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543B1 - Liquid-cooled heat sink - Google Patents
Liquid-cooled heat si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6543B1 KR102296543B1 KR1020190179115A KR20190179115A KR102296543B1 KR 102296543 B1 KR102296543 B1 KR 102296543B1 KR 1020190179115 A KR1020190179115 A KR 1020190179115A KR 20190179115 A KR20190179115 A KR 20190179115A KR 102296543 B1 KR102296543 B1 KR 1022965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dissipation
- flow path
- heat
- cooling plate
- cooling flu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12809 cooling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63—Heat dissipaters releasing heat from coola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72—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expand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for removing gas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냉식 히트싱크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방열 대상체를 지지하며, 일측 판면에 상기 방열 대상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복수의 방열핀이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방열 대상체를 냉각시키는 상부 냉각판과; 상기 상부 냉각판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메인 유동로와, 복수의 상기 방열핀이 삽입가능하게 상기 메인 유동로 상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방열핀과의 사이에 상기 냉각유체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방열핀용 유동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상부 냉각판에 결합되어 상기 방열 대상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는 하부 냉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cooled heat sink, supporting one or more heat-dissipating objects, and a plurality of heat-dissipating fins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dissipating object on one plate surface are formed to protrude at intervals, and an upper portion for cooling the heat-dissipating object a cooling plate; A main flow path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upper cooling plate and through which a cooling fluid flows, and a plurality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provided on the main flow path to be insertable so that the cooling fluid is continuously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nd a lower cool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 insertion grooves forming a flow path for a flowing heat dissipation fin, and coupled to the upper cooling plate to cool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dissipation obj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냉식 히트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미 인터록킹(semi-interlocking) 구조를 갖는 수냉식 히트싱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cooled heat si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cooled heat sink having a semi-interlocking structure.
고발열·고열 유속의 장비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면, 열축적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전자장비의 열화를 촉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heat generated from the equipment with high heat and high heat flow rate is not effectively removed, heat accumulation occurs, which in turn promotes the deterioration of electronic equipment, and in some cases may cause a fire.
따라서, 전자장비의 온도는 성능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자장비가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열을 관리해야 한다.Therefore,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affects th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heat management is required so that the electronic equipment maintains an appropriate temperature.
그러나, 종래의 공냉식 히트싱크는 공기의 낮은 열전도도와 비열로 인해 고발열 전자부품, 배터리, 집광형 태양광 패널 등 고발열·고열 유속의 장비를 냉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ir-cooled heat sink has difficulty in cooling high heat and high heat flux equipment such as high heat electronic components, batteries, and condensing solar panels due to the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specific heat of air.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물 등과 같은 냉각유체 등을 사용하여 전자장비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식혀주기 위한 수냉식 히트싱크가 널리 쓰이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water-cooled heat sink for cooling heat generated from electronic equipment using a cooling fluid such as water has been widely used.
수냉식 히트싱크는 펌프를 이용하여 액체를 흘려줌으로써, 강제 대류에 의한 열전달로 전자장비의 발열부 등을 냉각시키는 기술이다.The water-cooled heat sink is a technology that cools the heat generating part of electronic equipment by transferring the heat by forced convection by flowing the liquid using a pump.
특히, 전력반도체, 슈퍼컴퓨터의 CPU 등에서 열유속이 100W/cm2가 넘어감에 따라, 높은 열전달 성능을 갖는 수냉식 히트싱크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In particular, as the heat flux exceeds 100 W/cm 2 in power semiconductors and CPUs of supercomputers, the need for a water-cooled heat sink with high heat transfer performance is increasing.
이에 따라, 최근 전자장비에서의 열유속 증가로 핀의 밀도를 높이는 연구, 핀의 형태를 복잡하게 하는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며 실제 산업현장에 적용되어 왔지만 그 구조의 복잡도가 증가하게 되었다.Accordingly, recent studies on increasing the density of fins due to the increase in heat flux in electronic equipment and research on complicating the shape of fin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have been applied to actual industrial sites, but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has increased.
또한, 종래의 수냉식 히트싱크는 열전달 증대를 위해 복잡한 형상의 핀을 삽입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대량 생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water-cooled heatsink inserts a fin having a complicated shape to increase heat transf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mass production is difficult,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체적 내에서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켜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는 수냉식 히트싱크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area within the same volume, and to simplify the structure to facilitate mass production and to provide a water-cooled heat sink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is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방열 대상체를 지지하며, 일측 판면에 상기 방열 대상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복수의 방열핀이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방열 대상체를 냉각시키는 상부 냉각판과; 상기 상부 냉각판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메인 유동로와, 복수의 상기 방열핀이 삽입가능하게 상기 메인 유동로 상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방열핀과의 사이에 상기 냉각유체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방열핀용 유동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상부 냉각판에 결합되어 상기 방열 대상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는 하부 냉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히트싱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one or more heat-dissipating objects, and a plurality of heat-dissipating fins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dissipating object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e to protrude at intervals, the upper cooling plate cooling the heat-dissipating object; A main flow path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upper cooling plate and through which a cooling fluid flows, and a plurality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provided on the main flow path to be insertable so that the cooling fluid is continuously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chieved by a water-cooled heat sink,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 insertion grooves forming a flow path for a flowing heat dissipation fin, and includes a lower cooling plate coupled to the upper cooling plate to cool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dissipation object can be
여기서, 상기 방열핀용 유동로는, 상기 냉각유체가 상기 상부 냉각판에 대해 수직하게 유동하는 수직 유동로와; 상기 수직 유동로와 연통하며, 상기 냉각유체가 상기 상부 냉각판에 대해 수평하게 유동하는 수평 유동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low path for the heat dissipation fins includes: a vertical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cooling plate; It may include a horizontal flow path in communication with the vertical flow path, in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cooling plate.
상기 방열 대상체는 복수로 마련되어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되며, 상기 메인 유동로는 복수의 상기 방열 대상체의 배치방향에 대해 가로로 지그재그의 형상을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objects may be provided and arranged in parallel at intervals, and the main flow path may have a zigzag shape transversely to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objects.
복수의 상기 방열핀은 상기 방열 대상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may be disposed under the heat dissipation object.
복수의 상기 방열핀은 동일한 두께 또는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may have the same thickness or different thicknesses.
복수의 상기 방열핀은 동일한 간격 또는 상이한 간격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may be disposed with the same spacing or different spacing.
상기 방열 대상체의 열이 집중 발생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방열핀은 다른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방열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heat of the heat dissipation target is concentrated may be disposed at relatively narrow intervals compared to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located in other areas.
상기 상부 냉각판은, 상기 하부 냉각판의 상기 메인 유동로로 상기 냉각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하부 냉각판의 상기 메인 유동로와 상기 방열핀 유동로를 통과한 상기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cooling plate may include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cooling fluid into the main flow path of the lower cooling plat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main flow path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flow path of the lower cooling plate is discharg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냉각판의 방열핀과 하부 냉각판의 방열핀 삽입홈 사이에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유동로를 형성하여 유체의 유동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동일한 체적 내에서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켜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is form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in of the upper cooling plate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insertion groove of the lower cooling plate to improve the flow structure of the fluid, there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area within the same volume to improve heat transfer performance. It can be improved, and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mass production is easy,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의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Ⅶ-Ⅶ선에 따른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의 방열 대상체의 냉각 시험결과를 시뮬레이션한 이미지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cooled heat si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cooled heat si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5;
7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5;
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cooled heat sin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cooled heat sin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C are image diagrams simulating the cooling test results of the heat dissipation object of the water-cooled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typical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가 도시되어 있다.1 to 4 show a water-cooled heat si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1a)는 상부 냉각판(10)과 하부 냉각판(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ater-cooled
상부 냉각판(10)과 하부 냉각판(30)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된다.The
상부 냉각판(10)과 하부 냉각판(30)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부 냉각판(10)과 하부 냉각판(30)의 각 가장자리를 따라 마주보는 면에는 고무 패킹(미도시)을 마련하여, 후술할 하부 냉각판(30)의 메인 유동로(31)를 유동하는 냉각유체(200)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rubber packings (not shown) are provided on the surfaces facing each edge of the
상부 냉각판(1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The
상부 냉각판(10)의 상부면에는 방열 대상체(10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방열 대상체(100)가 상부 냉각판(10)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냉각판(10)은 상부 냉각판(10)과 분리된 방열 대상체(100)의 저부면에 밀착 지지할 수도 있다.A
또한, 상부 냉각판(10)은 냉각유체(200)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유입구(11)와 배출구(15)는 방열 대상체(10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다.The
유입구(11)는 하부 냉각판(30)의 메인 유동로(31)로 냉각유체(200)를 유입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배출구(15)는 하부 냉각판(30)의 메인 유동로(31)와 방열핀 유동로를 통과한 냉각유체(200)가 배출되도록 마련된다.The
그리고, 상부 냉각판(10)은 방열 대상체(100)의 연직 하방에 복수의 방열핀(2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복수의 방열핀(21)은 일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또한, 복수의 방열핀(21)은 각각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The plurality of
그리고, 복수의 방열핀(21)은 상부 냉각판(10)의 하부면에 수직하게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하부 냉각판(30)은 상부 냉각판(10)에 결합되어, 방열 대상체(100)로부터 발생된 열을 냉각시킨다.The
하부 냉각판(30)은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부 냉각판(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진다.The
하부 냉각판(30)은 상부 냉각판(10)과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방열핀(21)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체(200)가 유동하는 메인 유동로(31)를 형성한다.The
메인 유동로(31)는 상부 냉각판(10)의 유입구(11) 및 배출구(15)와 연통한다.The
한편, 하부 냉각판(30)의 메인 유동로(31) 상에는, 복수의 방열핀(21)이 삽입되는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41)이 마련되어 있다.Meanwhile, on the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41)은 상부 냉각판(10)의 복수의 방열핀(21)에 각각 대응하며 마련된다.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각 방열핀 삽입홈(41)은 방열핀(21)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각 방열핀(21)과의 사이에 방열핀용 유동로(51)를 형성하도록 방열핀(21)의 높이와 두께보다 큰 깊이와 폭을 가진다.Each heat dissipation
한편,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41)에는, 삽입된 복수의 방열핀(21)과의 사이에 냉각유체(200)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방열핀용 유동로(51)가 형성된다.Meanwhile, in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방열핀용 유동로(51)는 수직 유동로(53)와, 수평 유동로(55)를 포함한다.The
수직 유동로(53)는 냉각유체(200)가 상부 냉각판(10)에 대해 수직하게 유동한다.In the
수평 유동로(55)는 수직 유동로(53)와 연통하며, 냉각유체(200)가 상부 냉각판(10)에 대해 수평하게 유동한다.The
방열핀용 유동로(51)는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41)의 배치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냉각유체(200)가 연속적으로 유동한다.The
이에 따라, 메인 유동로(31)와 방열핀용 유동로(51)는 냉각유체(200)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하나의 유동로를 형성하게 된다.Accordingly, the
한편, 방열핀용 유동로(51)에는 수직 유동로(53)와 수평 유동로(55)가 교번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방열핀용 유동로(51) 상에는 복수의 90도 각도로 변곡되는 영역(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변곡 영역'이라 함)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예컨대, 변곡 영역은 수직 유동로(53)와 수평 유동로(55)의 각 경계 영역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방열핀 삽입홈(41)의 내부면과, 방열핀(21)이 돌출 형성되는 영역의 상부 냉각판(10)은 각각, 냉각유체(200)가 충돌하는 충돌판의 기능을 갖게 된다.For example, the inflection region is formed in each boundary region of the
일 예로, 수직 유동로(53)를 통해 높은 속도를 가지며 수평 유동로(55)를 향해 유동하는 냉각유체(200)는 변곡 영역에서 방열핀 삽입홈(41)의 내부면 또는 상부 냉각판(10)에 제트 충돌(jet impingement)한 후, 수평 유동로(55)로 유동하게 된다.For example, the cooling
여기서, 제트 충돌이라 함은 유체가 열원 벽면에 충돌하여 열전달하는 방식의 하나이다. Here, the jet collision is one of the methods in which a fluid collides with a wall surface of a heat source to transfer heat.
따라서, 냉각유체(200)가 방열핀 삽입홈(41)의 내부면 또는 상부 냉각판(10)에 제트 충돌함에 따라, 제트 충돌한 냉각유체(200)의 열경계층은 얇아지게 되고, 이에 의해 퓨리에의 열전도법칙에 따라 냉각유체(200)의 얇아진 열경계층에 의해 냉각유체(200)는 높은 열전달 성능을 갖게 된다.Therefore, as the cooling fluid 200 jet collid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1a)는 유동로(51)의 단면이 높은 종횡비를 가지며 곡관부가 연속되므로 방열핀용 유동로(51)에 딘 볼텍스(Dean′s vortex)가 형성되고, 냉각유체(200)는 방열핀용 유동로(51)에서 활발하게 유동하며 혼합이 이루어져, 방열핀(21)과 냉각유체(200) 사이의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water-cooled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부 냉각판(10)과 하부 냉각판(30)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한 후, 외부의 펌프를 통해 가압된 냉각유체(200)를 상부 냉각판(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하면, 냉각유체(200)는 하부 냉각판(30)의 메인 유동로(31)의 일측에 유입되어 메인 유동로(31)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fter coupling the
메인 유동로(31)로 유입된 냉각유체(200)는 복수의 방열핀(21)과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41) 사이에 형성된 방열핀용 유동로(51)를 통과한 후, 메인 유동로(31)의 타측으로 유동하여 상부 냉각판(10)의 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cooling fluid 200 introduced into the
한편, 냉각유체(200)가 방열핀용 유동로(51)를 통과하는 과정 중에, 방열핀용 유동로(51) 상에서는 복수의 방열핀(21)과 냉각유체(200)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while the cooling fluid 200 passes through the
방열핀용 유동로(51)를 따라 유동하는 냉각유체(200)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방열핀용 유동로(51)의 각 변곡 영역에서 제트 충돌하며 유동하게 된다.The cooling
각 변곡 영역에서 제트 충돌하는 냉각유체(200)는 열경계층이 얇아지게 되어, 높은 열전달 성능을 갖게 된다.The cooling
이에 따라, 방열핀(21)과 냉각유체(200) 사이에서의 열교환이 증대된다.Accordingly, heat exchange betwe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냉각판(10)의 방열핀(21)과 하부 냉각판(30)의 방열핀 삽입홈(41) 사이에 냉각유체(200)가 유동하는 방열핀용 유동로(51)를 형성하여 유체의 유동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동일한 체적 내에서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키며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fluid 200 flows between the
또한, 방열핀용 유동로(51) 상에 90도 각도로 변곡되는 영역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냉각유체(200)가 변곡되는 영역에서 제트 충돌하여, 냉각유체(200)의 열경계층이 얇아지며 얇아진 열경계층에 의해 냉각유체(200)는 높은 열전달 성능을 갖게 되어, 열전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ntinuously forming a region bent at a 90 degree angle on the
그리고, 방열핀(21)과 방열핀 삽입홈(41)이 높은 종횡비를 갖는 단면형상을 가지므로 방열핀용 유동로(51)에 딘 볼텍스가 형성되어, 냉각유체(200)는 방열핀용 유동로(51)에서 활발하게 유동하며 혼합이 이루어져, 방열핀(21)과 냉각유체(200) 사이의 열교환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And, since the
또한, 냉각판의 열전달 증대를 위해 방열핀(21)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heat transfer of the cooling plate, the structure of the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가 도시되어 있다.5 to 7 show a water-cooled heat si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복수의 방열 대상체(100)가 마련되며, 제1실시예에 비해 대면적을 가진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복수의 방열 대상체(100)는 상부 냉각판(10)에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heat-dissipating
상부 냉각판(10)의 하부면에는, 각 방열 대상체(100)에 대응하여 복수의 방열핀(21)으로 구성된 복수의 방열핀 유니트(20)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하부 냉각판(30)에는, 복수의 방열핀(21)이 삽입되는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 유니트(40)가 상부 냉각판(10)의 복수의 방열핀 유니트(20)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어 있다.In the
한편, 메인 유동로(31)는 복수의 방열 대상체(100)의 배치방향에 대해 가로로 지그재그의 형상을 형성한다.Meanwhile, the
메인 유동로(31) 상에는, 복수의 방열핀(21)과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41) 사이에 형성되는 방열핀용 유동로(51)가 복수의 방열핀 유니트(20)와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 유니트(40)의 수량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된다.On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외부의 펌프를 통해 가압된 냉각유체를 상부 냉각판(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하면, 냉각유체는 하부 냉각판(30)의 메인 유동로(31)의 일측에 유입되어 메인 유동로(31)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oling fluid pressurized through an external pump is introduced through the
메인 유동로(31)로 유입된 냉각유체는 지그재그 형상의 유동로를 따라 지그재그 유동하며, 각 방열핀 유니트(20)와 각 방열핀 삽입홈 유니트(40)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방열핀용 유동로(51)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통과한 후, 메인 유동로(31)의 타측으로 유동하여 상부 냉각판(10)의 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cool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그리고, 냉각유체는 각 방열핀용 유동로(51)를 통과하는 과정 중에, 각 방열핀용 유동로(51)의 각 변곡 영역에서 제트 충돌하며 유동하고, 제트 충돌한 냉각유체는 열경계층이 얇아지게 되어 높은 열전달 성능을 가지며, 복수의 방열핀(21)과 냉각유체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And, during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8 shows a water-cooled heat sin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c)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방열핀(21)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하여,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방열핀용 유동로(51)의 수평 유동로(55)의 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In the heat sink 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이러한 형태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c)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a)와 비교하면, 수평 유동로(55)의 체적이 상대적으로 증대됨에 따라 방열핀용 유동로(51)에서 유동하는 냉각유체의 압력강하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Compared with the
이로써,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c)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비해, 방열핀용 유동로(51)에서의 압력손실은 줄어들게 되고, 압력손실이 감소함에 따라 펌프의 토출량이 증대하여 열전달도 증대되어, 열교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heat sink 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sure loss in the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c)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a)를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하였을 때의 방열 대상체의 냉각 시험결과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test result of the heat dissipating object when the heat sink 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가 도시되어 있다.9 shows a water-cooled heat sin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d)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달리, 복수의 방열핀(21)이 상이한 두께를 가진다.In the
복수의 방열핀(21) 중 방열 대상체(100)의 열이 집중 발생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방열핀(21)은 작은 두께를 가지며 좁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고, 방열 대상체(100)의 다른 영역에 위치하는 나머지 방열핀(21)은 큰 두께를 가지며 넓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41)은 복수의 방열핀(21)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된다.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41) 중 방열 대상체(100)의 열이 집중 발생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방열핀 삽입홈은 좁은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되고, 나머지 방열핀 삽입홈은 넓은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1d)는 방열 대상체(100)의 열이 집중되는 위치에 방열핀(21)을 좁은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방열 대상체(100)의 열이 집중되는 위치에서 방열핀용 유동로(51)의 밀도를 증대시켜, 방열핀(21)과 냉각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더욱 향상시키고, 방열 대상체(100)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As such, in the water-cooled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d)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c)를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하였을 때의 방열 대상체(100)의 냉각 시험결과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test result of the
한편,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의 방열 대상체의 냉각 시험결과를 시뮬레이션한 이미지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S. 10A to 10C are image diagrams simulating a cooling test result of a heat dissipation object of a water-cooled heat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를 도시한 것이다.10A shows a heat si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B shows a heat sin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C shows a heat sin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sink is show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a)의 방열 대상체(100)의 냉각 시험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방열 대상체의 냉각 시험결과를 비교한다.Based on the cooling test result of the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c)는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a)와 비교하면 방열 대상체의 온도 표준편차와 방열 대상체의 평균온도는 동일하지만, 냉각유체의 압력강하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Compared to the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d)는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1c)와 비교하면, 방열 대상체의 온도 표준편차와, 방열 대상체의 평균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냉각유체의 압력강하는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heat sink 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는 방열 대상체의 방열 면적 및 방열 분포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cooled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in consideration of the heat dissipation area and heat dissipation distribution of the heat dissipation objec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냉각판의 방열핀과 하부 냉각판의 방열핀 삽입홈 사이에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유동로를 형성하여 유체의 유동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동일한 체적 내에서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켜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is form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in of the upper cooling plate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insertion groove of the lower cooling plate to improve the flow structure of the fluid, there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area within the same volu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and to simplify the structure to facilitate mass production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a,1b,1c,1d: 수냉식 히트싱크
10: 상부 냉각판
11: 유입구
15: 배출구
20: 방열핀 유니트
21: 방열핀
30: 하부 냉각판
31: 메인 유동로
40: 방열핀 삽입홈 유니트
41: 방열핀 삽입홈
51: 방열핀용 유동로
53: 수직 유동로
55: 수평 유동로
100: 방열 대상체
200: 냉각유체1a, 1b, 1c, 1d: water-cooled heat sink
10: upper cooling plate
11: Inlet
15: outlet
20: heat dissipation fin unit
21: heat dissipation fin
30: lower cooling plate
31: main flow path
40: heat dissipation fin insertion groove unit
41: heat dissipation fin insertion groove
51: flow path for heat dissipation fins
53: vertical flow path
55: horizontal flow path
100: heat dissipation object
200: cooling fluid
Claims (8)
상기 상부 냉각판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메인 유동로와, 복수의 상기 방열핀이 삽입가능하게 상기 메인 유동로 상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방열핀과의 사이에 상기 냉각유체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방열핀용 유동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열핀 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상부 냉각판에 결합되어 상기 방열 대상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는 하부 냉각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핀용 유동로는 상기 냉각유체가 상기 상부 냉각판에 대해 수직하게 유동하는 수직 유동로와, 상기 수직 유동로와 연통하며 상기 냉각유체가 상기 상부 냉각판에 대해 수평하게 유동하는 수평 유동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유동로와 상기 수평 유동로가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 유체가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과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 유동로와 상기 수평 유동로 간의 경계 영역에는 상기 수직 유동로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는 상기 냉각 유체가 상기 방열핀 삽입홈 내부면 또는 상기 상부 냉각판에 제트 충돌(jet impingement)한 후 상기 수평 유동로로 유동하는 변곡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히트싱크.an upper cooling plate supporting one or more heat-dissipating objects and having a plurality of heat-dissipating fins protruding at intervals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dissipating object on one plate surface to cool the heat-dissipating object;
A main flow path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upper cooling plate and through which a cooling fluid flows, and a plurality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provided on the main flow path to allow insertion of the cooling fluid between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nd a lower cool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 insertion grooves forming a flow path for a flowing heat dissipation fin, and coupled to the upper cooling plate to cool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dissipation object;
The flow path for the heat dissipation fin includes a vertical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cooling plate, and a horizontal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vertical flow path and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cooling plate. including,
The vertical flow path and the horizontal flow path are alternately formed so that the cooling fluid flow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lows in a horizontal direction alternately,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vertical flow path and the horizontal flow path, the cooling fluid flo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vertical flow path jets impingem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fin insertion groove or the upper cooling plate, and then the horizontal A water-cooled heat sink, characterized in that an inflection region flowing into the flow path is formed.
상기 방열 대상체는 복수로 마련되어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되며,
상기 메인 유동로는 복수의 상기 방열 대상체의 배치방향에 대해 가로로 지그재그의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히트싱크.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dissipation objec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an interval,
The main flow path is a water-cooled heat sink,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zigzag shape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heat-dissipating objects.
복수의 상기 방열핀은 상기 방열 대상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히트싱크.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re water-cooled heat sink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under the heat dissipation object.
복수의 상기 방열핀은 동일한 두께 또는 상이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히트싱크.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water-cooled heat sinks,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the same thickness or different thicknesses.
복수의 상기 방열핀은 동일한 간격 또는 상이한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히트싱크.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water-cooled heat sink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with the same spacing or different spacing.
상기 방열 대상체의 열이 집중 발생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방열핀은 다른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방열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히트싱크.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heat of the heat dissipation target is concentrated is disposed at relatively narrow intervals compared to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located in other areas.
상기 상부 냉각판은,
상기 하부 냉각판의 상기 메인 유동로로 상기 냉각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하부 냉각판의 상기 메인 유동로와 상기 방열핀 유동로를 통과한 상기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히트싱크.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ooling plate,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cooling fluid into the main flow path of the lower cooling plat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main flow path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flow path of the lower cooling plate is discharg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115A KR102296543B1 (en) | 2019-12-31 | 2019-12-31 | Liquid-cooled heat si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115A KR102296543B1 (en) | 2019-12-31 | 2019-12-31 | Liquid-cooled heat sin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5730A KR20210085730A (en) | 2021-07-08 |
KR102296543B1 true KR102296543B1 (en) | 2021-08-31 |
Family
ID=7689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9115A Active KR102296543B1 (en) | 2019-12-31 | 2019-12-31 | Liquid-cooled heat si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654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8363B1 (en) | 2021-08-31 | 2022-01-0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Cooling performance variable type liquid-cooled heat sink |
KR102623554B1 (en) | 2021-11-10 | 2024-01-11 | 동양피스톤 주식회사 | Water-cooled heat dissipation module assembly |
KR102781142B1 (en) * | 2021-11-16 | 2025-03-1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Heatsink for power module |
WO2023090646A1 (en) * | 2021-11-16 | 2023-05-25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Heat sink for power module |
CN114152132B (en) * | 2021-11-22 | 2024-02-20 | 南京理工大学 | Micro-channel heat exchanger based on Dien vortex |
JP7686137B2 (en) * | 2022-02-25 | 2025-05-30 | 三菱電機株式会社 | Cooler, manufacturing method of cooler,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16711A (en) * | 2011-04-01 | 2012-11-08 | Toyota Motor Corp | Heat sink and electronic component with the same |
JP2015153799A (en) * | 2014-02-12 | 2015-08-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Liquid-cooled cooler |
WO2016194158A1 (en) * | 2015-06-03 | 2016-12-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Liquid-cooled cool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radiating fin in liquid-cooled cool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7876A (en) | 1999-09-16 | 2001-04-06 | 김형벽 | Water cooling structure for high efficiency heat sink |
-
2019
- 2019-12-31 KR KR1020190179115A patent/KR10229654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16711A (en) * | 2011-04-01 | 2012-11-08 | Toyota Motor Corp | Heat sink and electronic component with the same |
JP2015153799A (en) * | 2014-02-12 | 2015-08-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Liquid-cooled cooler |
WO2016194158A1 (en) * | 2015-06-03 | 2016-12-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Liquid-cooled cool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radiating fin in liquid-cooled coo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5730A (en) | 2021-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6543B1 (en) | Liquid-cooled heat sink | |
US10244654B2 (en) | Cold plate with combined inclined impingement and ribbed channels | |
US8291967B2 (en) | Heat sink and cooler | |
TWI768877B (en) | Vapor chamber structure | |
JP5975110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US20050011635A1 (en) | Cold plate with vortex generator | |
US20200229321A1 (en) | Liquid cooled optical cages for optical modules | |
US11502023B2 (en) | Semiconductor device with partition for refrigerant cooling | |
CN212695142U (en) | Microchannel heat sink with interrupted inclined rib structure | |
US7992625B1 (en) | Fluid-operated heat transfer device | |
CN116190330B (en) | Manifold microchannel radiator based on hot spot area orientation optimization | |
CN115768045B (en) | Radiators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7199032B (en) | A microchannel liquid-cooled cold plate radiator | |
CN115729330A (en) | Cooling module | |
CN117202610A (en) | Immersed liquid cooling heat abstractor based on two efflux exciters | |
CN111490448B (en) | Laser module | |
TWI694325B (en) | Liquid cooling sink | |
KR102539336B1 (en) | Semiconductor device thermal management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5251916B2 (en) | Electronic equipment cooler | |
EP4312476A1 (en) | Vehicle water-cooling heat sink plate having fin sets with different fin pitch distances | |
US12194831B2 (en) | Vehicle water-cooling heat sink plate having fin sets with different fin pitch distances | |
CN203423886U (en) | Heat radiation module | |
CN115437481A (en) | A heat dissipation cold plate and a flexible cold plate heat dissipation device | |
JP2006303264A (en) | Cooling device of semiconductor module | |
KR102348363B1 (en) | Cooling performance variable type liquid-cooled heat si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