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20905B1 -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905B1
KR102320905B1 KR1020210013910A KR20210013910A KR102320905B1 KR 102320905 B1 KR102320905 B1 KR 102320905B1 KR 1020210013910 A KR1020210013910 A KR 1020210013910A KR 20210013910 A KR20210013910 A KR 20210013910A KR 102320905 B1 KR102320905 B1 KR 102320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sealing cap
cartridge
elastic sealing
plun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김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환 filed Critical 김지환
Priority to KR102021001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9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8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combined with anaesthetis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48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33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 A61M2005/2437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by cla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61M2005/3104Caps for syringes without nee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가 개시된다.
일례에 따르면,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는 양 끝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주사액이 저장되는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한쪽 끝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쪽 끝을 밀봉시키는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 및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다른쪽 끝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른쪽 끝을 밀봉시키는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INJECTION CATRIDGE CAPABLE OF EASILY DETACHING FROM SYRINGE HOOK}
본 발명은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아스피레이션 시린지(aspiration syringe)(이하 단순히 "시린지"라고 표현한다)는 흔히 사용되는 주사기이다. 시린지에는 일반적으로 일회용 주사액 카트리지 및 일회용 주사바늘을 꽂아서 사용하게 되어 있다.
시린지의 실린더 말단에는 갈고리 형상의 후크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후크는 시린지에 장착된 주사액 카트리지를 밀봉하는 탄성 밀봉 캡(실리콘 소재의 밀봉 캡이 일반적이다)에 파고 들어 고정된다. 혈관에 주사하여야 하는 주사액 카트리지의 경우, 시린지의 실린더를 뒤로 미세하게 당겼을 때 후크에 고정되어 후크와 함께 딸려가는 탄성 밀봉 캡으로써 형성되는 음압으로 혈액이 딸려 올라오도록 함으로써, 피시술자의 혈관에 주사바늘이 정상적으로 꽂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피시술자에게 시린지를 이용하여 주사액 카트리지 내의 주사액을 주사하면, 후크가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성 밀봉 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시린지의 실린더를 주사 전의 위치로 되돌리고 외력을 가하여야만 후크와 밀봉 캡을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주사바늘은 대부분 피시술자에게서 빠져 나오게 된다.
그런데, 주사액의 종류에 따라서는 시린지의 실린더를 뒤로 미세하기 당기는 과정이 불필요한 주사액도 있다. 혈관이 아닌 부위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경우가 그러하다.
예컨대 치아 신경치료를 행하는 경우, 동일한 피시술자에게 마취제 카트리지를 주사함과 함께 소독약 카트리지를 시린지를 이용하여 주사하게 된다. 이처럼 실질적으로 시차 없이 2 이상의 주사액 카트리지를 동일한 피시술자에게 주사하는 경우에도, 시술자는 주사액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하여 피시술자에게서 주사바늘을 뽑고, 사용 후 카트리지의 탄성 밀봉 캡을 후크로부터 분리한 후, 다시 새로운 주사바늘과 새로운 주사액 카트리지를 시린지에 장착하여 피시술자에게 주사를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피시술자는 주사액 카트리지의 개수에 상당하는 횟수의 주사를 맞아야 하는 고통이 따른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1-72670(공개일:2011.4.14)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9-183772(공개일:2009.8.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피시술자에게 2 이상의 주사액 카트리지를 주사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주사바늘의 삽입을 1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는, 양 끝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주사액이 저장되는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한쪽 끝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쪽 끝을 밀봉시키는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 및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다른쪽 끝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른쪽 끝을 밀봉시키는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이 상기 카트리지 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을 감싸는 밀봉 캡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에 상기 주사액 카트리지가 수납되는 시린지의 후크가 삽입고정되지 않도록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는, 주사바늘측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도록 상기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는, 원뿔 형상, 직사각뿔 형상 및 정사각뿔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는, 주사바늘측에 가까워지더라도 실질적으로 같은 너비를 유지하도록 상기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는, 원기둥 형상, 직사각기둥 형상 및 정사각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몸체는, 상기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의 요철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내부로 돌출된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 고정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후크가 형성된 기존의 아스피레이션 시린지를 이용하면서도 주사액 카트리지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주사액 카트리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피시술자의 피부에 주사바늘이 삽입된 상태에서 주사액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주사바늘의 사용 개수가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시린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린지에 주사액 카트리지와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주사액 카트리지가 시린지와 결합하여 주사액을 배출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를 변형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일반적인 시린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시린지(1)는 주사액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실린더(10), 실린더를 지지하는 몸체(12) 및 주사액 카트리지 내의 주사액을 밀어내는 플런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린더(10)는 대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주사액 카트리지를 수납하기 위하여, 주사액 카트리지를 착탈할 수 있을 정도의 개구부(10B) 및 주사액 카트리지를 밀어내어 탈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된 개구부(10A)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린더(10)의 말단에는 주사바늘을 결합할 수 있는 주사바늘 결합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주사액 카트리지 내의 주사액이 주사바늘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몸체(12)는 손가락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12)를 더 포함한다. 몸체(12)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플런저(14)가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런저(14)의 한 쪽 끝부분에는 고리부(142)가 형성되어 있어, 엄지손가락 등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고리부(142)에 걸쳐서 플런저(14)를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런저(14)의 다른 쪽 끝부분에는 후크(140)가 형성됨으로써, 이하에서 서술하는 주사액 카트리지의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에 후크(140)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플런저(14)를 전후로 움직일 때에 주사액 카트리지의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도 주사액 카트리지 내에서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시린지에 주사액 카트리지와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주사액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 몸체(20),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22),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도면에 나타내지 않음) 및 밀봉 캡 커버(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주사바늘(3)은 시린지(1)의 주사바늘 결합부(100)에 결합되는 결합부(30) 및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바늘(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액 카트리지(2)는 시린지(1)의 실린더(10) 내에 수납되며, 주사바늘(3)은 결합부(30)가 시린지(1)의 주사바늘 결합부(100)와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3은 도 2의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도 2에서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던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26)을 표시하였다.
도 4는 도 3의 주사액 카트리지가 시린지와 결합하여 주사액을 배출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시린지(1)의 실린더(10)에 주사액 카트리지(2)가 장착되면, 사용자가 플런저(14)를 주사바늘측인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시킴에 따라 후크(140)가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22)에 꽂히면서 고정이 된다.
주사바늘측 밀봉 캡(26)은 시린지(1)에 주사액 카트리지(2)와 주사바늘(3)이 결합되었을 때 주사바늘(3)측으로 주사액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뚫리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몸체(40),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42),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46) 및 밀봉 캡 커버(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42)에는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420)가 주사바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420)는 플런저(14)가 주사바늘측으로 전진하더라도 후크(140)가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42)에 꽂혀서 고정되는 것이 곤란하게끔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플런저(14)를 주사바늘의 반대편으로 빼더라도 플런저측 탄성 밀봉캡(42)이 후크(140)와 함께 딸려나오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예컨대 시술자가 2 이상의 주사액 카트리지(4)를 피시술자에게 주사하는 경우에, 피시술자의 피부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최초의 주사액 카트리지(4)를 주입한 후, 주사바늘이 여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시린지(1)로부터 주사액 카트리지(4)를 탈거하고, 새로운 주사액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주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42)의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420)는, 도 6(a)에서와 같이 원뿔 형상(422)으로 형성하거나, 도 6(b)에서와 같이 직사각뿔 형상(424)으로 형성하거나, 정사각뿔 형상(426)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도, 후크(140)가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42)에 쉽사리 고정되지 않게끔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밖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5)는, 카트리지 몸체(50),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52),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56) 및 밀봉 캡 커버(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52)에는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520)가 주사바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실시예가 도 5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도 7의 실시예에서의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520)가 도 5의 실시예에서의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420)보다 둔각으로, 즉 깊이가 얕게끔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도 7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520)는 플런저(14)가 주사바늘측으로 전진하더라도 후크(140)가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52)에 꽂혀서 고정되는 것이 곤란하게끔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플런저(14)를 주사바늘의 반대편으로 빼더라도 플런저측 탄성 밀봉캡(52)이 후크(140)와 함께 딸려나오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예컨대 시술자가 2 이상의 주사액 카트리지(5)를 피시술자에게 주사하는 경우에, 피시술자의 피부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최초의 주사액 카트리지(5)를 주입한 후, 주사바늘이 여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시린지(1)로부터 주사액 카트리지(5)를 탈거하고, 새로운 주사액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주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도 도 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520)를 원뿔, 직사각뿔 또는 정사각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6)는, 카트리지 몸체(60),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62),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66) 및 밀봉 캡 커버(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62)에는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620)가 주사바늘측으로 접근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같은 너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620)는 플런저(14)가 주사바늘측으로 전진하더라도 후크(140)가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62)에 꽂혀서 고정되는 것이 곤란하게끔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플런저(14)를 주사바늘의 반대편으로 빼더라도 플런저측 탄성 밀봉캡(62)이 후크(140)와 함께 딸려나오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예컨대 시술자가 2 이상의 주사액 카트리지(6)를 피시술자에게 주사하는 경우에, 피시술자의 피부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최초의 주사액 카트리지(6)를 주입한 후, 주사바늘이 여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시린지(1)로부터 주사액 카트리지(6)를 탈거하고, 새로운 주사액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주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도 도 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620)를 원기둥, 직사각기둥 또는 정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 몸체(70),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72),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76) 및 밀봉 캡 커버(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카트리지 몸체(70)에는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72)의 요철부에 대응되도록 카트리지 몸체(70)의 내부로 돌출된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 고정부(700)가 형성되어 있다.
도 9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 고정부(700)는 플런저(14)가 주사바늘측으로 전진하여 주사액을 주입하였을 때,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72)이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그 결과, 후크(140)가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42)에 꽂혀 있었더라도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플런저(14)를 주사바늘의 반대편으로 빼더라도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72)은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 고정부(700)에 끼어 있음으로써 후크(140)와 함께 딸려나오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예컨대 시술자가 2 이상의 주사액 카트리지를 피시술자에게 주사하는 경우에, 피시술자의 피부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최초의 주사액 카트리지(7)를 주입한 후, 주사바늘이 여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시린지(1)로부터 주사액 카트리지(7)를 탈거하고, 새로운 주사액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주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를 변형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에서는 도 5의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42)과 도 9의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 고정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사액 카트리지(8a)를 나타내었다.
도 10(b)에서는 도 7의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52)과 도 9의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 고정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사액 카트리지(8b)를 나타내었다.
도 10(c)에서는 도 8의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62)과 도 9의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 고정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사액 카트리지(8c)를 나타내었다.
도 10에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모두 앞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언급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가 시린지(1)의 후크(140)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착안된 변형 실시예들이다.
이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 카트리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상에서 언급된 실시예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모두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양 끝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주사액이 저장되는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한쪽 끝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쪽 끝을 밀봉시키는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 및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다른쪽 끝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른쪽 끝을 밀봉시키는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을 포함하는,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로서,
    상기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에는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주사액 카트리지가 수납되는 시린지의 후크가 삽입후 고정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는, 주사 바늘측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뿔의 형상으로서 평면도에서 단면 형태가 둔각을 이루고,
    상기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는 상기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의 요철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내부로 돌출된 플런저측 탄성 밀봉 캡 고정부가 형성된,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이 상기 카트리지 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주사바늘측 탄성 밀봉 캡을 감싸는 밀봉 캡 커버;를 더 포함하는,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삽입방지용 개구부는, 원뿔 형상, 직사각뿔 형상 및 정사각뿔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013910A 2021-02-01 2021-02-01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 Active KR102320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910A KR102320905B1 (ko) 2021-02-01 2021-02-01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910A KR102320905B1 (ko) 2021-02-01 2021-02-01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905B1 true KR102320905B1 (ko) 2021-11-02

Family

ID=78476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910A Active KR102320905B1 (ko) 2021-02-01 2021-02-01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9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1158A (ja) * 2001-12-06 2005-04-28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医療用投薬システム
JP2009183772A (ja) 2009-05-29 2009-08-20 Nihon Medi Physics Co Ltd 注射器におけるガスケットとプランジャーとの着脱方法
JP2011072670A (ja) 2009-09-30 2011-04-14 Terumo Corp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KR20130000843U (ko) * 2012-12-14 2013-02-05 홍창수 일회용 안전 주사기
JP5803018B2 (ja) * 2009-11-06 2015-11-04 株式会社大協精工 カートリッジ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1158A (ja) * 2001-12-06 2005-04-28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医療用投薬システム
JP2009183772A (ja) 2009-05-29 2009-08-20 Nihon Medi Physics Co Ltd 注射器におけるガスケットとプランジャーとの着脱方法
JP2011072670A (ja) 2009-09-30 2011-04-14 Terumo Corp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5803018B2 (ja) * 2009-11-06 2015-11-04 株式会社大協精工 カートリッジキャップ
KR20130000843U (ko) * 2012-12-14 2013-02-05 홍창수 일회용 안전 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768B1 (ko) 치과용 주사기
US20060079848A1 (en) Non-skin penetrating reconstituting syringe
ES2057336T3 (es) Conjunto de jeringa.
CA2010508A1 (en) Protective device and syringe
YU28498A (sh) Uređaji i metodi upotrebljivi za formiranje malih otvora u kapsulama sočiva u očima
JP2011136152A (ja) 遮蔽装置、及び注射器組立体及び注射針組立体の貯蔵の為の方法
JPH0649073B2 (ja) 皮下注射器
JPH07136270A (ja) 一回使用のリバーシブル血管用樹脂針セット
KR101532413B1 (ko)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102320905B1 (ko) 시린지 후크의 탈거가 용이한 주사액 카트리지
KR101584517B1 (ko) 주사기 바늘의 이탈을 방지하는 주사기홀더
US2016631A (en) Hypodermic syringe
KR101407745B1 (ko) 안전필터 기능을 갖춘 주사기
CN214105479U (zh) 一种回拉式安全自毁注射装置
RU2456025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одноразовый шприц
KR102715177B1 (ko) 인슐린 주입용 어댑터
CN106999677A (zh) 具有保护针插管的针毂的针组件
KR101712624B1 (ko) 안전 주사기
KR101711090B1 (ko)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RU195971U1 (ru) Шток для карпульного инъектора
CN221655446U (zh) 一种医疗针
JP2003135598A (ja) 局所内分散注射方法および注射針装置
JPH056996Y2 (ko)
CN213252091U (zh) 一种用于自毁式注射器的推杆结构
CN215504883U (zh) 一种安全型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