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97036A -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 Google Patents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036A
KR20130097036A KR1020120018734A KR20120018734A KR20130097036A KR 20130097036 A KR20130097036 A KR 20130097036A KR 1020120018734 A KR1020120018734 A KR 1020120018734A KR 20120018734 A KR20120018734 A KR 20120018734A KR 20130097036 A KR20130097036 A KR 20130097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butment
fastening adapter
implant
implant fix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김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우 filed Critical 김형우
Priority to KR102012001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7036A/ko
Priority to PCT/KR2013/001487 priority patent/WO2013125924A1/ko
Publication of KR2013009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03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internal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처는, 밑부분은 치조골에 매식되고 상단에는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가 삽입되면서 축 결합되도록 축 중심 내부로 가이드홀(115)이 형성된 픽스처 몸체(110); 및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의 외면을 탄성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가이드홀(115)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용 어댑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스크류 타입의 결합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픽스처 몸체의 가이드홀 내부에 구비되는 체결용 어댑터를 이용해 픽스처와 어뷰트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시술과정이 간편하고, 시술시 어뷰트먼트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축결합부의 절개홈(127a)에 탄성부재를 삽입시켜 필요에 따라 저작압을 완충시킬 수 있고, 교합력이 가해질 때 픽스처와 치조골 사이에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켜 치조골 흡수(bone loss)를 유발시키는 한 원인인 피질골 표면의 큰 응력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환자가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하게 되며, 임플란트유닛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Fixture for implantation having elastic adaptor for combining abutme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픽스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픽스처 몸체의 가이드홀 내부에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를 설치하고 상기 체결용 어댑터를 통하여 어뷰트먼트를 픽스처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스크류 체결방식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 임플란트 픽스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치아는 사람의 자연치아와 외형 및 기능면에서 거의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치아로서, 이러한 인공치아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자연치아가 결손 되었을 경우 이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한 인공치아로서 자연치아를 대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철을 하거나 아니면 틀니를 하거나 아니면 치조골에 매식하는 세 가지 방법이 요구되는데, 상기 보철에 있어서는 주변의 다른 여러 자연치아를 깎아내야만 하므로 자연치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됨은 물론 수명도 십년 정도로 그리 길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틀니의 경우에는 자연치아의 손상은 물론이거니와 사용과정에서 빠져나올 수도 있음은 물론 사용자에게는 입속에 이물감을 가지고 있는 듯 한 느낌을 주게 되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철 및 틀니의 경우에는 갈수록 그 이용률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인공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는 경우에는 주변의 다른 자연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매식이 완료된 후에는 자연치아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외형과 기능을 다하고 있고, 수명도 관리 상태에 따라 반영구적이어서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인공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기 위한 구조체로서는 임플란트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은 크게 픽스처(fixture,10), 어뷰트먼트(abutment,20) 및 스크류(screw,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임플란트 유닛은 픽스처(10)와 어뷰트먼트(20)의 결합형태에 따라서 익스터널 타입(external type)과 인터널 타입(internal type)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상기 두가지 타입의 차이는 픽스처(10)의 결합부 단면이 외부로 돌출된 경우를 익스터널 타입이라 하고, 결합부 단면이 내부로 함몰된 경우를 인터널 타입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분류는 형상의 차이가 있을 뿐 구성 및 작용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도 1내지 도 2는 익스터널 타입의 임플란트 유닛이 도시되고 있다.
먼저, 상기 픽스처(10)는 치조골(턱뼈)에 직접 매식되어 일종의 기둥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몸체의 외경면에는 치조골 내부로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11)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육각형의 헤드(13)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13)의 중심 내측으로 체결공(1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픽스처(10) 상단의 체결공(15)에는 스크류(30)가 어뷰트먼트(20)를 픽스처(10)에 고정시키는 형태로 체결된다.
다음, 상기 어뷰트먼트(20)는 인공치아가 장착되기 위한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하단에는 상기 픽스처(10)의 육각형 헤드(13)와 대향 정합되는 육각형의 안내홈(21)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스크류(30)가 축 관통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홈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30)는 상단 헤드에 일자 또는 십자형의 드라이버 자리홈을 형성하거나 육각형의 렌치 자리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픽스처(10)를 치조골(턱뼈) 내에 나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치조골에는 픽스처(10)의 외경보다 조금 작은 정도의 홀 가공이 된 상태이다.
다음, 상기 픽스처(10)의 상부에 어뷰트먼트(20)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픽스처(10) 상단의 육각 헤드(13)와 어뷰트먼트(20) 하단 내측의 육각 안내홈(21)이 서로 정합 안내되어 자리 잡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픽스처(10)의 상부에 위치한 어뷰트먼트(20)는 회전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 어뷰트먼트(20)의 홈부(23) 내부로 스크류(30)를 관통시켜, 스크류(30)의 나사산이 픽스처(10)의 체결공(15)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픽스처(10)와 어뷰트먼트(20)의 분리가 방지되는 완전 결합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픽스처(10), 어뷰트먼트(20) 및 스크류(30)로 구성된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고정시키고 나면 상기 어뷰트먼트(20)에 인공치아를 씌워서 결합함으로써, 환자의 손상된 영구치를 인공치아로 대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은 시술자가 음식물 씹어서 섭취하는 행위 등을 통해 구강 내에서의 지속적인 하중이 반복되는 경우, 스크류(30)가 미세 진동하게 되고, 진동 폭이 점차 커지게 됨에 따라 자체 회전이 이루어져 나사 결합상태가 느슨해지게 되고, 이는 픽스처(10)와 어뷰트먼트(20) 사이에 유격을 발생시켜 어뷰트먼트(20) 즉, 인공치아가 흔들리게 되어 환자는 음식물을 원활히 씹을 수 없게 되며, 인공치아 주변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저작압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픽스처(10)에 어뷰트먼트(20)를 체결할 때, 정확한 체결위치를 잡지 못한 상태에서 스크류(30) 체결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이로 인해 인공치아와 치조골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은 좁은 구강 내의 공간에서 스크류(30)를 체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특히 시술부위가 어금니 쪽에 위치해 있거나, 입을 크게 벌릴 수 없는 환자의 경우 더욱 시술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스크류(30)의 체결시 정확한 회전수를 가늠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환자에 따라서 골밀도나 골의 강도가 틀릴 뿐만 아니라, 시술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서도 체결력이 달라지게 되어 본의 아니게 치조골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저작압을 완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가 없어서 과도한 저작압이 가해졌을 때, 치조골의 파괴를 초래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갖는 종래기술의 임플란트유닛은 픽스처 및 어뷰트먼트를 재결합 시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재결합 시술에 따른 금전적 시간적 손해는 물론, 환자 본인이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픽스처 몸체의 가이드홀 내부에 체결용 탄성 어댑터를 설치하여 상기 탄성 어댑터를 통하여 어뷰트먼트를 픽스처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기존의 스크류 타입의 결합방식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 임플란트 픽스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뷰트먼트를 픽스처 몸체에 끼워서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시술과정이 간편하고, 시술시 어뷰트먼트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탄성부재를 삽입시켜 저작압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작압을 완충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임플란트 유닛의 픽스쳐보다 픽스쳐를 짧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길이가 긴 임플란트 픽스쳐를 무리하게 약골에 심다가 시술이 실패하거나 신경을 손상시켜 심각한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골(bone) 이식의 필요성을 없앨 수 있고, 골이식 재료의 절약을 가져와 수술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작압을 완충시킬 수 있어 골질이 약한 환자에게서도 보다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임플란트 시술후, 기존 시스템보다 빠른 시일내에 보철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 본인에게는 기존 임플란트 시술방법에 따른 나사풀림현상에 따른 육체적 정신적 고통 및 경제적 손실을 근원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치과의사에게는 수술 실패(재 시술)에 따른 마음의 부담을 덜 수 있게 하여, 보다 안정적인 시술을 통해 환자와 의사 사이에 신뢰관계를 쌓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밑부분은 치조골에 매식되고 상단에는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가 삽입되면서 축 결합되도록 축 중심 내부로 가이드홀(115)이 형성된 픽스처 몸체(110); 및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가이드홀(115)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용 어댑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제공한다.
상기 픽스처 몸체(110)의 상단과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경계지점에 취출기구의 날끝이 삽입되기 위한 예각부(A)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핀부(130b)를 원주방향에 배열하고,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에 형성된 요철부(128)의 형상에 대응하는 대향요철부(130a)를 상기 핀부(130b)에 형성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는 초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형상기억합금이나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128)는 축결합부(127) 둘레에 띠 형상의 돌부(128a) 및 홈부(128b)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대향요철부(130a)는 핀부(130b)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에 형성된 요철부(128)와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핀부(130b)에 형성된 대향요철부(130a)는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핀부 내면에서 외측으로 함몰된 체결홈이 형성되고 이 체결홈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어뷰트먼트(120)의 축 결합부(127) 둘레에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뷰트먼트의 요철부와 핀부에 형성된 대향요철부는 픽스쳐의 가이드홀내에 어뷰트먼트의 축결합부를 체결 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 될 수 있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상부 둘레에 역린(逆鱗) 구조를 갖는 다수의 돌출편(13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픽스처 몸체(110)로부터 체결용 어댑터(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가 원통형 관 또는 다면체 관 형상을 할 수 있으며, 또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이나 관 형상을 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 하나 하나의 핀재가 삽입되는 형상을 띌 수도 있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는 상부의 관경보다 하부로 내려 갈수록 관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하부 둘레에 다수의 핀부(130b)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링(130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링(130d)에 바닥부(130e)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링(130d)의 하부에 단턱부(130f)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링(130d)의 하부에 체결어댑터의 회전을 방지하는 다양한 형태의 회전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 하단에 상기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 저면에 삽입되는 다각형의 회전방지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정합하는 다각형의 회전방지부가 상기 픽스쳐 가이드홀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핀부(130b)에 픽스처의 가이드홀 내에서 체결용 어댑터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130g)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핀부(130b)의 내면으로 돌출되는 어뷰트먼트 회전방지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127)는 어뷰트먼트의 몸체와 분리되어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몸체(121)에 관통하면서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와 상기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 사이에 완충부재(D)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 및 상기 완충부재(D)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 상부에 이탈방지수단(1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수단(140)은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 및 완충부재(D) 상부에서 상기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 내면에 스크류 결합되는 링부재일 수 있다. 이 때 스크류 방식이 아닌 링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 내면과 체결용 어댑터(130) 사이에는 어뷰트먼트(120)가 착탈될 때 체결용 어댑터(130)가 외부로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는 하나의 몸통일수도 있지만, 여러개로 나누어진 체결레그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탄성재질일 수도 있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스크류 타입의 결합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픽스처 몸체의 가이드홀 내부에 구비되는 체결용 어댑터를 이용해 픽스처와 어뷰트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어뷰트먼트를 픽스처 몸체에 간단히 끼워서 결합할 수 있고, 이로서 시술과정이 간편하고, 시술시 어뷰트먼트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탄성부재를 삽입시켜 저작압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되며, 교합력이 가해질 때 픽스처와 치조골 사이에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켜 치조골 흡수(bone loss)를 유발시키는 한 원인인 피질골 표면의 큰 응력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환자가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하게 되며, 임플란트유닛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체결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축결합시키는 구조로서, 저작압을 완충시킬 수 있는 완충구조를 갖출 수 있어 기존의 임플란트 유닛의 픽스쳐 보다 짧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길이가 긴 임플란트 픽스쳐를 무리하게 악골에 심다가 시술이 실패하거나 신경을 손상시켜 심각한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골(bone) 이식의 필요성을 없앨 수 있고, 골이식 재료의 절약을 가져와 수술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작압을 완충시킬 수 있어 골질이 약한 환자에게서도 보다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임플란트 시술후, 기존 시스템보다 빠른 시일내에 보철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 본인에게는 기존 임플란트 시술방법에 따른 나사풀림현상에 따른 육체적 정신적 고통 및 경제적 손실을 근원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치과의사에게는 수술 실패(재 시술)에 따른 마음의 부담을 덜 수 있게 하여, 보다 안정적인 시술을 통해 환자와 의사 사이에 신뢰관계를 쌓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을 내부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전체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5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구조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픽스처 몸체와 체결용 어댑터 사이에 탄성부재를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10내지 도 12는 도 9의 어댑터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13,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뷰트먼트의 축결합부 하단에 회전방지부를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어뷰트먼트의 몸체와 축결합부를 분리 결합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용 어댑터 상단을 절곡시켜 픽스처 상단에 직접 나사결합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용 어댑터 및 탄성부재의 상부에서 링형상의 이탈방지수단을 픽스처의 가이드홀 내면에 나선결합하는 예를 도시한 분해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전체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3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은, 크게 픽스처 몸체(110)와, 어뷰트먼트(120), 체결용 어댑터(1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픽스처 몸체(11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픽스처 몸체(110)는 치조골(턱뼈)에 직접 매식되어 일종의 기둥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몸통의 외경면 전체에 치조골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상기 몸통 상단에는 축 중심 내부로 홈 가공되어 어뷰트먼트(120)를 결합시키기 위한 가이드홀(115)이 형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나사산(111) 선단에는 드릴부(113)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115)은 내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예: 4각,5각,6각,8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어뷰트먼트(1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어뷰트먼트(120)는 픽스처 몸체(110)와 결합되어 인공치아가 장착되기 위한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원추 형상으로 제작되는 몸체(121)의 하부에 회전방지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125)는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도면에서는 6각형상을 예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회전방지부(125)는 어뷰트먼트(120)의 셋팅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돌기구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회전방지부(125)는 픽스처 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홀(115)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부(125)의 하부로는 축결합부(127)가 연장된다.
이때, 상기 축결합부(127) 상에는 띠 형상의 돌부(128a) 및 홈부(128b)를 갖는 요철부(128)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어뷰트먼트(120)가 축 결합되는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은 입구측에 어뷰트먼트(120)의 회전방지부(125)와 정합되는 회전방지안내부(115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안내부(115a)는 어뷰트먼트(120)의 회전방지부(125)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데, 도면에서는 육각형상으로 제작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어뷰트먼트(120)의 회전방지는 체결용 어댑터(130)의 다각형 형태로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체결용 어댑터(130)의 핀부(130b) 내면으로 어뷰트먼트 회전방지 돌출부를 형성하여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 제일 밑면에 다각형의 회전방지 안내부(119)부를 형성하여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는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 내부에 어뷰트먼트의 축결합부(127)가 축결합되어 이탈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는 초탄성재질로서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핀부(130b)를 원주방향에 배열하고, 상기 핀부(130b) 상에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에 형성된 요철부(128)의 형상에 대응하는 대향요철부(130a)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핀부(13b)는 수평방향으로도 절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향요철부(130a)는 어댑터(130)의 내경에 형성한 띠 형상의 돌부 및 홈부일 수 있다.
상기 대향요철부(130a)는 축결합부(127)의 진입시 펴졌다가 요철부(128)와 만나 원래 형상으로 탄성복원 되어 압착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어뷰트먼트(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체결용 어댑터(130)의 다수의 핀부(130b) 들을 원주방향에 일체로 연결시키거나 2~3개의 소단위로 나눠서 조립하거나, 또는 하나하나 낱개로 분리된 핀부(130)를 조립할 수도 있다. 하나하나 낱개로 분리된 핀부(130)를 조립할 때에는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 밑면에 낱개의 핀부(130b)가 설치되도록 각각의 홈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는 픽스처(110) 내면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데,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상부 둘레에 역린(逆鱗) 구조를 갖는 다수의 돌출편(130c)을 형성함으로써, 결합 반대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역린구조는 대향요철부(130a)의 밑에 위치하도록 체결용 어댑터(130)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돌출편(130c)이 끼워지도록 하는 홈부를 픽스처 몸체(110) 내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구조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를 원통형 관 또는 다면체 관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하부 둘레에 다수의 핀부(130b)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링(130d)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연결링(130d)의 하부에는 단턱부(130f)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부(130f)는 체결용 어댑터(130)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턱부(130f)가 결합되는 안내홈을 픽스처(110) 바닥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핀부(130b) 외면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130g)를 더 형성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연결링(130d)의 바닥부(130e)를 더 형성하거나,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상부 관경보다 하부로 내려 갈수록 관경이 좁아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용 어댑터의 관은 역린 구조보다 상부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픽스처와 체결용 어댑터 사이에 탄성부재를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와 픽스처(110)의 가이드홀(115) 사이에 완충부재(D)가 더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D)는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가 축결합될 때, 체결용 어댑터(130)의 핀부(130b) 및 대향 요철부(130a)의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역할과 임플란트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0내지 도 12는 도 9의 어댑터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체결용 어댑터(130)는 도 5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원통형 관 또는 다면체 관으로 형성할 수 있고, 하부 둘레에 다수의 핀부(130b)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링(130d)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와 같이 하부 연결링(130d)의 하부에는 단턱부(130f)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부(130f)는 체결용 어댑터(130)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턱부(130f)가 결합되는 안내홈을 픽스처(110) 바닥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연결링(130d)의 바닥부(130e)를 더 형성하거나,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상부 관경보다 하부로 내려 갈수록 관경이 좁아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3,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뷰트먼트의 축결합부 하단에 회전방지부를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13, 14를 참조하면,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 하단에 픽스처(110)에 삽입되는 다각형의 회전방지부(129)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픽스처(110) 바닥에는 상기 회전방지부(129)와 대합되는 다각형의 회전방지안내부(119)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어뷰트먼트의 몸체와 축결합부를 분리 결합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몸체(121)를 관통해 축결합부(127)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용 어댑터 상단을 절곡시켜 픽스처 상단에 직접 나사결합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용 어댑터 및 탄성부재의 상부에서 링형상의 이탈방지수단을 픽스처의 가이드홀 내면에 나선결합하는 예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16, 17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 및 완충부재(D)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픽스처(110)의 가이드홀(115) 상부에 이탈방지수단(14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140)은 체결용 어댑터(130) 및 완충부재(D) 상부에서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 내면에 스크류 결합되는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픽스쳐의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를 제외한 커버스크류나 마운트, 힐링 캡, 랩 아날로그 등이 체결될 수 있는 스크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픽스처 몸체(110)를 치조골(턱뼈) 내에 결합한 다음, 상기 픽스처 몸체(110)가 치조골 내에 자리 잡게 되면, 그 상단에 어뷰트먼트(120)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회전방지부(125)가 픽스처 몸체(110)의 회전방지안내부(115b)에 위치를 맞춰 결합되고, 이후,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어뷰트먼트(120) 측의 축결합부(127)가 체결용 어댑터(130)를 축 관통하여 이탈방지되도록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어뷰트먼트(120)는 픽스처 몸체(110)에 축 결합된 상태서 인위적인 힘을 가해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려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뷰트먼트(120)와 픽스처 몸체(110)의 상단면의 결합부 사이에 예각부(A)를 형성함으로써, 이 예각부(A)에 지렛대 구조의 취출기구(미도시)를 끼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예각부(A)는 취출기구의 쐐기형상으로 제작된 날 끝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20~60도 사이의 예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기존의 스크류 타입이 아닌 축결합부 결합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시술과정이 간편하고, 시술시 어뷰트먼트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축결합부의 절개홈(127a)에 탄성부재를 삽입시켜 필요에 따라 저작압을 완충시킬 수 있고, 교합력이 가해질 때 픽스처와 치조골 사이에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켜 치조골 흡수(bone loss)를 유발시키는 한 원인인 피질골 표면의 큰 응력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환자가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하게 되며, 임플란트유닛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체결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축결합시키는 구조로서, 기존의 임플란트 유닛보다 짧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길이가 긴 임플란트를 무리하게 악골에 심다가 시술이 실패하거나 신경을 손상시켜 심각한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골(bone) 이식의 필요성을 없앨 수 있고, 골이식 재료의 절약을 가져와 수술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작압을 완충시킬 수 있어 골질이 약한 환자에게서도 보다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임플란트 시술후, 기존 시스템보다 빠른 시일내에 보철 시술이 가능하고, 본 발명은 환자 본인에게는 기존 임플란트 시술방법에 따른 나사풀림현상에 따른 육체적 정신적 고통 및 경제적 손실을 근원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치과의사에게는 수술 실패(재 시술)에 따른 마음의 부담을 덜 수 있게 하여, 보다 안정적인 시술을 통해 환자와 의사 사이에 신뢰관계를 쌓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 예를 이용한 당업자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픽스처 몸체
111: 나사산
113: 드릴부
115: 가이드홀
115a: 회전방지안내부
119: 회전방지안내부
120: 어뷰트먼트
121: 몸체
123: 홈부
125: 회전방지부
127: 축결합부
127a: 절개홈
128: 요철부
128a: 돌부
128b: 홈부
129: 회전방지부
130: 체결용 어댑터
130a: 대향요철부
130b: 핀부
130c: 돌출편
130d: 하부연결링
130e: 바닥부
130f: 단턱부
130g: 회전방지돌기
140: 링부재
A: 예각부
D: 탄성부재

Claims (18)

  1. 밑부분은 치조골에 매식되고 상단에는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가 삽입되면서 축 결합되도록 축 중심 내부로 가이드홀(115)이 형성된 픽스처 몸체(110); 및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의 외면을 체결 고정시키도록 상기 가이드홀(115)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용 어댑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 몸체(110)의 상단과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경계지점에 취출기구의 날끝이 삽입되기 위한 예각부(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핀부(130b)를 원주방향에 배열하고,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에 형성된 요철부(128)의 형상에 대응하는 대향요철부(130a)를 상기 핀부(130b)에 형성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128)는 축결합부(127) 둘레에 띠 형상의 돌부(128a) 및 홈부(128b)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요철부(130a)는 핀부(130b)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상부 둘레에 역린(逆鱗) 구조를 갖는 다수의 돌출편(130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가 원통형 관 또는 다면체 관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가 상부의 관경보다 하부로 내려 갈수록 관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하부 둘레에 다수의 핀부(130b)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링(130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링(130d)에 바닥부(130e)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링(130d)의 하부에 단턱부(130f)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 몸체(110)의 저면에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축결합부(127) 하단이 삽입되는 다각형의 회전방지부(12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의 핀부(130b)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방지돌기(130g)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127)는 상기 어뷰트먼트(120)의 몸체(121)에 관통하면서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와 상기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 사이에 완충부재(D)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 및 상기 완충부재(D)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 상부에 이탈방지수단(1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140)은 상기 체결용 어댑터(130) 및 완충부재(D) 상부에서 상기 픽스처 몸체(110)의 가이드홀(115) 내면에 스크류 결합되는 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어댑터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KR1020120018734A 2012-02-23 2012-02-23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Ceased KR20130097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34A KR20130097036A (ko) 2012-02-23 2012-02-23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PCT/KR2013/001487 WO2013125924A1 (ko) 2012-02-23 2013-02-25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34A KR20130097036A (ko) 2012-02-23 2012-02-23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036A true KR20130097036A (ko) 2013-09-02

Family

ID=4900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734A Ceased KR20130097036A (ko) 2012-02-23 2012-02-23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97036A (ko)
WO (1) WO201312592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019A (ko) * 2014-09-17 2016-03-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101943437B1 (ko) * 2018-03-30 2019-01-30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20190101590A (ko) * 2018-02-23 2019-09-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KR102019873B1 (ko) * 2019-05-27 2019-09-09 주식회사 에즈덴탈 넌헥사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의 체결 구조
KR102059302B1 (ko) * 2019-08-16 2019-12-24 김성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1453A1 (en) 2013-10-08 2015-04-16 Horst Wismann Tooth implant
EP3120803A1 (en) * 2015-07-24 2017-01-25 Nobel Biocare Services AG Retention element for attaching a first dental component to a second dental component and dental assembly comprising the retention element
FR3062053B1 (fr) * 2017-01-26 2021-07-16 Anthogyr Sa Piece intermediaire de fixation
CN109846567B (zh) * 2019-03-08 2024-11-05 雅客智慧(北京)科技有限公司 种植导板固定组件及其使用方法
WO2023016787A1 (fr) 2021-08-08 2023-02-16 Ajust Sàrl Dispositif de liaison et système de liaison pour reconstruction dentaire sur implant, reconstruction dentaire sur implant, procédé de réalisation de reconstruction dentaire sur implant
FR3125960B1 (fr) 2021-08-08 2024-06-21 Tanimura Remy Dispositif de liaison et système de liaison pour reconstruction dentaire sur implant, reconstruction dentaire sur implant, procédé de réalisation de reconstruction dentaire sur implant
DE102022112776A1 (de) * 2022-05-20 2023-11-23 Michael Fliegen Implantat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651A (ja) * 1991-02-26 1993-07-02 Lion Corp 人工歯根
JP2005512727A (ja) * 2001-12-26 2005-05-12 キュウ カン 緩衝部材を備えた人工歯インプラント
JP5487415B2 (ja) * 2008-12-12 2014-05-07 学校法人日本大学 インプラント
KR101173758B1 (ko) * 2010-06-23 2012-08-13 김형우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019A (ko) * 2014-09-17 2016-03-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20190101590A (ko) * 2018-02-23 2019-09-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KR101943437B1 (ko) * 2018-03-30 2019-01-30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102019873B1 (ko) * 2019-05-27 2019-09-09 주식회사 에즈덴탈 넌헥사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의 체결 구조
KR102059302B1 (ko) * 2019-08-16 2019-12-24 김성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5924A1 (ko)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758B1 (ko)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KR20130097036A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US11638632B2 (en) Dental implant
KR200467684Y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스크루 및 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JP6259822B2 (ja) アバットメントシステム及び歯科方法
KR10048439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JP2012501217A (ja) 歯科用固定装置および方法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20200082806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331496B1 (ko) 임플란트 장치
JP2020503974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20210012179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7337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JP2009526585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と歯科印象採得器具の組立体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KR20200137246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EP3291759B1 (en) Dental implant
KR20080049377A (ko) 나사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10108792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2106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089480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110001342U (ko)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6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