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228B1 - Sectional table and chair - Google Patents
Sectional table and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1228B1 KR101801228B1 KR1020150140635A KR20150140635A KR101801228B1 KR 101801228 B1 KR101801228 B1 KR 101801228B1 KR 1020150140635 A KR1020150140635 A KR 1020150140635A KR 20150140635 A KR20150140635 A KR 20150140635A KR 101801228 B1 KR101801228 B1 KR 101801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s
- side plates
- plate
- wedges
- right sid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책상 및 의자에 관한 것으로; 좌측 및 우측에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판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측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상판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후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후면판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책상과; 좌측 및 우측에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 및 제4 측판과,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상측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좌판과,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전단 하측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받침판과,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후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등받이판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책상 및 의자의 주요부를 판재로 제작하고 이를 최소한의 쐐기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자가 책상이나 의자를 사용하고자 하는 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desk and chair,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disposed vert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n upper plate horizontally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 rear plate vertically assembl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 prefabricated desk comprising: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vertical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 seat plate horizontally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nd a backrest plate vertically assembled to the rear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part of a desk and a chair can be made of a plate material and can be firmly assembled using a minimum wedge,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assemble the desk or chair in a field where the user wants to use the chair.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책상 및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책상 및 의자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후 견고한 조립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책상 및 의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책상과 의자들은 학교나 학원 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구로서 주로 금속재 프레임에 목재를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견고하게 결합하여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배송하고 있다. In general, desks and chairs are furniture used in schools, academies or homes, and they are firmly connected to the metal frame by means of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and are deliver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consumer.
그런데, 이와 같은 일체형 구조의 책상과 의자들은 가구 조립에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며,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운반됨에 따라 많은 양을 화물트럭 등에 적재하는데 한계가 있어 운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desk and the chair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amount of labor is required for assembling the furniture, and a large amount of the desk and chairs are loaded on the cargo truck as the assembly is completed.
이에 최근에는 책상이나 의자를 구성하는 부품을 사용자가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는 조립식 책상이나 의자 등의 가구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Recently, a lot of furniture such as a desk or a chair has been put on the market where a user assembles a part constituting a desk or a chair directly on the spot.
이와 같은 조립식 가구의 일 예로 공개특허 제10-2012-0040332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골프 연습장용 휴게의자에 관한 것으로, 현장 조립이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파손되더라도 손쉽게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Open No. 10-2012-0040332 has been proposed as an example of such a prefabricated furniture. This relates to a rest chair for a golf driving range, and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assembled on the spot and can be easily replaced even if it is partially broken.
하지만, 상기 참고문헌 1의 의자는 옷걸이겸광고판, 테이블판, 테이블 받침대, 컵받침대 등을 조합시 많은 수의 고정볼트로 체결해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번거롭고 오랜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소비자가 의자를 직접 조립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hair of
한편, 또 다른 조립식 가구의 일 예로 등록실용 제20-0427977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일체의 원판을 구획 분할하고 구획된 부분의 각 경계부분을 접어 조립함으로써 좌판부와 등받이부를 구성하여 각종 행사나 야외활동시 안락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의자가 제안된다. On the other hand, as an example of another prefabricated furniture, Registration No. 20-0427977 has been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chair, and a prefabricated chair is proposed in which an entire original plate is partitioned and each boundary portion of the partitioned portion is folded and assembled to form a seat portion and a back portion so as to sit comfortably in various events or outdoor activities .
그런데, 상기 의자는 좌판부(110)와 등받이부(12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좌판부(110)와 등받이부(120)는 일체로 이루어진 종이 또는 합성수지등의 원판을 접어 조립하는 구조로서 일시적으로 사용활동에 사용이 가능하지만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조립된 상태로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책상 및 의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을 간단히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 드라이버와 같은 전문적인 조립용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책상 및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sk and a chair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without using a specialized assembly tool such as a screwdriver Which has a purpose of providing a prefabricated desk and chair.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책상 및 의자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조립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조립 작업이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책상 및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desk and a chair which can minimize the number of assembly parts required to manufacture a prefabricated desk and chair, thereby simplifying the assembling work and maintaining a rigid assembled state.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such a technical problem,
책상의 다리 역할을 하도록 좌측 및 우측에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판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상측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상판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후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후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을 제공한다.First and second side plates disposed vertically side by sid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serve as legs of a desk; an upper plate horizontally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nd a rear plate assembled vertically.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에 후면판을 좌측 및 우측에서 고정하는 제1 및 제2 쐐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wedges for fixing the rear plate at left and right sides.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은 상부 후측에 가로방향으로 상판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평지지홈과 상기 후면판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이 교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에는 수평으로 상기 제1 및 제2 쐐기가 삽입 체결되는 제1 및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은 좌우 양측 전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수평지지홈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수평끼움홈이 전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은 좌우 양측 하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수직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끼움홈의 상측에 수평으로 제1 및 제2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includ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pport grooves for horizontally supporting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lat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pport grooves are formed horizontally with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wedges are inserted; The upper plate has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itting grooves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pporting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t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he rear plate has first and second vertical fitting groov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itting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t both left and right lower ends thereof,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are formed horizontally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에 상기 후면판의 제1 및 제2 수직끼움홈을 끼우면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삽입홈에 상기 후면판의 제1 및 제2 고정홈이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 쐐기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itting grooves of the rear plate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holding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itt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of the rear plate are position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edges are fitted together.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쐐기는 제1 및 제2 쐐기몸체의 전방 양측으로 제1 및 제2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끼움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삽입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1 및 제2 쐐기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wedges may have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wedge bodie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are engaged with the first and
또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의자의 다리 역할을 하도록 좌측 및 우측에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 및 제4 측판과,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상측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좌판과,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전단 하측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받침판과,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후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등받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도 제공한다.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rranged vertically side by sid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serve as legs of the chair, a seat plate horizontally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nd a backrest plate vertically assembled to the rear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측판에 등받이판을 좌측 및 우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제3 및 제4 쐐기와, 상기 제3 및 제4 측판에 받침판을 좌측 및 우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제5 및 제6 쐐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ird and fourth wedges for fixing the backrest plat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nd fifth and sixth wedges for fixing the bottom plat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nd a wedge is provided.
이때,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은 상부 후측에 가로방향으로 좌판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및 제4 수평지지홈과 상기 등받이판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이 교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에는 수평으로 상기 제3 및 제4 쐐기가 체결되는 제3 및 제4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은 좌우 양측 전단부에는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3 및 제4 수평지지홈에 끼워지는 제3 및 제4 수평끼움홈이 전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판은 좌우 양측 하단부에는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에 끼워지는 제3 및 제4 수직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수직끼움홈의 상측에 수평으로 제3 및 제4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에 상기 등받이판의 제3 및 제4 수직끼움홈이 끼워지면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3 및 제4 삽입홈에 상기 등받이판의 제3 및 제4 고정홈이 위치하여 상기 제3 및 제4 쐐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include third and fourth horizontal support grooves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upper rear side, and third and fourth vertical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 plate, Third and fourth vertical grooves are formed horizontally in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support grooves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third and fourth wedges; Third and fourth horizontal fitting grooves which are fitted to the third and fourth horizontal supporting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re formed in front of the left and right front side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Wherein the backrest plate has third and fourth vertical fitting grooves formed at left and right lower ends thereof to be fitted into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supporting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Third and fourth fixing grooves are formed horizontally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When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fitting grooves of the back plate are fitted in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supporting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the third and fourth insertion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The third and fourth fixing grooves of the plate are positioned, and the third and fourth wedges are coupled.
또한, 상기 제3 및 제4 쐐기는 제3 및 제4 쐐기몸체의 전방 양측으로 제3 및 제4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3 및 제4 끼움돌기가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3 및 제4 삽입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3 및 제4 쐐기몸체는 상기 제3 및 제4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and fourth wedges may have third and fourth fitting projec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wedge bodies so that the third and fourth fitting projections are engaged with the third and
아울러,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은 하부 전단에 가로방향으로 받침판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의 상측에는 제5 및 제6 쐐기가 삽입되는 제5 및 제6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은 좌우 양측 후단부에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에 끼워지는 제5 및 제6 수평끼움홈이 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에 상기 받침판의 제5 및 제6 수평끼움홈을 끼우고 상기 제5 및 제6 삽입홈에 제5 및 제6 쐐기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re provided with fifth and sixth horizontal support grooves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l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lower front end, and the fifth and sixth horizontal support grooves are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fifth and sixth horizontal support grooves. And fifth and sixth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the sixth wedge is inserted; Fifth and sixth horizontal fitting grooves that are fitted in the fifth and sixth horizontal supporting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rear end portions of the receiving plate in a forward direction; The fifth and sixth horizontal insertion grooves of the support plate are inserted into the fifth and sixth horizontal support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nd the fifth and sixth wedges are fitted into the fifth and sixth insertion grooves .
이때, 상기 제5 및 제6 쐐기는 일(-)자 형상으로 전단부의 단면적이 좁고 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사각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fifth and sixth wedges are formed in a shape of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end and a cross-sectional area wider toward the rear end.
본 발명에 따르면, 책상 및 의자의 주요부를 판재로 제작하고 이를 최소한의 쐐기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자가 책상이나 의자를 사용하고자 하는 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part of a desk and a chair can be made of a plate material and can be firmly assembled using a minimum wedge,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assemble the desk or chair in a field where the user wants to use the chair.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책상 및 의자는 조립시 나사 등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아 분해시에도 부속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 드라이버와 같은 전문적인 조립용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책상 및 의자의 대량 생산에도 유리하다. In addition, since the desk an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use fasteners such as screws for assembly, it is possible not only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components even when disassembled, but also to prevent the user It is easy to assemble, and it is advantageous in mass production of desks and chai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상의 부품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상의 판재 조립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상의 쐐기 결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상의 조립 완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부품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판재 조립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쐐기 결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조립 완성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parts of a prefabricat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plate assembly of a prefabricat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wedge joining state diagram of the prefabricat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ed view of a prefabricat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mponent diagram of the assembl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view of a plate assembly of the assembl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wedge joint state view of the assembl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assembl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상 및 의자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책상을 구성하는 부품의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한 구조의 조립식 책상에 관한 것이다.FIGS. 1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efabricat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related to a prefabricated desk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easy assembl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상(100)은 책상의 다리 역할을 하도록 좌측 및 우측에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상측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상판(130)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후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후면판(140)으로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에 후면판(140)을 좌측 및 우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쐐기(150,160)가 구비된다.The first and
특히, 상기 상판(130)은 전체적으로 알파벳 'D'자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후면판(140)은 알파벳 'E'자 형상으로 제작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은 알파벳 'S' 및 'K'자 형상으로 각각 제작하여 책상(DESK)를 조립하는데 사용하는 부품들임을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상(100)의 조립시 사용자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Particularly, the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 상판(130) 및 후면판(140), 제1 및 제2 쐐기(150,160)는 원목 또는 합판, MDF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함도 가능하다. The first an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상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each part of the assembl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는 상부 후측에 가로방향으로 상판(130)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평지지홈(112,122)과, 상기 후면판(140)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114,124)이 교차되게 형성된다.The first and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114,124)에는 수평으로 상기 제1 및 제2 쐐기(150,160)가 삽입 체결되는 제1 및 제2 삽입홈(116,126)이 형성된다.In the first and second
한편, 상기 상판(130)은 독서를 위해 책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판(130)의 좌우 양측 전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제1 및 제2 수평지지홈(112,122)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수평끼움홈(132,134)이 전방으로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상판(130)의 제1 및 제2 수평끼움홈(132,134)을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제1 및 제2 수평지지홈(112,122)에 끼우는 경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후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후면판(140)이 조립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판(130)의 후단부가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제1 및 제2 수평지지홈(112,122)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수평끼움홈(132,134)의 깊이를 설계한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에 상판(130)을 조립한 상태에서 후면판(140)을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에 조립하는 경우 후면판(140)의 전면이 상기 상판(130)의 후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상판(130)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한편, 상기 후면판(140)은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후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후면판(140)의 좌우 양측 하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114,124)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수직끼움홈(142,14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끼움홈(142,144)의 상측에 수평으로 제1 및 제2 고정홈(146,148)이 형성된다.Th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114,124)에 상기 후면판(140)의 제1 및 제2 수직끼움홈(142,144)을 끼우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제1 및 제2 삽입홈(116,126)에 상기 후면판(140)의 제1 및 제2 고정홈(146,148)이 위치하게 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쐐기(150,16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first and second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쐐기(150,160)는 포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및 제2 쐐기몸체(151,161)의 전방 양측으로 제1 및 제2 끼움돌기(152,162)가 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1 및 제2 끼움돌기(152,162)는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제1 및 제2 삽입홈(116,126)에 끼워지고 더 깊이 삽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쐐기몸체(151,161)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146,148)에 삽입되어 후면판(140)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제1 및 제2 삽입홈(116,126)과 후면판(140)의 제1 및 제2 고정홈(146,148)은 제1 및 제2 쐐기(150,160)가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쐐기(150,160)는 목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지만,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작함도 가능하다.The first and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책상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assembling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먼저, 제1 및 제2 측판(110,120)을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하게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수평하게 상판(130)을 눕혀 상판(130)의 제1 및 제2 수평끼움홈(132,134)을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평지지홈(112,122)에 끼운다.First and second horizontal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측판(110,120)에 상판(130)을 조립한 상태에서 후면판(140)을 수직으로 세워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114,124)에 후면판(140)의 좌우 양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직끼움홈(142,144)을 끼워 조립하여 상판(130)의 후단부를 후면판(140)의 전면이 지지하도록 하여 상판(1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그리고, 제1 및 제2 쐐기(150,160)의 제1 및 제2 끼움돌기(152,162)를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의 제1 및 제2 삽입홈(116,126)에 끼워 삽입하며 계속해서 가압하여 제1 및 제2 쐐기몸체(151,161)를 제1 및 제2 고정홈(146,148)에 삽입하여 후면판(140)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0,12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막음으로서 조립이 완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부품의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한 구조의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FIGS. 5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efabricat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related to a prefabricated chair having a simple structure of components and a simple structur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200)는 의자의 다리 역할을 하도록 좌측 및 우측에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 및 제4 측판(210,220)과,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상측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좌판(230)과,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전단 하측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받침판(240)과,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후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등받이판(250)으로 구성된다.The assembled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에 등받이판(250)을 좌측 및 우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제3 및 제4 쐐기(260,270)와,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에 받침판(240)을 좌측 및 우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제5 및 제6 쐐기(280,290)가 구비된다.The third and
특히, 상기 좌판(230)은 전체적으로 알파벳 'C'자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등받이판(250)은 알파벳 'H'자 형상으로 제작하며,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은 알파벳 'A' 및 'R'자 형상으로 각각 제작하고, 상기 받침판(240)은 알파벳 'I'자 형상으로 각각 제작하여 의자(CHAIR)를 조립하는데 사용하는 부품들임을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200)의 조립시 사용자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이때,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 받침판(240), 좌판(230), 등받이판(250), 제3 내지 제6 쐐기(260,270,280,290)는 원목 또는 합판, MDF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함도 가능하고 필요한 경우 금속으로 제작함도 가능하다.The third an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of the assembl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은 상부 후측에 가로방향으로 좌판(230)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및 제4 수평지지홈(212,222)과, 상기 등받이판(250)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214,224)이 교차되게 형성된다. The third and
또한,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은 하부 전단에 가로방향으로 받침판(240)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216,226)이 형성된다. The fifth and sixth
이 경우 상기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214,224)은 등받이판(250)을 경사지게 조립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214,224)의 형성 각도는 당업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정도에 해당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In this case, the third and fourth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214,224)에는 수평으로 상기 제3 및 제4 쐐기(260,270)가 체결되는 제3 및 제4 삽입홈(215,225)이 형성된다.The third and fourth
한편, 상기 좌판(230)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좌판(230)의 좌우 양측 전단부에는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3 및 제4 수평지지홈(212,222)에 끼워지는 제3 및 제4 수평끼움홈(232,234)이 전방으로 형성된다.The left and
이때, 상기 좌판(230)의 제3 및 제4 수평끼움홈(232,234)을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3 및 제4 수평지지홈(212,222)에 끼우는 경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후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등받이판(250)이 조립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좌판(230)의 후단부가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3 및 제4 수평지지홈(212,222)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3 및 제4 수평끼움홈(232,234)의 깊이를 적절하게 설계한다. In this case, when the third and fourth horizontal
따라서,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에 좌판(230)을 조립한 상태에서 등받이판(250)을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에 조립하는 경우 등받이판(250)의 전면이 상기 좌판(230)의 후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좌판(230)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한편, 상기 등받이판(250)은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후측에 수직으로 또는 경사지게 조립되는 것으로, 등받이판(250)의 좌우 양측 하단부에는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214,224)에 끼워지는 제3 및 제4 수직끼움홈(252,254)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수직끼움홈(252,254)의 상측에 수평으로 제3 및 제4 고정홈(256,258)이 형성된다.Th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214,224)에 상기 등받이판(250)의 제3 및 제4 수직끼움홈(252,254)을 끼우면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3 및 제4 삽입홈(215,225)에 상기 등받이판(250)의 제3 및 제4 고정홈(256,258)이 위치하게 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제3 및 제4 쐐기(260,270)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이때, 상기 제3 및 제4 쐐기(260,270)는 포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3 및 제4 쐐기몸체(261,271)의 전방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3 및 제4 끼움돌기(262,272)가 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3 및 제4 끼움돌기(262,272)는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3 및 제4 삽입홈(215,225)에 끼워지고 더 깊이 삽입하면 상기 제3 및 제4 쐐기몸체(261,271)는 상기 제3 및 제4 고정홈(256,258)에 삽입되어 등받이판(250)이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ird and
이 경우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3 및 제4 삽입홈(215,225)과 등받이판(250)의 제3 및 제4 고정홈(256,258)은 제3 및 제4 쐐기(260,270)가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The third and
한편,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은 하부 전단에 가로방향으로 받침판(240)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216,226)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216,226)의 상측에는 제5 및 제6 쐐기(280,290)가 억지끼움식으로 조립가능하도록 제5 및 제6 삽입홈(217,227)이 형성된다. The fifth and sixth
그리고, 상기 받침판(240)은 사용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받침판(240)의 좌우 양측 후단부에는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216,226)에 끼워지는 제5 및 제6 수평끼움홈(242,244)이 전방으로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제5 및 제6 삽입홈(217,227)에는 가압돌부가 하향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일자 형상의 제5 및 제6 쐐기(280,290)가 측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5 및 제6 쐐기(280,290)의 상부면을 가압해 주게 된다. When the fifth and
상기 제5 및 제6 쐐기(280,290)는 일(-)자 형상으로 전단부의 단면적이 좁고 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사각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5 및 제6 삽입홈(217,227)에 밀어 넣으면 제5 및 제6 쐐기(280,290)의 하부면은 상기 받침판(240)의 상면에 밀착되고 제5 및 제6 쐐기(280,290)의 상부면은 상기 제5 및 제6 삽입홈(217,227)에 의해 가압되어 제5 및 제6 쐐기(280,290)를 가압하는 경우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fth and
이상의 제3 내지 제6 쐐기(260,270,280,290)는 목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지만,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작함도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to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assembl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FIG.
먼저, 제3 및 제4 측판(210,220)을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하게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수평하게 좌판(230)을 눕혀 제3 및 제4 수평끼움홈(232,234)을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는 제3 및 제4 수평지지홈(212,222)에 끼운다.First, the third and fourth horizontal
이와 같이 제3 및 제4 측판(210,220)에 좌판(230)을 조립한 상태에서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하부 전단에 가로방향으로 받침판(240)을 눕혀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216,226)을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하부 전단에 형성되는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216,226)에 끼운다.In the state where the
이후 등받이판(250)을 수직으로 세워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214,224)에 등받이판(250)의 좌우 양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3 및 제4 수직끼움홈(252,254)을 끼워 조립하여 좌판(230)의 후단부를 등받이판(250)의 전면이 지지하도록 하여 좌판(2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그리고, 제3 및 제4 쐐기(260,270)의 제3 및 제4 끼움돌기(262,272)를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3 및 제4 삽입홈(215,225)에 끼워 삽입하며 계속해서 가압하여 제3 및 제4 쐐기몸체(261,271)를 제3 및 제4 고정홈(256,258)에 삽입하여 등받이판(250)이 상기 제3 및 제4 측판(210,22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The third and fourth
이후 제3 및 제4 측판(210,220)의 제5 및 제6 삽입홈(217,227)에 제5 및 제6 쐐기(280,290)를 측방향으로 삽입하여 받침판(240)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fifth an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under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책상 110: 제1 측판
120: 제2 측판 130: 상판
140: 후면판 150: 제1 쐐기
160: 제2 쐐기 200: 의자
210: 제3 측판 220: 제4 측판
230: 좌판 240: 받침판
250: 등받이판 260: 제3 쐐기
270: 제4 쐐기 280: 제5 쐐기
290: 제6 쐐기100: desk 110: first shroud
120: second side plate 130: top plate
140: rear plate 150: first wedge
160: second wedge 200: chair
210: third side plate 220: fourth side plate
230: seat plate 240:
250: backrest plate 260: third wedge
270: fourth wedge 280: fifth wedge
290: 6th wedge
Claims (11)
상기 제1 및 제2 측판에 후면판을 좌측 및 우측에서 고정하는 제1 및 제2 쐐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은 상부 후측에 가로방향으로 상판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평지지홈과 상기 후면판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이 교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에는 수평으로 상기 제1 및 제2 쐐기가 삽입 체결되는 제1 및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은 좌우 양측 전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수평지지홈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수평끼움홈이 전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은 좌우 양측 하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수직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끼움홈의 상측에 수평으로 제1 및 제2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disposed vertically side by sid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serve as legs of a desk; an upper plate horizontally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nd a rear plate assembled vertically,
And first and second wedges for fixing the rear plat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includ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pport grooves for supporting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rear sid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pport grooves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lat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pport grooves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wedges;
The upper plate has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itting grooves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pporting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t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he rear plate has first and second vertical fitting groov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itting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t both left and right lower ends thereof,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are formed horizontally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수직지지홈에 상기 후면판의 제1 및 제2 수직끼움홈을 끼우면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삽입홈에 상기 후면판의 제1 및 제2 고정홈이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 쐐기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itting grooves of the rear plate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pporting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wedges are position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edges are fitted together.
상기 제1 및 제2 쐐기는 제1 및 제2 쐐기몸체의 전방 양측으로 제1 및 제2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끼움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제1 및 제2 삽입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1 및 제2 쐐기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상.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edges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wedge bodie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ar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wing bodies of the first and second wing bodies, And the first and second wedge bodie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상기 제3 및 제4 측판에 등받이판을 좌측 및 우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제3 및 제4 쐐기와, 상기 제3 및 제4 측판에 받침판을 좌측 및 우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제5 및 제6 쐐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은 상부 후측에 가로방향으로 좌판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및 제4 수평지지홈과 상기 등받이판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이 교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에는 수평으로 상기 제3 및 제4 쐐기가 체결되는 제3 및 제4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은 좌우 양측 전단부에는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3 및 제4 수평지지홈에 끼워지는 제3 및 제4 수평끼움홈이 전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판은 좌우 양측 하단부에는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에 끼워지는 제3 및 제4 수직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수직끼움홈의 상측에 수평으로 제3 및 제4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3 및 제4 수직지지홈에 상기 등받이판의 제3 및 제4 수직끼움홈이 끼워지면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3 및 제4 삽입홈에 상기 등받이판의 제3 및 제4 고정홈이 위치하여 상기 제3 및 제4 쐐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rranged vertically side by sid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serve as legs of the chair, a seat plate horizontally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nd a backrest plate vertically assembled to the rear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Third and fourth wedges for fixing the backrest plat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nd fifth and sixth wedges for fixing the bottom plat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Respectively,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include third and fourth horizontal support grooves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upper rear side and third and fourth vertical support grooves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 plate,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grooves are formed horizontally with third and fourth insertion grooves to which the third and fourth wedges are fastened;
Third and fourth horizontal fitting grooves which are fitted to the third and fourth horizontal supporting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re formed in front of the left and right front side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Wherein the backrest plate has third and fourth vertical fitting grooves formed at left and right lower ends thereof to be fitted into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supporting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Third and fourth fixing grooves are formed horizontally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When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fitting grooves of the back plate are fitted in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supporting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the third and fourth insertion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nd the third and fourth fixing grooves of the plate are located, and the third and fourth wedges are coupled.
상기 제3 및 제4 쐐기는 제3 및 제4 쐐기몸체의 전방 양측으로 제3 및 제4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3 및 제4 끼움돌기가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3 및 제4 삽입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3 및 제4 쐐기몸체는 상기 제3 및 제4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hird and fourth wedges are formed with third and fourth fitting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wedge bodies and the third and fourth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third and fourth wing bodies of the third and fourth wing bodies, And the third and fourth wedge bodies are inserted into the third and fourth fixing grooves.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은 하부 전단에 가로방향으로 받침판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의 상측에는 제5 및 제6 쐐기가 삽입되는 제5 및 제6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은 좌우 양측 후단부에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에 끼워지는 제5 및 제6 수평끼움홈이 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및 제4 측판의 제5 및 제6 수평지지홈에 상기 받침판의 제5 및 제6 수평끼움홈을 끼우고 상기 제5 및 제6 삽입홈에 제5 및 제6 쐐기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ifth and sixth horizontal support grooves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l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formed on the lower front end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nd the fifth and sixth horizontal support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s of the fifth and sixth horizontal support grooves, Fifth and sixth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the six wedges are inserted are formed;
Fifth and sixth horizontal fitting grooves that are fitted in the fifth and sixth horizontal supporting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rear end portions of the receiving plate in a forward direction;
The fifth and sixth horizontal insertion grooves of the support plate are inserted into the fifth and sixth horizontal support grooves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and the fifth and sixth wedges are fitted into the fifth and sixth insertion grooves Wherein the chair comprises:
상기 제5 및 제6 쐐기는 일(-)자 형상으로 전단부의 단면적이 좁고 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사각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fth and sixth wedges are formed in a shape of a rectangl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of a front end portion and a wider sectional area toward a rear en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0635A KR101801228B1 (en) | 2015-10-06 | 2015-10-06 | Sectional table and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0635A KR101801228B1 (en) | 2015-10-06 | 2015-10-06 | Sectional table and chai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1343A KR20170041343A (en) | 2017-04-17 |
KR101801228B1 true KR101801228B1 (en) | 2017-11-27 |
Family
ID=5870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06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1228B1 (en) | 2015-10-06 | 2015-10-06 | Sectional table and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122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0820B1 (en) * | 2019-01-24 | 2019-10-10 |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 Eco-friendly sitting assistance apparatus for diy |
KR102060133B1 (en) | 2019-07-31 | 2020-02-11 | 주식회사 나이스인퍼스 | a prefabricated desk |
KR20200093124A (en) * | 2019-01-26 | 2020-08-05 | 주식회사 알파벳컴퍼니 | Sectionally bed frame using birch plywo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9430B1 (en) * | 2017-12-13 | 2020-03-17 | 아토디자인 주식회사 | a sectional chai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399Y1 (en) * | 2014-04-15 | 2014-09-17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Self-assembly Chair Kit |
-
2015
- 2015-10-06 KR KR1020150140635A patent/KR1018012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399Y1 (en) * | 2014-04-15 | 2014-09-17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Self-assembly Chair Kit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인터넷 블로그 http://mijjung84.blog.me/220304881831(2015.03.19.)*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0820B1 (en) * | 2019-01-24 | 2019-10-10 |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 Eco-friendly sitting assistance apparatus for diy |
KR20200093124A (en) * | 2019-01-26 | 2020-08-05 | 주식회사 알파벳컴퍼니 | Sectionally bed frame using birch plywood |
KR102197093B1 (en) * | 2019-01-26 | 2020-12-31 | 주식회사 알파벳컴퍼니 | Sectionally bed frame using birch plywood |
KR102060133B1 (en) | 2019-07-31 | 2020-02-11 | 주식회사 나이스인퍼스 | a prefabricated des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1343A (en) | 2017-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3493B1 (en) | Sectional desk | |
KR101801228B1 (en) | Sectional table and chair | |
US4140065A (en) | Modular furniture | |
US6675979B2 (en) | Furniture assembly system | |
US20140165289A1 (en) | Modular interlocking furniture system | |
KR101499874B1 (en) | Frame geometry of assembled table | |
KR20200062017A (en) | Fabricable Furniture | |
USD623445S1 (en) | Leg for workstation | |
KR101810743B1 (en) | Bracket for Assembling Furniture, Furniture and Assemble Method thereof | |
US2103552A (en) | Combined cabinet, table, and seat | |
KR20150002434U (en) | A Fabricated Table Using Mortise Joint | |
CN104545005B (en) | Multi-functional ecological furniture | |
KR20180027097A (en) | Multifunctional furniture | |
US20080011206A1 (en) | Furniture line comprised of a system | |
KR200475787Y1 (en) | Support for Assembly Type Furniture and Assembly Type Furniture Using The Same | |
CN204336246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ecological furniture | |
CN210249182U (en) | Bar stool convenien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 |
US5215361A (en) | Prefabricated frame for wood panel assembly | |
KR200475666Y1 (en) | A sectional chair | |
KR20100043589A (en) | Knocked down chair | |
KR200485428Y1 (en) | Multi-use variable furniture assembly | |
CN212815315U (en) | Detachable stool | |
JP4787193B2 (en) | System furniture with desk and bookshelf, and combination structure of desk and self-supporting bookshelf | |
KR102830201B1 (en) | height-adjustable structure for a table or chair | |
KR101562797B1 (en) | Kit for furni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