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22421B1 - 아기용 폴딩 힙시트 - Google Patents

아기용 폴딩 힙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421B1
KR102322421B1 KR1020210043430A KR20210043430A KR102322421B1 KR 102322421 B1 KR102322421 B1 KR 102322421B1 KR 1020210043430 A KR1020210043430 A KR 1020210043430A KR 20210043430 A KR20210043430 A KR 20210043430A KR 102322421 B1 KR102322421 B1 KR 102322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p seat
protrusion
baby
plate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지영
남지혜
Original Assignee
남지영
남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지영, 남지혜 filed Critical 남지영
Priority to KR102021004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421B1/ko
Priority to EP22781397.9A priority patent/EP4316313A4/en
Priority to US18/553,407 priority patent/US20240180340A1/en
Priority to PCT/KR2022/002439 priority patent/WO2022211276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한 개의 원터치 제어부만 구비됨에 따라 힙시트부의 조작이 간편 용이하고, 설치 플레이트부가 체결후크와 체결홈, 탄성체결돌기와 삽입공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부 측에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손쉽게 분리됨과 동시에 아기의 체중이 다수 지점으로 분산될 수 있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아기용 폴딩 힙시트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용 폴딩 힙시트는 허리밴드에 의해 보호자에게 착용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전방 일측에는 다수 개의 체결후크가 구비되며 전방 타측에는 탄성체결돌기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는 상기 다수 개의 체결후크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탄성체결돌기가 결합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전방 상부에는 제 1 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설치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 1 힌지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 측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거나 펼쳐진 상태로 사용되되, 후방 상부에는 상기 제 1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힌지부의 일측 전방에는 상기 제 1 힌지부 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원터치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원터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에 대한 회동 및 고정상태가 제어되는 힙시트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기용 폴딩 힙시트{FOLDING HIP SEAT FOR BABY}
개시된 내용은 보호자의 허리 부위에 착용한 상태에서 아기를 앉혀 안전하게 이동 및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보호자는 아기를 안을 때 양 팔을 사용하게 되며, 아기의 체중이 보호자의 양 팔과 허리 부위에 집중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세에서 장시간 아기를 돌보게 될 경우 보호자의 양 팔과 허리의 근육과 관절에 피로가 쌓이게 되는데, 피로가 장시간 누적될 경우 질병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보호자는 아기띠나 포대기를 이용해 아기를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는 형태로 돌보고 있는데, 아기띠나 포대기를 사용할 경우 보호자가 양 손을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아기를 보호자의 가슴에 안을 수 있게 제조되는 아기띠의 경우에도 아기 체중의 상당부분이 보호자의 어깨에 집중됨에 따라 보호자의 어깨 근육과 관절에 피로가 누적될 수 있어 편안한 자세에서 장시간 아기를 돌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아기를 앉힐 수 있는 구조의 힙시트가 구비된 아기띠도 공지되어 아기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으로 분산되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힙시트의 경우에도 아기의 체중이 대부분 보호자의 허리와 골반에 집중될 수 밖에 없어 보호자의 허리와 골반의 근육과 관절에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아기띠와 힙시트가 결합된 형태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즉, 보호자의 어깨와 허리 부위에 착용될 수 있도록 어깨끈과 허리밴드가 구비되고, 허리밴드 측에는 아기가 앉을 수 있는 힙시트가 구비되어 아기의 체중이 보호자의 신체에 골고루 분산되게 함으로써 장시간 편안한 자세로 아기를 돌볼 수 있음은 물론 보호자의 신체에 피로가 누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돕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힙시트가 필요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폴딩 힙시트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그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이렇게 아기띠와 힙시트가 결합된 형태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05260호(2021.01.14.)에 개시된 아기띠(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가 있다.
이 선행기술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아기의 엉덩이 부분을 보조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하도록 선택 작동하는 보조 지지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아기를 내려놓지 않고 아기띠 모드와 힙시트 모드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모드 전환할 수 있고, 보조 지지 수단을 전개 상태에서 위치 고정하거나 보조 지지 수단을 접철하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행기술1에서 보조 지지 수단의 힙 지지판이 회전 조작이 작동 샤프트에 의해서 제어되는 구조(선행기술 1의 도8 내지 도10 참조)를 갖고 있다. 그런데, 작동 샤프트는 전개된 상태의 힙 지지판에 대해서는 회전 구속 상태가 유지되게 하지만, 접철된 상태에서는 회전 구속 상태가 해제되어 별도의 조작 없이 단순히 힙 지지판을 전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업으로 힙 지지판을 전개할 수 있게 된다. 즉, 힙 지지판이 전개된 상태에서는 힙 지지판이 고정되어 유아를 안전하게 앉힐 수 있으나, 힙 지지판이 접철된 상태에서는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중 보호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힙 지지판이 임의로 전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작동 샤프트가 보조 지지 수단 양측에 각각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해 이를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아기가 앉아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많은 부품이 사용될 수 밖에 없어 그 구조가 복잡해 제조단가가 높으며 유지보수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개된 힙 지지판에 앉은 아기의 체중이 두 개의 작동 샤프트에 집중됨에 따라 사용기간이나 아기의 체중 또는 움직임 정도에 따라서 힙 지지판 측이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힙 지지판이 전개되는 경우와 접철되는 경우 두 가지 방법으로만 사용이 가능할 뿐 전개되는 각도의 조절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한편, 아기띠와 힙시트가 결합된 형태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35105호(2018.04.05.)에 개시된 베이비 케리어(이하, 선행기술2라 함)도 있다.
선행기술2는 하중조절유닛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을 신속하게 전환하여 어깨 밴드와 허리 밴드에 작용하는 하중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행기술2에서 하중조절유닛은 베이스에 형성된 결합홀에 허리밴드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선행기술2의 도2a 내지 도3 참조)를 갖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탈부착 사용이 용이하지 않고, 반복 탈부착시에 허리밴드에 대한 하중조절유닛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이는 아기의 안전사고와 직결될 수 있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아기의 체중이 허리밴드이 결합돌기 측에 집중되어 해당부위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05260호(2021.01.14.)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35105호(2018.04.05.)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05261호(2021.01.14.)
구조가 비교적 간단해 한 손으로 폴딩 힙시트의 회동제어가 가능하고, 폴딩 힙시트에 앉은 아기의 체중이 다수 지점에 분산될 수 있으며, 폴딩 힙시트 및 허리밴드의 견고한 결합과 손쉬운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폴딩 힙시트가 아기의 연령 및 체중에 따라 허리밴드에 대해 펼쳐지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아기용 폴딩 힙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허리밴드에 의해 보호자에게 착용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전방 일측에는 다수 개의 체결후크가 구비되며 전방 타측에는 탄성체결돌기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는 상기 다수 개의 체결후크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탄성체결돌기가 결합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전방 상부에는 제 1 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설치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 1 힌지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 측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거나 펼쳐진 상태로 사용되되, 후방 상부에는 상기 제 1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힌지부의 일측 전방에는 상기 제 1 힌지부 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원터치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원터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에 대한 회동 및 고정상태가 제어되는 힙시트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서 상기 제 1 힌지부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리브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아기용 폴딩 힙시트에 의하면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한 개의 원터치 제어부만 구비됨에 따라 아기가 앉은 상태에서도 한 손으로 폴딩 힙시트의 회동제어가 가능하고, 양손으로 제어해야 하는 경우에 비해 원터치 제어부 측 부품이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어 제조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설치 플레이트부가 체결후크와 체결홈, 탄성체결돌기와 삽입공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부 측에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손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 1 힌지부가 보강리브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아기의 체중이 체결후크, 탄성체결돌기 및 보강리브 등 다수 지점으로 분산될 수 있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힙시트부의 회동각도가 조절될 수 있고, 힙시트부에 아기의 허리 부위가 지지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회동되는 등받이부가 더 설치될 수도 있으며, 힙시트부 측에 쿠션감을 갖는 외피가 덮여져 구비되되 이 외피 일측에 힙시트부에 앉은 아기의 체온이 건강상태 또는 계절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냉매팩 또는 발열팩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포켓이 형성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매우 뛰어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용 폴딩 힙시트의 사용상태도도.
도 2a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용 폴딩 힙시트의 사시도.
도 2b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용 폴딩 힙시트의 작동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용 폴딩 힙시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용 폴딩 힙시트의 작동도.
도 5a 내지 도 5c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용 폴딩 힙시트의부분 작동도.
도 6a 및 도 6b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용 폴딩 힙시트의 부분 작동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용 폴딩 힙시트의 부분확대 사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사용상태도이고, 도 2a는 사시도이며, 도 2b, 도 4a 및 도 4b, 도 5a 내지 도 5c는 작동도이고, 도 3은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부분 작동도이고, 도 7은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용 폴딩 힙시트(1)의 구성부재와, 구성부재 간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개시된 내용에 따른 아기용 폴딩 힙시트(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허리밴드(200)에 의해서만 보호자에게 착용될 수도 있고,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깨끈(100)과 허리밴드(200)에 의해 보호자에게 착용됨과 동시에 아기의 몸과 엉덩이 부위가 감싸져 지지된 상태에서 추후에 설명될 힙시트부(600)에 앉을 수 있도록 상체지지부(3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추후에 설명될 힙시트부(600)는 허리밴드(200)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아기를 앉힐 때는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허리밴드(200)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된다.
전술한 어깨끈(100)과 허리밴드(200) 그리고 상체지지부(300)는 종래기술에 따른 아기용 힙시트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그 구성요소와 사용방법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전술한 상체지지부(300)는 추후에 설명될 힙시트부(600)가 설치 플레이트부(500)에서 완만히 펼쳐진 상태가 될 때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아기의 자세에 맞게 늘어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허리밴드(200)의 전방에는 베이스 플레이트부(400)가 고정 설치된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부(400)는 추후에 설명될 설치 플레이트부(5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부(400)는 보호자의 하복부 측에 위치됨에 따라 이에 밀착 가능하도록 외향 볼록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후크(410)가 구비되며, 체결후크(410)의 양측에는 탄성체결돌기(420)가 각각 구비된다.
전술한 체결후크(410)와 탄성체결돌기(420)는 설치 플레이트부(500)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설치 플레이트부(500)를 통해 전달되는 아기의 체중이 분산 지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설치 플레이트부(500)는 베이스 플레이트부(400) 측에 밀착된 후 하강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체결후크(410)는 "ㄴ"자 앵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체결홈(510)은 설치 플레이트부(500)가 베이스 플레이트부(400) 측에 밀착될 때 체결후크(410)가 관통 위치되는 관통구(511)와, 관통구(511) 상측에 형성되어 설치 플레이트부(500)가 밀착 위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부(400) 상에서 하강될 때 체결후크(410)의 선단이 고정 지지되게 하는 지지홈(512)으로 이루어진다.
탄성체결돌기(420)는 설치 플레이트부(500)와의 결합 및 아기의 체중분산 외에 설치 플레이트부(500)와의 결합여부가 획인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즉, 설치 플레이트부(500)가 베이스 플레이트부(400)와의 결합이 완료될 때 탄성체결돌기(420)에 형성된 삽입돌기(421)가 설치 플레이트부(500) 상에 형성된 삽입공(520) 내에 삽입되는 순간 "딸깍"하는 클릭음이 발생되어 결합의 완료 여부가 확인되는 것이다. 또한, 설치 플레이트부(500)가 베이스 플레이트부(400)로부터 분리될 때 반드시 삽입돌기(421)를 가압해 삽입공(520) 내에서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플레이트부(500)가 베이스 플레이트부(400) 측에서 임의로 분리되거나 유동되는 일 없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탄성체결돌기(420)는 베이스 플레이트부(400) 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전방을 향해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하단을 제외한 양측과 상단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그 상단 전방에는 설치 플레이트부(500)에 형성되는 삽입공(520) 측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기(42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설치 플레이트부(500)가 베이스 플레이트부(400)에 밀착된 후 하강되어 체결후크(410)의 선단이 지지홈(512) 내에 고정 지지되면 이와 동시에 삽입돌기(421)가 삽입공(520) 내에 탄성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부(400) 전방에는 설치 플레이트부(5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설치 플레이트부(500)는 베이스 플레이트부(4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추후에 설명될 힙시트부(6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설치 플레이트부(500)는 외향 볼록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부(400) 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향 볼록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설치 플레이트부(500)는 체결후크(4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술한 체결후크(410)가 결합되는 체결홈(510)이 형성되고 탄성체결돌기(420)의 삽입돌기(4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돌기(421)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삽입공(5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 상부에는 제 1 힌지부(530)가 돌출 형성된다. 체결후크(410)와 체결홈(510)의 체결 및 탄성체결돌기(420)와 삽입공(520)의 체결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부(400)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 1 힌지부(530)에는, 설치 플레이트부(500) 전방의 상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제 1 힌지공(532)이 관통 형성된 제 1 힌지돌기(531)와, 제 1 힌지돌기(531) 사이에 돌출 형성되되 제 1 힌지공(532)과 동일선상으로 제 2 힌지공(534)이 관통 형성되며 그 일면에는 추후에 설명될 원터치 제어부(620)의 회동반경을 따라 제 1 멈춤홈(535)과 제 2 멈춤홈(536)이 각각 형성된 제 2 힌지돌기(533)가 포함된다.
제 1 힌지돌기(531)와 제 2 힌지돌기(533)는 추후에 설명될 제 3 힌지돌기(611) 및 제 4 힌지돌기(613)와 함께 힌지축(615)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 플레이트부(500)에 대한 힙시트부(600)의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1 멈춤홈(535)과 제 2 멈춤홈(536)은 추후에 설명될 원터치 제어부(620)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삽입 위치에 따라 힙시트부(600)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거나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힌지돌기(531) 및 제 2 힌지돌기(533)는 설치 플레이트부(50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리브(54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아기의 체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제 1 힌지돌기(531) 및 제 2 힌지돌기(533)가 보강리브(54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 아기의 체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전술한 설치 플레이트부(500)의 제 1 힌지부(530) 측에는 힙시트부(6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힙시트부(600)는 회동 여부에 따라 설치 플레이트부(500) 측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거나, 상체지지부(300)에 상체와 엉덩이가 감싸져 지지된 아기를 앉히기 위해서 펼쳐진 상태로 사용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힙시트부(600)는 그 후방 상부에 전술한 제 1 힌지부(530)와 힌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6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힌지부(610)의 일측 전방에는 제 2 힌지공(534)의 제 1 멈춤홈(535) 또는 제 2 멈춤홈(536) 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원터치 제어부(620)가 구비되어 이 원터치 제어부(620)에 의해 설치 플레이트부(500)에 대한 힙시트부(600)의 회동 및 고정상태가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힙시트부(600)는 상부면과 측면부가 신체구조에 대응되는 곡면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상체지지부(300)에 감싸진 아기의 엉덩이와 상체지지부(300) 외부로 노출된 허벅지 부위가 모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아기가 앉아 있거나 앉은 상태에서 과도하게 움직여도 상체지지부(300)에 감싸진 아기의 엉덩이는 물론 상체지지부(300) 외부로 노출된 허벅지 안쪽 피부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힙시트부(600)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승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설치 플레이트부(500)에서 펼쳐진 힙시트부(600) 상에 아기를 앉힐 때 아기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보호자 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안정적인 자세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제 2 힌지부(610)에는, 제 1 멈춤홈(535) 및 제 2 멈춤홈(536)이 형성되지 않은 방향의 제 1 힌지돌기(531)와 제 2 힌지돌기(533) 사이에 위치되며 그 내측에 제 1 힌지공(532) 및 제 2 힌지공(534)과 연통되는 제 3 힌지공(612)이 형성된 제 3 힌지돌기(611)와, 제 1 멈춤홈(535) 및 제 2 멈춤홈(536)이 형성된 방향의 제 1 힌지돌기(531)와 제 2 힌지돌기(533) 사이에 위치되며 그 내측에 제 1 힌지공(532) 및 제 2 힌지공(534)과 연통되는 제 4 힌지공(614)이 관통 형성된 제 4 힌지돌기(613)와, 제 1 힌지공(532), 제 2 힌지공(534), 제 3 힌지공(612) 및 제 4 힌지공(614)에 일체로 삽입되는 힌지축(615)이 포함된다.
힙시트부(600)는 추후에 설명될 샤프트(630)의 타단이 제 1 멈춤홈(535) 또는 제 2 멈춤홈(536) 중 어느 위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지에 따라 설치 플레이트부(500) 측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거나 펼쳐진 상태로 사용되되, 제 1 멈춤홈(535) 및 제 2 멈춤홈(536) 사이에는 원터치 제어부(620)의 회동반경을 따라 제 3 멈춤홈(537)이 더 형성되어 힙시트부(600)가 펼쳐지는 회동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5a를 참조하면, 샤프트(630)의 타단이 제 1 멈춤홈(535) 내에 삽입되면 힙시트부(600)가 설치 플레이트부(500) 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1)가 보관 및 운반될 수 있다. 이렇게 힙시트부(600)가 설치 플레이트부(500) 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샤프트(63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보관 및 운반 중 힙시트부(600)가 임의로 회동되지 않아 이에 따른 사고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샤프트(630)의 타단이 제 2 멈춤홈(536) 내에 삽입되면 힙시트부(600)가 설치 플레이트부(500)에서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1)에 아기를 앉혀 돌보거나 앉힌 상태에서 보호자가 이동할 수 있다. 힙시트부(600)는 설치 플레이트부(500)에서 완전히 회동된 상태에서도 샤프트(63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힙시트부(600)에 앉은 아기가 안전하게 지지 및 보호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샤프트(630)의 타단이 제 3 멈춤홈(537) 내에 삽입되면 힙시트부(600)가 설치 플레이트부(500)에서 완만히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힙시트부(600)에 앉은 아기의 자세가 다소 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되기 때문에 아기의 얼굴을 자세히 살피거나 보호자가 앉은 자세에서 분유 등의 음식물을 먹여줄 때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전술한 힙시트부(600)의 회동이 제어되게 하는 원터치 제어부(620)에는, 제 4 힌지돌기(613)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공(622)이 관통 형성되되, 이동공(622) 내부는 제 1 멈춤홈(535) 및 제 2 멈춤홈(536) 측과 인접된 방향이 그 반대 방향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그 내경이 변형되는 지점의 내주연을 따라 제 1 걸림단턱(623)이 형성되는 몸체(621)와, 이동공(622) 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은 몸체(621)의 외측으로 돌출 위치된 상태에서 손잡이(631)가 설치되며 타단은 제 2 힌지돌기(533)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 1 멈춤홈(535) 또는 제 2 멈춤홈(536)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되 제 1 멈춤홈(535) 및 제 2 멈춤홈(536) 측과 인접된 방향이 그 반대 방향에 비해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그 외경이 변형되는 지점의 외주연을 따라 제 2 걸림단턱(632)이 형성되는 샤프트(630)와, 이동공(622) 내에서 그 내경이 크게 형성된 위치에 구비되되 일단은 제 1 걸림단턱(623)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 2 걸림단턱(632)에 지지되어 샤프트(630)가 손잡이(631) 방향으로 이동될 시에 제 1 멈춤홈(535) 및 제 2 멈춤홈(536)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게 하는 스프링(633)이 포함된다.
전술한 샤프트(630)는 힙시트부(600)의 회동이 제어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타단이 제 1 멈춤홈(535), 제 2 멈춤홈(536) 및 제 3 멈춤홈(537)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샤프트(630)가 스프링(633)에 의해 제 1 멈춤홈(535), 제 2 멈춤홈(536) 및 제 3 멈춤홈(537)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631)를 이용해 샤프트(630)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인출하지 않는 이상 힙시트부(600)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가 항상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630)는 전술한 체결후크(410), 탄성체결돌기(420) 및 보강리브(540)와 함께 아기의 체중이 분산 지지되게 하는 역할도 한다.
힙시트부(600)를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631)를 이용해 샤프트(630)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인출해 주는데 이때 샤프트(630)의 제 2 걸림단턱(632)이 이동공(622) 내의 제 1 걸림단턱(623) 방향으로 근접되면서 그 사이에 양단이 지지된 스프링(633)이 압축된다. 동시에 샤프트(630)의 타단은 제 1 멈춤홈(535), 제 2 멈춤홈(536), 제 3 멈춤홈(537) 내에서 분리된다. 제 3 멈춤홈(537)은 형성될 수도있고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제 1 멈춤홈(535)과 제 2 멈춤홈(536)만 형성된 경우 힙시트부(600)의 회동이나 절첩은 원터치 제어부(620)를 통해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힙시트부(600)를 펼치기 위해서는 손잡이(631)를 잡아당겨 샤프트(630)를 인출해 제 1 멈춤홈(535) 내에 삽입된 샤프트(630) 타단이 분리되게 한 뒤 힙시트부(600)를 회동시켜준다. 이때 샤프트(630) 타단이 제 1 멈춤홈(535)을 벗어나면 샤프트(630)를 인출하고 있는 힘이 제거되어도 무방하며, 힙시트부(600)가 완전히 펼쳐짐과 동시에 이동되던 샤프트(630) 타단이 제 2 멈춤홈(536)에 이르러 스프링(633)에 의해 탄성적으로 삽입되면서 힙시트부(600)의 회동이 완료된다. 힙시트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설치 플레이트부(500)로 회동시켜 접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이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된다.
제 1 멈춤홈(535)과 제 2 멈춤홈(536) 사이에 제 3 멈춤홈(537)이 더 형성된 경우 제 1 멈춤홈(535)에서 제 3 멈춤홈(537)으로, 제 3 멈춤홈(537)에서 제 2 멈춤홈(536)으로 샤프트(630)가 이동되거나 또는 제 2 멈춤홈(536)에서 제 3 멈춤홈(537)으로, 제 3 멈춤홈(537)에서 제 1 멈춤홈(535)으로 샤프트(630)가 이동되는 경우 위와 동일한 원터치 방식으로 힙시트부(600) 회동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멈춤홈(535)에서 제 2 멈춤홈(536)으로, 제 2 멈춤홈(536)에서 제 1 멈춤홈(535)으로 샤프트(630)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중간에 제 3 멈춤홈(537)을 경유해야 하므로 샤프트(630)를 인출하는 동작을 한번 더 해주거나, 샤프트(630)가 제 3 멈춤홈(537)을 지나칠 때까지 샤프트(630)를 인출하고 있는 힘을 유지해준다. 개시된 내용에서는 1 멈춤홈과 제 2 멈춤홈(536) 사이에 제 3 멈춤홈(537) 한 개만 더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힙시트부(600)가 다양한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더 많은 멈춤홈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힙시트부(600)의 상부면에는 덮개(641)에 의해 개폐 가능한 수납공간(640)이 형성되고, 이 수납공간(640) 내에는 냉매팩 또는 발열팩과 같은 체온조절팩(643)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데, 이는 힙시트부(600)에 앉은 아기의 체온이 건강상태 또는 계절에 따라 조절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아기의 열이 오르거나 무더운 여름날씨에 외출하는 경우에는 냉매팩을 수납공간(640) 내에 수용시킨 뒤 아기를 힙시트부(600) 상에 앉혀 체온이 오르는 것을 예방하거나, 오른 체온을 효과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기온이 낮은 겨울날씨에 외출하는 경우에는 발열팩을 수납공간(640) 내에 수용시킨 뒤 아기를 힙시트부(600) 상에 앉혀 아기의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아기는 상체지지부(300)에 감싸진 상태에서 힙시트부(600) 상에 앉기 때문에 체온조절팩(643)에 의한 냉기나 열전도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덮개(641)에는 체온조절팩(643)을 통한 아기의 체온조절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통공(642)이 형성되거나, 금속재, 직물재, 합성비닐과 같이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아기용 폴딩 힙시트에 의하면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한 개의 원터치 제어부만 구비됨에 따라 아기가 앉은 상태에서도 한 손으로 폴딩 힙시트의 회동제어가 가능하고, 양손으로 제어해야 하는 경우에 비해 원터치 제어부 측 부품이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어 제조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설치 플레이트부가 체결후크와 체결홈, 탄성체결돌기와 삽입공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부 측에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손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 1 힌지부가 보강리브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아기의 체중이 체결후크, 탄성체결돌기 및 보강리브 등 다수 지점으로 분산될 수 있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힙시트부의 회동각도가 조절될 수 있고, 힙시트부에 아기의 허리 부위가 지지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회동되는 등받이부가 더 설치될 수도 있으며, 힙시트부 측에 쿠션감을 갖는 외피가 덮여져 구비되되 이 외피 일측에 힙시트부에 앉은 아기의 체온이 건강상태 또는 계절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냉매팩 또는 발열팩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포켓이 형성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매우 뛰어나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아기용 폴딩 힙시트 100 : 어깨끈
200 : 허리밴드 300 : 상체지지부
400 : 베이스 플레이트부 410 : 체결후크
420 : 탄성체결돌기 421 : 삽입돌기
500 : 설치 플레이트부 510 : 체결홈
511 : 관통구 512 : 지지홈
520 : 삽입공 530 : 제 1 힌지부
531 : 제 1 힌지돌기 532 : 제 1 힌지공
533 : 제 2 힌지돌기 534 : 제 2 힌지공
535 : 제 1 멈춤홈 536 : 제 2 멈춤홈
537 : 제 3 멈춤홈 540 : 보강리브
600 : 힙시트부 610 : 제 2 힌지부
611 : 제 3 힌지돌기 612 : 제 3 힌지공
613 : 제 4 힌지돌기 614 : 제 4 힌지공
615 : 힌지축 620 : 원터치 제어부
621 : 몸체 622 : 이동공
623 : 제 1 걸림단턱 630 : 샤프트
631 : 손잡이 632 : 제 2 걸림단턱
633 : 스프링 640 : 수납공간
641 : 덮개 642 : 통공
643 : 체온조절팩

Claims (11)

  1. 허리밴드에 의해 보호자에게 착용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전방 일측에는 다수 개의 체결후크가 구비되며 전방 타측에는 탄성체결돌기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는 상기 다수 개의 체결후크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탄성체결돌기가 결합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전방 상부에는 제 1 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설치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 1 힌지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 측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거나 펼쳐진 상태로 사용되되, 후방 상부에는 상기 제 1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힌지부의 일측 전방에는 상기 제 1 힌지부 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원터치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원터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에 대한 회동 및 고정상태가 제어되는 힙시트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힌지부에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의 전방의 상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제 1 힌지공이 관통 형성된 제 1 힌지돌기와, 상기 제 1 힌지돌기 사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 1 힌지공과 동일선상으로 제 2 힌지공이 관통 형성되며 그 일면에 상기 원터치 제어부의 회동반경을 따라 제 1 멈춤홈과 제 2 멈춤홈이 각각 형성된 제 2 힌지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 측에 밀착된 후 하강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되, 이를 위해 상기 체결후크는 "ㄴ"자 앵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 측에 밀착될 때 상기 체결후크가 관통 위치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 플레이트가 밀착 위치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 상에서 하강될 때 상기 체결후크의 선단이 고정 지지되게 하는 지지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결돌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 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전방을 향해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하단을 제외한 양측과 상단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단의 전방에는 상기 삽입공 측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에 밀착된 후 하강되어 상기 체결후크의 선단이 상기 지지홈 내에 고정 지지될 때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삽입공 내에 탄성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돌기 및 제 2 힌지돌기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리브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부에는,
    상기 제 1 멈춤홈 및 제 2 멈춤홈이 형성되지 않은 방향의 상기 제 1 힌지돌기와 상기 제 2 힌지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그 내측에 상기 제 1 힌지공 및 제 2 힌지공과 연통되는 제 3 힌지공이 형성된 제 3 힌지돌기와, 상기 제 1 멈춤홈 및 제 2 멈춤홈이 형성된 방향의 상기 제 1 힌지돌기와 상기 제 2 힌지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그 내측에 상기 제 1 힌지공 및 제 2 힌지공과 연통되는 제 4 힌지공이 관통 형성된 제 4 힌지돌기와, 상기 제 1 힌지공, 제 2 힌지공, 제 3 힌지공 및 제 4 힌지공에 일체로 삽입되는 힌지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제어부에는,
    상기 제 4 힌지돌기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이동공 내부는 상기 제 1 멈춤홈 및 제 2 멈춤홈 측과 인접된 방향이 그 반대 방향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그 내경이 변형되는 지점의 내주연을 따라 제 1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이동공 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 위치된 상태에서 손잡이가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 2 힌지돌기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멈춤홈 또는 제 2 멈춤홈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 1 멈춤홈 및 제 2 멈춤홈 측과 인접된 방향이 그 반대 방향에 비해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그 외경이 변형되는 지점의 외주연을 따라 제 2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이동공 내에서 그 내경이 크게 형성된 위치에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제 1 걸림단턱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걸림단턱에 지지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손잡이 방향으로 이동될 시에 상기 제 1 멈춤홈 및 제 2 멈춤홈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게 하는 스프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힙시트부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이 상기 제 1 멈춤홈 또는 제 2 멈춤홈 중 어느 위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지에 따라 상기 설치 플레이트부 측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거나 펼쳐진 상태로 사용되되, 상기 제 1 멈춤홈 및 제 2 멈춤홈 사이에는 상기 원터치 제어부의 회동반경을 따라 제 3 멈춤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힙시트부가 펼쳐지는 회동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힙시트부의 상부면과 측면부는 아기의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가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신체구조에 대응되는 곡면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힙시트부의 상부면에는 덮개에 의해 개폐 가능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 내에는 상기 힙시트부에 앉은 아기의 체온이 건강상태 또는 계절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냉매팩 또는 발열팩 중 하나의 체온조절팩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체온조절팩을 통한 아기의 체온조절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거나,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폴딩 힙시트.
KR1020210043430A 2021-04-02 2021-04-02 아기용 폴딩 힙시트 Active KR10232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430A KR102322421B1 (ko) 2021-04-02 2021-04-02 아기용 폴딩 힙시트
EP22781397.9A EP4316313A4 (en) 2021-04-02 2022-02-18 FOLDABLE BABY HIP SEAT
US18/553,407 US20240180340A1 (en) 2021-04-02 2022-02-18 Folding hip seat for baby
PCT/KR2022/002439 WO2022211276A1 (ko) 2021-04-02 2022-02-18 아기용 폴딩 힙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430A KR102322421B1 (ko) 2021-04-02 2021-04-02 아기용 폴딩 힙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421B1 true KR102322421B1 (ko) 2021-11-05

Family

ID=7850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430A Active KR102322421B1 (ko) 2021-04-02 2021-04-02 아기용 폴딩 힙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80340A1 (ko)
EP (1) EP4316313A4 (ko)
KR (1) KR102322421B1 (ko)
WO (1) WO20222112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276A1 (ko) * 2021-04-02 2022-10-06 남지영 아기용 폴딩 힙시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105A (ko)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이비 캐리어
JP2019111171A (ja) * 2017-12-25 2019-07-11 モニット コーポレーションMonit Corporation ベビーキャリア
KR20200132327A (ko) * 2019-05-17 2020-11-25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용 안장구조체
KR102205261B1 (ko)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05260B1 (ko)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96981B2 (en) * 1995-09-11 1998-09-24 Aprica Kassai Kabushiki Kaisha Baby holder
KR20100007127U (ko) * 2008-12-31 2010-07-08 연정태 유아용 접철캐리어
US10349754B2 (en) * 2016-09-28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by carrier
KR101756067B1 (ko) * 2017-06-12 2017-07-11 (주)끄레델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KR102322421B1 (ko) * 2021-04-02 2021-11-05 남지영 아기용 폴딩 힙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105A (ko)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이비 캐리어
JP2019111171A (ja) * 2017-12-25 2019-07-11 モニット コーポレーションMonit Corporation ベビーキャリア
KR20200132327A (ko) * 2019-05-17 2020-11-25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용 안장구조체
KR102205261B1 (ko)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05260B1 (ko)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276A1 (ko) * 2021-04-02 2022-10-06 남지영 아기용 폴딩 힙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80340A1 (en) 2024-06-06
EP4316313A4 (en) 2024-10-02
EP4316313A1 (en) 2024-02-07
WO2022211276A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2257B1 (en) Reversible infant carrier
JP6871247B2 (ja) 調節可能チャイルドキャリア
EP0818965B1 (en) Combination backpack and chair
US8579168B2 (en)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with lumbar belt
CN101677695B (zh) 携带装置
AU696981B2 (en) Baby holder
JP3210531U (ja) ヒップシートキャリアセット
KR101812529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20070007800A1 (en) Chair blanket, and method for covering chair occupant
CA2040511A1 (en) Convertible child carrier
US20080283561A1 (en) Side seating infant carrier
KR101432450B1 (ko) 아기띠
US20100155446A1 (en) Device for Carrying a Child
CA2554821A1 (en) Child carrier
KR102322421B1 (ko) 아기용 폴딩 힙시트
JP2000513253A (ja) 背中支持具を備えた腰部支持キャリングケース
JP5319680B2 (ja) 調整可能な背部支持装置
KR101955475B1 (ko)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200335689Y1 (ko) 아기 포대기
KR102684472B1 (ko) 아기띠
JPH11313735A (ja) 車椅子用カバー
JPH09135752A (ja) 乳幼児保持具
CN201104678Y (zh) 亲子背袋
JP6921431B2 (ja) ヒップシート及びベビーキャリ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