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627B1 - Fire det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Fire detec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8627B1 KR102298627B1 KR1020200168302A KR20200168302A KR102298627B1 KR 102298627 B1 KR102298627 B1 KR 102298627B1 KR 1020200168302 A KR1020200168302 A KR 1020200168302A KR 20200168302 A KR20200168302 A KR 20200168302A KR 102298627 B1 KR102298627 B1 KR 1022986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value
- distance value
- receives
- sir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25 ultraviolet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이를 주변에 알리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석유화학이나, 가스, 정유관련 공장과 같은 현장 등에서는 수 많은 위험물질을 여러 공정에서 고온, 고압으로 취급하여, 항상 폭발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In general, in sites such as petrochemical, gas, and oil refineries, many hazardous substances are handled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various processes, and there is always a risk of fire due to explosion.
또한, 상기와 같이 폭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공장들은 현장의 폭발로 인해 발생되는 주변의 공장이나 주택가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폭발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는 실로 막대한 것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tories having the risk of explosion as described above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factories or residential areas caused by the explosion on the sit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damage to human life and property due to the explosion is really huge.
이러한 산업현장에서 폭발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098969호의 화재 감지기는 화재 감지기로 유입되는 자외선을 감지하는 자외선 감지센서와, 화재 감지기로 유입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와, 자외선감지센서와 적외선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펄스신호는 디지털신호로 증폭하는 증폭부와; 증폭부에서 증폭된 자외선과 적외선의 파장이 화재판단DB에 기 설정된 화재인식영역 중 화재로 인식되는 파장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기설정된 화재인식영역에 포함되면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재판단부와; 화재감지기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광센서에서 인식된 광량에 연동하여 화재판단부의 화재판단DB에 설정된 자외선 및 적외선의 화재인식영역 중 화재로 인식되는 기준강도를 변경시키는 화재감도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다.As a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s caused by explosions in these industrial sites, the fire detector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98969 includes an ultraviolet sensor that detects ultraviolet rays flowing into the fire detector, and an infrared ray that detects infrared rays that enter the fire detector. an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pulse signal sensed by the ultraviolet detection sensor and the infrared detection sensor into a digital signal; It is checked whether the wavelengths of ultraviolet and infrared rays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unit are included in the wavelength range recognized as fire among the fire recognition areas set in the fire determination DB. wealth;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flowing into the fire detector; It is provided with a fire sensitivity control unit that changes the standard intensity recognized as a fire among the ultraviolet and infrared fire recognition areas set in the fire determination DB of the fire determination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amount of light recognized by the optical sensor.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화재 발생지역의 거리와 상관없이 일정한 화재 경보를 울려 거리에 따라 너무 크게 울리거나 너무 작게 울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a certain fire alarm is sounded regardless of the distance of the fire area, and the sound is too loud or too low depending on the dist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하는 것은 물론, 화재 발생지역과의 거리에 따라 경보음의 음량을 조절하여 거리에 알맞는 음량으로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not only detec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quickly, but also to adjust the volume of the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fire area to give an alarm at a volume suitable for the distance. but it ha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은,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감지부(110);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 시 발생지역과의 거리값을 생성하는 화재 수신부(120); 및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거리값을 전달받아 거리값에 따라 기 설정된 음량으로 화재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 경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감지부는 적외선 카메라(111) 및 온도센서(112)를 통해 영상신호 및 온도값을 생성하며, 상기 화재 수신부는 영상신호 및 온도값을 전달받아 기 설정된 온도값 감지 시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 시 거리값을 산출하고, 상기 화재 경보부는 거리값을 전달받아 거리값에 따라 기 설정된 음량으로 화재 경보하는 제1 사이렌(132)이 구비되며, 상기 화재 경보부는 거리값에 따라 상기 제1 사이렌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131)이 구비되고, 상기 화재 경보부는 주변의 인구 밀도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134)가 구비되며, 상기 화재 수신부는 화재 발생 시 상기 초음파센서로부터 인구 밀도값을 전달받아 음량값을 생성하고, 상기 화재 경보부는 음량값을 전달받아 음량값에 따라 기 설정된 음량으로 화재 경보하는 제2 사이렌(135)이 구비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13)가 구비되고, 상기 화재 수신부는 화재 발생 시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조도값을 전달받아 밝기값을 생성하며, 상기 화재 경보부는 밝기값을 전달받아 밝기값에 따라 기 설정된 밝기로 발광되는 LED 램프(133)가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1 사이렌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131a)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 양측에는 제1 베벨기어(131c)가 결합된 모터(131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사이렌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132a)가 결합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거리값을 전달받아 거리값에 따라 회동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이렌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따르면, 화재 발생지역과의 거리값을 생성하여 거리값에 따라 기 설정된 음량으로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경보음이 화재 지역까지 울리도록 하여 신속한 감지 및 대피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larm is generated at a preset volume according to the distance value by generating a distance value from a fire occurrence area, so that an alarm sound is sounded even to the fire area,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prompt detection and evacuation. can be obtained
또한, 거리값에 따라 화재 경보하는 사이렌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경보음이 화재 발생 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iren that fires the fire alarm according to the distance value, the effect of allowing the alarm sound to reach the fire area can be obtaine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이렌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확대도이다.1 to 3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n angl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first sir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an angl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화재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이렌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확대도이다.1 to 3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an angl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sire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은 거리에 따라 기 설정된 음량을 통해 화재를 경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eature that can alert a fire through a preset volume according to a distance.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100)은 화재 감지부(110), 화재 수신부(120) 및 화재 경보부(130)를 포함한다.The
상기 화재 감지부(110)는 주변의 화재를 감지하는 것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111),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2) 및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113)를 포함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적외선 카메라(111)는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Specifically, the
상기 온도센서(112)는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값을 생성한다.The
상기 조도센서(113)는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값을 생성한다.The
상기 화재 수신부(120)는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화재 감지부(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부(110)로부터 영상신호 및 온도값을 전달받는다.The
여기서, 상기 화재 수신부(120)는 상기 화재 감지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통해 영상 내 불꽃을 감지하고, 전달받은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이상 일 때 화재 발생으로 판단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화재 수신부(120)는 화재 발생 시 영상신호를 통해 화재 발생지역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거리값을 생성한다.and. The
또한, 상기 화지 수신부(120)는 조도값에 따라 밝기값을 생성한다.Also, the
상기 화재 경보부(130)는 상기 화재 수신부(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제1 사이렌(132), LED 램프(133), 초음파 센서 및 제2 사이렌(135)을 포함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사이렌(132)은 상기 화재 수신부(120)로부터 거리값을 전달받아 거리값에 따라 기 설정된 음량으로 화재를 경보한다.Specifically, the
예컨대, 1km 초과의 거리값 수신 시 법정 최고 수준의 120dB의 음량으로 경보하고, 500m 내지 1km의 거리값 수신 시 110dB의 음량으로 경보하며, 500m 미만의 거리값 수신 시 110dB의 음량으로 경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receiving a distance value of more than 1 km, it is desirable to alarm at a volume of 120 dB, the highest legal level, when receiving a distance value of 500 m to 1 km, at a volume of 110 dB, and when receiving a distance value of less than 500 m, it is desirable to alarm at a volume of 110 dB do.
상기 LED 램프(133)는 상기 화재 수신부(120)로부터 밝기값을 전달받아 밝기값에 따라 기 설정된 밝기로 발광한다.The
상기 초음파센서(134)는 상기 화재 경보부(130) 주변의 인구 밀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주변 인구 밀도를 측정하여 인구 밀도값을 생성한다.The
이때, 상기 화재 수신부(120)는 상기 초음파센서(134)로부터 인구 밀도값을 수신받아 인구 밀도값에 따라 음량값을 생성한다.At this time, the
예컨대, 상기 화재 수신부(120)는 측정 구역의 인구 밀도가 1평당 1명 초과의 밀도값 수신 시 110dB의 음량값을 생성하고, 1평당 1명 내지 0.5명의 밀도값 수신 시 100dB의 음량값을 생성하며, 1평당 0.5 내지 0명의 밀도값 수신 시 90dB의 음량값을 생성한다.For example, the
그리고, 상기 제2 사이렌(135)은 상기 화재 수신부(120)로부터 음량값을 전달받아 음량값에 따라 기 설정된 음량으로 화재 경보를 한다.In addition, the
나아가, 상기 화재 경보부(130)는 거리값에 따라 상기 제1 사이렌(132)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131)이 구비된다.Furthermore, the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조절수단(131)은 상기 화재 감지부(1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거나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angle adjusting means 131 may be install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수단(131)은 지주나 건물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사이렌(13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131a)가 구비된다.Here, the angle adjusting means 131 is provided with a
상기 몸체(131a)의 하부 양측에는 모터(131b)가 구비된다.Motors 131b are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여기서, 상기 모터(131b)는 상기 화재 수신부(120)로부터 거리값을 전달받아 거리값에 따라 회동값을 생성한다.Here, the
이때, 상기 모터(131b) 각각에는 제1 베벨기어(131c)가 결합된다.At this time, a
그리고, 상기 제1 사이렌(132)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베벨기어(131c)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132a)가 구비된다.In addition,
예컨대, 상기 각도조절수단(131)은 1km 초과의 거리값 수신 시 상기 제1 사이렌(132)을 지면과 평행하도록 위치시키고, 500m 내지 1km의 거리값 수신 시 지면과 평행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15도 회동시키며, 500m 미만의 거리값 수신 시 지면과 평핸한 위치를 기준으로 30도 회동시킨다.For example, the angle adjusting means 131 positions the
즉, 상기 각도조절수단(131)은 상기 제1 사이렌(132)을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시키거나, 하방으로 15도, 및 30도의 각으로 회동시킨다.That is, the angle adjusting means 131 positions the
이에 따라, 화재 상황에 따라 알맞은 화재 경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oviding an appropriate fire alarm according to the fire situation.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따르면, 화재 발생지역과의 거리값을 생성하여 거리값에 따라 기 설정된 음량으로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경보음이 화재 지역까지 울리도록 하여 신속한 감지 및 대피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larm is generated at a preset volume according to the distance value by generating a distance value from a fire occurrence area, so that an alarm sound is sounded even to the fire area,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prompt detection and evacuation. can be obtained
또한, 거리값에 따라 화재 경보하는 사이렌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경보음이 화재 발생 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iren that fires the fire alarm according to the distance value, the effect of allowing the alarm sound to reach the fire area can be obtain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시스템 110: 화재 감지부
111: 적외선 카메라 112: 온도센서
113: 조도센서 120: 화재 수신부
130: 화재 경보부 131: 각도조절수단
131a: 몸체 131b: 모터
131c: 제1 베벨기어 132: 제1 사이렌
132a: 제2 베벨기어 133: LED 램프
134: 초음파센서 135: 제2 사이렌100: system 110: fire detection unit
111: infrared camera 112: temperature sensor
113: illuminance sensor 120: fire receiver
130: fire alarm 131: angle adjustment means
131a:
131c: first bevel gear 132: first siren
132a: second bevel gear 133: LED lamp
134: ultrasonic sensor 135: second siren
Claims (5)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 시 발생지역과의 거리값을 생성하는 화재 수신부(120); 및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거리값을 전달받아 거리값에 따라 기 설정된 음량으로 화재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 경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감지부는 적외선 카메라(111) 및 온도센서(112)를 통해 영상신호 및 온도값을 생성하며,
상기 화재 수신부는 영상신호 및 온도값을 전달받아 기 설정된 온도값 감지 시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 시 거리값을 산출하고,
상기 화재 경보부는 거리값을 전달받아 거리값에 따라 기 설정된 음량으로 화재 경보하는 제1 사이렌(132)이 구비되며,
상기 화재 경보부는 거리값에 따라 상기 제1 사이렌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131)이 구비되고,
상기 화재 경보부는 주변의 인구 밀도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134)가 구비되며,
상기 화재 수신부는 화재 발생 시 상기 초음파센서로부터 인구 밀도값을 전달받아 음량값을 생성하고,
상기 화재 경보부는 음량값을 전달받아 음량값에 따라 기 설정된 음량으로 화재 경보하는 제2 사이렌(135)이 구비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13)가 구비되고,
상기 화재 수신부는 화재 발생 시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조도값을 전달받아 밝기값을 생성하며,
상기 화재 경보부는 밝기값을 전달받아 밝기값에 따라 기 설정된 밝기로 발광되는 LED 램프(133)가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1 사이렌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131a)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 양측에는 제1 베벨기어(131c)가 결합된 모터(131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사이렌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132a)가 결합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화재 수신부로부터 거리값을 전달받아 거리값에 따라 회동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이렌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a fire detection unit 110 for generating an image signal by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a fire receiving unit 120 that receives the video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generates a distance value from a fire area when a fire occurs; and
and a fire alarm unit 130 that receives the distance value from the fire receiver and generates a fire alarm at a preset volume according to the distance value;
The fire detection unit generates an image signal and a temperature value through an infrared camera 111 and a temperature sensor 112,
The fire receiver receives an image signal and a temperature value, determines whether a fire occurs when a preset temperature value is detected, and calculates a distance value when a fire occurs,
The fire alarm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siren 132 that receives the distance value and alarms the fire at a preset volume according to the distance value,
The fire alarm unit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means 131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siren according to the distance value,
The fire alarm unit is provided with an ultrasonic sensor 134 for measuring the surrounding population density,
The fire receiving unit generates a volume value by receiving the population density value from the ultrasonic sensor when a fire occurs,
The fire alarm unit is provided with a second siren 135 that receives the volume value and alarms the fire at a preset volume according to the volume value,
The fire detection unit is provided with an illuminance sensor 113 for detecting ambient illuminance,
The fire receiving unit generates a brightness value by receiving the illuminance value from the illuminance sensor when a fire occurs,
The fire alarm unit is provided with an LED lamp 133 that receives the brightness value and emits light with a preset brightnes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The angl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body (131a) to which the first siren is rotatably coupled,
A motor 131b to which a first bevel gear 131c is coupled is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body,
A second bevel gear 132a enga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bevel gear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iren,
The motor receives the distance value from the fire receiver and generates a rotation value according to the distance value to adjust the angle of the first sir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8302A KR102298627B1 (en) | 2020-12-04 | 2020-12-04 | Fire detec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8302A KR102298627B1 (en) | 2020-12-04 | 2020-12-04 | Fire detec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8627B1 true KR102298627B1 (en) | 2021-09-07 |
Family
ID=7779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8302A Active KR102298627B1 (en) | 2020-12-04 | 2020-12-04 | Fire detec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862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43601A1 (en) * | 2022-08-24 | 2024-02-2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Cooking apparatus for detecting fire risk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35780A (en) * | 2005-02-23 | 2006-09-0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Residential fire alarm |
KR101574709B1 (en) | 2014-03-13 | 2015-12-0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System for detecting fire and electric appliance box using multi-sensor |
KR101743939B1 (en) | 2015-11-16 | 2017-06-0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Fire sensing and protection system for wind turbine |
KR101784755B1 (en) * | 2016-12-26 | 2017-10-16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learning paint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
KR101796054B1 (en) | 2016-09-02 | 2017-12-01 | (주)유비쿼터스통신 | Smart fire perception system using ip network |
KR101873831B1 (en) * | 2017-03-21 | 2018-08-02 | 주식회사 넥토마이닝 | Evacuee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ing sensor network and directional speaker |
KR20200098317A (en) | 2019-02-12 | 2020-08-20 |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 Fire extinguish system |
-
2020
- 2020-12-04 KR KR1020200168302A patent/KR10229862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35780A (en) * | 2005-02-23 | 2006-09-0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Residential fire alarm |
KR101574709B1 (en) | 2014-03-13 | 2015-12-0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System for detecting fire and electric appliance box using multi-sensor |
KR101743939B1 (en) | 2015-11-16 | 2017-06-0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Fire sensing and protection system for wind turbine |
KR101796054B1 (en) | 2016-09-02 | 2017-12-01 | (주)유비쿼터스통신 | Smart fire perception system using ip network |
KR101784755B1 (en) * | 2016-12-26 | 2017-10-16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learning paint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
KR101873831B1 (en) * | 2017-03-21 | 2018-08-02 | 주식회사 넥토마이닝 | Evacuee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ing sensor network and directional speaker |
KR20200098317A (en) | 2019-02-12 | 2020-08-20 |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 Fire extinguish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43601A1 (en) * | 2022-08-24 | 2024-02-2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Cooking apparatus for detecting fire risk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23448B2 (en) | Emergency detec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for detecting emergencies | |
EP1851995B1 (en) | Camera vision fire detector and system | |
US20210208001A1 (en) | Intelligent flame thermogram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infrared | |
US20030020617A1 (en) | Detector with ambient photon sensor and other sensors | |
US10748401B2 (en) | Gas detection device | |
US9691246B2 (en) | Flame detector for monitoring a region adjacent to bodies of water and taking into consideration a degree of polarization present in the received light for the activation of a fire alarm | |
MX2013000131A (en) | Optically redundant fire detector for false alarm rejection. | |
JPS61222391A (en) | Apparatus for immediately sensing physical phenomenon accompanying danger | |
KR102298627B1 (en) | Fire detection system | |
KR102636506B1 (en) | Emergency information detection and alarm system for self-driving patrol vehicles | |
GB2372317A (en) | Infrared flame detection sensor | |
KR102585768B1 (en) |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
KR200470830Y1 (en) | Ceiling type sensor case having sensor intergration board | |
KR101807265B1 (en) | fire-prevention system possible earthquake observation | |
KR101573236B1 (en) | Fire detection system | |
WO2001004853A8 (en) | Laser director for fire evacuation path | |
WO2005052524A1 (en) | Flame detection apparatus | |
TWM597953U (en) | Laser smoke detector | |
JP2005077279A (en) | Smoke sensing system | |
EP4548326A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fire detection | |
Naranjo et al. | IR gas cloud imaging in oil and gas applications: immunity to false stimuli | |
KR20200099699A (en) | Detecting apparatus for trespassing and fire | |
KR100920062B1 (en) | Detection area display of flame detector | |
RU200591U1 (en) | EMERGENCY DETECTOR | |
JPS58173440A (en) | Dete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