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4974B1 - Portable multi-tensioning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multi-tensio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974B1
KR102304974B1 KR1020200098726A KR20200098726A KR102304974B1 KR 102304974 B1 KR102304974 B1 KR 102304974B1 KR 1020200098726 A KR1020200098726 A KR 1020200098726A KR 20200098726 A KR20200098726 A KR 20200098726A KR 102304974 B1 KR102304974 B1 KR 102304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upled
fixed
work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7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재훈
Original Assignee
방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재훈 filed Critical 방재훈
Priority to KR102020009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9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97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2Straightening vehicle body parts 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6Removing local distortions
    • B21D1/10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pecific articles made from sheet metal, e.g.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바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 상에 보강되어 기립 결합되는 기립 프레임; 기립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사다리 잭을 구비한 받침부; 베이스 프레임에서 받침부와 이격되어 보강 결합되는 서포터; 및 기립 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장을 위한 인장 와이어가 권선되어 있으며, 인장 와이어의 풀림과 당김 고정이 선택 가능하며, 인장 와이어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가 연결된 인장수단을 포함하며, 차체 손상 부위의 경미한 인출 작업 사용이 편리하며, 고정레일에 고정과 분리사용 및 이동 설치 고정이 용이하며, 인장 작업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여러 변형을 통한 복원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동 작업을 위한 휴대가 가능하고 조립 분해가 쉬우며, 중량이 적어 가볍게 가지고 다니면서 판금 및 덴트에 대한 조립식 경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comprising: a horizontal bar-shaped base frame; a standing frame that is reinforced on the base frame to stand-up coupled;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anding frame, the support portion having a ladder jack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se frame; a supporte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in the base frame and reinforced; An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and fixed up and down in the standing frame, a tension wire for tensioning is wound, unwinding and pulling fixing of the tension wire can be selected, and it includes a tensioning means connected with a hook for hooking and fixing on the tension wire. In addition, it is convenient to use the work of taking out minor damage to the car body, and it is easy to fix, separate, use, move, install and fix on the fixed rail, and it can be firmly fixed in tension work, and it can easily perform restoration work through various deforma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dvantages of being portable for moving work,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carry light weight due to its low weight, allowing prefabricated light work for sheet metal and dents.

Description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PORTABLE MULTI-TENSIONING DEVICE}PORTABLE MULTI-TENSION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판금에 사용되는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used for sheet metal in a vehicle.

차량의 섀시에 해당되는 외관 판넬은, 사고에 의해 찌그러지면서 손상된다. 이처럼 손상된 판넬은 모듈 방식으로 교체되기도 하지만, 주로 인장기를 통한 인장작업 후에 판금이나 덴트와 같은 수리 작업을 통해 복원된다.The exterior panel corresponding to the chassis of the vehicle is damaged by being crushed by an accident. Such damaged panels are sometimes replaced in a modular way, but are restored through repair work such as sheet metal or dents after tensile work through a tensioner.

차량의 인장 작업에는 스터드 용접과 후크를 인장장치에 연결하여 함몰되거나 찌그러진 부위를 당기어 복원하고, 망치 및 다양한 판금도구를 사용하여 정교하게 펴는 방식을 사용한다.For the tensioning work of the vehicle, the method uses stud welding and hooks to the tensioning device to pull and restore the recessed or dented parts, and to use a hammer and various sheet metal tools to finely straighten them.

인장장치는 풀러라고도 하며, 후크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존의 풀러는 주로 대형으로서, 차량의 손상 부위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된다.The tensioning device, also called a puller, is configured to pull the wire connected to the hook. Existing pullers are mainly large and are used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in the damaged part of the vehicle.

기존의 대형 풀러는 지금까지 경작업 및 대형작업 모두 사용되고 있으며, 경작업시 대형 풀러를 이동시켜 작업을 진행하려면, 작업 중 풀러 이동으로 인해 작업자 피로감이 많아지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었다.Existing large pullers have been used for both light work and large work so far, and when moving the large puller during light work to proceed with the work, the worker's fatigue increas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puller during work and the work time was long.

이처럼 기존의 차량 판넬을 인장하기 위한 대형 풀러는, 차체 프레임, 각종 내부 차체 골격 변형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작업과 같은 차체 수정을 통한 차량의 수리를 위한 것으로서, 크기가 크고 무게가 중량이므로 판넬 수정 작업에 포함되는 경작업(판금, 덴트)에 사용하기가 불편함이 있었다.As such, the large puller for tensioning the existing vehicle panel is for repairing the vehicle through body modification, such as restoring the body frame and various internal body skeleton deformations to their original state. It was inconvenient to use for light work (sheet metal, dent) included in the correction work.

참고적으로, 기존의 차량의 덴트 및 판금에 관한 장치 기술로는, 특허출원 제10-2016-0021136호에 개시된 '차량의 판금 교정장치'가 있다.For reference, as a device technology related to a conventional vehicle dent and sheet metal, there is a 'vehicle sheet metal correction device'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21136.

상기와 같은 기존의 대형 인장풀러의 불편함(무게, 부피)을 해소하려면, 이동과 설치가 쉬워야 하며, 경미한 인출 작업시 사용이 편리해야 한다. 즉 레일 브릿지가 고정레일에 사용되기 쉽고 미사용이 충분히 가능해야 한다.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weight, volume) of the existing large tension puller as described above, it should be easy to move and install, and it should be convenient to use during a slight withdrawal operation. In other words, the rail bridge should be easy to use on the fixed rail and sufficiently useless.

또한, 고정레일에서 고정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체의 손상부위 인출 작업 중 풀러가 움직이지 말아야 하며, 안전작업에서 상하 슬라이드(U고리)에 당김 작업 반대에 안전 줄을 고정하며, 인출(당김) 작업 중 차체 경화 현상 수리시 여러 변형(소성, 탄성변형)을 동시에 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출장(덴트) 수리시 휴대가 가능하고 조립분해가 쉬워야 하고, 사용 시 튼튼하고 가벼워야 한다.In addition, if the fixed rail is not used fixedly, the puller should not move during the pulling out of the damaged part of the car body. When repairing the hardening phenomenon of the car body during work, it should be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multiple deformations (plastic and elastic deformation). Moreover, it should be portable and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during business trip (dent) repair, and it should be strong and light in use.

기존의 대형 풀러의 사용 중에 여러 불편한 점들을 충분히 경험하게 되었으며, 불편한 작업 과정을 해소하기 위해 연구해본 결과, 상기와 같은 요구 사항들을 고려한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Many inconveniences were experienced during the use of the existing large puller, and as a result of research to solve the inconvenient work process, a technology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requirements.

본 발명은 차체 손상 부위의 경미한 인출 작업 사용이 편리하며, 고정레일에 고정과 분리사용 및 이동 설치 고정이 용이하며, 인장 작업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여러 변형을 통한 복원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동 작업을 위한 휴대가 가능하고 조립 분해가 쉬우며, 중량이 적어 가볍게 가지고 다니면서 판금 및 덴트에 대한 조립식 경작업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venient to use a slight withdrawal operation of a damaged part of a vehicle body, and it is easy to fix, separate, use, move, install and fix on a fixed rail, and it can be firmly fixed in a tension operation, and restoration work through various deformations is easily performed. It is to provide a portable multi-tensioning device that can be carried for moving work,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has a small weight, so that it can be carried lightly and can perform prefabricated light work on sheet metal and dents.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는, 수평 바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보강되어 기립 결합되는 기립 프레임; 상기 기립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사다리 잭을 구비한 받침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받침부와 이격되어 보강 결합되는 서포터; 및 상기 기립 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장을 위한 인장 와이어가 권선되어 있으며, 인장 와이어의 풀림과 당김 고정이 선택 가능하며, 인장 와이어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가 연결된 인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 파이프; 상기 고정 파이프에 분리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며, 작업 지면에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이동 고정부; 및 상기 고정 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bar-shaped base frame; a standing frame reinforced on the base frame to stand-up coupled;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anding frame, the support portion having a ladder jack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base frame; a supporter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art in the base frame and reinforcedly coupled; and a tensioning mean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anding frame, a tension wire for tensioning is wound, unwinding and pulling fixing of the tension wire can be selected, and a hook for hooking and fixing to the tension wire is connected. Including, wherein the supporter, a fixed pipe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bottom of the base frame; a movable fixing unit separably coupled to the fixed pipe, male and female, movable and fixed on the work surface; and a fixing bolt coupled to the fixing pipe to fix the moving fixing unit.

상기 이동 고정부는, 상기 고정 레일에 설치되는 레일 브릿지로 마련되며, 상기 레일 브릿지는, 상기 인장수단의 인장 방향에 교차하도록 작업 지면에 형성되는 직선 홈부 형상의 고정레일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고정뭉치; 및 상기 고정뭉치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 파이프에 암수 결합되는 결합 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뭉치는 고정레일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고정레일의 양측 작업 지면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접촉 지지부가 마련되되, 상기 고정뭉치와 결합 바는 일체로 제작됨이 적절하다.The movable fixing unit is provided as a rail bridge installed on the fixed rail, and the rail bridge is a fixed bund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ed rail in the shape of a straight groove formed on the work surface to cross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tension means. ; and a coupling ba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bundle and coupled to the fixed pipe, the fixed bundle having a slider that is inserted into the fixed rail and moved, and is supported on the working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fixed rail on the upper part of the slider. It is appropriate that the fixed contact support is provided, and the fixing bundle and the coupling bar are integrally manufactured.

상기 이동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와 서포터에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파이프; 및 상기 지지 파이프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인장수단의 인장 방향에 대응하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 잭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파이프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서 작업 차량 측으로 작업 지면에 평평하게 설치되되, 상기 받침부가 설치되기 위한 복수의 체결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잭은 사다리 잭으로 마련되어 작업 차량에 지지됨으로써 위치 고정될 수 있다.The movable fixing unit may include a support pipe coupled to the support unit and the supporter, the length of which can be adjusted; and a fixing jack detach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pipe and providing a fix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tensioning direction of the tensioning means, wherein the support pipe is flat on the work groun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ase frame toward the work vehicle. Doedoe installe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for installing the support portion, the fixing jack is provided as a ladder jack can be fixed position by being supported by a work vehicle.

상기 이동 고정부는, 상기 지지 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며,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조인트 통로가 마련된 파이프 조인트; 상기 파이프 조인트의 수평 방향의 조인트 통로에 결합되며, 작업 차량의 바퀴가 직각 공간에 안치되는 수평버팀대; 및 상기 파이프 조인트의 수직 방향의 조인트 통로에 결합되는 수직버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버팀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잭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제1 고정볼트; 및 상기 수직버팀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잭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제2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잭은 상기 수평버팀대 및 수직버팀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작업 차량에 지지됨이 적절하다.The movable fixing unit may include: a pipe joint connected to an end of the support pipe and provided with joint passages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 horizontal brace coupled to the joint passa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ipe joint, the wheel of the work vehicle being placed in a right angle space; and a vertical brace coupled to the joint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pe joint,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fixing bolts are provided on the horizontal brace and for installing the fixing jack; and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bolts provided on the vertical brace and for installing the fixing jack, wherein the fixing jack is installed on any one of the horizontal brace and the vertical brace to be supported by the work vehicle.

상기 이동 고정부는 상기 지지 파이프 상에 설치되는 바퀴축과 한 쌍의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fix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wheel shaft and a pair of wheels installed on the support pipe.

상기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는, 상기 기립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홀더는, 상기 기립 프레임에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수평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암나사 홀들이 일렬로 형성되어 마련된 수평 바; 및 상기 수평 바의 암나사 홀들에 분리 및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링을 더 포함함이 적절하다.The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movable holder movably installed on the standing frame, wherein the movable holder includes: a movable block movably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standing frame; a horizontal bar which is horizontal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and provided with female threaded holes formed in a line; and a plurality of fixing rings detachably coupled to the female threaded holes of the horizontal bar so as to be removably positioned.

상기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는, 상기 기립 프레임의 상단부를 당기어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상부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기립 프레임의 상단부에 암수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인장수단의 인장 반력에 대응하는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홀딩 와이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The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upper holder provided to pull and fix the upper end of the standing frame, the upper holder comprising: a fixing block coupled to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tanding frame; and a holding wire connected to the fixing block and configured to provide a fix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tension reaction force of the tensioning means.

상기 인장수단은, 상기 인장 와이어가 감겨 있는 핸드 윈치; 상기 핸드 윈치에서 상기 인장 와이어의 풀림 및 당김 선택을 위한 래치가 구비된 레버; 및 상기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인장 와이어의 풀림 및 당김 위치에서 상기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함이 적절하다.The tension means, a hand winch on which the tension wire is wound; a lever provided with a latch for the selection of loosening and pulling of the tension wire in the hand winch; and a spring connected to the lever and resiliently supporting the lever in a position where the tension wire is released and pulled.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차체 손상 부위의 경미한 인출 작업 사용이 편리하며, 고정레일에 고정과 분리사용 및 이동 설치 고정이 용이하며, 인장 작업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여러 변형을 통한 복원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s convenient to use for taking out minor damage to the body, easy to fix, separate, use, move, install and fix on a fixed rail, can be firmly fixed in tensioning work, and through various deformations Restoration work can be performed easily.

이동 작업을 위한 휴대가 가능하고 조립 분해가 쉬우며, 중량이 적어 가볍게 가지고 다니면서 판금 및 덴트에 대한 조립식 경작업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multi-tensioning device that is portable for moving work,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has a low weight, so that it can be carried lightly and can perform prefabricated light work on sheet metal and d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가 고정 레일에 설치된 설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에 지지 파이프와 고정 잭이 적용된 설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에 지지 파이프, 파이프 조인트, 및 고정 잭이 적용된 설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의 수직버팀대에 고정 잭이 설치되어 작업 차량의 휠에 지지된 설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의 기립 파이프에 이동 홀더가 적용된 설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의 기립 파이프에 상부 홀더가 적용된 설치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의 핸드 윈치의 상세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of FIG. 1 installed on a fixed rail; FIG.
3 is an installation view in which a support pipe and a fixed jack are applied to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stallation view in which a support pipe, a pipe joint, and a fixed jack are applied to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stallation view in which a fixing jack is installed on a vertical brace of a portable multi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pported on a wheel of a work vehicle.
6 is an installation view in which a movable holder is applied to a standing pipe of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installation view of an upper holder applied to a standing pipe of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etailed view of a hand winch of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실질적인 구현성과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 요소의 실시 예에 의해 설명한다.Hereinafter, amo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multi-tensile device with high practical realization and industrial applicabilit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의 사시도며,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가 고정 레일에 설치된 설치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tallation in which the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of FIG. 1 is installed on a fixed rail.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는, 수평 바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01), 베이스 프레임(101) 상에 보강되어 기립 결합되는 기립 프레임(102), 기립 프레임(102)의 하부에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101)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사다리 잭(111)을 구비한 받침부(110), 베이스 프레임(101)에서 받침부(110)와 이격되어 보강 결합되는 서포터(120), 및 기립 프레임(102)에서 상하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장 와이어(181)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182)가 연결된 인장수단(180)을 포함한다.1 and 2, the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bar-shaped base frame 101, a standing frame 102 that is reinforced and erected on the base frame 101. , The support part 110 having a ladder jack 111 that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anding frame 102 an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rame 10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art 110 in the base frame 101 It includes a supporter 120 that is reinforcingly coupled, and a tensioning means 180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and fixed up and down in the standing frame 102 and connected to a hook 182 for hooking and fixing the tension wire 181 .

베이스 프레임(101)과 기립 프레임(102)은, 사각 철재 바(bar)로 마련되어 장치 본체(100)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다른 요소들을 작업 영역에 설치하면서 적절한 작업 위치에 고정시키고, 인장작업 중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견디는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The base frame 101 and the standing frame 102 are provided as a square iron bar to constitute the device body 100, and while other elements are installed in the working area, they are fixed in an appropriate working position, and act during the tensioning operation. It provides a frame structure that withstands the tensile force.

베이스 프레임(101)과 기립 프레임(102)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삼각 형상의 상부 보강부재(103)가 연결 모서리부에 결합됨으로써 직각 결합에서 보강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1)과 기립 프레임(102)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철재보다 더 가벼우며 충분한 강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The base frame 101 and the standing frame 102 are coupled by welding, and the triangular-shaped upper reinforcing member 103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edge por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structure in right angle coupling. The base frame 101 and the standing frame 102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n aluminum alloy that is lighter than iron and has sufficient rigidity.

받침부(110)는 장치 본체(100)의 하부를 작업 지면에 지지시키며, 높이 조절될 수 있도록 사다리 잭(111)으로 마련된 것이다. 사다리 잭(111)은 베이스 프레임(101)에 용접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리 및 조립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unit 110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100 on the working ground, and is provided as a ladder jack 111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The ladder jack 111 is welded to the base frame 101 to be firmly fix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and assembled.

사다리 잭(111)은 상용 제품으로서 상부와 하부의 복수 쌍의 링크 바(112)들의 양측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결합된 회전부로 결합되며, 양측 회전부가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롱 볼트(114)로 연결되고, 롱 볼트(114)에 회전을 위한 회전 손잡이(113)가 마련된 것이다.Ladder jack 111 is a commercial product, and both sides of a plurality of pairs of link bars 112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rotating part that is axi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 long bolt 114 so that both sides of the rotating part can adjust the distance. connected to, and a rotation handle 113 for rotation is provided on the long bolt 114 .

서포터(120)는 받침부(110)로 사용된 사다리 잭(111)과 이격되어 베이스 프레임(101)을 작업 지면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작업 차량의 손상 판넬에 대한 작업 방식에 따라 위치가 작업 지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간접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er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ladder jack 111 used as the support 110 to support the base frame 101 on the work ground, and the position is on the work ground according to the work method for the damaged panel of the work vehicle. It can be directly fixed or indirectly fixed.

이러한 서포터(120)는 베이스 프레임(101)의 저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 파이프(121), 고정 파이프(121)에 분리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며 작업 지면에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이동 고정부(130), 및 고정 파이프(121)에 결합되어 이동 고정부(130)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31)를 포함한다.The supporter 120 is a fixed pipe 121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bottom of the base frame 101, a male and female separably coupled to the fixed pipe 121, and a movable fixing part ( 130 , and a fixing bolt 131 coupled to the fixing pipe 121 to fix the moving fixing unit 130 .

고정 파이프(121)는 베이스 프레임(101)의 하부에 직각으로 결합되며, 하부 보강부재(122)에 의해 보강된 것으로서, 이동 고정부(130)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고정볼트(131)가 체결되며 내부로 연결되는 관통 나사부(123)가 외주부에 마련된 것이다.The fixed pipe 121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1 at right angles, and is reinforced by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122 , and has a shape of a pipe into which the movable fixing unit 130 is inserted and installed, and a fixing bolt 131 . ) is fastened and a through screw part 123 connected to the inside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이동 고정부(130)는, 작업 영역의 고정 레일(135)에 설치되는 레일 브릿지(133)로 마련된다.The moving fixing unit 130 is provided as a rail bridge 133 installed on the fixed rail 135 of the work area.

레일 브릿지(133)는 고정뭉치(134), 결합 바(136), 및 슬라이더(137)를 포함한다.The rail bridge 133 includes a fixed bundle 134 , a coupling bar 136 , and a slider 137 .

고정뭉치(134)는 인장수단(180)의 인장 방향에 교차하도록 작업 지면에 형성되는 직선 홈부 형상의 고정레일(135)에 대응한 형상으로서, 고정 레일(135)에 걸치기 위한 형상을 갖게 된다.The fixing bundle 13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rail 135 in the shape of a straight groove formed on the working surface to cross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tensioning means 180 , and has a shape to span the fixing rail 135 .

결합 바(136)는 고정뭉치(134)의 상부에 마련되어 고정 파이프(121)에 암수 결합되며, 고정뭉치(134)와 일체로 제작된 것으로서, 고정볼트(131)에 가압 접촉되어 고정 파이프(121)에서 고정된다.The coupling bar 136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bundle 134 and coupled to the fixing pipe 121 male and female, and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bundle 134 , and is press-contacted with the fixing bolt 131 to make the fixing pipe 121 . ) is fixed at

슬라이더(137)는 고정뭉치(134)와 일체로 제작되어 고정레일(135)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고정뭉치(134)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고정레일(135)에서 이동 및 고정레일(135)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이 저지되기 위한 두꺼운 일자 형상을 갖는다.The slider 137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fixed bundle 134 and inserted into the fixed rail 135 , has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fixed bundle 134 , and moves on the fixed rail 135 and crosses the fixed rail 135 . It has a thick straight shape to prevent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슬라이더(137)의 상부에는 고정레일(135)의 양측 작업 지면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접촉 지지부(138)가 마련된다. 접촉 지지부(138)는 고정뭉치(134)에서 슬라이더(137)가 연결된 중앙부 양측으로 마련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slider 137 is provided with a contact support portion 138 that is fixed by being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work surface of the fixed rail (135). The contact support 138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to which the slider 137 is connected in the fixed bundle 134 .

이동 고정부(130)는, 고정레일(135)에 설치되는 레일 브릿지(133)와 다른 양상으로서, 고정레일(135)의 사용이 어려운 작업 영역에서는 작업 차량을 간접적으로 이용하여 위치 고정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moving fixing unit 130 is different from the rail bridge 133 installed on the fixed rail 135 , and in a work area where it is difficult to use the fixed rail 135 , the position is fixed by indirectly using a work vehicle. can be us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에 지지 파이프와 고정 잭이 적용된 설치도이다.3 is an installation view in which a support pipe and a fixed jack are applied to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고정부(130)는 받침부(110)와 서포터(120)에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파이프(140), 및 지지 파이프(14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장수단(180)의 인장 방향에 대응하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 잭(145)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movable fixing part 130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supporter 12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pipe 140 and the support pipe 140 with adjustable length. and a fixing jack 145 that provides a fix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tensioning direction of the tensioning means 180 .

지지 파이프(140)는 상호 암수 연결된 이단구조의 사각 파이프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장치 본체(100) 측에서 작업 차량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The support pipe 140 may use two-stage rectangular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s a structure that extends from the device body 100 side to the work vehicle side and can be arranged.

이러한 지지 파이프(140)는 베이스 프레임(101)의 하부에서 작업 차량 측으로 작업 지면에 평평하게 설치되며 받침부(110)에 설치되기 위한 복수의 제1 체결볼트(141)를 구비한다.The support pipe 140 is installed flat on the work groun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ase frame 101 toward the work vehicl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bolts 141 to be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110 .

지지 파이프(140)는 일부가 복수의 제1 체결볼트(141)에 의해 받침부(110)로 사용된 사다리 잭(111)의 저면부에 결합되며, 다른 일부가 레일 브릿지(133)와 같이 고정 파이프(121)에 설치됨으로써 장치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 고정된다.A part of the support pipe 14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ladder jack 111 used as the support part 110 by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bolts 141 , and the other part is fixed like the rail bridge 133 . By being installed in the pipe 121, it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device body 100 .

고정 잭(145)은 받침부(110)의 사다리 잭(111)으로 마련되어 작업 차량에 지지됨으로써 위치 고정되는 것이다.The fixed jack 145 is provided as the ladder jack 111 of the support unit 110 and is fixed in position by being supported by the work vehicle.

이러한 고정 잭(145)은 받침부(110)로 사용되는 사다리 잭(111)과 같은 것으로서, 지지 파이프(140)의 단부에 있는 복수의 제2 체결볼트(142) 상에 설치되어 위치 고정되며, 작업 차량의 저면부에 지지됨으로써 위치 고정된다.This fixed jack 145 is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bolts 142 at the end of the support pipe 140 as the same as the ladder jack 111 used as the support unit 110 and fixed in position, The position is fixed by being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work vehicle.

고정 잭(145)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비치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fixed jack 145 may be generally provided in a vehicle.

한편, 고정 잭(145)이 작업 차량의 바퀴 측에 지지되어 장치 본체(100)가 인장수단(180)의 인장력에 대응하여 위치 고정되는 다른 설치 방식이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nother installation method in which the fixing jack 145 is supported on the wheel side of the work vehicle and the device body 100 is fixed in position in response to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ing means 180 .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에 지지 파이프, 파이프 조인트, 및 고정 잭이 적용된 설치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의 수직버팀대에 고정 잭이 설치되어 작업 차량의 휠에 지지된 설치도이다.4 is an installation view in which a support pipe, a pipe joint, and a fixed jack are applied to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ertical view of the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installation diagram in which a fixed jack is installed on the brace and supported on the wheel of the work vehicle.

도 4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서포터(120)는, 지지 파이프(140)의 단부에 연결되며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조인트 통로가 마련된 파이프 조인트(150), 파이프 조인트(150)의 수평 방향의 조인트 통로에 결합되며 작업 차량의 바퀴(162)가 직각 공간에 안치되는 수평버팀대(151), 및 파이프 조인트(150)의 수직 방향의 조인트 통로에 결합되는 수직버팀대(152)를 더 포함한다.4 to 5 , the supporter 12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upport pipe 140 and includes a pipe joint 150 having joint passages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a joi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ipe joint 150 . It is coupled to the passage and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brace 151 in which the wheels 162 of the work vehicle are seated in a right angle space, and a vertical brace 152 coupled to the joint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pe joint 150 .

수평버팀대(151)에 마련되며 고정 잭(145)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제1 고정볼트(156), 및 수직버팀대(152)에 마련되며 고정 잭(145)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제2 고정볼트(157)을 더 포함한다.A plurality of first fixing bolts 156 provided on the horizontal brace 151 and for installing the fixing jack 145, and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bolts 156 provided on the vertical brace 152 and for installing the fixing jack 145 It further includes a bolt 157 .

고정 잭(145)은 수평버팀대(151)의 제1 고정볼트(156)에 수직하게 설치되거나, 수직버팀대(152)의 제2 고정볼트(157)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수직버팀대(152)는 고정 잭(145)의 설치 양상에 따라 제2 고정볼트(157)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파이프 조인트(150)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xing jack 145 may b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first fixing bolt 156 of the horizontal brace 151 or horizontally on the second fixing bolt 157 of the vertical brace 152 . The vertical brace 152 may be installed in the pipe joint 150 by being rotated in a different direction so that the interference of the second fixing bolt 157 does not occur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spect of the fixing jack 145 .

지지 파이프(140)가 삽입 결합되는 파이프 조인트(150)의 유동을 방지하고, 제2 고정볼트(157)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고정 잭(145)이 밀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파이프 조인트(150)에 고정볼트(13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pipe joint 150 to which the support pipe 140 is inserted and coupled, and the fixing jack 145 installed horizontally to the second fixing bolt 157 to be firmly supported without being pushed, the pipe joint 150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xing bolt (131).

고정 잭(145)은 수평버팀대(151)에 단부에서 제1 고정볼트(156)에 설치됨으로써 작업 차량의 저면부로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jack 145 may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work vehicle by being installed on the first fixing bolt 156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brace 151 .

이와 달리 고정 잭(145)은 수직버팀대(152)의 제2 고정볼트(157)에 설치되고, 이동 고정부(130)에서 수평버팀대(151)가 바퀴(162) 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바퀴(162)의 휠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위치 고정될 수 있다.In contrast, the fixing jack 145 is installed on the second fixing bolt 157 of the vertical brace 152, and in a state where the horizontal brace 151 is extended toward the wheel 162 in the moving fixing unit 130, the wheel ( 162) by being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wheel can be fixed in position.

이처럼 수평버팀대(151)와 고정 잭(145)은 장치 본체(100)가 인장수단(180)에 의해 작업 차량 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저지하게 되므로, 작업 차량에 대한 인장 작업에서 장치 본체(100)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된다.As such, the horizontal brace 151 and the fixing jack 145 prevent the device body 100 from being moved to the working vehicle side by the tensioning means 180, so the position of the device body 100 in the tensioning operation on the working vehicle. is firmly fixed

이처럼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는 상기와 같은 수평버팀대(151)와 고정 잭(145)에 의해 고정 레일이 없는 작업 영역에서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탄력적인 작업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can be sufficiently used in a work area without a fixed rail by the horizontal brace 151 and the fixed jack 145 as described above, and can provide flexible work mobility.

이동 고정부(130)는 지지 파이프(140) 상에 설치되는 바퀴축(161)과 한 쌍의 바퀴(162)를 더 포함함으로써 장치 본체(100)의 작업 차량에 대해 전진, 후진, 및 다른 영역으로 이동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 위치의 조절이 편리하며,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The moving fixing unit 130 further includes a wheel shaft 161 and a pair of wheels 162 installed on the support pipe 140 to move forward, backward, and other area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vehicle of the device body 100 . to facilitate movement and deployment. Accordingly, it is convenient to adjust the working position, and it is easy to mov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의 기립 파이프에 이동 홀더(170)가 적용된 설치도이다.6 is an installation view in which the movable holder 170 is applied to the standing pipe of the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는, 기립 프레임(10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홀더(17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further includes a movable holder 170 movably installed in the standing frame 102 .

이동 홀더(170)는 기립 프레임(102)에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171), 이동블록(171)에 수평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암나사 홀(173)들이 일렬로 형성되어 마련된 수평 바(172), 및 수평 바(172)의 암나사 홀(173)들에 분리 및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링(174)을 더 포함한다.The movable holder 170 is horizontal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171 and the movable block 171 that are movably and fixedly installed in the standing frame 102, and the female screw holes 173 are formed in a line to provide a horizontal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rings 174 that are detachably and positionally coupled to the female threaded holes 173 of the bar 172 and the horizontal bar 172 .

수평 바(172)는 이동블록(171)에 의해 기립 프레임(102)에서 이동되고 위치 조절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링(174)에는 기립 프레임(102)을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여러 개의 홀딩 와이어들이 연결될 수 있다.The horizontal bar 172 may be moved and position-adjusted and fixed in the standing frame 102 by the moving block 171 , and a plurality of holding wire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tanding frame 102 are provided in the fixing ring 174 . can be connected

고정 링(174)은 장치 본체(10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안전 줄들을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스폿 용접기에서 차량 판넬의 손상 부위에 용접 결합된 인장봉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인장봉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retaining ring 174 can be used to connect safety string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evice body 100, and can be connected to tension rods welded to the damaged area of the vehicle panel in a spot welder, and the position adjustment is not possible. Because it is possible, it can be connec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nsion bar.

이러한 고정 링(174)은 소형 윈치 등을 결합하여 기립 프레임(102)의 작은 움직임에 의해 인장봉을 당기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미소한 판금 및 덴트 작업에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fixing ring 174 is used to pull the tension bar by small movement of the standing frame 102 by coupling a small winch, etc., and plays a role in micro sheet metal and dent work.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의 기립 파이프에 상부 홀더가 적용된 설치도이다.7 is an installation view of an upper holder applied to a standing pipe of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는, 기립 프레임(102)의 상단부를 당기어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상부 홀더(175)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upper holder 175 provided to pull and fix the upper end of the standing frame 102 .

상부 홀더(175)는, 기립 프레임(102)의 상단부에 암수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블록(176), 및 고정블록(176)에 연결되며 인장수단(180)의 인장 반력에 대응하는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홀딩 와이어(177)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holder 175 is connected to a fixing block 176 that is male and female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tanding frame 102 ,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block 176 to provide a fix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tensile reaction force of the tensioning means 180 . It may include a holding wire 177 for.

상부 홀더(175)는 기립 프레임(102)의 상단부에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홀더(175)에 연결되는 홀딩 와이어(177)에 의해 기립 프레임(102)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기립 프레임(102)이 움직이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The upper holder 175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tanding frame 102, and the standing frame 102 is formed by a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standing frame 102 by a holding wire 177 connected to the upper holder 175. It is possible to block the movement phenomenon.

홀딩 와이어(177)의 단부는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곳은 어디든 결속시킬 수 있으며, 충분한 무게를 갖는 중량체에 걸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일(135)에 설치된 브래킷타입의 보조 레일 브릿지(133-1)에 연결하여 지지토록 하여 홀딩 와이어(177)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응토록 할 수도 있다.The end of the holding wire 177 can be bound anywhere where it can be firmly fixed, and it can be hung on a weight having sufficient weight, and as shown in the figure, a bracket-type auxiliary rail installed on the fixing rail 135 as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bridge 133-1 to respond to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holding wire 177.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다중 인장장치의 핸드 윈치의 상세도이다.8 is a detailed view of a hand winch of a portable multipl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인장수단(180)은 인장을 위한 인장 와이어(181)가 권선되어 있으며, 인장 와이어(181)의 풀림과 당김 고정이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 핸드 윈치(190)로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 8 , the tensioning means 180 is provided with a hand winch 190 in which a tension wire 181 for tension is wound, and unwinding and pulling and fixing of the tension wire 181 are selectable.

이러한 인장수단(180)은, 인장 와이어(181)가 감겨 있는 핸드 윈치(190), 핸드 윈치(190)에서 인장 와이어(181)의 풀림 및 당김 선택을 위한 기어 래치가 구비된 레버(192), 및 레버(192)에 연결되며 인장 와이어(181)의 풀림 및 당김 위치에서 레버(19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93)을 포함함이 적절하다.The tension means 180 includes a hand winch 190 on which the tension wire 181 is wound, a lever 192 with a gear latch for selecting the loosening and pulling of the tension wire 181 from the hand winch 190, and a spring 193 connected to the lever 192 and resiliently supporting the lever 192 in the loosening and pulling positions of the tension wire 181 .

레버(192)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어느 한쪽으로 위치 고정됨으로써 기어(191)들에 대한 작용에 의해 핸드 윈치(190)에서 인장 와이어(181)의 풀림이나 당김을 허용하게 된다. 핸드 윈치(190)에는 홀딩 와이어(177)를 감거나 풀기 위한 회전용 손잡이가 마련된다. 레버(192)는 스프링(193)에 의해 탄력적으로 위치 고정된다.The lever 19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xed to one side, thereby allowing loosening or pulling of the tension wire 181 in the hand winch 190 by the action on the gears 191 . The hand winch 19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handle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holding wire 177 . The lever 192 is elastically fixed in position by a spring 193 .

핸드 윈치(190)는 회전을 허용하면서 반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래치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용 제품에서 레버(192)를 연장 배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hand winch 190 has a general latch structure for preventing reverse rotation while allowing rotation, and a lever 192 extending from a commercial product may be us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인장장치로 당기는 작업뿐만 아니라 고르기 해머를 이용하여 변형된 곳이나 솟아오른 곳을 함께 수정할 수 있게 만듦으로, 고정레일이 없이도 경작업 부위가 여러 부위 및 차량외판면적이 넓은 작업 시 여러 개의 클램프와 핸드윈치 등을 동시에 걸어 작업을 할 수 있어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효율도 좋아지게 하며, 판금 및 덴트와 같은 간단한 경작업을 이동하며 신속하고 편안하게 작업이 가능하게 만드는 장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kes it possible to correct not only the pulling operation with one tensioning device but also the deformed or raised areas using a leveling hammer, so that the light work area can be divided into several areas and the vehicle exterior plate area without a fixed rail. In case of wide work, several clamps and hand winches can be hung at the same time, which reduces time and improves work efficiency. provid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based thereon can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deletion or addition, which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장치 본체 101: 베이스 프레임
102: 기립 프레임 103: 상부 보강부재
110: 받침부 111: 사다리 잭
112: 링크 바 113: 회전 손잡이
114: 롱 볼트 120: 서포터
121: 고정 파이프 122: 하부 보강부재
123: 관통 나사부 130: 이동 고정부
131: 고정볼트 133: 레일 브릿지
133-1: 보조 레일브릿지
134: 고정뭉치 135: 고정 레일
136: 결합 바 137: 슬라이더
138: 접촉 지지부 140: 지지 파이프
141: 제1 체결볼트 142: 제2 체결볼트
145: 고정 잭 150: 파이프 조인트
151: 수평버팀대 152: 수직버팀대
156: 제1 고정볼트 157: 제2 고정볼트
161: 바퀴축 162: 바퀴
170: 이동 홀더 171: 이동블록
172: 수평 바 173: 암나사 홀
174: 고정 링 175: 상부 홀더
176: 고정블록 177: 홀딩 와이어
180: 인장수단 181: 인장 와이어
182: 후크 190: 핸드 윈치
191: 기어 192: 레버
193: 스프링
100: device body 101: base frame
102: standing frame 103: upper reinforcement member
110: support 111: ladder jack
112: link bar 113: rotary knob
114: long bolt 120: supporter
121: fixed pipe 122: lower reinforcement member
123: through-thread 130: fixed moving part
131: fixing bolt 133: rail bridge
133-1: auxiliary rail bridge
134: fixed assembly 135: fixed rail
136: coupling bar 137: slider
138: contact support 140: support pipe
141: first fastening bolt 142: second fastening bolt
145: fixed jack 150: pipe joint
151: horizontal brace 152: vertical brace
156: first fixing bolt 157: second fixing bolt
161: wheel axle 162: wheel
170: moving holder 171: moving block
172: horizontal bar 173: female thread hole
174: retaining ring 175: upper holder
176: fixed block 177: holding wire
180: tension means 181: tension wire
182: hook 190: hand winch
191: gear 192: lever
193: spring

Claims (8)

수평바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01);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 상에 보강되어 기립 결합되는 기립 프레임(102);
상기 기립 프레임(10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사다리 잭(111)을 구비한 받침부(1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에서 상기 받침부(110)와 이격되어 보강 결합되는 서포터(120); 및
상기 기립 프레임(102)에서 상하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장을 위한 인장 와이어(181)가 권선되어 있으며, 인장 와이어(181)의 풀림과 당김 고정이 선택 가능하며, 인장 와이어(181)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182)가 연결된 인장수단(180)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터(1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의 저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 파이프(121);
상기 고정 파이프(121)에 분리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며, 작업 지면에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이동 고정부(130); 및
상기 고정 파이프(121)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고정부(130)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니 다중 인장장치.
a horizontal bar-shaped base frame 101;
a standing frame 102 that is reinforced and stand-up coupled on the base frame 101;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anding frame 102, the base portion 101 having a ladder jack 111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0);
a supporter 120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art 110 in the base frame 101 and reinforcingly coupled; an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and fixed up and down in the standing frame 102 , a tension wire 181 for tension is wound, and unwinding and pulling and fixing of the tension wire 181 are selectable, and the tension wire 181 . It includes a tensioning means 180 to which a hook 182 for hanging and fixing is connected,
The supporter 120,
a fixed pipe 121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se frame 101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ovable fixing unit 130 detachably coupled to the male and female parts of the fixed pipe 121 and capable of moving and fixing on the work surface; and
and a fixing bolt (131) coupled to the fixing pipe (121) to fix the movable fixing part (13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고정부(130)는, 작업 영역의 지면에 고정되게 시공된 고정 레일(135)에 설치되는 레일 브릿지(133)로 마련되며,
상기 레일 브릿지(133)는,
상기 인장수단(180)의 인장 방향에 교차하도록 작업 지면에 형성되는 직선 홈부 형상의 고정 레일(135)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고정뭉치(134); 및
상기 고정뭉치(134)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 파이프(121)에 암수 결합되는 결합 바(13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니 다중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vable fixing unit 130 is provided as a rail bridge 133 installed on a fixed rail 135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work area,
The rail bridge 133,
a fixing bundle 13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rail 135 in the shape of a straight groove formed on the working surface to cross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tension means 180; and
A portable mini multi tensio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undle (134) and includes a coupling bar (136) that is male and female coupled to the fixing pipe (1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고정부(130)는,
상기 받침부(110)와 서포터(120)에 결합되며, 길이가 정해지거나 길이가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작업 차량과 인장수단(180)이 고정된 기립 프레임(102)이 이격되도록 버팀 지지되게 구성된 지지 파이프(140); 및
상기 지지 파이프(14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작업 차량에 지지됨으로써 위치 고정되어 인장수단(180)의 인장 방향에 대응하는 고정력을 제공하게 사다리 잭(111)으로 마련되는 고정 잭(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니 다중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fixing unit 130,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10 and the supporter 120, and the length is fixed or the length is adjustable so that the working vehicle and the standing frame 102 to which the tension means 180 are fixed are supported so as to be spaced apart. support pipe 140; and
A fixing jack ( 145), a portable mini-multiple tensioning device comprising a.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고정부(130)는,
상기 지지 파이프(140)의 단부에 연결되며,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조인트 통로가 마련된 파이프 조인트(150);
상기 파이프 조인트(150)의 수평 방향의 조인트 통로에 결합되며, 작업 차량의 바퀴(162)가 직각 공간에 안치되는 십자형태의 수평버팀대(151); 및
상기 파이프 조인트(150)의 수직 방향의 조인트 통로에 결합되는 수직버팀대(1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버팀대(151)에 마련되며 고정 잭(145)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제1 고정볼트(156); 및
상기 수직버팀대(152)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잭(145)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제2 고정볼트(157)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잭(145)은 상기 수평버팀대(151) 및 수직버팀대(15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작업 차량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니 다중 인장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oving fixing unit 130,
a pipe joint 150 connected to an end of the support pipe 140 and provided with joint passages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 cross-shaped horizontal brace 151 coupled to the joint passa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ipe joint 150, the wheel 162 of the work vehicle is placed in a right-angled space; and
Further comprising a vertical brace 152 coupled to the joint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pe joint 150,
A plurality of first fixing bolts 156 provided on the horizontal brace 151 and for installing the fixing jack 145; and
It is provided on the vertical brace 152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bolts 157 for installing the fixing jack 145,
The fixed jack 145 is installed on any one of the horizontal brace 151 and the vertical brace 152 and is supported by a work vehicl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고정부(130)는 상기 지지 파이프(140) 상에 설치되는 바퀴축(161)과 한 쌍의 바퀴(162)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니 다중 인장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ovable fixing unit 130 further includes a wheel shaft 161 and a pair of wheels 162 installed on the support pipe 140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프레임(10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홀더(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홀더(170)는,
상기 기립 프레임(102)에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171);
상기 이동블록(171)에 수평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개의 암나사 홀(173)이 형성된 수평 바(172); 및
상기 수평 바(172)의 암나사 홀(173)들에 분리 및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링(17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니 다중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vable holder 170 that is movably installed in the standing frame 102,
The movable holder 170,
a moving block 171 that is movable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standing frame 102;
a horizontal bar 172 that is horizontal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71 and has several female screw holes 173 formed therein; and
The portable mini multi tensio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fixing rings (174) coupled to the female threaded holes (173) of the horizontal bar (172) to be detachably and positionally adjustab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프레임(102)의 상단부를 당기어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상부 홀더(17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홀더(175)는,
상기 기립 프레임(102)의 상단부에 암수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블록(176); 및
상기 고정블록(176)에 연결되며 상기 인장수단(180)의 인장 반력에 대응하는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홀딩 와이어(1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니 다중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upper holder 175 provided to pull and fix the upper end of the standing frame 102,
The upper holder 175,
a fixing block 176 that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tanding frame 102; and
and a holding wire (177) connected to the fixing block (176) and providing a fix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tensile reaction force of the tensioning means (18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180)은,
인장 와이어(181)가 감겨 있는 핸드 윈치(190);
핸드 윈치(190)에서 인장 와이어(181)의 풀림 및 당김 선택을 위한 래치가 구비된 레버(192); 및
상기 레버(192)에 연결되며 상기 인장 와이어(181)의 풀림 및 당김 위치에서 상기 레버(19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니 다중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nsion means 180,
a hand winch 190 on which a tension wire 181 is wound;
a lever 192 with a latch for selecting the release and pull of the tension wire 181 in the hand winch 190; and
and a spring (193) connected to the lever (192) and resiliently supporting the lever (192) in a position where the tension wire (181) is released and pulled.
KR1020200098726A 2020-08-06 2020-08-06 Portable multi-tensioning device Active KR1023049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726A KR102304974B1 (en) 2020-08-06 2020-08-06 Portable multi-tensio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726A KR102304974B1 (en) 2020-08-06 2020-08-06 Portable multi-tensio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974B1 true KR102304974B1 (en) 2021-09-24

Family

ID=7791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726A Active KR102304974B1 (en) 2020-08-06 2020-08-06 Portable multi-tensio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97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7804A (en) * 2021-11-25 2022-01-21 中交四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Portable installation prestressing force stretch-draw jack device
CN116160550A (en) * 2022-12-29 2023-05-26 贵州长通集团智造有限公司 Tensioning equipment for electric po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884A (en) * 1996-11-07 1998-05-26 Nagasaki Jack Kk Body restoration device
JPH11170988A (en) * 1997-12-16 1999-06-29 World Class Spirit Kk Tower device for repairing plate work
JP2000094035A (en) * 1998-09-18 2000-04-04 Shugo Fuwa Tower type mending machine for mending automobile body
JP2012187628A (en) * 2011-03-08 2012-10-04 Ueno Corporation:Kk Pullback method for repairing sheet metal and auxiliary tool
JP6389012B2 (en) * 2014-11-20 2018-09-12 オラヴィ・ヴェナライネン Straighten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884A (en) * 1996-11-07 1998-05-26 Nagasaki Jack Kk Body restoration device
JPH11170988A (en) * 1997-12-16 1999-06-29 World Class Spirit Kk Tower device for repairing plate work
JP2000094035A (en) * 1998-09-18 2000-04-04 Shugo Fuwa Tower type mending machine for mending automobile body
JP2012187628A (en) * 2011-03-08 2012-10-04 Ueno Corporation:Kk Pullback method for repairing sheet metal and auxiliary tool
JP6389012B2 (en) * 2014-11-20 2018-09-12 オラヴィ・ヴェナライネン Straighten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7804A (en) * 2021-11-25 2022-01-21 中交四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Portable installation prestressing force stretch-draw jack device
CN116160550A (en) * 2022-12-29 2023-05-26 贵州长通集团智造有限公司 Tensioning equipment for electric po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974B1 (en) Portable multi-tensioning device
US6957559B2 (en) Device for straightening of surface sheets of a vehicle
JP2014043713A (en) Slope scaffolding device
JP2004353439A (en) Main rope strut
CN112061339A (en) A fixed support rod for wallboard assembly
US4827759A (en) Dent pulling apparatus
KR200455158Y1 (en) Hydraulic jack for member mounting
JP3432455B2 (en) Winch device and bay window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20133257A (en) Mounting metal tool for base rod and base rod mounting method using such mounting metal tool
US4172681A (en) Sheet pile guide
JP5759052B1 (en) Car body repair device and car body repair method
JP7190391B2 (en) Temporary support for main rope
JP4318788B2 (en) Anchor bolt installation method
JP2918202B1 (en) Correction method of joint of steel beam to existing steel column and correction tool therefor
CN221109466U (en) Bridge steel tower bracket part correction tool
JP2017043938A (en) Panel and work platform fitted with the same
JPH11350743A (en) Attaching device of stanchion pole and its attaching method
JP2006315039A (en) Apparatus for correcting tower-shaped metallic member
CN222905604U (en) Steel structural component transfer device
JP4250073B2 (en) Level adjustment jig
JP3116907U (en) Scaffold assembly equipment
CN215449867U (en) C-shaped fixing structure for connecting building frame for screen frame
JPS6317736Y2 (en)
JP4078278B2 (en) Eaves fixing bracket
JP3000796U (en) Temporary f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