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92135B1 - 차량용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135B1
KR102292135B1 KR1020190119633A KR20190119633A KR102292135B1 KR 102292135 B1 KR102292135 B1 KR 102292135B1 KR 1020190119633 A KR1020190119633 A KR 1020190119633A KR 20190119633 A KR20190119633 A KR 20190119633A KR 102292135 B1 KR102292135 B1 KR 10229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tical
light
lens
op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250A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135B1/ko
Priority to JP2020022352A priority patent/JP6829334B1/ja
Priority to DE202020100789.0U priority patent/DE202020100789U1/de
Priority to US16/814,795 priority patent/US10955106B1/en
Priority to CN202020312986.7U priority patent/CN211551482U/zh
Publication of KR2021003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1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2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8Combination of two or more successive refractors along an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차량용 헤드램프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헤드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복수의 광초점을 형성하도록 출사되는 옵틱부; 복수의 광초점상에 컷오프라인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쉴드부; 쉴드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렌즈부가 배열되는 제1 렌즈 어레이부; 및 제1 렌즈 어레이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렌즈부가 배열되는 제2 렌즈 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램프{HEAD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계를 소형화할 수 있고, 광의 확산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양측에는 헤드램프가 설치된다. 헤드램프는 로빔 광원부와 하이빔 광원부를 구비한다. 헤드램프는 차량 주위나 노면에 특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광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면, 헤드램프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거나 도어를 개방할 때에 차량 주위에 광을 조사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헤드램프는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광이 쉴드부에 의해 로빔과 하이빔으로 분리된다. 로빔과 하이빔은 비구면 렌즈를 통해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헤드램프에 비구면 렌즈가 적용되므로, 헤드램프의 크기가 증가하고, 제조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하나의 비구면렌즈를 이용하여 배광패턴을 형성하므로, 헤드램프의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헤드램프에서 면발광 이미지를 구현하는데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3159호(2017. 02. 28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헤드램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계를 소형화할 수 있고, 광의 확산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복수의 광초점을 형성하도록 출사되는 옵틱부; 복수의 상기 광초점상에 컷오프라인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쉴드부; 상기 쉴드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렌즈부가 배열되는 제1 렌즈 어레이부; 및 상기 제1 렌즈 어레이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렌즈부가 배열되는 제2 렌즈 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옵틱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일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출사되게 하는 옵틱 바디; 및 복수의 상기 광초점이 일평면상에 모이도록 상기 옵틱 바디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각도를 변경하는 옵틱 출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틱 출사부는 상기 옵틱 바디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옵틱 출사부는 일부의 상기 광초점에 수렴되는 광의 광축을 20-30°로 편향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옵틱 출사부는 복수의 상기 광초점을 상기 일평면의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도록 광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옵틱 출사부는 상기 제1 렌즈부와 상기 제2 렌즈부에서 출사되는 광의 상기 확산각을 조절하도록 복수의 광초점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부와 상기 제2 렌즈부는 렌즈세트를 이루도록 하나씩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렌즈세트마다 광채널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부의 상기 광초점에 수렴되는 광은 상기 렌즈세트를 투과하여 이웃한 상기 광채널로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옵틱 출사부는 2개 이상의 상기 제1 렌즈부마다 1개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쉴드부의 표면에는 상기 컷오프라인을 형성하도록 쉴드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옵틱부가 제1 렌즈 어레이부와 옵틱부 사이에 복수의 광초점을 형성하도록 광을 출사하므로, 복수의 광초점이 일평면상에 위치되거나 일평면에 아주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광초점이 제1 렌즈 어레이부에 가깝게 위치 보정되도록 하여 광의 확산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옵틱 바디에 옵틱 출사부가 형성되므로, 옵틱 출사부에서 광의 광각도를 편향되게 변경하여 광의 확산각을 30°정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서 광초점이 형성되는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서 광초점이 일렬로 배열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서 광의 광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서 광의 배광패턴이 확대된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차량용 헤드램프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서 광초점이 형성되는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서 광초점이 일렬로 배열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서 광의 광축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서 광의 배광패턴이 확대된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광원부(10), 옵틱부(20), 쉴드부(30), 제1 렌즈 어레이부(40) 및 제2 렌즈 어레이부(50)를 포함한다. 옵틱부(20), 쉴드부(30), 제1 렌즈 어레이부(40) 및 제2 렌즈 어레이부(50)는 광원부(10)의 전방에 순서대로 배열된다.
광원부(10)는 광을 전방으로 조사한다. 광원부(10)로는 엘이디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옵틱부(20)는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이 복수의 광초점(F)을 형성하도록 출사된다.
쉴드부(30)는 복수의 광초점(F)상에 컷오프라인(33)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옵틱부(20)에서 조사되는 컷오프라인(33)에 의해 로빔(low beam)과 하이빔(high beam)으로 구분된다.
제1 렌즈 어레이부(40)는 쉴드부(30)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렌즈부(41)가 배열된다. 제1 렌즈부(41)는 일렬 또는 복수의 열로 배열된다. 제1 렌즈부(41)는 쉴드부(30) 측으로 볼록하고, 반구보다 곡률이 크게 형성된다. 제1 렌즈부(41)는 출사되는 광을 광축(X)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약간 확산시킨다.
제2 렌즈 어레이부(50)는 제1 렌즈 어레이부(40)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렌즈부(51)가 배열된다. 제2 렌즈부(51)는 일열 또는 복수의 열로 배열된다. 제2 렌즈부(51)는 쉴드부(30)의 반대 측으로 볼록하고, 반구보다 곡률이 크게 형성된다. 제2 렌즈부(51)는 출사되는 광을 광축(X)과 평행하게 출사시킨다. 즉 제1 렌즈부(41)는 쉴드부(30) 측으로 볼록하고, 출사되는 광을 광축(X)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확산시킨다. 제2 렌즈부(51)는 쉴드부(30)의 반대 측으로 볼록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램프에 제1 렌즈 어레이부(40)와 제2 렌즈 어레이부(50)가 적용되므로, 광학계의 크기와 제조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어레이부(40)와 제2 렌즈 어레이부(50)를 이용하여 배광패턴을 형성하므로, 헤드램프의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되고, 면발광 이미지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쉴드부(30)가 옵틱부(20)와 제1 렌즈 어레이부(40) 사이에 배치되고, 옵틱부(20)가 복수의 광초점(F)을 쉴드부(30)에 위치시키도록 광을 출사시키므로, 복수의 광초점(F)이 일평면 또는 일평면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보정될 수 있다.
쉴드부(30)의 표면에는 컷오프라인(33)(cutoff line)을 형성하도록 쉴드층(31)이 형성된다. 쉴드층(31)은 광반사소재를 증착함에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면, 쉴드층(31)은 알루미늄 또는 크롬을 증착하여 형성한다. 또한, 실드층의 모서리부에 컷오프라인(33)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광초점(F)이 제1 렌즈 어레이부(40)와 제2 렌즈 어레이부(50)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광이 제1 렌즈 어레이부(40)를 투과함에 따라 광초점(F)이 일평면에서 멀어지는 광학적인 왜곡이 발상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옵틱부(20)가 제1 렌즈 어레이부(40)와 옵틱부(20) 사이에 복수의 광초점(F)을 형성하도록 광을 출사하므로, 복수의 광초점(F)이 일평면상에 위치되거나 일평면에 아주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광초점(F)이 제1 렌즈부(41) 어레이부에 가깝게 위치 보정되도록 하여 광의 확산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확산각은 X-Z평면에서 광이 확산되는 경사각을 의미한다.
옵틱부(20)는 옵틱 바디(21)와 옵틱 출사부(23)를 포함한다.
옵틱 바디(21)는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이 일평면(X-Z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출사되게 한다. 옵틱 바디(21)에서 출사되는 광은 광각도가 변경되지 않는다.
옵틱 출사부(23)는 복수의 광초점(F)이 일평면상에 모이도록 옵틱 바디(21)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각도를 변경한다. 옵틱 출사부(23)는 쉴드부(30) 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광학렌즈이다.
옵틱 바디(21)와 옵틱 출사부(23)에서 출사되는 광은 그 광축(X)이 Z축에 평행한 수평광(B1)과, 그 광축(X)이 Z축에 경사진 복수의 편광(B1,B2,B3)으로 구분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광축(X1)이 Z축에 평행한 수평광(B1), 광축(X2)이 Z축에 10° 경사진 10도 편광(B2), 광축(X3)이 Z축에 20° 경사진 20도 편광(B3), 광축(X4)이 Z축에 30° 경사진 30도 편광(B4)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옵틱 출사부(23)의 개수 및 형태를 변경함에 의해 편광(B2-B4)의 종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옵틱부(20)에 작은 광학렌즈인 옵틱 출사부(23)가 없는 경우, 옵틱 바디(21)에서 출사되는 광은 광각도가 변경되지 않는 수평광(B1)을 형성하므로, 제1 렌즈부(41)와 제2 렌즈부(51)가 광의 확산각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즉, 옵틱 출사부(23)가 없는 경우, 제2 렌즈 어레이부(50)에서 출사되는 광의 확산각이 20°정도까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옵틱 바디(21)에 옵틱 출사부(23)가 형성되므로, 옵틱 출사부(23)에서 광의 광각도를 편향되게 변경하여 광의 확산각을 30°정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옵틱 출사부(23)는 옵틱 바디(21)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용 헤드램프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물론, 옵틱 출사부(23)는 옵틱 바디(21)와 별도로 제작될 수도 있다.
옵틱 출사부(23)는 일부의 광초점(F)에 수렴되는 광의 광축(X)을 20-30°로 편향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일부의 광초점(F)에 수렴되는 광의 광축(X)이 20-30°로 편향되게 형성되므로, 각 제1 렌즈부(41)에서 출사되는 광이 이웃한 제2 렌즈부(51) 측으로 경사지게 출사될 수 있다.
옵틱 출사부(23)는 복수의 광초점(F)을 일평면의 일직선 상에 위치시키도록 광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옵틱 출사부(23)가 복수의 광초점(F)을 일직선 상에 위치시키므로, 복수의 광초점(F)이 제1 렌즈부(41)에 보다 가깝게 위치되도록 보정하여 제1 렌즈부(41)와 제2 렌즈부(51)를 통해 출사되는 광의 확산각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초점(F)이 제1 렌즈부(41)에서 보다 멀리 위치되도록 보정되는 경우, 제1 렌즈부(41)와 제2 렌즈부(51)를 통해 출사되는 광의 확산각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광초점(F)의 설계 위치에 따라 옵틱 출사부(23)를 광학적으로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렌즈부(41)와 제2 렌즈부(51)는 렌즈세트를 이루도록 하나씩 일대일 대응되고, 렌즈세트마다 광채널(C1,C2)이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광채널(C1,C2)은 해당 렌즈세트에서 Z축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일부의 광초점(F)에 수렴되는 광은 렌즈세트를 투과하여 이웃한 광채널(C1,C2)로 확산된다. 예를 들면, 수평광과 10도 편광은 대부분 해당 렌즈세트의 광채널(C1,C2)을 따라 조사되고, 20도 편광과 30도 편광은 대부분 해당 렌즈세트에 이웃한 광채널(C1,C2) 측으로 경사지게 확산된다. 따라서, 제1 렌즈부(41)와 제2 렌즈부(51)를 투과한 광의 확산각이 30도 정도까지 확대될 수 있다.
옵틱 출사부(23)는 2개 이상의 제1 렌즈부(41)마다 1개씩 배치된다. 옵틱 출사부(23)에 의해 형성된 일부의 편광(B2)은 옵틱 출사부(23)에 대향되는 광채널(C1,C2)에 출사되고, 나머지 편광(B3,B4)은 옵틱 출사부(23)에 대향되지 않는 광채널(C1,C2)로 확산될 수 있다. 옵틱 출사부(23)에서 출사되는 복수의 편광 중 일부는 옵틱 출사부(23) 전방에 배치된 제2 렌즈부(51)의 이웃한 제2 렌즈부(51) 측으로 경사지게 출사된다.
상기와 같이, 옵틱부(20)가 제1 렌즈 어레이부(40)와 옵틱부(20) 사이에 복수의 광초점(F)을 형성하도록 광을 출사하므로, 복수의 광초점(F)이 일평면상에 위치되거나 일평면에 아주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광초점(F)이 제1 렌즈 어레이부(40)에 가깝게 위치 보정되도록 하여 광의 확산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옵틱 바디(21)에 옵틱 출사부(23)가 형성되므로, 옵틱 출사부(23)에서 광의 광각도를 편향되게 변경하여 광의 확산각을 30°정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광의 확산각이 30°정도로 증가되므로, 웰컴 라이트(welcome ligh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웰컴 라이트 기능은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거나 도어를 개방할 때에 운전자가 주변 상황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차량이나 도어 주변으로 광을 조사해주는 기능이다.
또한, 제1 렌즈 어레이부(40)와 제2 렌즈 어레이부(50)가 기존의 구면렌즈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광학계의 크기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구면렌즈가 헤드램프의 광학계에 적용되는 경우, 광학계는 대략 100mm 정도의 길이, 50mm의 높이로 형성된다. 반면, 제1 렌즈 어레이부(40)와 제2 렌즈 어레이부(50)가 해드램프의 광학계에 적용되는 경우, 광학계는 대략 10mm 정도의 길이, 12m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광원부 20: 옵틱부
21: 옵틱 바디 23: 옵틱 출사부
30: 쉴드부 31: 쉴드층
33: 컷오프라인 40: 제1 렌즈 어레이부
41: 제1 렌즈부 50: 제2 렌즈 어레이부
51: 제2 렌즈부 F: 광초점
X: 광축 C1, C2: 광채널

Claims (10)

  1.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복수의 광초점을 형성하도록 출사되는 옵틱부;
    복수의 상기 광초점 상에 컷오프라인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쉴드부;
    상기 쉴드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렌즈부가 배열되는 제1 렌즈 어레이부; 및
    상기 제1 렌즈 어레이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렌즈부가 배열되는 제2 렌즈 어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옵틱부, 상기 쉴드부, 상기 제1 렌즈 어레이부 및 상기 제2 렌즈 어레이부는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순서대로 배열되고,
    상기 옵틱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일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출사되게 하는 옵틱 바디; 및
    복수의 상기 광초점이 일평면상에 모이도록 상기 옵틱 바디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각도를 변경하는 옵틱 출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옵틱 출사부는 일부의 상기 광초점에 수렴되는 광의 광축을 20-30°로 편향되게 형성하고,
    상기 옵틱 바디와 상기 옵틱 출사부에서 출사되는 광은, 상기 광축이 Z축에 평행한 수평광; 및 상기 광축이 상기 Z축에 경사진 복수의 편광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 출사부에서 출사되는 상기 복수의 편광 중 일부는 상기 옵틱 출사부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2 렌즈부의 이웃한 상기 제2 렌즈부 측으로 경사지게 출사되고,
    상기 제1 렌즈부는 상기 쉴드부 측으로 볼록하고, 출사되는 광을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확산시키고,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쉴드부의 반대 측으로 볼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 출사부는 상기 옵틱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 출사부는 복수의 상기 광초점을 상기 일평면의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도록 광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 출사부는 상기 제1 렌즈부와 상기 제2 렌즈부에서 출사되는 광의 확산각을 조절하도록 복수의 상기 광초점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와 상기 제2 렌즈부는 렌즈세트를 이루도록 하나씩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렌즈세트마다 광채널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8. 제7 항에 있어서,
    일부의 상기 광초점에 수렴되는 광은 상기 렌즈세트를 투과하여 이웃한 상기 광채널로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 출사부는 2개 이상의 상기 제1 렌즈부마다 1개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의 표면에는 상기 컷오프라인을 형성하도록 쉴드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KR1020190119633A 2019-09-27 2019-09-27 차량용 헤드램프 Active KR10229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33A KR102292135B1 (ko) 2019-09-27 2019-09-27 차량용 헤드램프
JP2020022352A JP6829334B1 (ja) 2019-09-27 2020-02-13 車両用ヘッドランプ
DE202020100789.0U DE202020100789U1 (de) 2019-09-27 2020-02-14 Scheinwerfer für ein Fahrzeug
US16/814,795 US10955106B1 (en) 2019-09-27 2020-03-10 Head lamp for vehicle
CN202020312986.7U CN211551482U (zh) 2019-09-27 2020-03-13 车辆前照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33A KR102292135B1 (ko) 2019-09-27 2019-09-27 차량용 헤드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250A KR20210037250A (ko) 2021-04-06
KR102292135B1 true KR102292135B1 (ko) 2021-08-23

Family

ID=6978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633A Active KR102292135B1 (ko) 2019-09-27 2019-09-27 차량용 헤드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55106B1 (ko)
JP (1) JP6829334B1 (ko)
KR (1) KR102292135B1 (ko)
CN (1) CN211551482U (ko)
DE (1) DE202020100789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141B1 (ko) * 2021-06-22 2024-06-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EP4180710B1 (en) * 2021-11-12 2025-03-05 ZKW Group GmbH 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headlam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0101A (ja) 2017-09-08 2019-03-2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6571279B2 (ja) 2015-10-23 2019-09-04 ツェットカーヴェー グループ ゲーエムベーハー 結像誤差のない配光を発生させるための自動車投光器用のマイクロ投射ライト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159B1 (ko) 2010-07-02 2017-03-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TW201506299A (zh) * 2013-08-02 2015-02-16 Hon Hai Prec Ind Co Ltd 發光二極體車燈
KR20160024483A (ko) * 2014-08-26 2016-03-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광학 구조
AT516836B1 (de) * 2015-04-10 2016-09-15 Zizala Lichtsysteme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mit Strahlenblende sowie Kraftfahrzeugscheinwerfer
JP6606862B2 (ja) * 2015-05-18 2019-11-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2017097968A (ja) * 2015-11-18 2017-06-0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FR3048059B1 (fr) * 2016-02-22 2022-08-05 Valeo Vision Dispositif de projection de faisceau lumineux muni d'une matrice de sources de lumiere, module d'eclairage et projecteur muni d'un tel dispositif
FR3050011A1 (fr) * 2016-04-11 2017-10-13 Valeo Vision Module d'emission d'un faisceau lumineux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US9915404B1 (en) * 2016-09-14 2018-03-13 BROALUX International Limited Optical element and car lamp
KR20180078729A (ko) *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2622145B1 (ko) * 2016-12-30 2024-01-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R3062457B1 (fr) * 2017-02-01 2020-08-28 Valeo Vision Module d'eclairage d'un faisceau lumineux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KR102384541B1 (ko) * 2017-07-19 2022-04-1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6571734B2 (ja) * 2017-09-04 2019-09-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
KR102036749B1 (ko) * 2017-12-14 2019-10-2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2421071B1 (ko) * 2017-12-27 2022-07-1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1279B2 (ja) 2015-10-23 2019-09-04 ツェットカーヴェー グループ ゲーエムベーハー 結像誤差のない配光を発生させるための自動車投光器用のマイクロ投射ライトモジュール
JP2019050101A (ja) 2017-09-08 2019-03-2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55106B1 (en) 2021-03-23
DE202020100789U1 (de) 2020-02-24
JP6829334B1 (ja) 2021-02-10
KR20210037250A (ko) 2021-04-06
CN211551482U (zh) 2020-09-22
JP2021057329A (ja) 2021-04-08
US20210095829A1 (en)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342B1 (ko) 차량용 램프의 광학유닛
JP7274626B2 (ja) ライトガイドを備えた自動車両用の照明装置
US11506358B2 (en) Optical element, optical module, and vehicle
US9316374B2 (en) Vehicle headlight
JP4678364B2 (ja) 光源装置及び車両前照灯
KR20250027691A (ko) 차량용 램프
US11971147B2 (en) Vehicle light guide and vehicle headlight
JP7503071B2 (ja) 車両用の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灯具
KR102292135B1 (ko) 차량용 헤드램프
JP6767716B2 (ja) 車両用前照灯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
JP7364409B2 (ja) 車両用ランプ
KR102298226B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CN110388616B (zh) 车辆用灯具
WO2020162149A1 (ja) 車両用灯具
EP4256227B1 (en) Optical system for an automotive headlamp
EP3712493B1 (en) Vehicular lamp unit and vehicular lamp
JP7211584B2 (ja) 車両用灯具
JP7554808B2 (ja) モータサイクル前照灯用一次光源
US20240011613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Motor Vehicle Headlight with Illumination Units Arranged Next to One Another
WO2023204084A1 (ja) 車両用灯具のレンズ体、及び車両用灯具
KR20240111930A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240081061A (ko) 차량용 램프
JP2021072253A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7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