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655B1 - Fabricable Furniture - Google Patents
Fabricable Furni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3655B1 KR102283655B1 KR1020190094141A KR20190094141A KR102283655B1 KR 102283655 B1 KR102283655 B1 KR 102283655B1 KR 1020190094141 A KR1020190094141 A KR 1020190094141A KR 20190094141 A KR20190094141 A KR 20190094141A KR 102283655 B1 KR102283655 B1 KR 1022836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late
- leg
- plate
- support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1—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slotted joint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못이나 접착제 등의 사용없이 분리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복수의 다리와,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과, 상판을 포함한다. 상기 다리는 상부의 내측면에 상부결합홈과, 높이 방향으로 상기 상부결합홈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내측면에 하부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판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다리의 상부결합홈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상부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지지판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다리의 하부결합홈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하부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상판은 하부면에 상기 다리가 상기 상부지지판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판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다리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구속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와,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 및 상판에 형성된 홈을 맞물리게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래서 결합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다리와,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 및 상판을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는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이 다리의 내측을 지지하고, 상판이 다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시킨다. 그래서 결합력이 높은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지지판은 내부가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지지판은 관통공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하부지지판은 상부지지판의 관통공에서 제거된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서 가구의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에 사용되는 판재를 절약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fabricated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fabricated furni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nails or adhesives.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gs, an upper support plate, a lower support plate, and an upper plate. The leg has an upper coupling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coupling groov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The upper support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n upper support groov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upper coupling groove of the leg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egs. The lower support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lower support groov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lower coupling groove of the leg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egs. The upper plate is formed with a restraining groo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late, the upper end of the leg protru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support plate can be inserted so that the leg is not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ppor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gage the legs, the upper support plate, the lower support plate, and the grooves formed on the upper plate to engage the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rniture capable of separating and assembling the legs, the upper support plate, the lower support plate, and the upper plate without using a coupling too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pport plate and the lower support plate support the inner side of the leg, and the upper plate restrains the leg from being sepa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prefabricated furniture with high bonding strengt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pport plat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inside is penetrated, and the lower support plate is formed smaller than the through hole. In this case, the lower support plate may be implemented as a member removed from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support plate. Therefore, not only can the weight of the furniture be reduced, but also the sheet material used for the furniture can be sa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못이나 접착제 등의 사용없이 분리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fabricated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fabricated furni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nails or adhesives.
일반적으로 가구는 목재, 철재,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공장에서 조립된 후 사용장소로 운반되고 있다. 이렇게 공장에서 조립된 대부분의 가구들은 못과 같은 고정구를 사용하여 조립되기 때문에 분리가 불가능하고, 조립 후에는 그 부피가 커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조립식 가구가 출시되고 있다. In general, furniture is manufactured from wood, steel, plastic, etc. and is widely used, and most of these are assembled in a factory and then transported to a place of use. Most of the furniture assembled in this way cannot be separated because it is assembled using fixtures such as nails. Prefabricated furniture is being released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가구는 접착제, 조인트나 피스 등의 결합 도구가 필요하였다. 그래서 결합도구가 없이는 조립이 어렵고, 조립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합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조립식 가구의 경우에는 결합력이 약하여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 prefabricated furniture requires a bonding tool such as an adhesive, a joint or a piece.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assembly is difficult without a coupling tool, and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prefabricated furniture that does not use a coupling tool,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oupling force was weak and the stability wa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못이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분리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결합력이 높은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urni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assembled without using nails or adhesives and has high bonding strength.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복수의 다리와,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과, 상판을 포함한다. 상기 다리는 상부의 내측면에 상부결합홈과, 높이 방향으로 상기 상부결합홈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내측면에 하부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판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다리의 상부결합홈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상부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지지판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다리의 하부결합홈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하부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상판은 하부면에 상기 다리가 상기 상부지지판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판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다리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구속홈이 형성된다.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gs, an upper support plate, a lower support plate, and an upper plate. The leg has an upper coupling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coupling groov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The upper support plate has an upper support groov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engage and engage with the upper coupling groove of the leg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egs. The lower support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lower support groov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lower coupling groove of the leg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egs. The upper plate is formed with a constraint groo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late, the upper end of the leg protruding from the upper support plate can be inserted so that the leg is not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pport plate.
또한, 상기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일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에서 상기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게 상기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상판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등받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판은 외주면에 상기 상판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지지부가 관통할 수 있게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s to protrude from the pair of leg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the back of the user seated on the upper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late further includes a backrest coupled to the support to enable i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late has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support portion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can pass therethrough.
또한, 상기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게 상기 상판의 타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에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팔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fabricated furnitu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rmrest portion extending from a pair of leg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so that the user's arm can be mounted, and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또는, 상기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은 내부가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지지판은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Alternatively, in the prefabricated furni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pport plate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inside is form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upport plate is smaller than the through hole.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와,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 및 상판에 형성된 홈을 맞물리게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래서 결합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다리와,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 및 상판을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는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gage the legs, the upper support plate, the lower support plate, and the grooves formed on the upper plate to engage the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rniture capable of separating and assembling the legs, the upper support plate, the lower support plate, and the upper plate without using a coupling too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이 다리의 내측을 지지하고, 상판이 다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시킨다. 그래서 결합력이 높은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pport plate and the lower support plate support the inner side of the leg, and the upper plate restrains the leg from being sepa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prefabricated furniture with high bonding strength.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지지판은 내부가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지지판은 관통공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하부지지판은 상부지지판의 관통공에서 제거된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서 가구의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에 사용되는 판재를 절약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pport plat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inside is penetrated, and the lower support plate is formed smaller than the through hole. In this case, the lower support plate may be implemented as a member removed from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support plate. Therefore, not only can the weight of the furniture be reduced, but also the sheet material used for the furniture can be sa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리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부지지판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지지판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판의 배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후방에 위치한 다리 및 지지부의 평면도,
도 10의 (a)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등받이부의 등받이지지판의 평면도,
도 10의 (b)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등받이부의 등받이상판의 평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판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방에 위치한 다리 및 팔걸이부의 평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정부재의 평면도,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부지지판의 평면도,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지지판의 평면도,
도 18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판이 평면도,
도 19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후방에 위치한 다리 및 지지부의 평면도,
도 20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등받이부의 등받이지지판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leg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upper support pl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lower support pl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top pl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7 is an assembly flow diagram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of the rear-positioned legs and support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Figure 10 (a) is a plan view of the backrest support pl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8,
Figure 10 (b) is a plan view of the backrest back pl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8,
11 is a plan view of the upper pl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of a leg and armrest located in the fron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15 is a plan view of the fixing member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16 is a plan view of the upper support pl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17 is a plan view of the lower support pl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18 is a plan view of the upper pl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19 is a plan view of the rear-positioned legs and support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20 is a plan view of the backrest support plate of the backrest por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의자, 테이블, 책장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식 의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hair, a table, a bookshelf, and the like, and in this embodiment, a prefabricated chair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100)는 복수의 다리(10)와,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 및 상판(40)을 포함한다. The
다리(10)는 내측면(11)에 상부결합홈(12)과, 하부결합홈(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결합홈(12)은 다리(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결합홈(14)은 높이 방향으로 상부결합홈(12)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구의 안정성을 위하여 4개의 다리(10)가 구비된다. 이때, 다리(10)는 상단(15)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15)의 외측면에 턱(16)이 형성된다. The
상부지지판(20)은 다리(10)의 내측면(11)의 상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지지판(20)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다리(10)의 상부결합홈(12)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상부지지홈(21)이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부지지판(20)은 조립식 가구의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관통공(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지지판(2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4개의 다리(10)를 지지할 수 있게 모서리에 4개의 상부지지홈(2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지지판(2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지만,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하부지지판(30)은 다리(10)의 내측면(11)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하부지지판(30)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다리(10)의 하부결합홈(14)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하부지지홈(31)이 복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지지판(30)은 상부지지판(20)의 관통공(23)에서 제거된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서 하부지지판(30)은 상부지지판(20)의 관통공(23)보다 작게 형성되어 가구에 사용되는 판재를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지지판(3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4개의 다리(10)를 지지할 수 있게 모서리에 4개의 하부지지홈(31)이 형성된다. The
상판(40)은 사용자가 앉거나 물건을 거치할 수 있게 다리(10)의 상단(15)에 장착되며, 구속홈(41)이 형성된다. 여기서 구속홈(41)은 다리(10)가 상부지지판(2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지지판(20)의 상부로 돌출된 다리(10)의 상단(15)이 삽입될 수 있게 상판(40)의 하부면(40a)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판(40)은 상부지지판(20)과 동일한 크기의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다리(10)의 상단(15)에 턱(1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지지판(20)의 상부로 돌출된 다리(10)의 상단(15)은 상판(40)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래서 상판(40)의 하부면(40a)에 다리(10)의 상단(15)에 삽입될 수 있는 구속홈(41)을 형성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의 경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부지지판(20)의 상부지지홈(21a)에 제1다리(10a)의 상부결합홈(12)이 맞물리게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하부지지판(30)의 하부지지홈(31a)에 제1다리(10a)의 하부결합홈(14)이 맞물리게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제1다리(10a)와 상부지지판(20) 및 하부지지판(30)이 결합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다리(10a)와 마주보도록 제2다리(10b)의 상부결합홈(12)을 상부지지판(20)의 상부지지홈(21b)에 맞물리게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제2다리(10b)의 하부결합홈(14)을 하부지지판(30)의 하부지지홈(31b)에 맞물리게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제2다리(10b)와 상부지지판(20) 및 하부지지판(30)이 결합되면,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다리(10c)와 제4다리(10d)를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에 결합시킨다. 복수개의 다리(10)와 상부지지판(20) 및 하부지지판(30)이 결합되면,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0)의 구속홈(41)에 다리(10)의 상단(15)을 삽입하여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때, 상부지지판(20)의 상부로 돌출된 다리(10)의 상단(15)이 상판(40)의 구속홈(41)에 삽입되어 다리(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구속된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a), first, the
종래의 조립식 가구는 접착제, 조인트나 피스 등의 결합 도구가 필요하였다. 그래서 결합도구가 없이는 조립이 어렵고, 조립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합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조립식 가구의 경우에는 결합력이 약하여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10)와,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 및 상판(40)에 형성된 상부결합홈(12)과 하부결합홈(14)과 상부지지홈(21)과 하부지지홈(31)과 구속홈(41)을 맞물리게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래서 결합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다리(10)와,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 및 상판(40)을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는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지지판(20) 및 하부지지판(30)이 다리(10)의 내측을 지지하고, 상판(40)이 다리(10)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시킨다. 그래서 결합력이 높은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지지판(20)은 내부가 관통된 관통공(23)이 형성되고, 하부지지판(30)은 관통공(23)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하부지지판(30)은 상부지지판(20)의 관통공(23)에서 제거된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서 가구의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에 사용되는 판재를 절약할 수 있다. Conventional prefabricated furniture requires bonding tools such as adhesives, joints or pieces.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assembly is difficult without a coupling tool, and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prefabricated furniture that does not use a coupling tool,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oupling force was weak and the stability was deteriorate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8 내지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8 to 11 ar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지지부(50)와 등받이부(60)를 더 포함하며, 상판(40)은 관통부(43)가 더 형성된다.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 it further includes a
지지부(50)는 상판(40)의 일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10)에서 상판(40)의 상부로 돌출되게 다리(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지지부(50)는 상판(40)에 착석한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다리(10b)와 제4다리(10d)에서 상판(40)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이때, 지지부(50)는 상부의 내측면(50a)에 등받이결합홈(51)이 형성되며, 상단(53)의 외측면에 턱(54)이 형성된다. The
등받이부(60)는 상판(4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게 지지부(5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등받이부(60)는 지지부(50)에 결합되기 위하여 등받이지지판(61)과 등받이상판(63)을 구비한다. 등받이지지판(61)은 외주면에 상기 지지부(50)의 등받이결합홈(51)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등받이지지홈(62)이 복수개 형성되며, 등받이상판(63)은 지지부(50)의 상단(53)이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부(50)의 상단(53)이 삽입될 수 있게 등받이상판(63)의 하부면(63a)에 고정홈(64)이 형성된다. The
상판(40)은 외주면에 상판(40)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50)가 관통할 수 있게 관통부(43)가 더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부(43)는 상판(40)에 착석한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다리(10b)와 제4다리(10d)에서 연장된 2개의 지지부(50)가 관통할 수 있게 상판(40)의 모서리에서 절개되어 형성된다.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조립식 의자(200)에 착석 시 등을 기댈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의자(200)에 앉을 수 있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user can lean on his back when seated on the
한편,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0) 및 등받이부(60)는 동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래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FIG. 12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 As shown in FIG. 12 , the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13 to 20 ar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20 .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팔걸이부(70)와 고정부재(80)를 더 포함한다. 팔걸이부(70)는 사용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게 상판(40)의 타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10)에서 연장되어 일단(71)이 등받이부(6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팔걸이부(70)는 상판(40)에 착석한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다리(10a)와 제3다리(10c)에서 연장되어 상판(40)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후 지지부(50)를 향해 한번 더 절곡되어 일단(71)이 등받이부(60)에 결합된다. 이때, 팔걸이부(70)의 일단(71)의 하부는 단이지게 형성된다. 고정부재(80)는 상판(40)에 착석한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다리(10a)와 제3다리(10c)를 고정지지할 수 있게 다리(10)에 결합된다. 고정부재(80)는 제1다리(10a)와 제3다리(10c)를 고정지지할 수 있게 일면(80a)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다리(10)의 고정부재결합홈(17)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다리고정홈(81)이 복수개 형성된다.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 it further includes an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다리(10a) 및 제3다리(10c)는 제1실시예에 비하여 고정부재결합홈(17)이 더 형성된다. 고정부재결합홈(17)은 상부지지판(20)과 맞물려서 상부지지판(20)을 지지하는 다리(10a, 10c)의 상부에 고정부재(80)의 다리고정홈(81)과 맞물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지지홈(21) 및 하부지지홈(31)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경우에는 상부지지판(20) 및 하부지지판(30)의 모서리에 형성되지만,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 경우에는 상부지지판(20) 및 하부지지판(30)의 마주보는 두 면에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관통부(43)는 상판(40)의 모서리가 절개되어 형성되지만,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 경우, 상판(40)의 모서리가 단이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실시예 경우, 등받이결합홈(51)은 지지부(50)의 상부의 내측면(50a)에 형성되지만,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지지부(50)의 상단(53)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50)의 상단(53)은 팔걸이부(70)의 단이진 일단(71)의 하부와 맞물리게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 the through
한편, 도 8에 도시된 실시예 경우, 등받이부(60)는 등받이지지판(61)과 등받이상판(63)을 구비하지만,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 경우, 등받이판(65)만 구비한다. 여기서 등받이판(65)은 외주면에 지지부(50)의 등받이결합홈(51)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등받이지지홈(66)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되고, 일면(65a)에 팔걸이부(70)의 일단(71)이 등받이판(65)에 결합되도록 일단(71)이 삽입될 수 있게 고정홈(68)이 복수개 형성된다. 즉, 등받이지지홈(66)은 지지부(50)의 상단(50a)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지지하고, 고정홈(68)은 팔걸이부(70)의 일단(71)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구속시킨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본 실시예의 조립과정은 먼저 제1다리(10a)와 제3다리(10c)의 고정부재결합홈(17)에 고정부재(80)의 다리고정홈(81)이 맞물리게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제1다리(10a)와 제3다리(10c)가 고정부재(80)와 결합되면, 제2다리(10b)와 제4다리(10d)에서 연장된 지지부(50)의 등받이결합홈(51)에 등받이판(65)의 등받이지지홈(66)이 맞물리게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제2다리(10b)와 제4다리(10d)가 등받이판(65)와 결합되면, 상부지지판(20)의 상부지지홈(21)에 제1다리(10a) 및 제3다리(10c)의 상부결합홈(12)이 맞물리게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하부지지판(30)의 하부지지홈(31)에 제1다리(10a) 및 제3다리(10c)의 하부결합홈(14)이 맞물리게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제1다리(10a) 및 제3다리(10c)가 상부지지판(20) 및 하부지지판(30)과 결합되면, 제2다리(10a) 및 제4다리(10d)의 상부결합홈(12)을 상부지지판(20)의 상부지지홈(21)에 맞물리게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제2다리(10a) 및 제4다리(10d)의 하부결합홈(14)을 하부지지판(30)의 하부지지홈(31)에 맞물리게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팔걸이부(70)의 일단(71)은 지지부(50)의 상단(50a)과 맞물리면서 등받이판(65)의 고정홈(68)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복수개의 다리(10)와,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과, 등받이부(60)와, 팔걸이부(70) 및 고정부재(80)가 결합되면, 지지부(50) 및 팔걸이부(70)를 상판(40)의 관통부(43)에 위치시킨 후, 상판(40)의 구속홈(41)에 다리(10)의 상단(15)을 삽입하여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성된다.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is embodiment, first,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의자(400)에 착석 시 등을 기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의자(400)에 앉을 수 있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sit on the
100,200,300,400 : 조립식 의자 10(10a,10b,10c,10d) : 다리
11 : 내측면 12 : 상부결합홈
14 : 하부결합홈 15 : 상단
16 : 턱 20 : 상부지지판
21(21a,21b,21c,21d) : 상부지지홈 23 : 관통공
30 : 하부지지판 31(31a,31b,31c,31d) : 하부지지홈
40 : 상판 40a : 하부면
41 : 구속홈 43 : 관통부
50 : 지지부 50a : 내측면
51 : 등받이결합홈 53 : 상단
54 : 턱 60 : 등받이부
61 : 등받이지지판 62 : 등받이지지홈
63 : 등받이상판 63a : 하부면
64 : 고정홈 65 : 등받이판
65a : 일면 66 : 등받이지지홈
68 : 고정홈 70 : 팔걸이부
71 : 일단 80 : 고정부재
80a : 일면 81 : 다리고정홈100,200,300,400: prefabricated chair 10(10a,10b,10c,10d): leg
11: inner surface 12: upper coupling groove
14: lower coupling groove 15: upper
16: jaw 20: upper support plate
21 (21a, 21b, 21c, 21d): upper support groove 23: through hole
30: lower support plate 31 (31a, 31b, 31c, 31d): lower support groove
40:
41: constraint groove 43: penetrating part
50:
51: backrest coupling groove 53: top
54: chin 60: backrest
61: back support plate 62: back support groove
63:
64: fixing groove 65: backrest plate
65a: one side 66: back support groove
68: fixing groove 70: armrest
71: one end 80: fixing member
80a: one side 81: leg fixing groove
Claims (4)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다리의 상부결합홈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상부지지홈과, 내부가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판과,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다리의 하부결합홈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하부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의 내측면을 지지하며, 둘레가 상기 관통공보다 작게 형성된 하부지지판과,
하부면에 상기 다리가 상기 상부지지판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판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다리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구속홈이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A plurality of legs having an upper coupling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coupling groov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An upper support groove capable of engaging and engaging with the upper coupling groove of the le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upper support plat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inside is formed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egs;
A lower support plat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n engage and engage with the lower coupling groove of the leg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egs, and a lower support plate having a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through hole,
Prefab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plate having a restrain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leg protru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support plate so that the leg does not deviate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pport plate can be inserted.
상기 상판의 일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에서 상기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게 상기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상판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등받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은 외주면에 상기 상판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지지부가 관통할 수 있게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from a pair of leg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to protrude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a backrest coupled to the support to support the back of a user seated on the upper plate including more,
The upper plate is prefabricated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the support portion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can pass through.
상기 사용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게 상기 상판의 타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에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팔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fabricated furniture further comprising: an armrest extending from a pair of leg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to mount the user's arm and one end coupled to the back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6859 | 2018-11-25 | ||
KR20180146859 | 2018-11-25 | ||
KR1020190046404 | 2019-04-21 | ||
KR20190046404 | 2019-04-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2017A KR20200062017A (en) | 2020-06-03 |
KR102283655B1 true KR102283655B1 (en) | 2021-07-30 |
Family
ID=7108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4141A Active KR102283655B1 (en) | 2018-11-25 | 2019-08-02 | Fabricable Furni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365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6177B1 (en) * | 2020-09-11 | 2022-08-24 | 주용진 | Companion animal for scratcher |
KR102336575B1 (en) * | 2021-06-15 | 2021-12-06 | 이동주 | table |
KR200497361Y1 (en) * | 2021-07-07 | 2023-10-17 | 조진기 | Multi-purpose table assembly kit |
KR102788424B1 (en) * | 2023-06-16 | 2025-03-31 | (주)토파스 | table fasten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65289A1 (en) * | 2012-12-13 | 2014-06-19 | BV Furniture, Inc. | Modular interlocking furniture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0063U (en) * | 1993-09-28 | 1995-04-21 | Panel curvature measuring device | |
KR200399241Y1 (en) | 2005-06-10 | 2005-10-20 | 정진환 | Fabricated chair using cardboard and paperpipe |
KR200475666Y1 (en) | 2013-04-09 | 2014-12-22 | 손상 | A sectional chair |
KR101678809B1 (en) * | 2014-12-22 | 2016-11-24 | (주) 파트라 | Chair with ability of back board position control |
KR101736658B1 (en) | 2016-02-02 | 2017-05-16 | 오세헌 | Locking apparatus of assembley furniture and assembley furniture |
KR101832236B1 (en) * | 2016-07-26 | 2018-02-27 | 박종률 | Assembled furniture |
KR20190057487A (en) | 2017-11-20 | 2019-05-29 | 김지필 | Self-assembly paper chair |
-
2019
- 2019-08-02 KR KR1020190094141A patent/KR1022836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65289A1 (en) * | 2012-12-13 | 2014-06-19 | BV Furniture, Inc. | Modular interlocking furniture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2017A (en) | 2020-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3655B1 (en) | Fabricable Furniture | |
KR101453493B1 (en) | Sectional desk | |
US5599068A (en) | Arcuately supported chair | |
US10548401B2 (en) | Seating furniture | |
US7219962B2 (en) | Design and assembly technique for ready to assemble furniture | |
US6955401B1 (en) | Collapsible rocker chair | |
US20140165289A1 (en) | Modular interlocking furniture system | |
US11085478B2 (en) | Support beam connector system | |
KR20190000653U (en) | An assembly structure of table | |
KR101499874B1 (en) | Frame geometry of assembled table | |
JP2018517880A (en) | Bracket for assembling furniture, assembling-type furniture using the sam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US10251485B2 (en) | Seating furniture | |
US5295755A (en) | Shock mount | |
KR101801228B1 (en) | Sectional table and chair | |
US9414676B1 (en) | Table and chair with self-stabilizing system | |
US3309051A (en) | Adjustable leg assembly for furniture or the like | |
KR101571264B1 (en) | Bracket for Assembling Furniture | |
US5088180A (en) | Method for assembling a multi-part article of furniture | |
US5332289A (en) | Ready-to-assemble furniture with improved fastening means | |
JP6580827B2 (en) | Furniture with a top plate | |
US9060606B1 (en) | Table display, bench and shipping platform convertib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 |
US11140978B1 (en) | Attachable table leg apparatus | |
US6929096B1 (en) | Stringer/shelf frame construction | |
JP2006296790A (en) | Assembly structure | |
JP7179573B2 (en) | t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