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2358B1 - Adhesive sheet - Google Patents

Adhesive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358B1
KR102332358B1 KR1020210034186A KR20210034186A KR102332358B1 KR 102332358 B1 KR102332358 B1 KR 102332358B1 KR 1020210034186 A KR1020210034186 A KR 1020210034186A KR 20210034186 A KR20210034186 A KR 20210034186A KR 102332358 B1 KR102332358 B1 KR 102332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ase layer
adhesive sheet
attachment
incision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1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태준
Original Assignee
에이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제이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35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7Dispensing openings provided in the upper end-walls of tubular containers, the openings being closed by means of separate stopper or other clos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는, 점착력을 제공하여 일시적으로 서로 다른 두개의 외부 물체를 서로 고정하며, 부착면의 형상에 따라 변형가능하도록 탄성재질로 구성된 베이스레이어 및 상기 베이스레이어의 일면 중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착레이어를 포함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hesive force to temporarily fix two different external objects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base lay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to be deformab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ttachment surface. It includes an adhesive layer configured to provide adhesive force to at least a portion.

Description

점착시트{Adhesive sheet}Adhesive sheet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점착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sheet.

일반적으로 물티슈, 티슈, 마스크팩 등(이하 물티슈 등)은 물티슈 등을 보관하는 케이스에 복수의 물티슈 등이 적층되어 시판된다. 한편, 이러한 케이스의 상면에는 일반적으로 물티슈 등을 인출하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다.In general, wet tissues, tissues, mask packs,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t tissues, etc.) are market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wet tissues in a case storing the wet tissues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such a case is generally formed with an outlet for taking out wet tissues or the like.

한편, 사용자는 인출구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된 물티슈 등을 한 손으로 잡고 케이스에서 인출한다. 이때, 사용자가 물티슈 등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하게 되므로, 케이스 내부의 물티슈 등의 적재량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티슈 등과 이를 보관하는 케이스의 총 중량은 사용과정에서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물티슈 등을 보관하고 있는 케이스의 중량 감소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면 물티슈 등을 인출하는 힘에 의해 케이스가 들리는 현상이 있을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holds the wet tissue exposed to the external space through the outlet with one hand and withdraws it from the case. At this time, since the user withdraws the wet tissues from the case, the loading amount of the wet tissues inside the case is gradually reduced. Accordingly, the total weight of the wet tissue and the case storing it is gradually reduced in the course of use. When the weight reduction amount of the case storing the wet tissues or the lik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case may be lifted by the force of taking out the wet tissues or the lik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티슈 등의 적재량 감소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한 손으로 케이스에서 물티슈 등을 편리하게 인출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sheet in which a user can conveniently take out a wet tissue or the like from a case with one hand and stably fix it, regardless of a decrease in the amount of the wet tissue or the lik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는, 점착력을 제공하여 일시적으로 서로 다른 복수의 외부 물체를 서로 고정하며, 부착면의 형상에 따라 변형가능하도록 탄성재질로 구성된 베이스레이어 및 상기 베이스레이어의 일면 중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착레이어를 포함한다.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provides an adhesive force to temporarily fix a plurality of different external objects to each other, and a base lay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deformable according to the shape of an attachment surface; and an adhesive layer configured to provide adhesive force to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상기 점착시트는, 개방된 경로를 따라 상기 베이스레이어를 두께방향으로 절개하는 제1 절개라인에 의해 일측이 상기 베이스레이어 면 상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절개라인 외측의 베이스레이어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부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착부가 상기 제1 절개라인 외측의 베이스레이어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상기 부착부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절개라인의 양측에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절개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sheet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adhesive sheet can be separ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by a first cut line that cuts the bas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along an open path, and the other side is a base layer outside the first cut line An attachment portion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incision line, and the attachment portion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layer outside the first incision line to prevent stress concentration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attachment portion. Each of the second cut-out lines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may be included.

상기 제1 절개라인 및 상기 제2 절개라인은, 적어도 일부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ncision line and the second incision line may be formed to form a gentle curve.

상기 제1 절개라인 및 상기 제2 절개라인은, 상기 점착시트 상에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incision line and the second incision line may be symmetrically configured on the adhesive sheet.

상기 제1 절개라인의 좌우 대칭지점 중 적어도 일부가 좌우 폭이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left and right symmetric points of the first incision line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left and right widths.

상기 제2 절개라인은, 상기 제1 절개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레이어 외측을 향해 곡선을 이루며 이어지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에서 이어지며 상기 제1 구간의 끝에 대하여 소정각도를 이루는 지점까지 곡선을 이루며 이어지는 제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ut-out line is connected to the first cut-out line and curves to a point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first section and a first section that forms a curve toward the outside of the base layer, and continues from the first s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section that forms and continues.

상기 부착부 중 일단측의 일부에는 상기 점착레이어가 구비되지 않거나 상기 점착레이어보다 낮은 점착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제1 비점착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non-adhesive region i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not provided or has a lower adhesive strength than that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one end of the attachment portion.

상기 베이스레이어 중 외곽측의 일부에는 상기 점착레이어가 구비되지 않거나 상기 점착레이어보다 낮은 점착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제2 비점착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non-adhesive region i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not provided or has a lower adhesive strength than that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base layer.

상기 제1 절개라인의 개방된 부분은 상기 베이스레이어의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비점착영역은 상기 베이스레이어의 전방 외곽측에 형성될 수 있다.An open portion of the first cut-out line may be formed to face the front of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non-adhesive region may be formed on a front outer side of the base layer.

상기 점착시트가 서로 다른 두개의 외부 물체를 서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부착부는 어느 하나의 외부 물체에 부착되며, 상기 베이스레이어 상에서 상기 부착부를 제외한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하나의 외부 물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sheet secures two different external objects to each other, the attachment part is attached to any one external objec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other than the attachment part on the base layer is attached to the other external object. can be

상기 점착시트가 서로 다른 복수의 외부 물체를 서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부착부를 상기 베이스레이어의 면 상에서 이탈시키는 외력과 상기 점착레이어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제2 절개라인의 단부에 인장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레이어에서 상기 제2 절개라인을 포함하는 소정영역에는 상기 점착레이어가 구비되지 않거나 상기 점착레이어보다 낮은 점착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제3 비점착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sheet fixes a plurality of different external objects to each other, the external force that separates the attachment part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prevent concentration of tensile force at the end of the second incision line In order to do so, a third non-adhesive region i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not provided or has a lower adhesive strength than that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including the second cut-out line in the base layer.

상기 외부 물체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가 잡아당겨 인출하는 피인출물이 적재된 케이스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의 구조물이며, 상기 인장력은 상기 외부의 구조물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점착시트에 의해 고정되었을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인출물을 인출할 때 발생되는 것일 수 있다.One of the external objects is a case loaded with an object to be pulled out by the user and the other is an external structure. It may be generated when the to-be-withdrawn object is withdrawn.

상기 점착시트는 상기 외부 물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adhesive sheet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xternal object.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는 피인출물을 인출할 때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편히 케이스에서 피인출물을 인출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force for fixing the case when withdrawing the to-be-drawn objec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to-be-drawn object from the case with one han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의 사용상태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점착시트를 사용하여 물티슈 케이스를 외부 물체에 고정한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5는 외력과 부착시트의 면이 예각을 형성할 때, 부착부에 작용되는 응력이 분산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외력과 부착시트의 면이 직각을 형성할 때, 부착부에 작용되는 응력이 분산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외력과 부착시트의 면이 둔각을 형성할 때, 부착부에 작용되는 응력이 분산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점착시트에 고정된 물티슈 케이스에서 물티슈를 인출하는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가 부착된 물티슈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of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wet tissue case is fixed to an external object using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in which stress applied to an attachment portion is dispersed when an external force and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form an acute angl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in which stress applied to an attachment portion is dispersed when an external force and a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form a right angl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in which stress applied to an attachment portion is dispersed when an external force and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form an obtuse angle.
8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user draws out a wet tissue from a wet tissue case fixed to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wet tissue case to which an adhesive sheet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schematic diagrams that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orm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enlarged or reduced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에서 언급하는 '케이스'는 복수의 피인출물을 내부에 보관하는 용기이다. 예를 들어, 케이스는 종이, 비닐 포장지,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 널리 사용되는 재질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case' referred to below is a container for storing a plurality of drawables therein. For example, the cas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y one or one or more of widely used materials such as paper, plastic wrapper, synthetic resin, and plastic.

이때 여기서, 피인출물은 인출방식으로 케이스에서 인출되는 물체이다. 예를 들어 피인출물은, 물티슈(wet wipes), 티슈(tissue), 마스크팩(facial mask), 알코올솜 등일 수 있다.At this time, here, the object to be drawn out is an object drawn out of the case in a drawing method. For example, the to-be-drawn object may be wet wipes, a tissue, a facial mask, an alcohol swab, or the like.

한편, 케이스의 상부에는 피인출물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피인출물은 케이스 내부에서 상호 교차하는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나의 피인출물이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면 마찰력에 의해 바로 아래 적층된 피인출물이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피인출물과 함께 인출구 방향으로 이동되어 인출구 밖으로 노출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서 피인출물을 인출하는 사용자는 케이스를 손으로 고정하거나 다른 외부 구조물에 고정하여야 용이하게 피인출물을 인출할 수 있었다.Meanwhile, a draw-out hole through which an object to be drawn is drawn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In addition, a plurality of draw-outs may be stacked in a manner that intersects each other inside the case. For this reason, when one to-be-drawn object is drawn out by the user, the to-be-drawn-out stacked immediately below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draw-out port together with the to-be-drawn object drawn out by the user by frictional force, and may be exposed outside the draw-out port. In such a case, a user who withdraws a draw-out could easily withdraw a draw-out by fixing the case by hand or fixing it to another external structure.

물티슈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물티슈를 사용할 수록 물티슈 케이스 내에 물티슈의 적재량이 감소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물티슈 케이스의 중량과 물티슈 케이스의 내부에 적재된 물티슈의 중량 합인 총 중량은 지속적으로 감소되게 될 것이다. 한편, 물티슈가 인출될 때에는 인출구와 물티슈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게 된다. 물티슈 케이스의 총 중량이 소정량 이상 감소하면 총 중량에 의한 힘보다 물티슈와 인출구 사이의 마찰력이 크게 되게 된다.Taking wet wipes as an example, the more the user uses the wipes, the less the load amount of the wipes in the wet tissue case is. Due to this, the total weight, which is the sum of the weight of the wet tissue case and the weight of the wet tissues loaded inside the wet tissue case, will be continuously reduc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t tissue is drawn out,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outlet and the wet tissue. When the total weight of the wet tissue case is reduced by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wet tissue and the outlet becomes greater than the force due to the total weight.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해 한 손으로는 물티슈를 잡고 다른 손으로 물티슈 케이스를 잡아 물티슈 케이스에 별도의 외력을 제공해야한다.At this time, when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the user holds the wet tissue with one hand and the wet tissue case with the other hand to apply a separate external force to the wet tissue case to withdraw the wet tissue. should provide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를 사용하는 경우, 점착시트(1)가 점착력을 기반으로 물티슈 케이스를 외부 물체에 고정시키게 된다. 즉, 점착시트(1)가 점착력을 기반으로 물티슈 케이스에 외부 물체 방향으로의 힘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에 따라 총 중량이 감소하더라도 사용자는 한 손만 사용하여 물티슈를 물티슈 케이스에서 인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adhesive sheet 1 fixes the wet tissue case to an external object based on the adhesive force. That is, the adhesive sheet 1 provides a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object to the wet tissue case based on the adhesive force. Accordingly, even if the total weight is reduced according to use, the user can withdraw the wet tissue from the wet tissue case using only one han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점착시트의 구성><Composition of adhesive she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의 평면도이다. 이에 대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는 부착부(11) 및 부착시트(13)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plan view of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ttachment part 11 and an attachment sheet 13 .

여기서, 부착부(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에서 일측이 베이스레이어(10) 면 상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부착부(11)의 일측은 베이스레이어 면 상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후술하는 제1 절개라인(30) 외측의 베이스레이어(10) 부분과 연결된다. 이에 대하여, 부착시트(13)는 베이스레이어(10) 상에서 부착부(11)를 제외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attachment part 11 is defined as a part configured so that one side of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10 .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11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on the base layer surfac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base layer 10 outside the first incision line 30 to be described later. In contrast, the attachment sheet 13 may be defined as a region excluding the attachment portion 11 on the base layer 1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를 구성하는 레이어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는 베이스레이어(10) 및 점착레이어(2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describing the layers constituting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layer 10 and an adhesive layer 20 . includes

먼저, 베이스레이어(10)는 점착시트(1)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시트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레이어(10)는 부착면의 형상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2에는 베이스레이어(10)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인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레이어(10)의 형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또는 부착면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First, the base layer 10 is a sheet that determines the overall shape of the adhesive sheet (1). Specifically, the base layer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at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ttachment surface. 1 and 2, the shape of the base layer 10 is shown as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ave.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하는 방향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베이스레이어(10)의 전방은 화살표 H의 방향이다. 이에 대하여, 베이스레이어(10)의 후방은 화살표 B의 방향이다. 한편, 베이스레이어(10)의 좌측은 화살표 L 방향이며, 베이스레이어(10)의 우측은 화살표 R 방향이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ring to FIG. 1 for the directions mentioned below, the front of the base layer 10 is the direction of the arrow H. On the other hand, the back side of the base layer 10 i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On the other hand, the left side of the base layer 10 is the arrow L direction, and the right side of the base layer 10 is the arrow R direction.

도 2를 참조하면, 점착레이어(20)는 베이스레이어(10)의 일면 중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레이어이다. 예를 들어, 점착레이어(20)는 베이스레이어(10)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너무 강한 접착력을 갖는 점착제는 점착시트(1)를 외부 물체에서 탈착시키는 과정에 접착력으로 인해 베이스레이어(10)가 찢어질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는 점착시트(1)가 케이스를 충분히 고정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점착제는 점착시트(1)가 손상되지 않고 외부 구조물에 탈부착될 수 있는 정도의 점착력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adhesive layer 20 is a layer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10 .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provided by applying an adhesive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10 . At this time, the adhesive having too strong adhesive force may tear the base layer 10 due to the adhesive force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adhesive sheet 1 from an external object. In the opposite case, the adhesive sheet 1 does not sufficiently fix the case. may not be able to According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selected to have an adhesive strength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xternal structure without damag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

한편, 상술한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를 구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의 베이스레이어(10)는 두께방향으로 제1 절개라인(30)을 따라 절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above-described attachment portion 11 from the attachment sheet 13, the base layer 10 of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cut-out line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can be cut along the

구체적으로, 제1 절개라인(30)은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가 구별되도록 점착시트(1)를 두께방향으로 절개하는 선이다. 제1 절개라인(3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부착부(11)는 점착시트(1)에서 제1 절개라인(30)의 내측의 베이스레이어(10) 부분이다. 이에 대하여, 부착시트(13)는 제1 절개라인(30)의 외측 영역에 위치한 베이스레이어(10)의 일부다.Specifically, the first cut-out line 30 is a line that cuts the adhesive sheet 1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attachment part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are distinguishe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incision line 30 , the attachment part 11 is a portion of the base layer 10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incision line 30 in the adhesive sheet 1 . In contrast, the attachment sheet 13 is a part of the base layer 10 locat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first incision line 30 .

구체적으로, 제1 절개라인(30)은 개방된 경로를 따라 베이스레이어(10)를 절개한다. 여기서, 제1 절개라인(30)은 개방된 부분이 베이스레이어(10)의 전방(H)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착부(11)에서 부착시트(13)와 연결된 부분은 점착시트(1)의 전방측에 위치하며, 베이스레이어 면 상에서 이탈하는 부착부(11) 타측은, 점착시트(1)의 후방측에 위치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first incision line 30 cuts the base layer 10 along an open path. Here, the first incision line 3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pen portion faces the front H of the base layer 10 . For this reason, in the attachment part 11 , the part connected to the attachment sheet 13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adhesive sheet 1 , and the other side of the attachment part 11 detaching from the base layer surface is of the adhesive sheet 1 . will be located on the rear side.

또한, 제1 절개라인(30)은 베이스레이어(10)를 좌우대칭이 되도록 절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개라인(30)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베이스레이어(10)를 절개한다. 이때, 제1 절개라인(30)의 좌우 대칭지점 중 적어도 일부는 좌우 폭이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개라인(30)은 베이스레이어(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대칭지점의 폭이 증가되는 구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cision line 30 may cut the base layer 10 so as to be symmetrical left and right. Specifically, the base layer 10 is cut by drawing a gentle curve on the first incision line 30 . At this time, at least some of the left and right symmetric points of the first incision line 30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left and right widths. For example, the first incision line 30 may be formed to include a sec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symmetric point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base layer 10 .

이하에서는, 제1 절개라인(30)의 형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절개라인(30)을, 베이스레이어(10)의 좌우대칭축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한 제1A 절개라인(31)과 우측에 위치한 제1B 절개라인(33)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때, 제1A 절개라인(31)과 제1B 절개라인(3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부착부(11)는 제1A 절개라인(31)과 제1B 절개라인(33) 사이에 위치한 베이스레이어(10)의 일부이다.Hereinafter, in order to describe the shape of the first incision line 30 in more detail, the first incision line 30 is formed with the 1A incision line 31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left-right symmetry axis of the base layer 10 and It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by the 1B incision line 33 located on the right side. At this time, if described based on the 1A incision line 31 and the 1B incision line 33 , the attachment part 11 is a base layer located between the 1A incision line 31 and the 1B incision line 33 ( 10) is part of it.

구체적으로, 제1 절개라인(30)은 제1A 절개라인(31)과 제1B 절개라인(33)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정의되는 복수의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간은 평행구간(30a), 확장구간(30b) 및 축소구간(30c)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incision line 30 may have a plurality of sections defined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1A incision line 31 and the 1B incision line 33 .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ctions may include a parallel section 30a, an extended section 30b, and a reduced section 30c.

먼저, 평행구간(30a)은 제1 절개라인(30)의 개방된 부분에서 시작하여 제1A 절개라인(31)과 제1B 절개라인(33)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구간이다. 또한, 확장구간(30b)은 평행구간(30a) 이후 베이스레이어(10)의 후방으로 제1A 절개라인(31)과 제1B 절개라인(33)의 간격이 넓어지는 구간이다. 또한, 축소구간(30c)은 확장구간(30b)이후 제1A 절개라인(31)과 제1B 절개라인(33)의 간격이 좁아지다 종국적으로 제1A 절개라인(31)과 제1B 절개라인(33)이 베이스레이어(10)의 좌우대칭축에서 만나게 되는 구간이다. 이는 후술할 바와 같이 부착부(11)의 점착력을 증가시키게 하기 위함일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First, the parallel section 30a is a section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1A incision line 31 and the 1B incision line 33 is constant, starting from the open portion of the first incision line 30 . In addition, the expansion section 30b is a section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1A cut-out line 31 and the 1B cut-out line 33 is widened to the rear of the base layer 10 after the parallel section 30a. In addition, in the reduction section 30c, after the expansion section 30b, the interval between the 1A incision line 31 and the 1B incision line 33 becomes narrower. Ultimately, the 1A incision line 31 and the 1B incision line 33 ) is a section that meets on the left and right axis of symmetry of the base layer 10 . This may be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attachment part 11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부착부(11)를 상술된 구간들을 기초로 설명하면, 부착부(11)는 베이스레이어(10) 상에서 평행구간(30a) 부분, 확장구간(30b) 부분 및 축소구간(30c) 부분을 합친 부분일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attachment part 11 is describ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ections, the attachment part 11 is a parallel section 30a part, an expansion section 30b part, and a reduction section 30c part on the base layer 10. It may be a combined part.

한편, 제2 절개라인(40)은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일점 또는 일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절개선이다. 구체적으로, 제2 절개라인(40)은 제1 절개라인(30)의 양측에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2 절개라인(40)에 의해 응력집중이 방지되는 효과는 차후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ut-out line 40 is a cut-off line formed to prevent stress from being concentrated at one point or a part when the attachment part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form a predetermined angle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Specifically, the second incision line 40 extends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cision line 30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effect of preventing stress concentration by the second incision line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구체적으로, 제2 절개라인(40)은 베이스레이어(10)의 일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절개라인(40)은 베이스레이어(10) 상에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절개라인(40) 중 제1A 절개라인(31)에 이어진 절개라인을 제2A 절개라인(41)이라하고, 제2 절개라인(40) 중 제1B 절개라인(33)에 이어진 절개라인을 제2B 절개라인(43)이라 칭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incision line 40 may be formed to form a gentle curve to prevent stress from being concentrated in a portion of the base layer 10 . In addition, the second incision line 40 may be symmetrically configured on the base layer 10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incision line connected to the 1A incision line 31 among the second incision lines 40 is referred to as the 2A incision line 41 , and the 1B incision line among the second incision lines 40 . The incision line following (33) is referred to as the 2B incision line (43).

한편, 제2 절개라인(40)을 구간을 나누어보면 제2 절개라인(40)은 구체적으로 제1 구간(40a), 제2 구간(40b) 및 제3 구간(40c)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econd cut-out line 40 is divided into sections, the second cut-out line 40 may specifically include a first section 40a, a second section 40b, and a third section 40c.

먼저, 제1 구간(40a)은 제1 절개라인(30)과 연결되며 베이스레이어(10)의 외측을 향해 곡선을 이루는 구간이다. 구체적으로, 제2A 절개라인(41)의 제1 구간(40a)은 베이스레이어(10)의 좌측단으로 향하며 곡선을 이루고 제2B 절개라인(43) 의 제1 구간(40a)은 베이스레이어의 우측단으로 향하며 곡선을 이뤄 부착부(11)가 베이스레이어(10)에 연결된 부분의 폭을 증가시킨다.First, the first section 40a is a sec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cut-out line 30 and forms a curve toward the outside of the base layer 10 . Specifically, the first section 40a of the 2A cut-out line 41 is curved toward the left end of the base layer 10, and the first section 40a of the 2B cut-out line 43 is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layer.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attachment portion 11 is connected to the base layer 10 increases by forming a curve toward the end.

제2 구간(40b)은 제1 구간(40a)의 끝에서 소정각도를 이루는 지점까지 곡선을 그리는 지점이다. 구체적으로, 제2A 절개라인(41)과 제2B 절개라인(43)은 각각 제1A 절개라인(31)과 제1B 절개라인(33)의 단부보다 베이스레이어의 후단(B방향)에 근접한 베이스레이어(10) 상의 소정 지점을 향해 곡선을 그리며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이때 제2A 절개라인(41)과 제2B 절개라인(43)은 좌우대칭 지점의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ection 40b is a point at which a curve is drawn from the end of the first section 40a to a point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Specifically, the 2A incision line 41 and the 2B incision line 43 are closer to the rear end (B direction) of the base layer than the ends of the 1A incision line 31 and the 1B incision line 33, respectively. It can be continued by drawing a curve toward a predetermined point on (10).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2A incision line 41 and the 2B incision line 43 may be formed to increase the width of the left-right symmetry point.

제3 구간(40c)은 제2 구간(40b)에서 베이스레이어(10)의 후단(B방향)을 향해 소정길이만큼 직선을 이루는 구간이다. 이때, 제3 구간(40c)은, 제2A 절개라인(41)과 제2B 절개라인(43)에서 제3 구간(40c)에 해당하는 부분이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section 40c is a section forming a straight line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end (B direction) of the base layer 10 in the second section 40b. In this case, the third section 40c may be formed such th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third section 40c in the 2A cut-out line 41 and the 2B cut-out line 43 are parallel.

한편, 제3 구간(40c)과 베이스레이어(10)의 단부 사이의 거리(이하, 제1 간격; D1)는 점착시트(1)를 사용할 때 응력집중을 고려하여 소정 길이 이상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격(D1)은 제3 구간(40c)과 제1 절개라인(30)의 직선거리(이하 제2 간격; D2)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hereinafter, the first interval; D1) between the third section 40c and the end of the base layer 10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consideration of stress concentration when the adhesive sheet 1 is used. have. For example, the first interval D1 may be set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a straight distance (hereinafter, second interval; D2) between the third section 40c and the first incision line 30 .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비점착영역><Non-adhesive area>

계속하여,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의 이면에는 복수의 비점착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점착영역은, 베이스레이어(10)의 이면에 점착레이어(20)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베이스레이어(10)의 이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이 비점착영역일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2 , a plurality of non-adhesive regions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non-adhesive region may mean a region in which the adhesive layer 20 is not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layer 10 . That is, the portion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layer 10 to which the adhesive is not applied may be a non-adhesive region.

상술한 설명에서 비점착영역은 점착레이어(20)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점착영역은 점착레이어(20)보다 점착력이 낮은 점착제가 도포된 영역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비점착영역에는 점착레이어(20)가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non-adhesive region is a region to which the adhesive layer 20 is not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on-adhesive region may be a region to which an adhesive having a lower adhesive strength than that of the adhesive layer 20 is applied.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adhesive layer 20 is not provided in the non-adhesive reg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비점착영역은 형성된 부위에 따라 제1 비점착영역(21), 제2 비점착영역(23) 및 제3 비점착영역(25)으로 구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n-adhesive region may be divided into a first non-adhesive region 21 , a second non-adhesive region 23 , and a third non-adhesive region 25 according to a formed portion.

먼저, 제1 비점착영역(21)은 부착부(11)에 형성된 비점착영역이다. 제1 비점착영역(21)은 부착부(11)가 피부착물의 면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부(11)의 일단은 피점착물에 점착되지 않도록 한다.First, the first non-adhesive region 21 is a non-adhesive region formed in the attachment portion 11 . In the first non-adhesive region 21 , one end of the attaching part 11 does not adhere to the adherend while the attachment part 11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dherend.

구체적으로, 제1 비점착영역(21)은 부착부(11)의 후단측(화살표 B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착부(11)가 피점착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부(11)의 머리부분의 끝 부분은 피부착물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부착부(11)를 피점착물과 분리하고자 할 때 제1 비점착영역(21) 부분을 파지하여 용이하게 부착부(11)와 피점착물을 분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non-adhesive region 21 may be formed on the rear end side (arrow B direction) of the attachment part 11 .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part 11 is attached to the adherend, the end of the head of the attachment part 11 may not be attached to the adherend. Accordingly, when the user wants to separate the attachment portion 11 from the adherend,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attachment portion 11 from the adherend by holding the portion of the first non-adhesive region 21 .

한편, 제2 비점착영역(23)은 베이스레이어(10)의 외곽측에 형성된 비점착영역이다. 여기서, 제2 비점착영역(23)은 사용자가 피부착물인 외부구조물의 일면(이하, 부착면) 상에 점착된 점착시트(1)를 탈착시키기 용이하도록 구비된 비점착영역일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non-adhesive region 23 is a non-adhesive region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ase layer 10 . Here, the second non-adhesive area 23 may be a non-adhesive area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a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adhered on one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external structure to which the skin is attached.

구체적으로, 제2 비점착영역(23)은 베이스레이어(10)의 전단측(화살표 H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점착시트(1)를 부착면으로부터 분리할 때, 점착시트(1)가 전방(H 방향)부분부터 분리되도록 유도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non-adhesive region 23 may be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arrow H direction) of the base layer 10 . This induces the adhesive sheet 1 to be separated from the front (H direction) portion when the user separates the adhesive sheet 1 from the attachment surface.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베이스레이어(10)에서 점착레이어(20)로 향하는 방향을 하방이라 하고 그 역방향을 상방이라고 할때, 사용자가 제2 비점착영역(23)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점착시트(1)를 부착면에서 탈착시키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때, 점착시트(1)가 전방(H 방향)부부터 분리되는 것과 후방(B 방향)부부터 분리되는 것은 이하와 같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in the following, when the direction from the base layer 10 to the adhesive layer 20 is called downward and the reverse direction is called upward, the user lifts the second non-adhesive region 23 upward to the adhesive sheet. (1) is assumed to be detached from the attachment surface. At this time, the separation of the adhesive sheet 1 from the front (H direction) portion and the separation from the rear (B direction) portion may have the following differences.

먼저, 점착시트(1)가 전방부터 부착면에서 분리되는 경우,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가 연결된 부분이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가 제1 절개라인(30)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부분보다 먼저 부착면에서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점착시트(1)가 부착면에서 탈착되며 자연스럽게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 모두 탈착되게 된다.First, when the adhesive sheet 1 is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surface from the front, the portion where the attachment part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are connected is the attachment part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is the first cut-out line 30 ) will separate from the attachment surface before the parts not connected by Therefore, the adhesive sheet 1 is detached from the attachment surface, and both the attachment part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are detachably detached.

반면, 점착시트(1)가 후방부터 부착면에서 분리되는 경우,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가 연결되지 않은 부분이 먼저 부착면에서 이탈되어, 부착부(11)는 여전히 부착면에 부착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점착시트(1)를 부착면에서 완전히 분리하기 위해서는, 부착부(11)에 별도의 외력을 가해 부착면에서 이탈시켜야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점착시트(1)를 부착면에서 이탈시키는 과정에서, 부착부(11)는 점착상태를 유지하는데 반해 점착시트(1)는 부착면에서 분리되어 제1 절개라인(30)의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점착시트(1)가 찢겨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dhesive sheet 1 is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surface from the rear, the portion where the attachment part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are not connected is first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surface, and the attachment part 11 is still attached to the attachment surface. may remain attached to the For this reason, in order for the user to completely separate the adhesive sheet 1 from the attachment surface, a separate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attachment part 11 to separate it from the attachment surface. Also, in this case,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adhesive sheet 1 from the attachment surface, the attachment part 11 maintains the adhesive state, whereas the adhesive sheet 1 is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surface and ends at the end of the first incision line 30 . Th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may be torn.

제3 비점착영역(25)은 베이스레이어(10)의 이면에 제2 절개라인(40)을 덮는 소정 영역에 형성된 비점착영역이다. 예를 들어, 제3 비점착영역(25)이 형성되는 소정영역은 내부에 제2 절개라인(40)을 전부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The third non-adhesive region 25 is a non-adhesive region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covering the second cut-out line 40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layer 10 .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region in which the third non-adhesive region 25 is formed may be a region including the entire second cut-out line 40 therein.

구체적으로, 제3 비점착영역(25)은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가 서로 다른 외부 물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부착시트(13)(구체적으로 제2 절개라인의 단부)에 인장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비점착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인장력은 부착부(11)를 베이스레이어의 면 상에서 이탈시키는 외력과 점착시트(1)의 점착력에 의해,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을 받아 제2 절개라인(40)의 단부에 작용되는 인장력일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third non-adhesive region 25,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attachment sheet 13 (specifically, the end of the second incision line) in a state where the attachment part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are fixed to different external objects. It may be a non-adhesive area provided to prevent concentration. Here, the tensile force is an external force that separates the attachment part 11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sheet 1 , and the attachment part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receive a force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second It may be a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end of the incision line (40).

만약, 제3 비점착영역(25)이 없는 경우,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외력을 받아 제2 절개라인(40) 끝부분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절개라인(40)의 끝부분이 외력에 의해 더욱 절개되어 점착시트(1)가 훼손될 수 있다.If there is no third non-adhesive area 25, the attachment part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may receive external force in different directions, and stress may be concentrated at the end of the second cut-out line 40. In this case, the end of the second incision line 40 may be further cut by an external force to damage the adhesive sheet 1 .

반대로, 제3 비점착영역(25)이 존재하는 경우,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에 외력이 가해지면 베이스레이어(10)에서 제3 비점착영역(25)이 부착부(11) 또는 부착시트(13)를 따라 이동되며 응력이 부착시트(13)의 일점에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Conversely, when the third non-adhesive region 25 is presen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attachment portion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 the third non-adhesive region 25 in the base layer 10 becomes the attachment portion 11 . ) or is moved along the attachment sheet 13 so that the stress is not concentrated on one point of the attachment sheet 13 .

<응력분산구조><Stress distribution structure>

이하에서는 도3 내지 도7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의 응력을 분산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기술한다. Hereinafter, a structure for dispersing the str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3 to 7 .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의 사용상태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를 이용하여 물티슈 케이스를 외부 물체에 고정한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First,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wet tissue case is fixed to an external object using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의 사용시에 부착부(11)는 베이스레이어(10)의 면 상에 이탈된 상태에서 외부 물체에 부착되고, 부착시트(13)는 부착부(11)와 다른 외부 물체에 부착되게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는 점착레이어(20)의 점착력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외부 물체를 고정한다.Referring to FIG. 3 , when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attachment part 11 is attached to an external object in a state detached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10 , The sheet 13 may be attached to an external object different from the attachment part 11 . In this state,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wo different external objects based o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20 .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부착부(11)를 물티슈 케이스(P)에 부착하고 부착시트(13)를 외부 물체에 부착하여 물티슈 케이스(P)를 외부 물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 물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물체는 책상, 바닥, 벽 또는 기타 구조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user attaches the attachment part 11 to the wet tissue case (P) and attaches the attachment sheet 13 to the external object to fix the wet tissue case (P) to the external object. can In this case, the external object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For example, the external object may be selected from a desk, floor, wall or other structure.

한편, 도 4에는 부착부(11)가 물티슈 케이스(P)에 부착되고 부착시트(13)가 외부 물체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대로 부착부(11)가 외부 물체에 부착되고 부착시트(13)가 물티슈 케이스(P)에 부착되더라도 무관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부착부(11)가 물티슈 케이스(P)에 부착되고 부착시트(13)가 외부 물체(미도시)에 부착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Meanwhile, in FIG. 4 , it is illustrated that the attachment part 11 is attached to the wet tissue case P and the attachment sheet 13 is attached to an external obje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does not matter if the attachment part 11 is attached to an external object and the attachment sheet 13 is attached to the wet tissue case P, on the contrary.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attachment part 11 is attached to the wet tissue case P and the attachment sheet 13 is attached to an external object (not shown).

또한, 도 4에는 점착시트(1)를 이용하여 물티슈 케이스(P)를 고정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시트(1)는 피인출물을 인출하는 케이스 방식의 물품에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4, an example of fixing the wet tissue case P using the adhesive sheet 1 is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an be used for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에서 응력을 분산시키는 부분을 표시한 도면이다.Meanwhile, FIGS. 5 to 7 are views showing a portion for dispersing stres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은 외부의 두 물체를 고정한 부착부(11)에 작용하는 외력(F)과 부착시트(13)의 면(또는 베이스레이어의 면)이 이루는 사잇각에 따라 응력을 분산시키는 부분을 표시한 도면이다.5 to 7 show a portion for dispersing stress according to the angle between the external force F acting on the attachment part 11 that fixes two external objects and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13 (or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the drawing shown.

사용자는, 부착부(11)가 물티슈 케이스(P)에 부착되고 부착시트(13)가 외부 물체(미도시)에 부착된 상태에서 다양한 각도로 피인출물(W)을 잡아당겨 케이스(P)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The user pulls the to-be-drawn object W from the case P at various angles i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part 11 is attached to the wet tissue case P and the attachment sheet 13 is attached to an external object (not shown). can be pulled out

이때, 필수적으로 상측을 향하는 외력이 작용되나, 선택적으로 측면을 향하는 외력(피인출물을 측면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해)도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점착시트(1)는 케이스(P)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제공하며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At this time, an external force directed upward is necessarily applied, but an external force directed to the side (by a force pulling the object to be drawn out in the side direction) may optionally also be generated. Even in this case,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force for fixing the case P and should not be damaged.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피인출물(W)을 잡아당겨 최종적으로 점착시트(1)에 다양한 각도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각도의 외력은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가 예각,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룬 상태로 부착부(11)에 작용되는 외력일 수 있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user pulls the to-be-drawn object W at various angles and fin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is subjected to external forces of various angl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example, the external force of various angles may be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attachment part 11 in a state where the attachment part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form an acute angle,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한편, 케이스(P)는 외부 물체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별개의 압축력이 작용하더라도 점착시트(1)에 대한 파손 우려는 적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인장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절개라인(40)이 형성된 영역에서의 응력 분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ase P is seated on an external object, there is little risk of damage to the adhesive sheet 1 even if a separate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herefore, hereinafter,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region where the second cut-out line 40 is formed to prevent damage due to tensile for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5는 외력과 부착시트의 면이 예각을 형성할 때, 부착부에 작용되는 응력이 분산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11)와 외력(F)이 예각을 형성할 때에는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가 연결된 부분에서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Firs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in which stress applied to an attachment portion is dispersed when an external force and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form an acute angle. As shown in FIG. 5 , when the attachment portion 11 and the external force F form an acute angle, stress may be dispersed at a portion where the attachment portion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are connected.

구체적으로, 제2 절개라인(40)에 의해 부착부(11)와 부착시트(13)가 연결된 부분의 폭이 증가되어 응력 분산에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이는, 베이스레이어(10)가 제1 구간(40a)에 따라 절개되어 얻어진 효과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attachment portion 11 and the attachment sheet 13 are connected by the second cut-out line 40 is increased, so that stress distribution may be more efficient. This may be an effect obtained by cutting the base layer 10 along the first section 40a.

한편, 도 6은 외력과 부착시트의 면이 직각을 형성할 때, 부착부에 작용되는 응력이 분산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11)와 외력(F)이 직각을 형성할 때에는 부착시트(13)에서 제2 구간(40b) 및 제3 구간(40c)에 인접한 부분이 함께 외력(F) 방향으로 상승하며 응력을 분산시킨다. 이는, 제3 비점착영역(25)에 의해 제2 절개라인(40) 부분의 베이스레이어(10)가 외부구조물에 부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Meanwhile, FIG. 6 is a view showing a portion in which the stress applied to the attachment portion is dispersed when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forms a right angle with the external force. As shown in FIG. 6 , when the attachment portion 11 and the external force F form a right angle, the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section 40b and the third section 40c in the attachment sheet 13 is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 It rises in the direction F) and disperses the stress. This is because the base layer 10 of the second cut-out line 40 is not attached to the external structure by the third non-adhesive region 25 .

한편, 도 7은 외력과 부착시트의 면이 둔각을 형성할 때, 부착부에 작용되는 응력이 분산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11)와 외력(F)이 둔각을 형성할 때에는 부착시트(13)에서 제2 구간(40b) 및 제3 구간(40c)에 인접한 부분이 외력(F) 방향으로 상승하며 응력을 분산시킨다.Meanwhil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in which the stress applied to the attachment portion is dispersed when an external force and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form an obtuse angle. As shown in FIG. 7 , when the attachment portion 11 and the external force F form an obtuse angle, the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section 40b and the third section 40c of the attachment sheet 13 is the external force F ) to dissipate the stress.

한편, 상술한 제1 간격(D1)에 소정 길이가 요구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 간격(D1)이 소정길이 이하로 짧은 경우, 점착시트(1)에서 제2 절개라인(40)과 단부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 피인출물을 인출하는 외력(F)에 의해 응력이 집중되어 찢어지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제1 간격(D1)이 필요이상으로 길어지는 경우 재료 원가 상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간격(D1)은 응력집중 및 재료원가를 고려하여 제2 간격(D2)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그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explaining the reason why a predetermined length is required for the above-described first interval (D1), when the first interval (D1)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the second cut-out line 40 in the adhesive sheet 1 and This is because th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ends may be torn due to the concentration of stress by the external force F that draws out the to-be-drawn object. In this case, when the first interval D1 is longer than necessary, there may be a disadvantage in terms of material cost. Accordingly, the first gap D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equal to, similar to, or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gap D2 in consideration of stress concentration and material cos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11)는 부착시트(13)와 연결된 부분에 대하여 폭이 증가하는 구간을 갖는 목-머리 구조를 형성하는데, 이는 아래와 같은 이유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ttachment portion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neck-head structure having a section in which the width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attachment sheet 13 , which may be for the following reasons.

구체적으로, 부착부(11)의 형상이 폭이 변화가 없이 일자의 형상인 경우, 제1 간격(D1)을 소정 길이 이상으로 유지하려면 부착부(11)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 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부착부(11)의 너비가 감소함에 따라 외부구조물을 고정하는 힘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11)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부착부의 폭을 보다 넓게 형성하는 경우, 재료원가상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재료 원가를 고려하여 부착부(11)의 폭은 증가시키되 점착시트(1)의 폭을 그대로 두는 경우 제1 간격(D1)이 짧아져 사용과정에서 점착시트(1)가 상술한 이유로 찢겨질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hape of the attachment part 11 is a straight shape without a change in width, the width of the attachment part 11 has to be relatively narrow in order to maintain the first interval D1 to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 In this case, as the width of the attachment portion 11 decreases, the force for fixing the external structure may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width of the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to be wider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force of the attachment portion 11 , there may be a disadvantage in terms of material cost.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cost, the width of the attachment part 11 is increased, but when the width of the adhesive sheet 1 is left as it is, the first interval D1 is shortened, so that the adhesive sheet 1 is torn in the process of use for the above-mentioned reasons. can get

<사용 방법><How to use>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의 사용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8 to 9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점착시트에 고정된 물티슈 케이스에서 물티슈를 인출하는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는 사용자가 물티슈(W)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점착력을 기반으로 물티슈 케이스(P)에 고정력을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물티슈 케이스(P)는 물티슈(W)를 인출하는 힘(F)에 의해 물티슈(W)와 함께 인출 방향으로 끌려가지 않게 될 수 있다.First,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user draws out a wet tissue from a wet tissue case fixed to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force to the wet tissue case P based on the adhesive force in the process of drawing out the wet tissue W by the user. For this reason, the wet tissue case (P) may not be pulle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wet tissue (W) by the force (F) to withdraw the wet tissue (W).

보다 상세하게, 물티슈를 인출하는 힘(F)에 의하여 물티슈 케이스(P)는 외력 방향으로 상승되어 물티슈 케이스(P)와 외부 물체가 비접촉 상태(도 8 화살표 참조)가 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물티슈(W)를 계속 잡아당겨 인출한다. 이때, 사용자가 물티슈(W)를 잡아 당기는 힘(F)에 의해 점착시트(1)에는 응력이 작용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응력은 힘(F)과 부착시트(1)의 각도에 따라 점착시트(1)의 면상의 소정부분에서 분산되게 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wet tissue case (P) is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by the force (F) to withdraw the wet tissue so that the wet tissue case (P) and the external object are in a non-contact state (refer to the arrow in FIG. 8), and in this state, the user Keep pulling the wet tissue (W) to take it out. At this time, a stress is appli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by the user pulling the wet tissue (W) (F).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is stress may be dispers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the force F and the angle of the adhesive sheet 1 .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가 부착된 물티슈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 물티슈 케이스(P)의 커버(C) 부분에 부착된 상태로 수요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시트(1)는 일면 상에는 공급자의 상표 등이 인쇄된 채 커버(C)에 부착되어 시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시트(1)는 점착시트(1)의 사용과정에서 점착시트(1)와 물티슈 케이스(P)가 필연적으로 분리되게 되므로, 점착시트(1)와 물티슈 케이스(P)의 분리 배출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FIG. 9 is a view showing a wet tissue case to which an adhesive sheet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the consumer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cover (C) portion of the wet tissue case (P). For example, the adhesive sheet 1 may be marketed by being attached to the cover C with the supplier's trademark printed on one surface. For this reason, in the adhesive she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sheet 1 and the wet tissue case P are inevitably separat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adhesive sheet 1, so that the adhesive sheet 1 and the There is an effect of inducing separation of the wet tissue case (P).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점착시트 10: 베이스레이어
11: 부착부 13: 부착시트
20: 점착레이어 21: 제1 비점착영역
23: 제2 비점착영역 25: 제3 비점착영역
30: 제1 절개라인 31: 제1A 절개라인
33: 제1B 절개라인 30a: 평행구간
30b: 확장구간 30c: 축소구간
40: 제2 절개라인 41: 제2A 절개라인
43: 제2B 절개라인 40a: 제1 구간
40b: 제2 구간 40c: 제3 구간
C: 커버 D1: 제1 간격
D2: 제2 간격 F: 외력
P: 물티슈 케이스 W: 물티슈
1: adhesive sheet 10: base layer
11: attachment part 13: attachment sheet
20: adhesive layer 21: first non-adhesive area
23: second non-adhesive area 25: third non-adhesive area
30: first incision line 31: first incision line 1A
33: 1B incision line 30a: parallel section
30b: extended section 30c: reduced section
40: second incision line 41: second incision line 2A
43: 2B incision line 40a: first section
40b: second section 40c: third section
C: cover D1: first gap
D2: second gap F: external force
P: Wet wipes case W: Wet wipes

Claims (12)

부착면의 형상에 따라 변형가능하도록 탄성재질로 구성된 베이스레이어; 및 상기 베이스레이어의 일면 중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착레이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로서,
상기 점착시트는,
개방된 경로를 따라 상기 베이스레이어를 두께방향으로 절개하는 제1 절개라인에 의해 일측이 상기 베이스레이어 면 상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절개라인 외측의 베이스레이어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부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착부가 상기 제1 절개라인 외측의 베이스레이어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상기 부착부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절개라인의 양측에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절개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시트가 서로 다른 복수의 외부 물체를 서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부착부를 상기 베이스레이어의 면 상에서 이탈시키는 외력과 상기 점착레이어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제2 절개라인의 단부에 인장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레이어에서 상기 제2 절개라인을 포함하는 소정영역에는 상기 점착레이어가 구비되지 않거나 상기 점착레이어보다 낮은 점착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비점착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점착시트가 서로 다른 두개의 외부 물체를 서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부착부는 어느 하나의 외부 물체에 부착되며, 상기 베이스레이어 상의 상기 부착부를 제외한 영역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하나의 외부 물체에 부착되는, 점착시트.
a base lay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deformab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ttachment surface; and an adhesive layer configured to provide adhesive strength to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The adhesive sheet,
One sid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by a first cut line that cuts the bas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along an open path,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base layer outside the first cut line An attachment is provided,
The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cision line so as to prevent stress concentration when the attachment portion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layer outside the first incision line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attachment portion It includes a second incision line,
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sheet secures a plurality of different external objects to each other, the external force that separates the attachment part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prevent concentration of tensile force at the end of the second incision line In the base layer, in a predetermined region including the second cut-out line, a non-adhesive region is formed i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not provided or is provided to have a lower adhesive force than the adhesive layer,
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sheet fixes two different external objects to each other, the attachment part is attached to any one external object, and at least a portion of an area on the base layer excluding the attachment part is attached to the other external object, adhesive she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라인 및 상기 제2 절개라인은,
적어도 일부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점착시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cision line and the second incision line ar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ormed to form a gentle curv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라인 및 상기 제2 절개라인은,
상기 점착시트 상에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는, 점착시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cision line and the second incision line are,
Consisting of left-right symmetry on the adhesive sheet, the adhesive shee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라인의 좌우 대칭지점 중 적어도 일부가 좌우 폭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점착시트.
4.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some of the left and right symmetric points of the first incision line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left and right widths, the adhesive she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개라인은,
상기 제1 절개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레이어 외측을 향해 곡선을 이루며 이어지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에서 이어지며 상기 제1 구간의 끝에 대하여 소정각도를 이루는 지점까지 곡선을 이루며 이어지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점착시트.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incision line is
A first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incision line and cur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ase layer, and a second section continuing from the first section and forming a curve to a point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first section Including, the adhesive she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 중 일단측의 일부에는 상기 점착레이어가 구비되지 않거나 상기 점착레이어보다 낮은 점착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추가 비점착영역이 형성되는, 점착시트.
According to claim 1,
An additional non-adhesive region is formed on a portion of one end of the attachment portion,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not provided or an additional non-adhesive region provided to have a lower adhesive strength than that of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레이어 중 외곽측의 일부에는 상기 점착레이어가 구비되지 않거나 상기 점착레이어보다 낮은 점착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추가 비점착영역이 형성되는, 점착시트.
According to claim 1,
An additional non-adhesive reg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base layer i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not provided or has a lower adhesive strength than that of the adhesive layer, the adhesive shee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라인의 개방된 부분은 상기 베이스레이어의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추가 비점착영역은 상기 베이스레이어의 전방 외곽측에 형성되는, 점착시트.
8. The method of claim 7,
An open portion of the first incision line is formed to face the front of the base layer, and the additional non-adhesive region is formed on the front outer side of the base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물체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가 잡아당겨 인출하는 피인출물이 적재된 케이스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의 구조물이며,
상기 인장력은 상기 외부의 구조물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점착시트에 의해 고정되었을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인출물을 인출할 때 발생되는 것인, 점착시트.
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external objects is a case loaded with an object to be pulled out by the user, and the other is an external structure,
The tensile force will be generated when the user withdraws the to-be-drawn object when the external structure and the case are fixed by the adhesive sheet, the adhesive she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상기 외부 물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점착시트.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sheet,
An adhesive sheet that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xternal object.
KR1020210034186A 2021-02-09 2021-03-16 Adhesive sheet Active KR1023323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8517 2021-02-09
KR1020210018517 2021-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358B1 true KR102332358B1 (en) 2021-12-01

Family

ID=7890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186A Active KR102332358B1 (en) 2021-02-09 2021-03-16 Adhesive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35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972A (en) * 1996-07-09 1998-01-27 Meisei Sansho Kk Label for lid of package body
JP2005178844A (en) * 2003-12-19 2005-07-07 Pigeon Corp Wet tissue container
CN203153600U (en) * 2012-12-21 2013-08-28 张伟 Fixed type tissue extraction box
KR20160123686A (en) * 2015-04-16 2016-10-26 장성환 opening part of wet tiss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972A (en) * 1996-07-09 1998-01-27 Meisei Sansho Kk Label for lid of package body
JP2005178844A (en) * 2003-12-19 2005-07-07 Pigeon Corp Wet tissue container
CN203153600U (en) * 2012-12-21 2013-08-28 张伟 Fixed type tissue extraction box
KR20160123686A (en) * 2015-04-16 2016-10-26 장성환 opening part of wet tiss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3411B2 (en) Peelable label sheet and related method
CA2096474C (en) Container
US10532879B2 (en) Dispenser and shield
JP2009007428A (en) Stretchable release tape
US20100252567A1 (en) Padded labels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labels
KR20090048323A (en) Patch sheet
KR102332358B1 (en) Adhesive sheet
US20140110299A1 (en) Package of sheet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08299053A (en) RFID label
KR102824146B1 (en) A glass roll
JP2001278366A (en) Carton for tissue paper
TWI675784B (en) Storage container
JP7546801B1 (en) Stacking aid
CN220975119U (en) Film coating convenient for extracting disposable dry towel
KR200381477Y1 (en) Tissue box that attach holder
JP7506954B2 (en) Adhesive tape
US12252328B2 (en) Dispensers, blank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JPS5811690Y2 (en) Handle attached to paper box
JP3979537B2 (en) Wrap film drawer
TW201813568A (en) Personal care article with sanitary sheild
KR20190113225A (en) Twin combo box-tissue
JP5859354B2 (en) Sanitary tissue paper storage box
KR20130104327A (en) Adhesive tape
KR101748087B1 (en) Multi-function with a fixing device
KR20200000846U (en) Double-coated adhesive t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