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83488B1 - 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 Google Patents

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488B1
KR102283488B1 KR1020170052531A KR20170052531A KR102283488B1 KR 102283488 B1 KR102283488 B1 KR 102283488B1 KR 1020170052531 A KR1020170052531 A KR 1020170052531A KR 20170052531 A KR20170052531 A KR 20170052531A KR 102283488 B1 KR102283488 B1 KR 102283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onnecting member
connection
wall
fix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9056A (en
Inventor
이수찬
오상준
이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2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488B1/en
Publication of KR2018011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0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48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제1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기판에 연결된 제1컨택트, 제1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1절연부 및 제1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제1절연부를 제1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되, 제1고정부는 제1절연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제1기판에 실장되는 제1실장부재, 플러그 커넥터가 연결된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및 제1실장부재와 제1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접속부재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서브접속부재 및 제2서브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제1서브접속부재의 제1접속면과 제2서브접속부재의 제2접속면 사이의 사잇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contact connected to a first substrate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g connector and a first substrate, a first insulator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are installed, and a first insulator in which the first insulator is provided to the first substrate. a first fixing part fixed to the , wherein the first fixing part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mounting member mounted on the first board, the second board to which the plug connector is connected, and the first board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o the plug connector, and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sub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o the plug connector; A receptacle connector for a board connector and a board connector comprising a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of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of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forms an obtuse angle.

Description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 connector installed in an electronic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boards.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기판 커넥터는,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In general, a connector is provided for various electronic devices for electrical connection. For example, the connector may be installed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computer, a tablet computer, and the like, and may electrically connect various components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to each other. A board connector is a connector which electrically connects a board|substrate and a board|substrat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복수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electrically connects a plurality of boards.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제1기판(100)에 연결되기 위한 제1컨택트(11), 상기 제1컨택트(11)가 복수개 결합된 제1절연부(12), 제2기판(200)에 연결되기 위한 제2컨택트(13), 및 상기 제2컨택트(13)가 복수개 결합된 제2절연부(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board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first contact 11 for connecting to a first board 100 , and a first insulating part 12 to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1 are coupled. ), a second contact 13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200 , and a second insulating portion 14 to which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tacts 13 are coupled.

상기 제1절연부(12) 및 상기 제2절연부(14)는 상기 제1컨택트(11) 및 상기 제2컨택트(12)가 서로 접속되도록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1컨택트(11) 및 상기 제2컨택트(12)가 서로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insulating part 12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14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러한 기판 커넥터(10)가 설치된 전자기기는, 최근 고성능을 갖추면서도 소형화 구현이 요구되어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기판 커넥터(10)에 고전류 인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Electronic devices in which such a board connector 10 is installed have recently been required to be miniaturized while having high performance. As a part of this, there are cases in which application of a high current to the board connector 10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applied electronic devic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상기 컨택트(11, 13)들만을 이용하여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현되므로, 고전류 인가에 따라 상기 컨택트(11, 13)들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가 증대되면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열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발열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컨택트(11, 13)들의 개수를 늘려서 허용전류를 증대시키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10)는 상기 컨택트(11, 13)들의 개수가 늘어난만큼 길이가 증대되므로, 전자기기의 소형화 구현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board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mplemented to apply current using only the contacts 11 and 13, when the current applied to each of the contacts 11 and 13 increas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a high current, The increase in temperature causes a heat problem.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allowable curren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contacts 11 and 13 in order to solve the heat problem,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reases in length as the number of the contacts 11 and 13 increases. , there is a problem that makes it difficult to implement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board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an increase in length while increasing an allowable current.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및 제1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에 연결된 제1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1절연부 및 상기 제1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를 상기 제1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 receptacle connector for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ct connected to the first boar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g connector and a first board, a first insulating par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first contacts, and the first insulating part It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to the first substrate.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절연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는 제1실장부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연결된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1실장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receptacle assembly for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part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is mounted on the first board, a first mounting member, a second board to which the plug connector is connected, and the first I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o the plug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oards, and a first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절연부의 상면(24c)에 형성된 상기 제1연결부재로부터 하측방향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제2서브접속부재(642)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receptacle assembly for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a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formed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first insulator; and a second sub-connection member 642 extending from the first sub-connection member 641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제2고정부에 접속되는 제1접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2고정부에 접속되는 제2접속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접속면과 상기 제1접속면 사이의 사잇각(Included Angle)이 둔각(鈍角)을 이루도록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receptacle assembly for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surface connected to a second fixing part of the plug connector, an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includes the second fixing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surface connected to, bu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such that an included angl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and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forms an obtuse angle.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제1기판에 연결되는 제1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1절연부; 상기 제1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를 상기 제1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 제2기판에 연결되는 제2컨택트; 상기 제2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2컨택트들과 상기 제1컨택트들이 서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에 조립되는 제2절연부; 및 상기 제2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절연부를 상기 제2기판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ct connected to a first board; a first insulator in which a plurality of the first contacts are installed; 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to fix the first insulating part to the first substrate; a second contact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a second insulating par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tacts and assembl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so that the second contacts and the first contac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to fix the second insulating part to the second substrat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컨택트 및 고정부 모두가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적인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both the contact and the fixing part are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hereby reducing the heat problem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a high current and reducing the overall length increase. It can contribute to the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while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컨택트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고정부를 이용하여 제1기판 및 제2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 개수를 늘릴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더 많은 개수의 단자가 필요한 고성능 전자기기 등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number of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can be increased by using a fixing part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contacts, so that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high-performance electronic devices requiring a larger number of terminal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ersatility applicable to

본 발명은 제1연결부재가 측벽의 상면을 덮으면서 제1실장부재 및 제1접속부재를 연결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제1축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성을 강화하여 제1절연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connect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whil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thereby strengthening the rigidity against external forc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to more stably protect the first insulating part can do.

본 발명은 제1접속부재의 제2서브접속부재가 제1서브접속부재로부터 제1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제2서브접속부재의 탄성 변위를 확보함과 동시에 높이 증가 없이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uch that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extends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thereby securing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the connection reliability and height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Connection stabi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복수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복수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 제1고정부, 및 제1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 제1고정부, 및 제1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 제2고정부, 및 제2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 제2고정부, 및 제2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접속되기 이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의 제1접속부재를 도 13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접속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도 13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제1접속부재 및 제2접속부재가 접속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고정부 및 제1기판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2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2고정부 및 제2기판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접속되기 이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접속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electrically connects a plurality of boards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ly connects a plurality of boards;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upl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tact, a first fixing part, and a first insulating part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tact, a first fixing part, and a first insulating part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first insulator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oupl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ntact, a second fixing part, and a second insulating part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ntact, a second fixing part, and a second insulating part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II of 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ixing part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first fixing part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connected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ion member of the first fixing part along the line II-II of FIG. 13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connected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connected based on the line II-II of FIG. 13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arts and a first substrate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fixing part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arts and a second substrate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ixing part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first fixing part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connected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fixing part and a second fixing part are connected in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포함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receptacle connector for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제1기판(100, 도 3에 도시됨) 및 제2기판(200, 도 3에 도시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기판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기판(100)은 인쇄회로기판(PCB)이고, 상기 제2기판(200)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00)이 연성회로기판(FPCB)이고, 상기 제2기판(200)이 인쇄회로기판(PCB)일 수도 있다.2 to 4 ,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such as a mobile phone, a computer, and a tablet computer.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oard 100 (shown in FIG. 3 ) and the second board 200 (shown in FIG. 3 ) in the electronic device.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be different types of substrates. For example, the first substrate 10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The first substrate 100 may be a flexible circuit board (FPCB),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기판(100)에 설치되는 제1절연부(2), 상기 제2기판(200)에 설치되는 제2절연부(3),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4),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5),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7)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절연부(2),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1고정부(6)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로 기능하고, 상기 제2절연부(3), 상기 제2컨택트(5)들, 및 상기 제2고정부(7)는 플러그(Plug) 커넥터로 기능할 수 있다.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sulating part 2 install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 a second insulating part 3 installed on the second substrate 200 , and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4 installed in the part 2,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5 installed i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and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 It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6) fixed to 100), and a second fixing part (7) fixing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o the second substrate (200).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2 , the first contacts 4 ,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6 function as a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3 , the second contact (5),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function as a plug connector.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절연부(3)는 상기 제2컨택트(5)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4)들은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5)들은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기판(2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5)들 및 상기 제1컨택트(4)들이 서로 접속되면,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은 상기 제2컨택트(5)들 및 상기 제1컨택트(4)들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것이다.The first insulating portion 2 supports the first contacts 4 . The second insulator 3 supports the second contacts 5 . The first contacts 4 are installed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second contacts 5 are install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200 . Accordingly, when the second contacts 5 and the first contacts 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s 5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tacts 4 . The first fixing part 6 is installed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fix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second fixing part 7 is install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o fix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o the second substrate 200 .

이하에서는 상기 제1절연부(2), 상기 제2절연부(3), 상기 제1컨택트(3), 상기 제2컨택트(5),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he first contact (3), the second contact (5),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high The government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컨택트(4)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절연부(2)에는 상기 제1컨택트(4)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4)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에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이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연부(2)에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2 to 7 ,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upports the first contact 4 . A plurality of the first contacts 4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In this case, the first contacts 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first contacts 4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2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first contacts 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while forming two rows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

상기 제1절연부(2)는 제1결합홈(21,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1)에는 상기 제1컨택트(4)가 설치된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결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결합홈(2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1)들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1결합홈(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part 2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groove 21 (shown in FIG. 6 ). The first contact 4 is install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21 . The first contact 4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1 to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The first contact 4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hrough insert molding. The first insulating part 2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first coupling grooves 21 . The first coupling grooves 2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rows.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2 may include the same number of first coupling grooves 21 as the number of the first contacts 4 .

상기 제1절연부(2)는 제1안착홈(22,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에 상기 제2절연부(3)가 조립되면, 상기 제1안착홈(22)에는 상기 제2절연부(3)가 삽입된다.The first insulating part 2 may include a first seating groove 22 (shown in FIG. 5 ). Whe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is assembl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is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groove 22 .

상기 제1절연부(2)는 안착돌기(23,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3)는 상기 제1안착홈(2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돌기(23)는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배치된 제1결합홈(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3)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제1안착홈(22)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3)는 상기 제1결합홈(21)에 설치된 제1컨택트(4)를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part 2 may include a seating protrusion 23 (shown in FIG. 5 ). The seating protrusion 23 is formed to be located inside the first seating groove 22 . The seating protrusion 23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grooves 21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The seating protrusion 23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groove 22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support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The seating protrusion 23 may support the first contact 4 install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21 .

상기 제1절연부(2)는 복수개의 측벽(24,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24)들의 내측에는 상기 제1안착홈(22) 및 상기 안착돌기(2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벽(24)들은 각각 외측면(24a), 내측면(24b), 및 상면(2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24a)은 상기 측벽(24)들 각각에서 바깥쪽을 향하는 면(面)이다. 상기 내측면(24b)은 상기 측벽(24)들 각각에서 안쪽을 향하는 면으로, 상기 제1안착홈(22)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상면(24c)은 상기 외측면(24a) 및 상기 내측면(24b)의 사이에 위치한 면으로, 상기 측벽(24)들 각각의 윗면에 해당한다.The first insulating portion 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dewalls 24 (shown in FIG. 5 ). The first seating groove 22 and the seating protrusion 23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sidewalls 24 . The sidewalls 24 may include an outer surface 24a, an inner surface 24b, and an upper surface 24c, respectively. The outer surface 24a is an outward-facing surface on each of the sidewalls 24 . The inner surface 24b is a surface facing inward from each of the side walls 24 , and is a surface facing the first seating groove 22 . The upper surface 24c is a surface loc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24a and the inner surface 24b, and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sidewalls 24 .

상기 제1절연부(2)는 제1전측벽(241) 및 제1후측벽(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안착홈(22)은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은 각각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portion 2 may include a first front side wall 241 and a first rear side wall 242 .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and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first seating groove 2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and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and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상기 제1절연부(2)는 제1좌측벽(243) 및 제1우측벽(2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은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안착홈(22)은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좌측벽(243)의 양측은 각각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에 결합된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우측벽(244)의 양측은 각각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에 결합된다.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은 각각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portion 2 may include a first left wall 243 and a first right wall 244 . The first left wall 243 and the first right wall 24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Based o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first seating groove 2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eft wall 243 and the first right wall 244 . Both sides of the first left side wall 243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and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based o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both sides of the first right wall 244 are coupled to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and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 respectively. The first left wall 243 and the first right wall 244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상기 제1전측벽(241), 상기 제1후측벽(242),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측벽(241), 상기 제1후측벽(242),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은 사각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전측벽(241), 상기 제1후측벽(242),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에 있어서, 전(前), 후(後), 좌(左), 우(右)는 각 구성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 the first left side wall 243 , and the first right side wall 244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is case,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 the first left side wall 243 , and the first right side wall 244 may form a quadrangular ring shape. In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 the first left side wall 243 , and the first right side wall 244 , front, rear, and left (左) and right (右) are for distinguishing each configura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at it does not indicate a specific direction.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2절연부(3)는 상기 제2컨택트(5)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절연부(3)에는 상기 제2컨택트(5)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5)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3)에는 상기 제2컨택트(5)들이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절연부(3)에는 상기 제2컨택트(5)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2 to 9 ,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supports the second contact 5 .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5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In this case, the second contacts 5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3 , the second contacts 5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row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 the second contacts 5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while forming two rows i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

상기 제2절연부(3)는 제2결합홈(31,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31)에는 상기 제2컨택트(5)가 설치된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2결합홈(3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절연부(3)는 상기 제2결합홈(3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31)들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3)는 상기 제2컨택트(5)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2결합홈(31)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sulating part 3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groove 31 (shown in FIG. 9 ). The second contact 5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31 . The second contact 5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1 . The second contact 5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hrough insert molding.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s 31 . The second coupling grooves 3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rows.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3 may include the same number of second coupling grooves 31 as the number of the second contacts 5 .

상기 제2절연부(3)는 제2안착홈(32,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3)가 상기 제1절연부(2)에 조립되면, 상기 제2안착홈(32)에는 상기 안착돌기(2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홈(32)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배치된 제2결합홈(3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insulating part 3 may include a second seating groove 32 (shown in FIG. 8 ). Whe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is assembl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the seating protrusion 23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eating groove 32 . The second seating grooves 32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coupling grooves 31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가 설치된 제1절연부(2)에 상기 제2컨택트(5)가 설치된 제2절연부(3)가 조립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에 상기 제2절연부(3)가 조립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컨택트(4)가 설치된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컨택트(5)가 설치된 제2절연부(3)는,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in which the second contact 5 is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n which the first contact 4 is installed. ) can be implemented by assembling. In this case, by mo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may be assembl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insulating part 2 on which the first contact 4 is installed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on which the second contact 5 is installed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기판(1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00)에 연결된 제1컨택트(4)는, 상기 제2기판(200)에 연결된 제2컨택트(5)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2 to 10 , the first contact 4 is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00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first contact 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00 by being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first contact 4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5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200 , so that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are connected. )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first contact 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상기 제1컨택트(4)는 제1컨택접속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41)는 상기 제2컨택트(5)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41)가 상기 제1안착홈(22)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절연부(2)에 상기 제1컨택트(4)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열을 이루는 제1컨택트(4)들은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41)가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안착돌기(2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안착돌기(23) 각각에는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41)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열을 이루는 제1컨택트(4)들은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41)가 상기 제1우측벽(244) 및 상기 안착돌기(2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우측벽(244) 및 상기 안착돌기(23) 각각에는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41)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4 may include a first contact connecting member 41 . The first contact connecting member 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5 . The first contact 4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contact connecting member 41 is position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22 .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acts 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while forming two rows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he first contacts 4 forming a single row The contacts 4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contact connecting member 41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eft wall 243 and the seating protrusion 23 .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connection member 41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left wall 243 and the seating protrusion 23 . The first contacts 4 constituting the other row have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2 so that the first contact connecting member 41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ight wall 244 and the seating protrusion 23 . can be installed on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connecting member 41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right wall 244 and the seating protrusion 23 .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41)에는 컨택홈(411, 도 10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컨택홈(411)이 상기 제1안착홈(22)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2컨택트(5) 간의 접속은, 상기 제2컨택트(5)가 상기 컨택홈(411)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택홈(411)에 상기 제2컨택트(5)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컨택트(5)의 양측이 각각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4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2컨택트(5)가 2점 접촉구조로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의해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2컨택트(5)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2컨택트(5)가 접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耐力)을 증대시킴으로써,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컨택홈(411)이 상기 제2컨택트(5)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5)가 설치된 제2절연부(3)가 리셉터클 커넥터로 기능하고, 상기 제1컨택트(4)가 설치된 제1절연부(2)는 플러그 커넥터로 기능할 수 있다.A contact groove 411 (shown in FIG. 10 )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tact connecting member 41 . The first contact 4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contact groove 411 is loc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22 .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tact 4 and the second contact 5 may be made by inserting the second contact 5 into the contact groove 411 . When the second contact 5 is inserted into the contact groove 411 , both sides of the second contact 5 are formed by the first contact connecting member 41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respectively. ) can be connected. 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uch that the first contact 4 and the second contact 5 are connected in a two-point contact structure, so that the first contact 4 is caused by vibration, shaking, etc. ) and the second contact 5, even when at least one flows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first contact 4 and the second contact 5 are maintained in a connected state. can Therefor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vibration, shaking, and the like. Although not shown, the contact groove 41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tact 5 . In this case,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3 provided with the second contact 5 may function as a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first insulation portion 2 with the first contact 4 may function as a plug connector. .

상기 제1컨택트(4)는 제1컨택실장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42)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42)가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42)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절연부(2)에 상기 제1컨택트(4)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열을 이루는 제1컨택트(4)들은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42)가 상기 제1좌측벽(243)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열을 이루는 제1컨택트(4)들은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42)가 상기 제1우측벽(24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4 may include a first contact mounting member 42 . The first contact mounting member 42 i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first contact 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00 by mounting the first contact mounting member 42 on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first contact 4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contact mounting member 42 protrudes outside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acts 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while forming two rows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he first contacts 4 forming a single row The contacts 4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contact mounting member 42 protrudes outside the first left wall 243 . The first contacts 4 constituting the other row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contact mounting member 42 protrudes outside the first right wall 244 .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2기판(2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2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200)에 연결된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기판(100)에 연결된 제1컨택트(4)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2 to 11 , the second contact 5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200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second contact 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200 by being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second contact 5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4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00 , so that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are connected. )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second contact 5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제2컨택트(5)는 제2컨택접속부재(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51)는 상기 제1컨택트(4)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51)는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41)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51)는 상기 컨택홈(4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41)에 접속될 수 있다.The second contact 5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connecting member 51 . The second contact connecting member 5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4 . The second contact connection member 5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connection member 41 . The second contact connection member 5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connection member 41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tact groove 411 .

상기 제2컨택트(5)는 제2컨택실장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52)는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52)가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econd contact 5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mounting member 52 . The second contact mounting member 52 is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second contact 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200 by mounting the second contact mounting member 52 on the second substrate 200 .

도 2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1고정부(6)를 통해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2 to 12 , the first fixing part 6 fixes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first fixing part 6 is installed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The first fixing part 6 is fixed to the first substrate 100 by being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Accordingly, the first fixing part 6 may fix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the first substrate 100 . 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area mounted on the first board 100 through the first contacts 4 and the first fixing part 6 is increased, so that the first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insulating part 2 to the first substrate 100 may be increased.

상기 제1고정부(6)는 제1실장부재(61,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한다.The first fixing part 6 includes a first mounting member 61 (shown in FIG. 5 ).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실장부재(6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 thereby implementing a fixing function of fixing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first fixing part 6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Accordingly,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be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실장부재(6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고정부(6)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약한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제1실장부재(61)에 의해 상기 외측면(24a)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61)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전측벽(241)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후측벽(24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The first fixing part 6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covers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Accordingly, even i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weaker strength than that of the first fixing part 6 , the outer surface 24a is formed by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 can be protected. 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risk of damage or damage to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by using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use process. can For example,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외측면(24a)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2)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실장부재(6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실장부재(61)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져서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sized to cover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24a.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n the third axial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this case, when 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fixing part 6 is attach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protrudes below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can be installe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a whole. The first fixing part 6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erected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third axial direction (Z-axis direction).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제1고정홈(25, 도 7에 도시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25)은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측벽(24)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24)의 외측면(24a)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장부재(61)가 상기 제1고정홈(25)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면,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고정홈(25)이 형성된 측벽(24)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25 (shown in FIG. 7 )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The first fixing groove 25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surface 24a of at least one sidewall 24 among the sidewalls 24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Accordingly, when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25 and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dispos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25 . ),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2 may be fixed to the first substrate 100 by supporting the formed sidewall 24 . 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increasing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the first board 100 ,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resistance to vibration, shaking, and the like.

예컨대, 상기 제1실장부재(61)가 상기 제1전측벽(241)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홈(25)은 상기 제1전측벽(241)의 외측면(24a)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고정홈(25)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전측벽(241)을 지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dispos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the first fixing groove 25 is formed on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It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24a. In this case,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25 and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to support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도 2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1고정부(6)는 제1접속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2 to 16 , the first fixing part 6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64 .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상기 제1기판(100)과 상기 제2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2고정부(7)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속부재(64)가 상기 제2기판(200)에 연결된 제2고정부(7)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은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를 통해 상기 제2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고정부(7)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과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64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A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first substrate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200 through the fixing part 7 . Accordingly, the first fixing part 6 i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to implement a fixing function of fixing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the first substrate 100 as well as to implement the first fixing function. As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nduction func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가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접속부재(64)가 상기 제1안착홈(22)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uch that the first fixing part 6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oard 100 and the second board 200, thereby reducing the total allowable current.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heat problem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high current and is implemented to apply high current in a compact structur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devices and at the same time It can contribute to further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The first fixing part 6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The first fixing part 6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is position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22 .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돌출부재(611), 상기 제1구속부재(62), 및 상기 제1연결부재(65)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fixing part 6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volume than each of the first contacts 4 .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part 6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611 , the first constraining member 62 ,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so that the first contact ( 4) can be formed in a larger volume compared to each of the above. Accordingly, the first fixing part 6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larger allowable current than each of the first contacts 4 . Therefor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를 통해 전체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First,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further increase the total allowable current through the first fixing part 6, so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heat problem caused by high current applic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reduce the high current It is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applied, and it can contribute to furthe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devices.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4)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전체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 증대를 더 감소시킴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sinc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crease the total allowable current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first contacts 4 through the first fixing part 6, the first axial direction ( By further reducing the length increase in the X-axis direc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a compact structure. 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further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as well as improve applicability to miniaturized electronic devices.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가 갖는 허용전류를 증대시킴으로써, 전자기기에서 요구되는 전체 허용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4)의 개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의 개수 감소를 통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감소시켜서 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의 개수 감소를 통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Third,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first fixing part 6 ,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first contacts 4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tal allowable current required in the electronic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In this cas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re compact structure by reducing the length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the first contacts 4 . . In addition, sinc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the first contacts 4 , product competitiveness can be strengthened.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가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이 인가하는 전류에 비해 더 큰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부(6)가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고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은 상기 제1고정부(6)에 비해 저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가 3A(Ampere)의 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이 0.3A의 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를 전원(Power)을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을 신호(Signal)를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를 신호를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1컨택트(4)들 중에서 일부의 제1컨택트(4)들을 전원을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first fixing part 6 applies a larger current than the current applied by each of the first contacts 4 . That is, the first fixing part 6 may take charge of a function of applying a higher current than each of the first contacts 4 . Each of the first contacts 4 may serve to apply a lower current than that of the first fixing part 6 . For example,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part 6 is responsible for applying a current of 3A (Ampere), and each of the first contacts 4 receives a current of 0.3A. It can be implemented to take charge of the function to authorize. In this case,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part 6 is used to apply power, and each of the first contacts 4 is used to apply a signal. can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part 6 is used to apply a signal, and some of the first contacts 4 among the first contacts 4 may be used to apply power. there is.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제1서브접속부재(641, 도 13에 도시됨) 및 제2서브접속부재(642, 도 1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may include a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shown in FIG. 13 ) and a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shown in FIG. 13 ).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각각 상기 제2고정부(7)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2고정부(7)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2점 접촉구조로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유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를 통해 상기 제1고정부(6)가 갖는 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가 갖는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져서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portions of the second fixing part 7 . 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in a two-point contact structure, so that the first high Even when at least one of the top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flows,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maintained in a connected state. Therefor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vibration, shaking,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volume of the first fixing part 6 through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fixing part (6). The first fixing part 6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are erected and disposed in parallel to the third axis direction (Z axis direction). It may be installed in the insulating part (2).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3개 이상의 서브접속부재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3점 이상의 접촉구조로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가 갖는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4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three or more sub-connection members. In this cas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in a contact structure of three or more points, so that resistance to vibration, shaking, etc.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first fixing part 6 may be further increased by further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first fixing part 6 .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에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2고정부(7)에 밀려서 탄성적으로 이동한 후에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고정부(7)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에 접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 In this case,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to be elas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 Accordingly, while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is pushed by the second fixing part 7 and moves elastically. After that, the second fixing part 7 can be elastically pressed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Therefore,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connecting for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7) Inter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The first fixing part 6 is the first insulating part so that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can be installed in part (2). That is, the second sub-connection member 64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sub-connection member 641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가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에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탄성 변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가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가 탄성적으로 이동하기 위한 탄성 변위 확보를 위해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는 소정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저배화를 구현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가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쪽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X-Y 평면 상에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의 길이 증가 없이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is connected to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to increase the elastic displacement that is elastically movable, so that the first high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top and bottom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can be further improved. That i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is elastic for elastic movement. Since the first sub-connection member 641 has to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with respect to the third axial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order to secure displacement,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lower height. 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extends from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toward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is formed on the XY plane. Since it is elastically movable,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can be improved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in the third axial direction (Z-axis direction).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는 제1접속면(6411, 도 1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면(6411)은 상기 제2고정부(7)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제2접속면(6421, 도 1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면(6421)은 상기 제2고정부(7)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접속면(6421) 및 상기 제1접속면(6411)은 상기 제2고정부(7)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되기 이전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2접속면(6421) 및 상기 제1접속면(6411) 사이의 사잇각(Included Angle)(642a)이 둔각(鈍角)을 이루도록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2고정부(7)에 밀려서 이동한 후에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고정부(7)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641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surface 6411 (shown in FIG. 14 ).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6411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ng surface 6421 (shown in FIG. 14 ).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64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6421 and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6411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portions of the second fixing part 7 . As shown in FIG. 13, in a state before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14,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is An included angle 642a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6421 and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641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641 to form an obtuse angle.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15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6,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is After being pushed and moved by the second fixing part 7 ,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elastically pressed by using a restoring forc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서로 멀어지도록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가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7)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를 통해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동할 수 있는 거리가 증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동할 수 있는 거리가 증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connecting force between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fixing parts 7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flow away from each other due to vibration, shaking, etc.,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 642 is moved toward the second fixing part 7 by the restoring force. Therefor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low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 By being implemented to increase the d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from being released due to vibration, shaking, or the like.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is attached to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so as to be elas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based o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axis direction). can be combined. In this cas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based o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It may be implemented to increase the movable distance.

도 2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제1접속돌기(643,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2 to 16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rotrusion 643 (shown in FIG. 14 ).

상기 제1접속돌기(643)는 상기 제2고정부(7)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상기 제1접속돌기(643)를 통해 상기 제2고정부(7)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643)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접속돌기(643)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또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643)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 모두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2개의 제1접속돌기(6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643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643 .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643 may protrude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643 may protrude from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or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643 may protrude from both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may include two first connecting protrusions 643 .

상기 제1접속돌기(643)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643)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면서 끝단이 첨단(尖端)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size of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643 may decrease as it protrudes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643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ize decreases as it protrudes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and the end forms a tip. . 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접속돌기(643)의 일부가 상기 제2고정부(7)에 박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돌기(643)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에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접속돌기(643)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a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643 is the second high It can be implemented to be embedded in the government 7 . 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forc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643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can be increased, and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643 and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s 7 may be improved.

둘째, 상기 제1접속돌기(643)는 상면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7)가 설치된 제2절연부(3)가 상기 제1고정부(6)가 설치된 제1절연부(2)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돌기(643)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간의 조립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가 오정렬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접속돌기(643)가 이루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절연부(3)가 오정렬된 상태로 상기 제1절연부(2)에 조립될 가능성을 더 줄임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와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컨택트(4)와 상기 제1컨택트(4)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643)는 상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Second,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643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forms an inclined surface.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installed with the second fixing part 7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having the first fixing part 6 installed,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1), the assembly position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may be guided by using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643 . Whe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are moved in a misaligned stat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is the first This is because the connection protrusion 643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and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moves. Therefor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duces the possibility that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is assembl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n a misaligned state,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6 is It is possible not only to further improve the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 but also to further improve the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first contact 4 and the first contact 4 . there is.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643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an upper surface thereof forms a curved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6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64)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64)들은 상기 제1안착홈(2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64)들은 각각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4 .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first seating groove 2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4 may include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 respectively.

도 2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1고정부(6)는 제1연결부재(65,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2 to 16 , the first fixing part 6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65 (shown in FIG. 11 ).

상기 제1연결부재(65)는 상기 제1실장부재(61) 및 상기 제1접속부재(64)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재(65)는 상기 제1실장부재(61) 및 상기 제1접속부재(64)의 사이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61) 및 상기 제1접속부재(64)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64)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연결부재(65)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65), 상기 제1접속부재(64),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is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between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 ca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1연결부재(65), 상기 제1접속부재(64),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측벽(24)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고정부(6)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약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1연결부재(65), 상기 제1접속부재(64),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에 의해 상기 측벽(24)이 보호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연결부재(65)는 상기 측벽(24)의 상면(24c)을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상기 측벽(24)의 내측면(24b)을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측벽(24)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sidewall 24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 Accordingly, even i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s made of a relatively weaker material than that of the first fixing part 6,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and The side wall 24 may be protected by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side wall 24 ,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is installed to cover the inner surface 24b of the side wall 24 . installed,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install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side wall 24 .

상기 제1접속부재(64)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측벽(24) 중에서 서로 다른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전측벽(241)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24b)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전측벽(241)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후측벽(242)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24b)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후측벽(24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positioned on different sidewalls among the sidewalls 24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4 is position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left wall 243 and the first right wall 244 ,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positioned on the first front wall 241 . ) can be located.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4 is formed to cover the inner surface 24b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left wall 243 and the first right wall 244 ,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 61 ) is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Alternativel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4 is position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left wall 243 and the first right wall 244 ,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disposed on the first rear wall 242 . ) can be located.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4 is formed to cover the inner surface 24b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left wall 243 and the first right wall 244 ,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 61 ) is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

상기 제1접속부재(64)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가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측벽(24) 중에서 서로 다른 측벽(24)에서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65)는 상기 제1접속부재(64)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복수개의 측벽(24)의 상면(24c)에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are installed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on different side walls 24 among the side walls 24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is a top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idewalls 24 of the first insulator 2 so as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 (24c) may be install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연결부재(65)가 복수개의 측벽(24)의 상면(24c)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대한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65)가 상기 제1접속부재(64)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측벽(24)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형성된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제2절연부(2)가 삽입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홈(22)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하는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65)는 외력에 거의 저항하지 못하고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외력에 대해 상기 제1연결부재(65)가 저항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복수개의 측벽(24)의 상면(24c)에 상기 제1연결부재(65)를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력에 대한 강성을 강화하여 상기 제1절연부(2)를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is dispos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plurality of sidewalls 24, so that the upper surface ( 24c), as well as strengthening the rigidity against external forces.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is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s 24a of the plurality of sidewalls 24 in order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utside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first seating groove 22 when the second insulating part 2 is inserted, the first connection The member 65 hardly resists an external force and may be deformed in shape. 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plurality of sidewalls 24 of the first insulator 2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can resist external force. By form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protect the first insulating part 2 by strengthening the rigidity against the external force.

상기 제1접속부재(64)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65)는 상기 제1접속부재(64)들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연부(2)의 측벽(24) 중 서로 결합된 3개의 측벽(24)의 상면(24c)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연결부재(65)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에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is formed in pluralit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is the first insulating member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4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to each other. It may be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24c of three sidewalls 24 coupled to each other among the sidewalls 24 of the part 2 .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digit on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을 덮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에 대한 보호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실장부재(61)가 상기 제1전측벽(241)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64)들이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65)는 상기 제1전측벽(241),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의 상면(24c)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실장부재(61)가 상기 제1우측벽(242)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64)들이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65)는 상기 제1후측벽(242),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의 상면(24c)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65)는 상기 제1전측벽(241)의 상면(24c) 또는 상기 제1후측벽(242)의 상면(24c)을 모두 덮고 상기 제1좌측벽(243)의 상면(24c)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의 상면(24c)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first fixing part 6 covering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t is possi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protective function of the upper surface (24c). For example,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installed on the first front wall 241 ,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4 are installed on the first left wall 243 and the first right wall 244 . When install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may be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the first left side wall 243 , and the first right side wall 244 . can Alternatively,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installed on the first right wall 242 ,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64 are attached to the first left wall 243 and the first right wall 244 . When install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may be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first rear wall 242 , the first left wall 243 , and the first right wall 244 . ca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covers both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or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ft side wall 243 ( 24c) an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first right wall 244 may be formed to extend.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에 비해 상기 제1전측벽(241)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에 비해 상기 제1전측벽(241)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as to be disposed farther from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than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 can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may be formed 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to be disposed farther from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than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의 제1접속면(641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의 제2접속면(6421) 사이의 사잇갓(642a)이 둔각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안착홈(22)에 대해 더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에 형성된다. 상기 외측방향은 상기 제1안착홈(22)에서 상기 제1전측벽(241)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gap shade 642a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6411 of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641 and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6421 of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is Because of the obtuse angle,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is positioned more i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seating groove 22 as it goes outward from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 (641) is formed. The outward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from the first seating groove 22 toward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상기 제1접속부재(64)가 복수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64)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64)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4 are included,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s 641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4 are based o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5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s 642 included 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64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at the sam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can be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들이 상기 제2고정부(7)를 사이에 두고 양 쪽에서 상기 제2고정부(7)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에 접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s 642 are formed from both sides with the second fixing part 7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elastically pressed. Therefore,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connecting for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7) Inter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고정부(6)가 복수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에 비해 상기 제1후측벽(242)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방향은 상기 제1안착홈(22)에서 상기 제1후측벽(242)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a plurality of the first fixing parts 6 are included,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641 is farther from the first rear wall 242 than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 It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as to be arranged. The outward direction may refer to a direction from the first seating groove 22 toward the first rear wall 242 .

도 5, 도 6, 도 11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제1가이드부재(644,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5, 6, and 11 to 16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4 may include a first guide member 644 (shown in FIG. 11 ).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는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간의 조립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는 상기 제1연결부재(65) 및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를 통해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 및 상기 제1연결부재(6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member 644 guides an assembly position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The first guide member 644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and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 In this case,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through the first guide member 644 .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guide member 644 through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 The first guide member 644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는 곡률중심이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와 상기 제1연결부재(65)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7)가 설치된 제2절연부(3)가 상기 제1고정부(6)가 설치된 제1절연부(2)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간의 조립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가 오정렬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가 이루는 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절연부(3)가 오정렬된 상태로 상기 제1절연부(2)에 조립될 가능성을 더 줄임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와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컨택트(4)와 상기 제2컨택트(5)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guide member 644 may have a curved surface such that a center of curvature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installed with the second fixing part 7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having the first fixing part 6 installed,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1), an assembly position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may be guided by using the first guide member 644 . Whe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are moved in a misaligned stat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is the first This is because the guide member 644 moves along the curved surface, and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moves. Therefor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duces the possibility that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is assembl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n a misaligned state,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6 is It is possible not only to further improve the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 but also to further improve the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first contact 4 and the second contact 5 . there is.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65)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간의 조립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를 이용하여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간의 조립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1절연부(2)에 조립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및 정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guide member 644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to protrude from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guide member 644 may be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based o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guide member 644 may guide the assembly position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based o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 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by using the first guide member 644 are used. By being implemented to guide the assembly position between the insulating part 2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he ease of assembling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nd Accuracy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고정부(6)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약한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의해 상기 상면(24c) 및 내측면(24b)이 보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를 통해 상기 제1고정부(6)가 갖는 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가 갖는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rst guide member 644 may be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24c and the inner surface 24b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The first fixing part 6 is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guide member 644 covers the upper surface 24c and the inner surface 24b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can be Accordingly, the first guide member 644 may protect the upper surface 24c and the inner surface 24b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Therefore, even i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s made of a relatively weaker material than that of the first fixing part 6, the upper surface 24c and the inner surface 24b are formed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can be protected. 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24c and the inner surface 24b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re formed by using the first guide member 644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use process. It can reduce the risk of damage or breakage. In additio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volume of the first fixing part 6 through the first guide member 644 , thereby increasing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first fixing part 6 . can be increased

상기 제1접속부재(64)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는 상기 제1우측벽(244)의 상면(24c)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65)에 연결되어 상기 제1우측벽(244)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우측벽(244)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 및 상기 제1연결부재(6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우측벽(244)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 및 상기 제1연결부재(65)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는 상기 제1좌측벽(243)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좌측벽(243)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 및 상기 제1연결부재(6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좌측벽(243)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644) 및 상기 제1연결부재(65)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is formed in plurality, the first guide member 644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24c of the first right wall 244 to It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24c and the inner surface 24b of the first right wall 244 . In this case, the first right wall 244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guide member 644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 The first fixing part 6 is connect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by inserting the first right wall 244 inside the first guide member 644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It can be fixedly installed. The first guide member 644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24c and the inner surface 24b of the first left wall 243 . In this case, the first left wall 243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guide member 644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 The first fixing part 6 is connect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by inserting the first left wall 243 inside the first guide member 644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It can be fixedly installed.

도 5, 도 6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고정부(6)는 제1서브실장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5, 6 and 11 , the first fixing part 6 may include a first sub-mounting member 66 .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기판(100)의 서로 다른 부분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가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더 늘림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가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를 통해 상기 제1고정부(6)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가 갖는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i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mounted on different portions of the first substrate 100 . 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area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6 i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is further increased,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6 is the first fixing part 6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the first substrate 100 may be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reases the volume of the first fixing part 6 through 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 thereby allowing the first fixing part 6 to have an allowance. The current can be further increased.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기 제1연결부재(65)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기 제1연결부재(65)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may be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11 , 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The first fixing part 6 is attach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2 so that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are located outside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can be installed.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고정부(6)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약한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에 의해 상기 외측면(24a)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기 제1우측벽(244)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기 제1좌측벽(243)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Accordingly, even i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s made of a relatively weaker material than that of the first fixing part 6 , the outer surface 24a is protected by 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 can be Therefor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risk of damage or damage to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by using 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use process. can be reduced For example, 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right wall 244 . 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left wall 243 .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 및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에서 서로 다른 부분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덮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에 대한 보호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may be disposed to cover different portions of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covering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s increased, so that the first insulating part ( 2) the protective function for the outer surface (24a) can be further strengthened.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제1서브고정홈(26, 도 7에 도시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은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측벽(24)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24)의 외측면(24a)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가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면,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이 형성된 측벽(24)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 및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ub fixing groove 26 (shown in FIG. 7 )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The first sub fixing groove 26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surface 24a of at least one sidewall 24 among the sidewalls 24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Accordingly, when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b fixing groove 26 and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b fixing groove 26 . The first insulating part 2 may be fixed to the first substrate 100 by supporting the side wall 24 on which the fixing groove 26 is formed. 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s connected to the first board 100 using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and the first sub fixing groove 26 . By further increasing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o the ,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resistance to vibration, shaking, and the like.

예컨대,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가 상기 제1우측벽(244)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은 상기 제1우측벽(244)의 외측면(24a)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우측벽(244)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우측벽(244)에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is dispos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right wall 244 , the first sub fixing groove 26 is formed in the first right wall 244 . )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24a. In this case,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ub fixing groove 26 and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to support the first right wall 244 . A plurality of first sub fixing grooves 26 may be formed in the first right wall 244 .

예컨대,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가 상기 제1좌측벽(243)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은 상기 제1좌측벽(243)의 외측면(24a)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좌측벽(243)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벽(243)에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is dispos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24a of the first left wall 243 , the first sub fixing groove 26 is formed in the first left wall 243 . )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24a. In this case,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ub fixing groove 26 and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to support the first left wall 243 . A plurality of the first sub fixing grooves 26 may be formed in the first left wall 243 .

여기서, 상기 제1서브고정홈(26) 및 상기 제1고정홈(25)은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측벽(24)들 중에서 서로 다른 측벽(24)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이 제1우측벽(244) 및 상기 제1좌측벽(243)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홈(25)은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에 삽입되어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61)는 상기 제1고정홈(25)에 삽입되어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ub fixing groove 26 and the first fixing groove 25 may be formed on different sidewalls 24 among the sidewalls 24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 For example, when the first sub fixing groove 26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ight wall 244 and the first left wall 243 , the first fixing groove 25 is the first front wall It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241 and the first rear wall 242 . In this case, 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b-fixing groove 26 and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so that the first insulating part 2 is moved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25 and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so that the first insulating part 2 moves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flow can be prevented.

도 3, 도 6, 및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6, and 17 ,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first fixing parts 6 .

상기 제1고정부(6)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2)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전측벽(241)에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부(6)가 설치되고, 상기 제1후측벽(242)에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부(6)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측벽(241)에 설치된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1후측벽(242)에 설치된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s 6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first fixing parts 6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insulating part 2 to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2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For example, at least one first fixing part 6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and at least one first fixing part 6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 In this case, the first fixing part 6 installed on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and the first fixing part 6 installed on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ar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may be formed in a form symmetrical to each other based on .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 각각에는 상기 제1고정부(6)가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6)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고정부(6a)는 상기 제1기판(100)에 대해 입력단자로 기능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1고정부(6b)는 상기 제1기판(100)에 대해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 각각에 하나씩의 제1고정부(6)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고정부(6)들은 각각 상기 제1실장부재(61) 및 상기 제1접속부재(64)를 복수개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One of the first fixing parts 6 may be installed on each of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and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7 , any one of the first fixing parts 6a functions as an input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strate 100 , and the other first fixing part 6a functions as an input terminal for the first substrate 100 , as shown in FIG. 17 . The first fixing part 6b may function as an output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strate 100 . When one first fixing part 6 is installed on each of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and the first rear side wall 242 , the first fixing parts 6 are respectively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 )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lurality of.

도 3, 도 8, 도 9, 도 15, 및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5)들 및 상기 제2고정부(7)를 통해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3 , 8 , 9 , 15 , and 18 , the second fixing part 7 fixes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o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second fixing part 7 is install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The second fixing part 7 is fixed to the second substrate 200 by being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200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Accordingly,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fix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o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refore,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area mounted on the second board 200 through the second contacts 5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is increased, so that the second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insulating part 3 to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be increased.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실장부재(71, 도 1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7 may include the second mounting member 71 (shown in FIG. 15 ).

상기 제2실장부재(71)는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실장부재(71)는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실장부재(71)가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실장부재(71)는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될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member 71 is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second mounting member 71 is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reby implementing a fixing function of fixing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o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so that the second mounting member 71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Accordingly, the second mounting member 71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o be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200 .

도 3, 도 8, 도 9, 도 15, 및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제2고정부(7)는 제2접속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3 , 8 , 9 , 15 , and 18 ,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ng member 72 .

상기 제2접속부재(72)는 상기 제1기판(100)과 상기 제2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고정부(6)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접속부재(72)가 상기 제1기판(200)에 연결된 제1고정부(6)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2기판(200)은 상기 제2고정부(7) 및 상기 제1고정부(6)를 통해 상기 제1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고정부(6)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과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member 72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6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As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72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6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200 , the second substrate 2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and the first substrate 200 .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100 through the fixing part 6 . Accordingly, the second fixing part 7 is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200 to implement a fixing function of fixing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o the second substrate 200 as well as the second substrate 200 . As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6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nduction func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고정부(7)가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접속부재(72)가 상기 제2안착홈(32)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uch that the second fixing part 7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thereby reducing the total allowable current.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heat problem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high current and is implemented to apply high current in a compact structur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devices and at the same time It can contribute to further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so that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2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32 .

상기 제2접속부재(72)는 상기 제1기판(100)과 상기 제2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접속부재(64)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접속부재(72)가 상기 제2안착홈(32)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64)가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2접속부재(72)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2점 접촉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유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member 7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4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so that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2 is position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32 .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includes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 642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portions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2 . 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implemented in a two-point contact structure,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 6) and even when at least one of the second fixing part 7 flows,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maintained in a connected state. Therefor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vibration, shaking, and the like.

상기 제2접속부재(7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가 서로 다른 부분에 접속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접속부재(72)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의 길이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의 길이를 합한 길이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동할 수 있는 거리가 증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72)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접속부재(72)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져서 배치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2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portions of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based o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length may be formed. For example, based o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2 is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 It may be formed with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based o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Since the movable distance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from being released due to vibration, shaking, or the lik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7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a whole.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so that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2 is erected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third axial direction (Z-axis direction).

도 9, 도 13, 및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제2고정부(7)는 제2연결부재(73)를 포함할 수 있다.9, 13, and 18 ,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ng member 73 .

상기 제2연결부재(73)는 상기 제2접속부재(72) 및 상기 제2실장부재(7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재(73)는 상기 제2접속부재(72) 및 상기 제2실장부재(7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접속부재(72) 및 상기 제2실장부재(7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72) 및 상기 제2실장부재(71)는 상기 제2연결부재(73)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73), 상기 제2접속부재(72), 및 상기 제2실장부재(7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3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2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71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3 is provided to each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2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71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2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71 . can be combine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2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7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3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3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2 ,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71 may be integrally formed.

도 8, 도 9, 및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제2고정부(7)는 제2고정부재(7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9, and 18 ,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include a second fixing member 75 .

상기 제2고정부재(75)는 상기 제2고정부(7)를 상기 제2절연부(3)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재(75)는 상기 제2연결부재(73)로부터 돌출된다. 도 18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고정부재(75)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으로 상기 제2연결부재(7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75)는 상기 제2연결부재(73)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7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75) 및 상기 제2연결부재(7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fixing member 75 fixes the second fixing part 7 to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The second fixing member 75 protrudes from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3 . Referring to FIG. 18 , the second fixing member 75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3 in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hird axial direction (Z-axis direction). The second fixing member 75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73 so as to protrude from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73 . The second fixing member 75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3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2고정부재(75)는 상기 제2절연부(3)가 갖는 제2고정홈(34, 도 9에 도시됨)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재(75)는 상기 제2절연부(3)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3)를 상기 제2절연부(3)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홈(34)은 상기 제2절연부(3)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member 75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34 (shown in FIG. 9 ) of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Accordingly, the second fixing member 75 is fixed to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thereby fixing the second fixing part 3 to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The second fixing groove 34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도 3, 도 9, 및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고정부(7)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9, and 19 ,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second fixing parts 7 .

상기 제2고정부(7)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절연부(3)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절연부(3)의 제2전측벽(331, 도 9에 도시됨)에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부(7)가 설치되고, 상기 제2절연부(3)의 제2후측벽(332, 도 9에 도시됨)에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부(7)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측벽(331)에 설치된 제2고정부(7) 및 상기 제2후측벽(332)에 설치된 제2고정부(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s 7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second fixing parts 7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to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For example, at least one second fixing part 7 is installed on the second front side wall 331 (shown in FIG. 9 ) of the second insulating part 3 , and the second At least on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wall 332 (shown in FIG. 9 ). In this case, the second fixing part 7 installed on the second front side wall 3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installed on the second rear side wall 332 are arranged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may be formed in a form symmetrical to each other based on .

상기 제2전측벽(331) 및 상기 제2후측벽(332) 각각에는 상기 제2고정부(7)가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7)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고정부(7a)는 상기 제2기판(200)에 대해 입력단자로 기능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2고정부(7b)는 상기 제2기판(200)에 대해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측벽(331) 및 상기 제2후측벽(332) 각각에 상기 제2고정부(7)가 하나씩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2고정부(7)들은 각각 상기 제2실장부재(71) 및 상기 제2접속부재(72)를 복수개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On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installed on each of the second front side wall 331 and the second rear side wall 332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9 , any one of the second fixing parts 7a among the second fixing parts 7 functions as an input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bstrate 200 , and the other second fixing part 7a functions as an input terminal for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second fixing part 7b may function as an output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bstrate 200 . When one second fixing part 7 is installed on each of the second front side wall 331 and the second rear side wall 332 , each of the second fixing parts 7 is the second mounting member 71 . )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72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lurality of.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전술한 도면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제1고정부의 형상이 변형된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a deformed shape of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drawings.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only different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 도 6, 도 8, 도 9, 도 20 내지 도 2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를 포함할 수 있다.5, 6, 8, 9, and 20 to 23 ,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irst fixing part 6 .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실장부재(61), 상기 제1접속부재(64), 상기 제1연결부재(65), 및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61), 상기 제1연결부재(65), 및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66)는 상술한 실시예와 대략 일치하게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1)의 상기 제1고정부(6)는 다음과 같은 제1접속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6 may include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and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66 . there is. Since the first mounting member 61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and the first sub-mounting member 66 are implemented to be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irst fixing part 6 of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connection member 64 .

상기 제1접속부재(64)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may include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각각 상기 제2고정부(7)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2고정부(7)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2점 접촉구조로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유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portions of the second fixing part 7 . Accordingly,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in a two-point contact structure, so that the first high Even when at least one of the top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flows,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maintained in a connected state. Therefore,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vibration, shaking, and the like.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에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2고정부(7)에 밀려서 탄성적으로 이동한 후에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고정부(7)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에 접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 In this case,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to be elas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 Accordingly, while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is pushed by the second fixing part 7 and moves elastically. After that, the second fixing part 7 can be elastically pressed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Therefore,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connecting for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7) Inter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The first fixing part 6 is the first insulating part so that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can be installed in part (2). That is,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641 toward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제1연결부재(65)에는 상기 제1접속부재(64)가 복수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접속부재(64)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64)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들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 and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s 641 included 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4 , respectively. )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at differen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s 642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64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can be formed in each.

예컨대, 상기 제1좌측벽(243)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641)는 상기 제1좌측벽(243)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642)에 비해 상기 제1전측벽(241)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우측벽(244)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641)는 상기 제1우측벽(244)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642)에 비해 상기 제1전측벽(241)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형성되고, 상기 제1우측벽(244)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로부터 상기 제1전측벽(241)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disposed on the first left side wall 243 is higher than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disposed on the first left side wall 243 , compared to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 is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to be disposed adjacent to, an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is formed from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641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may be formed by extending.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244 is moved from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compared to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244 .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formed 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5 so as to be far apart and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244 is formed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ub-connection member 641 toward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예컨대, 상기 제1우측벽(244)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641)는 상기 제1우측벽(243)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642)에 비해 상기 제1전측벽(241)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벽(243)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641)는 상기 제1좌측벽(243)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642)에 비해 상기 제1전측벽(241)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형성되고, 상기 제1좌측벽(243)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로부터 상기 제1전측벽(243)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disposed on the first right side wall 244 is higher than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disposed on the first right side wall 243 ,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 ) is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to be disposed adjacent to, an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is formed from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641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may be formed by extending.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641 disposed on the first left side wall 243 is moved from the first front side wall 241 compared to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disposed on the first left side wall 243 .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so as to be disposed far away and disposed on the first left wall 243 is formed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ub-connection member 641 toward the first front side wall 243 .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가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들이 상기 제2고정부(7)를 사이에 두고 양 쪽에서 상기 제2고정부(7)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에 접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21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2서브접속부재(642)에 비해 상측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는 좌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접속부재(642)에 비해 하측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들이 상기 제2고정부(7)를 좌우에서 각각 가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고정부(7)를 상하에서 각각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2고정부(7)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are connecte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s 642 are formed from both sides with the second fixing part 7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elastically pressed. Therefore,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connecting for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s 7 may be further improved. That is,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ference to FIG. 21 elastically presses the second fixing unit from the upper side compared to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642 located on the right side, and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The positioned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642 elastically presses the second fixing part from the lower side compar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42 positioned on the left. Accordingly, in the board connecto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s 642 not only press the second fixing part 7 from left and right, respectively, but also the second fixing part 7 ) can be pressed from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so that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6 and the second fixing part 7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제1고정부(6)가 복수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후측벽(242)에 배치된 제1연결부재(65)에 연결되는 제1접속부재(64)들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접속부재(64)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65)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접속부재(64)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64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641)들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the first fixing parts 6 are included,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64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disposed on the first rear wall 242 are also the same as described above. can be arranged. That is,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s 641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64 are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5 .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s 642 respectively included 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64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t differen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Each of the sub-connection members 641 may be 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기판 커넥터 2 : 제1절연부
3 : 제2절연부 4 : 제1컨택트
5 : 제2컨택트 6 : 제1고정부
7 : 제2고정부 21 : 제1결합홈
22 : 제1안착홈 23 : 안착돌기
25 : 제1고정홈 26 : 제1서브고정홈
31 : 제2결합홈 32 : 제2안착홈
41 : 제1컨택접속부재 42 : 제1컨택실장부재
51 : 제2컨택접속부재 52 : 제2컨택실장부재
61 : 제1실장부재 64 : 제1접속부재
65 : 제1연결부재 66 : 제1서브실장부재
71 : 제2실장부재 72 : 제2접속부재
73 : 제2연결부재 75 : 제2고정부재
1 : board connector 2 : 1st insulation part
3 : 2nd insulating part 4 : 1st contact
5: second contact 6: first fixing part
7: second fixing part 21: first coupling groove
22: first seating groove 23: seating projection
25: first fixed groove 26: first sub fixed groove
31: second coupling groove 32: second seating groove
41: first contact connecting member 42: first contact mounting member
51: second contact connecting member 52: second contact mounting member
61: first mounting member 64: first connecting member
65: first connection member 66: first sub-mounting member
71: second mounting member 72: second connecting member
73: second connecting member 75: second fixing member

Claims (16)

플러그 커넥터 및 제1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에 연결된 제1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1절연부; 및
상기 제1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를 상기 제1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절연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는 제1실장부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연결된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1실장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절연부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연결부재로부터 하측방향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서브접속부재, 및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로부터 제1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제2서브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제2고정부에 접속되는 제1접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2고정부에 접속되는 제2접속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접속면과 상기 제1접속면 사이의 사잇각(Included Angle)이 둔각(鈍角)을 이루도록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전측벽과 제1후측벽, 및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전측벽과 상기 제1후측벽에 각각 연결된 제1좌측벽과 제1우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실장부재는 상기 제1전측벽의 외측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좌측벽 및 상기 제1우측벽의 내측면을 덮도록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들은 각각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좌측벽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1좌측벽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에 비해 상기 제1전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좌측벽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좌측벽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로부터 상기 제1우측벽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우측벽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1우측벽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에 비해 상기 제1전측벽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우측벽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우측벽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로부터 상기 제1전측벽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a first contact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lug connector and the first substrate;
a first insulator in which a plurality of the first contacts are installed; and
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to fix the first insulating part to the first substrate;
The first fixing part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first mounting member mounted on the first board, a second board to which the plug connector is connected, and the first board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 and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sub connecting member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a first sub connecting member extending in a first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2 including a sub-connection member,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of the plug connector,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wherein an included angl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and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forms an obtuse angle. 1 is coupled to the sub connecting member,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econd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a first front side wall and a first rear wall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 first left wall and a first right wall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wall and the first rear wall;
The first mounting member is dispos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side wall,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are arranged to cover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left wall and the first right wall,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includes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left wall is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so as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front wall compared to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left wall,
A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left wall extends from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left wall toward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is formed and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is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so as to be disposed farther from the first front wall compared to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toward the first front wall. for receptacle connect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so as to be elas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된 제1접속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접속돌기를 통해 상기 제2고정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접속돌기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The receptacle connector for a 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is formed to decrease in size as it protrudes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절연부가 갖는 측벽 중에서 서로 연결된 다른 측벽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서로 다른 측벽에 위치하는 상기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1접속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실장부재가 위치한 측벽의 상면 및 상기 제1접속부재가 위치한 측벽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re respectively located on other sidewalls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sidewalls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where the first mounting member is loca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wher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located so as to connect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located on different side walls A receptacle connector for a 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장부재는 상기 제1전측벽 또는 상기 제1후측벽의 외측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좌측벽 및 상기 제1우측벽의 내측면을 덮도록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전측벽, 상기 제1좌측벽, 및 상기 제1우측벽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제1후측벽, 상기 제1좌측벽, 및 상기 제1우측벽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mounting member is disposed to cover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side wall or the first rear side wall;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are arranged to cover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left wall and the first right wall,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formed to cover upper surfaces of the first front wall, the first left wall, and the first right wall, or the first rear wall, the first left wall, and the first right wall A receptacle connector for a 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 각각에 결합된 제1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곡률중심이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제1절연부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제2절연부 간의 조립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first guide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The first guide member has a curved surface so that a center of curvature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to guide an assembly position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of the plug connector. A receptacle connector for a 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로부터 돌출된 제1서브실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는 상기 제1기판의 서로 다른 부분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part further includes a first sub-mount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The receptacle connector for a 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the first sub-mounting member are mounted on different portions of the first boar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제1실장부재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 및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가 삽입되는 제1서브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홈 및 상기 제1서브고정홈은 상기 제1절연부가 갖는 측벽들 중에서 서로 다른 측벽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실장부재는 상기 제1고정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를 상기 제1기판에 고정하고,
상기 제1서브실장부재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를 상기 제1기판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mounting member is inserted, and a first sub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is inserted,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first sub fixing groove are respectively formed on different sidewalls among the sidewalls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The first moun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to fix the first insulating part to the first substrate;
and the first sub moun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b fixing groove to fix the first insulating part to the first board.
제1기판에 연결되는 제1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1절연부;
상기 제1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를 상기 제1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
제2기판에 연결되는 제2컨택트;
상기 제2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2컨택트들과 상기 제1컨택트들이 서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에 조립되는 제2절연부; 및
상기 제2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절연부를 상기 제2기판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절연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는 제1실장부재, 상기 제2고정부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1실장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절연부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연결부재로부터 하측방향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서브접속부재, 및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로부터 제1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제2서브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2고정부에 접속되는 제1접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2고정부에 접속되는 제2접속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접속면과 상기 제1접속면 사이의 사잇각(Included Angle)이 둔각(鈍角)을 이루도록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전측벽과 제1후측벽, 및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전측벽과 상기 제1후측벽에 각각 연결된 제1좌측벽과 제1우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실장부재는 상기 제1전측벽의 외측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좌측벽 및 상기 제1우측벽의 내측면을 덮도록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들은 각각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좌측벽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1좌측벽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에 비해 상기 제1전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좌측벽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좌측벽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로부터 상기 제1우측벽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우측벽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1우측벽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에 비해 상기 제1전측벽에 멀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우측벽에 배치된 제2서브접속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우측벽에 배치된 제1서브접속부재로부터 상기 제1전측벽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a first contact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a first insulator in which a plurality of the first contacts are installed;
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to fix the first insulating part to the first substrate;
a second contact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a second insulating par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tacts and assembl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so that the second contacts and the first contac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to fix the second insulating part to the second substrate;
The first fixing part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includes a first mounting member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sub connecting member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a first sub connecting member extending in a first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2 including a sub-connection member,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wherein an included angl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and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forms an obtuse angle. 1 is coupled to the sub connecting member,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econd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a first front side wall and a first rear wall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 first left wall and a first right wall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wall and the first rear wall;
The first mounting member is dispos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side wall,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are arranged to cover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left wall and the first right wall,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includes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left wall is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so as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front wall compared to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left wall,
A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left wall extends from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left wall toward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is formed and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is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so as to be disposed farther from the first front wall than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first sub connecting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right wall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toward the first front wall.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절연부가 갖는 측벽 중에서 서로 연결된 다른 측벽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서로 다른 측벽에 위치하는 상기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1접속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실장부재가 위치한 측벽의 상면 및 상기 제1접속부재가 위치한 측벽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re respectively located on other sidewalls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sidewalls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where the first mounting member is loca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wher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located so as to connect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located on different side walls 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as to.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장부재는 상기 제1전측벽 또는 상기 제1후측벽의 외측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좌측벽 및 상기 제1우측벽의 내측면을 덮도록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전측벽, 상기 제1좌측벽, 및 상기 제1우측벽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제1후측벽, 상기 제1좌측벽, 및 상기 제1우측벽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mounting member is disposed to cover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side wall or the first rear side wall;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are arranged to cover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left wall and the first right wall,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formed to cover upper surfaces of the first front wall, the first left wall, and the first right wall, or the first rear wall, the first left wall, and the first right wall 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52531A 2017-04-24 2017-04-24 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Active KR1022834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531A KR102283488B1 (en) 2017-04-24 2017-04-24 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531A KR102283488B1 (en) 2017-04-24 2017-04-24 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56A KR20180119056A (en) 2018-11-01
KR102283488B1 true KR102283488B1 (en) 2021-07-28

Family

ID=6439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531A Active KR102283488B1 (en) 2017-04-24 2017-04-24 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4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0818B2 (en) * 2020-03-19 2024-02-13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board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5216B2 (en) * 2012-03-29 2015-03-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JP5943774B2 (en) 2012-08-16 2016-07-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1666B2 (en) * 2013-11-19 2016-03-09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receptacle connector
JP5972855B2 (en)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JP6378642B2 (en) *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5216B2 (en) * 2012-03-29 2015-03-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JP5943774B2 (en) 2012-08-16 2016-07-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56A (en)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6694B2 (en) Vertical direct PCB connector
EP2903092B1 (en) Connector
KR20190027133A (en) 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KR102602183B1 (en) Substrate Connector
US7086902B1 (en)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mber
JP2009110958A (en) Electrical connector
CN104810641A (en) Connector
KR20160080636A (en) Contact of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KR102535074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KR102395645B1 (en) Contact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KR102611241B1 (en)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KR102283488B1 (en) 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KR20210054449A (en) Substrate Connector
KR101488892B1 (en)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KR102695676B1 (en) Substrate Connector
KR20220112665A (en) Substrate Connector
KR102148179B1 (en) Connector assembly
KR101438582B1 (en) High current electrical connector
KR102723264B1 (en) Plug Connector
KR102627807B1 (en) Substrate Connector
KR102420029B1 (en) Connector for Flat Cable
JP2021064535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566675B1 (en) Connector
KR20140001551U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