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6638B1 - 기립보조의자 - Google Patents

기립보조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638B1
KR102306638B1 KR1020190119607A KR20190119607A KR102306638B1 KR 102306638 B1 KR102306638 B1 KR 102306638B1 KR 1020190119607 A KR1020190119607 A KR 1020190119607A KR 20190119607 A KR20190119607 A KR 20190119607A KR 102306638 B1 KR102306638 B1 KR 102306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standing
coupled
us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237A (ko
Inventor
송보영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9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6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6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거동이 불편하거나, 관절이 약한 사용자의 기립을 보조하기 위한 기립보조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 착석부 하부에 구비되고, 착석부를 상승시켜 착석부를 일 방향으로 기울이는 기립부; 기립부 하부에 구비되고, 착석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높낮이 조절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부; 착석부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하부가 착석부의 좌우측에 결합되고,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등받이부의 양측과 결합되는 팔걸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립보조의자{Standing-assisted chair}
본 발명은 기립보조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관절이 약한 사용자의 기립을 보조하기 위한 기립보조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다리, 등받이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의자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과 팔을 편안하게 지지하는 팔걸이가 마련될 수 있다.
최근에는 직장 생활, 여가 생활, 휴식 등의 상황에서 사용됨에 따라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특히 거동이 불편하거나, 관절이 약한 고령자 또는 환자들은 의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거동이 불편하거나, 관절이 약한 고령자 또는 환자들은 대부분 근력이 약하여 혼자 의자에서 일어나는 것이 쉽지 않고, 일어날 때 잘못된 중심 이동으로 인하여 낙상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거동이 불편하거나, 관절이 약한 고령자 또는 환자들9이하 사용자)을 위한 기립보조의자가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6602호(2018년09월03일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립보조의자는 좌판이 기립되는 경우, 사용자의 체중이 한쪽으로 쏠리게 됨에 따라 중심을 잃어 낙상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6602호(2018년09월03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관절이 약한 착석자의 기립을 보조하기 위한 기립보조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기립할 때 체중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낙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립보조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립보조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착석부를 상승시켜 상기 착석부를 일 방향으로 기울이는 기립부; 상기 기립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착석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착석부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하부가 상기 착석부의 좌우측에 결합되고,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과 결합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립보조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의자에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립보조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기립할 때, 체중이 한쪽으로 쏠림에 따라 전방으로 낙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립보조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립보조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립보조의자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등받이가 구비된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그리고 '전방'을 기준으로 좌우측을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립보조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립보조의자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립보조의자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립보조의자(1)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관절이 약한 사용자의 기립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착석부(10), 기립부(20), 높낮이 조절부(30), 지지부(40), 등받이부(50), 팔걸이부(60)를 포함한다.
착석부(10)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거나 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구비된 기립부(20)에 의해 후방 저면이 상승됨에 따라,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사용자가 의자로부터 기립을 보조받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착석부(1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통상적인 좌판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여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메쉬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의 통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착석부(10)의 상부 일측에는 사용자의 허벅지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한쌍의 오목부(11)와, 오목부(11) 사이에 형성되어 기립시, 상기 사용자가 전방으로 낙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볼록부(1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착석된 착석부(10)가 기립부(20)에 의해 후방 저면이 상승됨에 따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우, 착석부(10)에 앉은 사용자는 전방으로 쏠림에 따라, 낙상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착석부(10)의 상부 일측에 오목부(11) 및 볼록부(12)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착석을 보다 편이하게 함은 물론, 착석부(10)의 기립시 사용자가 전방으로 쏠림에 따라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였다.
기립부(20)는 착석부(10) 하부에 구비되고, 착석부(10)의 후방 저면을 상승시켜 착석부를 일 방향으로 기울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일 방향은 전방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립부(20)는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1), 제2 플레이트(22) 및 구동수단(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플레이트(21)는 높낮이 조절부(3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21)는 통상적인 플레이트 형상으로써, 제2 플레이트(22)의 일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 플레이트(21)는 높낮이 조절부(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일단이 제2 플레이트(22)와 힌지 연결된다.
제2 플레이트(22)는 상부가 착석부(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단이 절곡되어 제1 플레이트(21)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2 플레이트(22)는 일단이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1 플레이트(21)의 일단과 힌지 연결되어 구동수단(23)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구동수단(23)은 제1 플레이트(2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승하강하여 제1 플레이트(21)의 후면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동수단(23)은 통상적인 전기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구동수단(23)은 가스 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와 같이, 제2 플레이트(22)의 후방 저면을 들어올릴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 구동수단(23)은 제1 플레이트(21)의 타단 즉, 도 2를 기준으로 제1 플레이트(21)의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1)에는 중앙에 홀(21a)이 형성된 연결구(21b)가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수단(23)은 연결구(21b)에 일측이 축결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22)를 들어올리게 되어, 착석부(10)의 기립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높낮이 조절부(30)는 기립부(20) 하부에 구비되고, 착석부(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높낮이 조절부(30)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레버가 구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높낮이 조절부(30)의 내측에 실린더와 같이 승강수단을 장착하고, 이를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70)를 팔걸이부(60)의 선단 또는 상부 일측에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70)를 위로 올리거나 내리면 높낮이 조절부(30)가 위, 아래로 움직이고 상기 스위치에서 손을 떼면 손을 뗀 그 자리에서 높낮이 조절부(30)가 멈추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지지부(40)는 높낮이 조절부(30)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판 또는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지부(40)는 높낮이 조절부(30)의 하부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바퀴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등받이부(50)는 착석부(10)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등받이부(50)는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착석부(1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여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통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메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등받이부(50)가 착석부(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따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팔걸이부(60)는 하부가 착석부(10)의 좌우측에 결합되고,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등받이부(50)의 양측과 결합된다. 이러한 팔걸이부(60)는 착석부(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팔걸이부(60)의 상부 일측에는 착석부(10)를 기립시킬 수 있도록, 구동수단(23)의 작동을 위한 구동버튼(8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팔걸이부(6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구동버튼(80)은 구동수단(23)을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수단(23)에 전기 또는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구동수단(23)에 형성된 피스톤로드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외력에 의해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팔걸이부(6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구동버튼(80)을 이용하여 착석부(10)를 기립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의자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립보조의자(1)는 기울기 센서(90) 및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90)는 착석부(10)에 내장되고, 기울기를 감지하여 측정값을 작성한다. 여기서, 측정값은 착석부(10)의 기울기일 수 있다. 기울기 센서(90)는 작성한 측정값을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제어부(100)는 제1 플레이트(21)에 내장되고, 기울기 센서(90)의 측정값에 따라 착석부(10)의 기울기가 일정각도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구동수단(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기울기 센서(90)로부터 전달받은 측정값과 미리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한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기준값은 착석부(10)가 일정 각도를 넘어감으로써,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각도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측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기준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구동수단(23)을 제어하여 일정 기울기를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제1 플레이트(21)에 내장되는 것으로 설명 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기울기 센서(90)로부터 측정값을 원활하게 전달받을 수 있는 위치이면 어떠한 위치에 설치 또는 내장되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립보조의자(1)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의자에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립보조의자(1)에 의하면, 사용자가 기립할 때, 체중이 한쪽으로 쏠림에 따라 전방으로 낙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기립보조의자
10: 착석부
20: 기립부
30: 높낮이 조절부
40: 지지부
50: 등받이부
60: 팔걸이부
70 : 스위치
80 : 구동버튼
90 : 기울기 센서
100 ; 제어부

Claims (3)

  1.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10);
    상기 착석부(1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착석부(10)를 상승시켜 상기 착석부(10)를 일 방향으로 기울이는 기립부(20);
    상기 기립부(2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착석부(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30);
    상기 높낮이 조절부(30)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부(40);
    상기 착석부(10)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50); 및
    하부가 상기 착석부(10)의 좌우측에 결합되고,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부(50)의 양측과 결합되는 팔걸이부(60);
    상기 팔걸이부(60)의 선단 또는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위로 올리거나 내리면 높낮이 조절부(30)가 위, 아래로 움직이고 손을 떼면 손을 뗀 그 자리에서 높낮이 조절부(30)가 멈추도록 하는 스위치(70);를 포함하되,
    상기 기립부(20)는
    상기 높낮이 조절부(30)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중앙에 홀(21a)이 형성된 연결구(21b)가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21);
    상부가 상기 착석부(10)의 하부에 결합되되, 일단이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21)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22); 및
    상기 제1 플레이트(21)의 연결구(21b)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승하강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후면을 상승시키는 구동수단(23);을 포함하며,
    상기 팔걸이부(6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착석부(10)를 기립시킬 수 있도록 구동수단(23)을 작동시키는 구동버튼(80);
    상기 착석부(10)에 내장되어 착석부(10)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측정값을 작성하는 기울기 센서(90);
    상기 제1 플레이트(21)에 내장되고, 기울기 센서(90)의 측정값에 따라 착석부(10)의 기울기가 일정각도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구동수단(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의자.
  2. 청구항 1에서, 상기 착석부(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한쌍의 오목부(11); 및
    상기 오목부(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가 기립시 전방으로 낙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볼록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의자.
  3. 삭제
KR1020190119607A 2019-09-27 2019-09-27 기립보조의자 Active KR102306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07A KR102306638B1 (ko) 2019-09-27 2019-09-27 기립보조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07A KR102306638B1 (ko) 2019-09-27 2019-09-27 기립보조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237A KR20210037237A (ko) 2021-04-06
KR102306638B1 true KR102306638B1 (ko) 2021-09-30

Family

ID=7547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607A Active KR102306638B1 (ko) 2019-09-27 2019-09-27 기립보조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51070B (zh) * 2021-04-08 2021-12-21 郭明樹 診療椅
AT525504A1 (de) * 2021-09-22 2023-04-15 Joka Kapsamer Gmbh Sitzmöbel mit einer Aufstehhilf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195B1 (ko) 2011-08-10 2013-05-31 구경순 자세조절 겸용 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481B1 (ko) * 2001-09-22 2004-05-10 안남기 자세 교정용 의자
KR101894492B1 (ko) * 2016-04-07 2018-09-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실린더와 탄성체를 이용한 기립보조의자
KR101920805B1 (ko) * 2018-01-22 2018-11-21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기립 보조 의자
KR101896602B1 (ko) 2018-03-29 2018-09-10 이순종 기립 및 착석 보조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195B1 (ko) 2011-08-10 2013-05-31 구경순 자세조절 겸용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237A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713B2 (en) Seat elevating mechanism for chair
JP7015849B2 (ja) 歩行補助用車椅子
US20150164719A1 (en) Seat structure with sit-to-stand feature
KR102306638B1 (ko) 기립보조의자
JP2000300611A (ja) 起立介助椅子
JP5666670B2 (ja) 補助機構付きチェアー
JP2000107241A (ja) 点滴・人工透析用椅子
KR101838105B1 (ko) 기립 보조기
JP2003079668A (ja) 起立補助座椅子
JP2003235902A (ja) 起立補助座椅子
KR102590653B1 (ko) 장애인용 전동 기립 의자
EP2419069B1 (en) Seating furniture facilitating rising
JP4512847B2 (ja) 昇降椅子
JP6695070B2 (ja) 便座装置
JP2004016370A (ja) 介護用ベッド
WO2014006768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5095490A (ja) 電動昇降椅子
JP2002136377A (ja) 座椅子
JP2005118143A (ja) 起立補助機能付き椅子
JP2005124795A (ja) 肘掛け椅子
JP2000157573A (ja) 座椅子
JP2009240689A (ja) マッサージ椅子
JP2004113454A (ja) 椅子
CN118873026A (zh) 升降式坐便椅及其升降控制方法
JPH08317951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