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941B1 -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3941B1 KR102323941B1 KR1020150010537A KR20150010537A KR102323941B1 KR 102323941 B1 KR102323941 B1 KR 102323941B1 KR 1020150010537 A KR1020150010537 A KR 1020150010537A KR 20150010537 A KR20150010537 A KR 20150010537A KR 102323941 B1 KR102323941 B1 KR 102323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pper
- based metal
- metal film
- layer
- molybden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16—Acidic compositions
- C23F1/18—Acidic compositions for etching copper or alloy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09K13/06—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with organic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44—Compositions for etching metallic material from a metallic material substrate of different composi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eting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Cu 300ppm 조건에서, 실시예 3의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로 식각된 기판의 taper angle 및 Mo-Ti tip을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3은 Cu 300ppm 조건에서, 실시예 3의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로 식각된 기판 하부의 산화물 반도체층을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4는 Cu 300ppm 조건에서, 실시예 3의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로 식각된 기판 하부의 산화물 반도체층을 나타낸 Top SEM 사진이다.
도 5는 Cu 300ppm 조건에서, 비교예 5의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로 식각된 기판의 side etch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6은 Cu 300ppm 조건에서, 비교예 5의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로 식 각된 기판의 taper angle 및 Mo-Ti tip을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7은 Cu 300ppm 조건에서, 비교예 5의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로 식각된 기판 하부의 산화물 반도체층의 손상을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8은 Cu 300ppm 조건에서, 비교예 6의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로 식각된 기판의 side etch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9는 Cu 300ppm 조건에서, 비교예 6의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로 식각된 기판의 taper angle 및 Mo-Ti tip을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10은 Cu 300ppm 조건에서, 비교예 6의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로 식각된 기판 하부의 산화물 반도체층의 손상을 나타낸 SEM 사진이다.
구 분 | 과산화수소 | 구연산 | 5-MTZ | LA | p-TSA |
실시예1 | 15.0 | 9.0 | 0.1 | 3.0 | 1.0 |
실시예2 | 18.0 | 7.0 | 0.3 | 3.0 | 0.7 |
실시예3 | 21.0 | 5.0 | 0.5 | 1.0 | 0.5 |
실시예4 | 23.0 | 3.0 | 1.0 | 1.0 | 0.1 |
비교예1 | 20.0 | - | 0.3 | 2.0 | 0.4 |
비교예2 | 20.0 | 5.0 | - | 2.0 | 0.4 |
비교예3 | 20.0 | 5.0 | 0.3 | - | 0.4 |
비교예4 | 20.0 | 5.0 | 0.3 | 2.0 | - |
구 분 | 과산화수소 | ABF | ATZ | IDA | NHP | GA |
비교예5 | 23 | 0.05 | 0.8 | 1.3 | 1.0 | 2.0 |
비교예6 | 23 | - | 0.8 | 1.3 | 1.0 | 2.0 |
구 분 | 식각 Profile | 식각 직진성 | Mo-Ti tip(㎛) | 처리매수 변화량(㎛) (Cu300~ 3000ppm) |
IGZOx Damage (Å@200sec) |
실시예1 | ○ | ○ | 0.10 | 0.09 | ND |
실시예2 | ○ | ○ | 0.07 | 0.07 | ND |
실시예3 | ○ | ○ | 0.05 | 0.05 | ND |
실시예4 | ○ | ○ | 0.04 | 0.09 | ND |
비교예1 | Unetch | Unetch | - | - | - |
비교예2 | ○ | ○ | 0.30 | 0.43 | ND |
비교예3 | △ | △ | 0.10 | 0.08 | ND |
비교예4 | △ | △ | 0.10 | 0.09 | ND |
구 분 | Cu 식각속도 (Å/sec) |
Mo-Ti 식각속도 (Å/sec) |
Side Etch (㎛) |
Taper Angle ( °) |
상부 Mo-Ti tip (㎛) |
IGZOx damage (Å@200s) |
||||||||||||
Cu (ppm) |
실시예3 | 비교예5 | 비교예6 | 실시예3 | 비교예5 | 비 교 예6 |
실시예3 | 비교예5 | 비 교 예6 |
실시예3 | 비교예5 | 비 교 예6 |
실시예3 | 비교예5 | 비 교 예6 |
실시예3 | 비교예5 | 비 교 예6 |
300 | 120 | 117 | 165 | 13.6 | 15.0 | 7.7 | 0.50 | 0.52 | 0.72 | 62.6 | 52.9 | 69.2 | 0.04 | 0.20 | 0.49 | ND | 510 | 255 |
1000 | 107 | 107 | 158 | 14.3 | 14.9 | 7.5 | 0.45 | 0.47 | 0.65 | 63.2 | 55.7 | 69.4 | 0.04 | 0.19 | 0.44 | ND | 531 | 265 |
2000 | 97 | 101 | 150 | 15.8 | 14.6 | 7.3 | 0.43 | 0.41 | 0.61 | 67.0 | 59.1 | 67.8 | 0.04 | 0.18 | 0.41 | ND | 526 | 258 |
3000 | 97 | 91 | 143 | 15.0 | 14.3 | 7.1 | 0.42 | 0.39 | 0.54 | 62.6 | 63.2 | 68.1 | 0.05 | 0.15 | 0.38 | ND | 509 | 271 |
Claims (12)
- 과산화수소, 구연산, 아졸 화합물, 유기산 화합물, 술폰산 화합물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아졸 화합물은 5-메틸테트라졸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산 화합물은 아세트산, 젖산, 부탄산, 포름산, 글루콘산, 말론산, 말산, 요산 및 펜탄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층 손상 방지용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과산화수소 10 내지 25 중량%, 구연산 1 내지 10 중량%, 아졸 화합물 0.05 내지 2 중량%, 유기산 화합물 0.1 내지 5 중량%, 술폰산 화합물 0.1 내지 2 중량% 및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총 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층 손상 방지용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리계 금속막은 구리막 또는 구리 합금막의 단일막; 또는
몰리브덴층과 상기 몰리브덴층 상에 형성된 구리층을 포함하는 구리/몰리브덴막, 몰리브덴 합금층과 상기 몰리브덴 합금층 상에 형성된 구리층을 포함하는 구리/몰리브덴 합금막, 상부 몰리브덴 층과 하부 몰리브덴층 사이에 형성된 구리층을 포함하는 몰리브덴/구리/몰리브덴막, 또는 상부 몰리브덴 합금층과 하부 몰리브덴 합금층 사이에 형성된 구리층을 포함하는 몰리브덴 합금/구리/몰리브덴 합금막의 다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층 손상 방지용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은 추가로 금속 이온 봉쇄제 및 부식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반도체층 손상 방지용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 (1)기판 상에 구리계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2)상기 구리계 금속막 상에 선택적으로 광반응 물질을 남기는 단계; 및
(3)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산화물 반도체층 손상 방지용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구리계 금속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리계 금속막의 식각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 물질은 포토레지스트 물질로, 노광 및 현상 공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남겨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계 금속막의 식각방법. - (1)기판 상에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2)상기 게이트 배선을 포함한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3)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4)상기 산화물 반도체층 상에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5)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기판 상에 구리계 금속막을 형성하고, 상기 구리계 금속막을 식각액 조성물로 식각하여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4)단계는 산화물 반도체층 상에 구리계 금속막을 형성하고, 상기 구리계 금속막을 식각액 조성물로 식각하여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산화물 반도체층 손상 방지용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리계 금속막은 구리막 또는 구리 합금막의 단일막; 또는
몰리브덴층과 상기 몰리브덴층 상에 형성된 구리층을 포함하는 구리/몰리브덴막, 몰리브덴 합금층과 상기 몰리브덴 합금층 상에 형성된 구리층을 포함하는 구리/몰리브덴 합금막, 상부 몰리브덴 층과 하부 몰리브덴층 사이에 형성된 구리층을 포함하는 몰리브덴/구리/몰리브덴막, 또는 상부 몰리브덴 합금층과 하부 몰리브덴 합금층 사이에 형성된 구리층을 포함하는 몰리브덴 합금/구리/몰리브덴 합금막의 다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이 박막트랜지스터(TFT) 어레이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산화물 반도체층 손상 방지용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각된 게이트 배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0537A KR102323941B1 (ko) | 2015-01-22 | 2015-01-22 |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0537A KR102323941B1 (ko) | 2015-01-22 | 2015-01-22 |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0574A KR20160090574A (ko) | 2016-08-01 |
KR102323941B1 true KR102323941B1 (ko) | 2021-11-09 |
Family
ID=5670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0537A Active KR102323941B1 (ko) | 2015-01-22 | 2015-01-22 |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39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55759B (zh) * | 2018-04-24 | 2021-11-23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铜箔用蚀刻液和使用其的印刷电路板的制造方法以及电解铜层用蚀刻液和使用其的铜柱的制造方法 |
KR102353181B1 (ko) * | 2019-10-29 | 2022-01-18 | 이승훈 | 과초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
CN113192974B (zh) * | 2021-04-07 | 2023-02-28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13005A (ja) * | 2002-12-30 | 2004-07-29 | Lg Phillips Lcd Co Ltd | 銅用レジスト除去のための組成物及びその除去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9733B1 (ko) | 2009-02-06 | 2015-06-19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KR101939842B1 (ko) * | 2011-08-22 | 2019-01-17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금속 배선 형성방법 |
KR20140045121A (ko) * | 2012-10-08 | 2014-04-16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구리계 금속막의 식각액 조성물 |
-
2015
- 2015-01-22 KR KR1020150010537A patent/KR10232394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13005A (ja) * | 2002-12-30 | 2004-07-29 | Lg Phillips Lcd Co Ltd | 銅用レジスト除去のための組成物及びその除去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0574A (ko) | 2016-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0286B1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293674B1 (ko) |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368373B1 (ko) | 식각액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293675B1 (ko) |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269327B1 (ko) | 식각액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323941B1 (ko) |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400569B1 (ko) | 인듐산화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20150045548A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20150035624A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20170089315A (ko) |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20170042933A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269325B1 (ko) | 몰리브덴 함유 금속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642371B1 (ko) |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각 방법 | |
KR20180109464A (ko) | 구리계 금속막용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 |
KR102362460B1 (ko) | 식각액 조성물 | |
KR102368356B1 (ko) | 식각액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310093B1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1866615B1 (ko) | 금속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
KR102281187B1 (ko) | 구리계 금속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각방법 | |
KR102265973B1 (ko) | 몰리브덴 함유 금속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368380B1 (ko) |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371075B1 (ko) | 알루미늄계 금속막용 식각 조성물 | |
KR102310097B1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367814B1 (ko) | 몰리브덴 함유 금속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KR102092927B1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1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6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4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8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7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4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