 제2 USB3 스위치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와 제2 USB2 스위치는 제1 USB3 스위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USB only mode, the processor and the first USB3 switch are connected, and the first USB3 switch and the second USB3 switch are connected to operate. That is, the processor and the second USB2 switch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USB3 switch.

DP 지원 모드에서는 프로세서와 제2 USB3 스위치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DP support mode, the processor and the second USB3 switch may be directly connected.

우선 USB 타입 C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PMIC를 통해 삽입 방향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First, when a USB Type-C plug is inserted, information on an insertion direction may be provided through the PMIC.

도 6a와 도 6b와 같이 제어 GPIO가 제2 USB3 스위치의 셀렉트 핀을 통해 제2 USB3 스위치(620)의 USB3 스위치B(626)와 제1 USB3 스위치(610)의 스위치C(619)를 연결할 수 있다.6A and 6B, the control GPIO can connect the USB3 switch B 626 of the second USB3 switch 620 and the switch C 619 of the first USB3 switch 610 through the select pin of the second USB3 switch. have.

도 3 및 도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USB 타입 C의 플러그의 삽입 방향에 따라 제1 USB3 스위치(610)의 USB3 스위치A(613) 또는 USB3 스위치B(616)를 연결하고, 사용되지 않는 USB3 스위치를 기반으로 한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이 설정되고,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을 통해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3 and 4,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SB type C plug, the USB3 switch A 613 or the USB3 switch B 616 of the first USB3 switch 610 is connected, and an unused USB3 switch An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set based on , and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구체적으로 도 6a는 제1 USB3 스위치(610)의 USB3 스위치A(613)와 프로세서가 연결된 경우이고, 도 6b는 제1 USB3 스위치(610)의 USB3 스위치B(616)와 프로세서가 연결된 경우이다. Specifically, FIG. 6A is a case in which the USB3 switch A 613 of the first USB3 switch 61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FIG. 6B is a case in which the USB3 switch B 616 of the first USB3 switch 61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도 6a와 같이 제1 USB3 스위치(610)의 USB3 스위치A(613)와 프로세서가 연결된 경우, 프로세서의 SS1 PHY와 USB3 스위치B(616)의 SS1_B를 연결하여 추가적인 통신을 위해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이 설정되고,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을 통해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6a, when the USB3 switch A 613 of the first USB3 switch 610 and the processor are connected, an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is set for additional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he SS1 PHY of the processor and SS1_B of the USB3 switch B 616. and, the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도 6b와 같이 제1 USB3 스위치(610)의 USB3 스위치B(616)와 프로세서가 연결된 경우, 프로세서의 SS0 PHY와 USB3 스위치A(613)의 SS1_A를 연결하여 추가적인 통신을 위해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이 설정되고, 미사용 USB 통신 채널을 통해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when the USB3 switch B 616 of the first USB3 switch 610 and the processor are connected, an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is set for additional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he SS0 PHY of the processor and SS1_A of the USB3 switch A 613. and, the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unused USB communication channel.

USB 타입 C의 플러그의 삽입 방향에 따라 도 6의 (a) 또는 도 6의 (b)와 같이 연결한 이후, 통신을 담당하는 GPIO (I2C, UART)(650)를 통한 통신 상대방에 대한 확인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After connecting as shown in FIG. 6 (a) or 6 (b)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SB Type C plug, the communication counterpart through the GPIO (I2C, UART) 650 in charge of communication Check procedure can be performed.

만약, GPIO (I2C, UART)(650)를 통해 일정 간 내에 정해진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장치 간 연결이 USB 3-only 모드가 아닌 DP 지원 모드로 연결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의 (c)는 DP 지원 모드에서의 연결을 나타낸다.If a predetermined response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through the GPIO (I2C, UART) 650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evice-to-device connection is connected in the DP support mode instead of the USB 3-only mode. 6 (c) shows the connection in the DP support mode.

따라서, GPIO (I2C, UART)(650)를 통해 일정 간 내에 정해진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컨트롤(control) GPIO가 제2 USB3 스위치(620)의 셀렉트 포트를 통해 제2 USB3 스위치(620)의 연결을 USB3 스위치B(626)에서 USB3 스위치A(623)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USB3 스위치(620)의 USB3 스위치A(623)와 프로세서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a predetermined response is not receiv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the GPIO (I2C, UART) 650 , the control GPIO of the second USB3 switch 620 through the select port of the second USB3 switch 620 . The connection can be switched from USB3 switch B (626) to USB3 switch A (623). The USB3 switch A 623 of the second USB3 switch 6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구체적으로 제2 USB3 스위치(620)의 USB3 스위치A(623)의 SS0_A, HS_A, SS1_A 각각이 프로세서의 SS0 PHY, HS PHY, SS1 PHY 각각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of SS0_A, HS_A, and SS1_A of the USB3 switch A 623 of the second USB3 switch 62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SS0 PHY, HS PHY, and SS1 PHY of the processor to operate.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 hardware device may be convert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long to

Claims (6)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 방법은,
프로세서가 장치 상에서 USB(universal serial bus) 타입 C의 플러그의 삽입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른 메인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른 미사용 USB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채널과 상기 미사용 USB 채널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전환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장치의 USB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미사용 USB 채널은 상기 USB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USB 동작 모드는 USB 3-only 모드, DP-only 모드 및 concurrent USB 3-only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USB 3-only 모드는 상기 미사용 USB 채널로 2개의 Tx/Rx 쌍 중 1개의 Tx/Rx 쌍을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을 위해 할당하고,
상기 DP-only 모드는 상기 미사용 USB 채널로 상기 2개의 Tx/Rx 쌍을 DP(display port)로 할당하고,
상기 concurrent USB 3-only 모드는 상기 미사용 USB 채널로 상기 2개의 Tx/Rx 쌍 중 1개의 Tx/Rx 쌍을 상기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을 위해 할당하고, 나머지 1개의 Tx/Rx 쌍을 상기 DP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o use additional interface channels: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an insertion direction of a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 C plug on the device;
connecting, by the processor, a main channel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and
Comprising the step of the processor connecting an unused USB channel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The main channel and the unused USB channel are switch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USB operating mode of the device;
The unused USB channel is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B operation mode,
The USB operation mode includes a USB 3-only mode, a DP-only mode and a concurrent USB 3-only mode,
The USB 3-only mode allocates one Tx/Rx pair of two Tx/Rx pairs to the unused USB channel for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The DP-only mode allocates the two Tx/Rx pairs to the unused USB channel as a DP (display port),
The concurrent USB 3-only mode allocates one Tx/Rx pair of the two Tx/Rx pairs to the unused USB channel for the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and allocates the remaining one Tx/Rx pair to the DP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3-only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제1 USB3 스위치를 연결하고, 상기 제1 USB3 스위치와 제2 USB3 스위치를 연결하고,
DP 지원 모드는 상기 제1 USB3 스위치의 연결 없이 상기 프로세서와 제2 USB3 스위치를 직접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DP 지원 모드는 상기 DP-only 모드 및 상기 concurrent USB 3-only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USB 3-only mode connects the processor and the first USB3 switch, and connects the first USB3 switch and the second USB3 switch,
In the DP support mode, the processor and the second USB3 switch are directly connected without connection of the first USB3 switch,
The DP support mode includes the DP-only mode and the concurrent USB 3-only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GPIO (I2C, UART)를 통해 일정 시간 내에 정해진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장치 간 연결이 상기 USB 3-only 모드가 아닌 상기 DP 지원 모드로 연결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 간 연결이 상기 DP 지원 모드로 연결된 경우, 컨트롤(control) GPIO를 기반으로 상기 제2 USB3 스위치의 셀렉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USB3 스위치 상에서의 연결을 USB3 스위치B에서 USB3 스위치A로 전환하여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제2 USB3 스위치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f a predetermined response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GPIO (I2C, UART),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device-to-device connection is connected in the DP support mode rather than the USB 3-only mode,
When the device-to-device connection is connected in the DP support mode, the processor establishes a connection on the second USB3 switch from a USB3 switch B to a USB3 switch A through the select port of the second USB3 switch based on a control GPIO. , and directly connecting the processor and the second USB3 switch.
추가 인터페이스 채널 사용하는 장치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구현된 USB 타입 C 포트; 및
상기 USB 타입 C 포트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장치 상에서 USB(universal serial bus) 타입 C의 플러그의 삽입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따른 메인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따른 미사용 USB 채널을 연결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메인 채널과 상기 미사용 USB 채널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전환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장치의 USB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미사용 USB 채널은 상기 USB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USB 동작 모드는 USB 3-only 모드, DP-only 모드 및 concurrent USB 3-only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USB 3-only 모드는 상기 미사용 USB 채널로 2개의 Tx/Rx 쌍 중 1개의 Tx/Rx 쌍을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을 위해 할당하고,
상기 DP-only 모드는 상기 미사용 USB 채널로 상기 2개의 Tx/Rx 쌍을 DP(display port)로 할당하고,
상기 concurrent USB 3-only 모드는 상기 미사용 USB 채널로 상기 2개의 Tx/Rx 쌍 중 1개의 Tx/Rx 쌍을 상기 미사용 USB 채널 통신을 위해 할당하고, 나머지 1개의 Tx/Rx 쌍을 상기 DP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Devices using additional interface channels are
USB Type-C port implemented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USB Type-C port,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SB (universal serial bus) type C plug on the device,
Connecting the main channel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It is implemented to connect an unused USB channel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The main channel and the unused USB channel are switch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USB operating mode of the device;
The unused USB channel is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B operation mode,
The USB operation mode includes a USB 3-only mode, a DP-only mode and a concurrent USB 3-only mode,
The USB 3-only mode allocates one Tx/Rx pair of two Tx/Rx pairs to the unused USB channel for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The DP-only mode allocates the two Tx/Rx pairs to the unused USB channel as a DP (display port),
The concurrent USB 3-only mode allocates one Tx/Rx pair of the two Tx/Rx pairs to the unused USB channel for the unused USB channel communication, and allocates the remaining one Tx/Rx pair to the D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SB 3-only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제1 USB3 스위치를 연결하고, 상기 제1 USB3 스위치와 제2 USB3 스위치를 연결하고,
DP 지원 모드는 상기 제1 USB3 스위치의 연결 없이 상기 프로세서와 제2 USB3 스위치를 직접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DP 지원 모드는 상기 DP-only 모드 및 상기 concurrent USB 3-only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SB 3-only mode connects the processor and the first USB3 switch, and connects the first USB3 switch and the second USB3 switch,
In the DP support mode, the processor and the second USB3 switch are directly connected without connection of the first USB3 switch,
The DP support mo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DP-only mode and the concurrent USB 3-only m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GPIO (I2C, UART)를 통해 일정 시간 내에 정해진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장치 간 연결이 상기 USB 3-only 모드가 아닌 상기 DP 지원 모드로 연결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 간 연결이 상기 DP 지원 모드로 연결된 경우, 컨트롤(control) GPIO를 기반으로 상기 제2 USB3 스위치의 셀렉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USB3 스위치 상에서의 연결을 USB3 스위치B에서 USB3 스위치A로 전환하여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제2 USB3 스위치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f a predetermined response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GPIO (I2C, UART),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device-to-device connection is connected in the DP support mode rather than the USB 3-only mode,
When the device-to-device connection is connected in the DP support mode, the processor establishes a connection on the second USB3 switch from a USB3 switch B to a USB3 switch A through the select port of the second USB3 switch based on a control GPIO. and to directly connect the processor and the second USB3 switch.
KR1020210021592A 2021-02-18 2021-02-18 Method for using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ctive KR1023344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592A KR102334462B1 (en) 2021-02-18 2021-02-18 Method for using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592A KR102334462B1 (en) 2021-02-18 2021-02-18 Method for using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462B1 true KR102334462B1 (en) 2021-12-03

Family

ID=7886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592A Active KR102334462B1 (en) 2021-02-18 2021-02-18 Method for using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46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2509A (en) * 2013-08-23 201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02395A (en) * 2014-05-19 2017-01-06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Switchless usb c-connector hub
KR20180097500A (en) * 2015-12-22 2018-08-31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USB power delivery signa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2509A (en) * 2013-08-23 201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02395A (en) * 2014-05-19 2017-01-06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Switchless usb c-connector hub
KR20180097500A (en) * 2015-12-22 2018-08-31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USB power delivery sign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2986B2 (en) Power delivery and data transmission using PCIe protocol via USB type-C port
US7895386B2 (en) USB interface provided with host/device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TWI782919B (en) Usb multi-host endpoint reflector hub
US8195852B2 (en) Configurable connector for system-level communication
KR102136068B1 (en) Control method for usb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103023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multi-link compilation partitioning
JP2011166720A (en) Motherboard compatible with multiple versions of usb, and related method
TW201640366A (en) USB Type-C connector module
US20250165427A1 (en) Pcie network card and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therefor,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8664440A (en) Interface server and cabinet
CN112799985B (en) USB interface control method, USB control circuit and intelligent networking equipment mainboard
US7802047B2 (en) Universal serial bus device and universal serial bus system including the same
TWI396086B (en) System for incorporation in a mobile device, method for connection and data transfer and related mobile phone
KR102334462B1 (en) Method for using additional interface chann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TWI651615B (en) A usb type-c adapter and the channel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usb device detection
CN214540750U (en) USB control circuit, intelligent networking equipment main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4911729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and interface circuit
CN117492525B (en) USB expansion device, bandwidth management method,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217134842U (en) Wire concentrator
CN114297123B (en) Type-C interface circuit and electronic equipment
CN220419824U (en) Main control unit of self-service terminal
CN110955629A (en) Computing device
CN119807107A (en) Interface control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5454748A (en) Test board, node selection method and component
KR10109812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CI express clock of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