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433B1 - An anti-loosening nut - Google Patents
An anti-loosening nu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1433B1 KR102301433B1 KR1020200102880A KR20200102880A KR102301433B1 KR 102301433 B1 KR102301433 B1 KR 102301433B1 KR 1020200102880 A KR1020200102880 A KR 1020200102880A KR 20200102880 A KR20200102880 A KR 20200102880A KR 102301433 B1 KR102301433 B1 KR 1023014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loosening
- bolt
- side wall
- 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4—Locking by deformable inserts or like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풀림 방지 너트에 관한 것으로, 회전 방향 및 주위 구조물과의 간섭 여부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면서 볼트와의 마찰력이 감소하거나 증가되는 스프링이 내장된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너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loosening nut, and relates to a nut structure having a built-in anti-loosening function in which a friction force with a bolt is reduced or increased while a diameter is enlarged or reduced depending on a rotation direction and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structures. .
볼트-너트는 체결 요소의 한 종류로써 체결 작업이 쉽고 모재에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장점이 있어 정적인 구조물 뿐만 아니라 동적인 기계 장치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A bolt-nut is a type of fastening element and has the advantage of easy fastening and no deformation of the base material, so it is widely used not only in static structures but also in dynamic mechanical devices.
볼트-너트 결합은 나사산으로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볼트에 인장력(tension)이 가해질 정도로 서로 조여짐으로써 체결력(clamping force)이 발생된다. 볼트-너트 결합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느슨해 질 수 있는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가해지는 동적 하중이 그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자동차, 열차 등의 운송 장치 또는 기계적인 생산 설비 등에서는 이러한 동적 하중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므로 볼트-너트 결합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In bolt-nut coupling, a clamping force is generated by tightening the bolts to the extent that tension is applied to the bolts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ith threads. A bolt-nut connection can loosen over time for a number of reasons, one of which is a dynamic load appli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loosening of the bolt-nut coupling because such a dynamic load is inevitably accompanied in a transportation device such as an automobile or a train or a mechanical production facility.
종래에 볼트-너트 결합의 풀림 방지를 위해 너트에 여러 형태의 기능을 부가한 기술들이 많이 활용되어 왔다. 그 중 하나는 미국의 윈저(Windsor)사에서 개발한 나일록(Nylock)으로 너트의 내부에 특수 나일론을 삽입하여 풀림 방지 기능을 구현한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일본에서 개발된 하드록(Hard Lock)으로 정상 너트와 편심된 너트를 함께 체결함으로써 두 너트 간의 쐐기 효과에 의해 풀림 방지 기능을 구현한 것이다. 그 외에도 프랑스에서 개발된 바이브록(Viblock), 스웨덴에서 개발된 노드락(Nord Lock) 등의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 Conventionally, many techniques have been utilized in which various types of functions are added to the nut to prevent loosening of the bolt-nut coupling. One of them is Nylock, which was developed by Windsor in the United States, and a special nylon is inserted inside the nut to prevent loosening. Another one is a hard lock developed in Japan, and by fastening the normal nut and the eccentric nut together, the loosening prevention function is realized by the wedge effect between the two nuts. In addition, technologies such as Viblock developed in France and Nord Lock developed in Sweden are also being used.
또한, 본원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2048264호에서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너트 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본원 출원인이 등록 특허를 통해 제안한 풀림 방지 너트는 『볼트와의 체결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 및 상기 바디와 함께 볼트에 체결되는 코일 형태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방향인 하부에 위치하는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스프링룸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 바깥으로 절곡되는 앵커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는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노치부에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지지되며, 상기 스프링룸은 상기 스프링의 바깥 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턱부와, 상기 하단턱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측벽부 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측벽확장부, 상기 측벽확장부의 상단에서 상기 바디의 중심축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 상부 둘레를 커버하는 상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룸에는 볼트가 소정 임계값 이상의 회전력에 의해 풀려질 때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가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스토퍼와, 상기 바디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스토퍼의 반대편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저면을 지지하는 서포터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서포터는 단조 가공을 통해 성형되며, 상기 하단턱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앵커가 상기 노치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가 상기 스토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앵커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풀림 방지 너트는 스프링 상단의 앵커가 노치부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스프링이 바디 상에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바디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위치도 일정해야 하는 제한이 있었다. 즉, 스프링이 바디 상에 설치되는 원주 방향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나사산의 형성 위치도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제한은 바디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태핑(tapping) 공정의 난이도를 증가시켜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In addition,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proposed a nut structure having an anti-loosening functio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48264. The anti-loosening nut propos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rough a registered patent is "a body having a through-hole for fastening with a bolt, and a coil-shaped spring fastened to the bolt together with the body,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body. A screw thread portion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a spring room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thread portion and into which the spring is inserted, is formed, and an anchor bent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pring, the anchor of the body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notch formed by inden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suppor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pring room has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ing, and a lower jaw portion extending radi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crew thread portion;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jaw portion, a side wall extension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ide wall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radiall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extension portion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the spring a stopper that includes an upper jaw that covers the upper periphery, and the lower end of the spring is caught and supported when the bolt is loosened by a rotational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in the spring room; A supporter is formed symmetrically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spring, the stopper and the supporter are formed through forging, and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lower jaw portion and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anchor is the furnace The distance the lower end of the spring is spaced apart from the stopp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tooth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nchor. However, since the anti-loosening nu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nchor of the upper end of the spring is fixed to the notch portion, the spring must be installed at a constant position on the body,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crew thread formed in the body must be constant.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which the spring is installed on the body is always constantly fixed, and accordingly,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screw thread must also be constan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is limitation increased the difficulty of the tapping process for forming the thread on the body and acted as a factor to decrease productivity.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풀림 방지 너트에 비하여 가공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 풀림 방지 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loosening nut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and productiv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nti-loosening nut to solve thes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너트 바디에 내장되어 풀림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서, 스프링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이 없는 풀림 방지 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loosening nut having no restriction on a spring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anti-loosening nut including a spring embedded in the nut body to provide an anti-loosen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풀림 방지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재사용이 가능한 풀림 방지 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loosening nut that can be reused while providing an anti-loosening func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는 암나사를 이루는 나사산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내장되어 암나사의 일부를 이루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상기 바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링캡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나사산부의 후방에서 상기 스프링을 수용할 공간을 이루는 스프링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캡은 상기 스프링룸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룸부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임의의 위치에 설치 가능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룸부 내에서 인접 구조물과의 간섭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너트가 체결대상 볼트에 대해 잠금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 상기 스프링은 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어 반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상기 너트가 볼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임계치 이하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의 후단부가 고정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프링 반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풀림 방지 작용이 유지되고, 임계치 이상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 후단부가 자유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스프링은 볼트와 함께 풀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며, 상기 스프링 후단부가 자유단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프링 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어 상기 스프링의 반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작용하고, 상기 스프링룸부는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바깥으로 확장되는 하단턱부, 상기 하단턱부의 바깥 둘레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벽부, 상기 제1측벽부의 상부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단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측벽부를 향해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앵커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부 상부에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앵커가 걸려 지지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부의 하부에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가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걸림턱부가 형성된다. An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body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ing a female screw, a spring built into the body and forming a part of the female screw, and a ring cap covering the spring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and the body includes a spring room portion forming a space to receive the spring at the rear of the screw thread portion, the ring cap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pring room portion, and the spring is locat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in the spring room portion can be installed in, and the spring is limited in movement by interference with adjacent structures within the spring room, so that when the nut rotates relative to the bolt to be fastened in the locking direction, the rear end of the spring becomes a fixed end state and the radius When the force is applied in this expanding directio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olt and the spring is reduced, and when the nut is rotated in the loosening direction while the bolt is fastened to the bolt, the rear end of the spring is in a fixed end state By maintaining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dius of the spring is reduce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olt and the spring increases to maintain the anti-loosening action, and when the rear end of the spring is converted to a free end state by a rotational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the spring is the bolt It becomes possible to rotate in the loosening direction with and a lower jaw port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threaded portion, and a first side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ly along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jaw portion, an upper end bent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inwardly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 anchor protruding outwardly toward the first sidewall portion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pring,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re formed in which the anchor is caught and supported when rotating in the locking direction.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pring is hooked and supported when rotating in the release direction.
또한, 상기 걸림홈 및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벽부에서 반경 방향 바깥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측벽홈에 의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ocking groove and the locking jaw are formed by a side wall groove formed by indent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first side wall portion.
또한, 상기 스프링룸부는 상기 제1측벽부 상단에서 반경 방향 바깥으로 확장되는 중간턱부 및 상기 중간턱부의 바깥둘레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절곡부는 상기 제2측벽부의 상단에 구성되며, 상기 링캡은 판 상의 원형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중간턱부 및 상기 상단절곡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spring room part includes a middle chin part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wall part and a second side wall part extending upwar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middle chin part, and the upper bent part is the second side wall part. It is configur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and the ring cap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on a plate and is supported so as not to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intermediate jaw portion and the upper bent portion.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암나사를 이루는 나사산부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내장되어 체결되는 볼트에 감겨 암나사의 일부를 이루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이 상기 바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링캡을 포함하는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스프링을 내장할 공간을 형성하는 스프링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룸부 내에서 인접 구조물과의 간섭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너트가 체결대상 볼트에 대해 잠금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 상기 스프링은 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어 반경이 확장되는 방향을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상기 너트가 볼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임계치 이하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의 후단부가 고정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프링 반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풀림 방지 작용이 유지되고, 임계치 이상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 후단부가 자유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스프링은 볼트와 함께 풀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며, 상기 스프링 후단부가 자유단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프링 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어 상기 스프링의 반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작용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바디와 동일한 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룸부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임의의 위치에 설치 가능하고, 상기 풀림 방지 너트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프링 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프링 후단에 형성되는 앵커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홈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프링의 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전단부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걸림홈 및 상기 복수의 걸림턱은 상기 스프링룸부를 이루는 측벽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dy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ing a female screw, a spring wound around a bolt that is built into the body and fastened to form a part of the female screw, and a ring cap that covers the spring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In the anti-loosening nut containing When the spring is rotated relative to the bolt to be fastened in the locking direction, the rear end of the spring becomes a fixed end state and receives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dius is expanded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olt and the spring, and in a state in which the nut is fastened to the bolt In a state in which a rotational force less than a threshold value is applied when rotating in the loosening direction, the rear end of the spring maintains a fixed end state and receives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pring radius is reduced. is maintained, and when the rear end of the spring is converted to a free end state by a rotational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critical value, the spring becomes rotatable in the unlocking direction together with the bolt, The front end of the spring becomes a fixed end state and receives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adius of the spring expands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olt and the spring, the spring is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body, and the spring is the It can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in the spring room, and the loosening prevention nut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in which an anchor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pring is hook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pring becomes a fixed end state when rotating in the locking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caught on the front end of the spring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spring becomes a fixed end state when rotating in the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nd the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are on a side wall portion forming the spring room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또한, 상기 복수의 걸림홈은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턱도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re radial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also radial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또한, 상기 걸림홈 및 상기 걸림턱은 상기 측벽부에서 반경 방향 바깥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측벽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ocking groove and the locking jaw a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side wall groove formed by indent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side wall portion.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는 스프링의 앵커가 걸려 풀림 방지 작용을 제공하는 걸림홈이 등간격으로 여러 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스프링 하단부가 걸리는 걸림턱부가 등간격으로 여러 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스프링이 스프링룸부 내에 원주 방향으로 어느 위치에 설치되든지 관계 없이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that provide an action to prevent loosening by being caught by an anchor of the spring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engaging jaws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spring is caught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act the same regardless of which position is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in the spring room.
따라서, 종래 풀림 방지 너트에 비하여 나사산 태핑 공정에서 가공 위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가공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nti-loosening nut, the machining position is not restricted in the thread tapping process, and thus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종래의 풀림 방지 너트의 경우 풀림 방지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앵커가 손상되거나 변형될 정도로 큰 회전력이 가해져야 하고, 너트 체결 해제 후에는 스프링 앵커 부분이 파손되거나 소성 변형되어 재사용이 어려웠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는 임계값 이상의 회전력에도 불구하고 스프링 앵커 부분이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체결 해제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nti-loosening nut, in order to release the anti-loosening function, a rotational force large enough to damage or deform the anchor must be applied.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pring anchor part is not damaged in spite of the rotational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itical value, so that it can be used again after unfastening.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
도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구성하는 링캡의 정면 및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구성하는 바디 일부분의 측단면 및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서 앵커와 링캡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서 스프링 하단부와 하단턱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 분해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의 링캡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서 링캡에 스프링 상단의 앵커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 분해 사시도.
도19는 도16의 D-D'선에 따라 자른 부분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20은 도16의 E-E'선에 따라 자른 부분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서 걸림턱부(121a) 및 경사면부(121b)의 다양한 변형 형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osening prevention n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front and bottom of the ring cap constituting the loosening prevention n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and a planar cross-section of a portion of the body constituting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anchor and a ring cap portion in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lower end of the spring and the lower jaw portion in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osening prevention nu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osening prevention nu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ing cap of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chor of the upper end of the spring is caught on the ring cap in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osening prevention nu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osening prevention nu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Fig. 19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cut along the line D-D' in Fig. 16;
Fig. 20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taken along line E-E' in Fig. 16;
21 is a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당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해 기술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되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물, 대체물,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describ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equival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understood from the entire specification as well as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구성된다”, “가진다” 등의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나 기능을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xpressions such as “including”, “consisting of” and “having” that may be used below do not ex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functions.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 “제2…”, “첫째”, “둘째”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순서나 중요도 등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first…” which may be used hereinafter ”, “Second… Expressions such as ”, “first”, and “seco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er or importance between elem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된다”, “연결된다” 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거나 개재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Expressions such as “coupled” and “connected” that may be used hereinafter should be understood as not only directly coupled or connected, but also other components present or intervening,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do.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use of terms hereinaft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 singular expression does not exclude a plural expression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는 볼트와의 체결 상태에서 풀림 방지 작용을 가지면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풀린 후 재사용이 가능한 체결 요소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element that can be reused after loosening in some cases while having an anti-loosening action in a fastened state with a bolt. Hereinafter, an anti-loosening nut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1 내지 도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1)(이하, “너트”로 약칭하기도 한다)는 바디(10), 스프링(20), 링캡(30)을 포함한다. 스프링(20)은 바디(10)에 내장되며, 링캡(30)은 스프링(20)이 바디(10)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음한다. 풀림 방지 너트(1)는 도면 상의 아래 부분이 체결될 볼트를 향하도록 놓인다. 1 to 4, the anti-loosening nut 1 (hereinafter, also abbreviated as "n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통상의 오른 나사의 경우 풀림 방지 너트는 볼트에 대해 시계방향(도1 W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체결되고, 반시계방향(도1의 CW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풀리게 된다. 이하에서 잠금 방향으로 회전이라 함은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볼트가 너트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너트가 볼트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풀림 방향으로 회전이라 함은 볼트와 너트 체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볼트가 너트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너트가 볼트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편의상 오른 나사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왼나사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1에 표시된 중심축(O)에 나란한 방향을 축방향, 중심축(O)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반경방향, 중심축(O)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원주방향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1에서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이라고 하거나 볼트를 향해 진입하는 방향이라는 의미에서 전방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도면상의 위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이라고 하거나 볼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라는 의미에서 후방이라고도 한다. In the case of a normal right-hand screw, the anti-loosening nut is fastened while rotating in a clockwise direction (W direction in FIG. 1) with respect to the bolt, and is loosened while rotating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CW direction in FIG. 1). Hereinafter, the rotation in the locking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olt and the nut are relatively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fastened.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lt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nut or the nut rotates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olt. And the rotation in the loosening direction means the relative rotation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lt and the nut are released.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lt rotates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nut or the nut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olt.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of a right-hand screw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case of a left-hand screw. In the follow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 shown in FIG. 1 is the axial direction, the direction closer or farther from the central axis O is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entral axis O is the rotational axis. is se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ownward direction in FIG. 1 is referred to as downward or forward in the sense of entering toward the bolt. And the upward direction on the drawing is called upward or backward in the sense of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olt.
바디(10)는 외주면이 육각기둥 형태를 갖는다. 사용자는 렌치,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해 바디(10) 외주면에 힘을 가하여 너트(1)를 회전시켜 볼트에 체결하거나, 또는 볼트로부터 풀 수 있다. 바디(10)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바디(10) 내부에는 암나사를 이루는 나사산부(11)와 스프링(20)을 수용할 공간을 형성하는 스프링룸부(12)가 구성된다. 스프링룸부(12)는 나사산부(11)보다 확대된 직경을 가지며, 나사산부(11)의 상부에 위치한다. 스프링룸부(12)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수 개의 단차를 갖는다. 스프링룸부(12)는 나사산부(11)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바깥으로 확장되는 하단턱부(121)와, 하단턱부(121) 바깥단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벽부(122)와, 제1측벽부(122)의 상단에서 다시 반경방향 바깥으로 확장되는 중간턱부(123)와, 중간턱부(123)의 바깥단부에서 다시 축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측벽부(124)와, 제2측벽부(124)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바깥으로 확장되는 상단턱부(125)와, 상단턱부(125)의 바깥단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측벽부(126)와, 제3측벽부(126)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절곡되는 상단절곡부(127)를 갖는다. 스프링(20)은 제1,2,3측벽부(122, 124, 126) 안쪽 공간 상에 놓여 설치된다. The
스프링(20)은 나사산부(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암사나의 일부로 작용한다. 스프링(20)은 그 내주면이 체결되는 볼트 둘레에 감겨 체결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20)의 턴수(감김수)는 2회이나 필요에 따라 그보다 작거나 크게 달라질 수도 있다.The
스프링(20)은 하단턱부(121)의 연직 상방에 놓인다(도2 참조). 스프링(20)의 하단(전단)은 하단턱부(121)의 연직 상방에 배치된다. 스프링(20)은 나사산부(11)와 함께 암나사의 일부로 작용할 수 있도록 나사산부(11)와 동일한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볼트는 너트(1)에 대해 잠금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면서, 나사산부(11)의 아래에서 위로 진입하고, 스프링(20)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The
스프링(20)이 볼트 외주면에 체결되고 아무런 구속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스프링(20)은 볼트와 일체로 회전한다. 그러나 스프링(20)의 상단부(후단부) 또는 하단부(전단부)가 주위 구조물에 간섭되어 위치가 제한되면, 그 직경이 확장되거나 축소되면서 볼트 외주면과의 마찰력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작용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는 이러한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볼트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일정한 조건하에서 다시 풀림이 허용되도록 동작한다. In a state where the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0)은 그 상단부(후단부)에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절곡된 앵커(21)를 갖는다. 볼트와의 체결시 앵커(21)는 볼트의 나사산에 밀려 반경방향 바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앵커(21)가 바깥으로 변형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제2측벽부(124)는 제1측벽부(122) 보다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앵커(21)의 상단부는 수평한 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2 to 4 , the
링캡(30)은 스프링(20)의 상부에 설치된다. 링캡(30)은 그 하단 둘레 부분이 스프링룸부(12)의 상단턱부(125)에 의해 지지되고, 그 상단 둘레 부분은 상단절곡부(127)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바디(10)와 일체를 이룬다. 가공 공정 상에서 상단절곡부(127)를 형성하기 전에 링캡(30)을 상단턱부(125)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바디(10) 상단 둘레부분을 코킹(caulking) 방법으로 안쪽으로 절곡하여 상단절곡부(127)를 형성함으로써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 상단부분의 코킹 공정이 가능하도록 바디(10) 상단부는 소정 높이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육각 기둥 형태의 외주면은 그 아래 부분에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링캡(30)을 별도 부품으로 형성하지 않고, 바디(10) 상단부 내주면에 요철을 형성한 후 코킹하는 방법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The
도5를 함께 참조하면, 링캡(30)은 중공부를 갖는 고리 형상을 갖는다. 링캡(30)의 저면에는 연직 상방(후방)으로 만입되는 다수의 걸림홈(31)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31)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홈(31)은 12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개, 9개, 18개 등일 수 있다. 다수의 걸림홈(31)은 중심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걸림홈(31)은 스프링(20)이 볼트와 함께 상승하면서 그 앵커(21)가 끼워져 걸리는 구조물로 작용한다. 이러한 작용이 가능하도록 걸림홈(31)의 원주방향으로의 폭(Wb)은 앵커(21)의 원주방향으로의 폭(Wa)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걸림홈(31)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앵커(21)가 어느 위치에서 걸리든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5, the
그리고 도6을 참조하면, 전술한 하단턱부(121)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턱부(121)는 60˚도 간격으로 6개 구획으로 구분되어 각 구획이 동일한 경사면부(121b)를 반복하여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단턱부(121)의 경사면부(121b)는 6개로 구획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9개, 12개, 18개 등으로 달라질 수도 있다. 인접한 경사면부(121b)가 만나는 부분은 상방(후방)으로 돌출된 걸림턱부(121a)를 이룬다. 즉, 각 경사면부(121b)의 하단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121a)가 형성된다. 걸림턱부(121a)는 풀림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스프링(20)의 하단부가 걸리는 부분으로 작용한다. 걸림턱부(121a)는 여러 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스프링(20) 하단부가 어느 위치에서 걸리든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단턱부(121)에는 걸림턱부(121a)와 경사면부(121b)가 함께 구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경사면부(121b) 없이 걸림턱부(121a)만으로 하단턱부(121)가 구성될 수 있다. 즉, 도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턱부(121)상에 단순 요철 형태로 돌출되는 형상의 걸림턱부(121a)를 구성함으로써 경사면부(121b)가 생략될 수 있다. 걸림턱부(121a)와 경사면부(121b)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21의 (b) 또는 (c)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nd referring to FIG. 6 , the aforementioned
이러한 본 발명의 풀림 방지 너트(1)는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와 달리 스프링(20)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서는 스프링 상단의 앵커가 소정의 노치부에 안착되어 결합되어야 하는 제한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1)는 스프링(20)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스프링(20)이 스프링룸부(12) 내부에 원주 방향으로 임의의 위치에 어디든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20) 상단의 앵커(21)는 여러 개의 걸림홈(31) 중 어느 것에 걸리든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고, 또한 스프링(20) 하단부는 여러 개의 걸림턱부(121a) 어느 것이 걸리든 동일하게 작동 될 수 있다. Th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1)의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볼트는 도면상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체결된다.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 볼트는 너트(1)에 대해 반시계 방향(도1의 CW방향)으로 회전한다. 볼트는 바디(10)의 나사산부(11)을 통과하여 상승하면서 스프링(20)과 접촉하게 된다. 스프링(20)은 스프링룸부(12) 내에서 회전 방향으로의 구속을 받지 않는 상태이므로 볼트와 같은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하면서 밀어 올려 진다. 스프링(20)은 앵커(21)의 상단부가 링캡(30)의 저면에 접촉될 때까지 밀려 올라 간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20)이 추가적으로 더 밀어 올려지면 앵커(21) 상단의 전방모서리(21a) 부분이 걸림홈(31)을 이루는 전방 측벽(31a)에 걸려 스프링(20)의 회전이 제한된다(도7 A위치 참조). 즉, 앵커(21)는 잠금 방향으로 고정단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20) 상단의 앵커(21)가 고정된 상태에서 볼트가 추가적으로 회전하면 스프링(20)은 직경방향 바깥으로 확장되는 힘을 받게 된다. 스프링(20)이 확장되면서 볼트에 가해지는 마찰력은 감소되고, 볼트는 쉽게 체결될 수 있다. The bolts are fasten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the drawing. When rotating in the locking direction, the bolt rotates counterclockwise (CW direction in FIG. 1) with respect to the nut (1). The bol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볼트와 너트(1)가 체결된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상대 회전이 일어나도록 회전력이 가해지면 스프링(20)은 볼트와 일체로 풀림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다가 앵커(21)의 후방모서리(21b)가 걸림홈(31)을 이루는 후방 측벽(31b)걸려 다시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가 된다(도7 B위치 참조). 즉 앵커(21)는 풀림 방향으로도 고정단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20) 상단의 앵커(21)가 고정된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추가적이 회전력이 가해지면 스프링(20)은 반경방향 안쪽으로 축소되는 힘을 받게 된다. 즉, 스프링(20)은 반경방향으로 축소되면서 볼트와의 마찰력이 증가하는 상태가 되어 풀림 방지 작용이 일어난다. When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so that relative rotation occurs in the loosening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olt and the
도7의 B위치에서와 같이 스프링(20) 상단의 앵커(21)가 걸림홈(31)에 지지된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약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 앵커(21)는 풀림 방향으로 고정단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20)과 볼트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면서 풀림을 방해하는 힘이 작용된다. 그런데, 풀림 방향으로 더욱 강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앵커(21) 부분의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홈(31)으로부터 이탈하는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앵커(21)가 걸림홈(31)으로부터 이탈되면, 앵커(21)는 풀림 방향으로 자유단 상태로 전환되어 스프링(20)과 볼트는 풀림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스프링(20)은 볼트와 함께 회전하면서 너트(1) 하부로 하강한다. 하강하는 스프링(20)의 하단부는 하단턱부(121)를 이루는 경사면부를 따라 이동하다가 경사면부의 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부(121a)에 걸리게 된다. 즉 스프링(20) 하단부는 풀림 방향으로 고정단 상태가 된다. 스프링(20) 하단부가 걸림턱부(121a)에 걸린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이 계속되면 스프링(20)은 바깥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스프링(20)과 볼트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볼트는 감소된 회전력에 의해 쉽게 풀릴 수 있다. 7, when a weak force is applied in the loosening direction while the
앵커(21)가 걸림홈(31) 내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앵커(21)는 풀림 방향으로 고정단 상태가 되어 풀림 방지 작용이 일어난다. 한편, 앵커(21)를 걸림홈(31)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소정 크기(이하, 임계치 또는 임계값이라 한다) 이상의 회전력(토크)이 가해져야 한다. 임계치 이상의 회전력에 의해 앵커(21)는 풀림 방향으로 자유단 상태로 전환되고 풀림 방지 기능은 해제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전술한 종래의 풀림 방지 너트의 경우 풀림 방지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앵커가 손상되거나 변형될 정도로 큰 회전력이 가해져야 하고, 너트 체결 해제 후에는 스프링 앵커 부분이 파손되거나 소성 변형되어 재사용이 어려웠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1)는 임계값 이상의 회전력에도 불구하고 스프링(20) 앵커(21) 부분이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체결 해제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nti-loosening nut, in order to release the anti-loosening function, a rotational force large enough to damage or deform the anchor must be applied. On the other hand,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2)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도9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2)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바디(10), 스프링(20), 링캡(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2)는 스프링(20) 상단의 앵커(21) 및 앵커(21)를 걸어주는 링캡(30)의 구성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구조적인 차이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조적인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2)에 대하여 설명한다. 9 to 12, the
풀림 방지 너트(2)는 나사산부(11)을 갖는 바디(10)를 포함한다. 바디(10)는 나사산부(11)의 후방에 스프링(20)을 수용할 공간을 형성하는 스프링룸부(12)를 포함한다. 스프링(20)은 스프링룸부(12) 내에 설치된다. 스프링(20)은 스프링룸부(12) 내에서 바디(10)와 동축상에 설치되나, 원주 방향으로는 설치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프링룸부(12) 하부에는 나사산부(11)의 상단(후단)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하단턱부(121)가 형성된다. 하단턱부(121)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프링(20)의 하단(전단)을 걸어 주는 걸림턱부(121a)가 형성된다. 걸림턱부(121a)는 6개가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걸림턱부(121a)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9개, 12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접한 걸림턱부(121a) 사이의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부(121b)를 이룬다. 경사면부(121b)는 풀림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전방으로) 향하는 경사를 이룬다. The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링캡(30)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바깥으로 만입되는 다수의 걸림홈(31)이 형성된다. 스프링(20)의 상단(후단)에는 이 걸림홈(31)에 걸려 고정되는 앵커(21)가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앵커(21)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바깥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앵커가 링캡 저면을 향해 상방(후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 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앵커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점에서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13 and 14 , a plurality of locking
걸림홈(31)은 반경방향 바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홈(31)은 전방경사측벽(31e), 외측벽(31f), 후방경사측벽(31g)으로 구분될 수 있다(도14 참조). 바깥으로 돌출된 앵커(21)는 걸림홈(31)에 걸리는 작용이 발생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볼트와 너트(2)가 잠금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 스프링(20)은 볼트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면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경사측벽(31e)과 외측벽(31f)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걸려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앵커(21)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는 고정단 상태가 된다. 앵커(21)가 고정단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잠금 방향으로 볼트 회전이 계속되면 스프링(20)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힘을 받게 되어 스프링(20)과 볼트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잠금에 필요한 회전력이 감소된다.The locking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21)가 걸림홈(31)에 걸려진 상태에서 앵커(21)는 그 바깥 일 지점(도14 “C” 참조)이 후방경사측벽(31g)의 안쪽 모서리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면 앵커(21)는 반경 방향 안쪽으로 증가되는 힘을 받게 되므로 걸림홈(3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고정단 상태를 유지한다. 앵커(21)가 고정단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스프링(20)은 반경방향으로 축소되는 힘을 받게 되고 스프링(20)과 볼트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풀림 방지 작용이 유지된다. 한편,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증가하여 임계치 이상의 강한 힘이 작용하면 앵커(21)는 반경 방향 안쪽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볼트와 함께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림홈(31)으로부터 이탈한다. 이후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이 계속되면 스프링(20) 하단부가 걸림턱부(121a)에 걸리면서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는 고정단 상태로 전환된다. 스프링(20) 하단부가 고정단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면 스프링(20)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힘을 받고, 스프링(20)과 볼트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너트(2)는 볼트로부터 쉽게 풀릴 수 있으며 종래 특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와 달리 스프링(20)에 대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재사용 가능하다. As shown, in the state in which the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다음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3)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loosening
제3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3)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1,2)들과 동일한 작동 방식을 갖는다. 다만,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시 스프링의 하단부를 걸어주는 걸림턱부가 스프링룸부의 제1측벽부 상에 구성되는 점과, 스프링 앵커의 동작을 구속하는 걸림홈이 스프링룸부의 제1측벽부 상에 일체로 구성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들과 구조적인 차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적인 차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The
도15 내지 도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3)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바디(10), 스프링(20), 링캡(30)을 포함한다. 15 to 20, the
바디(10)는 외주면이 육각기둥 형태를 갖는다. 바디(10)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볼트 삽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다. 바디(10) 내주 부분에는 암나사를 이루는 나사산부(11)와 스프링(20)을 수용할 공간을 형성하는 스프링룸부(12)가 구성된다. 스프링(20)은 스프링룸부(12) 내에서 바디(10)와 동축상에 설치되며, 원주 방향으로는 설치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룸부(12)는 나사산부(11)의 상부(후방)에 위치하며, 나사산부(11)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갖는다. The
스프링룸부(12)는 나사산부(11)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바깥으로 확장되는 하단턱부(121)와, 하단턱부(121)의 바깥 둘레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벽부(122)와, 제1측벽부(122)의 상단에서 다시 반경방향 바깥으로 확장되는 중간턱부(123)와, 중간턱부(123)의 바깥 둘레에서 다시 축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측벽부(124)와, 제2측벽부(124)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절곡되는 상단절곡부(127)를 갖는다. The
스프링(20)은 제1측벽부(122)의 안쪽 공간 상에 놓여 설치되고, 스프링(20)이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링캡(30)이 스프링(20) 상부를 지지한다. 링캡(30)은 판형태의 원형 고리 형상을 갖는다. 링캡(30)은 그 저면 둘레 부분이 중간턱부(123)에 의해 지지되고, 그 상면 둘레 부분은 상단절곡부(127)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바디(10)와 일체를 이룬다. 가공 공정 상에서 상단절곡부(127)를 형성하기 전에 링캡(30)을 중간턱부(123)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바디(10) 상단 둘레 부분을 코킹(caulking) 방식으로 안쪽으로 절곡하여 상단절곡부(127)를 형성함으로써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상단절곡부 가공 방식과 동일하다. The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0)의 상단에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앵커(21)가 구성된다. 그리고 스프링룸부(12)를 이루고 있는 제1측벽부(122) 상에는 앵커(21)의 원주 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걸림홈(131)이 형성된다. 전술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걸림홈(31)은 링캡(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었던 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걸림홈(131)이 스프링룸부(12)를 이루고 있는 제1측벽부(122)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As shown in Fig. 19, an
앵커(21)와 걸림홈(131)의 작용은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즉, 걸림홈(131)은 반경 방향 바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걸림홈(131)은 전방경사측벽(131e), 외측벽(131f), 후방경사측벽(131g)을 포함할 수 있다. 반경방향 바깥으로 돌출된 앵커(21)는 걸림홈(131)에 걸리는 작용이 발생한다. 즉, 볼트와 너트(3)가 잠금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 앵커(21)의 단부는 전방경사측벽(131e)상에 걸려 지지된다. 즉, 앵커(21)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는 고정단 상태가 된다. 한편,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앵커(21)는 후방경사측벽(131a)의 안쪽 모서리 부분(도 19의 “C” 부분)에 지지되어 풀림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소정의 임계치 이하의 풀림 방향 회전력에 대하여는 앵커(21)가 고정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풀림을 방해하는 힘의 작용으로 풀림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소정 임계치 이상의 풀림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질 때에는 앵커(21)는 반경 방향 안쪽으로 변형되면서 볼트와 함께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홈(131)으로부터 이탈되고, 앵커는 자유단 상태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홈(131)은 12개가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6개, 9개, 18개 등으로 달라질 수도 있다. The actions of the
도20을 참조하면, 스프링룸부(12)를 이루고 있는 제1측벽(122) 상에는 스프링(20) 하단부의 원주 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걸림턱부(141)가 형성된다. 걸림턱부(141)는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프링(20)의 하단부가 걸림으로써 풀림방향 회전이 제한되도록 작용한다. 즉,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0)이 볼트와 함께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운동하면 스프링(20) 하단부의 바깥 모서리 부분이 걸림턱부(141)를 이루는 경사면에 걸리게 되고, 스프링(20) 하단부는 고정단 상태로 전환된다. 스프링(20) 하단부는 반경방향 바깥으로 소정 정도 꺾인 형상을 가짐으로써 걸림 작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21) 하단부를 고정하는 걸림턱부(121a)는 스프링(20)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단턱부(121) 상에 형성되어 있는 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프링(20)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걸림턱부(141)가 제1측벽부(122)상에 형성되는 점에서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턱부(141)는 6개가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그 수는 9개, 12개 등으로 달라 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 on the
도17 및 도18을 참조하면, 제1측벽부(122)를 이루고 있는 내주면 상에는 반경 방향 바깥으로 만입되는 제1측벽홈(122a) 및 제2측벽홈(122b)이 형성된다. 제1측벽홈(122a) 및 제2측벽홈(122b)은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제1측벽홈(122a)은 제1측벽부(122)의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길게 형성되며, 제2측벽홈(122b)은 제1측벽부(122)의 상단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즉, 제1측벽홈(122a)은 제2측벽홈(122b) 보다 깊이 형성된다. 제1측벽홈(122a)은 그 상단부가 전술한 걸림홈(131)으로 작용하고, 그 하단부는 전술한 걸림턱부(141)로 작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1측벽홈(122a)은 걸림홈(131) 및 걸림턱(141) 두 가지로 모두 작용할 수 있다. 반면, 제2측벽홈(122b)은 깊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홈(131)으로만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깊이가 서로 다른 제1측벽홈(122a)과 제2측벽홈(122b)이 교대로 구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2측벽홈(122b) 없이 제1측벽홈(122a)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7 and 18 , a
1, 2, 3 : 풀림 방지 너트 10 : 바디
11 : 나사산부 12 : 스프링룸부
20 : 스프링 21 : 앵커
30 : 링캡 31, 131 : 걸림홈 1, 2, 3: Anti-loosening nut 10: Body
11: thread part 12: spring room part
20: spring 21: anchor
30:
Claims (6)
상기 바디는 상기 나사산부의 후방에서 상기 스프링을 수용할 공간을 이루는 스프링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캡은 상기 스프링룸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룸부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임의의 위치에 설치 가능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룸부 내에서 인접 구조물과의 간섭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너트가 체결대상 볼트에 대해 잠금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 상기 스프링은 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어 반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상기 너트가 볼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임계치 이하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의 후단부가 고정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프링 반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풀림 방지 작용이 유지되고, 임계치 이상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 후단부가 자유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스프링은 볼트와 함께 풀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며, 상기 스프링 후단부가 자유단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프링 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어 상기 스프링의 반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작용하고,
상기 스프링룸부는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바깥으로 확장되는 하단턱부, 상기 하단턱부의 바깥 둘레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측벽부, 상기 제1측벽부의 상부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단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측벽부를 향해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앵커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부 상부에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앵커가 걸려 지지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부의 하부에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가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걸림턱부가 형성된 풀림 방지 너트. In the anti-loosening nut comprising a body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ing a female screw, a spring embedded in the body to form a part of the female screw, and a ring cap covering the spring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The body includes a spring room portion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pring at the rear of the screw thread portion, and the ring cap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pring room portion,
The spring can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in the spring room,
The spring is limited in movement by interference with adjacent structures in the spring room portion, so that when the nut rotates relative to the bolt to be fastened in the locking direction, the spring becomes a fixed end state at the rear end of the spr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adius is expanded In a state in which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olt and the spring is reduced by receiving a force, and a rotational force less than a threshold value is applied when the nut is rotated in the loosening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olt is fastened to the bolt, the rear end of the spring maintains a fixed end state, so that the spring The anti-loosening action is maintained by increasing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bolt and the spring by receiving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dius is reduced. It becomes rotatable, and when the rear end of the spring is rotated in the release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it is converted to the free end, the front end of the spring becomes a fixed end state and receives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dius of the spring expands between the bolt and the spring. acts to reduce friction,
The spring room portion is a lower jaw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crew thread portion, a first side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ly along the axial direction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jaw portion, and bending inward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Including an upper bent portion formed by
An anchor protruding outwardly toward the first side wall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pring,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ide wall to catch and support the anchor when rotating in the locking direction, An anti-loosening nut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ide wall to be supported by the lower end of the spring when rotated in the loosening direction.
상기 걸림홈 및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벽부에서 반경 방향 바깥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측벽홈에 의해 형성되는 풀림 방지 너트.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groove and the locking jaw are anti-loosening nuts formed by a side wall groove formed by indenting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first side wall part.
상기 스프링룸부는 상기 제1측벽부 상단에서 반경 방향 바깥으로 확장되는 중간턱부 및 상기 중간턱부의 바깥둘레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절곡부는 상기 제2측벽부의 상단에 구성되며,
상기 링캡은 판 상의 원형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중간턱부 및 상기 상단절곡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풀림 방지 너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ring room part includes a middle chin part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wall part and a second side wall part extending upwardly along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middle chin part,
The upper bent part is configur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 part,
The ring cap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on a plate and is supported so as not to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intermediate jaw portion and the upper bent portion.
상기 바디는 상기 스프링을 내장할 공간을 형성하는 스프링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룸부 내에서 인접 구조물과의 간섭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너트가 체결대상 볼트에 대해 잠금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 상기 스프링은 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어 반경이 확장되는 방향을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상기 너트가 볼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임계치 이하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의 후단부가 고정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프링 반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풀림 방지 작용이 유지되고, 임계치 이상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 후단부가 자유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스프링은 볼트와 함께 풀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며, 상기 스프링 후단부가 자유단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프링 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어 상기 스프링의 반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볼트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작용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바디와 동일한 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룸부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임의의 위치에 설치 가능하고,
상기 풀림 방지 너트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프링 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프링 후단에 형성되는 앵커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홈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프링의 전단부가 고정단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전단부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걸림홈 및 상기 복수의 걸림턱은 상기 스프링룸부를 이루는 측벽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너트. In the anti-loosening nut comprising a body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ing a female screw, a spring wound around a bolt that is built into the body and fastened to form a part of the female screw, and a ring cap that covers the spring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The body includes a spring room portion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spring is to be embedded, and the spring is limited in movement by interference with an adjacent structure within the spring room portion, so that the nut is relative to the bolt to be fastened in the locking direction. When the spring rotates, the rear end becomes a fixed end state and receives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dius is expanded, there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olt and the spring. In this applied state, the rear end of the spring maintains the fixed end state and receives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dius of the spring is reduced, and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bolt and the spring increases to maintain the loosening prevention action, and the When the rear end of the spring is switched to the free end state, the spring becomes rotatable in the loosening direction together with the bolt. Acts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olt and the spring by receiving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dius of the spring expands,
The spring is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body, and the spring can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in the spring room part,
The anti-loosening nut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through which an anchor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pring is hook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pring is in a fixed end state when rotating in the locking direc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spring is in a fixed end state when rotating in the unlocking dir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locking jaws caught on the front end of the spring,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nd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are anti-loosening nut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a side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spring room portion.
상기 복수의 걸림홈은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턱도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너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re radial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he anti-loosening nut,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are also radial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상기 걸림홈 및 상기 걸림턱은 상기 측벽부에서 반경 방향 바깥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측벽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너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cking groove and the locking jaw are anti-loosening nu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side wall groove formed by indent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side wall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2880A KR102301433B1 (en) | 2020-08-16 | 2020-08-16 | An anti-loosening nu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2880A KR102301433B1 (en) | 2020-08-16 | 2020-08-16 | An anti-loosening nu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1433B1 true KR102301433B1 (en) | 2021-09-23 |
Family
ID=7792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2880A Active KR102301433B1 (en) | 2020-08-16 | 2020-08-16 | An anti-loosening nu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143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36411A1 (en) * | 2022-01-17 | 2023-07-20 | 문상열 | Anti-loosening spring nut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9901U (en) * | 1989-10-12 | 1991-06-12 | ||
KR100220218B1 (en) * | 1996-04-09 | 1999-09-01 | 정부강 | Anti-loose nut and bolt |
JP2012007641A (en) * | 2010-06-23 | 2012-01-12 | Ishitoku Rashi Co Ltd | Fastening device |
KR101163487B1 (en) * | 2010-01-21 | 2012-07-19 | 임영우 | Saperlock nut |
JP2017190793A (en) * | 2016-04-11 | 2017-10-19 | 首都高速道路株式会社 | Fall-off prevention device |
KR102048264B1 (en) | 2018-03-27 | 2019-11-25 | (주)케이에스엘엔씨 | A Locknut |
-
2020
- 2020-08-16 KR KR1020200102880A patent/KR1023014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9901U (en) * | 1989-10-12 | 1991-06-12 | ||
KR100220218B1 (en) * | 1996-04-09 | 1999-09-01 | 정부강 | Anti-loose nut and bolt |
KR101163487B1 (en) * | 2010-01-21 | 2012-07-19 | 임영우 | Saperlock nut |
JP2012007641A (en) * | 2010-06-23 | 2012-01-12 | Ishitoku Rashi Co Ltd | Fastening device |
JP2017190793A (en) * | 2016-04-11 | 2017-10-19 | 首都高速道路株式会社 | Fall-off prevention device |
KR102048264B1 (en) | 2018-03-27 | 2019-11-25 | (주)케이에스엘엔씨 | A Locknut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059901 U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36411A1 (en) * | 2022-01-17 | 2023-07-20 | 문상열 | Anti-loosening spring nut |
JP2024541302A (en) * | 2022-01-17 | 2024-11-08 | サンヨル ムン | Anti-loosening spring nu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127604A (en) | An anti-loosening nut | |
US20160160904A1 (en) | Anti-loosening bolt assembly | |
KR102048264B1 (en) | A Locknut | |
US10738819B2 (en) | High security fastener | |
US5348432A (en) | Tee nut | |
KR101986509B1 (en) | Nuts with anti-loosening washers | |
US20030108401A1 (en) | Captive fastener system and retention member | |
US20100003074A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bar | |
EP3587842B1 (en) | Fastening structure | |
KR101505425B1 (en) | Locking nut | |
US20170184144A1 (en) | Washer for preventing loosening | |
KR102301433B1 (en) | An anti-loosening nut | |
JP6197204B1 (en) | Expansion anchor | |
KR101845007B1 (en) | Anchor bolt assembly | |
KR20210090366A (en) | A bolt having an anti-loosening spring | |
KR20210037238A (en) | Bolts with loosening protection | |
KR200498294Y1 (en) | Anchor bolt assembly | |
CN112534145A (en) | Lock washer and fastening structure | |
JP3164885U (en) | Locking nut | |
JP6576901B2 (en) | Bolt / nut locking structure | |
EP4467824A1 (en) | Anti-loosening spring nut | |
JP3182560U (en) | Multiple lock nuts | |
KR102413084B1 (en) | Anti-releasing nut | |
JP6512009B2 (en) | Fastening device | |
KR20190068208A (en) | Fastening devices for preventing nut from loose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