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6320B1 -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320B1
KR102316320B1 KR1020180173756A KR20180173756A KR102316320B1 KR 102316320 B1 KR102316320 B1 KR 102316320B1 KR 1020180173756 A KR1020180173756 A KR 1020180173756A KR 20180173756 A KR20180173756 A KR 20180173756A KR 102316320 B1 KR102316320 B1 KR 102316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rown
elastic bushing
implant fixture
fix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806A (ko
Inventor
허중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Priority to KR102018017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3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3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internal slee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임플란트고정체와 크라운의 결합부위에 탄성결합이 적용됨에 따라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 시에 크라운이 결합부위의 파손없이 임플란트고정체로부터 더욱 신속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하측에는 치조골에 매립고정되는 픽스쳐부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탄성부싱삽입홈이 함입형성되는 임플란트고정체와, 상기 임플란트고정체의 탄성부싱삽입홈에 삽입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임플란트고정체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탄성부싱과, 내부 하측에는 상기 탄성부싱이 결합된 임플란트고정체에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결합홈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싱의 탄성결합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단턱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되며 외부에는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캡을 포함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개시된 내용은 치조골에 고정되어 결손된 치아를 보충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소화가 잘 되도록 도와주는 저작기능을 담당하는 신체조직이다. 이러한 치아가 예를 들어 충치로 인한 발치 등에 의해 소실될 경우에는 저작기능 상의 문제가 초래되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고 소화가 잘 안 되므로,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양분의 원활한 섭취도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치아는 예로부터 신체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상 인간은 상악에 16개의 치아와 하악에 16개의 치아를 포함하여 총 32개의 치아를 가지며, 유아기에 생성된 유치가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체된 후 평생동안 영구치를 이용하여 구강활동을 수행한다.
인간의 치아는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체된 이후에는 치아를 상실하게 되더라도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으므로,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통해 상실된 치아나 그 주위조직을 수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브릿지, 부분틀니, 틀니 등과 같은 보편적인 보철의 경우에는 이물감 등에 의해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치아 결손시 주위의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거의 자연치아와 동일한 모든 기능과 외관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가 각광을 받고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크게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fixture)와, 이 픽스쳐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이 어버트먼트에 일체로 결합되는 크라운(crown)으로 이루어진다. 픽스쳐는 치조골 속에 매립고정되는 인공치근에 해당하고, 어버트먼트는 픽스쳐와 크라운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크라운은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 및 기능을 재현하는 인공치아에 해당된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임플란트고정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인공치아에 해당하는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을 위해 크라운을 임플란트고정체 또는 어버트먼트로부터 분리해야 할 필요가 종종 있다.
이러한 크라운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69348호(2018.06.20. 공고)에는 치조골에 매식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잇몸식립부와 상기 잇몸식립부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부결합체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상부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부고정체와, 상기 상부결합부와 체결되도록 상부결합부수용부를 포함하되, 외주면에 크라운이 결합되는 상부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잇몸식립부는 상기 잇몸식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커팅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결합부는 상부결합체의 제 2 체결부와 체결되기 위해 형성되며, 상부결합부의 일측 둘레를 따라 홈이 길게 형성되는 제 1 체결부와, 상부결합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되, 치조골에 매식된 하부고정체가 역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결합부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고, 뾰족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잇몸에 식립되기 위한 식립역방향이탈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결합체는 상기 하부고정체의 제 1 체결부와 체결되기 위해 형성되되, 볼 형태의 제 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고정체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33258호(2016.06.27. 공고)에는 임플란트 상부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이 부착되며, 상기 어버트먼트 상부와 결합되는 크라운결합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와 결합되는 임플란트결합부와, 크라운결합구조물과 결합되는 결합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구조체에는, 어버트먼트 상부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볼이 안착되는 볼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크라운결합구조물에는, 크라운이 부착되는 크라운부착부와,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결합부는, 상기 결합구조체가 인입되는 어버트먼트결합부몸체와, 다수개의 어버트먼트고정볼과, 일측이 절개된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결합부몸체에는, 내부방향으로 갈수록 반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형성된 다수의 어버트먼트고정볼홀이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고정볼홀은 상기 어버트먼트고정볼과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어버트먼트고정볼은 어버트먼트고정볼홀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어버트먼트고정볼이 수용된 다수의 어버트먼트고정볼홀 외부에 형성되고, 어버트먼트와 결합시, 어버트먼트고정볼이 볼안착부에 고정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이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임플나트고정체 또는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의 결합부위에 볼과 이 볼에 대응되는 볼안착부만 개시될 뿐 적절한 탄성결합이 고려되지 않아 크라운의 분리시에 볼과 같은 결합부분이 파손됨으로 인해 크라운의 재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69348호(2018.06.20. 공고)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33258호(2016.06.27. 공고)
임플란트고정체와 크라운의 결합부위에 탄성결합이 적용됨에 따라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 시에 크라운이 결합부위의 파손없이 임플란트고정체로부터 더욱 신속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하측은 치조골에 매립고정되고 상측에는 탄성부싱삽입홈이 함입형성되는 임플란트고정체와, 상기 임플란트고정체의 탄성부싱삽입홈에 삽입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임플란트고정체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탄성부싱과, 내부 하측에는 상기 탄성부싱이 결합된 임플란트고정체에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결합홈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싱의 탄성결합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단턱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되며 외부에는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캡을 포함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싱의 탄성결합돌기의 외측 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임플란트고정체와 크라운캡의 결합부위에 탄성부싱이 개재되어 크라운캡이 임플란트고정체에 탄성적으로 결합가능하되 일정 크기 이상의 힘에 의해서만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캡이 결합부위의 파손없이 임플란트고정체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탄성부싱의 탄성결합돌기의 외측 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크라운캡의 하향 결합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되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 시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상부방향으로 가해질 경우에만 크라운캡이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크라운의 착탈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측에는 치조골에 매립고정되는 픽스쳐부(11)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탄성부싱삽입홈(13)이 함입형성되는 임플란트고정체(10)와,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에 삽입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슬릿(23)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임플란트고정체(1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결합돌기(25)가 형성되는 탄성부싱(20)과, 내부 하측에는 탄성부싱(20)이 결합된 임플란트고정체(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결합홈(31)이 형성되고 상단에 착탈결합홈(31)의 상단에는 탄성부싱(20)의 탄성결합돌기(25)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단턱(33)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되며 외측에는 크라운(미도시)이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캡(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임플란트고정체(10)는 픽스쳐부와 어버트먼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립고정되는 인공치근과 크라운의 연결을 위한 지대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으로, 하측에는 치조골 내에 매립고정되기 위한 픽스쳐부(11)가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탄성부싱(20)이 삽입고정되는 탄성부싱삽입홈(13)이 함입형성된다. 또한 탄성부싱삽입홈(13)이 형성되는 임플란트고정체(10)의 상측 외주면은 상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임플란트고정체(10)는 탄성부싱삽입홈(13)이 형성되는 것만 제외하고는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일체로 형성되는 통상의 임플란트고정체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에는 탄성부싱(20)이 삽입고정된다. 탄성부싱(20)은 임플란트고정체(10)의 상단에 크라운캡(3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을 형성하는 구성부재로, 중앙공(21)이 관통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싱(20)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슬릿(23)이 형성된다. 슬릿(23)은 예를 들어 90도와 같이 일정 각도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교호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슬릿(23)은 원통 형상의 탄성부싱(20)의 원주 둘레를 따라, 1개의 슬릿(23)은 탄성부싱(20)의 상단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에 인접하는 다른 1개의 슬릿(23)은 탄성부싱(20)의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며 이에 인접하는 다른 1개의 슬릿(23)은 다시 탄성부싱(20)의 상단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반복한다. 또한 슬릿(23)은 탄성부싱(20)의 길이의 반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릿(23)의 구조는 탄성부싱(20)의 상,하단을 포함하여 반경반향으로 탄성을 제공한다.
탄성부싱(20)의 상단에는 임플란트고정체(10)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크라운캡(3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결합돌기(25)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싱(20)의 탄성결합돌기(25)의 외측 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크라운캡(30)이 임플란트고정체(10)의 상단에 하부를 향해 결합될 경우에는 탄성결합돌기(25)의 하향 경사부분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되되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을 위해 크라운캡(30)을 임플란트고정체(10)의 상단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탄성결합돌기(25)의 수직 연장부분에 의해 탄성 걸림턱이 형성됨에 따라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상부방향으로 가해질 경우에만 크라운캡(30)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 내에서 탄성부싱(20)의 하단이 일정위치에서 지지되도록, 탄성부싱(20)의 하단에는 탄성지지돌기(27)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탄성부싱(20)의 하단 지지를 위해 탄성부싱(20)이 삽입되는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의 하측에는 탄성부싱(20)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지단턱(15)이 형성되고, 이 지지단턱(15)의 외측에는 탄성부싱(20)의 탄성지지돌기(27)가 삽입결합되는 탄성지지홈(17)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된다.
또한 탄성부싱(20)은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에 삽입되어 상대적으로 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중앙공(21) 내로 끼워져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의 하단에 결합되는 탄성부싱고정구(29a, 29b)에 의해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에 삽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싱고정구(29a, 29b)는 중앙공(21) 내로 끼워져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의 하단에 끼워넣어지는 쐐기 형태로 형성(29a에 해당)될 수도 있고, 중앙공(21) 내로 끼워져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 형태로도 형성(29b에 해당)될 수 있다.
전술한 탄성부싱(20)이 결합된 임플란트고정체(10)에는 크라운캡(3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크라운캡(30)은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부싱(20)의 탄성지지돌기(27)에 의해 임플란트고정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크라운캡(30)의 내부 하측에는 탄성부싱(20)이 결합된 임플란트고정체(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결합홈(31)이 형성되는데, 이 착탈결합홈(31)의 상측은 임플란트고정체(10)의 상측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착탈결합홈(31)의 하측은 임플란트고정체(10)의 상측에 회전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착탈결합홈(31)의 상단에는 탄성부싱(20)의 탄성결합돌기(25)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단턱(33)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된다.
또한 크라운캡(30)의 내부상측에는 나사공(35)이 착탈결합홈(31)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나사공(35)은 크라운캡(30)의 결합 이후에 예를 들어 레진의 충전 또는 레진 재질의 나사의 체결을 통해 폐쇄되며, 크라운캡(30)의 분리 시에 예를 들어 레진의 제거 또는 나사의 분리를 통해 개방된 후 크라운캡(30)의 분리를 위한 툴이 나사결합되는 부분이다.
또한 임플란트고정체(10)에 대한 크라운캡(30)의 수밀적 결합을 위해 임플란트고정체(10)의 상측 외주면에는 패킹링(40)이 결합되고 크라운캡(30)의 착탈결합홈(31)의 하단에는 패킹링(40)이 삽입되는 패킹링홈(37)이 반경방향으로 함입형성된다.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순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순서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고정체(10)의 픽스쳐부(11)가 치조골 내에 매립고정된 상태에서,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 내로 탄성부싱(20)을 끼어넣고, 탄성부싱(20)의 중앙공(21)을 통해 탄성부싱고정구(29a, 29b)를 탄성부싱삽입홈(13)으로 결합시켜 탄성부싱(20)을 고정결합시킨다.
이 때 탄성부싱(20)의 탄성결합돌기(25)는 임플란트고정체(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탄성부싱(20)의 탄성지지돌기(27)는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 내에 형성된 지지단턱(15)에 지지된 상태로 임플란트고정체(10)의 탄성부싱삽입홈(13) 내에 형성된 탄성지지홈(17)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그 다음에 탄성부싱(20)이 결합된 임플란트고정체(10)에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된 크라운캡(30)을 하부로 가압하여 끼워넣게 되면, 크라운캡(30)의 착탈결합홈(31)의 걸림단턱(33)에 탄성부싱(20)의 탄성결합돌기(25)가 결합되면서 크라운캡(30)의 결합이 완료되고, 크라운캡(30)의 나사공(35)을 레진 충전 또는 나사결합을 통해 폐쇄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임플란트고정체(10)와 크라운캡(30)의 결합부위에 탄성부싱(20)이 개재되어 크라운캡(30)이 임플란트고정체(10)에 탄성적으로 결합가능하되 일정 크기 이상의 힘에 의해서만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된 크라운캡(30)이 임플란트고정체(10)에 대해 결합부위의 파손없이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특히 탄성부싱(20)의 탄성결합돌기(25)의 외측 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크라운캡(30)의 하향 결합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되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 시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상부방향으로 가해질 경우에만 크라운캡(30)이 분리될 뿐, 통상의 저작환경에서는 크라운캡(30)이 임의로 분리될 수 없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임플란트고정체
11 : 픽스쳐부
13 : 탄성부싱삽입홈
15 : 지지단턱
17 : 탄성지지홈
20 : 탄성부싱
21 : 중앙공
23 : 슬릿
25 : 탄성결합돌기
27 : 탄성지지돌기
29a, 29b : 탄성부싱고정구
30 : 크라운캡
31 : 탄성결합홈
33 : 걸림단턱
35 : 나사공
37 : 패킹링홈
40 : 패킹링

Claims (7)

  1. 하측에는 치조골에 매립고정되는 픽스쳐부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탄성부싱삽입홈이 함입형성되는 임플란트고정체;
    상기 임플란트고정체의 탄성부싱삽입홈에 삽입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임플란트고정체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탄성지지돌기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탄성부싱: 및
    내부 하측에는 상기 탄성부싱이 결합된 임플란트고정체에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결합홈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싱의 탄성결합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단턱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되며 외부에는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캡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싱은 중앙공이 관통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일정 각도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교호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싱의 길이의 반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싱은 상기 중앙공 내로 끼워져 상기 탄성부싱삽입홈의 하단에 결합되는 탄성부싱고정구에 의해 상기 탄성부싱삽입홈에 삽입고정되며,
    상기 임플란트고정체의 탄성부싱삽입홈의 하측에는 상기 탄성부싱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지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턱의 외측에는 상기 탄성부싱의 탄성지지돌기가 삽입결합되는 탄성지지홈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고정체에 대한 상기 크라운캡의 수밀적 결합을 위해 상기 임플란트고정체의 상측 외주면에는 패킹링이 결합되고 상기 크라운캡의 착탈결합홈의 하단에는 상기 패킹링이 삽입되는 패킹링홈이 반경방향으로 함입형성되며,
    상기 크라운캡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크라운캡의 분리를 위한 툴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이 상기 착탈결합홈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싱의 탄성결합돌기의 외측 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6. 삭제
  7. 삭제
KR1020180173756A 2018-12-31 2018-12-31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Active KR102316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56A KR102316320B1 (ko) 2018-12-31 2018-12-31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56A KR102316320B1 (ko) 2018-12-31 2018-12-31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06A KR20200082806A (ko) 2020-07-08
KR102316320B1 true KR102316320B1 (ko) 2021-10-25

Family

ID=7160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756A Active KR102316320B1 (ko) 2018-12-31 2018-12-31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810B1 (ko) * 2021-11-24 2022-07-1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418760B1 (ko) * 2021-11-24 2022-07-0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638571B1 (ko) * 2022-05-18 2024-02-2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638899B1 (ko) * 2022-05-18 2024-02-2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695374B1 (ko) * 2022-02-18 2024-08-14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KR102719124B1 (ko) * 2022-05-27 2024-10-17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26Y1 (ko) 2011-04-04 2011-08-19 노경선 나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US20110318710A1 (en) * 2007-11-15 2011-12-29 Biomet 3I, Llc Two-piece dental abutment system
KR101881421B1 (ko) * 2018-04-13 2018-07-24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24510U1 (de) * 1998-04-08 2003-08-14 IMZ - Fertigungs- und Vertriebsgesellschaft für dentale Technologie mbH, 70794 Filderstadt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WO2015093673A1 (ko) * 2013-12-19 2015-06-25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33258B1 (ko) 2016-01-21 2016-06-27 채희진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842179B1 (ko) * 2016-03-02 2018-03-26 (주)애크로덴트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KR200489041Y1 (ko) * 2017-04-04 2019-04-23 에프엔이치과기공소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KR101869348B1 (ko) 2017-07-04 2018-06-20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임플란트 고정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8710A1 (en) * 2007-11-15 2011-12-29 Biomet 3I, Llc Two-piece dental abutment system
KR200455126Y1 (ko) 2011-04-04 2011-08-19 노경선 나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KR101881421B1 (ko) * 2018-04-13 2018-07-24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06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320B1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US20220160474A1 (en) Cementless Type Dental Implant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US11638632B2 (en) Dental implant
KR102198234B1 (ko)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048439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102198237B1 (ko) 탄성부싱을 이용한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33258B1 (ko)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20150095696A (ko) 고정식 하이브리드 치아 부착 기기
JP2012501217A (ja) 歯科用固定装置および方法
EP3569184B1 (en) Dental implants
KR102304199B1 (ko)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20210012179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KR20130097036A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KR20200082805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137246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US20200315749A1 (en) Dental implants
KR20190108699A (ko) 어버트먼트 침몰방지용 착탈형 임플란트 구조체
KR20200089480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198248B1 (ko) 레진광중합힐링부가 구비된 힐링 어버트먼트
KR102125419B1 (ko) 발치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맞춤형 임프란트
KR102043772B1 (ko) 임플란트 크라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