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25018448A1 - 음료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5018448A1
WO2025018448A1 PCT/KR2023/010324 KR2023010324W WO2025018448A1 WO 2025018448 A1 WO2025018448 A1 WO 2025018448A1 KR 2023010324 W KR2023010324 W KR 2023010324W WO 2025018448 A1 WO2025018448 A1 WO 20250184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psule
beverage device
link
phag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03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차정민
이준범
이정석
이연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03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5018448A1/ko
Publication of WO20250184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50184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contained in a capsule.
  • Capsules that contain ingredients for making beverages are widely used. These capsules contain ingredients for the beverages in a sealed state inside, and users can make beverages by passing water through the capsules using a machine.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beverage devices that use capsules is a coffee machine. Recently, in addition to coffee, various beverages and beverage ingredients are provided in capsules to make and drink beverages.
  • Prior Document 1 One such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using a capsul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17541, Prior Document 1.
  • Prior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the entire device is integrated and all components are contained within a single housing,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extracting part cannot be varied.
  • the beverage is extracted using only one capsule, it is difficult to extract various beverages, and since the part where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is fix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various types of cups cannot be use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40026 the configuration for forming a hole in a capsule to inject water is configured to perform a rotational motion, which is relatively complex.
  • the user must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to perforate the hole in the capsule, and it is inconvenient to insert and remove the capsule.
  • the above prior art document 3 is mounted so that the capsule is laid down in a horizontal direction. Since this structure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raction water is injected and discharged, the extraction efficiency is reduced.
  • prior art document 4 which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98891
  • a capsule inserted into an extraction chamber is moved to perforate a hole in the capsule.
  • prior art document 4 has a problem in that if the capsule is inserted incorrectly or if movement of the capsule occurs while the capsule is being moved, an accurate hole is not perforated and hot water is not injected smooth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n operation of perforating a hole in a capsule to be performed automatically.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beverage to be extracted while the capsule is mounted in a vertical position and extraction water is supplied in an up-down direction.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imultaneous phasing of multiple capsules.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n extraction water injection hole to be perfor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psule while moving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while the lower part of the capsule is supported.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xtraction water injection holes to be simultaneously perforated in a plurality of capsules.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a motor in a position where the operation of the capsule cap can be performed stably.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of an extraction unit so that the extra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stably.
  • a phage cap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a capsule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ise and fall toward the capsule to pressurize and perforate the capsule.
  • capsule flow can be prevented during the process of perforating a hole in the capsule, and inconvenience due to manual work can be eliminated.
  • capsules can be provided as trays within the frame member. This enables stable injection of capsules.
  • the frame member can be formed as a solid body with the front and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 a capsule can be positioned on the inner lower part of the frame member.
  • a gripping cap for gripping the capsule can be positioned above the capsule and moved up and down toward the capsule.
  • the frame member can be configured such that capsules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front.
  • the inner surface of the phage cap may be provided with a perforation projection so that a hole can be perforated in the capsule as the phage cap pressurizes the capsule.
  • an elevating module for elevating the phage cap may be included.
  • the lifting module may include a first rotational shaft,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member.
  • the first rotational shaft installed on the frame member can be selectively rotated.
  • the lifting module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first link is link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 the lifting module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second link is linked to the first link.
  • the first link may include a hub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onal axis. Accordingly, when the first rotational axis rotates, the first link may rotate.
  • the first link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circumference of the hub. Accordingly, the protrusion may also rotate when the hub rotates.
  • one end of the second link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 the second link can be linked with the first link.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can be connected to the phage cap.
  • the second link and the phage cap can be linked.
  • one end of the second link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otrusion of the first link.
  • the second link when the protrusion of the first link is erected so as to face the phage cap, the second link can be erected so as to face the phage cap and pressurize the phage cap downward.
  • the phage cap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 shaft.
  • a second rotational axis to which a second link is connected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may be linked.
  • one end of the second link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axis. Accordingly, when the first link rotates, the second link can rotate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 the first link may be provided with a tension member that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protrusion.
  • the tension member can pressurize the second rotation shaft.
  • the first link may be provided with an adjusting bolt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This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force for pressing the second rotation shaft.
  • the second link may be provided in two pieces. As a result, the pressing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phage cap more accurately.
  • one end of the two second links is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side walls of the protrusion, and the other ends of the two second links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upper sides of the phage cap.
  • a skirt that flares outward toward an end may be formed on the protrusion of the first link.
  • the lifting module may include a gripping member that grips the skirt.
  • the grip member can be formed to grip the skirt when the protrusion is positioned toward the grip cap.
  • the gripping member can be opera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Accordingly, the first link and the gripping member can be rotated together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 the grip member can be formed to engage with the skirt while rotating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al axis by driving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 the frame member can be formed to provide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that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frame member can perform beverage extraction for a plurality of capsules simultaneously.
  • a plurality of phage caps may be provided, each of which may be provided in a capsule-receiving space of the frame member. Accordingly, perforation of holes for a plurality of capsules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 the first link of the lifting module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ccordingly, multiple phage caps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 a plurality of first links can be simultaneously coupled to one first rotational axis while being respectively positioned in each capsule mounting space of the frame member.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rst links can simultaneously rotate forward and backward when the first rotational axis rotates.
  • a power transmission module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operate the lifting module may be included. Accordingly, the phage cap can be raised or lowered when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operates.
  •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may include a motor that provides driving force.
  •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may include a gear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the lifting module.
  • the gear may include a main gear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and a plurality of driven gears.
  • the phage cap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is accurately pressurized while the beverage in the capsule is extracted.
  • one of the plurality of driven gears can be engaged with the main gear to receive power, and another of the plurality of driven gears can be engaged with the lifting module to operate.
  • a water supply unit may be included. This allows extraction water to be supplied into the phage cap.
  • an extraction unit may be included. This enables extraction of a beverage within a capsule using extraction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unit.
  • a fram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provided; a plurality of phage caps that pressurize the capsules while being lifted toward the capsules; a first rotational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member; a plurality of links that are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lift each of the phage caps while being linked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a power transmission module having a motor that provides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a plurality of gears that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the first rotational shaft;
  •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may include a gear housing. Accordingly, each gear may be coupled to the gear housing to be modularized.
  • the motor can b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rame member. As a resul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xtraction unit is lowered, so that the work of pressurizing or perforating the capsule by the phage cap can be smoothly performed.
  • the plurality of gears include a driving gear provided on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a linkage gear provided on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a plurality of driven gears provided in a plurality from the motor shaft to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rotated.
  •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grips the capsule while the phage cap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psule, sufficient pressure can be provided to the capsule even with a small force.
  •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r extracts capsules through the front of the frame member,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or extract capsules.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rection in which the capsule is fix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e is perforated are the same by the lifting and lowering phage cap, the capsule can be stably fixed while the hole is being perforated in the capsule.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phage cap using a plurality of links, the structur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hage cap is simple, making maintenance easy.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sufficient pressing force when the phage cap perforates a hole in the capsule since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can be arranged vertically.
  • the perforation operation of the capsule can be stably performed.
  •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can be prevented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phage cap pressurizes the capsule by the skirt formed on the first link and the phage member provided in the lifting module.
  •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capsule mounting spaces in the frame member, beverage extraction for a plurality of capsules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pierce multiple capsules because a plurality of phage caps are provided, each provided in a capsule-setting space of a frame member.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multiple phage caps simultaneously by one first rotating shaft, the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can be simplified.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power through a plurality of gears, the positive and negative flow of the first rotation shaft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phage cap can stably pressurize the capsule while perforating the capsule.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intained because each gear is combined into a gear housing and modularized.
  • the motor is positioned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xtraction unit, so that the phage cap can smoothly pressurize or puncture the capsule.
  • 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beverage device cov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it has moved upward.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extraction unit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extraction unit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ting module and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parated state.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of a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y of a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module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lifting module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lifting module.
  • Figures 13 and 14 are perspective views and exploded views of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15 to 1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18 to 20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s 15 to 17.
  • Figures 21 to 23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for other embodiments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drawings 1 and 2 are front views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closed or open.
  • Drawin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extraction unit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everage device includes an extraction unit (30)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ating two or more capsules (1).
  • the extraction unit (30)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erforate a plurality of capsules (1) with a single motor, and to prevent movement of the capsules during the perforation and extraction of the beverage.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10).
  • the above base (10) may be equipped with a water tank (13).
  • the water tank (13) stores the extraction water required to extract a capsule beverage. A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 3, the water tank (13) may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side of the base (10).
  • a pump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in the above base (10).
  • the pump may perform an operation of pumping the extraction water within the water tank (13) and supplying it to the extraction unit (30).
  • a display window (16)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10).
  • the display window (16) may serv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evice or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beverage.
  • the display window (16) may be configured to input various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evice.
  • the display window (16)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panel.
  • An area on which a beverage cup is place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 the display window (1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and the area on which the beverage cup is placed may be any part of the display window (16).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leg (20).
  • the above support leg (20) serves to support the extraction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it can be installed on the base (10). That is, the extraction part can be installed on the base (10) by the support leg (20).
  • each support leg (2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traction part (30).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xtraction unit (30).
  • a capsule (1) is mounted in the extraction unit (30), and a beverage in the capsule (1) is extracted using extraction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 the above extraction unit (3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ase (10) and installed on the base (10) by a support leg (20).
  • the extraction unit (30) forming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32) forming the exterior.
  • the housing (32) includes a frame (321), an upper housing (323) positioned above the frame (321), and a lower housing (322) positioned below the frame (321).
  • the frame (321), the upper housing (323), and the lower housing (322)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323) and the lower housing (322) may be provided as a single body with the frame (321).
  • the upper housing (323) is formed so that the front is open, and the lower housing (322)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is open.
  • the upper housing (323)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34) that opens and closes some of the open portions.
  • the cover (34)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upper housing (323)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open portions of the upper housing (323) as needed.
  • the cover (34) may be provided with a viewing window (344). This allows the user to accurately recognize the situation inside the upper housing (323) through the viewing window (344). For example,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phage cap (35) accurately presses the capsule (1) through the viewing window (344).
  • the extraction unit (30) forming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ame member (33) in which the extraction operation is performed.
  • the above frame member (33) can form the body of the extraction part (30). As shown in Fig. 3, the frame member (33) is fixed within the housing (32). For example, the frame member (33) can be installed with its lower end fixed within the lower housing (322).
  • Figures 4 and 5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the extraction unit, and Figure 6 illustrates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xtraction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 the frame member (33) can be formed to have an open front and two side walls.
  • a space (settlement space) in which a capsule (1) can be settled can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member (33).
  • the settlement spaces can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That is, multiple capsules (1) can be positioned in the frame member (33). For example, each capsule (1) can be positioned in each settlement space.
  •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settling spaces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artition wall (331).
  • the partition wall (331) is located between the two side walls of the frame member (33).
  • the partition wall (331) is located at the central portion between the two side walls.
  • a space (elevation space) in which a phage cap (35)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levate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each settling space within the above frame member (33).
  • the elevation space is formed to have a height sufficient to allow the phage cap (35) to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capsule (1) placed on the tray (500).
  • a support projection (332) that supports the circumference of the phage cap (35) when the phage cap (35) is moved downward may be form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above frame member (33). As a result, the phage cap (35)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a precisely vertical direction.
  •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33) may be formed to be open.
  • Part of the first link (7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exposed when the first link (720) operates through the open portion. That is, the first link (720) may operate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due to the open portion.
  • a mounting groove (333)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33).
  • a motor (910) of a power transmission module (9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333).
  • a coupling protrusion (334)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unting groove (333).
  • a coupling member (914) to which the motor (910) of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900) is coupled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334).
  • the capsule (1) can be provided to the settling space of the frame member (33) using a tray (500). That is, the capsule (1) is provided to the settling space by passing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frame member (33) while being mounted on the tray (500).
  • the tray (500)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323) when the cover (34) of the housing (32) is moved upward.
  • the above tray (500) can be placed on a support member (335) (see FIG. 4)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member (33).
  •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335) can be opened so that a beverage extracted from a capsule (1) can fall.
  •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501) are formed on the tray (500).
  • Each of the fixing portions (501) is formed to be open upward and downward, and a support (510) having a rupturing projection (511) is provided within each of the fixing portions (501).
  • a capsule (1) is respectively fixed on the support (510), and the rupturing projection (511) functions to rupture the film (1a) sealing the capsule (1) when the capsule (1) is pressurized.
  • the capsule (1) is fixed on the support (510) of the tray (500) so that the area sealed with the film (1a) faces downward.
  • the above-mentioned stand (510) can be separated from the above-mentioned fixing member (501). This makes it possible to separate and wash the stand (510).
  •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512) can be formed in the stand (510) so that the extracted beverage can flow out.
  • the above extraction unit (30)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whether the tray (500) is stored.
  •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as a Hall sensor, and in order for the sensor to detect the tray (500), a member (e.g., a permanent magnet) (502) that can b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tray (500).
  • the extraction unit (30) forming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age cap (35).
  • the above-mentioned phage cap (35) pressurizes and fixes the capsule (1) provided within the frame member (33).
  • the above-mentioned phage cap (35)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in the lifting space within the frame member (33).
  • the above-mentioned phage cap (35)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psule (1) and move downwar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odule (70) described later to wrap around and pressurize the capsule.
  • the phage cap (35)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351) in which a capsule (1) is received.
  • the phage cap (35) moves downward by the receiving groove (351), the outer surface of the capsule (1) is pressed against the peripheral surface within the receiving groove (351). As a result, movement of the capsule (1) can be prevented when extracting a beverage.
  •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groove (351) may be formed so as to be recess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hage cap (35).
  • the peripheral surface within the receiving groove (351)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capsule (1). Accordingly, when the phage cap (35) moves downward and the capsule (1) is received within the receiving groove (351), the outer surface of the capsule (1) gradual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351) and can be pressurized.
  • the above-mentioned phage cap (35) may be configured to perforate a hole (a hole through which the extracted liquid is injected) while the capsule (1) is fixed.
  • at least one perforation projection (355) is provided within the receiving groove (351) of the phage cap (35).
  • the perforation projections (355)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each of the perforation projections (355)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ingle member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within the receiving groove (351).
  • the perforation projections (355)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offset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within the receiving groove (351) to one circumferential side.
  • a plurality of perforation projections (355) may be position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within the receiving groove (351) and perforate a hole i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psule (1).
  • the perforation projection (355)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within the receiving groove (351). That is, the perforation projection (355) protrudes in the ascending direction of the phage cap (35) and perforates a hole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sule (1)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hage cap (35).
  • the perforation projection (355) may also be formed to be inclined.
  • a cap housing (352) extending downward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lower periphery of the above-mentioned phage cap (35).
  • the cap housing (352)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hat is, by additionally providing the cap housing (352), it is possible to prevent pressure from leaking or extraction water from leaking through a gap that may occur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3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apsule (1).
  • a metal cover (353)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housing (352).
  • the metal cover (353) prevents the cap housing (352) from being unintentionally opened by the pressure of the extraction water because it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 the extraction unit (30) forming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vating module (700).
  • the above-mentioned lifting module (700) serves to raise and lower the above-mentioned phage cap (35).
  • the above-mentioned lifting module (70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39) described later and operates to raise and lower the phage cap (35).
  • the lifting module (700) includes a first rotational shaft (710).
  • the first rotational shaft (710) is installed at both ends so as to be rotatable on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member (33).
  • the first rotational shaft (71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partition wall (331) of the frame member (33).
  • the above-mentioned lifting module (700) includes a first link (720). If the above-mentioned phage caps (35) are provided in multiples, the first links (720) may also be provided in multiples. For example, if the phage caps (35) are provided in twos as in the embodiment, the first links (720) may also be provided in twos.
  • the first link (720) may include a hub (721) through which the first rotation axis (710) passes, and a protrusion (722) protruding from one circumference of the hub (721).
  • the protrusion (722) is positioned so as to face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phage cap (35) moves upward, and is positioned so as to face a vertical direction directly above the phage cap (35) when the phage cap (35) moves downward.
  • a second rotation axis (723)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protrusion (722).
  • the above-mentioned lifting module (700) includes a second link (730).
  • the second link (730) is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first link (720) and the phage cap (35), and functions to raise and lower the phage cap (35) while being linked when the first link (720) operates.
  • One end of the second link (7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723) provided in the first link (72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73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hage cap (35).
  • the second links (730) may be provided in pairs. In this case, one end of the two second links (73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723), and the other ends of the two second links (73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upper sides of the phage cap (35).
  • the second link (730) is erected to face the phage cap (35) and is positioned to press downward on the phage cap (35). This allows the greatest possible pressing force to be applied to the phage cap (35), thereby allowing the capsule (1) to be pierced smoothly.
  • the second link (730) can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phage cap (35) can be raised and lowered while being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720).
  • the second link (730) may not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with a portion bent.
  • the extraction unit (30) forming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module (900).
  • the above power transmission module (900) provides driving force for the operation of the above lifting module (700).
  •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900) includes a motor (910) and a power transmission member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910).
  • the above motor (910) may be formed as a step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driving.
  • the motor (910) may include a reduction gear (911).
  • the motor (910)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of the frame member (33).
  • This arrangement structure allows the motor (910) to be positioned at the lowest portion of the extraction unit (30) as possible, thereby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xtraction unit (30). That is, in the case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xtraction unit (30) is structur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leg (2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ase unit (10), the high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xtraction unit (30) is positioned,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tipping over or shaking during pressurization or perforation. Considering thi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xtraction unit (30) is lower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arrangement of the motor (910), thereby enabling the phage cap (35) to smoothly pressurize or perforate the capsule (1).
  •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gears (913, 921, 922, 923, 924, 925), belts, links, etc.
  •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provided as a plurality of gears (913, 921, 922, 923, 924, 925). That is, by transmitting power to a plurality of gears (913, 921, 922, 923, 924, 925), even if the capsule pressure of the extraction unit (30) becomes very high during extraction of the beverage, the first rotation shaft (710) can be prevented from shaking by the engagement between the gears (913, 921, 922, 923, 924, 925).
  • the above gears (913, 921, 922, 923, 924, 925) may include a main gear (913) installed on a motor shaft (912) of the motor (910), and a driven gear (921, 922, 923, 924) that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main gear (913) and rotates the first rotation shaft (710).
  • the driven gears (921, 922, 923, 924) may be provided in plural. Preferably, three or more driven gears may be provided.
  • one driven gear (first driven gear) (921) meshes with the main gear (913) and receives power.
  • Another driven gear (second driven gear) (922) among the plurality of driven gears (921, 922, 923, 924) meshes with the linkage gear (925) provid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710) and transmits power.
  • At least one other driven gear (923, 924)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driven gear (921) and the second driven gear (922) and prevents flow while maintaining the meshing state with the first driven gear (921) or the second driven gear (922). This is as illustrated in the attached FIG. 9.
  •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700) may further include a gear housing (930) covering each gear (913, 921, 922, 923, 924, 925). That is, by additionally providing the gear housing (930), each gear (913, 921, 922, 923, 924, 925) can form a single module. As a result, if a malfunction occurs in any one gear (913, 921, 922, 923, 924, 925), only the gear housing (930) in which the plurality of gears are built needs to be replac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easy maintenance.
  • each of the gears (913, 921, 922, 923, 924, 925) can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gear housing (930) and maintained in a state of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 the gear housing (930) is formed so that one side is open, and the open side can be formed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frame member (33). That is,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frame member (33) serves as a cover that covers the open side of the gear housing (930). This is as illustrated in FIGS. 13 and 14.
  • preparations for beverage extraction are made. That is, the beverage cup is placed on the lower part of the extraction part (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and the capsule (1) to be extracted is provided to the extraction part (30) of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akes out the tray (500) and provides the capsule (1) to be extracted to the tray (500).
  • the above tray (50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moving the cover (34) of the extraction unit (30) upward and then taken out.
  • the capsule (1) is placed on a support (510) provided in each of the placement sections (501) of the extracted tray (500). At this time, the capsule (1) is placed so that its film (1a) faces the support section (510). Afterwards, the tray (500) is inserted into the extraction section (30) and the cover (34) is closed, thereby completing preparation for beverage extraction.
  • the motor (910) of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900) is driven and its motor shaft (912) and the main gear (913) provided to the motor shaft (912) are rotated.
  •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910) provides a set speed or a set torque by the reduction gear (911).
  • the driven gear (921) of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900) meshed with the corresponding main gear (913) and other driven gears (922, 923, 924) meshed with the corresponding driven gear (921) are sequentially rotated. Accordingly, the first rotation shaft (710) rotates as the linkage gear (925) meshed with the last driven gear (924) operates.
  • FIGS. 15 to 17 and FIGS. 18 to 20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showing the same state in cross sections at different parts, respectively.
  • the second link (730) When the first link (720) rotates, the second link (730) also rotates.
  • the second link (730) operates to gradually move the phage cap (35) downward as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720) progresses. Then, when the first link (720) faces a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link (730) also forms a vertically erected state and presses the phage cap (35)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 the two phage caps (35) positioned on the frame member (33) are positioned to cover the two capsules (1) placed on the tray (500), respectively, and gradually pressurize them while simultaneously perforating holes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capsules (1).
  • the pump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0) to pump the extraction water in the water tank (13) and supply it to each phage cap (35). Then, the extraction water is supplied into the capsule (1)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capsule (1) in each phage cap (35). In this process, the film (1a) of the capsule (1) is torn by the pressure of the extraction water and the rupture protrusion (522), and the extraction beverage is discharged. Thereafter, the extraction beverage passes through each extraction hole (512) formed in the stand (510) and falls downward to be placed in a beverage cup.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olds the capsule (1) while the phage cap (35)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psule (1), sufficient pressure can be provided to the capsule (1) even with a small force.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direction of fixing the capsule (1) by the lifting and lowering phage cap (35) and the direction of perforating the hole are the same, the capsule (1) can be stably fixed while the hole is being perforated in the capsule (1).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phage cap (35) by using a rotating shaft (710) and a plurality of links (720, 730), the structur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hage cap (35) is simple, making maintenance easy.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ssurize the phage cap (35) while the first link (720) and the second link (730) are vertically arranged, the phage cap (35) can provide sufficient pressing force when perforating a hole in the capsule (1).
  • beverage extraction for a plurality of capsules (1)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multiple phage caps (35) that are operated simultaneously by one first rotation shaft (710), the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can be simplified.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power to a plurality of gears (913, 921, 922, 923, 924, 925), the phage cap (35) can stably pressurize the capsule (1) while perforating the capsule (1).
  • each gear (913, 921, 922, 923, 924, 925) is modularized by being coupled to a gear housing (930).
  •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tructures, or various structure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 various structures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flow of each link (720, 730) during the perforation operation of the capsule (1).
  • a tension member (740) may be further provided to enable the first link (720) and the second link (730) to be fixed at a set position, as shown in FIG. 10, FIG. 16, FIG. 18, and FIG. 20.
  • the tension member (740) may be formed as a coil spring that is positioned within the first link (720) and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protrusion (722) while pressing the second rotation axis (723). That is, since the tension member (740) is installed to press the second rotation axis (723), the second link (730) is prevented from undesirably moving (or rotating) when the first link (720) is position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 the tension member (740) above can be configured to have its tension adjusted. That is,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740), the two links (720, 730) are stably fixed at a specific point, but when the two links (720, 730) deviate from the point, they can stably move to another point.
  • the first link (720) may be provided with an adjustment bolt (742)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740).
  • the adjustment bolt (742) may adjust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740) by moving the pressure ring (741) provided between the tension member (740)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710) back and forth. That is, by manipulating the adjustment bolt (742), the pressure ring (741) may move forward to further compress the tension member (740), or may move backward to release the pressure of the tension member (740), there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740).
  • the above adjustment bolt (742) may be formed as a bolt, and the hub (721) of the first link (720) may be formed with the adjustment bolt (742) penetratingly installed and an adjustment groove (724) into which a tool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bolt (742) can be inserted.
  • a skirt (725)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first link (720) constituting the lifting module (700), and a gripping member (750) for gripping the skirt (725) may be provided on the lifting module (700). That is, rotation of the first link (720) may be prevented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gripping cap (35) presses the capsule (1) by the skirt (725) and the gripping member (750).
  • the skirt (72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722) of the first link (720). Specifically, the skirt (725) is formed to spread outwardly as it goes toward the end of the protrusion (722).
  • the gripping member (750) may be formed to engage with the skirt (725) and grip it when the protrusion (722) is positioned toward the grip cap (35). That is, while the gripping cap (35) covers and presses the capsule (1), the gripping member (750) supports the end of the skirt (725)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and to prevent the protrusion (first link) (722) from shaking when extracting a beverage.
  • the gripping member (75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rotation shaft (710) by driving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900).
  • the above-mentioned grip member (75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ogether while being coupled to the shaft of one of the driven gears (922) among the respective driven gears (921, 922, 923, 924) forming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900).
  • the above-mentioned grip member (750) may be formed with a grip projection (751) that grips the end of the skirt (725).
  • the end of the skirt (725) and the end of the grip projection (751) may be formed in a folded manner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end of the skirt (725) and the end of the grip projection (751)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unwanted rotation of the first link (720) can be prevented.
  •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able a beverage to be extracted stably while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둘 이상 복수의 캡슐을 동시에 천공하고 음료가 추출되는 추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음료장치의 추출부는 단일의 모터와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모듈로 제공되면서 캡슐의 천공 및 음료의 추출 도중 캡슐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음료장치
본 발명은 캡슐에 들어 있는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를 내부에 밀봉 포장한 캡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캡슐은 음료의 원료를 내부에 밀봉 상태로 보관하고 있는데, 사용자는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캡슐 내부로 물을 통과시켜 음료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커피머신이 있다. 최근에는 커피 뿐 아니라 다양한 음료 및 음료재료를 캡슐에 제공하여 음료를 만들어 음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중 하나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17541호인 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에서는 장치 전체가 일체로 되어 있고 하나의 하우징의 내부에 모든 구성이 들어 있어 추출하는 부분의 동작이 다양하게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캡슐만을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므로, 다양한 음료의 추출이 어렵고,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컵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40026호인 선행문헌 2에는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여 물을 주입하기 위한 구성이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해서 캡슐에 통공을 천공해야 하고 캡슐을 넣고 빼는 것이 불편한 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039431호인 선행문헌 3의 경우 수동으로 레버를 동작시킴으로써 캡슐에 통공을 천공한다. 이에 따라 캡슐에 통공을 천공하는 작업이 어려웠다. 특히, 정확한 통공이 형성되지 않거나 과도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될 경우 음료가 원활히 추출되지 않거나 추출수가 과도히 제공되어 원하는 음료의 맛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 3은 캡슐이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는 추출수가 주입되는 방향과 배출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추출 효율성이 저하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98891호인 선행문헌 4의 경우 추출 챔버부 내에 투입된 캡슐을 이동시켜 해당 캡슐에 통공을 천공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 4는 캡슐이 정확하지 않게 투입되거나 또한, 캡슐이 이동되는 도중 캡슐의 유동이 발생될 경우 정확한 통공이 천공되지 못하고 온수의 주입이 원활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에 통공을 천공하는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장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추출수가 제공되면서 음료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캡슐을 동시에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의 하측은 받쳐진 상태에서 상측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캡슐의 상측에 추출수 주입공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캡슐에 추출수 주입공을 동시에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캡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모터를 배치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의 무게 중심을 낮춰 추출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캡슐의 상측에 위치되는 파지캡이 캡슐을 향해 자동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캡슐을 가압 및 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캡슐에 통공을 천공하는 과정에서의 캡슐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수작업에 따른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캡슐은 프레임부재 내에 트레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캡슐의 투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프레임부재는 전면 및 상하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프레임부재의 내측 저부에 캡슐이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캡슐을 파지하는 파지캡이 캡슐 상측에 위치되어 캡슐을 향해 승강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프레임부재는 전면으로 캡슐이 투입되거나 취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파지캡이 캡슐을 가압함에 따라 캡슐에 통공이 천공될 수 있도록 파지캡의 내면에는 천공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파지캡의 승강 동작을 위한 승강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승강모듈은, 프레임부재의 양 측벽에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프레임부재에 설치된 제1회전축이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승강모듈은, 제1회전축에 제1링크가 연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승강모듈은 제1링크에 제2링크가 연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제1링크는 제1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허브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회전축이 회전될 경우 제1링크가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제1링크는 허브의 어느 한 둘레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허브의 회전시 돌출부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제2링크의 일단은 제1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2링크는 제1링크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제2링크의 타단은 파지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2링크와 파지캡이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제2링크의 일단은 제1링크의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제1링크의 돌출부가 파지캡을 향하도록 세워질 경우 제2링크는 상기 파지캡을 향하도록 세워지면서 파지캡을 하향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회전축의 회전으로 파지캡이 승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돌출부의 끝단에는 제2링크가 연결되는 제2회전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제2링크의 일단은 제2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링크의 회전시 제2링크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제1링크에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텐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텐션부재가 제2회전축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제1링크에는 텐션부재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볼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제2회전축을 가압하는 힘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제2링크는 두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파지캡으로 가압력이 더욱 정확히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두 제2링크는 일단이 돌출부의 양 측벽에 각각 연결되고, 두 제2링크의 타단은 파지캡의 상단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제1링크의 돌출부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부로 벌어지는 스커트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승강모듈에는 스커트를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파지캡이 캡슐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제1링크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파지부재는 돌출부가 파지캡을 향하도록 위치될 경우 스커트를 파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파지부재는 동력전달모듈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로써, 동력전달모듈의 동작으로 제1링크와 파지부재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파지부재는 동력전달모듈의 구동으로 제1회전축과는 반대로 회전되면서 스커트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프레임부재는 서로 구획된 복수의 캡슐 안착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프레임부재는 복수의 캡슐에 대한 음료 추출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파지캡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프레임부재의 각 캡슐 안착공간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캡슐에 대한 통공의 천공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승강모듈의 제1링크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파지캡이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제1링크는 프레임부재의 각 캡슐 안착공간에 각각 위치되면서 하나의 제1회전축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제1링크가 제1회전축의 회전시 동시에 정역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승강모듈을 동작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동력전달모듈의 동작시 파지캡이 승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동력전달모듈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동력전달모듈은 모터의 구동력을 승강모듈에 전달하는 기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기어는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와, 복수의 종동기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캡슐의 음료가 추출되는 도중 파지캡이 캡슐을 정확히 가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종동기어 중 어느 하나는 주동기어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고, 복수의 종동기어 중 다른 하나는 승강모듈에 맞물려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물 공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파지캡 내로 추출수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추출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추출수로 캡슐 내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캡슐 안착 공간이 제공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캡슐을 향해 승강되면서 캡슐을 가압하는 복수의 파지캡; 상기 프레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의 동작에 연동되면서 상기 각 파지캡을 각각 승강시키는 복수의 링크; 상기 제1회전축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를 가지는 동력전달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동력전달모듈은 기어하우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각 기어가 상기 기어하우징에 결합되어 모듈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모터는 프레임부재의 둘레 중 하측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추출부의 무게 중심을 낮춤에 따라 파지캡이 캡슐을 가압 또는, 천공하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기어는, 모터의 모터축에 제공되는 주동기어와, 제1회전축에 제공되는 연동기어와, 모터축으로부터 제1회전축에 이르기까지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복수의 종동기어를 포함한다. 이로써 모터의 구동력이 제1회전축으로 정확히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제1회전축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파지캡이 캡슐의 상측에서 승강되면서 캡슐을 파지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도 캡슐에 대한 충분한 가압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프레임부재의 전면으로 캡슐이 제공되거나 취출되기 때문에 캡슐의 제공 또는, 취출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승강 동작되는 파지캡에 의해 캡슐을 고정하는 방향과 통공을 천공하는 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캡슐에 통공이 천공되는 도중 캡슐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복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파지캡이 승강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파지캡의 승강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음에 따라 파지캡이 캡슐에 통공을 천공할 때 충분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파지캡이 캡슐을 가압할 경우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캡슐의 천공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제1링크에 형성되는 스커트 및 승강모듈에 제공되는 파지부재에 의해 파지캡이 캡슐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제1링크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프레임부재에 복수의 캡슐 안착공간이 제공되기 때문에 복수의 캡슐에 대한 음료 추출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파지캡이 복수로 제공되면서 프레임부재의 각 캡슐 안착공간에 각각 제공되기 때문에 복수의 캡슐을 동시에 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하나의 제1회전축에 의해 복수의 파지캡이 동시에 동작되기 때문에 동력 전달을 위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복수의 기어로 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제1회전축의 정역 유동이 방지될 수 있어서 캡슐을 천공하는 도중 파지캡이 캡슐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각 기어가 기어하우징에 결합되어 모듈화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모터가 추출부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도록 배치됨에 따라 파지캡이 캡슐을 가압 또는, 천공하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커버가 상승 이동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추출부에 대한 정면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추출부에 대한 후면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승강모듈과 동력전달모듈의 관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트레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트레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트레이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승강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승강모듈에 대한 결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동력전달모듈이 승강모듈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동력전달모듈에 대한 사시도 및 분해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 15 내지 도 17과는 다른 부위에서 단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에 대한 정면도로써 커버가 폐쇄 또는,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 중 추출부의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장치는 둘 이상 복수의 캡슐(1)을 동시에 천공할 수 있는 추출부(3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추출부(30)는 단일의 모터로 복수의 캡슐(1)을 동시에 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천공 및 음료의 추출 도중 캡슐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를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는 베이스(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에는 물통(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통(13)에는 캡슐 음료를 추출하는데 필요한 추출수가 저장된다.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물통(13)은 상기 베이스(10)의 측면으로 착탈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 내에는 펌프(도시는 생략됨)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물통(13) 내의 추출수를 펌핑하여 추출부(30)로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외면에는 디스플레이창(16)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6)은 음료장치의 동작에 관련한 각종 정보 또는, 음료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6)은 음료장치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창(16)은 터치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음료컵이 얹히는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6)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음료컵이 얹히는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창(16)의 어느 일부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는 지지레그(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후술될 추출부(30)를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지지레그(20)에 의해 추출부가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각 지지레그(20)는 상기 추출부(30)의 둘레를 따라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는 추출부(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에는 캡슐(1)이 장착되고,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추출수로 캡슐(1)의 음료가 추출된다.
상기 추출부(30)는 상기 베이스(10)와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지지레그(20)에 의해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를 이루는 추출부(3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2)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2)은 프레임(321)과 상기 프레임(321)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하우징(323) 및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하우징(322)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321)과 상부하우징(323) 및 하부하우징(322)은 서로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하우징(323)과 하부하우징(3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321)에 단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323)은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322)은 저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323)에는 상기 개방 부위 중 일부를 개폐하는 커버(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34)는 상기 상부하우징(323)으로부터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하우징(323)의 개방 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커버(34)에는 투시창(344)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투시창(344)을 통해 상부하우징(323) 내의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투시창(344)을 통해 파지캡(35)이 캡슐(1)을 정확히 가압하는지의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를 이루는 추출부(30)는 추출 작업이 수행되는 프레임부재(3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33)는 추출부(3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33)는 상기 하우징(32) 내에 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프레임부재(33)는 하부하우징(322) 내에 하단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추출부의 전방측 사시도 및 후방측 사시도이고, 도 6은 추출부와 동력전달모듈 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33)는 전면이 개방되고 양 측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재(33) 내의 하측 부위에는 캡슐(1)의 안착될 수 있는 공간(안착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착 공간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33)에는 복수의 캡슐(1)이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안착 공간에 각각의 캡슐(1)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안착 공간은 구획벽(331)에 의해 서로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331)은 상기 프레임부재(33)의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벽(331)은 상기 양 측벽 사이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된다.
상기 프레임부재(33) 내의 각 안착 공간의 상측에는 후술될 파지캡(35)이 승강될 수 있는 공간(승강 공간)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공간은 상기 파지캡(35)이 트레이(500)에 얹힌 캡슐(1)로부터 완전히 벗어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재(33)의 내면 하측 부위에는 상기 파지캡(35)이 하강 이동될 경우 상기 파지캡(35)의 둘레를 받쳐주는 받침돌기(33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파지캡(35)은 정확히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33)의 후면 중 상측 부위는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 부위로 후술될 제1링크(720)의 동작시 상기 제1링크(72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개방 부위에 의해 상기 제1링크(720)가 간섭없이 원활히 동작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33)의 후면 중 하측 부위에는 안착홈(33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33)에는 후술될 동력전달모듈(900)의 모터(910)가 안착된다. 상기 안착홈(333)의 상측 및 하측에는 결합돌기(33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34)에는 상기 동력전달모듈(900)의 모터(910)가 결합되는 결합부재(914)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슐(1)은 트레이(500)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부재(33)의 안착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캡슐(1)은 트레이(5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부재(33)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안착 공간으로 제공된다. 상기 트레이(500)는 상기 하우징(32)의 커버(34)가 상부로 이동될 경우 상부하우징(323)의 개방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500)는 상기 프레임부재(33)의 하단에 형성된 얹힘턱(335)(도 4 참조)에 얹힐 수 있다. 상기 얹힘턱(335)의 내측은 개방되면서 캡슐(1)에서 추출된 음료가 낙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500)에는 복수의 안착부(501)가 형성된다. 상기 각 안착부(501)는 상하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안착부(501) 내에는 파단돌기(511)를 가지는 받침대(510)가 제공된다. 상기 받침대(510)에는 캡슐(1)이 각각 안착되고, 상기 파단돌기(511)는 상기 캡슐(1)의 가압시 상기 캡슐(1)을 밀봉하는 필름(1a)을 파단하는 작용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캡슐(1)은 필름(1a)으로 밀봉된 부위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트레이(500)의 받침대(510)에 안착된다.
상기 받침대(510)는 상기 안착부(5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받침대(510)를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대(510)에는 추출 음료가 흘러 내릴 수 있도록 다수의 추출공(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에는 상기 트레이(500)의 수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도시는 생략됨)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가 트레이(500)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500)에는 상기 홀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부재(예컨대, 영구자석)(50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를 이루는 추출부(30)는 파지캡(35)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파지캡(35)은 상기 프레임부재(33) 내에 제공된 캡슐(1)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상기 파지캡(35)은 상기 프레임부재(33) 내의 승강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파지캡(35)은 캡슐(1)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후술될 승강모듈(70)의 동작으로 하향 이동되어 상기 캡슐을 감싸면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캡(35)에는 캡슐(1)이 수용되는 수용홈(35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51)에 의해 상기 파지캡(35)이 하향 이동될 경우 캡슐(1)의 외면이 상기 수용홈(351) 내의 둘레면에 밀착되면서 가압된다. 이로써 음료의 추출시 상기 캡슐(1)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51)은 상기 파지캡(35)의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요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51) 내의 둘레면은 상기 캡슐(1)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파지캡(35)이 하향 이동되면서 상기 수용홈(351) 내로 캡슐(1)이 수용될 경우 상기 수용홈(351)의 내면에 상기 캡슐(1)의 외면이 점차 접촉되면서 가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지캡(35)은 상기 캡슐(1)을 고정한 상태로 통공(추출수가 주입되는 구멍)을 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파지캡(35)의 수용홈(351)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돌기(355)가 제공된다. 상기 천공돌기(355)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천공돌기(355)는 단일의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351) 내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천공돌기(355)는 상기 수용홈(351) 내의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한 둘레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천공돌기(355)는 상기 수용홈(351) 내의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측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캡슐(1) 상면의 둘레 부위에 통공을 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캡슐(1)에는 어느 한 곳에만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부위에 통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캡슐(1) 내의 전 부위로 추출수가 고르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즉, 캡슐(1) 내의 음료가 균일하게 추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천공돌기(355)는 상기 수용홈(351) 내의 상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천공돌기(355)는 상기 파지캡(35)의 승강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파지캡(35)의 하강 이동에 의해 캡슐(1)의 상면에 통공을 천공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천공돌기(355)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캡(35)의 하단 둘레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캡하우징(35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하우징(352)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캡하우징(352)의 추가 제공으로 수용홈(351) 내면과 캡슐(1)의 외면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틈새로 압력이 누술되거나 추출수가 누설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캡하우징(352)의 외면에는 금속커버(353)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커버(353)는 상기 캡하우징(352)이 고무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추출수의 압력으로 원치않게 벌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를 이루는 추출부(30)는 승강모듈(70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듈(700)은 상기 파지캡(35)을 승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모듈(700)은 후술될 동력전달모듈(39)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면서 파지캡(35)을 승강한다.
도 4 내지 도 6과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상기 승강모듈(700)은 제1회전축(7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축(710)은 상기 프레임부재(33)의 양 측벽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축(710)은 상기 프레임부재(33)의 구획벽(3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듈(700)은 제1링크(720)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캡(35)이 복수로 제공될 경우 상기 제1링크(720)도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와 같이 파지캡(35)이 두 개로 제공될 경우 상기 제1링크(720)도 두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720)는 상기 제1회전축(710)이 관통되는 허브(721)와, 상기 허브(721)의 어느 한 둘레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722)는 파지캡(35)의 상승 이동시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파지캡(35)의 하강 이동시 상기 파지캡(35)의 직상부로 수직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돌출부(722)의 끝단에는 제2회전축(723)이 제공된다.
상기 승강모듈(700)은 제2링크(7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링크(730)는 상기 제1링크(720)와 파지캡(35)에 양 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제1링크(720)의 동작시 연동하면서 상기 파지캡(35)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링크(730)의 일단은 제1링크(720)에 구비된 제2회전축(7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730)의 타단은 상기 파지캡(35)의 상단에 제공된다. 상기 제2링크(730)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두 제2링크(730)의 일단은 상기 제2회전축(723)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두 제2링크(730)의 타단은 상기 파지캡(35)의 상단 양 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720)가 파지캡(35)을 향하도록 세워질 경우 상기 제2링크(730)는 상기 파지캡(35)을 향하도록 세워지면서 파지캡(35)을 하향 가압하도록 위치된다. 이로써 파지캡(35)으로 최대한 큰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캡슐(1)이 원활히 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링크(730)의 경우 제1링크(720)의 회전에 연동하면서 파지캡(35)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같이 제2링크(730)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일부가 절곡된 형상의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음료장치를 이루는 추출부(30)는 동력전달모듈(90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모듈(900)은 상기 승강모듈(700)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 6과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모듈(900)은 모터(910) 및 이 모터(9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910)는 정역 구동이 가능한 스텝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910)는 감속기어(9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910)는 상기 프레임부재(33)의 후방 중 하측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모터(910)를 추출부(30)의 최대한 하측 부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추출부(30)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 음료장치의 경우 추출부(30)가 베이스부(10)와는 이격되면서 지지레그(2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추출부(30)의 무게 중심이 상측에 위치될 수록 전도의 가능성이나 가압 또는, 천공 도중 흔들림의 가능성이 커진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모터(910)의 배치로 추출부(30)의 무게 중심을 최대한 낮춤으로써 로써 파지캡(35)이 캡슐(1)을 가압 또는, 천공하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기어(913,921,922,923,924,925)나 벨트, 링크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복수의 기어(913,921,922,923,924,925)로 제공된다. 즉, 복수의 기어(913,921,922,923,924,925)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함에 따라 음료의 추출시 추출부(30)의 캡슐 압력이 매우 커지더라도 각 기어(913,921,922,923,924,925)간의 맞물림에 의해 제1회전축(71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기어(913,921,922,923,924,925)는 상기 모터(910)의 모터축(912)에 설치되는 주동기어(913)와, 상기 주동기어(91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회전축(710)을 회전시키는 종동기어(921,922,923,92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921,922,923,924)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동기어는 셋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종동기어(921,922,923,924) 중 어느 하나의 종동기어(제1종동기어)(921)는 상기 주동기어(913)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복수의 종동기어(921,922,923,924) 중 다른 하나의 종동기어(제2종동기어)(922)는 상기 제1회전축(710)에 제공되는 연동기어(925)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한다. 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종동기어(923,924)는 상기 제1종동기어(921)와 제2종동기어(922)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종동기어(921)나 제2종동기어(922)와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동력전달모듈(700)은, 상기 각 기어(913,921,922,923,924,925)를 덮는 기어하우징(9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하우징(930)의 추가 제공으로 각 기어(913,921,922,923,924,925)들이 단일의 모듈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어느 한 기어(913,921,922,923,924,925)의 동작 불량이 발생될 경우 상기 복수의 기어가 내장된 기어하우징(930)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기어하우징(930)의 제공시 상기 각 기어(913,921,922,923,924,925)들은 상기 기어하우징(9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서로 맞물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기어하우징(930)은 어느 한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이렇게 개방된 측면은 상기 프레임부재(33)의 측벽 일부가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33)의 측벽 일부가 상기 기어하우징(930)의 개방된 측면을 덮는 커버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음료 추출을 위한 준비를 수행한다. 즉, 음료컵을 베이스(10)의 상면 중 추출부(30)의 저부에 위치시키고 추출하고자 하는 캡슐(1)을 본 발명 음료장치의 추출부(30)에 제공한다.
상기 추출부(30)에 캡슐(1)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는 트레이(500)를 취출하여 상기 트레이(500)에 추출하고자 하는 캡슐(1)을 제공한다.
상기 트레이(500)는 추출부(30)의 커버(34)를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외부로 노출한 후 취출한다.
캡슐(1)은 상기 취출된 트레이(500)의 각 안착부(501)에 제공된 받침대(510)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캡슐(1)은 그의 필름(1a)이 상기 받침대(510)와 마주보도록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트레이(500)를 추출부(30) 내로 삽입한 후 커버(34)를 닫음으로써 음료 추출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상기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음료 추출을 위한 조작(또는, 제어)이 발생되면 동력전달모듈(900)의 모터(910)가 구동되고 그의 모터축(912) 및 이 모터축(912)에 제공되는 주동기어(913)가 회전된다. 상기 모터(91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감속기어(911)에 의해 설정 속도 또는, 설정된 힘(torque)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912) 및 주동기어(913)의 회전으로 해당 주동기어(913)에 맞물린 동력전달모듈(900)의 종동기어(921) 및 해당 종동기어(921)에 맞물린 여타 종동기어(922,923,924)가 순차적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마지막 종동기어(924)에 맞물린 연동기어(925)가 동작되면서 제1회전축(710)이 회전된다.
상기 제1회전축(710)이 회전되면 두 제1링크(720)가 회전된다. 이로써 상기 각 제1링크(720)의 돌출부(722)는 점차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예컨대, 첨부된 도 15 내지 도 20과 같이 상기 모터(910)가 구동될 경우 제1링크(7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점차 수직한 방향을 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5 내지 도 17과 도 18 내지 도 20은 서로 동일한 상태를 서로 다른 부위에서 단면하여 나타낸 각각의 동작 상태도이다.
상기 제1링크(720)가 회전되면 제2링크(730)도 회전된다. 상기 제2링크(730)는 상기 제1링크(720)의 회전이 진행될 수록 파지캡(35)을 점차 하향 이동시키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720)가 수직한 방향을 향하게 되면 상기 제2링크(730)도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파지캡(35)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부재(33)에 위치된 두 파지캡(35)은 트레이(500)에 얹힌 두 캡슐(1)을 각각 덮도록 위치되면서 점차 가압함과 동시에 해당 캡슐(1)의 상면에 통공을 천공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펌프가 동작되면서 물통(13) 내의 추출수를 펌핑하여 각 파지캡(35)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수는 상기 각 파지캡(35) 내의 캡슐(1)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캡슐(1) 내로 공급된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추출수의 압력과 파단돌기(522)에 의해 상기 캡슐(1)의 필름(1a)을 찢기면서 추출 음료가 배출된다. 이후 상기 추출 음료는 받침대(510)에 형성된 각 추출공(512)을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되어 음료컵에 담겨진다.
결국,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파지캡(35)이 캡슐(1)의 상측에서 승강되면서 캡슐(1)을 파지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도 캡슐(1)에 대한 충분한 가압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승강 동작되는 파지캡(35)에 의해 캡슐(1)을 고정하는 방향과 통공을 천공하는 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캡슐(1)에 통공이 천공되는 도중 캡슐(1)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회전축(710) 및 복수의 링크(720,730)를 이용하여 파지캡(35)이 승강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파지캡(35)의 승강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제1링크(720)와 제2링크(730)가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파지캡(35)을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파지캡(35)이 캡슐(1)에 통공을 천공할 때 충분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프레임부재(33)에 복수의 캡슐 안착공간이 제공되고, 각 캡슐 안착공간에는 파지캡(35)이 각각 제공되기 때문에 복수의 캡슐(1)에 대한 음료 추출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하나의 제1회전축(710)에 의해 복수의 파지캡(35)이 동시에 동작되기 때문에 동력 전달을 위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복수의 기어(913,921,922,923,924,925)로 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캡슐(1)을 천공하는 도중 파지캡(35)이 캡슐(1)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각 기어(913,921,922,923,924,925)가 기어하우징(930)에 결합되어 모듈화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거나 또는, 다양한 구조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캡슐(1)의 천공 작업시 각 링크(720,7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10과 도 16, 도 18,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720)와 제2링크(730)가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텐션부재(74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텐션부재(740)는 상기 제1링크(720) 내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722)의 돌출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면서 제2회전축(723)을 가압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텐션부재(740)가 상기 제2회전축(723)을 가압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링크(720)가 수평하게 위치된 상태 또는, 수직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2링크(730)가 원치않게 유동(또는, 회전)됨이 방지된다.
상기 텐션부재(740)는 텐션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텐션부재(740)의 텐션 조절을 통해 두 링크(720,730)가 특정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두 링크(720,730)가 상기 지점에서 벗어날 경우 다른 지점에 이르기까지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링크(720)에는 상기 텐션부재(740)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볼트(74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트(742)는 상기 텐션부재(740)와 상기 제1회전축(710) 사이에 제공되는 가압링(741)을 전후 이동시키면서 상기 텐션부재(74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볼트(742)의 조작으로 가압링(741)이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텐션부재(740)를 더욱 압축하거나 또는, 후퇴 이동하면서 텐션부재(740)의 가압을 해제하면서 상기 텐션부재(74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트(742)는 무두볼트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링크(720)의 허브(721)에는 상기 조절볼트(742)가 관통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조절볼트(742)의 조절을 위한 도구의 삽입이 가능한 조절홈(724)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첨부된 도 21 내지 도 23에서와 같이 승강모듈(700)을 구성하는 제1링크(720)에 스커트(725)가 더 형성되고, 상기 승강모듈(700)에는 상기 스커트(725)를 파지하는 파지부재(750)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커트(725) 및 파지부재(750)에 의해 파지캡(35)이 캡슐(1)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제1링크(72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커트(725)는 제1링크(720)의 돌출부(722) 외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커트(725)는 상기 돌출부(722)의 끝단으로 갈수록 외부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재(750)는 상기 돌출부(722)가 파지캡(35)을 향하도록 위치될 경우 상기 스커트(725)와 맞물려 파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캡(35)이 캡슐(1)을 덮으면서 가압하는 도중 파지부재(750)가 스커트(725)의 끝단을 받쳐주면서 과도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음료의 추출시 상기 돌출부(제1링크)(722)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파지부재(750)는 상기 동력전달모듈(900)의 구동으로 상기 제1회전축(710)과는 반대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파지부재(750)는 동력전달모듈(900)을 이루는 각 종동기어(921,922,923,924) 중 어느 한 종동기어(922)의 축에 결합되면서 함께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750)에는 상기 스커트(725)의 끝단을 파지하는 파지돌기(7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커트(725)의 끝단과 상기 파지돌기(751)의 끝단은 서로 맞물리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커트(725)의 끝단과 상기 파지돌기(751)의 끝단이 서로 맞물릴 경우 상기 제1링크(720)의 원치않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다양한 구조가 추가로 제공되면서 음료가 안정적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20)

  1. 양 측벽을 가지면서 저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캡슐이 위치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 내의 캡슐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캡슐을 가압 및 천공하고 캡슐 내로 추출수를 공급하는 파지캡;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캡을 승강하는 승강모듈;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승강모듈을 동작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모듈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어느 한 둘레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승강모듈에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음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전면은 캡슐이 투입되거나 취출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되는 음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캡의 내면에는 상기 캡슐에 통공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돌기가 구비되는 음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 측벽에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파지캡에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음료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1회전축이 관통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어느 한 둘레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의 돌출부가 파지캡을 향하도록 세워질 경우 상기 제2링크는 상기 파지캡을 향하도록 세워지면서 파지캡을 하향 가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는 제2회전축이 제공되며,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2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에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면서 제2회전축을 가압하는 텐션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에는 상기 텐션부재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볼트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두 개로 제공되고,
    상기 두 제2링크는 일단이 상기 돌출부의 양 측벽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파지캡의 상단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에 제공되고 상기 제1링크의 끝단으로 갈수록 외부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스커트와,
    상기 동력전달모듈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스커트를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포함되는 음료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파지캡을 향하도록 위치될 경우 상기 스커트를 파지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과는 반대로 회전되면서 상기 스커트와 맞물리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어느 한 측 외벽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와,
    어느 하나는 상기 주동기어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고, 다른 하나는 상기 승강모듈에 맞물려 동작되는 복수의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음료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어가 설치되는 기어하우징이 더 포함되는 음료장치.
  17. 캡슐이 각각 위치되는 복수의 캡슐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부재;
    상기 각 캡슐 안착 공간 중 상기 각 캡슐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캡슐을 향해 승강되면서 캡슐을 가압 및 천공하는 복수의 파지캡;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단 양 측벽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의 동작에 연동되면서 상기 각 파지캡을 각각 승강시키는 복수의 링크;
    상기 프레임부재의 어느 한 둘레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프레임부재의 어느 한 측편에 제공되면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음료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가 결합되는 기어하우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둘레 중 하측 부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어는,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제공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제1회전축에 제공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모터축으로부터 상기 제1회전축에 이르기까지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복수의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음료장치.
PCT/KR2023/010324 2023-07-18 2023-07-18 음료장치 WO202501844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0324 WO2025018448A1 (ko) 2023-07-18 2023-07-18 음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0324 WO2025018448A1 (ko) 2023-07-18 2023-07-18 음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5018448A1 true WO2025018448A1 (ko) 2025-01-23

Family

ID=9428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0324 WO2025018448A1 (ko) 2023-07-18 2023-07-18 음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501844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5757A (ko) * 2010-08-27 2013-08-28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제어된 모터 작동식 브루잉 유닛
KR20140006866A (ko) * 2011-01-03 2014-01-16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기계식 트랜스미션을 갖춘 전동식 음료 머신
KR101410843B1 (ko) * 2006-07-06 2014-06-23 퍼팩트 스팀 어플라이언시스 리미티드 음료수 조제 기계용 주입 조립체
KR20150092025A (ko) * 2015-03-19 2015-08-12 주식회사 나조산업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US20220031109A1 (en) * 2018-09-27 2022-02-03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Beverage machine with an actuation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843B1 (ko) * 2006-07-06 2014-06-23 퍼팩트 스팀 어플라이언시스 리미티드 음료수 조제 기계용 주입 조립체
KR20130095757A (ko) * 2010-08-27 2013-08-28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제어된 모터 작동식 브루잉 유닛
KR20140006866A (ko) * 2011-01-03 2014-01-16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기계식 트랜스미션을 갖춘 전동식 음료 머신
KR20150092025A (ko) * 2015-03-19 2015-08-12 주식회사 나조산업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US20220031109A1 (en) * 2018-09-27 2022-02-03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Beverage machine with an actuation distribu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38876A1 (ko) 주사바늘분리처리기
WO2015093805A1 (ko)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WO2020050548A1 (ko)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WO2017061687A1 (ko) 드럼식 조리기
WO2019203553A1 (ko)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WO2025018448A1 (ko) 음료장치
WO2020027367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62310A1 (en) Humidification apparatus
WO2019107902A1 (ko) 세탁기
WO2021091055A1 (ko) 블렌더
WO2011071302A2 (ko)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25018452A1 (ko) 음료장치
WO2010011019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8139907A2 (ko) 정수기능을 구비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WO2019156353A1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WO2010058922A2 (ko) 높낮이 조절장치
WO2024010273A1 (ko) 네일아트장치
WO2018079889A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WO2024122942A1 (ko) 식품 가공기
WO2025018451A1 (ko) 음료장치
WO2021206270A1 (ko) 소음 발생이 차단되는 블렌더
WO2025018450A1 (ko) 음료장치
WO2023204492A1 (ko) 모듈식 온열치료기용 도자 승하강장치
WO2019203408A1 (ko) 조리기
WO2021049808A1 (ko) 진공 조리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9459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