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486B1 -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6486B1 KR102326486B1 KR1020150037954A KR20150037954A KR102326486B1 KR 102326486 B1 KR102326486 B1 KR 102326486B1 KR 1020150037954 A KR1020150037954 A KR 1020150037954A KR 20150037954 A KR20150037954 A KR 20150037954A KR 102326486 B1 KR102326486 B1 KR 1023264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sule
- hole
- coffee
- capsule receiving
- hot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 원두커피 캡슐을 적재하는 장치의 개략 단면도(a) 및 커피캡슐 적재부의 저면도(b)
도 3은 종래 원두커피 캡슐을 인출하는 장치의 개략 단면도(a) 및 커피캡슐 인출장치의 평면도(b)
도 4는 종래 원두커피 캡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인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6은 본 발명의 도 5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로부터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 6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도 6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도 6의 원두커피 캡슐 수용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추출장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추출장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인 원두커피 추출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14,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온수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 실물사진 2매
도 16는 본 발명의 캡슐의 일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200a : 온수공급원판
210a : 실리콘밀봉고무
221a : 커팅날
230a : 온수공급호스
240a : 순간온수가열기
250a : 펌프
300 : 캡슐수용구
310 : 안착가이드홈
330 : 장착신호발생부
340 : 가이드부재
410 : 캡슐받침대
440 : 승강부재
450 : 몸체측벽
500 : 캡슐
515 : 캡슐밀봉박판부
530 : 스프링
550 : 개봉핀
1000 : 몸체
Claims (12)
- 본체(1000)에 캡슐수용구(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캡슐받침대(410)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컵(c)이 안착되는 컵받침대홀(415)을 형성하되,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캡슐(500)을 안착할 수 있는 캡슐수용공(3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슐수용공(321a)에는 하부통공(550b)이 형성되어 온수공급원판(200a)이 장착신호발생부(330)에 의하여 작동되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압착시에 캡슐(500)에 온수가 공급되어 원두커피 원액을 캡슐(500)의 통공(515a)을 통함과 동시에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통공(550b)을 통하여 하부 컵으로 배출하게 되며,
또한 상기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에 캡슐을 탄지하는 스프링(530)이 안착되도록 밀봉부를 형성하되,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하부에는 안착가이드홈(310)이 형성하여,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안착돌기(411a)(411b)를 수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중앙부분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끼움에 의하여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가 전진되면 벽체(332)에 형성되어 있는 로드(333) 및 상기 로드(333)에 형성된 스프링걸림구(334)가 스프링(331)의 탄발에 의하여 항상 전진 위치로 있다가,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에 의하여 상기 승강수단이 작동될 수 있도록 신호발생여부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장착신호발생부(3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 본체(1000)에 캡슐수용구(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캡슐받침대(410)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컵(c)이 안착되는 컵받침대홀(415)을 형성하되, 상기 캡슐수용구(300)는 캡슐(500)을 안착할 수 있는 캡슐수용공(32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캡슐의 저부를 개봉하는 개봉핀(550)이 형성되어 온수공급원판(200a)이 장착신호발생부(330)에 의하여 작동되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압착시에 이를 개봉하여 원두커피 원액을 캡슐수용공(321a)의 배출공(329a) 또는 상기 개봉핀(550)의 배출공(550a)을 통하여 하부 컵으로 배출하게 되며,
또한 상기 캡슐수용공(321a)의 하부에 캡슐을 탄지하는 스프링(5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어 원반형 밀봉부(326a)와 밀봉부(327a)를 형성하되,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하부에는 안착가이드홈(310)이 형성하여,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안착돌기(411a)(411b)를 수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캡슐받침대(410)의 중앙부분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끼움에 의하여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가 전진되면 벽체(332)에 형성되어 있는 로드(333) 및 상기 로드(333)에 형성된 스프링걸림구(334)가 스프링(331)의 탄발에 의하여 항상 전진 위치로 있다가, 상기 캡슐수용구(300)의 스위치접촉부(315)에 의하여 상기 승강수단이 작동될 수 있도록 신호발생여부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장착신호발생부(3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부재(440)의 상단에 가까이 장공(441)을 형성하여, 케이스 몸체에 부착되는 측판(443)에 가이드로울러(442a)(442b)를 설치하여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하 작동은 상기 승강부재(440)의 측부에 치차(448)를 형성하고, 그 측부에 모터(446)와 감속기어(447)를 이용하여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승강부재(44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승강부재의 양 측부에 측판(443)을 이용하여 가이드홈(445)을 형성하여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부재(440a)의 상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여기에 회전통(444a)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통(444a)의 상부에 회전축기어(443a)와 모터회전기어(443b)를 형성하여 모터가 회전되면 상기 모터회전기어(443b)가 회전되고, 상기 모터회전기어(443b)는 회전축기어(443a)를 돌려, 상기 승강부재(440a)와 상기 회전통(444a)의 나사산에 의하여 승강부재가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954A KR102326486B1 (ko) | 2015-03-19 | 2015-03-19 |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954A KR102326486B1 (ko) | 2015-03-19 | 2015-03-19 |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2025A KR20150092025A (ko) | 2015-08-12 |
KR102326486B1 true KR102326486B1 (ko) | 2021-11-16 |
Family
ID=5405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7954A Active KR102326486B1 (ko) | 2015-03-19 | 2015-03-19 |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64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1935B1 (ko) * | 2016-02-23 | 2023-05-16 | 주식회사 나조산업 |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
KR102545265B1 (ko) * | 2016-03-16 | 2023-06-21 | 주식회사 화수 | 캡슐 띠에 의한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
CN107400586B (zh) | 2016-05-18 | 2021-05-28 | Lg电子株式会社 | 啤酒酿造装置 |
CN107400588B (zh) | 2016-05-18 | 2021-08-03 | Lg电子株式会社 | 啤酒酿造装置 |
CN107400585B (zh) | 2016-05-18 | 2021-07-30 | Lg电子株式会社 | 啤酒酿造装置 |
US11208621B2 (en) | 2016-05-18 | 2021-12-28 | Lg Electronics Inc. | Beverage-making apparatus |
US11224306B2 (en) | 2016-05-18 | 2022-01-18 | Lg Electronics Inc. | Beverage-making apparatus |
CN107400583B (zh) | 2016-05-18 | 2021-07-13 | Lg电子株式会社 | 啤酒酿造包及具有其的啤酒酿造装置 |
KR102259341B1 (ko) * | 2017-05-25 | 2021-06-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음료 제조기 |
KR102184419B1 (ko) * | 2017-05-25 | 2020-1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음료 제조기 |
KR102187330B1 (ko) * | 2017-05-29 | 2020-12-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음료 제조기 |
KR102180141B1 (ko) * | 2017-06-14 | 2020-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음료 제조기 |
CN109199103A (zh) * | 2017-07-03 | 2019-01-15 | 吴志华 | 一种带通讯模块的智能共享饮水机 |
KR102571262B1 (ko) * | 2020-11-23 | 2023-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음료 제조기 |
WO2025018451A1 (ko) * | 2023-07-18 | 2025-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음료장치 |
WO2025018448A1 (ko) * | 2023-07-18 | 2025-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음료장치 |
WO2025018452A1 (ko) * | 2023-07-18 | 2025-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음료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14337A (ja) * | 2004-10-01 | 2008-05-08 | ハウスブラント トリエステ 1892 エスピーエー | カートリッジに収納された原料を用いて飲料を準備し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
KR101326786B1 (ko) * | 2011-12-06 | 2013-11-08 |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 캡슐과의 밀착성 개선을 위한 캡슐 추출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9339B1 (ko) * | 2011-05-03 | 2013-07-29 | 주식회사 다인씨앤에프 | 음료 추출장치 |
-
2015
- 2015-03-19 KR KR1020150037954A patent/KR10232648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14337A (ja) * | 2004-10-01 | 2008-05-08 | ハウスブラント トリエステ 1892 エスピーエー | カートリッジに収納された原料を用いて飲料を準備し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
KR101326786B1 (ko) * | 2011-12-06 | 2013-11-08 |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 캡슐과의 밀착성 개선을 위한 캡슐 추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2025A (ko) | 2015-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6486B1 (ko) |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 |
US7059239B2 (en) |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 |
EP1890579B1 (en) | Coffee making apparatus | |
RU2444271C2 (ru) | Завар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з одноразовых капсул с устройством центрирования капсулы | |
KR101418505B1 (ko) |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 |
JP3899318B2 (ja) | カプセル装填システム内蔵抽出装置 | |
KR101591771B1 (ko) | 음료 추출 기기 | |
AU2008355536B2 (en) | An automatic pod conveyor and brewer assembly for fresh hot beverage | |
US6510783B1 (en) | Machine to produce espresso coffee | |
JP4977680B2 (ja) | 抽出システム、カプセル、及びカプセルの使用方法 | |
KR101786497B1 (ko) |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 |
RU2644510C1 (ru) | Заварочный блок | |
KR20160083165A (ko) |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 |
US8528464B2 (en) | Brewing facility for a coffee machine | |
EP1046366A1 (de) | Einrichtung zum Zuführen von abgepackten Portionen gemahlenen Kaffees in eine Brüheinheit | |
CN107205579B (zh) | 用于在含有冲泡产品的容器上穿孔的装置 | |
KR102259986B1 (ko) | 캡슐 홀더 및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
US9788682B2 (en) | Beverage brewing device for automatically brewing and dispensing single cup quantities of beverage through a vending machine with minimal manual participation | |
US6745668B2 (en) | Unit for making beverages by brewing and machine incorporating same | |
CN110060419A (zh) | 咖啡胶囊售卖机 | |
CN111839222B (zh) | 基于饮料胶囊的智能萃饮机 | |
KR20180008419A (ko) |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 |
KR20090112956A (ko) | 커피제조장치의 양조기 | |
KR20160148776A (ko) |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 | |
KR102531935B1 (ko) |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9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3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