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698B1 - Vehicle suspension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Vehicle suspension contro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50698B1 KR100250698B1 KR1019970025726A KR19970025726A KR100250698B1 KR 100250698 B1 KR100250698 B1 KR 100250698B1 KR 1019970025726 A KR1019970025726 A KR 1019970025726A KR 19970025726 A KR19970025726 A KR 19970025726A KR 100250698 B1 KR100250698 B1 KR 1002506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mping force
- shock absorber
- power
- power hop
- ho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8694 Humulus lupulu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6—Body oscillation speed; Body vibration frequenc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7—Inhibi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있어서 파워홉의 발생을 방지한다.In the vehicle suspension control device, generation of power hops is prevented.
쇼크업소버(10)가 부여하는 감쇠력을 조정하는 감쇠력 조정기구(20)를 구비하고, 차체측에 생기는 스프링상 상하 가속도 Gz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60)를 구비함과 동시에, 검출되는 가속도 Gz에 따라서 차체의 진동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 영역으로 되는 파워홉 발생시를 판정하여서 쇼크업소버(10)의 감쇠력을 높이는 구성으로 한다.A damping force adjusting mechanism 20 for adjusting the damping force applied by the shock absorber 10 is provided, and an acceleration sensor 60 for detecting spring-like vertical acceleration Gz generated on the vehicle body side is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the acceleration Gz detected is provided. Therefore,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raises the damping force of the shock absorber 10 by determining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power hop in which the vibration frequency fo of a vehicle body becomes a predetermined low frequency area | reg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a suspensio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종래부터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감쇠력을 조정가능한 쇼크업소버를 구비하고, 차량의 조종안정성이나 승차감을 향상시킨 서스펜션이 알려져 있다(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 7-186662호 공보 등, 참조)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suspensions are known which have a shock absorber that can adjust the damping force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a vehicle, and improve the steering stability and ride comfort of the vehicle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186662, etc.).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저차속 영역에서는 조종 안정성 보다 승차감을 우선해서 확보하기 위해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낮게 하는 제어가 행해지고 있었기 때문에 급발진시 등에 구동륜과 노면 사이에 스틱 슬립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 스틱 슬립 현상에 의한 구동력의 변동이 기진력으로 되어 스프링하의 진동이 발생하고, 말하자면 파워홉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vehicle, in the low vehicle speed region, the control of lowering the damping force of the shock absorber is performed in order to secure the ride comfort over the steering stability, so that the stick slip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driving wheel and the road surface during sudden start and the like. Easy to occur The fluctuation of the driving force due to this stick slip phenomenon becomes an oscillating force, and vibration under spring occurs, that is, a power hop phenomenon may occur.
또한, 파워홉(powerhop) 현상은 급발진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traction control system)을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노면 상황등에 맞추어서 구동륜이 공전하지 않도록 엔진의 출력제어 또는 구동륜의 브레이크 제어가 행해지는 운전조건에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the power-hop phenomenon is not limited at the time of rapid start, and in a vehicle provided with a traction control system, the output control of the engine or the brake control of the driving wheel is prevented so that the driving wheel does not idle in accordance with road conditions. There is a possibility of occurrence even in the operating conditions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있어서, 파워홉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generation of power hops in a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는 차체와 구동륜 사이에 연결되는 쇼크업소버와,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조정가능하게 하는 감쇠력 조정기구와, 구동력의 변동에 따른 스프링하 진동인 파워홉의 발생을 검지하는 파워홉 검지수단과, 파워홉의 발생이 검지된 경우에 감쇠력 조정기구를 거쳐서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높이는 파워홉 억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워홉 검지 수단은 쇼크업소버의 스트로크량 S을 검지하는 스트로크 센서를 구비하며, 검출되는 스트로크량 S에 의거해서 스프링하의 진동 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으로 되는 운전조건을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The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는 차체와 구동륜 사이에 연결되는 쇼크업소버와,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조정가능하게 하는 감쇠력 조정기구와, 구동력의 변동에 따른 스프링하 진동인 파워홉의 발생을 검지하는 파워홉 검지수단과, 파워홉의 발생이 검지된 경우에 감쇠력 조정기구를 거쳐서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높이는 파워홉 억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워홉 검지수단은 차속 V이 소정값 Vo 이하의 차속영역에서 스프링하의 진동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으로 되는 운전조건을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The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는 차체와 구동륜 사이에 연결되는 쇼크업소버와,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조정가능하게 하는 감쇠력 조정기구와, 구동력의 변동에 따른 스프링하 진동인 파워홉의 발생을 검지하는 파워홉 검지수단과, 파워홉의 발생이 검지된 경우에 감쇠력 조정기구를 거쳐서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높이는 파워홉 억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워홉 검지수단은 차속 V이 소정값 Vo보다 높은 차속 영역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의 가속도 Gy가 소정값 Gyo 이상의 진동발생시로 스프링하의 진동 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 영역으로 되는 운전조건을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The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작용Action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있어서, 검출되는 스트로크량 S에 의거해서 스프링하의 진동 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으로 되는 운전조건을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해서,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높이는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급발진시 등에서 파워홉에 의해 차체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고 승차감을 개선할 수가 있다.In the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있어서, 자속 V이 소정값 Vo이하의 차속영역에 있어서, 차체의 진동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으로 되는 운전조건을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하는 구성에 의해, 정돈되지 않은 도로를 주행시 등에 있어서 진동 발생시를 파워홉시로 잘못 판정해서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높이는 일이 없이 승차감을 유지할 수가 있다.The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있어서, 차속 V이 소정값 Vo보다 높은 차속영역에 있어서 차체의 전후방향의 가속도 Gy가 소정값 Gyo이상의 진동발생시로 스프링하의 진동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으로 되는 운전조건을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하는 구성에 의해, 차속이 Vo 이상이라도 급가속 등에 의해 발생한 파워홉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The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시스템도.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동일하게 제어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Fig. 2 is a flowchart showing control content in the same way.
도3은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시스템도.3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쇼크업소버 20 : 감쇠력 조정기구10: shock absorber 20: damping force adjustment mechanism
30 : 구동륜 40 : 상하방향 가속도센서30: driving wheel 40: vertical acceleration sensor
45 : 전후방향 가속도센서 50 : 콘트롤 유닛45: front and rear acceleration sensor 50: control unit
60 : 차속 센서 70 : 스트로크 센서60: vehicle speed sensor 70: stroke sensor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해서 설명을 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Nex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도1에 있어서 도면부호 30은 차량에 설치된 구동륜이고 도시하지 아니한 엔진에서 회전력이 전달된다.In FIG. 1,
도면부호 10은 도시하지 아니한 차체와 구동륜(30) 사이에 연결되는 쇼크업소버이고, 구동륜(30)에서 입력되는 진동을 감쇄한다.
도면부호 20은 쇼크업소버(10)에 구비된 감쇠력 조정기구이고 쇼크업소버(10)의 감쇠력을 조정한다.
도면부호 40은 차체에 설치된 상하방향 가속도 센서이고, 차체에 생기는 상하가속도 Gz에 의거한 신호를 출력한다. 도면부호 45는 차체에 설치되는 전후방향 가속도센서이고 차체에 생기는 전후방향의 가속도 Gy에 의한 신호를 출력한다.
도면부호 60은 차속센서이고 차속 V에 의한 신호를 출력한다.
도면부호 50은 콘트롤 유닛이고 상하방향 가속도센서(40)와 전후 방향 가속도센서(45) 및 차속센서(60)등의 검출 신호를 입력하고 운전조건에 따라서 쇼크업소버(10)의 감쇠력을 제어한다.
콘트롤 유닛(50)은 차속 V이 소정값 Vo(예를들면, 30km/h)이하의 차속영역이든지 혹은 차속 V이 소정값 Vo보다 높은 차속영역이라도 차체의 전후방향 가속도 Gy가 소정값 Gyo 이상의 전동 발생시인 운전조건이 성립하는가 어떤가를 판정한다. 이 운전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상하 방향 가속도 Gz에 의거해서 차체의 진동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예를들면, 10Hz≤fo<18Hz)으로 되는 운전상태를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한다.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된 경우에 감쇠력을 높이는 제어를 한다.The
도2의 플로우챠트는 파워홉 발생시에 감쇠력을 제어하는 루틴을 도시하고 콘트롤 유닛(50)에 있어서 일정주기마다 실행된다.The flowchart in Fig. 2 shows a routine for controlling the damping force at the time of power hop generation and is executed in the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스텝1에 있어서 차속 V이 소정값 Vo이하의 차속 영역인가 어떤가를 판정한다.In this regard, first, in
차속 V이 소정값 Vo보다 높은 차속영역으로 판정이 된 경우 스텝2로 진행해서 차체의 전후방향 가속도 Gy가 소정값 Gyo 이상인가 어떤가를 판정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speed V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Vo, the flow advances to
차속 V이 소정값 Vo 이하의 차속영역인가 혹은 차속 V이 소정값 Vo 보다 높은 차속영역이라도 차체의 전후방향 가속도 Gy가 소정값 Gyo 이상의 진동 발생시인 경우에, 스텝3으로 진행하여 상하방향 가속도 Gz에 의거해서 차체의 진동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으로 되는 파워홉 발생시인가 어떤가를 판정한다.Even when the vehicle speed V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Vo or the vehicle speed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Vo, when the front and rear acceleration Gy of the vehicle body generates a vibration high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Gyo, the process proceeds to
이렇게 해서 파워 홉 발생시로 판정된 경우에, 스텝4로 진행해서 쇼크업소버(10)의 감쇠력을 높이는 제어를 한다.In this wa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hop has occurred, control proceeds to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다음에 작용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It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and a following action is demonstrated.
본 발명은 급발진 혹은 급가속에 따른 구동력 변동에 기인하는 파워홉에 대처해서 차체의 진동 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으로 되는 파워홉 발생시를 판정해서 쇼크업소버(10)의 감쇠력을 높이는 제어를 하기 때문에 차체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개선할 수가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deals with power hops caused by fluctuations in driving force due to rapid oscillation or rapid acceleration, it is judged when a power hop occurs in which the vibration frequency fo of the vehicle body becomes a predetermined low frequency region and controls to increase the damping force of the shock absorber 10. The riding comfort can be improved by suppressing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vehicle body.
차속 V이 소정값 Vo 이하의 차속영역 인가 혹은 차속 V이 소정값 Vo보다 높은 차속영역이라도 차체의 전후방향 가속도 Gy가 소정값 Gyo이상의 진동발생시인 경우에, 상하방향 가속도 Gz에 의거해서 차체의 진동 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 영역으로 되는 파워홉 발생시인가 어떤가를 판정하는 구성에 의해 정비되지 않은 도로주행시등에 있어서 진동 발생시를 파워홉시로 잘못 판정하여 쇼크업소버(10)의 감쇠력을 높이는 일이 없이 승차감을 유지할 수가 있다.Vibration of the vehicle body based on the up-down acceleration Gz when the front and rear acceleration Gy of the vehicle body generates vibration above the predetermined value Gyo even when the vehicle speed V is applied below the predetermined value Vo or when the vehicle speed V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Vo. Ride comfort without increasing the damping force of the shock absorber 10 by incorrectly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vibration as the power hop during road driving and the like that is not maintained by the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requency fo is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power hop to be a predetermined low frequency region. Can be maintained.
다음에 도 3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1과의 대응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인다.Nex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rresponding part with FIG.
쇼크업소버(10)의 스트로크량 S을 검지하는 스트로크 센서(70)를 구비한다. 콘트롤 유닛(50)은 스트로크센서(70)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입력해서 차체에 생기는 상하가속도 Gz를 산출한다.The
이 경우도 콘트롤 유닛(50)은 차속 V이 소정값 Vo(예를들면, 30km/h)이하의 차속영역인가 혹은 차속 V이 소정값 Vo 보다 높은 차속영역 이라도 차체의 전후방향 가속도 Gy가 소정값 Gyo 이상의 진동발생시인 운전 조건이 성립하는가 어떤가를 판정한다. 이 운전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상하방향 가속도 Gz에 의거해서 차체의 진동 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예를들면, 10Hz≤fo<18Hz)으로 되는 운전 상태를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한다.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된 경우에 감쇠력을 높이는 제어를 한다.Also 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한 구성은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을 구비하는 차량에 적용해도 좋다. 파워홉 현상은 급발진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을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노면 상황 등에 맞추어서 구동륜이 공전하지 않도록 엔진의 출력 제어 또는 구동륜의 브레이크 제어가 행해지는 운전 조건으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의 작동에 따른 구동력 변동에 기인하는 파워홉에 대처해서 차체의 진동 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으로 되는 파워홉 발생시를 판정해서 쇼크업소버(10)의 감쇠력을 높이는 제어를 하므로서 차체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개선할 수가 있다.The above configuration may also be applied to a vehicle provided with a traction control system. The power hop phenomenon is not limited at the time of rapid start, but in a vehicle provided with a traction control syste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utput condition of the engine or the brake control of the driving wheel is performed so that the driving wheel does not idle in accordance with the road surface situation or the like. In response to power hops caused by fluctuations in driving forc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traction control system, the power hob generated by the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의하면, 검출되는 스트로크량 S에 의거해서 스프링하의 진동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으로 되는 운전조건을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해서,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높이는 제어를 하기 때문에 급발진시 등에 파워홉에 의해 차체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개선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의하면, 차속 V이 소정값 Vo 이하의 차속영역으로 되면 차체의 진동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 영역으로 되는 운전조건을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하는 구성에 의해, 정비되지 않은 도로 주행시 등에 있어서 진동 발생 등을 파워홉시로 잘못 판정해서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높이는 일이 없이 승차감을 유지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의하면, 차속 V이 소정값 Vo보다 높은 차속영역에 있어서 차체의 전후방향의 가속도 Gy가 소정값 Gyo이상의 진동 발생시로 스프링하의 진동주파수 fo가 소정의 저주파수영역으로 되는 운전조건을 파워홉 발생시로 판정하는 구성에 의해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서 차속이 Vo 이상이라도 급가속 등에 의해 발생한 파워홉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s (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161953A JPH106731A (en) | 1996-06-21 | 1996-06-21 |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
JP96-161953 | 1996-06-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1027A KR980001027A (en) | 1998-03-30 |
KR100250698B1 true KR100250698B1 (en) | 2000-04-01 |
Family
ID=1574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257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0698B1 (en) | 1996-06-21 | 1997-06-19 | Vehicle suspension control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106731A (en) |
KR (1) | KR10025069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5619A (en) * | 2017-07-07 | 2019-01-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01853B1 (en) * | 2000-11-13 | 2002-06-11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Power-hop responsive engine torque control method |
GB2479431B (en) * | 2011-03-01 | 2012-08-08 | Protean Electric Ltd | A suspension control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60411A (en) * | 1987-09-01 | 1989-03-07 | Nippon Denso Co | Shock absorber control device |
-
1996
- 1996-06-21 JP JP8161953A patent/JPH106731A/en active Pending
-
1997
- 1997-06-19 KR KR1019970025726A patent/KR10025069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60411A (en) * | 1987-09-01 | 1989-03-07 | Nippon Denso Co | Shock absorber control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5619A (en) * | 2017-07-07 | 2019-01-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KR102322259B1 (en) | 2017-07-07 | 2021-11-04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1027A (en) | 1998-03-30 |
JPH106731A (en) | 1998-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331018A (en) | Control device for semi-active running gear mechanism | |
KR100324348B1 (en) | Suspension control system | |
KR100250698B1 (en) | Vehicle suspension control device | |
EP0334412A1 (en) | Device for controlling the dynamic stresses transmitted by the rolling surface to the body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rail and tram vehicle | |
US6868946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mper current for an electrically adjustable damper | |
JP4779680B2 (en) | Vehicle in which power steering device is controlled based on vibration of steering wheel | |
JPH1194018A (en) | Dynamic damper for transportation device | |
KR100229413B1 (en) | Roll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 vehicle | |
KR19990059408A (en) | Tire wear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 |
KR19990057517A (en) | Vehicle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 |
US11760365B2 (en) | Active chassis control for a motor vehicle | |
KR102474523B1 (en) | Vibration control device of vehicle differential gear | |
KR100241375B1 (en) | Vehicle tilt correction device | |
KR100241374B1 (en) | Vehicle weight compensator | |
KR100394142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ride control of semi-active suspension system | |
WO2024127990A1 (en) | Sensor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 |
KR19980041622A (en) | Suspension system using electromagnet | |
KR20070060852A (en) | Suspens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Vehicle | |
KR100397264B1 (en) | Electronic suspension apparatus | |
KR19990026195U (en) | Suspension of vehicle | |
KR100262569B1 (en) | Electronically controlled suspension method for vehicles using ABS | |
KR20030087304A (en) | a method for rolling control in vehicle | |
JPH0680006A (en) | Suspension control device | |
KR100622477B1 (en) | How to stabilize your car's running | |
JPH05330326A (en) | Suspension contro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6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