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25920B1 - 헬릭스 파일 - Google Patents

헬릭스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920B1
KR102325920B1 KR1020190006575A KR20190006575A KR102325920B1 KR 102325920 B1 KR102325920 B1 KR 102325920B1 KR 1020190006575 A KR1020190006575 A KR 1020190006575A KR 20190006575 A KR20190006575 A KR 20190006575A KR 102325920 B1 KR102325920 B1 KR 10232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pile
file
connection
slide k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837A (ko
Inventor
박준환
Original Assignee
(주)흥덕이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흥덕이앤피 filed Critical (주)흥덕이앤피
Priority to KR102019000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9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9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릭스 파일은, 회전날개가 연결되고 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선단파일; 상기 삽입부를 내입하고, 내면에 상기 삽입부를 향하여 돌출된 슬라이드키를 가지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 단부에 연결되며, 타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연결파일; 및 상기 삽입부는, 내면에 연결되며, 상기 커플러의 상기 슬라이드키와 접하는 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릭스 파일 {HELIX PILE}
본 발명은 헬릭스 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이 세워지는 경우, 지반의 조건이나 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상부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기초공사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경질지반처럼 구조물에 접한 지반이 이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위에 직접 기초공사를 수행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연약지반인 경우에는 지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파일을 박거나 지반을 개량하는 지정공사를 수행하여 지반을 강화한 후, 그 위에 기초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연약지반에 시공되는 상기 파일은 그 재질에 따라 강관 파일, PC 파일, PHC 파일 등으로 구분되고, 또한, 그 형태 및 용도에 따라 강널 파일, 관형 파일, H-형강 파일 등으로 구분되는데, 연약지반에서는 관형 파일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헬릭스 파일(Helix pile) 고강도 강관 파일에 나선형의 날개(Helix)를 달아 회전운동을 통해 지반에 관입을 시켜 그라우팅(Grouting)으로 보강하는 공법이다. 따라서 파일에 구비된 날개를 통해 상하 선단 또는 마찰 지지력을 통하여 압축 및 인장하중에 탁월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헬릭스 파일은 일정한 연장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각 파일을 서로 연결하기위해 각 단부가 서로 겹쳐져 삽입되도록 한 후에, 삽입연결된 단부를 관통하는 핀 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용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 방식은, 연결단부의 체결력이 부족하여 헬릭스 파일의 회전시 각각의 헬릭스 파일이 서로 헛돌면서 회전 삽입이 어려웠으며, 연결단부 부분에서 유격이 발생하여 지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에서 크게 발생하는 휨 모멘트에 대하여 더욱 취약해져 수직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파일에 볼트를 관통시키기위한 천공홀에 의해 유격이 발생하여 인장하중에 취약하며 그라우팅 효과가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헬릭스 파일의 수직도 유지 및 그라우트재누출이 방지되며, 인장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헬릭스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전날개가 연결되고 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선단파일, 상기 삽입부를 내입하고, 내면에 상기 삽입부를 향하여 돌출된 슬라이드키를 가지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 단부에 연결되며, 타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연결파일 및 상기 삽입부는, 내면에 연결되며, 상기 커플러의 상기 슬라이드키와 접하는 벽체를 포함하는 헬릭스 파일을 제공한다.
상기 삽입부는, 일면에 상기 삽입부 일단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단부와 연통되고 상기 연장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는, 내면에 패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홈에 연결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키는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도록 폭방향 길이가 상기 연장부의 폭방향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키는 상기 커플러의 내면에 접하는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단파일의 직경은, 상기 연결파일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는, 내부에 삽입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연결파일과 커플러 사이를 패킹하기위해, 외부 직경이 상기 커플러의 내부 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릭스 파일은 연결파일 및 선단파일의 각 단부에 커플러를 적용하여 각 파일의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릭스 파일은 핀이나 볼트 결합 방식이 아니라 커플러의 슬라이드키를 이용하여 삽입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력이 우수하면서도 그라우팅시 그라우트재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릭스 파일은 커플러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져 유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인장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릭스 파일은, 커플러 및 슬라이드키의 제작 및 용접이 용이하여 제작비 및 가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릭스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릭스 파일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릭스 파일의 결합부측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헬릭스 파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헬릭스 파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웃한 연결파일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릭스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릭스 파일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릭스 파일의 결합부측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파일(10)에서 헤드부(70) 쪽을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고, 헤드부(70)에서 선단파일(10) 쪽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헬릭스 파일(1)은 지반 보강을 위해 지중에 회전 관입되는 구조물로서, 선단파일(10), 회전날개(11), 연결파일(30), 커플러(50), 헤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헬릭스 파일(1)의 근입 깊이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파일(30)이 구비되어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헬릭스 파일(1)의 총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선단파일(10)은 중공형의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지반에 선단파일(10)을 설치할 때 설치방향으로 용이하게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일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선단파일(10)의 외면에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회전날개(1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날개(11)는 선단파일(10)이 회전 시, 동시에 회전되면서 지중에 관입될 수 있다. 회전날개(11)는 헬릭스 파일(1)이 지반 내로 관입되기 위해서 또는 지반 내에 관입된 후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대해서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회전날개(11)는, 헬릭스 파일(1)이 지중에 관입될 때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압축응력 및 압축응력에 대향하여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는 인장응력을 동시에 지지하여 지중에 전달하면서, 헬릭스 파일(1)에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파일(30)은 중공형의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선단파일(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파일(30)은 선단파일(10)의 상단부와 커플러(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근입 깊이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파일(30)을 연속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헬릭스 파일(1)의 총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커플러(50)가 각 연결파일(30)과 선단파일(10) 사이 및 이웃한 연결파일(30)의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의 파일들은 커플러(5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헤드부(70)는 선단파일(10) 및 연결파일(30)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헬릭스 파일(1)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70)에는 헬릭스 파일(1)이 지중에 설치되는 도중에 헬릭스 파일(1)을 회전 및 압입 시키는 구동체가 결합될 수도 있고, 또한 지중에 설치가 완료된 후에 지상에 고정되는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연결파일(30)의 하단부에는 커플러(50)가 연결되고, 선단파일(10) 및 연결파일(30)의 상단에는 커플러(50)와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10a, 30a)가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50)는 중공형의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플러(50)의 내부 직경은, 내부 공간에 연결파일(30) 및 선단파일(10)이 인입될 수 있도록 연결파일(30) 및 선단파일(10)의 외부 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50)는 연결파일(30)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파일(30)의 회전 시, 연결파일(30)에 고정된 커플러(50)는 함께 회전이 가능하다.
커플러(50)의 내면 하단부에는 원주면을 따라 패킹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패킹홈(51)은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패킹홈(51)에는 패킹부재(52)가 연결될 수 있다.
패킹부재(52)는 패킹홈(51)에 대응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부재(52)의 높이는 패킹홈(51) 높이의 1/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5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커플러(50)의 하측을 통해 선단파일(10)의 삽입부(10a)가 삽입된 상태일 때 삽입부(10a)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킹홈(51)은 커플러(50)와 삽입부(10a) 사이의 틈을 패킹할 수 있어, 외부로부터 토사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패킹홈(51)은 패킹부재(52)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헬릭스 파일(1)이 지중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경우, 패킹부재(52)가 패킹홈(5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킹부재(52)는 패킹홈(51)에 연결된 상태에서 찌그러지거나 압축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커플러(50)는 내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드키(5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키(53)는 충분한 강성 및 내구도를 갖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플러(50)의 내면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50)의 내면에 접하는 슬라이드키(53)는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53a)이 형성되며, 관통홀(53a)의 둘레 및 슬라이드키(53)의 외곽측은 용접에 의해 커플러(50)의 내면에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선단파일(10) 및 연결파일(30)의 삽입부(10a, 30a)에는, 커플러(50)의 슬라이드키(53)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삽입홀(13, 33)이 형성되며, 각 삽입부(10a, 30a)의 내면에는 벽체(15, 35)가 배치될 수 있다.
삽입홀(13, 33)은 각 파일의 삽입부(10a, 30a) 일면에서 외부와 내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홀(13, 33)은 내측의 폭이 외측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삽입홀(13, 33)은 각 파일에 레이저 절단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이저 절단기를 통해 자동으로 각 파일을 원하는 모양으로 절단하고, 정확한 치수를 가질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삽입홀(13)은 연장부(13a) 및 고정부(13b)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3a)는 삽입부(10a)의 축방향으로 따라 연장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b)는 연장부(13a)의 하단에서 연장부(13a)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연장부(13a)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홀(13)은 전체적으로 "철(凸)"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키(53)가 삽입홀(13)의 연장부(13a)를 통해 고정부(13b)까지 삽입되었을 때, 헬릭스 파일(1)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키(53)가 고정부(13b)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으며, 삽입홀(13)에 삽입된 채 걸림고정될 수 있다.
벽체(15, 35)는 삽입부(10a, 30a)의 내측에 배치되어, 삽입부(10a, 30a)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15, 35)는 선단파일(10) 및 연결파일(3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축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벽체(15, 35)의 너비 및 축방향 길이는, 삽입홀(13, 33)의 너비 및 축방향 길이와 대응되거나 더 길게 형성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벽체(15, 35)는 삽입홀(13,3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홀(13, 33)에 의해 개방된 공간을 폐쇄하여, 그라우팅(Grounting) 시공 시 그라우트재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키(53)는 커플러(50)의 내면에 접하고 있는 일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타면이 삽입홀(13, 33)을 통해 벽체(15)의 일면에 접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플러(50)의 회전 시, 슬라이드키(53)가 벽체(15, 35)에 접한 채 벽체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정적으로 삽입홀(13, 3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헬릭스 파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헬릭스 파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하방에 위치하는 선단파일(10)의 삽입부(10a) 및 상방에 위치하는 연결파일(30)이 커플러(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10a)가 커플러(50)의 하단을 통해 인입되고, 연결파일(30)의 하단부가 커플러(50)의 상단을 통해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커플러(50)의 내측 상단부에는 슬리브(37)가 연결고정되어 있다. 슬리브(37)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중공형의 원형 파이프 형상이므로, 연결파일(30)은 슬리브(37)의 내부로 인입되며 이에 따라 커플러(50)의 상단을 통해 인입될 수 있다. 즉, 슬리브(37)는 연결파일(30) 및 커플러(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37)의 내부 직경은 연결파일(30)의 외부 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연결파일(30)의 외면에 밀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37)의 외부 직경은 커플러(50)의 내부 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커플러(50)의 내측으로 삽입된 채로 커플러(50)의 내면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17)에 의해 커플러(50)와 연결파일(30) 사이의 틈새가 밀폐될 수 있어, 그라우팅 시 틈새를 통한 그라우트재의 누출이 방지되어 그라우팅 주입 효율이 높아지고, 슬리브(37)는 용접에 의해 연결파일(30) 및 커플러(5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커플러(50)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드키(53)는 선단파일(10)의 삽입부(10a)에 형성되는 삽입홀(13)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홀(13)은 일측이 벽체(15)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타측은 커플러(50)의 내면에 의해 폐쇄되어, 슬라이드키(53)는 삽입홀(13)에 안정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키(53)는 삽입홀(13)의 연장부(13a)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키(53)는 연장부(13a)를 통해 고정부(13b)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의 연결파일(30)을 일방으로 회전 시, 슬라이드키(53)가 고정부(13b)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고정부(13b)의 일측 수직면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키(53)의 상하방향 길이는 고정부(13b)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어, 슬라이드키(53)의 상측 및 하측은 고정부(13b)의 상측 및 하측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파일(30)이 일방으로 회전 시 슬라이드키(53)는 고정부(13b)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부(13b)의 일측과 맞물려 선단파일(10) 및 연결파일(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방의 연결파일(30)을 일방으로 재회전 시, 커플러(50)의 슬라이드키(53)가 고정부(13b)의 일측 수직면 및 하측에 접촉 회전력을 전달하여, 선단파일(10) 및 연결파일(30)이 동시에 일방으로 회전하며 지반에 관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웃한 연결파일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한편, 도 6과 같이 연결파일(30)이 2개 이상의 결합되는 경우, 이웃한 2개의 연결파일(30)간의 결합을 위해 각각의 연결파일(30) 상단부에는, 삽입홀(33) 및 연결파일(30)의 상단 내면에 배치되는 벽체(35)를 포함하는 삽입부(30a)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각각의 구성들은 도 2에 도시된 선단파일(10)의 삽입홀(13), 벽체(15)를 포함하는 삽입부(10a)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연결파일(30)의 사이에는 커플러(5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결파일(30)로 구성된 헬릭스 파일(1)은, 상방에 위치한 연결파일(30)의 하단부와, 하방에 위치한 연결파일(30)의 삽입부(30a)가 커플러(50)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헬릭스 파일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 위치한 연결파일(30)을 일방으로 회전 시 슬라이드키(53)는 고정부(33b)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부(33b)의 일측과 맞물려 이웃한 2개의 연결파일(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방의 연결파일(30)을 일방으로 재회전 시, 커플러(50)의 슬라이드키(53)가 고정부(33b)의 일측 수직면 및 하측에 접촉 회전력을 전달하여, 하방에 연결되는 연결파일(30) 및 선단파일(10)이 동시에 일방으로 회전하며 지반에 관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헬릭스 파일 10: 선단파일
10a, 30a: 삽입부 11: 회전날개
13, 33: 삽입홀
13a,33a: 연장부 13b,33b: 고정부
15, 35: 벽체 37: 슬리브
30: 연결파일 50: 커플러
53: 슬라이드키 53a: 관통홀

Claims (8)

  1. 회전날개가 연결되고 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선단파일;
    상기 삽입부를 내입하고, 내면에 상기 삽입부를 향하여 돌출된 슬라이드키를 가지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 단부에 연결되며, 타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연결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내면에서 연결되어 개방된 공간을 폐쇄하며, 상기 슬라이드키와 접하고, 상기 삽입부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키와 접하는 부위에만 위치하며, 상기 선단파일 및 연결파일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가지고, 축방향으로 형성된 벽체; 및
    상기 선단파일의 일면에서 외부와 내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키가 삽입되고, 상기 벽체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은,
    일면에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단부와 연통되고 상기 연장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내면에 패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홈에 연결되는 패킹부재; 및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파일과 커플러 사이를 패킹하기위해, 외부 직경이 상기 커플러의 내부 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키는,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도록 폭방향 길이가 상기 연장부의 폭방향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의 내면에 접하는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에 접한 채 벽체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선단파일의 직경은,
    상기 연결파일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헬릭스 파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06575A 2019-01-18 2019-01-18 헬릭스 파일 Active KR10232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575A KR102325920B1 (ko) 2019-01-18 2019-01-18 헬릭스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575A KR102325920B1 (ko) 2019-01-18 2019-01-18 헬릭스 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837A KR20200089837A (ko) 2020-07-28
KR102325920B1 true KR102325920B1 (ko) 2021-11-12

Family

ID=7183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575A Active KR102325920B1 (ko) 2019-01-18 2019-01-18 헬릭스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9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041Y1 (ko) * 2008-02-18 2009-04-03 최명근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168B1 (ko) * 2014-03-21 2016-04-05 고강이앤씨(주) 소구경 강관 말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041Y1 (ko) * 2008-02-18 2009-04-03 최명근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837A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380B1 (ko) 스파이럴 강관 말뚝
KR101465987B1 (ko) 해머비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632028B2 (ja) コンクリート組立擁壁
KR101869705B1 (ko) 지지력이 개선된 2단 선단확장형 헬리칼 파일
KR102325920B1 (ko) 헬릭스 파일
KR20200079384A (ko) 동력 절약 및 부품 교환이 용이한 굴착용 링비트
KR20220084988A (ko) 내부 파일절단기를 갖는 굴착일체형 해저관입파일 절단장비 및 그 작동방법
KR101791211B1 (ko) 좌굴 보강용 헬릭스 강관 말뚝의 시공 방법
KR101360614B1 (ko) 고강도 강관을 이용한 선단확장형 중굴 공법
KR102508176B1 (ko)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
KR102097904B1 (ko) 회전형 강관말뚝
KR20200089841A (ko) 헬릭스 파일
KR100411662B1 (ko) 타입과 천공을 병행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의시공방법
KR102130108B1 (ko) 헬리컬 파일
JP2020143421A (ja) 鋼管杭連結部材
KR102259937B1 (ko) 관입성 향상 헬리컬 파일
KR102217473B1 (ko) 헬리칼 파일
KR100932952B1 (ko) 다양한 선단부를 갖는 말뚝부재
KR102304600B1 (ko) 수평 저항력이 향상된 강관 파일 및 그 시공방법
JP7274697B1 (ja) 回転埋設先端拡大翼杭
CN216197860U (zh) 一种回转旋挖套筒
KR0155677B1 (ko)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이를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KR20190137293A (ko) 회전 관입 말뚝의 시공방법
JP3415592B2 (ja) 山留め用杭の杭打ち工法およびこの工法に用いるスクリューヘッド
KR101567377B1 (ko) 지반 시공용 나선 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8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1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