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259B1 -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2259B1 KR102322259B1 KR1020170086550A KR20170086550A KR102322259B1 KR 102322259 B1 KR102322259 B1 KR 102322259B1 KR 1020170086550 A KR1020170086550 A KR 1020170086550A KR 20170086550 A KR20170086550 A KR 20170086550A KR 102322259 B1 KR102322259 B1 KR 1023222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pping
- intensity
- wheel
- acceleration
- cont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60G17/01908—Acceleration or inclination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60G17/01933—Velocity, e.g. relative velocity-displacement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8—Speed of wheel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7—Engine Management System [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의 휠 홉(Wheel hop)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의 휠 각각에 장착되어 휠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차량의 휠 각각에 장착되어 휠 속도를 검출하는 휠속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Hopping) 여부를 판단하고, 호핑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속도 정보에 따른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서스펜션 제어기, 및 상기 휠속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여부를 판단하고, 호핑으로 판단되면 상기 휠 속도 정보에 따른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하며, 상기 제1 호핑 강도 및 상기 제2 호핑 강도에 따라 서스펜션 및 엔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자세 제어기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a wheel hop phenomenon of a vehicle.
To this end,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mounted on each wheel of a vehicle to detect wheel acceleration, a wheel speed sensor mounted on each wheel of the vehicle to detect wheel speed, and the acceleration sensor. A suspension controller that determines whether hopp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received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when determined to be hopping, a first hopp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whether or not hopping is based on the wheel spe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wheel speed sensor ,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hopping, a second hopping intensity is checked according to the wheel speed information,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suspension and an engin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first hopping intensity and the second hopping intensity. Includes posture controll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의 휠 홉(Wheel hop)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a wheel hop phenomenon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휠 홉은 차량이 정지 또는 저속 주행 상태에서 급격한 가속 페달조작을 통해 차량이 최대로 가속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차량의 상하 진동현상이다. In general, a wheel hop of a vehicle is a vertical vibration phenomenon of a vehicle that occurs when the vehicle attempts to accelerate to the maximum through an abrupt accelerator pedal operation while the vehicle is stopped or traveling at a low speed.
즉, 휠 홉은 차량의 발진 시 구동력이 차량을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최소 구동력보다 지나치게 커서 차량이 움직이기 전까지 제 자리에서 구동휠이 헛도는 현상이며, 이때 제자리에서 헛도는 구동휠과 노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서스펜션에서 이상 진동이 발생하여 차량이 상하로 진동하는 현상이다.In other words, wheel hop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driving force is excessively greater than the minimum driving force required to move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starts, and the driving wheel rotates in vain before the vehicle moves. It is a phenomenon in which abnormal vibration occurs in the suspension due to the friction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vibrates up and down.
이러한 차량의 상하 진동은 섀시의 구동계 중, 특히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 및 엔진 마운트 등을 파손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vehicle is a major cause of damage to the drive system of the chassis, particularly the drive shaft and the engine mount.
이에 따라, 휠 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은 공진원에 대한 매스 또는 다이나믹 댐퍼를 추가하거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휠 홉을 판단하여 댐핑 계수를 제어하거나, 구동휠의 슬립을 판단하여 휠 홉 발생 시 엔진 토크를 저하하여 호핑을 방지하였다.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wheel hop phenomenon, the vehicle adds a mass or dynamic damper to the resonance source, determines the wheel hop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to control the damping coefficient, or determines the slip of the driving wheel to generate wheel hop Hopping was prevented by lowering the engine torque.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할 경우에는 원가 및 중량이 증대하며, 휠 홉 판정의 정확도가 부족하여 댐핑 성능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in this case, the cost and weight increase, and the accuracy of wheel hop determination is insufficient, resulting in insufficient damping performance.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엔진 토크 저하로 인해 가속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도 발생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accelera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due to a decrease in engine torque.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are prepar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ECS(Electronic Control Suspension)와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의 협조 제어를 통해 휠 홉을 판단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apable of determining wheel hop through cooperative control between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ECS) and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가속도 및 휠속을 통해 휠 홉의 강도를 판단하여 호핑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apable of controlling hopping by determining the strength of a wheel hop based on the vehicle's acceleration and wheel spe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휠 각각에 장착되어 휠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차량의 휠 각각에 장착되어 휠 속도를 검출하는 휠속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Hopping) 여부를 판단하고, 호핑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속도 정보에 따른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서스펜션 제어기; 및 상기 휠속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여부를 판단하고, 호핑으로 판단되면 상기 휠 속도 정보에 따른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하며, 상기 제1 호핑 강도 및 상기 제2 호핑 강도에 따라 서스펜션 및 엔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자세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leration sensor is mounted on each wheel of a vehicle to detect wheel acceleration; a wheel speed sensor mounted on each wheel of the vehicle to detect a wheel speed; a suspension controller that determines whether hopp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checks a first hopp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hopping is performed; and determining whether to hop based on the wheel spe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wheel speed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as hopping, check a second hopp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wheel speed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first hopping intensity and the second hopping intens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device including a posture controller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suspension and an engine.
또한,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는 상기 가속도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 중 최대 가속도 및 최소 가속도를 이용하여 연산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가 지속된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을 확인하며, 상기 연산값이 제1 기준값 보다 크고, 상기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제2 기준값 보다 크면 호핑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spension controller generates a calculation value by using the maximum acceleration and the minimum acceleration among the first to fourth wheel accelerations included i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duration of the acceleration state during which the first to fourth wheel accelerations are maintained. If the calculated valu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duration of the acceleration stat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hopping may be determined.
또한,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는 상기 최대 가속도와 최소 가속도를 빼기 연산하여 연산값을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suspension controller may generate an operation value by subtracting the maximum acceleration from the minimum acceleration.
또한, 상기 자세 제어기는 상기 휠 속도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휠 속도를 이용하여 평균 슬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휠 속도가 지속된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을 확인하며, 상기 평균 슬립이 목표 슬립 보다 크고, 상기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엔진 대기 시간 보다 크면 호핑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ture controller generates an average slip by using the first to fourth wheel speeds included in the wheel speed information, checks the duration of the speed state during which the first to fourth wheel speeds are maintained, and the average If the slip is greater than the target slip and the duration of the speed state is greater than the engine standby time, it may be determined as hopping.
또한,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는 상기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타켓값을 단계 별로 설정하고, 호핑 타켓값을 이용하여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하며, 상기 제1 호핑 강도를 상기 자세 제어기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spension controller may set a hopping target value for each step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identify a first hopping intensity using the hopping target value, and provide the first hopping intensity to the posture controller.
또한, 상기 자세 제어기는 상기 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타켓값을 단계 별로 설정하고, 상기 호핑 타켓값을 이용하여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Also, the posture controller may set a hopping target value for each step based on the wheel speed information, and check the second hopping intensity using the hopping target value.
또한, 상기 자세 제어기는 모드 제어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제1 호핑 강도에 매칭된 댐핑 모드 및 제2 호핑 강도에 매칭된 엔진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댐핑 모드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엔진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ture controller identifies at least one of a damping mode matched to the first hopping intensity and an engine control mode matched to a second hopping intensity through a mode control table, and uses the damping mode to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trol signals may be generated using the engine control mode.
또한,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는 상기 자세 제어기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서스펜션을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suspension controller may receive a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posture controller and control the suspension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자세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을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posture controller may control the engine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서스펜션 제어기가 차량의 휠 각각의 휠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가 상기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여부를 판단하여 호핑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속도 정보에 따른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가 상기 제1 호핑 강도를 자세 제어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자세 제어기가 차량의 휠 각각의 휠 속도에 대한 휠 속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자세 제어기가 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여부를 판단하여 호핑으로 판단되면 상기 휠 속도 정보에 따른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 제어기가 제1 호핑 강도 및 제2 호핑 강도에 따라 서스펜션 및 엔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include: confirming, by the suspension controller, acceleration information on the wheel acceleration of each wheel of the vehicle; determining, by the suspension controller, whether to hop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hopping, checking a first hopp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by the suspension controller, the first hopping intensity to the posture controller; checking, by the posture controller, wheel speed information for each wheel speed of the vehicle wheel; determining, by the posture controller, whether hopping is based on the wheel speed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hopping, checking a second hopp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wheel speed information; and generating, by the posture controller,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suspension and an engine according to the first hopping intensity and the second hopping intensity.
본 발명의 실시 예는 ECS와 ESC의 협조 제어를 통해 휠 홉을 판단하여 호핑을 제어하므로 휠 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원가 및 중량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가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el hop through cooperative control of ECS and ESC to control hopp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wheel hop phenomenon, increase the cost and weight of the vehicle, and improve vehicle acceleration performance. can do it
또한, 차량의 가속도 및 휠속을 통해 휠 홉의 강도를 판단하여 호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섀시 구동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휠 홉 판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opping by determining the strength of the wheel hop through the acceleration and the wheel speed of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chassis drive system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wheel hop determination.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s obtainable or predic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disclosed directly or implicitly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predi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호핑 제어 테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호핑 제어 테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제어 테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hopping control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hopping control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de control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ng principle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However, the drawings shown below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given below relate to one preferred embodiment among various embodiment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only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scrip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통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use appropriate modifications, integration, or separation of term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m in order to effectively describe the key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by no means limi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가속도 센서(110), 서스펜션 제어기(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이하, "ECS(120)"로 통칭함), 휠속 센서(130), 자세 제어기(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이하, "ESC(140)"로 통칭함), 서스펜션(150) 및 엔진(160)을 포함한다.1,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가속도 센서(110)는 차량의 휠 각각에 장착된다. 가속도 센서(110)는 차량의 휠 각각으로부터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를 검출한다. 가속도 센서(110)는 검출한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를 포함하는 가속도 정보를 생성한다. 가속도 센서(110)는 가속도 정보를 ECS(120)에 제공한다. The
이러한 가속도 센서(110)는 주기적으로 휠 가속도를 검출하거나, ECS(120)의 제어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휠 가속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The
ECS(120)는 ESC(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휠 홉을 방지하기 위하여 ESC(140)와 협조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ECS(120)는 가속도 센서(110)로부터 가속도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호핑 여부를 판단한다. ECS(120)는 호핑으로 판단되면 가속도 정보에 따른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한다. ECS(120)는 제1 호핑 강도를 ESC(140)에 제공한다. ECS(120)는 ECS(12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서스펜션(150)을 제어한다. The ECS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SC 140 and cooperatively controls the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ECS(12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것일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ECS 120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more processors operating according to a set program, and the set program may be programmed to perform each step of the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휠속 센서(130)는 차량의 휠 각각에 장착된다. 휠속 센서(130)는 차량의 휠 각각으로부터 제1 내지 제4 휠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제1 내지 제4 휠 속도를 포함하는 휠 속도 정보를 생성한다. 휠속 센서(130)는 휠 속도 정보를 ESC(140)에 제공한다. The
이러한 휠속 센서(130)는 주기적으로 휠 속도를 검출하거나, ESC(140)의 제어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휠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The
ESC(140)는 ECS(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ECS(120)와 협조 제어 하여 휠 홉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면, ESC(140)는 ECS(120)로부터 제1 호핑 강도를 제공받는다. ESC(140)는 휠속 센서(130)로부터 휠 속도 정보를 제공받고, 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여부를 판단한다. ESC(140)는 호핑으로 판단되면 휠 속도 정보에 따른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한다. ESC(140)는 제1 호핑 강도 및 제2 호핑 강도에 따라 서스펜션(150) 및 엔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 신호는 서스펜션(150)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 및 엔진(160)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SC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CS 120 and controls the ECS 120 in cooperation to prevent wheel hop. In other words, the ESC 140 is provided with the first hopping intensity from the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ESC(14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것일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서스펜션(150)은 차체와 휠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서스펜션(150)은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직접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서스펜션(150)은 액추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며, ECS(120)의 제어에 따라 댐핑량이 가감되어 휠 홉을 방지할 수 있다.The
엔진(160)은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엔진(160)은 기존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가솔린 엔진 또는 디젤 엔진 등의 공지된 각종 엔진(160)이 이용될 수 있다.The
엔진(160)은 ESC(140)의 제어에 따라 토크를 가감하여 휠 홉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한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서 통상적인 동작인 종래의 차량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실행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typical op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is per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vehic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ehicle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호핑 제어 테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호핑 제어 테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제어 테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2 and 3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hopping control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hopping control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de control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ECS(120)는 가속도 센서(110)가 검출한 가속도 정보를 확인한다(S210). 즉, 가속도 센서(110)는 휠 각각에 대한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를 검출한다. 이때, 가속도 센서(110)는 차고 방향에 대한 휠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10)는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를 포함하는 가속도 정보를 ECS(120)에 제공한다. ESC(140)는 가속도 센서(110)로부터 가속도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ECS(120)는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값을 생성한다(S215). 다시 말하면, ECS(120)는 가속도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 중 최대 가속도와 최소 가속도를 확인한다. ECS(120)는 최대 가속도와 최소 가속도를 이용하여 연산값을 생성한다. 이때, ECS(120)는 최대 가속도와 최소 가속도를 빼기 연산하여 연산값을 생성할 수 있다.The
ECS(120)는 연산값이 제1 기준값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220). 이때, 제1 기준값은 휠 가속도를 기반으로 호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제1 기준값은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예를 들어, 프로그램 및 확률 모델)을 통해 설정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값은 0.2g일 수 있다.The
ECS(120)는 연산값이 제1 기준값 보다 크면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제2 기준값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225). 구체적으로, ECS(120)는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가 지속된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을 확인한다. 즉, ECS(120)는 가속도 센서(110)가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를 검출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끝날 시점까지 시간을 카운터하여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If the calculated valu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그리고 ECS(120)는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제2 기준값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이때, 제2 기준값은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을 기반으로 호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값으로, 미리 설정된 값이다. 제2 기준값은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예를 들어, 프로그램 및 확률 모델)을 통해 설정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값은 500ms일 수 있다.Then, the
한편, ECS(120)는 연산값이 제1 기준값 보다 작거나,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제2 기준값 보다 작으면 호핑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종료한다.Meanwhile, when the calculated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or the duration of the acceleration state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ECS(120)는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제2 기준값 보다 크면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한다(S230). 다시 말하면, ECS(120)는 상태 지속 시간이 제2 기준값 보다 크면 호핑으로 판단하고, 가속도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 중 가장 변화가 큰 휠 가속도를 확인한다. ECS(120)는 가장 변화가 큰 휠 가속도를 기반으로 제1 호핑 제어 테이블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ECS(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호핑 제어 테이블(400)을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duration of the acceleration stat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ECS(120)는 가장 변화가 큰 휠 가속도를 기반으로 호핑 타켓값을 단계 별로 설정한다. 이때, 호핑 타켓값은 차량 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호핑 타켓값은 가속도 센서(110)의 센서값인 휠 가속도,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 및 보정 계수 등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ECS(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가속도를 따라 단계 별로 제1 호핑 타켓값(410), 제2 호핑 타켓값(420) 및 제3 호핑 타켓값(430)을 설정할 수 있다. The
그리고 ECS(120)는 호핑 타켓값을 기반으로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한다. And the
ECS(120)는 제1 호핑 강도를 ESC(140)에 제공한다(S235).The
ESC(140)는 휠속 센서(130)에서 검출한 휠 속도 정보를 확인한다(S240). 다시 말하면, 휠속 센서(130)는 차량의 휠 각각에 대한 제1 내지 제4 휠 속도를 검출하여 휠 속도 정보를 생성한다. 휠속 센서(130)는 휠 속도 정보를 ESC(140)에 제공한다. ESC(140)는 휠속 센서(130)로부터 휠 속도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한다.The
ESC(140)는 휠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평균 슬립을 생성한다(S245). 구체적으로, ESC(140)는 휠 속도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휠 속도를 이용하여 휠에서 발생하는 평균 슬립을 생성한다. 즉, ESC(140)는 제1 내지 제4 휠 속도 및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평균 슬립을 생성할 수 있다.The
ESC(140)는 평균 슬립이 목표 슬립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250). 이때, 목표 슬립은 휠의 슬립을 기반으로 휠 홉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목표 슬립은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예를 들어, 프로그램 및 확률 모델)을 통해 설정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The
ESC(140)는 평균 슬립이 목표 슬립 보다 크면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엔진 대기 시간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255). 다시 말하면, ESC(140)는 평균 슬립이 목표 슬립 보다 크면 제1 내지 제4 휠 속도가 지속된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을 확인한다. 즉, ESC(140)는 휠속 센서(130)가 제1 내지 제4 휠 속도를 검출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끝날 시점까지 시간을 카운터하여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If the average slip is greater than the target slip, the
그리고 ESC(140)는 엔진(160)을 제어하기 위해 엔진(160)이 대기하고 있는 엔진 대기 시간을 확인한다. ESC(140)는 호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엔진 대기 시간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And the
한편, ESC(140)는 평균 슬립이 목표 슬립 보다 작거나,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엔진 대기 시간 보다 작으면 호핑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휠 홉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제어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verage slip is less than the target slip or the speed state duration is less than the engine standby time, the
ESC(140)는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엔진 대기 시간 보다 크면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한다(S260). 구체적으로, ESC(140)는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엔진 대기 시간 보다 크면 호핑으로 판단하고, 휠 속도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휠 속도 중 가장 변화가 큰 휠 속도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4륜 중 휠 속도의 변화가 가장 큰 휠은 전륜일 수 있다. 좌측 전륜과 우측 전륜은 휠 속도 변화가 거의 동일할 수 있다.The
ESC(140)는 가장 변화가 큰 휠 속도를 기반으로 제2 호핑 제어 테이블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ESC(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호핑 제어 테이블(500)을 생성할 수 있다.The
ESC(140)는 제2 호핑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가장 변화가 큰 휠 속도를 기반으로 호핑 타켓값을 단계 별로 설정한다. The
이때, 호핑 타켓값은 차량 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호핑 타켓값은 차량 별로 상이해 질 수 있으며, 휠속 센서(130)의 센서값은 휠 속도, 속도 상태 지속 시간 및 보정 계수 등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ESC(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속도에 따라 단계 별로 제1 호핑 타켓값(510), 제2 호핑 타켓값(520), 제3 호핑 타켓값(530), 제4 호핑 타켓값(540) 및 제5 호핑 타켓값(550)을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opping target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vehicle. That is, the hopping target value may be different for each vehicle, and the sensor value of the
그리고 ESC(140)는 호핑 타켓값을 기반으로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한다. 이때, ESC(140)는 호핑 타켓값을 기울기를 기반으로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And the
ESC(140)는 제1 호핑 강도 및 제2 호핑 강도를 기반으로 댐핑 모드 및 엔진 제어 모드를 확인한다(S265). 다시 말하면, ESC(140)는 휠 가속도에 따른 호핑 강도 및 휠 속도에 따른 호핑 강도에 매칭된 댐핑 모드 및 엔진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제어 테이블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ESC(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제어 테이블(600)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모드 제어 테이블(600)에서 휠 가속도에 따른 호핑 강도는 A-0, A-1, A-2, A-3, A-4 및 A-5로 표현하였으며, 휠 속도에 따른 호핑 강도는 B-0, B-a, B-b, B-c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핑 모드는 Full soft, Mild soft, Hard sof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엔진 제어 모드는 Hold, Decrease, Hold & Decrease를 포함할 수 있다.The
ESC(140)는 모드 제어 테이블을 통해 제1 호핑 강도 및 제2 호핑 강도에 매칭된 댐핑 모드 및 엔진 제어 모드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1 호핑 강도가 A-3이고, 제2 호핑 강도가 B-b이면, ESC(140)는 도 6의 모드 제어 테이블을 통해 제1 호핑 강도에 따른 댐핑 모드인 Mild soft와 제2 호핑 강도에 따른 Hold & DecreaseⅡ를 확인할 수 있다.The
ESC(140)는 댐핑 모드 및 엔진 제어 모드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270). 즉, ESC(140)는 서스펜션(150)을 제어하기 위해 댐핑 모드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엔진(160)을 제어하기 위해 엔진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The
ESC(140)는 제1 제어 신호를 ECS(120)로 제공한다(S275).The
ECS(120)는 제1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댐핑량을 결정한다(S280). 다시 말하면, ECS(120)는 ESC(140)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댐핑 모드를 확인하며, 댐핑 모드에 따른 댐핑량을 결정한다. 즉, ECS(120)는 복수의 댐핑 모드 별로 미리 설정된 댐핑량을 기반으로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댐핑 모드의 댐핑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댐핑량은 서스펜션(150)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값을 나타낼 수 있다. The
ECS(120)는 댐핑값을 기반으로 서스펜션(150)을 제어한다(S285). 즉, ECS(120)는 휠 홉을 방지하기 위해 댐핑값을 기반으로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서스펜션(150)을 구동시킬 수 있다.The
ESC(140)는 제2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토크 감소율을 결정한다(S290). 다시 말하면, ESC(140)는 제2 제어 신호에 포함된 엔진 제어 모드를 확인하고, 엔진 제어 모드를 기반으로 토크 감소율을 결정한다. 즉, ESC(140)는 복수의 엔진 제어 모드 별로 미리 설정된 토크 감소율을 기반으로 제2 제어 신혼에 포함된 엔진 제어 모드에 대한 토크 감소율을 결정할 수 있다.The
ESC(140)는 토크 감소율을 기반으로 엔진(160)을 제어한다(S295). 즉 ESC(140)는 휠 홉을 방지하기 위해 토크 감소율을 기반으로 엔진(160)의 토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토크 감소율이 10%이면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된 토크가 100일 경우, ESC(140)는 엔진 토크가 90이 되도록 엔진(160)을 제어한다.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10: 가속도 센서
120: ECS
130: 휠 속도 센서
140: ESC
150: 서스펜션
160: 엔진110: acceleration sensor
120: ECS
130: wheel speed sensor
140: ESC
150: suspension
160: engine
Claims (17)
상기 차량의 휠 각각에 장착되어 휠 속도를 검출하는 휠속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Hopping) 여부를 판단하고, 호핑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속도 정보에 따른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서스펜션 제어기; 및
상기 휠속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여부를 판단하고, 호핑으로 판단되면 상기 휠 속도 정보에 따른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하며, 상기 제1 호핑 강도 및 상기 제2 호핑 강도에 따라 서스펜션 및 엔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자세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an acceleration sensor mounted on each wheel of the vehicle to detect wheel acceleration;
a wheel speed sensor mounted on each wheel of the vehicle to detect a wheel speed;
a suspension controller that determines whether hopp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checks a first hopp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hopping is perform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hopping is based on the wheel spe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wheel speed sensor,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hopping, a second hopping intensity is checked according to the wheel speed information, and the suspension is based on the first hopping intensity and the second hopping intensity. and an attitude controller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engines.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는
상기 가속도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 중 최대 가속도 및 최소 가속도를 이용하여 연산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가 지속된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을 확인하며, 상기 연산값이 제1 기준값 보다 크고, 상기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제2 기준값 보다 크면 호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spension controller
A calculated value is generated by using the maximum acceleration and the minimum acceleration among the first to fourth wheel accelerations included i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duration of the acceleration state during which the first to fourth wheel accelerations are maintained, and the calculated value If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duration of the acceleration stat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hopping is determined.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는
상기 최대 가속도와 최소 가속도를 빼기 연산하여 연산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spension controller
and generating a calculated value by subtracting the maximum acceleration from the minimum acceleration.
상기 자세 제어기는
상기 휠 속도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휠 속도를 이용하여 평균 슬립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휠 속도가 지속된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을 확인하며, 상기 평균 슬립이 목표 슬립 보다 크고, 상기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엔진 대기 시간 보다 크면 호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posture controller
An average slip is generated using the first to fourth wheel speeds included in the wheel speed information, a duration of the speed state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wheel speeds are maintained is checked, and the average slip is greater than the target slip , When the duration of the speed state is greater than the engine standby time, it is determined as hopping.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는
상기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타켓값을 단계 별로 설정하고, 호핑 타켓값을 이용하여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하며, 상기 제1 호핑 강도를 상기 자세 제어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uspension controller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hopping target value is set for each step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a first hopping intensity is confirmed using the hopping target value, and the first hopping intensity is provided to the posture controller.
상기 자세 제어기는
상기 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타켓값을 단계 별로 설정하고, 상기 호핑 타켓값을 이용하여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posture controller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hopping target value is set for each step based on the wheel speed information, and a second hopping intensity is confirmed using the hopping target value.
상기 자세 제어기는
모드 제어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제1 호핑 강도에 매칭된 댐핑 모드 및 제2 호핑 강도에 매칭된 엔진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댐핑 모드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엔진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posture controller
Check at least one of a damping mode matched to the first hopping intensity and an engine control mode matched to a second hopping intensity through a mode control table, and use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engine control mode using the damping mode to generate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trol signals.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는
상기 자세 제어기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서스펜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spension controller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control signal is provided from the posture controller, and the suspension is controlled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상기 자세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엔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sture controller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ine is controlled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가 상기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여부를 판단하여 호핑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속도 정보에 따른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가 상기 제1 호핑 강도를 자세 제어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자세 제어기가 차량의 휠 각각의 휠 속도에 대한 휠 속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자세 제어기가 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여부를 판단하여 호핑으로 판단되면 상기 휠 속도 정보에 따른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 제어기가 제1 호핑 강도 및 제2 호핑 강도에 따라 서스펜션 및 엔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checking, by the suspension controller, acceleration information for each wheel acceleration of the vehicle;
determining, by the suspension controller, whether hopping is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hopping is performed, confirming a first hopp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by the suspension controller, the first hopping intensity to the posture controller;
confirming, by the posture controller, wheel speed information for each wheel speed of each wheel of the vehicle;
determining, by the posture controller, whether hopping is based on the wheel speed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hopping is performed, checking a second hopp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wheel speed information; and
generating, by the posture controller,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suspension and an engine according to the first hopping intensity and the second hopping intensity;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상기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도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휠 가속도 중 최대 가속도와 최소 가속도를 이용하여 연산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산값이 제1 기준값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산값이 제1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내지 제4 가속도가 지속된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제2 기준값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제2 기준값 보다 크면 호핑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confirming the first hopping intensity is
generating a calculation value using a maximum acceleration and a minimum acceleration among the first to fourth wheel accelerations included i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value is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if the calculated value is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checking a duration of an acceleration state during which the first to fourth accelerations are continued;
determining whether the duration of the acceleration state is greater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as hopping if the duration of the acceleration state is greater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상기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타켓값을 단계 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핑 타켓값을 이용하여 제1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confirming the first hopping intensity is
setting a hopping target value for each step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checking a first hopping intensity using the hopping target value;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상기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휠 속도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휠 속도를 이용하여 평균 슬립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평균 슬립이 목표 슬립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평균 슬립이 목표 슬립 보다 크면 상기 제1 내지 제4 휠 속도가 지속된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속도 상태 지속 시간이 엔진 대기 시간 보다 크면 호핑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confirming the second hopping intensity is
generating an average slip using first to fourth wheel speeds included in the wheel speed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average slip is greater than a target slip;
if the average slip is greater than the target slip, checking a duration of a speed state during which the first to fourth wheel speeds are maintained; and
determining that the speed state duration is greater than the engine standby time as hopping;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상기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호핑 타켓값을 단계 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핑 타켓값을 이용하여 제2 호핑 강도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confirming the second hopping intensity is
setting a hopping target value for each step based on the wheel speed information; and
checking a second hopping intensity using the hopping target value;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모드 제어 테이블을 통해 제1 호핑 강도에 매칭된 댐핑 모드 및 제2 호핑 강도에 매칭된 엔진 제어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댐핑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서스펜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엔진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checking the damping mode matched to the first hopping intensity and the engine control mode matched to the second hopping intensity through the mode control table; and
generating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uspension using the damping mode and generating a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ngine using the engine control mode;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가 상기 자세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댐핑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스펜션 제어기가 상기 댐핑량을 기반으로 상기 서스펜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fte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by the suspension controller, the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posture controller;
determining, by the suspension controller, a damping amount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controlling the suspension based on the damping amount by the suspension controller;
Vehicl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자세 제어기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토크 감소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 제어기가 상기 토크 감소율을 기반으로 상기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Afte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determining, by the posture controller, a torque reduction rate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by the attitude controller, the engine based on the torque reduction rate;
Vehicl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6550A KR102322259B1 (en) | 2017-07-07 | 2017-07-07 |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6550A KR102322259B1 (en) | 2017-07-07 | 2017-07-07 |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5619A KR20190005619A (en) | 2019-01-16 |
KR102322259B1 true KR102322259B1 (en) | 2021-11-04 |
Family
ID=6528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6550A Active KR102322259B1 (en) | 2017-07-07 | 2017-07-07 |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2259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50698B1 (en) | 1996-06-21 | 2000-04-01 | 하나와 요시카즈 | Vehicle suspension control device |
JP2003205721A (en) | 2001-12-28 | 2003-07-22 | Mando Corp | Damper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finding car body vertical spee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9413B1 (en) * | 1997-06-04 | 1999-11-01 | 오상수 | Roll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 vehicle |
KR101282004B1 (en) * | 2011-11-02 | 2013-07-05 | 주식회사 만도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
-
2017
- 2017-07-07 KR KR1020170086550A patent/KR10232225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50698B1 (en) | 1996-06-21 | 2000-04-01 | 하나와 요시카즈 | Vehicle suspension control device |
JP2003205721A (en) | 2001-12-28 | 2003-07-22 | Mando Corp | Damper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finding car body vertical spee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5619A (en) | 2019-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31560B2 (en) | Deceleration factor estimation device and driving support device | |
US8725379B2 (en) | Vehicle body vibration damping control device | |
US8620524B2 (en) | Vehicle damping control device | |
JP2011246080A (en) | Damping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 |
JP6622543B2 (en) | Wheelie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and wheel lift amount determination method | |
JP2013015148A (en) | Vehicle control method | |
JP2018070047A (en) | Power distribution device | |
JP5790795B2 (en) | Deceleration factor estimation device | |
JP5729489B2 (en) | Deceleration factor estimation device | |
US20170028983A1 (en) | Electric vehicle | |
KR102322259B1 (en) |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WO2015019399A1 (en) | Vehicle vibration suppression control device | |
JPWO2013038486A1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US12208657B2 (en) | Controller, vehicle, and control method | |
US7328097B2 (en) | Vehicle behavior estimating device and vehicle behavior controlling device | |
JP2022020492A (en) | Engine control method and engine control apparatus | |
KR102713644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in wheel traction of in wheel hybird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JP2021049882A (en) | Wheel speed estimation device and vehicle | |
CN117881565B (en) |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and driving force control device | |
JP2014201125A (en) | Vehicular braking control device | |
CN112977071B (en) |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new energy vehicle and new energy vehicle | |
JP4577149B2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US20240286599A1 (en) | Vehicle behavior control method | |
CN108297666A (en) | The dynamic adjustable engine installation part of motor vehicles | |
JP2009073239A (en) | Control device of suspen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7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