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179B1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8179B1 KR102148179B1 KR1020180149974A KR20180149974A KR102148179B1 KR 102148179 B1 KR102148179 B1 KR 102148179B1 KR 1020180149974 A KR1020180149974 A KR 1020180149974A KR 20180149974 A KR20180149974 A KR 20180149974A KR 102148179 B1 KR102148179 B1 KR 1021481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socket
- connection pin
- guide
- connector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기 회로에 연결되는 단자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실장된 베이스; 상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접속 핀; 및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 핀이 관통되도록 삽입되는 삽입 홀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nector assembly includes: a base mounted to expose a terminal connected to an electric circuit on a surface; A connection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elong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base; And a socket that is formed lo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base and has an insertion hole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on pin,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Description
아래의 설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description below relates to the connector assembly.
커넥터란 전기적인 접속을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전기 부품의 일종이다. 커넥터는 자동차 또는 생활 가전 등 다양한 전자 기계 장치에 사용되어, 복수 개의 전자 부품 상호간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 연결을 위하여 사용된다.A connector is a type of electrical component that can connect or disconnect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s are used in various electronic mechanical devices such as automobiles or household appliances, and are used for electrical and/or phys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되는 접속 핀의 경우, 인쇄 회로 기판에 면을 관통하도록 수직하게 삽입된 이후 솔더링(soldering)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다만, 이와 같은 표면 실장 기술에 의할 경우,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불가피하게 증가되므로,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체 전자 기계 장치의 부피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 connection pin install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a connector, it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penetrate the surface and then installed in a manner of soldering.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urface mounting technology, since the height protruding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evitably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connector and the entire electromechanical device having the same increases.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돌출 높이가 작으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mall protrusion height and structurally stabl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기 회로에 연결되는 단자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실장된 베이스; 상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접속 핀; 및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 핀이 관통되도록 삽입되는 삽입 홀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nector assembly includes: a base mounted to expose a terminal connected to an electric circuit on a surface; A connection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elong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base; And a socket that is formed lo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base and has an insertion hole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on pin,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상기 소켓은, 상기 삽입 홀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삽입 공간으로 삽입되는 소켓 바디; 및 상기 소켓 바디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 공간에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을 구비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cket includes: a socket body having the insertion hole and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formed in the base; And a stopper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ocket body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base, and having a portion not overlapping the insertion space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상기 접속 핀이 상대물에 접속되는 부분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소켓은, 상기 접속 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스토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암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 공간에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portion of the connection pin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is referred to as a front, the socket further includes an arm extending rearward from the stopper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in, the arm being the base A por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insertion space may be provided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베이스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베이스 가이드에 삽입 가능한 소켓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may include a base guid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and the socket may include a socket guide insertable into the base guide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상기 베이스 가이드 및 소켓 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홈 형상을 갖고, 나머지 하나는 돌기 형상을 갖고, 상기 베이스 가이드 및 소켓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소켓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One of the base guide and the socket guide has a groove shape, the other one has a protrusion shape, and the base guide and the socket guide are in a state in which the socket is inserted into the base, and the socket is in front of the base. And it is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to the rear.
상기 베이스에 상기 소켓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 바디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의 하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socket is coupled to the base, a lower surface of the socket body may protrude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ase.
상기 베이스에 상기 소켓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전면은 상기 소켓 바디의 전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socket is coupled to the base, a front surface of the base may protrude from a front surface of the socket bod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의 돌출 높이를 줄임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mpact structure may be provided by reducing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entire connector assembly, and thus it may be applied to a wider variety of devic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및 접속 핀을 상호 연결하는 소켓을 이용하여, 접속 핀을 베이스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nection pin may be s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base by using a socket for interconnecting the base and the connection pi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조하거나, 제조된 커넥터 어셈블리를 상대물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접속 핀 등이 손상되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a problem of damage to a connection pin or the like in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assembly or assembling the manufactured connector assembly to a counterpar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속 핀을 벤딩(bending)하거나, 특수 형상으로 제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가공비 및 관리 비용이 증가하던 부분이 불필요하게 되어,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조 비용 및 양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ared to the case of bending the connection pin or manufacturing it in a special shape, the connection pin can be provided in a simpler structure,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processing cost and management cost have increased is unnecessary, and thus the connector assembly Manufacturing cost and mass produc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CB, 소켓 및 접속 핀을 공용으로 사용하고, PCB 고정용 케이스를 사출 성형을 통해, 전장용 및/또는 방수용으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CB, a socket, and a connection pin are commonly used, and a case for fixing a PCB may be manufactured and utilized in various ways for electrical equipment and/or waterproofing through injection molding.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 핀 없이도, 충분히 높은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nnector assembly having sufficiently high strength and durability may be provided without a separate fixing pin.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상대물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핀 및 소켓이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핀 및 소켓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fastened to a counterpar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top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bottom view of a connection pin and a socket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in and a socket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escriptions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상대물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fastened to a counterpar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b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는, 상대물(2)에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1)는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속 핀(13)이 베이스(11)의 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접속 핀(13)이 절곡되지 않은 상태로 베이스(11)에 접속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서, 전체 높이가 일반적인 인쇄 회로 기판의 2배 수준에 불과하도록 설계 가능하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1)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계 장치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1)는, 베이스(11), 소켓(12), 접속 핀(13) 및 케이스(C)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베이스(11)는, 접속 핀(13)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의 통로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회로는 베이스(11)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거나, 베이스(11)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11)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CB)일 수 있다. 베이스(11)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베이스 바디(111)와, 삽입 공간(112), 단자(113), 지지부(114) 및 베이스 가이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삽입 공간(112)은, 소켓(1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공간(112)은, 베이스 바디(111)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공간(112)은, 베이스 바디(11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1)에 소켓(12)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11)의 전면은 소켓 바디(121)의 전면보다 돌출될 수 있도록, 삽입 공간(112)의 전후 방향(x축 방향)의 폭은 소켓 바디(121)의 전후 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The
단자(113)는, 전기 회로에 연결되며 베이스 바디(111)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The
지지부(114)는, 소켓(12)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함으로써, 소켓(12)이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베이스(11)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114)는, 삽입 공간(112)의 일측, 예를 들면,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114)는, 베이스 바디(11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The
베이스 가이드(115)는, 베이스(11)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소켓(12)이 베이스(11)로 삽입되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가이드(115)는, 도 2와 같이 지지부(114) 중 삽입 공간(112) 쪽의 내벽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 가이드(115) 및 삽입 공간(112)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한편, 베이스 가이드(115)의 형상이 반드시 이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가이드(115)는, 지지부(114)의 내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거나, 지지부(114) 및/또는 베이스 바디(1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지지부(114) 및/또는 베이스 바디(11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소켓(12)은, 베이스(11)에 연결되고, 접속 핀(13)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12)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12)은, 베이스(11)에 억지 끼움(tight 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나사체 등 별도의 고정 구조물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소켓(12) 및 베이스(1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작업을 소켓(12)은, 소켓 바디(121), 스토퍼(122), 암(123), 솔더링 공간(124) 및 소켓 가이드(1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소켓 바디(121)는, 접속 핀(13)이 삽입되는 삽입 홀(121a)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11)에 형성된 삽입 공간(11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홀(121a)은, 베이스(11)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접속 핀(13)이 관통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도 1의 확대도에 도시한 것처럼, 베이스(11)에 소켓(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소켓 바디(121)의 하면은 베이스(11)의 하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11)의 하면으로부터 소켓 바디(121)의 하면까지의 높이 h는 영(zero)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11)가 케이스(C)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베이스(11)의 하면이 케이스(C)의 내벽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소켓 바디(121)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 바디(121)의 하단부의 둘레 부분은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가 보다 쉽게 소켓(12)을 베이스(11)로 삽입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스토퍼(122)는, 소켓 바디(121)로부터 베이스(11)의 표면에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고, 베이스(11)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삽입 공간(112)에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스토퍼(122)는, 소켓 바디(121)가 삽입 공간(112)으로 일정한 길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좌표계의 x축을 기준으로 작용하는 모멘트(Mx)에 대하여 보다 강성한 구조를 제공하므로, 소켓 바디(121)의 좌우 방향(y축 방향)를 줄이면서도, 소켓(12) 및 접속 핀(13)이 베이스(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암(123)은, 접속 핀(13)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스토퍼(12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접속 핀(13)이 상대물에 접속되는 부분을 전방이라고 할 때, 암(123)은, 스토퍼(12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암(123)은,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접속 핀(13)들의 양쪽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1)로부터 암(123)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베이스(11)로부터 접속 핀(13)의 상단까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조된 커넥터 어셈블리(1)를 이용하여 체결 작업을 수행하거나, 커넥터 어셈블리(1)를 운반하는 과정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접속 핀(13)의 후방부가 손상되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For example, the
암(123)은, 베이스(11)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삽입 공간(112)에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암(123)은, 스토퍼(122)와 함께 소켓 바디(121)가 삽입 공간(112)으로 일정한 길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22)만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도 2에 도시한 좌표계의 y축을 기준으로 작용하는 모멘트(My)에 대하여 보다 강성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 바디(121)의 전후 방향(x축 방향) 길이 및 접속 핀(13)의 길이를 줄이면서도, 소켓(12) 및 접속 핀(13)이 베이스(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한편, 도면에는 소켓(12)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는 실시 예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암(123)을 구비하지 않고, 소켓(12)이 전체적으로 '|'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On the other hand, the drawings exemplarily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솔더링 공간(124)은, 암(123)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베이스(11), 소켓(12) 및 접속 핀(13)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솔더링 공간(124)으로 솔더링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접속 핀(13)의 후방부를 단자(113)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The
소켓 가이드(125)는, 베이스 가이드(115)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소켓(12)이 베이스(11)에 삽입되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 가이드(125)는, 소켓 바디(121), 스토퍼(122) 및 암(12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 가이드(125)는, 소켓 바디(121)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거나, 스토퍼(12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거나, 암(123)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소켓 가이드(125)가 소켓 바디(121)의 측벽 및 스토퍼(122)의 하면에 동시에 연결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조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켓 가이드(125)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한편, 도면에는 베이스 가이드(115) 및 소켓 가이드(125)가 각각 홈 및 돌기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반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 가이드(115) 및 소켓 가이드(125) 중 어느 하나는 홈 형상을 갖고, 나머지 하나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drawings, the
베이스 가이드(115) 및 소켓 가이드(125)는, 베이스(11)에 소켓(12)이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12)이 베이스(11)에 대하여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가이드(115)가 지지부(114)의 내벽의 중앙에 형성될 경우, 소켓(12)은 베이스(11)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 양쪽 방향으로 모두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소켓(12)이 베이스(11)에 체결된 상태에서, 접속 핀(13)을 소켓(12)에 삽입 또는 인출하는 등, 소켓(12)에 대한 접속 핀(13)의 삽입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1)의 단자(113)에 대하여 접속 핀(13)의 후방 단부가 적정한 위치를 갖도록 정렬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좌표계의 z축을 기준으로 작용하는 모멘트(Mz)에 대하여 보다 강성한 구조를 제공하므로, 소켓 바디(121) 또는 삽입 공간(112)에 제조 공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소켓(12) 및 접속 핀(13)이 베이스(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접속 핀(13)은, 단자(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대물(2)에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대물(2)과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접속 핀(13)은, 베이스 바디(111)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핀(13)은 전체적으로 절곡되지 않은 일자(ㅡ) 형상을 갖고, 단자(113)에는 접속 핀(13)의 둘레 방향 부분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솔더링 재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4 is a top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베이스(11)에 소켓(12)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11)의 전면은 소켓 바디(121)의 전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11)의 전면으로부터 소켓 바디(121)의 전면까지의 길이 L1은 영(zero)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1처럼 베이스(11)를 케이스(C)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베이스(11)를 최대로 삽입할 때, 소켓(12)보다 베이스(11)가 먼저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11) 및 케이스(C)의 체결 과정에서, 케이스(C)에 의한 외력이 직접적으로 소켓(12)의 전방 단부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12) 및 베이스(11)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접속 핀(13) 및 단자(113)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적 접점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Referring to FIG. 4,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예를 들어, 접속 핀(13)의 후방 단부는 암(123)의 후방 단부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암(123)의 후방 단부로부터 접속 핀(13)의 후방 단부까지의 길이 L2는 영(zero)보다 클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ar end of the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접속 핀(13)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접속 핀(13) 및 암(123) 사이의 거리 d1보다 중앙에 위치하는 접속 핀(13) 사이의 거리 d2가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접속 핀(13)을 단자(113)에 솔더링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복수 개의 접속 핀(13)이 상호 단락(short circuit)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도, 소켓(12)의 좌우 길이를 컴팩트하게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tance d2 between the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핀 및 소켓이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핀 및 소켓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5 is a bottom view showing a connection pin and a socket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pin and a socket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소켓(12)은 지지 돌기(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돌기(126)는, 소켓(12) 중 소켓 바디(12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돌기(126)는, 스토퍼(122)의 저면에 형성되는 전방 지지 돌기(126a)와, 암(123)의 저면에 형성되는 후방 지지 돌기(126b)를 포함할 수 있다. 5 and 6, the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11)에 대한 소켓(12)의 삽입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 돌기(126)의 하단은, 접속 핀(13)이 삽입되는 삽입 홀(121a, 도 2 참조)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접속 핀(13)이 베이스(11)에 대하여 최소한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6,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물론 지지 돌기(126)가 없을 경우, 스토퍼(122) 및/또는 암(123)의 하단이 삽입 홀(121a)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를 가짐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이와 같은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는 점을 밝혀 둔다. Of course, in the absence of the
다만, 제조 공차를 고려하여, 스토퍼(122) 및/또는 암(123)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지지 돌기(126)를 그 저면에 추가로 제공하면, 제조 후 수정 가공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 돌기(126)에 의하면, 제조 공차에 따른 오차가 존재할 경우, 지지 돌기(126)의 일부를 연마하는 추가적인 공정 등을 통해, 접속 핀(13)이 베이스(11)에 대하여 최소한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쉽게 수정 가공할 수 있다. However,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ing tolerances, if the
지지 돌기(126) 중 전방 지지 돌기(126a)의 단면적은, 후방 지지 돌기(126b)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소켓 가이드(125)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 돌기(126)를 제공하면서도, 소켓(12)을 베이스(11)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the described structure, device,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in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Claims (7)
상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접속 핀; 및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 핀이 관통되도록 삽입되는 삽입 홀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핀이 상대물에 접속되는 부분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소켓은,
상기 삽입 홀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삽입 공간으로 삽입되는 소켓 바디;
상기 소켓 바디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 공간에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을 구비하는 스토퍼; 및
상기 접속 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스토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소켓 바디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속 핀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베이스에 오버랩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및 암은 각각 2개씩 구비되고, 2개의 암 사이에는 솔더링 공간이 마련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base mounted such that terminals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are exposed on the surface;
A connection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elong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base; And
It is formed lo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base and has an insertion hole to be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on pin, and includes a socket connected to the base,
When the part where the connection pin is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is called the front,
The socket,
A socket body having the insertion hole and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formed in the base;
A stopper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ocket body i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base and having a portion not overlapping the insertion space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And
An arm extending rearward from the stopper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in, protruding rearward than the socket body,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pin, and overlapping the base,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wo stoppers and two arms are provided, and a soldering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two arms.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베이스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베이스 가이드에 삽입 가능한 소켓 가이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includes a base guid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The socket is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ocket guide insertable into the base guide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상기 베이스 가이드 및 소켓 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홈 형상을 갖고, 나머지 하나는 돌기 형상을 갖고,
상기 베이스 가이드 및 소켓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소켓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4,
Any one of the base guide and the socket guide has a groove shape, the other one has a protrusion shape,
The base guide and the socket guide, while the socket is inserted into the base, a connector assembly that restricts movement of the socket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상기 베이스에 상기 소켓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 바디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의 하면보다 돌출된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socket is coupled to the base, a lower surface of the socket body protrudes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ase.
상기 베이스에 상기 소켓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전면은 상기 소켓 바디의 전면보다 돌출된 커넥터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In a state in which the socket is coupled to the base, a front surface of the base protrudes from a front surface of the socket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9974A KR102148179B1 (en) | 2018-11-28 | 2018-11-28 | Connecto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9974A KR102148179B1 (en) | 2018-11-28 | 2018-11-28 | Connector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3809A KR20200063809A (en) | 2020-06-05 |
KR102148179B1 true KR102148179B1 (en) | 2020-08-26 |
Family
ID=7108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9974A Active KR102148179B1 (en) | 2018-11-28 | 2018-11-28 | Connector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817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90199B1 (en) * | 2021-01-05 | 2025-04-0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Connection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5941U (en) * | 1991-11-26 | 1993-06-18 | 日本バーンデイ株式会社 | Floating connector |
KR101321785B1 (en) * | 2011-12-21 | 2013-10-28 |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 Slide type connector |
-
2018
- 2018-11-28 KR KR1020180149974A patent/KR10214817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3809A (en) | 2020-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33346B2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JP7253337B2 (en) | connector | |
US11095059B2 (en) | Connector | |
JP5660756B2 (en) | Board to board connector | |
US9608388B2 (en) | Connector | |
US7651372B2 (en) |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 |
KR102538789B1 (en) | Multi-contact connector | |
US7695289B1 (en) | Connector | |
WO2010003100A1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CN100566027C (en) | board connector | |
CN102904086B (en) | Connector, and performance plate, mother plate and a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containing same | |
US6457980B2 (en) |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 |
US20250112386A1 (en) | Plug connector for 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US20050130506A1 (en) | Connector | |
KR102148179B1 (en) | Connector assembly | |
JP5883479B2 (en) | connector | |
US12224514B2 (en) | Electrical plug connector with guide features and central and outer insertion openings | |
KR20200008814A (en) |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 |
US20220302618A1 (en) | Branch connector | |
JP7283971B2 (en) | BOARD CONNECTOR AND BOARD CONNECTOR STRUCTURE | |
JP6360939B1 (en) | Multi-contact connector | |
WO2015072153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with same | |
KR102778998B1 (en) | plug connector for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 |
KR101378702B1 (en) | Electric connector | |
KR101001890B1 (en) | Connectio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for board connection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