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841B1 -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Google Patents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2841B1 KR101022841B1 KR1020100136005A KR20100136005A KR101022841B1 KR 101022841 B1 KR101022841 B1 KR 101022841B1 KR 1020100136005 A KR1020100136005 A KR 1020100136005A KR 20100136005 A KR20100136005 A KR 20100136005A KR 101022841 B1 KR101022841 B1 KR 101022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orary
- wall
- steel
- fixed beam
- corrugated ste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02D19/04—Restraining of open water by coffer-dams, e.g. made of sheet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는 수중의 연암에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푸팅을 형성 한 다음 그 상부로 기둥이 설치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형성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안착판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스터드 볼트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중의 연암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의 안착판에 결합되어 상기 푸팅의 내부로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 고정빔과, 양측이 이웃하는 메인 고정빔에 결합되어 메인 고정빔을 연결하는 서브 고정빔이 설치되며, 외수 수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발생되도록 그 단면이 파형형상 또는 절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물막이 벽체;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에 적용된 가물막이 벽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에 적용된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와 가물막이 벽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20 :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 21 : 안착판
21a,44a,45a : 관통홀 22 : 스터드 볼트
30 : 거치대 40 : 가물막이 벽체
41 : 결합날개 42 : 메인 고정빔
43 : 서브 고정빔 44 : 연결 프레임
45 : 적층 연결프레임 50 : 지수재
60 : 고정용 목재 80 : 연결대
90 : 지지빔 91 : 보강대
100 : 지수판 101 : 부직포
120 : 부력 방지대 130 : 말뚝연결밴드
140 : 프리캐스트 블럭 140a : 관통공
150 : 차수용 지수링
Claims (13)
- 수중의 연암에 지지대(3)에 의해 지지되는 거푸집(2)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2)의 내부에 푸팅(5)을 형성 한 다음 그 상부로 기둥(6)이 설치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의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형성되는 기초부(10)와;
상기 기초부(10)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안착판(2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스터드 볼트(22)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중의 연암에 설치되는 거치대(30)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에 결합되어 상기 푸팅(5)의 내부로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 고정빔(42)과, 양측이 이웃하는 메인 고정빔(42)에 결합되어 메인 고정빔(42)을 연결하는 서브 고정빔(43)이 설치되며, 외수 수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발생되도록 그 단면이 파형형상 또는 절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물막이 벽체(4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수중의 토사층에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안착판(21)이 형성되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에 결합되며, 내부에 기초부(4)와 푸팅(5) 및 기둥(6)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내부로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 고정빔(42)과, 양측이 이웃하는 메인 고정빔(42)에 결합되어 메인 고정빔(42)을 연결하는 서브 고정빔(43)이 설치되며, 외수 수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발생되도록 그 단면이 파형형상 또는 절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물막이 벽체(40)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외측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를 지지하는 지지빔(90);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수중의 토사층에 매설되는 말뚝기초(1)가 관통되는 관통공(140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말뚝기초(1)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블럭(140)과;
하단부가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40)에 매설되며,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안착판(2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스터드 볼트(22)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와;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안착판(21)에 결합되어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내부에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 고정빔(42)과, 양측이 이웃하는 메인 고정빔(42)에 결합되어 메인 고정빔(42)을 연결하는 서브 고정빔(43)이 설치된 가물막이 벽체(4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1)의 가장자리에는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벽면의 내부에는 지수재(50) 및 고정용 목재(6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양측면을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90)의 내부에는 보강대(91)가 더 설치되어지되, 상기 보강대(91)는 그 단면이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내측벽에는 외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지수판(100)을 더 설치하고,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의 내부 바닥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토사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직포(110)를 더 설치하여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4)에는 말뚝기초(1)를 더 관통설치하고, 상기 기초부(4)의 상면에는 기초부(4)의 상부로 돌출된 말뚝기초(1)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부력 방지대(120)를 설치하여 상기 기초부(4)의 부력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기초부(4)의 내부에 위치되는 말뚝기초(1)의 외주연에는 말뚝연결밴드(13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는 프래캐스트 블럭(140)의 바닥면에 매설되거나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가장자리로 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벽면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바닥 상면에는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상부로 돌출된 말뚝기초(1)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프리캐스트 블럭(140)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 방지대(12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안착판(21)의 관통홀(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44a)이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44)을 더 결합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44)을 안착판(21)의 상단부에 안착한 다음 관통홀(21a,44a)에 볼트(B)를 순차적으로 관통설치하고, 상기 볼트(B)에는 너트(N)를 체결하여 가물막이 벽체(40)가 가물막이 겸용 받침대(20)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상단에는 연결 프레임(44)의 관통홀(44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45a)이 관통형성되는 적층 연결프레임(45)을 더 결합하고, 상기 적층 연결프레임(45)을 연결 프레임(44)에 안착한 다음 관통홀(44a,45a)에 볼트(B)를 순차적으로 관통설치하고, 상기 볼트(B)에는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가물막이 벽체(40)가 다단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44)과 적층 연결 프레임(45)의 사이 및 안착판(21)과 연결 프레임(44)의 사이에는 차수용 지수링(150)이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물막이 벽체(40)의 양측 끝단에는 결합날개(41)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날개(41)에는 이웃하는 가물막이 벽체(40)의 결합날개(41)와 연결결합되는 연결대(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6005A KR101022841B1 (ko) | 2010-12-27 | 2010-12-27 |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6005A KR101022841B1 (ko) | 2010-12-27 | 2010-12-27 |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22841B1 true KR101022841B1 (ko) | 2011-03-17 |
Family
ID=4393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6005A Active KR101022841B1 (ko) | 2010-12-27 | 2010-12-27 |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2841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8334B1 (ko) | 2011-03-14 | 2013-05-28 | 김상구 | 수중축조물 공사용 물막이 구조물 |
KR101959691B1 (ko) | 2018-10-24 | 2019-03-18 | 강병관 |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CN110528542A (zh) * | 2018-05-24 | 2019-12-03 |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装配式围堰结构 |
KR20200107521A (ko) | 2019-03-08 | 2020-09-16 | 강병관 |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CN113375751A (zh) * | 2021-06-28 | 2021-09-10 |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深厚覆盖层河床大坝渗漏量检测方法 |
KR20210123805A (ko) | 2020-04-06 | 2021-10-14 | 손지현 | 흙막이용 차수 구조물 |
KR102577843B1 (ko) | 2022-06-30 | 2023-09-13 | 김민혁 | 기성품 파일을 이용한 가물막이 구조물 |
KR102657857B1 (ko) | 2023-02-28 | 2024-04-18 | 김수민 | 다양한 구조 형성이 가능한 모듈형 가물막이 격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CN119801637A (zh) * | 2025-03-12 | 2025-04-11 | 杭州江润科技有限公司 | 富水地层隧道大流量地下水永临结合导排系统及施工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2822A (ko) * | 2004-12-06 | 2006-06-12 | (주) 선암기술연구소 | 케이슨을 이용한 연약지지층의 말뚝기초 시공방법 |
JP2006322154A (ja) | 2005-05-17 | 2006-11-30 | Kooyoo Create:Kk | 建築物の基礎構築工法 |
KR100854338B1 (ko) | 2008-04-02 | 2008-08-26 | 최승희 | 거치식 강널말뚝 가물막이 설치구조 |
KR20090037114A (ko) * | 2007-10-11 | 2009-04-15 | 현대건설주식회사 | 시트파일과 띠장을 이용한 가물막이와 그 시공방법 및 이를이용한 수중 구조물 시공방법 |
-
2010
- 2010-12-27 KR KR1020100136005A patent/KR10102284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2822A (ko) * | 2004-12-06 | 2006-06-12 | (주) 선암기술연구소 | 케이슨을 이용한 연약지지층의 말뚝기초 시공방법 |
JP2006322154A (ja) | 2005-05-17 | 2006-11-30 | Kooyoo Create:Kk | 建築物の基礎構築工法 |
KR20090037114A (ko) * | 2007-10-11 | 2009-04-15 | 현대건설주식회사 | 시트파일과 띠장을 이용한 가물막이와 그 시공방법 및 이를이용한 수중 구조물 시공방법 |
KR100854338B1 (ko) | 2008-04-02 | 2008-08-26 | 최승희 | 거치식 강널말뚝 가물막이 설치구조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8334B1 (ko) | 2011-03-14 | 2013-05-28 | 김상구 | 수중축조물 공사용 물막이 구조물 |
CN110528542A (zh) * | 2018-05-24 | 2019-12-03 |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装配式围堰结构 |
KR101959691B1 (ko) | 2018-10-24 | 2019-03-18 | 강병관 |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WO2020085590A1 (ko) | 2018-10-24 | 2020-04-30 | 강병관 |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US11371204B2 (en) | 2018-10-24 | 2022-06-28 | Byung Kwan Kang | Ring-shaped cofferdam and temporary pit excavation structure using tapered square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200107521A (ko) | 2019-03-08 | 2020-09-16 | 강병관 |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KR20210123805A (ko) | 2020-04-06 | 2021-10-14 | 손지현 | 흙막이용 차수 구조물 |
CN113375751A (zh) * | 2021-06-28 | 2021-09-10 |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深厚覆盖层河床大坝渗漏量检测方法 |
KR102577843B1 (ko) | 2022-06-30 | 2023-09-13 | 김민혁 | 기성품 파일을 이용한 가물막이 구조물 |
KR102657857B1 (ko) | 2023-02-28 | 2024-04-18 | 김수민 | 다양한 구조 형성이 가능한 모듈형 가물막이 격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CN119801637A (zh) * | 2025-03-12 | 2025-04-11 | 杭州江润科技有限公司 | 富水地层隧道大流量地下水永临结合导排系统及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2841B1 (ko) |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 |
KR100884289B1 (ko) |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 |
US8359793B2 (en) | Earthquake force absorption system | |
KR100949781B1 (ko) |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87495B1 (ko) |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 |
JP6454674B2 (ja) | 止水作業空間の構築方法 | |
KR20140055639A (ko) | 흙막이 겸용 건축빔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빔 구조체 | |
KR100854338B1 (ko) | 거치식 강널말뚝 가물막이 설치구조 | |
KR101734026B1 (ko) | Phc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
KR100979138B1 (ko) |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 |
JP5007140B2 (ja) | ハニカム構造体構築用支持具 | |
JP2014012981A (ja) | 液状化対策構造 | |
KR20170136420A (ko) | 말뚝을 이용한 옹벽 | |
KR101587062B1 (ko) | 강재합성 지중토류벽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00007721A (ko) |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 | |
JP2015183366A (ja) | 盛土構造体の構造および構築方法 | |
KR100903508B1 (ko) | 지하실 외벽과 격리 시공하는 '시'형띠장 흙막이공법(='시'형띠장 흙막이공법) | |
KR101808833B1 (ko) |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720513B1 (ko) |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및 그 받침대 시공방법 | |
KR100999410B1 (ko) | 유공 성형보와 조립식 슬리브를 사용한 조립식 띠장 및그를 이용하여 지하 옹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한 지하 구조물시공방법 | |
RU53312U1 (ru) | Ростверк мостовой опоры | |
KR101545713B1 (ko) | 합성형 강가시설 차수벽체 및 그 시공 방법 | |
JP2003020696A (ja) | 貯水装置 | |
KR101129250B1 (ko) | 가물막이와 취수탑의 외벽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취수탑용 거푸집을 사용한 취수탑 시공공법 | |
KR200387372Y1 (ko) | 수중 케이싱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0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