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29982B1 - 무선통신 기반 승강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기반 승강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982B1
KR102329982B1 KR1020200045010A KR20200045010A KR102329982B1 KR 102329982 B1 KR102329982 B1 KR 102329982B1 KR 1020200045010 A KR1020200045010 A KR 1020200045010A KR 20200045010 A KR20200045010 A KR 20200045010A KR 102329982 B1 KR102329982 B1 KR 102329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provi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335A (ko
Inventor
주양익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9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9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23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after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무선통신 기반 승강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요 정보를 누적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기반 승강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CONTACTLESS INTERFACE FOR ELEVATO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아래의 설명은 승강기 제어를 위한 무선통신 기반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해당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 내부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승강로가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가 승강로를 따라 상승 및 하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승강장으로부터 탑승하는 승객을 버튼입력에 따른 목적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승강기)는 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물리적 접촉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염병의 감염 등 우려가 있을 경우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WiFi, Bluetooth 등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승강기 제어가 가능한 기술이 요구된다.
승강기 제어를 위한 무선통신 기반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수요 정보를 누적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요 정보를 누적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 상기 엘리베이터에 존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수요 정보와 관련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전자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를 엘리베이터에게 송신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CSG (Closed Subscriber Group) 모드가 작동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목적층만 입력이 가능하도록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기 설정된 상황에 따라 구분되는 단계별 보안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탑승한 사용자들에게 이동층 정보를 공개, 일부 공개 또는 비공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에 기초하여 보안시설의 엘리베이터 내 CCTV 모니터링 장치에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의 설정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층과 관련된 정보가 검색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이동경로와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별 이동층 및 현재 적재용량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탑승할 엘리베이터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수요 정보를 누적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 상기 엘리베이터에 존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수요 정보와 관련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전자 기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기 설정된 상황에 따라 구분되는 단계별 보안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탑승한 사용자들에게 이동층 정보를 공개, 일부 공개 또는 비공개하고,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에 기초하여 보안시설의 엘리베이터 내 CCTV 모니터링 장치에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의 설정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층과 관련된 정보가 검색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이동경로와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별 이동층 및 현재 적재용량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탑승할 엘리베이터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입력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물리적 접촉에 의한 점염병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목적층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에 대한 보안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공간에 존재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개괄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서 무선통신 기반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에서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5는 일 실시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서 전자 기기에게 엘리베이터 정보를 안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기존의 엘리베이터(승강기) 제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본 기능이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개괄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는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수요 정보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기기(110)와의 통신을 통하여 송수신된 데이터를 통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내부에서 동작되거나 또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의 별도의 연동을 통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는 전자 기기(11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목적층으로의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된 수요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층의 수요를 누적하여 관리하고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는 각각의 전자 기기(110)로부터 입력된 수요 정보를 각 층별로 누적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는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접촉성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예를 들면, 열림, 닫힘, 목적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숫자 등의 버튼)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입력된 수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전자 기기(110)에 구성된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입력된 수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접촉성 인터페이스란,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란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접촉하지 않고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엘리베이터의 내부에서 수신된 정보만 유효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입력된 수요 정보만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엘리베이터의 외부에서 수요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안내 메시지(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능입니다)를 전자 기기 또는 엘리베이터에 디스플레이하여 외부 사용 가능 여부를 모드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홀의 무선 송신장비를 통해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 등을 방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총 적재가능 용량 중 현재 적재된 용량을 비율화하여 적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2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2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 기기(110)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전자 기기(11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10)의 예를 들면,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된 키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기기(110)에 구성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열림, 닫힘, 목적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숫자 등의 버튼)를 접촉하지 않고 목적층으로의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서 무선통신 기반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수신부(210), 제어부(220) 및 송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도 3의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서 무선통신 기반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310 내지 330)을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 제공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서 무선통신 기반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서는 운영체제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의 파일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하도록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수신부(210)는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전자 기기로부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 엘리베이터에 존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수요 정보와 관련된 안내 메시지를 전자 기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제어부(220)는 수신된 수요 정보를 누적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CSG (Closed Subscriber Group) 모드가 작동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목적층만 입력이 가능하도록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전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층과 관련된 정보가 검색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최적의 이동경로와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별 이동층 및 현재 적재용량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탑승할 엘리베이터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송신부(230)는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할 수 있다. 송신부(230)는 생성된 제어 정보를 엘리베이터에게 송신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송신부(230)는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기 설정된 상황에 따라 구분되는 단계별 보안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송신부(230)는 활성화된 보안모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탑승한 사용자들에게 이동층 정보를 공개, 일부 공개 또는 비공개할 수 있다. 송신부(230)는 활성화된 보안모드에 기초하여 보안시설의 엘리베이터 내 CCTV 모니터링 장치에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의 설정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에서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전자 기기(110)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전에, 전자 기기(110)를 통하여 비접촉성 인터페이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전자 기기(110)에서 실행된 비접촉성 인터페이스 서비스를 통해 전자 기기 정보 또는/및 사용자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비접촉성 인터페이스 서비스를 통하여 전자 기기 정보 또는/및 사용자 정보가 등록됨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서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전자 기기(110)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식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전자 기기 정보 또는/및 사용자 정보와 엘리베이터 내부에 존재하는 전자 기기(110)와 관련된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전자 기기 정보,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전자 기기(110)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식별될 수 있다. 또는, 엘리베이터에 존재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전자 기기(110)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전자 기기(110)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전자 기기(110)로부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는 엘리베이터 홀의 무선 송신장비를 통해 발송된 이동층의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층이 검색되거나 목적지가 있는 층이 검색될 경우, 최적의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이동 경로와 최적의 엘리베이터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10)는 단계별 보안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110)에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41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키패드(410)는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기기(110)에서 키패드(410)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층을 입력하거나 미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키패드(410)를 통하여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를 입력했다가 취소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전자 기기(110)로부터 입력된 이동 정보 및 취소 정보를 누적할 수 있다. 또는, 전자 기기(110)에 암호화된 키패드가 제공될 수 있고, 암호화된 키패드가 암호화된 키패드에 구성된 각각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사용자로부터 터치가 입력될 때마다 계속적으로 변경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키패드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로부터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가 입력 가능한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기기(11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엘리베이터(50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엘리베이터 홀의 무선 송신장비를 통해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500)에서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이 안내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서로 다른 사용자로부터 동일한 목적층이 입력될 경우, 중복된 목적층 정보를 구분하고, 구분된 목적층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층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층 정보의 이동 순서를 정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정렬된 이동 순서에 따라 목적층으로 엘리베이터(5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목적층의 수요를 누적하여 관리하는 경우, 사용자 중 일부가 접촉성 인터페이스 또는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적층에 대한 취소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중 일부로부터 목적층에 대한 취소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할 경우, 타 사용자가 목적층을 유지하고 있다면 엘리베이터(500)를 해당하는 목적층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중 한 명 이상이 동일한 목적층에 대한 이동 정보를 입력하였을 경우, 엘리베이터(500)에 목적층으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때, 동일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중 일부가 목적층으로의 이동에 대한 취소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할 경우에도 목적층으로 이동하도록 엘리베이터(500)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접촉성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500)의 경우,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층이 이미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어 있을 경우, 목적층에 대한 이동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목적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 다른 사용자가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를 취소할 경우, 사용자까지도 목적층으로의 이동이 취소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목적층에 대한 취소 정보를 다시 이동 정보로 입력해주어야 목적층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엘리베이터(500)의 보안을 위한 보안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보안모드는 기 설정된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괄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안모드를 적용할 수 있고, 사용자별로 개별 보안모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를 통하여 보안모드가 설정되거나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보안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목적층을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심야시간 등 특정 시간대나 목적에 따라 일반 보안모드와 심화 보안모드와 같이 단계적으로 보안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단계적으로 보안모드를 설정하여 심화 보안모드를 설정 시, 경비실 등 보안시설의 엘리베이터 내 CCTV 모니터링 장치에 모드 설정여부가 별도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엘리베이터에 일괄 보안모드가 적용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500) 탑승자 모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이동층 정보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개별 사용자의 전자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 자신이 선택한 이동층만 디스플레이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단,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서 설정된 보안모드가 아닌 각 사용자별로 설정된 개별 보안모드의 경우, 엘리베이터 탑승자 모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이동층 정보는 활성화 상태이지만 보안모드로 설정한 사용자의 이동층 정보는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에 반영되지 않는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서 전자 기기에게 엘리베이터 정보를 안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전자 기기(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층과 관련된 정보가 검색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최적의 이동경로와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별 이동층 및 현재 적재용량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탑승할 엘리베이터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 기기(110)를 통하여 목적층을 검색하거나 목적지가 있는 층을 검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전자 기기(110)의 현재 위치(610)로부터 엘리베이터 홀(620)까지의 최적의 이동 경로(63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최적의 이동 경로는, 현재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홀까지 거리가 가장 짧은 경로일 수 있고, 현재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짧은 경로일 수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3879호(자율구성노드 기반 대피유도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노드 간 노드의 주변 상황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패킷의 송수신을 통하여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노드의 상태 정보에 따른 노드를 자율적으로 구성하여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전자 기기(110)의 엘리베이터 또는 엘리베이터 홀과의 상태 정보를 공유하여 최적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특정 공간에 존재하는 엘리베이터 홀들 중 전자 기기(110)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엘리베이터별 이동층, 현재 적재용량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엘리베이터 홀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이동 경로는 텍스트 데이터 또는/및 음성 데이터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선택된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별 이동층 및 현재 적재용량을 기준으로 최적의 엘리베이터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도착 예정시각이 가장 빠르고 적재용량이 여유가 있는 엘리베이터 홀로 안내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도착예정시간 순서 기준, 적재용량 기준 등과 같이 기준 정보를 기준으로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 모드가 작동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목적층만 입력이 가능하도록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텔과 같이 허가된 사용자만 숙박층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도록 엘리테비이터의 제한적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요 정보를 누적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수요 정보와 관련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전자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 상기 엘리베이터에 존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를 엘리베이터에게 송신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CSG (Closed Subscriber Group) 모드가 작동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목적층만 입력이 가능하도록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기 설정된 상황에 따라 구분되는 단계별 보안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요 정보를 누적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기 설정된 상황에 따라 구분되는 단계별 보안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탑승한 사용자들에게 이동층 정보를 공개, 일부 공개 또는 비공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요 정보를 누적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기 설정된 상황에 따라 구분되는 단계별 보안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에 기초하여 보안시설의 엘리베이터 내 CCTV 모니터링 장치에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의 설정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제1항 제8항 및 제9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층과 관련된 정보가 검색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이동경로와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별 이동층 및 현재 적재용량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탑승할 엘리베이터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수요 정보를 누적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기 설정된 상황에 따라 구분되는 단계별 보안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탑승한 사용자들에게 이동층 정보를 공개, 일부 공개 또는 비공개하고,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에 기초하여 보안시설의 엘리베이터 내 CCTV 모니터링 장치에 상기 활성화된 보안모드의 설정 여부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 상기 엘리베이터에 존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3.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수요 정보를 누적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층 정보와 엘리베이터 적재용량을 방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 상기 엘리베이터에 존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입력된 목적층으로의 이동 정보 혹은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수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수요 정보와 관련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전자 기기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4. 삭제
  15.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층과 관련된 정보가 검색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이동경로와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별 이동층 및 현재 적재용량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탑승할 엘리베이터 정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1020200045010A 2020-04-14 2020-04-14 무선통신 기반 승강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 Active KR102329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010A KR102329982B1 (ko) 2020-04-14 2020-04-14 무선통신 기반 승강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010A KR102329982B1 (ko) 2020-04-14 2020-04-14 무선통신 기반 승강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35A KR20210127335A (ko) 2021-10-22
KR102329982B1 true KR102329982B1 (ko) 2021-11-22

Family

ID=7827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010A Active KR102329982B1 (ko) 2020-04-14 2020-04-14 무선통신 기반 승강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8320B1 (ko) 2024-07-02 2025-03-10 주식회사 다아패키지 골판지 및 인쇄물의 자동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0382A (ja) * 2008-09-22 2010-04-02 Toshiba Elevator Co Ltd 昇降機システム
KR101458169B1 (ko) * 2013-05-20 2014-11-03 한국공항공사 엘리베이터 하중 알림 장치
JP2019006546A (ja) * 2017-06-22 2019-01-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269A (ko) * 2010-02-22 2011-08-30 성기수 엘리베이터 위치 파악 및 호출이 가능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0382A (ja) * 2008-09-22 2010-04-02 Toshiba Elevator Co Ltd 昇降機システム
KR101458169B1 (ko) * 2013-05-20 2014-11-03 한국공항공사 엘리베이터 하중 알림 장치
JP2019006546A (ja) * 2017-06-22 2019-01-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35A (ko)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0971B (zh) 用于基于用户装置检测而实施动作的智能建筑系统
JP6841842B2 (ja) 事前設定エレベータ呼び出し
JP6961804B2 (ja) ロボット案内システム
CN103803360B (zh) 方法、呼叫给定设备、电梯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JP556030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210921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予測配車制御方法
JP5740511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AU2012234409A1 (en) User guidance with mobile electronic devices
JP6747380B2 (ja) 携帯端末、プログラム、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220135138A (ko) 실내 공간에 배치된 설비를 이용하는 복수의 로봇이 주행하는 건물
CN105934778B (zh) 包括通道的结构
KR102329982B1 (ko) 무선통신 기반 승강기 비접촉성 인터페이스
JP4669657B2 (ja) 区域制御を用いてエレベータ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53354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JP7280846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JP6638697B2 (ja) 携帯端末、プログラム、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895442B1 (ko)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2022091043A (ja) 施設内利用者案内システム及び施設内利用者案内方法
JP6747379B2 (ja) 携帯端末、プログラム、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22006488A (ja) 情報処理装置
JP727610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467654B1 (ko) 절차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6191676A (ja) 移動案内装置、移動案内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移動案内システム
WO2024165783A1 (en) A solution for guiding users within an elevator lobby area
US20190315594A1 (en) Control of a generation of an elevator landing c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