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9803B1 -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803B1
KR102309803B1 KR1020200012259A KR20200012259A KR102309803B1 KR 102309803 B1 KR102309803 B1 KR 102309803B1 KR 1020200012259 A KR1020200012259 A KR 1020200012259A KR 20200012259 A KR20200012259 A KR 20200012259A KR 102309803 B1 KR102309803 B1 KR 102309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oidal silica
weight
paint
low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271A (ko
Inventor
배남수
오중근
이성수
Original Assignee
배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남수 filed Critical 배남수
Priority to KR1020200012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8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8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소재와 석재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계열의 모재 표면에도 부착 가능하도록 부착성이 향상되고 세라믹 도막제로서 불연성이 향상되며 상온에서도 경화 가능한 저온 경화 특성을 가지며 표면 광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Low temperature curing water-soluble ceramic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 소재와 석재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계열의 모재 표면에도 부착 가능하도록 부착성이 향상되고 세라믹 도막제로서 불연성이 향상되며 상온에서도 경화 가능한 저온 경화 특성을 가지며 표면 광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르타르, 콘크리트, 석재 건축물의 외벽 및 내벽에는 도료가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미관 개선이라는 기본적인 역할 이외에 특수한 기능을 가진 도료가 요구되고 있는데, 그 중 화재 시 인명보호를 위해 내화도료가 주목을 받고 있다.
내화도료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건축물의 구조와 성능을 일정시간 유지시켜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료로서, 고온에서 균열, 연화, 박리 및 열변형이 되지 않아야 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89-0010138호에는 메탈실리케이트를 주재료로 하는 발포성 내화무기질 방화재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조성물의 경우 메탈실리케이트의 내열성에 한계가 있어 약 600℃이상의 고온 하에서는 도막이 용융되어 아래로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70809호에는 무기계 규산염계 수지를 사용하여 600℃이상의 고온에서도 내화성능을 가진 내화도료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개시된 조성물은 내수성이 불량하고 피도물과의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84738호에는 유성 스타이렌 변성 아크릴을 사용하여 건조가 빠르고 내후성이 우수하며 발포 탄화층의 탈리 현상이 없는 내열도료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개시된 조성물 역시 모재와의 부착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도막의 내구성이 부족하고 특히 유기용제를 함유하고 있어 도막의 연소 시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방출되는 문제가 있다.
기존 수용성 세라믹 도료과 관련된 종래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4938호 "수용성 세라믹 불연도료의 제조방법"(등록일자 : 2015.04.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a)테트라메톡시실란 20~30 중량%와, 멜라민 10~14 중량%를 혼합한 용액에 인산염 0.3~0.7 중량%를 첨가한 상태에서 70~90로 5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b)상기 숙성된 용액에 암모니아 0.3~0.7 중량%를 혼합하여 PH를 7~8로 조정하고, 증류수 15~25 중량%를 첨가하여 수화하는 단계; (c)상기 수화된 용액에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 6~10 중량%를 첨가한 상태에서 50~60℃로 4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d)상기 숙성된 용액에 암모니아 0.1~0.3 중량%를 혼합하여 PH를 12~13으로 조정하는 단계; 및 (e)상기 PH 조정된 용액에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안료 15~25 중량%, 플라스타(Plaster) 12~16 중량%을 첨가한 혼합액을 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수용성 세라믹 도료는 금속이나 콘크리트 등의 표면에는 부착성이 우수하지만 화장품 용기 등의 합성수지 계열에는 부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도료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화온도를 상승시킬 경우에는 화장품 용기 등의 합성수지 계열의 소재가 고온에 취약한 단점이 있으므로,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89-0010138호 "발포성 무기질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70809호 "발포성 내화도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84738호 "내화성능을 갖는 고밀도 유성계 발포성 내화도료 및 그의 도장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금속 소재와 석재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계열의 모재 표면에도 부착 가능하도록 부착성이 향상되고 세라믹 도막제로서 불연성이 향상되며 상온에서도 경화 가능한 저온 경화 특성을 가지며 표면 광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성의 수소이온 농도지수를 갖는 콜로이드 실리카 30~45중량%, 에틸 알코올 1~20중량%, 증류수 3~15중량%, 레벨링제 0.1~3.0중량%, 수계반응 촉진제 30~48중량%, 용매제 0.1~1.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의 PH 농도는 7.5~8.5이며,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실록산이고, 상기 수계반응 촉진제는 메틸 트리 메톡시 실란이며, 상기 용매제는 구연산이고,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 에틸 알코올, 증류수, 레벨링제, 수계반응 촉진제 및 용매제를 교반기 내에 투입하고 15~95℃의 온도에서 100~5000rpm의 교반속도로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의 콜로이드 실리카는 40중량%이고, 상기 에탄올은 10.8중량%이며, 상기 증류수는 4중량%이고, 상기 폴리실록산은 0.2중량%이며, 상기 메틸 트리 메톡시 실란은 44중량%이고, 상기 구연산은 1중량%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음전하를 띠는 무정질 실리카 미립자가 수중에서 콜로이드 상태를 이루며, 구형의 실리카 미립자구조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은 합성수지 계열의 모재의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하더라도 경화가 이루어지고, 상온의 저온에서도 경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합성수지 계열의 모재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세라믹 도막제로서의 불연성이 향상되며 모재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도막 표면의 매끄러움과 광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은, 중성의 수소이온 농도지수를 갖는 콜로이드 실리카 30~45중량%, 에틸 알코올 1~20중량%, 증류수 3~15중량%, 레벨링제 0.1~3.0중량%, 수계반응 촉진제 30~48중량%, 용매제 0.1~1.0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colloid silica; 일명 실리카졸)는 음전하를 띠는 무정질 실리카(Si02) 미립자가 수중에서 콜로이드 상태를 이루며, 구형의 실리카 미립자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열에 잘 견디도록 불연성이 우수한 세라믹 도막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에틸 알코올(ethylalcohol)은 C2H5OH의 화학식을 가지며, 여기서는 저온에서 휘발될 경우 모재 주변의 경화 온도를 낮추게 되어 본 발명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의 저온 경화 특성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증류수는 PH농도 수치조절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레벨링제는 수성 세라믹 도료의 표면 레벨링을 통해 표면 조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 ; 일명 실리콘)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수계반응 촉진제는 광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는 메틸 트리 메톡시 실란(MTMS : Methyltrimethoxysilane)을 채용한다.
상기 용매제는 열에너지 촉진제 및 용매제 기능을 갖는 구연산(Citric Acid)을 채용한다.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전체 총 중량에 대하여 30.0 중량% 미만시 불연 성능이 저하되고, 45.0중량% 초과시에는 부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에틸 알코올은 전체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미만시에는 저온 경화 특성을 발휘하기 어렵고, 이와 반대로 20.0중량% 초과시에는 부착성이 저하되고 농도가 묽어져 점성이 약화되며 불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증류수는 전체 총 중량에 대하여 3 중량% 미만시에는 PH 농도가 산성화되기 쉬워 PH농도를 중성으로 조절하기 어렵고, 이와 반대로 15중량% 초과시에는 전체 농도가 묽어져 점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레벨링제인 폴리실록산은 전체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미만시 표면 조도 조절이 어려워 표면 거칠기 조절이 어렵고, 3중량% 초과시에는 표면이 매끄러운 반면에 부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수계반응 촉진제인 메틸 트리 메톡시 실란은 전체 총 중량에 대하여 30.0중량% 미만시 광택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이와 반대로 48.0중량% 초과시 도료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고 박리현상이 심해지며 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용매제인 구연산은 전체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미만시 용매제 역활을 수행하기 어렵고, 1.0중량% 초과시 경화가 발생하여 굳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PH 7.0~9.0의 중성 농도를 가지며, 더 바람직하게는 7.5~8.5의 PH농도를 갖는 것이다.
상기 폴리실록산과 메틸 트리 메톡시 실란 및 구연산이 산성이므로, 콜로이드 실리카 및 증류수를 이용하여 본 발명 도료의 PH농도를 중성 수치로 조절한다.
PH농도가 산성 수치에 비해 높을수록 수소이온의 농도가 높아지고 활성화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막의 광택도에 영향을 주므로 7.5~8.5의 중성 수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성분들을 교반기 내에 투입하여 교반할 경우, 15~95℃의 온도에서100~5000rpm의 교반속도로 교반하게 된다.
상기 교반온도가 15℃ 미만이고 교반속도가 100rpm 미만일 경우에는 각 성분들이 골고루 교반되지 못하고 교반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며, 95℃ 초과시에는 에틸 알코올의 휘발성으로 인해 과열될 우려가 있고 5000rpm 초과시에는 교반기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비교예 1,2를 비교한 결과는 아래의 표 1에서와 같다.(100g 기준)
콜로이드 실리카 에탄올 증류수 폴리실록산 메틸 트리 메톡시 실란 구연산
비교예 1 45 1.8 2.0 0.2 50.0 1.0
비교예 2 40.0 5.8 4.0 0.2 49.0 1.0
실시예 40.0 10.8 4.0 0.2 44.0 1.0
상기한 표 1에서와 같이 비교예1,2에서 실시예보다 메틸 트리 메톡시 실란의 비중을 늘리고 에탄올의 비중을 줄인 결과, 비교예1에서는 도막이 벗겨지는 박리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실시예에 비해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대폭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하였고, 비교예2에서는 도막이 일부 벗겨지고 실시예에 비해 부착성이 다소 저하되었다.
상기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저온 경화형 세라믹 도료는 상온에서 10~14시간 내에 경화되고, 80~90℃로 가열할 경우 3~5분 내에 경화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료는 상온에서 자연 건조시키거나, 90℃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온도를 90℃를 초과하는 온도로 지속적으로 가열할 경우에는 모재의 용융점을 초과하여 모재가 녹아버리거나, 도막의 표면 평탄도가 저하되거나 광택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도료는 상온~90℃의 가열 조건에서 경화가 발생하게 되고, 가열온도가 높아질수록 경화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한 배합 비율로 조성된 실시예는 비교예1,2와 비교할 때, 부착성이 향상되고, 상온에서도 경화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목재나 금속재 등의 표면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도료의 범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기존 도료의 경우 경화를 위해 13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경화시키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도료가 코팅되는 모재가 합성수지인 경우 경화 온도에 도달할 경우 용융되어 경화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은 합성수지 계열의 모재의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하더라도 경화가 이루어지고, 상온의 저온에서도 경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합성수지 계열의 모재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은 PH농도가 중성이고 휘발성 성분인 에틸 알코올이 함유됨에 따라 상온 이상의 저온에서도 경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에틸 알코올은 경화를 위한 가열시 휘발되면서 주위 온도를 낮추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용융점이 낮은 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소재에도 본 발명의 도료를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적정 배합 비율을 갖는 에틸알코올, 증류수, 폴리실록산 및 메틸 트리 메톡시 실란을 이용하여 모재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도막 표면의 매끄러움과 광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중성의 수소이온 농도지수를 갖는 콜로이드 실리카 30~45중량%, 에틸 알코올 1~20중량%, 증류수 3~15중량%, 레벨링제 0.1~3.0중량%, 수계반응 촉진제 30~48중량%, 용매제 0.1~1.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의 PH 농도는 7.5~8.5이며, 상기 레벨링제는 산성의 폴리실록산이고, 상기 수계반응 촉진제는 산성의 메틸 트리 메톡시 실란이며, 상기 용매제는 산성의 구연산이고,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 에틸 알코올, 증류수, 레벨링제, 수계반응 촉진제 및 용매제를 교반기 내에 투입하고 15~95℃의 온도에서 100~5000rpm의 교반속도로 교반하여 도료가 제조되되,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음전하를 띠는 무정질 실리카 미립자가 수중에서 콜로이드 상태를 이루는 구형의 실리카 미립자 구조이고,
    상기 도료는 산성의 폴리실록산과 메틸 트리 메톡시 실란 및 구연산을 콜로이드 실리카와 증류수를 이용하여 중성의 PH농도를 갖도록 조절되어 도료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의 콜로이드 실리카는 40중량%이고, 상기 에틸 알코올은 10.8중량%이며, 상기 증류수는 4중량%이고, 상기 폴리실록산은 0.2중량%이며, 상기 메틸 트리 메톡시 실란은 44중량%이고, 상기 구연산은 1중량%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3. 삭제
KR1020200012259A 2020-01-31 2020-01-31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Active KR10230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259A KR102309803B1 (ko) 2020-01-31 2020-01-31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259A KR102309803B1 (ko) 2020-01-31 2020-01-31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271A KR20210098271A (ko) 2021-08-10
KR102309803B1 true KR102309803B1 (ko) 2021-10-08

Family

ID=7731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259A Active KR102309803B1 (ko) 2020-01-31 2020-01-31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505B1 (ko) * 2021-08-10 2023-09-04 배남수 일액형 세라믹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797B1 (ko) * 2001-01-09 2007-11-08 에이제트 일렉트로닉 머트리얼즈 유에스에이 코프. 중성 pH를 갖는 음이온성 콜로이드 실리카의 수성현탁액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071B1 (ko) 1987-12-29 1995-06-08 고려화학주식회사 발포성 무기질 조성물
KR100590502B1 (ko) 2003-12-31 2006-06-15 주식회사 케이씨씨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KR100784738B1 (ko) 2006-10-23 2007-12-13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내화성능을 갖는 고밀도 유성계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및 그의 도장방법
KR101953568B1 (ko) * 2017-01-18 2019-03-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온 경화형 세라믹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797B1 (ko) * 2001-01-09 2007-11-08 에이제트 일렉트로닉 머트리얼즈 유에스에이 코프. 중성 pH를 갖는 음이온성 콜로이드 실리카의 수성현탁액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271A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2866B2 (en) Superhydrophobic coating, superhydrophobic foam concrete,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JP3992602B2 (ja) 断熱構造体
WO2012043292A1 (ja) 水性塗料組成物
CN111875337A (zh) 一种无机降温涂层及其制备方法
KR102309803B1 (ko) 최첨단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CN109266080A (zh) 一种水性无烟无味无机纳米陶瓷防火涂料及其制备方法
CN100378181C (zh) 利用pH值调节的无机涂料组合物及其配制方法和用途
JP2016102218A (ja) コーティング材
KR101310324B1 (ko) 건물 내ㆍ외벽 단열 시공방법
US6730148B2 (en) Fire-proof coating material and fire-proof construction
KR102173210B1 (ko) 에너지 절감형 수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도막 형성방법
KR102354478B1 (ko) 최첨단 불연성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CN107674569A (zh) 一种耐黄变环保水性聚氨酯类隔热涂料的制备方法
KR101197732B1 (ko) 건축물 옥상 단열ㆍ방수 시공방법
KR100990450B1 (ko) 축열기능 및 항균, 탈취 기능을 갖는 기능성 도료
JP2003251736A (ja) 耐火性構造物
JP4656896B2 (ja) 断熱性塗膜の形成方法
JP2004217897A (ja) 水性塗料組成物
KR101337594B1 (ko) 이중 코팅층을 구비한 난연성 황토보드와 그 제조방법
JP2004183330A (ja) 被膜積層体の施工方法
KR101220861B1 (ko) 친환경 단열ㆍ방수도료를 이용한 건축물 복합시공방법
JP2018123251A (ja) 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
JPH1081557A (ja) 不燃性組成物
KR20090047265A (ko) 순수 무기질계 상온 경화형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725022A (zh) 一种伊利石复合涂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5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3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5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3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5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5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3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