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308B1 - Saddle assembly - Google Patents
Saddle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0308B1 KR102310308B1 KR1020210041578A KR20210041578A KR102310308B1 KR 102310308 B1 KR102310308 B1 KR 102310308B1 KR 1020210041578 A KR1020210041578 A KR 1020210041578A KR 20210041578 A KR20210041578 A KR 20210041578A KR 102310308 B1 KR102310308 B1 KR 1023103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ddle
- frame
- occupant
- assembly
- saddle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7—Saddles with specific anatomical adap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8—Covers for saddles or other seats; Pad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좌골에 집중되는 무게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오랜시간 탑승하여도 쾌적한 환경과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해서, 탑승자의 엉덩이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안장의 상단을 수평으로 형성하고, 탑승자의 좌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통공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좌골에 집중된 탑승자의 무게가 통공부를 통해 분산되도록 구성시켜 안장통을 해소하면서 탑승자의 피로도를 감쇠시킬 수 있는 안장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ddl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and comfortable riding comfort even when riding for a long time by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weight concentrated on the seat bone of a passenger so that it can contact the hip of the passenger with a large area. By forming the upper end of the saddle horizontally and forming a hole in the part where the seat bone of the occupant is located, the weight of the occupant concentrated on the seat bone is configured to be distributed through the hole, thereby reducing the fatigue of the occupant. It relates to a saddle assem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안장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 안장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좌골에 집중되는 무게를 분산 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안장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ddle for a bicycle, and to a saddl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distributing weight concentrated on the seat bone of an occupant riding in the bicycle saddle.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근거리 이동수단이나 레저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자전거나, 또는 이를 이용한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스포츠수단으로써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bicycles are used for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or leisure, and recently, bicycles with various functions or exercise equipment using the same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s sports means.
자전거는 탑승자가 안장에 앉은 후 페달을 밟는 힘에 의해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안장은 오랜 시간 탑승자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또한, 인체공학적으로 안장에 착석하는 탑승자의 엉덩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좌골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탑승자의 신체에 비해 비교적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딱딱한 안장에 탑승자가 착석할 경우, 좁은 면적의 좌골에 그 하중이 집중되게 되므로 안장통이 발생될 수 있고, 또는 자전거가 주행되는 도로의 상태에 따라 안장에 진동이 전달됨으로써 안장통이 발생될 수 있다. The bicycle is configured to be driven by the force of pedaling after the rider sits on the saddle, and the saddle supports the rider's loa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 ischial bone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hip of the occupant who is ergonomically seated in the saddle. Since the load is concentrated, the saddle pain may be generated, or the vibr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addle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bicycle is driven, thereby causing the saddle pain.
보통 자전거 안장은 가장자리 부분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곡선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안장의 최상측에 탑승자의 좌골이 위치되게 되고, 곡선에 의해 안장의 최상측 면적은 안장 전체의 면적에 비해 보다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 탑승자의 무게가 집중되게 되어 장시간 탑승하게 되는 경우 안장통을 쉽게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좌골이 위치되는 안장의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통공을 형성하는 경우, 오히려 통공부 내측으로 좌골이 돌출되게 되어 이에 통공부 주변에 위치되는 엉덩이의 부분에 집중적으로 통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장에 전립선이 위치하게 되는데, 전립선이 눌린 상태로 주행하기 때문에 이를 통한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급소의 기능 저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안장과 엉덩이 사이에 통풍이 되지 않아 장시간 주행의 경우 해당 부분에 피부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Usually, since the bicycle saddle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curved edge that falls downward, the seat bone of the occupant is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saddle, and the uppermost area of the saddle is smaller than the overall area of the saddle due to the curve. Since the occupant'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corresponding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at pain is easily caused when riding for a long tim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in the part of the saddle where the ischial bone is located, the ischial bone protrudes into the through hole, and thus the pain is concentrated in the part of the buttocks located around the through hole. have. In addition, the prostate is located in the saddle, and since the prostate is driven in a pressed state, it may interfere with blood circulation and cause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vital 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cause skin dam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의 좌골에 집중되는 무게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안장의 상단을 수평으로 형성하고 탑승자의 좌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통공부를 형성하여, 통공부에 집중된 무게가 안장을 통해 분산되도록 구성시켜 안장통을 해소하면서 탑승자의 피로도를 감쇠시킬 수 있는 안장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fortable ride by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weight concentrated on the seat bone of the occupa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ddle assembly capable of reducing the fatigue of an occupant while relieving the saddle pain by forming a through-hole in the positioned portion so that the weight concentrated in the through-hole is dispersed through the saddle.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과 안장을 연결하는 시트포스트에 조립되는 안장 조립체에 있어서,상기 시트포스트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후면부가 전면부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후면부에 길이방향을 기준 축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한 쌍의 통공부가 배치되는 제1 안장프레임; 상기 제1 안장프레임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장프레임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 되며 결합되고, 상기 후면부가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평면이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치우치며 상기 통공부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제2 안장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addle assembly assembled to a seat post connecting the bicycle frame and the sad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support frame connected to the seat post; A pai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cycle frame and having a rear portion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ront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ference axis, respectively a first saddle frame in which the through portion is disposed;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addle frame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addle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ear part is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the plane is bias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occupant, and the and a second saddle frame in contact with the rim of the through part.
이때, 상기 제2 안장프레임은, 전면부부터 후면부까지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saddl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from the front part to the rear part.
또한, 상기 제2 안장프레임은, 가장자리가 내면보다 1 내지 2도의 경사로 올라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addl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is raised to an inclination of 1 to 2 degrees from the inner surface.
또한, 상기 제1 안장프레임은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장프레임은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2 안장 프레임은, 서로 가장자리가 접촉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addle frame is formed in an upwardly bent shape, the second saddle frame is formed in a downwardly bent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saddle frames ar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the edg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o it with
더불어, 상기 제1 및 제2 안장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통공되도록 각각의 전면부에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addle fram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hrough portion in each front portion to pass throug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2 안장프레임은, 하방으로 소정의 단차가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addle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roov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tep downward.
이때, 상기 홈은, 한 쌍의 상기 통공부 사이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at between the pair of through-holes.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안장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addle fram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polyethylen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안장 조립체는 탄성 및 강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탑승자의 엉덩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탑승자의 좌골과 안장이 닿는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무게를 분산시켜 좌골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 하면서 인체 구조를 고려한 안장 디자인으로 사용자에게 편안한 승차감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addl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occupant's buttocks by manufacturing using a material with good elasticity and rigidity, and intensively reduce the weight on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seat bone and the saddle of the occupant.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omfortable ride and comfort to the user with a saddle design that considers the human body structure while minimiz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schial bone by dispers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배면 사시도
도 5는 측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verall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shown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자전거 프레임과 안장을 연결하는 시트포스트에 조립되는 안장 조립체(10)에 있어서, 상기 시트포스트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0),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후면부(220)가 전면부(210)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 안장프레임(200),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상측에 대향되며 결합되고, 후면부(320)에 탑승자의 엉덩이가 배치되는 제2 안장프레임(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은, 상기 후면부(220)에 한 쌍의 통공부(230)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통공부(230)는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기준 축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ddle assembly (10) assembled to a seat post connecting a bicycle frame and a saddle, a support frame (100) connected to the seat post,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cycle frame and a rear part (220)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상기 자전거 프레임은 일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륜 및 후륜이 결합되는 구조로, 일반적인 자전거의 본체일 수 있다. 상기 시트포스트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과 상기 안장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안장이 결합되어 상기 안장을 상기 자전거 프레임과 연결하고, 또한 상기 자전거 프레임과 상기 안장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구조를 가지면 형태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다.The bicycle frame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one direction,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front and rear wheels ar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may be a body of a general bicycle. The seat post connects between the bicycle frame and the saddle, is formed in a pillar shape, and a fixing part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fixing part and the saddle are coupled to connect the saddle to the bicycle frame, and the bicycle frame If it has a length adjustment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between the and the saddle,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shape.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기 시트포스트의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의 절곡을 가지는 V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 되며 설치될 수 있는 형상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스틸, 알루미늄, 카본, 티타늄,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자전거 주행에 있어 안장을 통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탄성의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할 수 있다. The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0)을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소정의 지름을 갖는 제1봉(101)과 제2봉(102)이 일측에서 접합되고 타측은 서로 이격된 형태인 V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봉(101) 및 제2봉(102)이 접하는 일측이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중간부분이 상기 시트포스트의 상기 고정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보다 넓은 길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봉(101) 및 제2봉(102)은 일측에서 서로 접합하고 타측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봉(101) 및 제2봉(102)은 복수의 절곡부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세부분에 절곡부를 가질 수 있으며, 먼저 상기 제1봉(101) 및 제2봉(102)이 서로 접합된 후 소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곡률을 가지며 절곡된 후, 다음엔 보다 적은 각도로 하방으로 기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마지막으로 상기 제1봉(101) 및 제2봉(102)의 타측 끝단 부분이 상방으로 소정 각도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일측 끝단이 상측 끝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프레임(100) 상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이 전면부(210)에 비해 후면부(220)가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 안장프레임(300)의 상측이 수평하게 상기 안장 조립체(10)에 결합되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각각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전면부(210)와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후면부(220)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은 상기 전면부(210)와 상기 후면부(2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부(210)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전방을 향해 위치되는 것으로, 좁은 폭으로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중반부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220)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후방을 향해 위치되는 것으로, 탑승자의 엉덩이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210)로부터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후면부(220)의 폭은 상기 전면부(210)의 폭 보다 2배 이상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 , the
또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외측 하면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250a, 250b, 250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일측은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 전방부에 형성된 결합홈(250a)에 끼움 되며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타측은 상기 제1 안방프레임의 후방부에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250b, 250c)에 끼움 되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은 탑승자가 승차하여도 파손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이면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탑승자의 승차감을 위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 on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은,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태의 테두리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테두리와 맞물리며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은 상기 안장 조립체(10)의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의 후면부(320)에 탑승자가 탑승하여 자전거를 운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은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과 마찬가지로 전면부(310)에 비해 후면부(320)의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탑승자가 승차하여도 파손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이면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탑승자의 승차감을 위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또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은 하방으로 소정의 단차를 가지며 형성되는 홈(3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홈은 통공된 구멍이 아닌 하방으로 소정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홈(330)은 탑승자가 남자인 경우, 자전거의 장시간 탑승으로 인해 안장에 오랜 시간 전립선이 눌리게 되며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건강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의 넓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면부(320)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면부로부터 후면부(320)까지 이어지도록 상기 홈(33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 the
도 1 및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은, 상기 후면부(320)에 한 쌍의 통공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통공부(230)는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중심 축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공부(230)는, 한 쌍의 상기 통공부(230)의 면적을 합쳤을 때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상기 후면부(220)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면 크기 상관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좌골이 각각 위치되는 위치에서 수직한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신체 구조상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에 형성된 전립선 보호를 위한 상기 홈(330)은, 상기 제1 안장 프레임의 상기 통공부(230)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and 4 ,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후면부(220)에서 탑승자의 좌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상기 통공부(2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에 탑승자가 앉게 되면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좌골이 위치되는 부분의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이 하방으로 쳐지게 되고, 하측에 위치된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상기 통공부(230)와 접촉 되는 것으로 탑승자의 좌골이 무게에 받치며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내려가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이 자연스럽게 좌골을 받쳐주게 되어, 탑승자가 걸터앉은 듯의 느낌으로 안장에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는, 승차감이 편안한 안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through
자전거의 안장은 인체공학적으로 오랜 시간 상당한 하중을 지탱하므로, 탑승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의 표면이 경사 또는 평탄도가 인체의 안락함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따라서,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은, 상기 전면부(310)부터 상기 후면부(320)까지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인체공학적으로 탑승자의 하중을 오랜 시간 동안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이 지탱하므로, 탑승자의 인체에 미치는 안락함을 위해, 탑승자의 엉덩이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종래의 중앙이 돌출되는 안장에 비해 좌골에 집중되는 탑승자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의 가장자리 부분이 내측의 면적보다 상방으로 소정 각도(θ) 상승된 경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면부(320)의 가장자리만 기울기(θ)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이 가라앉더라도 수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또한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의 가장자리가 살짝 올라간 경사(θ)로 형성됨으로써 탑승자의 엉덩이를 받혀주도록 하여 향상된 승차감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고, 장시간 탑승에도 좌효과가 있다. Since the saddle of the bicycle supports a considerable load ergonomically for a long time, the inclination or flatness of the surface of the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안장프레임(200, 300)은 서로 대응되는 테두리로 형성될 수 있어 서로의 테두리가 접하는 것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은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 측으로 눌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안장프레임(200, 300)은 서로 수평면이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은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테두리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몸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은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안장프레임(200, 300)의 테두리가 접촉하며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안장프레임(200)의 수평면과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의 수평면이 서로 이격할 수 있고, 이격된 간격만큼 상기 제2 안장프레임(300)이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first and second saddle frames 200 and 300 may be formed with corresponding rims, so that they may be combined so that their rim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addle frames 200 and 300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도 1 및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안장프레임(200, 300)은 각각 관통부(240, 3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240, 340)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안장프레임(200, 300)이 서로 통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240, 340)는, 상기 제1 및 제2 안장프레임(200, 300)의 전면부(210, 3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240, 340)에 의해, 주행 중에 발생되는 공기가 탑승자의 안장으로 유입되어 안장과 탑승자 간의 통풍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1 and 3, the first and second saddle frames 200 and 300 may include through
상기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상기 안장 조립체(10)는 주행 중 도로의 충격을 완충 작용하여 탑승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탑승자가 페달을 밟을 때 좌골 부분이 안장에 눌리며 발생되는 안장통을 완화시키며, 전립선을 보호하며 관통부를 통해 통풍 또한 제공할 수 있어, 장시간 주행하더라도 탑승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the like and limited embodiment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one embodiment. No,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those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 안장 조립체
100 : 지지프레임
200 : 제1 안장프레임 210 : 전면부
220 : 후면부 230 : 통공부
240 : 관통부
300 : 제2 안장프레임 310 : 전면부
320 : 후면부 330 : 홈
340 : 관통부10: saddle assembly
100: support frame
200: first saddle frame 210: front part
220: rear part 230: through part
240: penetrating part
300: second saddle frame 310: front part
320: rear 330: groove
340: penetrating part
Claims (8)
상기 시트포스트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후면부가 전면부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후면부에 길이방향을 기준 축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한 쌍의 통공부가 배치되는 제1 안장프레임;
상기 제1 안장프레임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장프레임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 되며 결합되고, 상기 후면부가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평면이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치우치며 상기 통공부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제2 안장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조립체.
In the saddle assembly assembled to the seat post connecting the bicycle frame and the saddle,
a support frame connected to the seat post;
A pai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cycle frame and having a rear part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ront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rear par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ference axis, respectively a first saddle frame in which the through portion is disposed;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addle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addle frame, and is coupled, the rear part is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the plane is bias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occupant, and the a second saddle frame in contact with the rim of the through-hole;
A saddle assembly comprising a.
상기 제2 안장프레임은,
전면부부터 후면부까지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addle frame,
Saddl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from the front portion to the rear portion.
상기 제2 안장프레임은,
가장자리가 내면보다 1 내지 2도의 경사로 올라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addle frame,
The saddl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is raised at an inclination of 1 to 2 degrees from the inner surface.
상기 제1 안장프레임은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장프레임은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2 안장 프레임은, 서로 가장자리가 접촉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addle frame is formed in an upwardly bent shape,
The second saddle frame is formed in a downwardly bent shape,
The first and second saddle frames ar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edge-contacting each other.
상기 제1 및 제2 안장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통공되도록 각각의 전면부에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addle frames,
A saddl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ront portions includes a through portion so as to pass throug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2 안장프레임은,
하방으로 소정의 단차가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addle frame,
A saddle assembly comprising a groov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tep downward.
상기 홈은,
한 쌍의 상기 통공부 사이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조립체.
7. The method of claim 6,
The groove is
The saddl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etween the pair of through-holes and opposite positions.
상기 제1 및 제2 안장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addle frames are made of polyethyle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1578A KR102310308B1 (en) | 2021-03-31 | 2021-03-31 | Saddl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1578A KR102310308B1 (en) | 2021-03-31 | 2021-03-31 | Saddle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0308B1 true KR102310308B1 (en) | 2021-10-08 |
Family
ID=7811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1578A Active KR102310308B1 (en) | 2021-03-31 | 2021-03-31 | Saddle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030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84300A (en) * | 2022-04-29 | 2022-07-01 | 广州友群攻城狮科技实业有限公司 | Bicycle sadd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0707B1 (en) * | 2014-12-29 | 2015-04-10 | 임용필 | Air cushion saddle |
KR101638118B1 (en) * | 2015-12-28 | 2016-07-11 | 임용필 | Air cushion saddle |
KR102109534B1 (en) * | 2019-07-30 | 2020-05-12 | 김용주 | saddle for bicycle |
JP6741578B2 (en) * | 2013-10-21 | 2020-08-19 | セレ・ロイヤル・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Selle Royal S.P.A. | Supporting elements for the human body |
KR102197425B1 (en) * | 2013-07-18 | 2021-01-04 | 셀르 에스엠피 에스. 에이. 에스 디 엠 시아폰 | Bicycle saddle |
-
2021
- 2021-03-31 KR KR1020210041578A patent/KR10231030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7425B1 (en) * | 2013-07-18 | 2021-01-04 | 셀르 에스엠피 에스. 에이. 에스 디 엠 시아폰 | Bicycle saddle |
JP6741578B2 (en) * | 2013-10-21 | 2020-08-19 | セレ・ロイヤル・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Selle Royal S.P.A. | Supporting elements for the human body |
KR101510707B1 (en) * | 2014-12-29 | 2015-04-10 | 임용필 | Air cushion saddle |
KR101638118B1 (en) * | 2015-12-28 | 2016-07-11 | 임용필 | Air cushion saddle |
KR102109534B1 (en) * | 2019-07-30 | 2020-05-12 | 김용주 | saddle for bicyc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84300A (en) * | 2022-04-29 | 2022-07-01 | 广州友群攻城狮科技实业有限公司 | Bicycle sadd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104380B1 (en) | Cycle seat | |
US5356205A (en) | Seat assembly with a defined flexure region, venting or support nodules | |
US7717505B2 (en) | Saddle having a cushion sandwiched between a pad and a base | |
EP2085302B1 (en) | Saddle assembly and venting device thereof | |
JP3136741U (en) | Bicycle saddle assembly | |
US8162402B2 (en) | Vehicular seats | |
US20100301650A1 (en) | Lumbar support for a car seat | |
US7044542B2 (en) | Bicycle seat | |
JP2014024538A (en) | Saddle of bicycle | |
KR101042540B1 (en) | Bicycle saddle assembly | |
US7669924B2 (en) | Saddle | |
KR102310308B1 (en) | Saddle assembly | |
US7635161B2 (en) | Seat with adjustable omnidirectional suspension | |
JP2008540215A (en) | Seat structure, especially for bicycles, with a customizable shock absorbing element between the shell and fork | |
KR100935441B1 (en) | Bicycle saddle | |
US6755464B2 (en) | Bicycle seat | |
US20190092409A1 (en) | Cycling saddles with concave features for supporting pelvic anatomy | |
US7708105B1 (en) | All terrain vehicle | |
US20060016651A1 (en) | Shock absorber of a seat of a wheelchair | |
KR102283421B1 (en) | Functional bicycle saddle with pelvic correction and prevention | |
JP2011173450A (en) | Pad supporting device for ride seat | |
JP7191426B1 (en) | Chair | |
KR100961365B1 (en) | Bicycle saddle | |
KR20150139370A (en) | Bicycle Saddle | |
KR102491901B1 (en) | Bicycle saddle having function of seat position adjust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16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5061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