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768B1 -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Google Patents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5768B1 KR102585768B1 KR1020220137166A KR20220137166A KR102585768B1 KR 102585768 B1 KR102585768 B1 KR 102585768B1 KR 1020220137166 A KR1020220137166 A KR 1020220137166A KR 20220137166 A KR20220137166 A KR 20220137166A KR 102585768 B1 KR102585768 B1 KR 1025857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ermal
- image
- fire
- ignition
- thermal ima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53—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 G06T3/4076—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using the original low-resolution images to iteratively correct the high-resolution imag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48—Infrared ima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재 예방을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을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열화상을 분석해서 발화점 이전의 온도로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의 도달 여부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는 화재 예방 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열원의 온도가 발화전 이전의 온도로 설정된 온도에 도달 여부에 따라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해서 진화하도록 함으로써, 본격적인 발화 이전에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This relates to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which includes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acquires thermal images by photographing a preset setting area for fire prevention, and the temperature before the ignition point by analyzing thermal images captured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 A configuration is prepared that includes a fire prevention server that generates a fire warning based on whether a preset temperature is reached, and a fire warning is generated depending on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reaches the temperature set before ignition. By extinguishing the fi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ire before it ignites in earne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발화점 이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해서 화재를 예방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More specifically, fire prevention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detects temperature changes before the ignition point due to a fire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to prevent fire. It relates to systems and methods.
일반적으로, 산악 지역이나, 건물, 공장, 고속도로, 문화재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하여 CCTV 카메라 또는 화재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의 감시 및 초동 진화를 수행하고 있다. In general, in case a fire occurs in a mountainous area, building, factory, highway, cultural property, etc., CCTV cameras or fire detection sensors are used to monitor the fire and initially extinguish the fire.
즉, 화재 감지(또는 감시)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CCTV 카메라 또는 화재 감지 센서를 통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발화지점을 조기에 발견하고, 화재 경보를 발하는 방식으로 화재에 대한 초기 대응을 수행한다.In other words, the fire detection (or surveillance) and monitoring system detects the ignition point early when a fire is detected through a CCTV camera or fire detection sensor and performs an initial response to the fire by issuing a fire alarm.
특히, 산악 지역이나 공공장소와 같이 면적이 넓은 장소에서는 화재 감지 센서를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카메라를 통한 영상 기반으로 해당 지역 및 장소를 감시하는 영상기반의 감시 시스템이 상용화되어 적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re are limitations in using fire detection sensors in large areas such as mountainous areas or public places, so video-based surveillance systems that monitor the area and place based on images through cameras are being commercialized and applied.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각각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서 화재를 감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below each disclose a technology for monitoring a fire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화재는 발생한 이후에 감지하기보다 발생 이전에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즉, 화재 예방은 작은 불이 시작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고 큰불로 번지지 않게 막아야 한다. It is more important to prevent fires before they occur rather than detecting them after they occur. In other words, fire prevention requires detecting when a small fire starts and preventing it from spreading into a large fire.
종래기술에 따른 화재감지시스템은 화재 발생으로 인한 불꽃이나 온도 상승, 연기 등을 해재 발생으로 판단하는 감지조건으로 설정해서 화재를 감지한다. A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tects a fire by setting flames, temperature rise, smoke, etc. du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as detection conditions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화재감지시스템은 화재 발생 이전에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가 발생한 후 이를 감지해서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거나 초기 진압하는 것을 목적인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not to prevent fire before a fire occurs, but to detect the fire after it occurs and block the spread of the fire or suppress it at an early stage.
한편,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열을 추적, 탐지하여 화면으로 한 눈에 보여주는 장치이다. 일반 카메라는 사람의 눈과 같은 구조를 하고 있어 우리 눈이 보는 것과 유사한 실화상을 담아낸다. 반면, 열화상 카메라는 오직 열을 이용해서 촬영해서 열화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열화상 카메라는 소형화를 통해 휴대 가능함에 따라, 분전함의 결선 이상이나 변압기의 과열 등을 측정하는 휴대용 센서로 이용하였다.Meanwhile, the thermal imaging camera is a device that tracks and detects heat and displays it at a glance on a screen. A regular camera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human eye, so it captures real images similar to what our eyes see. On the other hand, thermal imaging cameras only capture images using heat and provide thermal images. As these thermal imaging cameras became portable through miniaturization, they were used as portable sensors to measure wiring problems in distribution boxes or overheating of transformers.
그러나 종래에는 열화상 카메라를 화재 예방이 아닌, 화재 감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계측기로만 활용하였다. However, in the past, thermal imaging cameras were used only as measuring instruments to provide fire detection functions, not fire prevention.
따라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서 화재 발생 이전에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화재 예방 시스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fire prevention system technology that can prevent fires before they occur using thermal imaging camera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발화점 이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해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can prevent fires by detecting temperature changes before the ignition point caused by a fire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It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에 의한 발화점 이전의 온도 변화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해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can prevent fire by determin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temperature change before the ignition point due to fire occurre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화상과 실화상을 이용해서 발화점 이전의 온도로 설정된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 발생 경고를 통해 화재를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set to the temperature before the ignition point using thermal and visible images, and to initially extinguish the fire through a fire warning. To provide prevention systems and method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은 화재 예방을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을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열화상을 분석해서 발화점 이전의 온도로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의 도달 여부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는 화재 예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a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acquires thermal images by photographing a preset setting area for fire prevention, an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e prevention server that analyzes thermal images and generates a fire outbreak warning based on whether a preset temperature before the ignition point is reached.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은 (a)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서 화재 예방을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b) 화재 예방 서버에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열화상을 분석해서 발화점 이전의 온도로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의 도달 여부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fire prevention method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acquiring a thermal image by photographing a preset area for fire prevention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nd (b) analyzing the thermal image taken from the thermal imaging camera in the fire prevention server and generating a fire warning based on whether a preset temperature before the ignition point is reached.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열원의 온도가 발화전 이전의 온도로 설정된 온도에 도달 여부에 따라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해서 진화하도록 함으로써, 본격적인 발화 이전에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outbreak warning is generated and extinguished depending on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reaches the temperature set as the temperature before ignition, thereby causing full-scale ignition.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event fires in the first place is achiev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열화상을 이용하거나 열화상과 실화상을 동시에 이용해서 발화 직전 상태 또는 발화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화재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onitor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ignition or the state of ignition by using thermal images or simultaneously using thermal and visible images, and accurately determine a fir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s,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에 복수의 열원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의 열원을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각 감시 영역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해서 효과적으로 열원을 감시하고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multiple heat sources are detected at the same time, each heat source is set as a monitoring area and the temperature change in each set monitoring area is monitored, thereby effectively monitoring the heat source and preventing fire.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의 화재 예방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by step a fire prevention method of a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예방을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을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20) 및 열화상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열화상을 분석해서 발화점 이전의 온도로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의 도달 여부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는 화재 예방 서버(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20)은 상기 설정 영역을 촬영해서 실화상을 획득하는 실화상 카메라(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열화상 카메라(2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표면의 온도를 측정해서 열화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열화상에서 온도가 높은 영역은 흰색과 붉은색을 나타나고, 온도가 낮은 영역은 보라색과 검은색으로 나타난다. The
이러한 열화상 카메라(20)는 촬영 해상도가 높을수록 온도 감지의 오차가 작고, 비접촉 방식으로 열화상을 획득함에 따라, 거리의 제약이 적어서 비대면 체온 측정 장치, 산불 감시 장비, 군사용 감시 장비 등에 활용되고 있다. The higher the shooting resolution, the smaller the temperature detection error, and since thermal images are acquired in a non-contact manner, the
본 실시 예에서, 열화상 카메라(20)는 열화상을 촬영하는 촬영모듈(21), 화재 예방 서버(3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22), 각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23) 및 각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러한 열화상 카메라(20)는 건물 내부의 제한된 공간뿐만 아니라, 산림이나 농경지 등 넓은 공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모듈(21)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구동모듈(25)과 획득된 열화상을 저장하는 저장모듈(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is
실화상 카메라(40)는 상기 설정 영역을 촬영해서 일반적인 실제 화상, 즉 실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화상 카메라(40)는 열화상 카메라(20)와 인접해서 설치되며, 화재 예방 서버(3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이러한 실화상 카메라(40)는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동작 가능한 PTZ 카메라로 마련될 수 있다. This
물론,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20)와 실화상 카메라(40)를 별도로 설치하는 대신에, 열화상 카메라(20)에 열화상 렌즈와 실화상 렌즈를 동시에 마련하고, 각 렌즈에서 촬영된 열화상과 실화상을 분석해서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installing the
한편, 화재는 일반적으로 발화원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발화원의 발화점에 도달하면 발화가 시작된다. Meanwhile, a fire generally start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gnition source increases and reaches the ignition point of the ignition source.
상기 발화점은 발화원의 재질이나 상태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대략 120℃ 내지 140℃이다. The ignition point varies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material or condition of the ignition source, but is approximately 120°C to 140°C.
그래서 본 발명은 발화점 이전의 온도, 예컨대 약 100℃ 전후의 온도를 상기 설정 온도로 설정하고, 열원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화재 발생 경보를 발생시켜 발화된 지점을 신속하게 진압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before the ignition point, for example, around 100°C, is set to the set temperature,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a fire alarm is generated to quickly extinguish the ignition point, thereby preventing the fire. prevent it
즉, 본 발명은 열원의 온도가 발화점에 도달해서 발화가 시작된 이후에 화재를 감지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발화점 이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설정온도 도달 여부에 따라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해서 진화하도록 함으로써, 본격적인 발화 이전에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That is, unlike the prior art, which detects a fire aft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reaches the ignition point and ignition begins,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warning of fire occurrence and extinguishes it depending on whether the set temperature is reach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before the ignition point. Fires can be prevented before full-scale ignition occurs.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은 측정 거리가 제한된 온도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온도의 변화가 직접 인지될 수 있는 거리의 화재 발생만을 감시 가능함에 따라, 화재 감지 시점이 화재가 엄청나게 번진 후일 가능성이 높았다.Meanwhile, when a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s a temperature sensor with a limited measurement distance, it can only monitor fire occurrence at a distance where changes in temperature can be directly perceived,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ime of fire detection is after the fire has spread significantly. It was high.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은 CCTV를 이용해서 감지하고자 하는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변화를 인식하여 화재를 판단하는 경우, 정확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d a problem in that accuracy was significantly reduced when images of the area to be detected were captured using CCTV and a fire was determined by recognizing changes in the captured images.
따라서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실내 공간에서 화재를 감시하는 경우, 열화상 카메라(20)를 이용해서 실내 전체를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감시 영역의 온도가 발화점 이전의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는지 온도 변화를 감지해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nitoring a fire in an indoor space inside a building, the entire room is set as a surveillance area using a
화재 예방 서버(30)는 열화상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열화상을 분석해서 발화점 이전의 온도로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의 도달 여부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는 기능을 한다. The
예를 들어, 화재 예방 서버(30)는 하나 이상의 열화상 카메라(20) 및 실화상 카메라(40)와 통신하는 통신부(31), 통신부(31)를 통해 수신된 열화상과 실화상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32), 영상 분석 결과에 기초해서 발화 직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33) 및 판단 결과 발화 직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는 경고 발생부(34)를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그리고 화재 예방 서버(30)는 화재 예방 서버(30)에 마련된 각 장치 및 열화상 카메라(20)나 실화상 카메라(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5)와, 수신된 열화상과 실화상 정보, 영상을 분석한 분석 정보 및 상기 발화 직전 상태인지 또는 발화 상태인지를 판단한 판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통신부(31)는 하나 이상의 열화상 카메라(20) 및 실화상 카메라(4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해당 지역이나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50)이나 소방 서버(60), 방범 서버(70) 등과도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영상 분석부(32)는 각 열화상 카메라(20)에서 수신된 열화상을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The
예를 들어, 영상 분석부(32)는 열화상 내의 전체 영역에서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이 아닌 별 모양 등 다양한 다각 형상으로 표시되는 열원을 감지하고, 감지된 열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을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여기서, 영상 분석부(32)는 감지된 열원의 개수에 따라 상기 감시 영역을 하나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부(32)는 각 감시 영역의 형상이 서로 다른 여러 가지 형상인 경우, 각 감시 영역을 서로 다른 형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Here, the
판단부(33)는 영상 분석 결과, 각 감시 영역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여 발화 직전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33)는 영상 분석 결과, 상기 설정 온도를 초과해서 발화점에 도달하여 실제 발화된 발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video analysis, the
그래서 경고 발생부(34)는 상기 발화 직전 상태이면 상기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고, 상기 발화 상태이면 상기 화재 발생 경고를 발생할 수 있다. Therefore, the
그래서 관리자 단말(50)은 상기 화재 발생 예고 또는 화재 발생 경고가 수신되면, 화면에서 화재 발생 예고 또는 화재 발생 경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예고음이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ire occurrence notice or fire occurrence warning is received, the manager terminal 50 may display the fire occurrence notice or fire occurrence warning on the screen and output a warning sound or warning sound.
제어부(35)는 화재 예방 서버(30)에 마련된 각 장치 및 열화상 카메라(20)나 실화상 카메라(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제어부(35)는 각 감시 영역에서 발화점이 서로 다른 객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발화점이 서로 다른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각 객체들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을 각각의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각 감시 영역에서 각 객체 부분의 온도를 동시에 측정해서 각 감시 영역의 발화 직전 상태 또는 화재 발생 상태를 분석하도록 영상 분석부(3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한편, 상기 열화상 렌즈와 실화상 렌즈를 동시에 사용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에서 열화상 렌즈와 실화상 렌즈는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in a dual lens camera that simultaneously uses the thermal image lens and the visible image lens, the thermal image lens and the visible image lens may have different resolutions.
그러면, 제어부(35)는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열화상과 실화상의 해상도를 서로 동일하게 변경하고, 해상도가 동일하게 변경된 열화상과 실화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오버랩시킨 후, 오버랩 화면에서 실화상에 열화상의 온도를 표시하도록 영상 분석부(3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n, the
따라서 영상 분석부(32)는 오버랩 화면을 하나의 화면으로 인식해서 인식된 화면의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Therefor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열원의 온도가 발화전 이전의 온도로 설정된 온도에 도달 여부에 따라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해서 진화하도록 함으로써, 본격적인 발화 이전에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ires before full-scale ignition by generating a fire warning and extinguishing the fire depending on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reaches the temperature set as the temperature before ignition.
다음, 도 2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의 화재 예방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2, a fire prevention method of a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의 화재 예방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Figure 2 is a flowchart explaining step by step a fire prevention method of a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S10단계에서 열화상 카메라(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열화상 카메라(20)의 제어모듈(24)은 각 장치를 초기화하고, 통신모듈(22)을 통해 화재 예방 서버(30)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한 후, 화재 감시 동작을 준비한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이때, 화재를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이나 공간에는 하나 이상의 열화상 카메라(20)가 설치되고, 실화상 카메라(40)가 별도로 설치되거나 듀얼 렌즈가 적용된 열화상 카메라(20)가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화재 예방 서버(30)는 통신부(31)를 통해 하나 이상의 지역이나 공간에 설치된 각 열화상 카메라(20) 및 실화상 카메라(4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one or more
S12단계에서 각 열화상 카메라(20)는 화재 예방을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을 획득하고, 각 실화상 카메라(40)는 상기 설정 영역을 촬영해서 실화상을 촬영하며, 각 카메라(20,40)는 획득된 열화상과 실화상을 화재 예방 서버(30)로 전송한다(S14).In step S12, each
S16단계에서 화재 예방 서버(30)의 영상 분석부(32)는 수신된 열화상과 실화상을 분석한다. 이때, 영상 분석부(32)는 분석된 열화상 내의 전체 영역에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이 아닌 별 모양 등 다양한 다각 형상으로 표시되는 열원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S18). In step S16, the
S18단계의 검사결과 열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5)는 S12단계로 진행하여 설정 영역을 촬영해서 열화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열화상에서 열원이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If the heat source does not exist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n step S18, the
반면, S18단계의 검사결과 열화상에서 열원이 존재하는 경우, S20단계에서 영상 분석부(32)는 감지된 열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을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때, 여기서, 영상 분석부(32)는 감지된 열원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감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부(32)는 각 감시 영역의 형상이 서로 다른 여러 가지 형상인 경우, 각 감시 영역을 서로 다른 형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On the other hand, if a heat source exists in the thermal image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n step S18, the
이때, 제어부(35)는 각 감시 영역에서 발화점이 서로 다른 객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발화점이 서로 다른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각 객체들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을 각각의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각 감시 영역에서 각 객체 부분의 온도를 동시에 측정해서 각 감시 영역의 발화 직전 상태 또는 화재 발생 상태를 분석하도록 영상 분석부(32)의 구동을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영상 분석부(32)는 제어부(35)의 제어신호에 따라, 듀얼 렌즈가 적용된 열화상 카메라에서 수신된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열화상과 실화상의 해상도를 서로 동일하게 변경하고, 해상도가 동일하게 변경된 열화상과 실화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오버랩시킨 후, 오버랩 화면에서 실화상에 열화상의 온도를 표시하며, 따라서 오버랩 화면을 하나의 화면으로 인식해서 인식된 화면의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And the
S22단계에서 판단부(33)는 영상 분석 결과, 각 감시 영역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여 발화 직전 상태인지를 검사한다. In step S22, the
S22단계의 검사결과 감지 영역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35)는 S18단계로 진행해서 이후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If the temperature of the detection area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n step S22, the
반면, S22단계의 검사결과 감시 영역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해서 상기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판단부(33)는 발화 직전 상태로 판단하고,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해서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50), 소방 서버(60), 방범 서버(70) 등으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monitoring area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n step S22 reaches the set temperature and becomes more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그러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50)이나 소방 서버(60), 방범 서버(70)를 통해 화재 발생 예고를 확인해서 해당 지역의 소화 장비를 구동하거나, 소방 인력 및 장비를 출동시켜서 화재가 본격적으로 발화하기 이전에 진압하여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Then, the manager checks the fire outbreak notice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50, the firefighting server 60, and the crime prevention server 70 and operates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in the area or dispatches firefighting personnel and equipment so that the fire ignites in earnest. You can prevent a fire from occurring by extinguishing it before it starts.
한편, S26단계에서 판단부(33)는 감시 영역의 온도가 열원의 발화점에 도달해서 발화점 이상이 되는지를 검사한다. Meanwhile, in step S26, the
S26단계의 검사결과 감시 영역의 온도가 발화점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35)는 S22단계로 진행해서 이후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If the temperature of the monitoring area is lower than the ignition point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n step S26, the
반면, S26단계의 검사결과 감시 영역의 온도가 발화전 이상이 되면, 판단부(33)는 실제 발화된 발화 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면 경고 발생부(34)는 화재 발생 경고를 발생해서 통신부(31)를 통해 관리자 단말(50), 소방 서버(60), 방범 서버(70) 등으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monitoring area is higher than before ignition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n step S26, the
그러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50)이나 소방 서버(60), 방범 서버(70)를 통해 화재 발생 예고를 확인해서 해당 지역의 소화 장비를 구동하고, 소방 인력 및 장비를 출동시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다. Then, the manager checks the fire outbreak notice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50, the firefighting server 60, and the crime prevention server 70, operates firefighting equipment in the area, and dispatches firefighting personnel and equipment to extinguish the fire early. can do.
이후, 열화상 카메라(20)의 제어모듈(24)은 S12단계로 진행해서 화재 감지 및 경고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Afterwards,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열원의 온도가 발화전 이전의 온도로 설정된 온도에 도달 여부에 따라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해서 진화하도록 함으로써, 본격적인 발화 이전에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ires before full-scale ignition by generating a fire warning and extinguishing the fire depending on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reaches the temperature set as the temperature before igni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열화상을 이용하거나 열화상과 실화상을 동시에 이용해서 발화 직전 상태 또는 발화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화재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ignition or the state of ignition by using thermal images or both thermal and visible images, and can accurately determine a fir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s.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of cours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열원의 온도가 발화전 이전의 온도로 설정된 온도에 도달 여부에 따라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해서 진화하도록 함으로써, 본격적인 발화 이전에 화재를 예방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technology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prevents a fire before full-scale ignition by generating a fire warning and extinguishing the fire depending on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reaches the temperature set as the temperature before ignition. do.
10: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20: 열화상 카메라
21: 촬영모듈 22: 통신모듈
23: 전원공급모듈 24: 제어모듈
25: 구동모듈 26: 저장모듈
30: 화재 예방 서버
31: 통신부 32: 영상 분석부
33: 판단부 34: 경고 발생부
35: 제어부 36: 저장부
40: 실화상 카메라
50: 관리자 단말 60: 소방 서버
70: 방범 서버10: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20: Thermal imaging camera
21: shooting module 22: communication module
23: power supply module 24: control module
25: driving module 26: storage module
30: Fire prevention server
31: Communication Department 32: Video Analysis Department
33: judgment unit 34: warning generation unit
35: control unit 36: storage unit
40: Visible camera
50: Administrator terminal 60: Firefighting server
70: Crime prevention server
Claims (10)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열화상을 분석해서 발화점 이전의 온도로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의 도달 여부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는 화재 예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예방 서버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열화상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영상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해서 발화 직전 상태 및 발화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발화 직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고, 상기 발화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 발생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 발생부,
상기 화재 예방 서버에 마련된 각 장치 및 열화상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수신된 열화상과 실화상 정보, 영상을 분석한 분석 정보 및 발화 직전 상태인지 또는 발화 상태인지를 판단한 판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열화상 내의 전체 영역에서 열원을 감지하고, 감지된 열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을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 감시 영역에서 발화점이 서로 다른 객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발화점이 서로 다른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각 객체들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을 각각의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각 감시 영역에서 각 객체 부분의 온도를 동시에 측정해서 각 감시 영역의 발화 직전 상태 또는 발화 상태를 분석하도록 상기 영상 분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acquires thermal images by photographing a pre-set area for fire prevention and
It includes a fire prevention server that analyzes thermal images captured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 and generates a fire outbreak warning based on whether a preset temperature before the ignition point is reached,
The fire prevention serv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thermal imaging camera,
An imag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rmal image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judgment unit that determines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ignition and the ignition stat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mage analysis unit;
A warning generator that generates a fire warning if the decision by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state is just before ignition, and generates a fire warning if it determines that the ignition state is in the stat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and thermal imaging camera provided in the fire prevention server, and
It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stores received thermal image and visual image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mage, and judgment information that determines whether it is in a state just before ignition or in a state of ignition,
The image analysis unit detects a heat source in the entire area within the thermal image and sets the area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etected heat source as the surveillance area to be monitored,
The control unit analyzes whether there are objects with different ignition points in each surveillance area, and if there are objects with different ignition points, sets the area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each object as each surveillance area, and sets each surveillance area as an area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each object. A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image analysis unit is controlled to simultaneous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each object part and analyze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ignition or the ignition state of each surveillance area.
상기 영상 분석부는 복수의 열원이 감지되는 경우 각 열원 주변 영역을 각각의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고, 각 감시 영역의 형상이 서로 다른 형상인 경우, 각 감시 영역을 서로 다른 형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multiple heat sources are detected, the image analysis unit sets the area around each heat source as each surveillance area, and when each surveillance area has a different shape, it displays each surveillance area on the screen in a different shape. A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렌즈와 실화상을 촬영하는 실화상 렌즈가 마련된 듀얼 렌즈 카메라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상 렌즈와 실화상 렌즈의 해상도가 서로 다른 경우,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열화상과 실화상의 해상도를 서로 동일하게 변경하고, 해상도가 동일하게 변경된 열화상과 실화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오버랩시킨 후, 오버랩 화면에서 실화상에 열화상의 온도를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분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hermal imaging camera is equipped with a dual lens camera equipped with a thermal imaging lens for capturing thermal images and a visual image lens for capturing real images,
When the resolutions of the thermal image lens and the visible image lens are different,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resolutions of the thermal image and the visible image having different resolutions to be the same, and displays the thermal image and the visible image with the same resolution on one screen. A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image analysis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temperature of the thermal image on the real image on the overlap screen.
(b) 화재 예방 서버에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열화상을 분석해서 발화점 이전의 온도로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의 도달 여부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b1) 통신부를 이용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해서 열화상을 수신하는 단계,
(b2) 영상 분석부를 이용해서 수신된 열화상을 분석하는 단계,
(b3) 판단부를 이용해서 상기 영상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발화 직전 상태 및 발화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4) 경고 발생부를 이용해서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발화 직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 발생 예고를 발생하고, 상기 발화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 발생 경고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2)단계에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열화상 내의 전체 영역에서 열원을 감지하고, 감지된 열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을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며,
복수의 열원이 감지되는 경우 각 열원 주변 영역을 각각의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고, 각 감시 영역의 형상이 서로 다른 형상인 경우, 각 감시 영역을 서로 다른 형상으로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b2)단계에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각 감시 영역에서 발화점이 서로 다른 객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발화점이 서로 다른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각 객체들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을 각각의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각 감시 영역에서 각 객체 부분의 온도를 동시에 측정해서 각 감시 영역의 발화 직전 상태 또는 발화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a) Acquiring a thermal image by photographing a preset area for fire prevention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nd
(b) A fire prevention server analyzes thermal images taken from the thermal imaging camera and generates a fire outbreak warning based on whether a preset temperature before the ignition point is reached,
Step (b) includes (b1) receiving thermal images by communicating with the thermal imaging camera using a communication unit,
(b2) analyzing the received thermal image using an image analysis unit,
(b3) using a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the state immediately prior to ignition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n ignition stat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mage analysis unit; and
(b4) using a warning generation unit to generate a fire warning whe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state is immediately before the ignition, and generating a fire warning when the ignition state is determined,
In step (b2), the image analysis unit detects a heat source in the entire area within the thermal image and sets the area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etected heat source as the surveillance area to be monitored,
If multiple heat sources are detected, the area around each heat source is set as each surveillance area, and if each surveillance area has a different shape, each surveillance area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different shape.
In step (b2), the video analysis unit analyzes whether there are objects with different ignition points in each surveillance area, and if there are objects with different ignition points, the area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each object is divided into each surveillance area. set,
A fire prevention method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characterized by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each object part in each set surveillance area and analyzing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ignition or the ignition state of each surveillance area.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렌즈와 실화상을 촬영하는 실화상 렌즈가 마련된 듀얼 렌즈 카메라로 마련된 경우, 상기 열화상 렌즈와 실화상 렌즈의 해상도를 서로 동일하게 변경하고, 해상도가 동일하게 변경된 열화상과 실화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오버랩시킨 후, 오버랩 화면에서 실화상에 열화상의 온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In step (b), if the thermal imaging camera is provided with a dual lens camera equipped with a thermal imaging lens for capturing thermal images and a visual lens for capturing real images, the thermal imaging lens and the visual image lens are provided. Fire prevention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which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resolution to be the same, overlapping the thermal image and the visible image with the same resolution on one screen, and then displaying the temperature of the thermal image on the real image on the overlap screen.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7166A KR102585768B1 (en) | 2022-10-24 | 2022-10-24 |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PCT/KR2023/016111 WO2024090880A1 (en) | 2022-10-24 | 2023-10-18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ire by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7166A KR102585768B1 (en) | 2022-10-24 | 2022-10-24 |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5768B1 true KR102585768B1 (en) | 2023-10-10 |
Family
ID=8829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7166A Active KR102585768B1 (en) | 2022-10-24 | 2022-10-24 |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5768B1 (en) |
WO (1) | WO2024090880A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709842A (en) * | 2023-11-06 | 2024-03-15 | 广东联通通信建设有限公司 | Fire safety control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large model calculation |
WO2024090880A1 (en) * | 2022-10-24 | 2024-05-02 | 김란주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ire by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KR102830683B1 (en) * | 2024-08-16 | 2025-07-09 | 주식회사 초이웍스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fire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79545A (en) * | 2001-03-22 | 2002-09-27 | Nohmi Bosai Ltd | Fire detection device |
KR101066068B1 (en) * | 2011-03-22 | 2011-09-20 | (주)유디피 | Video surveillance device and method using dual camera |
KR101543561B1 (en) * | 2015-01-13 | 2015-08-12 | (주)금성보안 | Hybrid fir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
KR20180021521A (en) | 2016-08-22 | 2018-03-05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rmovision camera |
KR101896667B1 (en) | 2017-06-08 | 2018-09-07 | 이앤엠 주식회사 | Fire monitoring system for an enclosure using thermo-graphic cameras |
KR20190063670A (en) * | 2017-11-30 | 2019-06-10 | (주)코어센스 | Intelligent system for ignition point surveillance using composite image of thermal camera and color camera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5768B1 (en) * | 2022-10-24 | 2023-10-10 | 김란주 |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
2022
- 2022-10-24 KR KR1020220137166A patent/KR102585768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10-18 WO PCT/KR2023/016111 patent/WO2024090880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79545A (en) * | 2001-03-22 | 2002-09-27 | Nohmi Bosai Ltd | Fire detection device |
KR101066068B1 (en) * | 2011-03-22 | 2011-09-20 | (주)유디피 | Video surveillance device and method using dual camera |
KR101543561B1 (en) * | 2015-01-13 | 2015-08-12 | (주)금성보안 | Hybrid fir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
KR20180021521A (en) | 2016-08-22 | 2018-03-05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rmovision camera |
KR101896667B1 (en) | 2017-06-08 | 2018-09-07 | 이앤엠 주식회사 | Fire monitoring system for an enclosure using thermo-graphic cameras |
KR20190063670A (en) * | 2017-11-30 | 2019-06-10 | (주)코어센스 | Intelligent system for ignition point surveillance using composite image of thermal camera and color camera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0880A1 (en) * | 2022-10-24 | 2024-05-02 | 김란주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ire by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CN117709842A (en) * | 2023-11-06 | 2024-03-15 | 广东联通通信建设有限公司 | Fire safety control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large model calculation |
KR102830683B1 (en) * | 2024-08-16 | 2025-07-09 | 주식회사 초이웍스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fire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90880A1 (en) | 2024-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8120B1 (en) | Fire monitoring system | |
KR101251942B1 (en) | Forest fire moniti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585768B1 (en) |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
KR101544019B1 (en) | Fire detection system using composited video and method thereof | |
US6937743B2 (en) | Process and device for detecting fires based on image analysis | |
KR102216961B1 (en) | Fire surveillanc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 |
US7834771B2 (en) | Fire detector using a laser range finder, an infrared camera and a charged coupled device camera | |
KR101066900B1 (en) | Citigroup detects specific motion in camera images | |
KR101998639B1 (en) | Intelligent system for ignition point surveillance using composite image of thermal camera and color camera | |
US20150213697A1 (en) | Multi-mode detection | |
EP2290629B1 (en) | System and method of target based smoke detection | |
KR101863530B1 (en) | System for fire predict and maintenance using visible light and infrared ray thermal image | |
KR20210097500A (en) | Apparatus for Monitoring Fire And System having the same | |
KR20130118680A (en) | Fire watch system | |
KR102357736B1 (en) | Fire detection system | |
KR101138212B1 (en) | Fir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and motion sensor | |
JP2000132763A (en) | Fire detector | |
JP3252742B2 (en) | Fire detection system | |
KR20070115412A (en) | Fire automatic alarm system using captured video and fire monitoring method | |
KR101250956B1 (en) | An automatic system for monitoring | |
JP2004304249A (en) | Fire detecting apparatus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 |
JP2021092521A (en) | Head-mounted type temperature distribution recognition device | |
JP2005077279A (en) | Smoke sensing system | |
JP3269453B2 (en) | Fire detection system | |
KR101029936B1 (en) | Smoke detector for fire monito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0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1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