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198B1 -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5198B1 KR102295198B1 KR1020190026751A KR20190026751A KR102295198B1 KR 102295198 B1 KR102295198 B1 KR 102295198B1 KR 1020190026751 A KR1020190026751 A KR 1020190026751A KR 20190026751 A KR20190026751 A KR 20190026751A KR 102295198 B1 KR102295198 B1 KR 1022951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quare
- rectangular
- square tube
- tube
- coupling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530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16 structur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060 Abdominal dis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330 bloa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평면도
도 5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다른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에 포함되는 사각형 각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시공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부재를 이용한 시공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에 상기 띠장과 스트럿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이 일자형식으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순서도
212: 결합홈 220: 제2 사각형 각관
221: 결합 돌기 222: 결합 홈
230: 제3 사각형 각관 232: 결합홈
310: 모서리 각관 320: 중간재 각관
330: 모서리 각관 340: 중간재 각관
350: 중간재 각관
400: 띠장 410: 스트럿
510: 제1 사각형 각관 511: 결합 돌기
512: 결합홈 520: 제2 사각형 각관
521: 결합 돌기 522: 결합 홈
530: 제3 사각형 각관 532: 결합홈
610: 제1 사각형 각관 611: 결합 돌기
612: 결합홈 620: 제2 사각형 각관
621: 결합 돌기 622: 결합 홈
630: 제3 사각형 각관 632: 결합홈
710a: 제1 사각형 각관 711a: 결합 돌기
720a: 제2 사각형 각관 721a: 결합 돌기
710b: 제1 사각형 각관 711b: 결합 돌기
720b: 제2 사각형 각관 721b: 결합 돌기
710c: 제1 사각형 각관 711c: 결합 돌기
720c: 제2 사각형 각관 721c: 결합 돌기
710: 사각형 각관 730: 사각형 각관
800: 앵커부재 810: 끼움부
820: 앵커부
900: 가이드 부재 910: 끼움 결합부
920: 가이드부 921: 가이드판
922: 유입홀
Claims (21)
- 4개의 평평한 판재의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앵커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인 제1 사각형 각관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이 계단형태에서 두번 연장 절곡된 형태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인 제2 사각형 각관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도록 단면이 계단형태에서 상기 제1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와 반대 방향으로 두번 연장 절곡되어 상기 제1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와 대응하는 형태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사각형 각관은 상기 결합 돌기의 결합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사각 기둥 형태의 끼움 결합부; 및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 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입홀을 구비하여 상기 끼움 결합부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 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앵커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부; 및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끼움부에 연장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의 상단의 단면적이 상기 끼움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 각관을 형성형하는 판재의 두께는,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미만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제1 사각형 각관 또는 상기 제2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0% 이하로 결정하고,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이상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제1 사각형 각관 또는 상기 제2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1% 이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4개의 평평한 판재의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앵커 부재;
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인 모서리 각관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 각관의 일면에 근접한 면 중 하나의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하도록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인 중간재 각관의 서로 대향하는 양면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하도록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는 단면이 계단형태에서 두번 연장 절곡된 형태이며,
상기 모서리 각관 및 상기 중간재 각관은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하도록 대응하는 결합돌기의 결합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사각 기둥 형태의 끼움 결합부; 및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 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입홀을 구비하여 상기 끼움 결합부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 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앵커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부; 및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끼움부에 연장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의 상단의 단면적이 상기 끼움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 각관을 형성형하는 판재의 두께는,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미만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0% 이하로 결정하고,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이상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1% 이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각형 각관 및 제2 사각형 각관을 설치하기 위한 지역의 측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각형 각관 및 제2 사각형 각관의 설치를 위한 판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
4개의 평평한 판재를 이용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가 형성된 제1 사각형 각관 및 제2 사각형 각관 각각을 용접하는 단계;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가 형성된 제1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
상기 제1 사각형 각관의 상단에 가이드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 돌기에 결합하도록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2 사각형 각관을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제2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를 상기 제1 사각형 각관의 상기 결합 돌기에 결합하도록 대응하는 결합돌기에 끼우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사각형 각관의 상기 결합 돌기에 결합하도록 대응하는 결합돌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미만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제1 사각형 각관 또는 상기 제2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0% 이하로 결정하고,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이상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제1 사각형 각관 또는 상기 제2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1% 이상으로 결정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단면이 계단형태에서 두번 연장 절곡된 형태이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사각 기둥 형태의 끼움 결합부; 및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 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입홀을 구비하여 상기 끼움 결합부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6751A KR102295198B1 (ko) | 2019-03-08 | 2019-03-08 |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6751A KR102295198B1 (ko) | 2019-03-08 | 2019-03-08 |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7521A KR20200107521A (ko) | 2020-09-16 |
KR102295198B1 true KR102295198B1 (ko) | 2021-08-31 |
Family
ID=7266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6751A Active KR102295198B1 (ko) | 2019-03-08 | 2019-03-08 |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519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9691B1 (ko) * | 2018-10-24 | 2019-03-18 | 강병관 |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KR102599844B1 (ko) * | 2022-05-20 | 2023-11-08 | 주식회사 더브릿지 | 해안바닥에 해상기둥을 설치하는 방법 |
KR102638704B1 (ko) * | 2022-10-26 | 2024-02-20 | 주식회사 가우리안 | 지하공간 구조물 벽체를 위한 강재 지중연속벽 및 이의 시공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8384Y1 (ko) * | 2005-03-31 | 2005-06-30 | 주식회사 카멜 | 말뚝용 첨단부재 |
KR101257215B1 (ko) * | 2012-11-21 | 2013-04-23 | 윤인병 | 루프 구조체 및 이 시공 방법 |
CN107217676A (zh) * | 2017-07-18 | 2017-09-29 | 江苏景源万河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带密封槽及咬合结构的钢筒或钢板桩及钢结构连续墙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2841B1 (ko) | 2010-12-27 | 2011-03-17 | 송유림 |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KR101225526B1 (ko) * | 2011-02-17 | 2013-01-23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엄지말뚝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열 흙막이 구조물 시공방법 |
KR101859440B1 (ko) | 2017-08-30 | 2018-05-21 |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 가물막이 벽체간 연결 수단을 이용한 복합형 강가시설 공법 |
-
2019
- 2019-03-08 KR KR1020190026751A patent/KR10229519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8384Y1 (ko) * | 2005-03-31 | 2005-06-30 | 주식회사 카멜 | 말뚝용 첨단부재 |
KR101257215B1 (ko) * | 2012-11-21 | 2013-04-23 | 윤인병 | 루프 구조체 및 이 시공 방법 |
CN107217676A (zh) * | 2017-07-18 | 2017-09-29 | 江苏景源万河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带密封槽及咬合结构的钢筒或钢板桩及钢结构连续墙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7521A (ko) | 2020-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94471B2 (ja) | 変断面角管を用いた環形囲い堰及び掘削工事仮施設構造物及び施工方法 | |
KR101385028B1 (ko) | 링 버팀대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 |
KR101058520B1 (ko) |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되는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2295198B1 (ko) |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
KR101308575B1 (ko) | 띠장-버팀보 일체형 세그먼트 | |
KR102081574B1 (ko) | 흙막이 지보공의 띠장 조립체 | |
KR101357775B1 (ko) |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 |
KR101212653B1 (ko) | 다열 버팀보 연결재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99327B1 (ko) | 자립식 흙막이 공법 | |
KR101187174B1 (ko) | 접합부에서의 전단결합 증진 구조를 가지는 그라우트-재킷을 이용한 기둥의 접합구조 및 이를 위한 받침장치 | |
KR100916546B1 (ko) |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 |
KR20120109418A (ko) | 지주식 흙막이 공법 | |
KR101567742B1 (ko) | Phc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 |
KR20130098579A (ko) | 흙막이 가설시스템 | |
KR101026583B1 (ko) |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 |
KR101133734B1 (ko) | 터널 비개착 시공방법 및 그 터널구조물 | |
KR101388478B1 (ko) | 아치형 토류판 | |
KR200443476Y1 (ko) | 벽체 지지용 구조체 | |
KR101275468B1 (ko) | 비개착식 터널형성용 구조물 조립체 및 이의 축조방법 | |
KR20200006648A (ko) | 토류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38640B1 (ko) | 지압전단띠에 의한 증진된 전단결합의 접합부를 가지는 기둥 | |
KR101238639B1 (ko) | 접합부에서의 전단결합 증진 구조를 가지는 기둥 | |
JP2012188923A (ja) | 土留め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 |
JP2018040146A (ja) | トンネル補強構造およびトンネル補強構造の構築方法 | |
KR102311110B1 (ko) | 단면변화가 가능한 파형강관 수직구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5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08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