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481B1 - Candle for Buddhism rite for 49th day after death - Google Patents
Candle for Buddhism rite for 49th day after dea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8481B1 KR102028481B1 KR1020180050734A KR20180050734A KR102028481B1 KR 102028481 B1 KR102028481 B1 KR 102028481B1 KR 1020180050734 A KR1020180050734 A KR 1020180050734A KR 20180050734 A KR20180050734 A KR 20180050734A KR 102028481 B1 KR102028481 B1 KR 1020284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ds
- body portion
- spheres
- shape
- spher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1303601 Rosacea Species 0.000 claims 1
- 201000004700 rosacea Diseases 0.000 claims 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2918 Fraxinus excelsi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06508 Nelumbo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2853 Nelumbo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510 Nelumbo pentapet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4 Homo sapi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9재를 통하여 고인을 기릴 수 있도록 염불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양초를 태우는 것으로 고인의 명복을 빌고 고인의 숭고한 연을 앙망할 수 있도록 한 불교의식용 양초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중앙에 심지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구체가 입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체는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되어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염주가 감싸는 형태로 염주형상부가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염주형상부를 구성하는 구체의 개수는 49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ddhist ritual candle by applying the shape of the beads used in the Buddhist fire to honor the deceased through the 49 ashes to burn the candles to pray for the deceased kite of the deceas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ody portion made of a columnar shape and the wick is inserte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plurality of spheres having the shape of the beads beads are three-dimensionally formed, the sphere is The beads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beads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and the number of spheres constituting the beads is made of 49 pieces.
Description
본 발명은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초에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고인을 애도하고 49제를 깊이 추념하기 위한 염주 형상을 갖는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ddhist ritual candle for the 49th embodi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pply the shape of the beads used in Buddhist rituals for the 49th to the candle to mourn the deceased and to deeply celebrate the 49th It is about having Buddhist ceremonial candles.
일반적으로 양초는 어두운 곳을 밝히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몸체는 파라핀과 같은 일정온도 이상에서 녹는 가연성 고체로 구성하고, 그 중심에는 불에 타들어갈 수 있는 심지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형태로 되어 있다.In general, the candle is used to illuminate the dark place, the body is composed of a flammable solid that melts at a certain temperature, such as paraffin, the center of the wick that can be burned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최근에는 형광등이나 LED등의 보급화로 인해 각종 종교적인 의례(예: 제사, 기도, 미사, 예불 등)에 사용되어 경건함을 고취시키거나 분위기 연출이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야외 행사장, 카페,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fluorescent lamps and LED lamps, it has been used in various religious rituals (e.g., rituals, prayers, masses, rites, etc.) and used in outdoor events, cafes, restaurants, etc. have.
특히, 부처님을 모셔놓은 법당에서 사용되는 양초는 불교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양초 표면에 문양이나 글귀를 새겨넣거나 특별한 장식으로 이루어진 촛대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양초의 형상 자체의 변화를 주지 못하여 불교신자들로 하여금 불교적 의미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the candles used in the temple where the Buddha is enshrined may be embellished with patterns or writings on the surface of candles, or candlesticks with special decorations. However, these methods do not change the shape of the candles themselves, so that Buddhists do not receive Buddhist meaning.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20-0259905에는 양초의 기둥부 하단에 연꽃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꽃장식부가 더 구비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연꽃장식부는 기둥부의 하단에만 형성되어 단순히 촛대 역학을 대신하기 위한 장식용도로서 양초의 사용과정에서 불교적 의미를 크게 부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registered utility model 20-0259905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lotus decoration portion formed in a lotus shape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a pillar of a candle. However, the lotus decoration of the prior art is formed only a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por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give a large Buddhist meaning in the process of using the candle as a decorative purpose to replace the candlestick dynamics.
따라서, 출원인은 2017년 11월 27일자로 출원된 “불교의식용 양초” 제하의 특허출원 제10-2017-0159567호에서 백팔 번뇌를 상징하는 염주를 양초에 형성하여 불교의 정신을 함양시킬 수 있고 다양한 불교 의식에 사용되거나 백팔번뇌를 끊고 업장 소멸을 위한 기도를 드릴 때 사용되는 양초를 제안하였다. Therefore, the applicant can cultivate the spirit of Buddhism by forming a beads on the candles, which symbolizes the back-palm, i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159567 filed November 27, 2017 He proposed candles used in various Buddhist ceremonies or used to pray for the destruction of karma and to kill karma.
한편, 불교 의식 중 49재는 고인을 위한 불교 의식으로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천도(薦度:죽은 영혼이 좋은 곳에 태어나도록 기도함)의식이다. 사람이 죽으면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 49일 동안 중음(中陰:죽은 후 다음 생을 받기까지의 기간)의 상태를 맞게 되는데, 이 기간 동안 다음 생을 받을 연(緣)이 정하여진다고 하여 7일마다 불경을 읽고 부처님께 공양하는 의식을 말한다. 즉 죽은 자로 하여금 좋은 생을 받기를 바라는 뜻에서 49일 동안 이 재를 지내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49th of Buddhist rituals is a ritual for praying for the deceased as a Buddhist ritual for praying to the deceased. When a person dies, the person is in a state of midtone for 49 days until the next life is received. During this period, every seven days, the age for the next life is determined. Read the Buddhist scriptures and tell the ordinances of offering to the Buddha. In other words, this ash is spent for 49 days in the hope that the dead will receive a good life.
원래 불교의 '무아설(無我說)'에 따르면 개인의 생전의 행위 자체에 대한 업보(業報)는 그 사람 개인에 한정되며, 어떤 방법으로도 자녀 또는 그 후손 누구에게도 전가될 수가 없으며 전가시킬 수도 없다고 하지만, 유교사상은 이 49일 동안에 죽은 이의 영혼을 위하여 그 후손들이 정성을 다하여 재를 올리면, 죽은 부모나 조상이 후예들의 공덕에 힘입어 보다 좋은 곳에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고, 또 그 조상의 혼령이 후손들에게 복을 주게 된다고 하며, 이점에서 49재는 불교 의식과 유교 문화가 혼합되어 기원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Originally, according to Buddhism, the karma of the conduct of a person's life itself is limited to that person, and in no way can be passed on to his children or to any of his descendants. However, Confucian ideology says that during these 49 days, if the descendants give up their ashes for the soul of the dead, their dead parents or ancestors will be reborn as human beings in a better place thanks to the merits of their descendants, and the spirits of their ancestors. It is said that the descendants will be blessed. In this sense, the 49th is a mixture of Buddhist rituals and Confucian culture.
49재를 치르는 동안 7주일 간격으로 7번 불교 예배를 드리고 있는데, 현재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양초는 원기둥 형상의 양초일 뿐이며, 따라서 고인을 추념하거나 명복을 기원하는 관점에서 개선될 여지가 많으며, 백팔 번뇌를 상징하는 양초를 49재에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There are seven Buddhist worship services held at seven week intervals during the 49th Ash. Currently, the candles used in this process are only cylindrical candles, so there is much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commemorating the deceased or praying for condolences. The use of candles in the 49 ashes, symbolizing defilement, is not appropri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49재를 통하여 고인을 기릴 수 있도록 염불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양초를 태우는 것으로 고인의 명복을 빌고 고인의 숭고한 연을 앙망할 수 있도록 한 불교의식용 양초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pplying the shape of the beads used in the salt fire to honor the deceased through 49 ashes to burn the candles to pray for the deceased kite of the deceased The purpose is to provide Buddhist candles that make it possibl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중앙에 심지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구체가 입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체는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되어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염주가 감싸는 형태로 염주형상부가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염주형상부를 구성하는 구체의 개수는 49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ndle in which a wick is inserte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a body portion and a body portion having a columnar shape, a plurality of spheres having the shape of a beads are formed three-dimension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9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bead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in a form in which the beads are wrapp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the number of the spheres constituting the beads is 49 pieces. Provide Buddhist ritual candles for
상기 구체의 배열은 구체가 7개씩 7열로 배치하여 총 49개를 구성할 수 있다.The spheres can be arranged in a total of 49 spheres arranged in seven rows of seven spheres.
상기 구체의 배열은 구체가 13개씩 3열로 배치되고 10개의 구체를 1열로 배치하여 총 49개를 구성할 수 있다.The spheres may be arranged in three rows of thirteen spheres, and ten spheres may be arranged in one row for a total of 49.
상기 몸체부는 입체적인 형태의 염주형상부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미형성부로 구획되되, 상기 염주형상부는 몸체부의 상부에 먼저 형성되고 미형성부는 염주형상부가 끝난 구간부터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be partitioned into three-dimensional beads and unformed portions having a smooth surface. The beads may be formed firs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unformed portions may be forme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beads.
상기 염주형상부의 일정높이마다 문자 또는 숫자가 기입된 눈금 위치표시부를 더 형성하여 염주형상부가 녹아내려 가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By forming a scale position display portion in which letters or numbers are written at predetermined heights of the beads, the degree of melting of the beads may be determined.
상기 구체의 연결부분에 염주끈을 형상화한 연결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in the shape of the string can be further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phere.
본 발명은 양초에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고인을 애도하고 49제를 깊이 추념하며, 고인의 명복을 빌고 고인의 숭고한 연을 앙망할 수 있도록 불교의식용 양초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shape of the beads used in the Buddhist ritual for the 49th to the candle to mourn the deceased, deeply commemorated the 49th, to pray for the deceased of the deceased and to admire the sublime kite of the deceased The effect is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양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를 구성하는 구체의 배열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가 양각형태로 형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가 음각형태로 형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가 음각형태로 형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 사이에 염주끈을 형상화한 연결부가 더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염주형상부의 일정높이에 위치표시부를 더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phere constituting the beads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beads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embossed form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beads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intaglio shap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beads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intaglio shape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further shaped to form a beads between the sphere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 display portion further form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beads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49재를 통하여 고인을 기릴 수 있도록 염불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양초를 태우는 것으로 고인의 명복을 빌고 고인의 숭고한 연을 앙망할 수 있도록 한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ddhist ritual candle that burns the candle by applying the shape of the beads used in the Buddhist fire to honor the deceased through 49 ashes, so that the deceased kite of the deceased may be enshrined.
본 발명의 염주형상을 갖는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 및 몸체부(10)의 중앙에 심지(20)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는 양초(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외주면에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구체(31)가 입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체(31)는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되어 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염주가 감싸는 형태로 염주형상부(30)가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염주형상부(30)를 구성하는 구체(31)의 개수는 49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uddhist ritual candle (1) for the 49th having a rosary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30)는 복수의 구체(31)가 이어져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구체(31)는 몸체부(10)와 동일한 파라핀과 같은 재질로 일체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은 몸체부(10)에 형성된 염주형상부(30)가 서서히 녹아 소멸되는 과정이 7일 간격으로 불교 의식을 치르면서 49재의 마지막을 향하여 가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나타냄으로써 고인을 추념하고 애도하는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Bead-
또한 상기 염주형상부(30)는 몸체부(10) 주변에 염주가 감겨있는 형상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면과 같이 층층이 감겨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구체(31)가 나선형태로 연결되어 한줄의 염주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염주형상부(30)의 구체(31) 개수는 49재를 의미하는로 49개의 염주알로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염주형상부(30)를 구성하는 구체의 개수가 총 49개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구체(31) 배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몸체부(10)의 외주면 전체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전개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며 (가),(나),(다),(라),(마),(바)의 형태로 총 6개의 방법으로 나타내었다.The number of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형태의 구체 배열은 구체를 7개씩 7열로 배치하여 총 49개를 구성한 것이고, 상기 (나)형태의 구체 배열은 구체를 10개씩 4열로 배치하고 9개의 구체를 1열로 배치하여 총 49개를 구성한 것이고, (다)형태의 구체 배열은 구체를 6개씩 8열로 배치하고 1개의 구체를 1열로 배치하여 총 49개를 구성한 것이고, (라)형태의 구체 배열은 구체를 8개씩 6열로 배치하고 1개의 구체를 1열로 배치하여 총 49개를 구성한 것이고, (마)형태의 구체 배열은 구체를 12개씩 4열로 배치하고 1개의 구체를 1열로 배치하여 총 49개를 구성한 것이고, (바)형태의 구체 배열은 구체를 13개씩 3열로 배치하고 10개의 구체를 1열로 배치하여 총 49개를 구성한 것이다. 구체의 배열 형태에에 따라 구체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3, the sphere arrangement in the form of (A) comprises 49 spheres arranged in seven rows of seven spheres, and the sphere arrangement of the form (B) forms nine spheres in four rows of ten spheres and nine spheres. A total of 49 spheres are arranged in a single row, and the sphere array of the form (C) is composed of eight spheres arranged in six rows and one sphere is arranged in one column, and a total of 49 spheres are formed in the form of (D). Spheres are arranged in 6 rows of 8 spheres and 1 sphere in 1 row to make a total of 49.The (e) shape sphere arrangement consists of 4 spheres of 12 spheres and 1 sphere in 1 row for a total of 49 The arrangement of spheres in the form of (bar) is composed of 49 spheres in which 13 spheres are arranged in three rows and ten spheres are arranged in one row. Of course, the size of the sphere may var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sphere.
또한 상기 염주형상부(30)는 몸체부(10) 전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지만, 구체(31)의 개수에 맞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몸체부(10)의 일정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는 구체(31)에 의해 입체적인 형태의 염주형상부(30)와 아무것도 돌출되어 있지 않고 매끄러운 표면으로 이루어진 미형성부(40)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염주형상부(30)는 몸체부(10)의 상부에 먼저 형성되고 미형성부(40)는 염주형상부(30)가 끝난 구간부터 형성되는 것이 사용상에 있어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염주형상부(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형성부(40)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는 형태의 양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형성부(40)의 표면보다 더 함몰되는 형태의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도 7은 각 구체(31)의 연결부분에 염주끈을 형상화한 연결부(32)를 더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연결되는 구체(31)와 구체(31)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간격을 좀더 형성하고 그 사이에 연결부(32)를 일체로 형성하여 실제 염주의 형상에 좀더 가깝게 구성할 수 있다. FIG. 7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10) 전체의 색상이 일반 양초색상에 해당하는 백색으로 형성되어 염주형상부(30)와 미형성부(40)의 색상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염주형상부(30)의 색상을 실제 염주의 색상으로 흔히 사용되는 갈색이나 검정색으로 구성하고 미형성부(40)의 색상은 백색으로 구성하여 두 구간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할 경우, 염주형상부(30)가 실제 염주의 형태로 더 가깝게 보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of the
도 8은 염주형상부(30)의 일정높이마다 위치표시부(50)를 더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높이에 있는 구체(31)상에 문자, 숫자, 눈금 등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위치표시부(50)를 더 형성하여 염주형상부(30)가 녹아내려 가는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구체를 7열로 배열하는 경우 구체가 1열씩 연소되어 가면 7일 간격으로 공양 의식을 올리는 의미를 잘 표현할 수 있다. 현대에는 49재가 끝난 다음 탈상을 하며, 49일간 7일째 되는 날마다 한 번씩 재를 올려야 하지만 간단하게 마지막 49일에 하는 재만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때 양초를 연소시킴에 따라 지나 온 49일의 의미를 새기고 고인의 안식을 비는 의미가 크게 된다. 8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양초 10 : 몸체부
20 : 심지 30 : 염주형상부
31 : 구체 32 : 연결부
40 : 미형성부 50 : 위치표시부1: candle 10: body
20: wick 30: beads
31
40: unformed portion 50: position display portion
Claims (6)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구체가 입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체는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되어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염주가 감싸는 형태로 염주형상부가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입체적인 형태의 염주형상부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미형성부로 구획되되, 상기 염주형상부는 몸체부의 상부에 먼저 형성되고 미형성부는 염주형상부가 끝난 구간부터 형성되어 상기 심지가 연소할 때 상기 염주형상부의 구체부터 녹아 촛농으로 흐르며
상기 양초는 불교 의식의 49제에 전용되고
상기 염주형상부를 구성하는 구체의 개수는 49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
In the candle body is vertically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made of a columnar shap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pheres having a rosary egg three-dimensional, the sphe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the beads are wrapp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The body portion is partitioned into three-dimensional beads and unformed portion having a smooth surface, wherein the beads are formed firs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non-formed portion is formed from the end of the rosacea shape when the wick is burned Melt from the sphere of shape and flow to candle
The candles are dedicated to 49th of Buddhist rituals
Buddhist ritual candles for 49,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spheres constituting the beads shape is made of 49.
상기 구체의 배열은 구체가 7개씩 7열로 배치하여 총 49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
The method of claim 1,
The arrangement of the sphere is a Buddhist ritual candle for the 49th,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e is arranged in seven rows of seven to make a total of 49.
상기 구체의 배열은 구체가 13개씩 3열로 배치되고 10개의 구체를 1열로 배치하여 총 49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
The method of claim 1,
The arrangement of the sphere is a Buddhist ritual candle for the 49th,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e is arranged in three rows of 13 each arranged in a row of 10 spheres in a row of 49.
상기 염주형상부의 일정높이마다 문자 또는 숫자가 기입된 눈금 위치표시부를 더 형성하여 염주형상부가 녹아내려 가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
The method of claim 1,
Buddhist ritual candles for the 49th,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cale position display portion written letters or numbers for each predetermined height of the rosary to be able to grasp the degree to which the rosary shape is melted.
상기 구체의 연결부분에 염주끈을 형상화한 연결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The method of claim 5,
Buddhist ritual candles for the 49th clai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pherical string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phe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0734A KR102028481B1 (en) | 2018-05-02 | 2018-05-02 | Candle for Buddhism rite for 49th day after dea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0734A KR102028481B1 (en) | 2018-05-02 | 2018-05-02 | Candle for Buddhism rite for 49th day after deat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8481B1 true KR102028481B1 (en) | 2019-10-04 |
Family
ID=6820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0734A KR102028481B1 (en) | 2018-05-02 | 2018-05-02 | Candle for Buddhism rite for 49th day after dea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848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6839A (en) * | 2020-12-01 | 2022-06-08 | 진성복 | Candle for using event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1010A (en) * | 1989-06-20 | 1991-01-30 | 이국재 | Luminous cand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9980062615A (en) | 1996-12-30 | 1998-10-07 | 김영귀 | Cup holder of car |
KR100259905B1 (en) | 1997-09-18 | 2000-06-15 | 정선종 | The control method of new call attempt under the traffic overload condition in cdma system |
KR200259905Y1 (en) * | 2001-09-28 | 2002-01-09 | 김항임 | candle |
KR20100032016A (en) * | 2008-09-17 | 2010-03-25 | 장경분 | Candle having luminous decoration, mol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
2018
- 2018-05-02 KR KR1020180050734A patent/KR10202848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1010A (en) * | 1989-06-20 | 1991-01-30 | 이국재 | Luminous cand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9980062615A (en) | 1996-12-30 | 1998-10-07 | 김영귀 | Cup holder of car |
KR100259905B1 (en) | 1997-09-18 | 2000-06-15 | 정선종 | The control method of new call attempt under the traffic overload condition in cdma system |
KR200259905Y1 (en) * | 2001-09-28 | 2002-01-09 | 김항임 | candle |
KR20100032016A (en) * | 2008-09-17 | 2010-03-25 | 장경분 | Candle having luminous decoration, mol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6839A (en) * | 2020-12-01 | 2022-06-08 | 진성복 | Candle for using event |
KR102532208B1 (en) | 2020-12-01 | 2023-05-15 | 진성복 | Candle for using ev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35694B1 (en) | Candle with insert | |
KR102173270B1 (en) | Eco-friendly Candle Structure | |
KR102028481B1 (en) | Candle for Buddhism rite for 49th day after death | |
Hodgkinson et al. | Working with fire: Making glass beads at Amarna using methods from metallurgical scenes | |
KR102007703B1 (en) | Candle for Buddhism rite | |
KR102158685B1 (en) | Candle for Buddhism rite | |
US5567145A (en) | Celebration candle | |
KR102316291B1 (en) | Buddhist Candles | |
Ryzhov et al. | Church Lighting in Byzantine Cherson | |
US20060172241A1 (en) | Decorative candle having an embedded design | |
KR102228449B1 (en) | Candle for Buddhism rite | |
KR102532208B1 (en) | Candle for using event | |
Roitman et al. | Envisioning the Temple: scrolls, stones, and symbols | |
Myers | Gaslighting in America: A guide for historic preservation | |
Bourogiannis | Cypriot evidence in Seventh-century Rhodes: discontinuity or change | |
JP6283841B1 (en) | Combustion core structure and candle provided with the combustion core structure | |
Landsberger | The origin of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Sabbath | |
JP6283841B6 (en) | Combustion core structure and candle provided with the combustion core structure | |
KR200459924Y1 (en) | Candle equipped with talisman | |
JP4839429B2 (en) | Burning agent multi-structure candle | |
KR20210065606A (en) | Candle holders whose Melted wax can be collected and recycled. | |
Waters et al. | Candelabra-Columns and the Lombard Architecture of Sculptural Assemblage | |
CN209113850U (en) | A kind of candle with self-extinguishing core | |
Bonnéric | Soci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 of Material Culture: The Example of Lighting Devices in Mamluk Mosques | |
JP4834850B2 (en) | Candle with exposed co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11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