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603B1 - Rapid depressurization of a reactor system - Google Patents
Rapid depressurization of a reactor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4603B1 KR102324603B1 KR1020207007279A KR20207007279A KR102324603B1 KR 102324603 B1 KR102324603 B1 KR 102324603B1 KR 1020207007279 A KR1020207007279 A KR 1020207007279A KR 20207007279 A KR20207007279 A KR 20207007279A KR 102324603 B1 KR102324603 B1 KR 1023246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or
- relief valve
- pressure
- preheater
- val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541 reaction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VQTUBCCKSQIDNK-UHFFFAOYSA-N Iso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QTUBCCKSQIDN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ATUOYWHBWRKTHZ-UHFFFAOYSA-N Propane Chemical compound CCC ATUOYWHBWRK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NBBJYMSMWIIQGU-UHFFFAOYSA-N Propionic aldehyde Chemical compound CCC=O NBBJYMSMWIIQ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NNPPMTNAJDCUHE-UHFFFAOYSA-N isobutane Chemical compound CC(C)C NNPPMTNAJDCUH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GETQZCLCWQTVFV-UHFFFAOYSA-N trim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N(C)C GETQZCLCWQTVF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FDIJRYMOXRFFG-UHFFFAOYSA-N Acet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CC(=O)OC(C)=O WFDIJRYMOXRF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IMNFDUFMRHMDMM-UHFFFAOYSA-N N-Hep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 IMNFDUFMRHMD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999 tert-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C([H])([H])[H])C([H])([H])[H]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RYHBNJHYFVUHQT-UHFFFAOYSA-N 1,4-Dioxane Chemical compound C1COCCO1 RYHBNJHYFVUH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BYHHJPAARCAIE-UHFFFAOYSA-N 1-bromo-2-chloroethane Chemical compound ClCCBr IBYHHJPAARCAI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IKMAJRDDDTEIG-UHFFFAOYSA-N 1-hexene Chemical compound CCCCC=C LIKMAJRDDDTEI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WKAKUADMBZCLK-UHFFFAOYSA-N 1-oct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KWKAKUADMBZC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HNNAWXXUZQSNM-UHFFFAOYSA-N 2-methylbut-1-ene Chemical compound CCC(C)=C MHNNAWXXUZQS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NVRRHSXBLFLIG-UHFFFAOYSA-N 3-hydroxy-3-methylbut-1-ene Chemical compound CC(C)(O)C=C HNVRRHSXBLFLI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GSFGYAAUTVSQA-UHFFFAOYSA-N Cyclopentane Chemical compound C1CCCC1 RGSFGYAAUTVSQ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OSDSFDQCJNGOL-UHFFFAOYSA-N Dim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NC ROSDSFDQCJNGO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NQLUTRBYVCPMQ-UHFFFAOYSA-N Eth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YNQLUTRBYVCPM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APJBEWLBFYGME-UHFFFAOYSA-N Meth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 BAPJBEWLBFYG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AVYZALUXZFZLV-UHFFFAOYSA-N Methylamine Chemical compound NC BAVYZALUXZFZL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MDCZENCAXMSOU-UHFFFAOYSA-N N-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CNC(C)=O PMDCZENCAXMSO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RLKBWYHVLBVBO-UHFFFAOYSA-N Para-Xylene Chemical group CC1=CC=C(C)C=C1 URLKBWYHVLBV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YFCBTPGUUZFHI-UHFFFAOYSA-N Phosphine Chemical compound P XYFCBTPGUUZF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KGAVHZHDRPRBM-UHFFFAOYSA-N Tert-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DKGAVHZHDRPR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KHGUXGNUITLKF-XPULMUKR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14CH]([14CH3])=O IKHGUXGNUITLKF-XPULMUKR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299 aldehy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HUMNYLRZRPPJDN-UHFFFAOYSA-N benz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1=CC=CC=C1 HUMNYLRZRPPJD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73 but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SIFPSYPOVKYCO-UHFFFAOYSA-N butyl benzo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1=CC=CC=C1 XSIFPSYPOVKY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TQSAGDEMFDKMZ-UHFFFAOYSA-N butyric aldehyde Natural products CCCC=O ZTQSAGDEMFDK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WGFKTVRMDUZSP-UHFFFAOYSA-N cumene Chemical compound CC(C)C1=CC=CC=C1 RWGFKTVRMDUZ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IOQZVSQGTUSAI-UHFFFAOYSA-N dec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 DIOQZVSQGTUS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QVDAXLFBXTEQA-UHFFFAOYSA-N dibutylamine Chemical compound CCCCNCCCC JQVDAXLFBXTEQ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JSQFQKUNVCTIA-UHFFFAOYSA-N diethyl sulfide Chemical compound CCSCC LJSQFQKUNVCT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TZQAGJQAFMTAQ-UHFFFAOYSA-N ethyl benzoate Chemical compound CCOC(=O)C1=CC=CC=C1 MTZQAGJQAFMTA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82 iso-but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PJVMBTYPHYUOC-UHFFFAOYSA-N methyl benzo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C=C1 QPJVMBTYPHYU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TZIHFWKZFHZASV-UHFFFAOYSA-N methyl formate Chemical compound COC=O TZIHFWKZFHZA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AEPNZWRGJTJPN-UHFFFAOYSA-N methyl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UAEPNZWRGJTJP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JDNQMDRQITEOD-UHFFFAOYSA-N n-butane Chemical compound CCCC IJDNQMDRQITE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FBQJSOFQDEBGM-UHFFFAOYSA-N n-pentane Natural products CCCCC OFBQJSOFQDEB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RSOQBOWXPBRES-UHFFFAOYSA-N neopentane Chemical compound CC(C)(C)C CRSOQBOWXPBR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59 polymer blen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94 prop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ZGDMQKNWNREIO-UHFFFAOYSA-N tetra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Cl)Cl VZGDMQKNWNRE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IYFAKIEWZDVMP-UHFFFAOYSA-N tridec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 IIYFAKIEWZDV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IOQSEWOXXDEQQ-UHFFFAOYSA-N triphenylphosph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P(C=1C=CC=CC=1)C1=CC=CC=C1 RIOQSEWOXXDE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SLDOOZREJYCGB-UHFFFAOYSA-N 1,2-Dichloroethane Chemical compound ClCCCl WSLDOOZREJYC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AAZPARNPHGIKF-UHFFFAOYSA-N 1,2-dibromoethane Chemical compound BrCCBr PAAZPARNPHGI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QEZCXVZFLOKMC-UHFFFAOYSA-N 1-hexadec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 GQEZCXVZFLOK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XNDIJDIPNCZQJ-UHFFFAOYSA-N 2,4,4-trimethylpent-1-ene Chemical group CC(=C)CC(C)(C)C FXNDIJDIPNCZQ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ZAZNULYLRVMSW-UHFFFAOYSA-N 2-Methyl-2-buten-3-ol Natural products CC(C)=C(C)O BZAZNULYLRVM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2-Prope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ACVGCNKGYYQHA-UHFFFAOYSA-N 2-ethylhexoxycarbonyloxy 2-ethylhex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OOC(=O)OCC(CC)CCCC ZACVGCNKGYYQH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KOOMYPCSUNDGP-UHFFFAOYSA-N 2-methylbut-2-ene Chemical compound CC=C(C)C BKOOMYPCSUND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YBYTAAJFKOIEJ-UHFFFAOYSA-N 3-Methylbutan-2-one Chemical compound CC(C)C(C)=O SYBYTAAJFKOI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HQXBTXEYZIYOV-UHFFFAOYSA-N 3-methylbut-1-ene Chemical compound CC(C)C=C YHQXBTXEYZIY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TVRLCUJHGUXCP-UHFFFAOYSA-N 3-methylenehep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XTVRLCUJHGUXC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SSSPWUEQFSQQG-UHFFFAOYSA-N 4-methyl-1-pentene Chemical compound CC(C)CC=C WSSSPWUEQFSQQ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ERIUCNNQQJTOY-UHFFFAOYSA-M Butyrate Chemical compound CCCC([O-])=O FERIUCNNQQJTOY-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FERIUCNNQQJTOY-UHFFFAOYSA-N Butyric acid Natural products CCCC(O)=O FERIUCNNQQJT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DTMQSROBMDMFD-UHFFFAOYSA-N 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XDTMQSROBMDM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VZWSLJZHVFIQJ-UHFFFAOYSA-N Cyclopropane Chemical compound C1CC1 LVZWSLJZHVFIQ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TMSDBZUPAUEDD-UHFFFAOYSA-N Ethane Chemical compound CC OTMSDBZUPAUE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IGUQPWFLRLWPJ-UHFFFAOYSA-N Eth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OC(=O)C=C JIGUQPWFLRLWP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AYPIBMASNFSPL-UHFFFAOYSA-N Ethylene oxide Chemical compound C1CO1 IAYPIBMASNFS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HTMVDHEPJAVLT-UHFFFAOYSA-N Isooc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NHTMVDHEPJAV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GFBQFKZKSSODQ-UHFFFAOYSA-N Isothiocyanatocyclopropane Chemical compound S=C=NC1CC1 JGFBQFKZKSSOD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XHOOIRPVKKKFG-UHFFFAOYSA-N N,N-Dim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N(C)C(C)=O FXHOOIRPVKKK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BDQKXXYIPTUBI-UHFFFAOYSA-M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503 SF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XKVLQRXCPHEJC-UHFFFAOYSA-N acetic acid trimethyl ester Natural products COC(C)=O KXKVLQRXCPH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NNQFQFUQLJSQT-UHFFFAOYSA-N bromo(tr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Cl)Br XNNQFQFUQLJS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QABUPZFAYXKJW-UHFFFAOYSA-N butan-1-amine Chemical compound CCCCN HQABUPZFAYXK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AQRGUVFOMOMEM-UHFFFAOYSA-N butene Natural products CC=CC IAQRGUVFOMOM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QEYYJKEWSMYFG-UHFFFAOYSA-N but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 CQEYYJKEWSMY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WLNAUNEAKQYLH-UHFFFAOYSA-N butyric acid octyl 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OC(=O)CCC PWLNAUNEAKQYL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VNRLNFWIYMESJ-UHFFFAOYSA-N butyr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C#N KVNRLNFWIYMES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86 chain transf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10 cooling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UHOVQNZJYSORNB-MICDWDOJSA-N deuteriobenzene Chemical compound [2H]C1=CC=CC=C1 UHOVQNZJYSORNB-MICDWDOJSA-N 0.000 description 1
- LSXWFXONGKSEMY-UHFFFAOYSA-N di-tert-butyl peroxide Chemical compound CC(C)(C)OOC(C)(C)C LSXWFXONGKSE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TLIZOFGXLGHSY-UHFFFAOYSA-N dibutylphosphane Chemical compound CCCCPCCCC PTLIZOFGXLGH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KDDWNXOKDWJAK-UHFFFAOYSA-N dimethoxymethane Chemical compound COCOC NKDDWNXOKDWJ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OTZYFSGUCFUKA-UHFFFAOYSA-N dimethylphosphine Chemical compound CPC YOTZYFSGUCFUK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3 down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MEGYFMYUHOHGS-UHFFFAOYSA-N heptamethylene Natural products C1CCCCCC1 DMEGYFMYUHOH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class [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4 immediate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RDFRRGEGBBSRN-UHFFFAOYSA-N isobutyr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C#N LRDFRRGEGBBSR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ABLOFMHHSOFRJ-UHFFFAOYSA-N methyl 2-chloroacetate Chemical compound COC(=O)CCl QABLOFMHHSOF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PSKURPOKFSLHJ-UHFFFAOYSA-N methyl 3-cyanopropanoate Chemical compound COC(=O)CCC#N BPSKURPOKFSLH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102 methyl benzo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ANGDWNBGPBMQHW-UHFFFAOYSA-N methyl cyanoacetate Chemical compound COC(=O)CC#N ANGDWNBGPBMQH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JRBAMWJDBPFIM-UHFFFAOYSA-N methyl vinyl ether Chemical compound COC=C XJRBAMWJDBPF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YNNXHKOJHMOHS-UHFFFAOYSA-N methyl-cycloheptane Natural products CC1CCCCCC1 GYNNXHKOJHMO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MBKPYJJYUKNFI-UHFFFAOYSA-N methylsulfanylethene Chemical compound CSC=C AMBKPYJJYUKN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SUUCLLIOSUIFH-UHFFFAOYSA-N n,n-di(propan-2-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C(C)N(C(C)C)C(C)=O ZSUUCLLIOSUI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JFDBNQQDYLMJN-UHFFFAOYSA-N n,n-di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CN(CC)C(C)=O AJFDBNQQDYLM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VMXDCGIABBOFY-UHFFFAOYSA-N n-Octanol Natural products CCCCCCCC TVMXDCGIABBOF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08 n-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HNHVTXYLRVGMHD-UHFFFAOYSA-N n-butyl isocyanate Chemical compound CCCCN=C=O HNHVTXYLRVGMH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UIQMZJEGPQKFD-UHFFFAOYSA-N n-butyric acid methyl ester Natural products CCCC(=O)OC UUIQMZJEGPQK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YSGYZVSCZSLHT-UHFFFAOYSA-N octafluoropropane Chemical compound FC(F)(F)C(F)(F)C(F)(F)F QYSGYZVSCZSL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34 organic peroxide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NGNSVIICDLXHT-UHFFFAOYSA-N para-ethylbenzaldehyde Natural products CCC1=CC=C(C=O)C=C1 QNGNSVIICDLX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3 pelle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NJWIWWMYCMZRO-UHFFFAOYSA-N pent‐4‐en‐2‐one Natural products CC(=O)CC=C PNJWIWWMYCMZ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76 per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065 perflutren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73 phosphorus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FZCNBIFKDRMGX-UHFFFAOYSA-N sulfur hexafluoride Chemical compound FS(F)(F)(F)(F)F SFZCNBIFKDRM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909 sulfur hexaflu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KQYLUTYUZIVHND-UHFFFAOYSA-N tert-butyl 2,2-dimethyloctane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O)OOC(C)(C)C KQYLUTYUZIVHN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PQYOFWUFGEMRZ-UHFFFAOYSA-N tert-butyl 2,2-dimethylpropane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O)C(C)(C)C OPQYOFWUFGEMR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MOVHXAZOJBABW-UHFFFAOYSA-N tert-but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C)C WMOVHXAZOJBAB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JBRNHKUVLOCEB-UHFFFAOYSA-N tert-butyl benzenecarbo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O)C1=CC=CC=C1 GJBRNHKUVLOC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ZDYPVPMEAXLPK-UHFFFAOYSA-N tetram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Si](C)(C)C CZDYPVPMEAXLP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QDIANVAWVHZIR-OWOJBTEDSA-N trans-1,4-Dichlorobutene Chemical compound ClC\C=C\CCl FQDIANVAWVHZIR-OWOJBTEDSA-N 0.000 description 1
- IAQRGUVFOMOMEM-ONEGZZNKSA-N trans-but-2-ene Chemical compound C\C=C\C IAQRGUVFOMOMEM-ONEGZZNKSA-N 0.000 description 1
- IMFACGCPASFAPR-UHFFFAOYSA-N tributylamine Chemical compound CCCCN(CCCC)CCCC IMFACGCPASFAP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UQOTMZNTHZOKS-UHFFFAOYSA-N tributylphosphine Chemical compound CCCCP(CCCC)CCCC TUQOTMZNTHZOK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11 α-olef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4—Pressure vessels, e.g. autocla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19/002—Avoiding undesirable reactions or side-effects, e.g. avoiding explosions, or improving the yield by suppressing side-rea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6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controlling the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245—Avoiding undesirable reactions or side-effects
- B01J2219/00259—Preventing runaway of the chemical rea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245—Avoiding undesirable reactions or side-effects
- B01J2219/0027—Pressure relie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279—Features relating to reactor vessels
- B01J2219/00331—Details of the reactor vessels
- B01J2219/00333—Closures attached to the reactor vessels
- B01J2219/00337—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583—Features relative to the processes being carried out
- B01J2219/00601—High-pressure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718—Type of compounds synthesised
- B01J2219/0072—Organic compounds
- B01J2219/00736—Non-biologic macromolecules, e.g. polymer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2015년 9월 29일에 출원된 USSN 62/234,348, 및 2015년 12월 18일에 출원된 EP 출원 15201299.3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은 그 전문이 본원에서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USSN 62/234,348, filed September 29, 2015, and EP application 15201299.3, filed December 18, 2015, the disclosure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
발명의 분야field of invention
본 발명은 반응기 시스템을 급속히 감압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에틸렌의 고압 중합에 특히 유용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rapidly depressurizing a reactor system. The disclosed systems and methods are particularly useful for high pressure polymerization of ethylene.
발명의 배경background of the invention
고압 중합 반응기는,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코모노머와 조합되는 에틸렌과 같은 비교적 저가의 올레핀 모노머를, 값비싼 폴리올레핀 생성물로 전환한다. 산소 또는 유기 자유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는 이러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오랫동안 산업에서 사용되어왔다. 중합은 비교적 높은 온도 및 압력에서 일어나며 매우 발열성이다.The high pressure polymerization reactor converts relatively inexpensive olefinic monomers, such as ethylene, optionally combined with one or more comonomers, into expensive polyolefin products. Such methods using oxygen or organic free radical initiators are known and have been used in industry for a long time. Polymerization occurs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and pressures and is highly exothermic.
고압 중합 공정은 일반적으로 2개의 주된 압축기를 사용하여 모노머 공급물을 압축하고, 각각은 직렬로 배열된 복수의 스테이지를 가지며, 중합이 일어나는 반응기가 뒤따른다. 고압 중합 반응기 시스템은 튜브형 반응기 또는 오토클레이브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기는 전형적으로 2000 bar를 초과하는 매우 높은 압력 및 때때로 3100 bar의 높은 압력에서 작동한다. 다른 대규모 산업 공정은 보다 높은 압력에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High pressure polymerization processes generally use two main compressors to compress the monomer feed, each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arranged in series, followed by a reactor in which polymerization takes place. The high pressure polymerization reactor system may include a tubular reactor or an autoclave reactor. Such reactors typically operate at very high pressures in excess of 2000 bar and sometimes as high as 3100 bar. Other large-scale industrial processes are unlikely to operate at higher pressures.
에틸렌의 고압 중합은 매우 발열성인 공정이다. 유리한 조건 하에서 반응이 계속 진행되기 위해서는, 중합 구역으로부터 열을 끊임없이 제거할 필요가 있다. 중합 동안, 폴리머는 반응기의 내벽에 부착하여 실질적으로 열 제거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침적물은 벽에서 분리되어 반응기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들은 반응기에서 심각한 그리고 급격한 압력 증가를 초래하는 막힘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반응 혼합물에서 모노머 분해 또는 열 폭주를 일으킨다.The high pressure polymerization of ethylene is a very exothermic process. In order for the reaction to proceed under favorable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remove heat from the polymerization zone. During polymerization, the polymer can adhere to the inner wall of the reactor, substantially reducing its ability to remove heat. These deposits can separate from the walls and travel through the reactor. They can cause clogging that results in severe and rapid pressure build-up in the reactor, which leads to monomer decomposition or thermal runaway in the reaction mixture.
고압 반응기는 급속 감압에 의해 과압, 과열 및 분해로부터 보호된다. 상업용 반응기의 급속 감압은 일반적으로 분해에 반응하여 개시될 것이다. 분해는 개시제 주입 지점의 하류에서 가장 자주 일어나며, 반응기 내의 온도 및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도록 한다. 폭주 반응과 더 복잡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The high pressure reactor is protected from overpressure, overheating and decomposition by rapid depressurization. Rapid depressurization in commercial reactors will generally be initiated in response to decomposition. Decomposition occurs most often downstream of the initiator injection point, caus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in the reactor to rise rapidly. Immediate action must be taken to prevent runaway reactions and more complex problems.
상업용 반응기는 일반적으로 반응기 감압 능력에 대한 엄격한 설계 기준을 갖는다. 예를 들면, 고압 중합 시스템은 반응기가 12초 이내에 1000 bar 아래로 감압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기준은 특히 용량이 큰 반응기에서 복수의 방압(pressure relief) 밸브의 사용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방압 밸브는 감압 중에 흐름 역전(flow reversal)으로 인해 밸브들 사이에 정체 흐름 영역을 야기할 수 있다. 정체 구역은 다른 구역보다 더 뜨겁고 균열 발생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응기의 과열 및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또한 분해 제어를 더 어렵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예열기의 입구에 또는 예열기와 반응기의 입구 사이에 방압 밸브를 배치하는 것이 또한 일반적이다. 이 위치에서의 방압 밸브는 또한, 일반적으로 이미 가장 높은 온도이면서 분해가 가장 잘 일어나는 영역인 반응기의 제1 반응 구역 내에서 흐름 역전 및 정체 구역을 야기할 수 있다. 배경 참고 문헌은 미국 특허 제4,804,725호, 제4,115,638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15/080533호를 포함한다.Commercial reactors generally have strict design criteria for reactor depressurization capability. For example, a high pressure polymerization system can be designed such that the reactor can be depressurized below 1000 bar within 12 seconds. These design criteria may require the use of multiple pressure relief valves, particularly in large capacity reactors. However, multiple pressure relief valves can cause stagnant flow areas between the valves due to flow reversal during depressurization. The stagnant zone is hotter than the other zones, and cracking can cause overheating and failure of the reactor over time. This can also make disintegration control more difficult. Additionally, it is also common to arrange a pressure relief valve at the inlet of the preheater or between the inlet of the preheater and the reactor. The relief valve in this position can also cause a flow reversal and stagnation zone in the first reaction zone of the reactor, which is usually already the highest temperature and the zone where decomposition is most likely to occur. Background references include US Pat. Nos. 4,804,725, 4,115,638, and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5/080533.
흔히 요구되는 엄격한 설계 기준에 따라 고압 중합 시스템, 특히 대형 반응기 시스템을 신속하게 감압시키기 위한 개선된 공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There is a need for improved processes and systems for rapidly depressurizing high pressure polymerization systems, particularly large reactor systems, in accordance with often required stringent design criteria.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반응 구역 및 적어도 하나의 냉각 구역을 포함하는 반응기와 유체 연결되는 압축기; 반응기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1 방압 밸브; 및 냉각 구역 내에서 반응기를 따라 위치하는 제2 방압 밸브를 포함하는 반응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ressor comprising: a compressor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 reactor comprising at least one reaction zone and at least one cooling zone; a first pressure relief valve located downstream of the reactor; and a second pressure relief valve positioned along the reactor within the cooling zone.
본 발명은 또한 반응기와 유체 연결되어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시스템으로서, 반응기가 적어도 하나의 반응 구역 및 적어도 하나의 냉각 구역을 포함하고, 반응기의 총 내부 용적이 약 6 ㎥ 미만인 압축기 시스템; 및 반응기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1 방압 밸브를 포함하는 반응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ressor system for compression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 reactor, the compressor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reaction zone and at least one cooling zone, wherein the total internal volume of the reactor is less than about 6
본 발명은 또한 반응기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1 방압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응기를 급속히 감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경우에 따라 냉각 구역에서 반응기를 따라 위치하는 제2 방압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rapidly depressurizing a reactor comprising opening a first relief valve located downstream of the reactor. The method may also optionally include opening a second pressure relief valve located along the reactor in the cooling zone.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에틸렌의 고압 중합에 특히 유용하다.The system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ticularly useful for high pressure polymerization of ethylene.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일반적인 고압 에틸렌 중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들에 따른 반응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약 450 KTA의 용량을 갖는 도 2의 것과 유사한 중합 반응기 시스템을위한 반응기 내의 질량속 분포(mass flux distribution)이다.
도 4는 도 3의 중합 반응기 시스템을 위한 반응기 시스템 내의 다양한 지점에서 시간에 따른 압력 감소의 그래프이다.
도 5는 약 420 KTA의 약간 더 작은 용량을 갖는 도 2의 것과 유사한 중합 반응기 시스템을 위한 반응기 내의 질량속 분포이다.
도 6은 예열기 입구로부터 약 2000 m의 정체 흐름 구역의 위치에서 확대된,도 5의 질량속 분포의 확대 버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
1 schematically shows a typical high pressure ethylene polymerization system.
2 schematically depicts a reactor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mass flux distribution within a reactor for a polymerization reactor system similar to that of FIG. 2 having a capacity of about 450 KTA.
FIG. 4 is a graph of pressure drop over time at various points in the reactor system for the polymerization reactor system of FIG. 3 ;
5 is a mass flux distribution within a reactor for a polymerization reactor system similar to that of FIG. 2 having a slightly smaller capacity of about 420 KTA.
FIG. 6 is an enlarged version of the mass flux distribution of FIG. 5 , enlarged at the location of the stagnant flow zone about 2000 m from the preheater inlet.
상세한 설명details
본원에서 사용시, 압력 덤프 이벤트(pressure dump event)는 중합 반응기 시스템을 급속히 감압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급속 감압은 반응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의 압력을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약 2000 bar 이상에서 약 1000 bar 이하로 감소시킨다. 압력 덤프 이벤트는 급속 감압이 필요하거나 유용한 임의의 조건 또는 이벤트에 반응하여 개시될 수 있다. 고압 에틸렌 중합 반응기에서, 예를 들면, 급속 감압은 반응기 내에서 검출되는 분해에 반응하여 통상적으로 개시된다.As used herein, a pressure dump event refers to the process of rapidly depressurizing a polymerization reactor system. Typically, rapid depressurization reduces the pressure at one or more points in the reactor system from at least about 2000 bar to no more than about 1000 bar in a relatively short time. A pressure dump event may be initiated in response to any condition or event in which rapid depressurization is necessary or useful. In high pressure ethylene polymerization reactors, for example, rapid depressurization is typically initiated in response to decomposition detected within the reactor.
압력 덤프 이벤트는 반응기로부터 압력을 해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방압 밸브 또는 고압 강하 밸브가 개방될 때 일반적으로 개시되고 반응기 시스템이 원하는 압력에 도달할 때 종료된다. 예를 들면, 압력 덤프 이벤트는 예열기의 입구 또는 반응기 시스템 내의 또 다른 위치의 압력이 약 1000, 500, 또는 250 bar 아래로 떨어질 때 종료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A pressure dump event typically begins when one or more relief valves or high pressure drop valves open to relieve pressure from the reactor and ends when the reactor system reaches the desired pressure. For example, a pressure dump event may be considered to end when the pressure at the inlet of a preheater or another location within the reactor system drops below about 1000, 500, or 250 bar.
본원에서 사용시, 정체 구역은, 압력 덤프 이벤트 동안, 질량속이 O이고 시스템으로부터 추출이 없는 반응기 내의 위치이다. 압력 덤프 이벤트 동안, 방압 밸브 근처의 질량속이 0일 수 있지만, 이는 흐름이 시스템에서 바깥쪽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추출 지점이며 본원에서의 정의에 따른 정체 구역이 아니다. 정체 구역의 위치는 압력 덤프 이벤트 동안 반응기를 따라 질량속 분포를 측정하거나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As used herein, a stagnation zone is a location within a reactor where, during a pressure dump event, the mass flux is 0 and there is no extraction from the system. During a pressure dump event, the mass flux near the relief valve may be zero, but this is because the flow is directed outward in the system. Thus, it is an extraction point and not a stagnant zone as defined herein. The location of the stagnation zone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or simulating the mass flux distribution along the reactor during a pressure dump event,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examples below.
고압 에틸렌 중합 반응기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반응기의 상류에 적어도 하나의 예열기를 포함한다. 예열기는, 반응기로의 진입 이전에, 하나 이상의 모노머 스트림, 예컨대 에틸렌 모노머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또한 전형적으로 반응기의 하류에 고압 강하 밸브를 포함한다. 일반 작업 조건 하에서, 반응기 생성물 믹스는 고압 강하 밸브를 통해 반응기를 빠져나오며 이후 냉각되고 하나 이상의 분리 시스템을 통해 보내진다.High pressure ethylene polymerization reactor systems typically include at least one preheater upstream of the reactor. A preheater is used to heat one or more monomer streams, such as ethylene monomer, prior to entry into the reactor. Such systems also typically include a high pressure drop valve downstream of the reactor.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reactor product mix exits the reactor through a high pressure drop valve and is then cooled and sent through one or more separation systems.
예열기의 입구에 또는 예열기와 반응기의 입구 사이에 방압 밸브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방압 밸브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이미 가장 높은 온도를 갖고 가장 분해되기 쉬운 영역인 반응기의 제1 반응 구역 내에서 흐름 역전 및 정체 구역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체 구역은 다른 구역보다 더 뜨겁고 균열 발생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응기의 과열 및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It is common to place a pressure relief valve at the inlet of the preheater or between the inlet of the preheater and the reactor. This has been identified as an undesirable location for the pressure relief valve, as it can lead to flow reversal and stagnation zones within the reactor's first reaction zone, which is usually already the highest temperature and most susceptible to decomposition. . The stagnant zone is hotter than the other zones and can cause overheating and failure of the reactor over time due to cracking.
보다 작은 용량의 중합 반응기 시스템, 예컨대 총 내부 용적이 약 6 ㎥ 이하인 반응기를 갖는 중합 반응기 시스템은, 원하는 급속 감압 능력을 달성하기 위해 고압 강하 밸브 이외에 단 하나의 방압 밸브의 사용을 요구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압 밸브는 선행 기술 분야의 공정에서 통상적으로 예열기 입구의 상류에 또는 예열기와 반응기 사이에 배치되어져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양태들에서는, 반응기의 총 내부 용적이 약 6 ㎥ 이하인 경우, 단일 방압 밸브가 반응기의 하류에 위치한다. 이는 고압 강하 밸브의 상류이다. 예열기 입구의 상류 또는 예열기와 반응기 사이 대신에, 이 위치에서 방압 밸브를 가지면, 반응기에서의 흐름 방향이 압력 덤프 이벤트 동안 제1 반응 구역 내에서 역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반응기 시스템은 반응기 내에 정체 구역을 생성함이 없이 압력 덤프 이벤트 동안 보다 작은 용량의 반응기를 급속히 감압시킬 수 있다.Smaller capacity polymerization reactor systems, such as those having reactors with a total internal volume of about 6 m or less, may require the use of only one relief valve in addition to the high pressure drop valve to achieve the desired rapid pressure reduction capability. As mentioned above, pressure relief valves have typically been placed upstream of the preheater inlet or between the preheater and the reactor in prior art processes. However,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tal internal volume of the reactor is less than or equal to about 6
보다 큰 용량의 중합 반응기 시스템은 고압 강하 밸브 이외에 복수의 방압 밸브의 사용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방압 밸브의 사용은 압력 덤프 이벤트 동안 흐름 역전 및 정체 구역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특히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정체 구역은 전형적으로 밸브들 사이의 어딘가에 위치한다. 이들 정체 구역이 제거될 수 없다면, 일반적으로 다중 밸브가 사용될 때 불가능함, 정체 구역의 위치를 제어하고 압력 덤프 이벤트 동안 이들이 보다 뜨거운 반응 구역 내에서보다 반응기의 냉각 구역 내에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나아가, 정체 구역은 압력 덤프 이벤트 기간 동안 위치를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그들이 이동하기는 하지만, 반응기의 냉각 구역 내에 완전히 남아있도록 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Larger capacity polymerization reactor systems may require the use of multiple pressure relief valves in addition to the high pressure drop valve. However, the use of multiple pressure relief valves can be particularly problematic in that they cause flow reversal and stagnant zones during pressure dump events. The stagnation zone is typically located somewhere between the valves. If these stagnant zones cannot be eliminated, which is generally not possible when multiple valves are used, it is advantageous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tagnant zones and ensure that during a pressure dump event they are in the cooling zone of the reactor rather than in the hotter reaction zone. Further, the stagnant zone is likely to shift location during the pressure dump event. Although they migrate, it is also advantageous to allow them to remain completely within the cooling zone of the reactor.
정체 구역의 위치는 사용되는 방압 밸브의 설계, 개수 및 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은 정체 구역이 압력 덤프 이벤트 동안 반응기의 냉각 구역 내에 위치될 수 있게 하고 제1 반응 구역 내에서 흐름 역전 및 정체 구역에 대한 가능성을 제거한다. 부가적으로, 비록 정체 구역의 위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동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정체 구역이 압력 덤프 이벤트 기간 동안 냉각 구역 내에 완전히 남아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location of the stagnant zone is affected by the design, number and location of the relief valve used.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stagnation zone to be located within the cooling zone of the reactor during a pressure dump event and eliminates the possibility for flow reversal and stagnation zones within the first reaction zone. Additionally, although the location of the stagnant zone may shift over tim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tagnant zone to remain entirely within the cooling zone during a pressure dump event.
하나 이상의 파열 디스크가 백업 방압 수단으로서 반응기 시스템의 2차 압축기에 존재할 수 있고, 주 방압 밸브 또는 고압 강하 밸브 중 어느 것이 고장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반응기는 자체적으로 또한 하나 이상의 파열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의의 반응 구역이 하나 이상의 파열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각 반응 구역이 하나 이상의 파열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파열 디스크는, 사용된다면, 방압 밸브(들) 및 고압 강하 밸브에 추가로 마련된다.One or more rupture disks may be present in the secondary compressor of the reactor system as backup pressure relief means and may be used in case either the main relief valve or the high pressure drop valve fails. The reactor itself may also comprise one or more rupture disks. For example, any reaction zone may include one or more rupture disks, or each reaction zone may include one or more rupture disks. A rupture disk, if used,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pressure relief valve(s) and the high pressure drop valve.
압력 덤프 이벤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개시되고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하나 이상의 방압 밸브를 임의의 순서로 또는 동시에 개방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기의 하류에 방압 밸브를 그리고 냉각 구역에서 반응기를 따라 방압 밸브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이들 두 밸브는 임의의 순서로 또는 동시에 개방될 수 있다. 고압 강하 밸브는 또한 방압 밸브를 개방하기 전 또는 후에 또는 동시에 개방될 수 있다. 고압 강하 밸브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방압 밸브가 개방된 것이 확인되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밸브의 위치를 나타내는 리밋 또는 포지션 스위치 또는 다른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A pressure dump event can be initiated and conducted in a variety of ways. This may be initiated by opening one or more relief valves in any order or simultaneously. For example, in a system comprising a relief valve downstream of the reactor and a relief valve along the reactor in a cooling zone, these two valves may be opened in any order or simultaneously. The high pressure drop valve may also be opened before or after opening the pressure relief valve or at the same time. The high pressure drop valve may be partially or fully open, and may be partially or fully closed if one or more relief valves are found to be open. This may be ascertained in any suitable manner, for example by using a limit or position switch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valve or other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압력 덤프 이벤트는 고압 강하 밸브 및 적어도 2개의 방압 밸브를 동시에 개방함으로써 개시된다. 적어도 2개의 방압 밸브가 개방된 것이 확인되면, 고압 강하 밸브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되고 압력 덤프가 방압 밸브를 통해 계속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ressure dump event is initiated by simultaneously opening the high pressure drop valve and at least two relief valves. When it is confirmed that at least two relief valves are open, the high pressure drop valve is partially or fully closed and the pressure dump continues through the pressure relief valve.
압력 덤프 이벤트 중의 임의의 시점에 또는 압력 덤프 이벤트의 개시와 동시에, 2차 압축기가 또한 정지될 수 있다. 2차 압축기로의 석션 밸브(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가 폐쇄될 수 있다. 모노머 손실 및 대기 중으로 재료의 방출을 줄이기 위해, 압력 덤프 이벤트의 개시 후에 반응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공급 밸브가 폐쇄될 수도 있다. 이는 2차 압축기 내에서 2차 압축기 단간(interstage)에 모노머의 보유를 돕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예열기 입구 또는 반응기의 하나 이상의 구역 내의 압력이 약 1500 bar 이하가 되면 반응기에 대한 공급 밸브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가 폐쇄된다.At any point during the pressure dump event or concurrently with the initiation of the pressure dump event, the secondary compressor may also be stopped. One or more or all of the suction valve(s) to the secondary compressor may be closed. To reduce monomer loss and release of material to the atmosphere, one or more feed valves to the reactor may be closed after the initiation of a pressure dump event. This helps retain the monomers in the secondary compressor interstag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r both of the feed valves to the reactor are closed when the pressure in the preheater inlet or one or more zones of the reactor is below about 1500 bar.
폴리에틸렌 공정Polyethylene process
도 1은 프레쉬 에틸렌을 1차 압축기(3)로 공급하는 에틸렌 공급 라인(2)을 포함하는 중합 플랜트(1)의 일반적인 개략도이다. 1차 압축기(3)의 기능은 프레쉬 에틸렌을 2차 압축기(5)로의 공급을 위해 에틸렌 리사이클 시스템의 압력까지 가압하는 것이다. 1차 압축기(3)는 단독으로 에틸렌을 리사이클 스트림의 압력까지 가압하는 단일 압축기일 수 있거나, 또는 조합되어, 프레쉬 에틸렌을 에틸렌 리사이클 시스템의 압력까지 가압하는 직렬 또는 병렬의 2 이상의 압축기일 수 있다. 몇몇 기존 에틸렌 반응기 플랜트에서는, 1차 압축기(3)로부터 방출된 에틸렌이 2개 스트림(미도시)으로 분할되며, 한 스트림은 리사이클된 에틸렌과 조합되어 2차 압축기(5)의 석션부로 공급되고, 나머지 스트림은 고압 강하 밸브 하류의 에틸렌/폴리머 혼합물 내에 주입되어, 생성물 분리 유닛으로의 진입 전에 에틸렌/폴리머 혼합물의 급속 냉각을 제공한다.1 is a general schematic diagram of a
1차 압축기(3)로부터 방출된 에틸렌은 밸브(4a)를 갖는 도관(4)을 경유해 도관(6a)으로 그리고 이후에 2차 압축기(5)로 흐른다. 리사이클된 에틸렌이 또한 고압 리사이클 시스템(16)으로부터 도관(6b)을 경유해 2차 압축기(5)로 공급된다. 2차 압축기(5)는 반응기(9)로의 공급을 위해 에틸렌을 적어도 1000 bar의 압력으로 압축한다. 2차 압축기(5)는 전형적으로 단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닛이지만, 별개의 모터들(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직렬 또는 병렬의 2 이상의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압축기(3)를 적어도 1000 bar의 원하는 반응기 압력으로 했을 때 에틸렌의 압력으로부터 에틸렌을 압축하는데 적합화되는 한 압축기의 임의 구성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Ethylene discharged from the
2차 압축기(5)는 압축된 에틸렌을 4개의 스트림(8a, 8b, 8c, 및 8d)으로 배출한다. 스트림(8a)은 반응기(9)의 전방 단부로의 진입 전에 스팀 재킷(미도시)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3개의 나머지 에틸렌 스트림(8b, 8c, 및 8d) 각각은 사이드 스트림으로서 반응기에 진입하고, 반응기로의 진입 이전에 냉각될 수 있다. The
반응기(9)는 개시제를 반응기 내에 주입하기 위해 개시제 펌핑 스테이션(11)을 갖는다. 개시제는 하나의 개시제 입구(10)를 통해, 또는 복수의 개시제 입구(미도시)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반응기 시스템은 복수의 반응 구역 및/또는 복수의 냉각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반응 구역 하류에 곧바로 냉각 구역이 이어질 수 있다. 복수의 개시제 입구를 갖는 반응기에서, 각 개시제 입구는 반응 구역의 시작을 정의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차가운 모노머의 각 사이드 스트림 입구는 반응 구역의 끝과 냉각 구역의 시작을 정의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개시제의 주입은 냉각에 의해 제거되는 입구의 하류에서 발열 온도 상승을 야기한다. 냉각은, 반응기(9) 상에 장착되고 냉각 액체에 의해 및/또는 차가운 모노머의 하류 공급에 의해 보조되는 냉각 재킷(미도시)을 통해 반응기 벽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반응기(9)는 또한 하나 이상의 전방 및/또는 사이드 스트림을 통해 반응기로의 개질제의 주입을 위해 개질제 펌핑 스테이션(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개질제는 각 스트림을 통해 공급되는 개질제의 양을 맞게 설정하기 위해 흐름 제어기(미도시)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개시제 및 개질제는 미리 혼합되어(미도시) 개시제 펌핑 스테이션(11)을 통해 함께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별도의 개질제 펌핑 스테이션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준다.
중합은 제1 반응 구역의 시작 직후에 개시되며, 이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개시제 분해 및 중합 속도가 증가하고, 열 발생을 촉진시키고 온도를 추가로 상승시킨다. 개시제가 소비됨에 따라, 개시 및 중합이 느려지고, 발열이 반응 혼합물로부터 전도된 열과 같아지는 시점에, 온도가 최고조에 도달하고 이후 떨어지기 시작한다.The polymerization is initiated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first reaction zone, there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mixture. As the temperature rises, the rate of initiator decomposition and polymerization increases, promoting heat generation and further raising the temperature. As the initiator is consumed, initiation and polymerization slows, and the temperature peaks and then begins to drop, at which point the exotherm equals the heat conducted from the reaction mixture.
반응기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반응기의 하류에 고압 강하 밸브(12)를 갖는다. 고압 강하 밸브(12)는 반응기(9) 내의 압력을 제어한다. 밸브를 개방하면 반응기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밸브를 폐쇄하면 압력을 증가시킨다. 반응기 길이를 따라 압력 강하가 존재하고, 반응기를 따라 원하는 속도로 반응 혼합물을 밀어낸다. 고압 강하 밸브(12)의 바로 하류에 생성물 냉각기(13)가 존재한다. 반응 혼합물은 냉각된 다음 생성물 냉각기(13)에서 고압 분리기(14)로 배출된다. 고압 분리기(14)로부터의 오버헤드 가스가 고압 리사이클 시스템(16)으로 흘러 들어가고 여기서 반응하지 않은 에틸렌이 냉각되어 2차 압축기(5)로 되돌려진다.The reactor system typically has a high
폴리머 생성물 혼합물이 고압 분리기(14)의 바닥으로부터 저압 분리기(15) 내로 흘러들어가고, 여기서 나머지 에틸렌의 거의 전부를 폴리머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에틸렌은 플레어(flare)(미도시) 또는 정제 유닛(미도시)으로 이송되거나 1차 압축기(3)를 경유해 리사이클된다. 용융된 폴리머는 저압 분리기(15)의 바닥에서 하류 프로세싱, 예컨대 압출, 냉각 및 펠릿화용 압출기(미도시)로 흐른다.The polymer product mixture flows from the bottom of the
반응기(9)를 벗어나기 전에 폴리머로 전환되는 주 공급물 스트림(8a)에서든 또는 사이드 스트림(8b, 8c 또는 8d)으로서든, 반응기(9)로 진입하는 총 에틸렌의 비율은 전환율로서 지칭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들에서, 전환율은 30% 내지 40%일 수 있고, 다르게는 적어도 35%일 수 있다. 40%보다 높은 전환율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는, 반응 혼합물의 속도가 폴리머 함량에 따라 증가하고, 이는 다시 필요한 유속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압력 강하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이다.The proportion of the total ethylene entering the
본 발명의 반응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방압 밸브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방압 밸브는 반응기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방압 밸브는 반응기의 바로 하류에, 및 고압 강하 밸브의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반응기의 총 내부 용적이 약 6 ㎥ 미만인 보다 작은 반응기에서는, 반응기의 바로 하류에 위치한 하나의 방압 밸브가 상업적 규모의 반응기에 요구되는 급속 감압 능력을 달성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보다 작은 반응기는 또한 냉각 구역에서 반응기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방압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ac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pressure relief valve. At least one relief valve may be located downstream of the reactor. The at least one pressure relief valve may be located immediately downstream of the reactor and upstream of the high pressure drop valve. In smaller reactors, where the total internal volume of the reactor is less than about 6
특히 반응기의 총 내부 용적이 약 6 ㎥ 이상인 대형 반응기를 위한 본 발명의 반응기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방압 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는 반응기의 하류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는 냉각 구역에서 반응기를 따라 위치한다. 예를 들면, 반응기는 반응기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3개의 냉각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냉각 구역 3 또는 더 하류의 냉각 구역에서 반응기를 따라 방압 밸브가 위치한다. 반응기는 또한 반응기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4개의 냉각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냉각 구역 4 또는 더 하류의 냉각 구역에서 반응기를 따라 방압 밸브가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방압 밸브가 임의의 냉각 구역에 위치할 수 있다. 방압 밸브는 덤프 밸브, 벤트 밸브, 블로우다운 밸브, 또는 급속 감압을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밸브일 수 있다.The reac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for large reactors with a total internal volume of the reactor greater than or equal to about 6
본 발명의 반응기 시스템은 반응기의 상류에 하나 이상의 예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예열기의 입구에 또는 예열기와 반응기 사이에 방압 밸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시스템은 예열기의 입구에 또는 예열기와 반응기 사이에 방압 밸브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예열기의 입구에서의 작동 압력을 약 2000, 2500, 또는 3000 bar 이상에서 약 1000 bar 이하로 약 12초, 10초, 8초, 6초, 4초, 또는 심지어 2초 이내에 감소시킬 수 있다.The reac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preheaters upstream of the reactor. The system may or may not include a pressure relief valve at the inlet of the preheater or between the preheater and the reacto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does not comprise a pressure relief valve at the inlet of the preheater or between the preheater and the reactor. The system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 the operating pressure at the inlet of the preheater from at least about 2000, 2500, or 3000 bar to about 1000 bar or less in about 12 seconds, 10 seconds, 8 seconds, 6 seconds, 4 seconds, or even 2 seconds. can be reduced within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에틸렌 폴리머 생성물은 밀도가 0.910 내지 0.940 g/c㎥(ASTM D1505로 측정시)일 수 있고 용융 지수가 0.1 내지 40 dg/min(ASTM D1238로 측정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부터 얻어지는 에틸렌 폴리머는 밀도가 0.915 내지 0.920 g/c㎥일 수 있고 용융 지수가 2 내지 6 dg/min일 수 있다. 본원에서의 공정들은 에틸렌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 예컨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코모노머는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1-헥센, 1-옥텐, 다른 저급 알파-올레핀,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에틸렌"이라 함은, 다른 의미가 문맥에 의해 암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에틸렌 및 코모노머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thylene polymer product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ensity of 0.910 to 0.940 g/cm 3 (as measured by ASTM D1505) and a melt index of 0.1 to 40 dg/min (as measured by ASTM D1238). For example, the ethylene polymer obtained from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have a density of 0.915 to 0.920 g/
개질제modifier
용어 "개질제" 또는 "연쇄 이동제"는 본원에서 사용시 생성된 폴리머의 분자량 및/또는 용융 지수를 제어하기 위한 공정에 첨가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의 예로는 테트라메틸실란, 시클로프로판, 황 헥사플루오라이드, 메탄, t-부탄올, 퍼플루오로프로판, 듀테로벤젠, 에탄, 에틸렌 옥시드, 2,2-디메틸프로판, 벤젠, 디메틸 설폭시드, 비닐 메틸 에테르, 메탄올, 프로판, 2-메틸-3-부텐-2-올, 메틸 아세테이트, t-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포르메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 트리페닐포스핀, 메틸아민, 메틸 벤조에이트, 에틸 벤조에이트, N,N-디이소프로필아세트아미드, 2,2,4-트리메틸펜탄, n-헥산, 이소부탄, 디메톡시메탄, 에탄올, n-헵탄, n-부틸 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1,2-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N-에틸아세트아미드, 프로필렌, n-데칸, N,N-디에틸아세트아미드, 시클로펜탄, 아세트산 무수물, n-트리데칸, n-부틸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판올, 톨루엔, 수소, 아세톤, 4,4-디메틸펜텐-1, 트리메틸아민,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이소부틸렌, n-부틸 이소시아네이트, 메틸 부티레이트, n-부틸아민,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설파이드, 디이소부틸렌, 테트라히드로푸란, 4-메틸펜텐-1, p-크실렌, p-디옥산, 트리메틸아민, 부텐-2, 1-브로모-2-클로르에탄, 옥텐-1,2-메틸부텐-2, 큐멘, 부텐-1, 메틸 비닐 설파이드, n-부티로니트릴, 2-메틸부텐-1, 에틸벤젠, n-헥사데센, 2-부타논, n-부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틸 3-시아노프로피오네이트, 트리-n-부틸아민, 3-메틸-2-부타논, 이소부티로니트릴, 디-n-부틸아민, 메틸 클로로아세테이트, 3-메틸부텐-1, 1,2-디브로모에탄, 디메틸아민, 벤즈알데히드, 클로로포름, 2-에틸헥센-1, 프로피온알데히드, 1,4 디클로로부텐-2, 트리-n-부틸포스핀, 디메틸포스핀, 메틸 시아노아세테이트,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브로모트리클로로메탄, 디-n-부틸포스핀, 아세트알데히드, 및 포스핀을 포함한다.The term "modifier" or "chain transfer agent" as used herein refers to a compound added to a process to control the molecular weight and/or melt index of the resulting polymer. Examples thereof include tetramethylsilane, cyclopropane, sulfur hexafluoride, methane, t-butanol, perfluoropropane, deuterobenzene, ethane, ethylene oxide, 2,2-dimethylpropane, benzene, dimethyl sulfoxide, vinyl Methyl ether, methanol, propane, 2-methyl-3-buten-2-ol, methyl acetate, t-butyl acetate, methyl formate, ethyl acetate, butane, triphenylphosphine, methylamine, methyl benzoate, ethyl benzoate ate, N,N-diisopropylacetamide, 2,2,4-trimethylpentane, n-hexane, isobutane, dimethoxymethane, ethanol, n-heptane, n-butyl acetate, cyclohexane, methylcyclohexane, 1,2-dichloroethane, acetonitrile, N-ethylacetamide, propylene, n-decane, N,N-diethylacetamide, cyclopentane, acetic anhydride, n-tridecane, n-butyl benzoate, isopropanol, Toluene, hydrogen, acetone, 4,4-dimethylpentene-1, trimethylamine, N,N-dimethylacetamide, isobutylene, n-butyl isocyanate, methyl butyrate, n-butylamine, N,N-dimethylformamide , diethylsulfide, diisobutylene, tetrahydrofuran, 4-methylpentene-1, p-xylene, p-dioxane, trimethylamine, butene-2, 1-bromo-2-chloroethane, octene-1 ,2-methylbutene-2, cumene, butene-1, methyl vinyl sulfide, n-butyronitrile, 2-methylbutene-1, ethylbenzene, n-hexadecene, 2-butanone, n-butyl isothiocia nate, methyl 3-cyanopropionate, tri-n-butylamine, 3-methyl-2-butanone, isobutyronitrile, di-n-butylamine, methyl chloroacetate, 3-methylbutene-1, 1,2-dibromoethane, dimethylamine, benzaldehyde, chloroform, 2-ethylhexene-1, propionaldehyde, 1,4 dichlorobutene-2, tri-n-butylphosphine, dimethylphosphine, methyl cyanoacetate , carbon tetrachloride, bromotrichloromethane, di-n-butylphosphine, acetaldehyde, and phosphine.
개질제는 C2 내지 C20 또는 C2 내지 C12 알데히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질제는 또한 C2 내지 C20 또는 C2 내지 C12 포화된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개질제는 C2 내지 C20 또는 C2 내지 C12 불포화된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질제에 대한 추가 상세한 설명을 위해, 문헌[Advances In Polymer Science, Vol. 7, pp. 386-448, (1970)]을 참조하기 바란다. 여기서 표 7은 세트 조건 하에서 결정된 연쇄 이동 상수의 순서로 몇몇 이동제를 순위화한다. 프로피온알데히드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포함한 알데히드는,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프로펜, 이소부텐, 및 1-부텐과 같은 다른 연쇄 이동제와 비교하여 선호적으로 더 높은 연쇄 이동 상수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modifier may comprise a C 2 to C 20 or C 2 to C 12 aldehyde. The modifier may also include a C 2 to C 20 or C 2 to C 12 saturated modifier. Additionally, the modifier may include a C 2 to C 20 or C 2 to C 12 unsaturated modifier. For further details on modifiers, see Advances In Polymer Science, Vol. 7, pp. 386-448, (1970)]. Here, Table 7 ranks several shuttling agents in the order of the chain transfer constants determined under the set conditions. Aldehydes, including propionaldehyde and acetaldehyde, are known to have preferentially higher chain transfer constants compared to other chain transfer agents such as propane, butane, isobutane, propene, isobutene, and 1-butene.
개질제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반응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질제는 개시제와 함께 반응기 내에 주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시제가 일반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공정에 필요한 개시제의 양을 감소시켜 재정적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개질제는 또한 2차 압축기의 토출부 또는 석션부에 주입될 수 있다. 개질제는 또한 반응기에 직접 주입되어 개시제와 미리 혼합될 수 있다.The modifier may be added to the reaction mixture in any suitable manner. For example, the modifier can be injected into the reactor along with the initiator, which can result in financial savings by reducing the amount of initiator required for the process as the initiator is generally expensive. The modifier may also be injected into the discharge or suction of the secondary compressor. The modifier may also be injected directly into the reactor and premixed with the initiator.
개시제initiator
용어 "개시제"는 본원에서 사용시 자유 라디칼 에틸렌 중합 공정을 개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개시제는 유기 퍼옥시드 개시제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개시제의 추가 예는 비스(2 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tert-부틸 퍼(2-에틸)헥사노에이트, tert-부틸 퍼피발레이트, tert-부틸 퍼네오데카노에이트, tert-부틸 퍼이소부티레이트, tert-부틸 퍼-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포함한 퍼에스테르, 및 디-tert-부틸 퍼옥시드(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포함한 디알킬 퍼옥시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개시제(들)는, 전형적으로 탄화수소 용매에서, 혼합될 수 있고, 이후에 적합한 위치에서 반응기 내에 주입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펌프, 예를 들면, 유압식 구동 피스톤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The term “initiator” as used herein refers to a compound that initiates a free radical ethylene polymerization process. Initiators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rganic peroxide initiators and mixtures thereof. Further examples of suitable initiators are bis(2 ethylhexyl)peroxydicarbonate, tert-butyl per(2-ethyl)hexanoate, tert-butyl perpivalate, tert-butyl perneodecanoate, tert-butyl periso Perester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butyrate, tert-butyl per-3,5,5,-trimethylhexanoate, tert-butyl perbenzoate, and di-tert-butyl peroxide dialkyl peroxides including, and mixtures thereof. The initiator(s), typically in a hydrocarbon solvent, may be mixed and then injected into the reactor at a suitable location. Any suitable pump may be used, for example a hydraulically driven piston pump.
실시예Example
도 2는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반응기 시스템과 유사한 고압 폴리에틸렌 반응기 시스템(17)의 개략적인 설계도이다. 이 반응기 시스템(17)에서는, 압축된 에틸렌이 2차 압축기(18)에서 예열기(19)로 흐른다. 압축된 에틸렌은 예열기(19)를 벗어나 반응기(20) 내로 진입한다. 다른 고압 에틸렌 중합 시스템과 달리, 반응기 시스템(17)은 예열기(19)의 상류에 또는 예열기(19)와 반응기(20)로의 입구 사이에 방압 밸브를 갖지 않는다.2 is a schematic design diagram of a high pressure
반응기(20)는 5개의 반응 구역(21a-e), 및 5개의 냉각 구역(22a-e)을, 도 2에 도시된 배열로 포함한다. 반응 구역은 순차적으로 넘버링될 수 있으며, 반응 구역 1(예컨대, 21a)은 반응기(20)의 입구에 가장 가깝고 반응 구역 5(예컨대, 21e)는 반응기(20)의 출구에 가장 가깝다. 냉각 구역이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넘버링될 수 있다. 방압 밸브(25)가 냉각 구역 4(예컨대, 22d)에서 반응기를 따라 위치한다. 또 다른 방압 밸브(26)가 냉각 구역 5의 바로 하류에(예컨대, 22e의 바로 하류에), 및 고압 강하 밸브(27)의 바로 상류에 위치한다. 이 시스템에서, 두 방압 밸브(25 및 26)는 덤프 밸브이다. 생성물 혼합물은 도관(28)을 경유해 고압 강하 밸브(27)를 벗어난다.
실시예 1―450 KTA 반응기 시스템 (시뮬레이션됨)Examples 1-450 KTA reactor system (simulated)
약 450 KTA의 설계 용량을 갖는, 도 2의 것과 유사한 반응기 시스템에서, 전산 유체 역학("CFD")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압력 덤프 이벤트를 시뮬레이션했다. 이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스페인 마드리드의 Empresarios Agrupados A.I.E.에서 개발한 EcosimProTM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였다. 시뮬레이션의 반응기 시스템에서, 0 m의 거리가 예열기의 입구 위치로 지정되었다. 하기 표 1은 5개의 반응 구역 각각에 대해 예열기의 입구에서 반응 구역의 시작까지의 거리를 미터로 제공한다.In a reactor system similar to that of Figure 2, with a design capacity of about 450 KT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ing software was used to simulate a pressure dump event. The software used for this simulation was EcosimPro TM modeling and simulation software developed by Empresarios Agrupados AIE, Madrid, Spain. In the reactor system of the simulation, a distance of 0 m was designated as the inlet location of the preheater. Table 1 below provides the distance in meters from the inlet of the preheater to the beginning of the reaction zone for each of the five reaction zones.
시뮬레이션된 반응기의 작동 압력은 약 3000 bar였다. 압력 덤프 이벤트는 방압 밸브(25 및 26)를 둘다 동시에 개방함으로써 개시되었다. 도 3은 압력 덤프 이벤트의 시작 이후에 반응기 내의 다양한 위치 및 시점에서의 질량속 분포의 플롯이다. 도 3에서, 질량 유량(kg/s)이 Y 축에 도시된다. 양의 질량 유량은 예열기로부터 고압 강하 밸브 쪽으로의 흐름 이동을 나타낸다. 음의 질량 유량은 고압 강하 밸브로부터 예열기 쪽으로의 흐름 이동을 나타낸다. 위치(미터)는 X 축에 도시되며, 0 m의 위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예열기의 입구에 상응한다.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simulated reactor was about 3000 bar. The pressure dump event was initiated by opening both
도 3에서, 0초의 시간은 압력 덤프 이벤트의 시작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위치에서의 질량 유량은 감압이 진행됨에 따라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도 3은, 방압 밸브(25 및 26) 둘다 개방된 후, 질량 유량이 0인 반응기 내의 2개 위치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제1 위치는 예열기의 입구로부터 약 1250 m의 위치에서, 냉각 구역 4에서 반응기를 따라 위치한 방압 밸브 부근이다. 여기서, 질량 유량은 시스템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며, 이에 따라 이는 추출 지점이며 따라서 정체 구역이 아니다. 제2 위치는 두 케이스에서 냉각 구역 5 내에서, 약 2250 m 내지 약 2340 m 사이에서 변하는 위치에 있다. 처음에는 약 2340 m에 있고 이후 예열기 방향으로 약 2250 m까지 이동한다. 질량 유량이 없고 추출이 없기 때문에 이 위치는 정체 구역이다.In Figure 3, the time of 0 seconds was the start of the pressure dump event. As shown, the mass flow rate at each location varies with time as the decompression progresses. Figure 3 shows that after both
도 4는 압력 덤프 이벤트 동안 반응 구역 및 예열기 각각의 입구에서 시간에 따른 압력 감소를 도시한다. 도 4는, 이 시스템에서 예열기 입구의 압력이 가장 느린 속도로 감소하지만 6초 이내에 1000 bar 아래로 떨어지며, 각 반응 구역의 압력이 1000 bar 아래로 보다 빠르게 떨어지는 것을 보여준다.4 shows the pressure drop over time at the inlet of each of the reaction zone and preheater during a pressure dump event. Figure 4 shows that in this system the pressure at the preheater inlet decreases at the slowest rate but falls below 1000 bar within 6 seconds, with the pressure in each reaction zone dropping below 1000 bar more rapidly.
실시예 2―420 KTA 반응기 시스템 (시뮬레이션됨)Examples 2-420 KTA reactor system (simulated)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약 420 KTA의 약간 더 작은 설계 용량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의 것과 유사한 반응기 시스템에서 압력 덤프 이벤트를 시뮬레이션했다. 이 시뮬레이션된 반응기의 작동 압력이 또한 약 3000 bar였다. 실시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방압 밸브(25 및 26)를 둘다 동시에 개방함으로써 압력 덤프 이벤트를 개시했다.Similar to Example 1, a pressure dump event was simulated in a reactor system similar to that of FIG. 2 except with a slightly smaller design capacity of about 420 KTA. The operating pressure of this simulated reactor was also about 3000 bar. In a manner similar to Example 1, a pressure dump event was initiated by opening both
도 5는 압력 덤프 이벤트의 시작 이후에 반응기 내의 다양한 위치 및 시점에서의 질량속 분포의 플롯이다. 양의 질량 유량은 예열기로부터 고압 강하 밸브 쪽으로의 흐름 이동을 나타낸다. 음의 질량 유량은 고압 강하 밸브로부터 예열기 쪽으로의 흐름 이동을 나타낸다. 0 m의 위치 역시 예열기의 입구에 상응한다.5 is a plot of mass flux distribution at various locations and time points within the reactor after the onset of a pressure dump event. A positive mass flow represents a flow shift from the preheater towards the high pressure drop valve. A negative mass flow indicates a flow shift from the high pressure drop valve towards the preheater. The 0 m position also corresponds to the inlet of the preheater.
도 5는, 방압 밸브(25 및 26) 둘다 개방된 후, 질량 유량이 0인 반응기 내의 2개 위치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제1 위치는 예열기의 입구로부터 약 1000 m의 위치에서, 냉각 구역 4에서 반응기를 따라 위치한 방압 밸브 부근이다. 이는 추출 지점이며 따라서 정체 구역이 아니다. 제2 위치는 두 케이스에서 냉각 구역 5 내에서, 약 1960 m 내지 약 2020 m 사이에서 변한다. 질량 유량이 없고 추출이 없기 때문에 이 위치는 정체 구역이다.Figure 5 shows that after both
도 6은 정체 구역이 위치한 2000 m의 위치 주변에 대한 도 5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정체 구역이 초기에 약 2020 m에 있고 이후 예열기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약 1960 m에서 거의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 시스템에서, 예열기의 입구와 모든 반응 구역의 압력도 6초 이내에 1000 bar 아래로 떨어진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FIG. 5 around the location of 2000 m where the congestion zone is located; 6 shows that the stagnant zone is initially at about 2020 m and then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preheater and remains almost continuously at about 1960 m. In this system, the pressure at the inlet of the preheater and at all reaction zones also drops below 1000 bar within 6 seconds.
이들 실시예에서의 시스템 및 공정은 단지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들을 설명한다. 당업자는 특정 시스템 및/또는 공정이 이하의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이들 실시예로부터 변경될 수 있고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The systems and processes in these examples illustrate only possibl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specific systems and/or processes may vary from these embodiments and st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Claims (24)
b. 반응기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1 방압 밸브;
c. 냉각 구역 내에서 반응기를 따라 위치하는 제2 방압 밸브; 및
d. 반응기의 상류의 예열기
를 포함하는 반응기 시스템으로서, 예열기의 상류 또는 예열기와 반응기 사이에 방압 밸브를 갖지 않는 반응기 시스템.a. a compressor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reactor comprising at least one reaction zone and at least one cooling zone;
b. a first pressure relief valve located downstream of the reactor;
c. a second pressure relief valve positioned along the reactor within the cooling zone; and
d. Preheater upstream of the reactor
A reactor system comprising: a reactor system having no pressure relief valve upstream of the preheater or between the preheater and the reactor.
(i) 반응기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1 방압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및
(ii) 적어도 하나의 냉각 구역 내의 반응기를 따라 위치한 제2 방압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로서, 선택적으로 제1 방압 밸브의 개방과 동시에 제2 방압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예열기가 반응기의 상류에 위치하고, 방압 밸브가 예열기의 상류 또는 예열기와 반응기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것인 방법. A process for rapidly depressurizing a polymerization reactor comprising at least one reaction zone and at least one cooling zone, the process comprising:
(i) opening a first pressure relief valve located downstream of the reactor; and
(ii) opening a second relief valve located along the reactor in the at least one cooling zone, optionally opening the second relief valve simultaneously with the opening of the first relief valve;
wherein the preheater is located upstream of the reactor and the pressure relief valve is not located upstream of the preheater or between the preheater and the re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234348P | 2015-09-29 | 2015-09-29 | |
US62/234,348 | 2015-09-29 | ||
EP15201299 | 2015-12-18 | ||
EP15201299.3 | 2015-12-18 | ||
KR1020187008824A KR20180044408A (en) | 2015-09-29 | 2016-08-10 | Rapid decompression of the reactor system |
PCT/US2016/046340 WO2017058368A1 (en) | 2015-09-29 | 2016-08-10 | Rapid depressurization of a reactor system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8824A Division KR20180044408A (en) | 2015-09-29 | 2016-08-10 | Rapid decompression of the reactor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0131A KR20200030131A (en) | 2020-03-19 |
KR102324603B1 true KR102324603B1 (en) | 2021-11-12 |
Family
ID=6995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07279A Active KR102324603B1 (en) | 2015-09-29 | 2016-08-10 | Rapid depressurization of a reactor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4603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080533A1 (en) | 2013-09-19 | 2015-03-19 |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 Pressure relief for multiple polyolefin polymerization reactor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631834C3 (en) * | 1976-07-15 | 1980-05-14 | Basf Ag, 6700 Ludwigshafen | Process for the expansion of ethylene high pressure polymerization systems |
DE2854151A1 (en) * | 1978-12-15 | 1980-07-03 | Basf Ag | METHOD FOR PRODUCING COPOLYMERISATS OF AETHYLENE |
US4353384A (en) * | 1978-12-29 | 1982-10-12 | El Paso Polyolefins Company | High pressure tubular reactor apparatus |
DE3641513A1 (en) * | 1986-12-04 | 1988-06-09 | Basf Ag | METHOD FOR REDUCING THE EMISSION OF HYDROCARBONS IN RELAXATION PROCEDURES ON HIGH PRESSURE POLYMERIZATION REACTORS |
-
2016
- 2016-08-10 KR KR1020207007279A patent/KR10232460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080533A1 (en) | 2013-09-19 | 2015-03-19 |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 Pressure relief for multiple polyolefin polymerization reacto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0131A (en) | 2020-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17009B1 (en) | Control of fouling in high pressure polyethylene manufacture | |
EP3262084B1 (en) | High-pressure polymerization proces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 |
US11370859B2 (en) | High pressure polyethylene product cooling | |
US10570226B2 (en) | Modifier control in high pressure polyethylene production | |
US10843160B2 (en) | Rapid depressurization of a reactor system | |
EP3177653B1 (en) | Process for manufacturing ethylene polymers and using modifiers | |
KR102324603B1 (en) | Rapid depressurization of a reactor system | |
US10308729B2 (en) | Reactor systems and processes related thereto | |
EP4365208A1 (en) | High-pressure polymerization process with controlled gas velocity | |
EP4389775A1 (en) | Initiator injection line for high pressure polymeriz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4 |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0031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7008824 Filing date: 201803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