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291B1 - Buddhist Candles - Google Patents
Buddhist Cand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6291B1 KR102316291B1 KR1020190152131A KR20190152131A KR102316291B1 KR 102316291 B1 KR102316291 B1 KR 102316291B1 KR 1020190152131 A KR1020190152131 A KR 1020190152131A KR 20190152131 A KR20190152131 A KR 20190152131A KR 102316291 B1 KR102316291 B1 KR 1023162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ndle
- dimensional
- shape
- wick
- wax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2—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 C11C5/023—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by casting or melting in a mou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주 알 형상의 입체부가 나열된 염주 형상부가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양초에 있어서, 심지가 노출된 방향이 상부 방향일 때 상기 몸체부는 상부에 구비된 상면을 포함하며 상면은 평평한 표면을 갖되, 상면에 흘러내리는 촛농을 수용하는 촛농 수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음에 따라 양초의 연소에 따라 입체부와 몸체부를 타고 흘러내리는 촛농의 양을 줄이고 흐르던 촛농이 입체부의 표면에 응고되어 입체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초 주변 바닥과 양초 하부가 흘러내린 촛농으로 인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염주 형상부가 업장, 업보를 의미하여 양초의 연소 과정은 업장, 업보를 태운다는 종교적 의미를 내포함에 따라 불교 신자로 하여금 심신의 안정을 취할 수 있는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ndle in which a bead-shaped part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rt of a beads egg-shaped part is liste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wherein the body part includes an upper surface provided on the upper part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ck is exposed is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upper surface has a flat surface. , As it has a structure that can further include a candle wax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flowing candle wax on the upper surface, it reduces the amount of candle wax flowing down the three-dimensional part and the body part according to the burning of the candle, and the flowing candle wax is solidified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part and solidified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part Not only can it prevent the shape of wealth from being deformed, but it can also prevent the floor around the candle and the bottom of the candle from getting dirty due to the flowing candle wax. It is related to a candle for Buddhist rituals that allows Buddhists to have peace of mind and body as it contains the religious meaning of burn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이 양초의 외주면에 적용됨에 따라, 다양한 불교의식에 사용되거나 백팔번뇌를 끊고 업장소멸[業障消滅]을 위한 기도를 드릴 때 사용되는 것으로 심신의 안정을 취하거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는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dle for Buddhist rituals, and more particularly, as the shape of the beads used in Buddhist rituals is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ndle, it is used in various Buddhist ceremonies, It relates to candles for Buddhist ceremonies that can be used when praying and can calm the mind and body or promote meditation.
불교에서는 염불 또는 예배 등을 할 때 염주를 사용하고 있다. 염주는 손에 들고 수를 헤아릴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써 염주 알의 개수가 불교에서 상징적 의미를 갖는 숫자들로 결정된다.In Buddhism, rosary is used for chanting or worship. The rosary is a hand-held instrument that allows you to count the number of beads, and the number of beads is determined by numbers that have a symbolic meaning in Buddhism.
한편 양초는 어두운 곳을 밝히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몸체는 파라핀과 같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녹는 가연성 고체로 구성하고, 그 중심에는 불에 타들어 갈 수 있는 심지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형태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candle is used to light a dark place, and the body is composed of a combustible solid that melts at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such as paraffin, and a burnable wick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최근에는 형광등이나 LED 등의 보급화로 인해 각종 종교적인 의례(예: 제사, 기도, 미사, 예불 등)에 사용되어 경건함을 고취하거나 분위기 연출이나 실내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야외 행사장, 카페,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부처님을 모셔놓은 법당에서 사용되는 양초는 불교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양초 표면에 문양이나 글귀를 새겨넣거나 특별한 장식으로 이루어진 촛대를 사용하기도 한다. Recently, due to the spread of fluorescent lamps and LED lights, it is used in various religious ceremonies (e.g., ancestral rites, prayers, masses, liturgy, etc.) have. In particular, the candles used in the sanctuary where the Buddha is enshrined are sometimes engraved with patterns or words on the surface of the candles to give them Buddhist meaning, or candlesticks with special decorations are used.
이러한 기술들은 디자인을 통해 분위기를 고취시키는 장식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양초를 이용하여 정신수양을 수행하는 등 종교활동에 주체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양초가 연소 되는 과정에서 대상물 자체에 부여된 종교적 의미변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불교 신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불교적 의미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lthough these technologies perform a decorative function to inspire an atmosphere through design, there is a limit to using them independently for religious activities, such as performing spiritual discipline using candles. In addition, since the religious meaning given to the object itself does not change in the process of burning the conventional candle, Buddhists do not receive various Buddhist meanings.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 특허 제 10-2028481호에 의하면 49재를 통하여 고인을 기릴 수 있도록 염불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양초를 태우는 것으로 고인의 명복을 빌고 고인의 숭고한 연을 앙망할 수 있도록 한 불교의식용 양초를 제공하되, 염주 형상부가 녹아 내려가는 정도를 소정의 단위별로 헤아릴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As a related prior art, according to registered patent No. 10-2028481, by applying the shape of a rosary used for chanting to commemorate the deceased through the 49th, and burning a candle, you can pray for the well-being of the deceased and look forward to the noble kite of the deceased. A technique is disclosed that provides a candle for Buddhist ceremonies so as to be able to measure the degree of melting of the beads shape by a predetermined unit.
그러나 선행기술에 기재된 바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하나 이상의 구체(31')가 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염주가 감싸는 형태로 수직/수평 방향으로 행과 열을 가지도록 나열되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초 심지가 노출된 부위가 상부이고 상부와 반대 방향에 구비된 부위가 하부일 때, 상부에 구비된 몸체부의 상면은 소정의 굴곡을 갖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며 또한 돌출된 부위의 중앙에는 양초 심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양초(1')의 심지에 불을 붙여 양초가 연소 될 때, 심지 주변의 몸체부 및 구체(31')의 원료인 가연성 고체가 액화된 촛농이 양초의 외측 방향으로 흘러내리며 흘러내린 촛농은 양초의 몸체부와 몸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체(31')의 면을 타고 흐르면서 바닥으로 떨어진다. 기술한 바에 의하면 양초 주변 바닥이 흘러내린 촛농으로 인해 지저분해질 뿐만 아니라, 구체의 면을 타고 흐르던 많은 양의 촛농이 그대로 응고되어 구체(31')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ure 1, one or more spheres 31' are arranged to have rows and columns in the vertical/horizontal direction in a form in which beads are wrapp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And when the exposed part of the candle wick is the upper part and the part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pper part is the lower part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also protrude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candle wick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area. Therefore, when the wick of the candle 1' is ignited and the candle is burned, the candle wax in which the combustible solid, which is the raw material of the body and the sphere 31' around the wick, is liquefied flows down the outside of the candle. The body of the candle and one o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둥형상을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된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에 있어서 양초의 심지 일단이 몸체부 밖으로 노출된 방향이 상부 방향일 때 몸체부는 상부에 구비된 상면, 하부에 구비된 하면,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되며 상면은 평평한 표면을 갖되, 촛농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촛농 수용부는 몸체부의 상면에 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 홈부 또는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돌출된 돌출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양초의 연소로 인해 몸체부를 타고 흘러내리는 촛농을 줄일 수 있으며 촛농 수용부를 구비하여 흘러내리는 촛농의 일부를 내측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양초의 몸체부에 형성된 입체부 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양초를 태우면서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염주형상을 갖는 입체부가 연소되었을 때, 연소하고 남은 입체부의 개수에 따라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여 다양한 불교의식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교의 정신을 함양시킬 수 있는 불교의식용 양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 candle including a body portion having a column shape and a wick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when the direction in which one end of the wick of the candle is exposed outside the body portion is in the upper direction The body portion is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 lower surfac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and a sid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has a flat surface, and may further include a candle wax receiver. The candle wax receiv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gripping groove formed concavely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d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or a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upper edge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andle wax flowing down on the body part due to the combustion of the candle, and by providing a candle wax receiving part to guide a part of the flowing candle wax inward,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part formed in the body part of the candle is more effectively modified. When a three-dimensional part having a beads shap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is burned while burning a candle, it can be used in various Buddhist ceremonies by giving a religious mean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ree-dimensional parts remaining after burn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candles for Buddhist rituals that can cultivate
상기에서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형상을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된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에 있어서 양초는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체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입체부와, 입체부가 나열된 염주 형상부와 몸체부 내측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된 끼움 홀을 포함한다. 염주 형상부는 입체부가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나열되어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염주 알의 형태를 가진다. 끼움 홀에는 심지의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수직으로 삽입됨으로써 심지의 일단이 몸체부 밖으로 노출된다. 심지가 노출된 방향이 상부 방향, 상부와 반대 방향에 구비된 부분이 하부 방향일 때 염주 형상부는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되, 1080개 또는 540개 또는 108개 또는 54개 또는 27개의 입체부로 구성된다. 염주형상부는 업장, 업보를 의미하여 양초의 연소과정은 업장, 업보를 태우고 평온을 찾는 종교적 의미를 갖는다. 입체부와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부는 상부에 구비된 상면, 하부에 구비된 하면,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되며 상면과 하면은 평평한 표면을 갖음에 따라 양초의 심지에 불을 붙여 양초가 연소할 때 노출된 심지와 인접한 부위에서부터 몸체부의 상면이 액화되어 심지 주변으로 원형의 오목한 홈을 형성된다. 양초 심지의 연소에 따라 촛농이 고인 오목한 홈의 깊이가 깊어지므로 몸체부를 타고 흐르는 촛농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ndle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columnar shape and a wick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the candle having one or more three-dimensional parts having a spherical shap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it includes a fitting hole provide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inner center of the bead-shaped portion and the body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ortion is arranged. The beads shape part is arranged in a stat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hree-dimensional state, and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has the shape of a beads of beads. The rest of the part except for one end of the wick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so that one end of the wick is exposed outside the body.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ck is exposed is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portion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is in the lower direction, the beads shape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but consists of 1080 or 540 or 108 or 54 or 27 three-dimensional parts. . The shape of the beads symbolizes karma and karma, and the burning process of the candle has a religious meaning to burn karma and karma and find peace. The three-dimensional part and the body part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body part consists of an upper surface provided on the upper part, a lower surface provided on the lower part, and a sid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When the candle burns,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s liquefied from the exposed wick and adjacent areas to form a circular concave groove around the wick. As the candle wick burns,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in which the candle wax is accumulated increases,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candle wax flowing through the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부의 상면은 흘러내리는 촛농을 일부 수용하는 촛농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촛농 수용부는 몸체부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 홈부와,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돌출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양초의 연소로 흘러내리는 촛농 일부가 파지 홈부, 돌출부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어 몸체부를 타고 흐르는 촛농의 양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양초 주변 바닥을 비롯한 양초 하부가 흘러내린 촛농으로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체부를 타고 흐르던 많은 양의 촛농이 그대로 응고되어 입체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 candle wax receiver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flowing candle wax, and the candle wax receiver has a holding groove concavely formed inwardly of the body part, and has a certain thickness and height along the upper surface edge part. and at least one of the protruding protrusions. Therefore, a part of the candle wax flowing down due to burning of the candle flows into the space formed inside the gripping groove and protrusion, so that the amount of candle wax flowing through the body can be more effectively reduced, and the bottom of the candle including the floor around the candle becomes dirty with the flowing candle wax. It is not only possible to prevent this, but also to prevent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part from being deformed as a large amount of candle wax flowing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part is solidified as it 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파지 홈부와 돌출부의 내측면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흐르는 촛농 일부가 내측면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유도된다. 동시에 양초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되고 남은 촛농은 염주 형상부를 타고 흘러내려 불교 사상에서의 '참회의 눈물'을 형상화한다. 파지 홈부 단면의 형상은 소정의 굴곡을 갖는 반구 형상 또는 V자 형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파지 홈부 깊이가 가장 깊은 부분이 저면이고, 몸체부에 가상의 중심선을 수직으로 그었을 때 파지 홈부의 저면은 가상의 중심선상에 구비된다. 입체부는 몸체부의 외주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입체부는 소정의 영역을 공유하도록 구비되고 각각의 입체부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하나 이상의 문자가 형성된 문자 형성부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groove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flowing candle wax is guided inward by the inner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candle wax is guid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andle and the remaining candle wax flows down the rosary, embodying the 'tears of penance' in Buddhist thought.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gripping groove is most preferably a hemispherical shape or a V-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deepest part of the gripping groove is the bottom, and when an imaginary centerline is vertically drawn on the body, the bottom of the gripp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virtual centerline. The three-dimensional part is embossed or engrav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each three-dimensional part is provided to share a predetermined area, and each three-dimensional part is provided with a character forming part in which one or more characters are embossed or embossed.
불교의식용 양초를 제작하는 양초의 제조방법으로서, 방법은 양초는 소이왁스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소이왁스를 가열하여 액화시키는 단계 액상의 소이왁스를 형틀을 이용하여 입체부가 형성된 몸체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ndle for producing a candle for Buddhist rituals,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soy wax, heating the prepared soy wax and liquefying the prepared soy wax, and molding the body with a three-dimensional part using a mold using liquid soy wax. includ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양초의 심지 일단이 몸체부 밖으로 노출된 방향이 상부 방향일 경우, 상부에 구비된 양초의 상면은 평평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초가 연소할 때 노출된 심지와 인접한 부위에서부터 몸체부의 상면이 액화되면서 심지 주변으로 촛농이 고인 원형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몸체를 타고 흘러내리는 촛농의 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면에 촛농을 일부 수용하는 촛농 수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양초를 태우면서 흘러내리는 촛농이 촛농 수용부 내측에 고이도록 하며 입체부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촛농의 양을 줄여 양초 주변의 바닥에 다량의 촛농이 떨어져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하고 남은 입체부 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불교의식용 양초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rection in which one end of the wick of the candle is exposed out of the body portion is in the upward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dl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have a flat surface, and when the candle burns, the exposed wick and the expose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s the top surface is liquefied, a circular concave groove is formed around the wick to reduce the amount of candle wax flowing down the body. By allowing the falling candle wax to pool inside the candle wax receiver and reducing the amount of candle wax flowing dow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candle wax from falling on the floor around the candle to become dirty, as well as to change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part remaining after burning.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andles for Buddhist rituals that can prevent .
도 1은 종래 발명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염주 형상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촛농 수용부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초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입체부에 문자 형성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체부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불교의식용 양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beads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ndle wax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racter forming unit is provided in the three-dimension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a three-dimensional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dles for Buddhist ritual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all.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 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exemplary matters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stitute the scope of the claims Embodiments including substitutable elements as equivalents in element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기둥형상을 갖는 몸체부(10)와 몸체부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된 심지(20)를 포함하는 양초(1)에 있어서 양초는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체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입체부(31)와, 입체부가 나열된 염주 형상부(30)와 몸체부 내측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된 끼움 홀(40)을 포함한다. 염주 형상부는 입체부가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나열되어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염주 알의 형태를 가진다. 끼움 홀(40)에는 심지의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수직으로 삽입됨으로써 심지(20)의 일단이 몸체부(10) 밖으로 노출된다. 심지가 노출된 방향이 상부 방향, 상부와 반대 방향에 구비된 부분이 하부 방향일 때 염주 형상부(30)는 몸체부(10)의 상부에 위치하되, 1080개 또는 540개 또는 108개 또는 54개 또는 27개의 입체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염주형상부(30)가 모두 연소 된 후에는 일반 양초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염주형상부는 업장, 업보를 의미하고 일반 양초의 형상은 평온한 상태를 의미하여 양초의 연소 과정을 종교적 의미로 해석하면 업보를 태우고 평온을 찾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Referring to FIG. 2 , in the
나아가 본 발명은 염주 형상부를 구성하는 입체부(31)의 개수는 불교에서 상징적 의미를 갖는 숫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입체부(31)의 개수는 6개, 8개, 12개, 14개, 21개, 27개, 42개 일 수 있다. 염주 알이 6개인 것은 6바라밀을 의미하거나 육자대명왕 진언인 옴마니반메훔을 의미한다. 염주 알의 개수가 8은 팔정도[八正道]를 의미하고 12개는 12 연기를, 14개는 관세음보살이 14가지의 두려움을 없앤 것이며, 21개는 십바라밀에 십지, 그리고 불과를 의미하고, 27개는 초기불교에서 27 아라한을 상징하고, 42개는 보살 수행의 지위를, 54개는 보살의 수행을, 108개는 108번뇌를 의미한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ree-
몸체부(10)는 상부에 구비된 상면, 하부에 구비된 하면,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되며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은 평평한 표면을 갖는다.The
기술한 구조에 의하면 양초의 심지에 불을 붙여 양초가 연소할 때 노출된 심지와 인접한 부위에서부터 몸체부의 상면이 액화되어 심지 주변으로 원형의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심지에 붙은 불은 심지의 연소에 의해 심지를 타고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촛농이 고인 오목한 홈의 깊이가 깊어지므로, 몸체부의 상면이 액화된 촛농은 심지 주변의 원형의 오목한 홈에 고이게 되고 몸체부를 타고 흐르는 촛농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when the wick of the candle is lit and the candle is burne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s liquefied from the part adjacent to the exposed wick to form a circular concave groove around the wick. As the fire on the wick moves downward through the wick by burning the wick,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where the candle wax is accumulated becomes deeper. The amount of candle wax will be reduced.
몸체부의 상면은 흘러내리는 촛농을 일부 수용하는 촛농 수용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촛농 수용부는 도 2의 (b)에 도시된 몸체부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 홈부(51)와, 도 2의 (c)에 도시된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돌출부(5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도 3은 본 발명의 염주 형상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beads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각의 입체부(31)는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행과 열을 형성하며 양초의 몸체부를 감싸도록 구비 되어 염주 형상부를 형성한다. 노출된 양초 심지에 불을 붙였을 때, 심지 인근에 구비된 몸체부 및 염주 형상부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입체부(31)로부터 촛농이 흘러내린다.Each thre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입체부(31)는 양초의 몸체부에 나선형 또는 회오리와 같이 경사지게 감기도록 형성되고 노출된 양초 심지에 불을 붙였을 때, 심지 인근에 구비된 몸체부 및 염주 형상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입체부(31)가 상단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녹아 촛농이 흘러내리므로 연소 된 입체부의 개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b), each thre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부는 수직, 수평 방향으로 행과 열을 형성하여 양초의 몸체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염주 형상부를 구성한다. 임의의 열(P1)에 구비된 입체부가 각각의 행에서 X 번째 입체부일 경우 X 번째 입체부의 높이는 X+1번째 구비된 입체부와 소정의 높이차를 가지고, 하나의 행을 형성하는 입체부에 있어서, X 번째 입체부를 제외한 나머지 입체부는 몸체부에 위치한 높이가 모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X번째 입체부와 X+1번째 입체부 사이의 높이차는 하나의 입체부 길이(Hb)의 반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X번째 입체부의 크기는 행과 행 사이의 길이와 일치하는 것이 좋다. 기술한 실시 예의 구조에 의하면 심지에 불을 붙였을 때 상기 염주 형상부는 심지와 인접한 행부터 각각의 행이 순차적으로 연소되며 X번째 입체부의 연소상태를 기준으로 각 행의 연소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c) of Figure 3, the three-dimensional portion is provided to form rows and columns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o surround the body of the candle to constitute a beads shape. When the three-dimensional part provided in an arbitrary column P1 is the X-th three-dimensional part in each row, the height of the X-th solid part has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from the X+1-th provided three-dimensional part, and the three-dimensional part forming one row i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ll three-dimensional parts except for the X-th three-dimensional part have the same height located on the body part.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X-th solid portion and the X+1-th solid portion is preferably half of the length Hb of one solid portion, and the size of the X-th solid portion may match the length between row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wick is lit, each row of the beads-shaped part is sequentially burned from the row adjacent to the wick, and the combustion state of each row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mbustion state of the X-th three-dimensional part. there is
입체부는 몸체부의 외주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입체부는 소정의 영역을 공유하도록 구비되고 각각의 입체부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하나 이상의 문자가 형성된 문자 형성부가 구비된다.The three-dimensional part is embossed or engrav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each three-dimensional part is provided to share a predetermined area, and each three-dimensional part is provided with a character forming part in which one or more characters are embossed or embossed.
도 4는 본 발명의 촛농 수용부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ndle wax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촛농 수용부(50)는 파지 홈부(51)와 돌출부(5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파지 홈부는 돌출부(52) 내측 공간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파지 홈부와 돌출부의 내측면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흐르는 촛농 일부가 내측면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유도된다. 동시에 양초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되고 남은 촛농은 염주 형상부를 타고 흘러내려 불교 사상에서의 '참회의 눈물'을 형상화한다. 촛농 수용부에 촛농이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되기 위해서는 돌출부(52)의 내측면은 90ㅀ 내지 160ㅀ의 각을 가지는 것이 좋으며 파지 홈부 단면의 형상은 소정의 굴곡을 갖는 반구 형상 또는 V자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파지 홈부 단면의 형상은, 심지가 구비된 중앙부를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오목 홈일 수 있다. 파지 홈부 깊이가 가장 깊은 부분이 저면이고, 몸체부에 가상의 중심선을 수직으로 그었을 때 파지 홈부의 저면은 가상의 중심선상에 구비된다. 촛농 수용부(50)의 길이가 Ha이고, 입체부(31)의 길이가 Hb일 때, 1/2Hb<Ha<2Hb가 되는 것이 좋다.I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양초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초(1)는 일정 온도 이상에서 녹는 가연성 고체의 한 종류인 소이왁스를 준비하고 준비된 소이왁스를 가열하여 액화시키고, 액상의 소이왁스를 형틀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응고시킴으로써 입체부(31)가 형성된 몸체부(10)를 성형하며 몸체부(10)는 입체부(31)와 일체로 형성된다. 몸체부(10)는 내측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된 끼움 홀(40)이 더 구비된다. 심지(20)는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의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끼움 홀에 삽입된다. 심지(20)를 끼움 홀(40)에 삽입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끼움 홀에 열을 가해 반 액상화 시킨 상태에서 끼움 홀에 심지를 수직으로 삽입하고, 심지(20)가 삽입된 끼움 홀을 응고시킴으로써 심지의 일단이 밖으로 노출된 양초(1)를 제조한다.As shown in Fig. 5 (a), the
도 6은 본 발명의 입체부에 문자 형성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racter forming unit is provided in the three-dimension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면 각각의 입체부(31)는 소정의 영역을 공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입체부(31)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하나 이상의 문자가 형성된 문자 형성부(32)가 구비됨에 따라, 양초(1)의 사용에 따라 연소되고 남은 입체부(31)의 개수를 보다 쉽게 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초에 문자를 형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자에게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each of the thre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체부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a three-dimensional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염주 형상부(30)를 구성하는 입체부(31)의 형태가 일반적인 염주 알과 같이 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 7과 같이 입체부(31)의 형태가 " 8 "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8자 형상의 입체부(31)만으로 염주 형상부(30)를 이룰 수 있고, 8자 형상의 입체부(31)와 원형의 입체부(31)를 혼합하는 형태로 염주 형상부(30)가 이루어짐에 따라 양초(1)에 부와 재물을 상징하는 숫자 8의 의미가 부여되어 불교 신자가 아닌 일반 사람들의 부를 기원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three-
도 8은 본 발명인 불교의식용 양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dles for Buddhist rituals.
도 8을 참조하면 상부에 구비된 몸체부의 상면에 있어서, 상면 중앙에는 소정의 굴곡을 갖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의 중앙에는 양초 심지가 형성되며 볼록부의 면적은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양초를 연소할 때 촛농이 볼록부를 따라 몸체부로 과도하게 흘러내리지 않게끔 하기 위해서는, 상면의 면적이 1일때 볼록부의 면적은 0.2 내지 0.8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8 ,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양초 10 : 몸체부
20 : 심지 30 : 염주 형상부
31 : 입체부 32 : 문자 형성부
40 : 끼움 홀 50 : 촛농 수용부
51 : 파지 홈부 52 : 돌출부
60 : 볼록부1: candle 10: body
20: wick 30: beads shape part
31: three-dimensional part 32: character forming part
40: fitting hole 50: candle wax receiving part
51: gripping groove 52: protrusion
60: convex part
Claims (5)
상기 끼움 홀에는 심지의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수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심지의 일단이 상부방향으로 노출되고, 상기 염주 형상부는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체부와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면, 하면,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되고, 파지 홈부 단면의 형상은 소정의 굴곡을 갖는 반구 형상 또는 V자 형상이면서 상기 파지 홈부 깊이가 가장 깊은 부분이 저면이되, 몸체부에 가상의 중심선을 수직으로 그었을 때 상기 파지 홈부의 저면은 가상의 중심선상에 구비되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은 흘러내리는 촛농을 일부 수용하는 촛농 수용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촛농 수용부는 몸체부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 홈부와,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돌출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염주 형상부를 구성하는 입체부는 몸체부에 나선형으로 경사지게 감기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수직 수평방향으로 행과 열을 형성하여 몸체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입체부가 수직 수평방향으로 행과 열을 형성할 때, 임의의 열(P1)에 구비된 입체부가 각각의 행에서 X번째 입체부일 경우, X번째 입체부의 높이는 X+1번째 구비된 입체부와 소정의 높이차를 가지고, 하나의 행을 형성하는 입체부에 있어서, X번째 입체부를 제외한 나머지 입체부는 몸체부에 위치한 높이가 모두 일치하면서 X번째 입체부와 X+1번째 입체부 사이의 높이차는 하나의 입체부 길이의 반이 되게 형성하며, X번째 입체부의 크기는 행과 행 사이의 길이와 일치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교의식용 양초.A body portion having a column shape, a wick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one or more three-dimensional portions having a spherical shap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three-dimensional portion are form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ortion is arranged so that the body portion It includes a beads-shaped portion having the shape of a bead egg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itting hole provid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body portion,
The rest of the part except for one end of the wick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so that one end of the wick is expos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bead-shaped part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the three-dimensional part and the body part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The body part consists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ripping groove is a hemispherical shape or a V-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portion with the deepest depth of the gripping groove is the bottom surface, the body In the candle provided on the virtual center line,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pping groove when the virtual center line is drawn vertically on the par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andle wax receiver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flowing candle wax, and the candle wax receiver is one of a holding groove formed concavely inside the body part, and one of the protrusions protruding to have a certain thickness and height along the upper edge part. including more than
The three-dimensional part constituting the bead-shaped part is formed to be spirally wound on the body part or is provided to surround the body part by forming rows and column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hen the three-dimensional part forms rows and column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f the three-dimensional part provided in an arbitrary column P1 is the X-th solid part in each row, the height of the X-th solid part is equal to the X+1-th three-dimensional part and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three-dimensional part forming one row with a height difference of A Buddhist ritual c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half the length of the three-dimensional part, and the size of the X-th three-dimensional part is formed to match the length between row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2131A KR102316291B1 (en) | 2019-11-25 | 2019-11-25 | Buddhist Cand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2131A KR102316291B1 (en) | 2019-11-25 | 2019-11-25 | Buddhist Cand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3697A KR20210063697A (en) | 2021-06-02 |
KR102316291B1 true KR102316291B1 (en) | 2021-10-27 |
Family
ID=7637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2131A Active KR102316291B1 (en) | 2019-11-25 | 2019-11-25 | Buddhist Cand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6291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2943Y1 (en) * | 2004-03-16 | 2004-06-22 | 서덕진 | Candle with safe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7303B1 (en) * | 2008-01-24 | 2009-11-18 | 이재흥 | Candle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835984B1 (en) * | 2016-07-12 | 2018-03-08 | 장사연 | Candle for religious ceremony |
KR102007703B1 (en) * | 2017-11-27 | 2019-08-06 | 진성복 | Candle for Buddhism rite |
-
2019
- 2019-11-25 KR KR1020190152131A patent/KR1023162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2943Y1 (en) * | 2004-03-16 | 2004-06-22 | 서덕진 | Candle with safe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3697A (en) | 2021-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35694B1 (en) | Candle with insert | |
US5879153A (en) | Candle sculpture for exposing a non-flammable object | |
EP0018839A1 (en) | Candles | |
KR102316291B1 (en) | Buddhist Candles | |
US2196509A (en) | Multiple candle | |
KR102007703B1 (en) | Candle for Buddhism rite | |
US5354197A (en) | Combination ignition fuse and candles | |
KR102028481B1 (en) | Candle for Buddhism rite for 49th day after death | |
US5567145A (en) | Celebration candle | |
KR102158685B1 (en) | Candle for Buddhism rite | |
US6056541A (en) | Candle apparatus | |
KR102532208B1 (en) | Candle for using event | |
KR102228449B1 (en) | Candle for Buddhism rite | |
KR20210142392A (en) | Candle for using event | |
KR20210065606A (en) | Candle holders whose Melted wax can be collected and recycled. | |
JP4839429B2 (en) | Burning agent multi-structure candle | |
KR200436960Y1 (en) | Stacked candles | |
US20090233249A1 (en) | Self-extinguishing candle | |
JP6456006B1 (en) | Botanical candle | |
KR20220076829A (en) | Candle for using event | |
KR20180007077A (en) | Candle for religious ceremony | |
JP4834850B2 (en) | Candle with exposed core | |
KR20220076842A (en) | Candle for using event | |
JPS6342652A (en) | Candle-like food | |
GB2300647A (en) | Cand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