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8998B1 - plug connector for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 Google Patents

plug connector for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8998B1
KR102778998B1 KR1020190113650A KR20190113650A KR102778998B1 KR 102778998 B1 KR102778998 B1 KR 102778998B1 KR 1020190113650 A KR1020190113650 A KR 1020190113650A KR 20190113650 A KR20190113650 A KR 20190113650A KR 102778998 B1 KR102778998 B1 KR 102778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loating
plug connector
guide
pl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9556A (en
Inventor
박수환
최정훈
이수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3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899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는, 바 형상의 제1 몸체부(111) 및 상기 제1 몸체부(11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삽입부(113)를 포함하는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몸체부(111)의 길이가 L1, 상기 제1 삽입부(113)의 길이가 L2이고, 상기 제1 몸체부(111)의 두께가 D1, 상기 제1 삽입부(113)의 두께가 D2일 때, L1>L2 및 D2>D1을 만족할 수 있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g connector includes a plug insulator (110) including a bar-shaped first body portion (111) and a first insertion portion (113)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 When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 is L1, the length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3) is L2,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 is D1,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3) is D2, L1>L2 and D2>D1 can be satisfied.

Description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plug connector for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Plug connector for floating B2B connector {plug connector for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본 출원은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로팅(floating) B2B(board to board)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lug connec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plug connector that can be used as a floating B2B (board to board) connector.

기판용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나 도선이 패터닝된 전자 요소(electronic component)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Board-to-board connectors are used to connect printed circuit boards (PCBs) or electronic components with patterned conductors. In particular, board-to-board connectors (B2B connectors) include plug connectors and receptacle connector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a different board, and by combining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signal transmission through different boards can be enabled.

종래에는 기판 사이의 RF(Radio Frequency) 연결을 위하여 원형의 동축 커넥터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동축 커넥터의 경우 암형과 수형을 정합한 후 원통형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므로, 암형과 수형을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으면 신호가 연결되지 않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실질적인 제조 공차에 대한 오차가 허용되지 않아 제조공정 상 어려움이 있었으며, 원통형의 스크류의 경우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In the past, circular coaxial connectors were used for RF (Radio Frequency) connections between substrates. However, in the case of coaxial connectors, after the female and male parts are aligned, they are mechanically fixed using a cylindrical screw. Therefore, if the female and male parts are not positioned accurately, problems such as the signal not being connected or being damaged may occur. In other words, since errors in actual manufacturing tolerance were not allowed, there were difficulti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n the case of cylindrical screws,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lifespan being shortened due to repeated us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등록특허 8,989,042에서는 스퀘어 형태의 RF 커넥터가 제안되었다. 즉,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80)에 플러그 커넥터(60)를 삽입하는 형태로 RF 연결을 구현하였으므로, 기존의 동축 커넥터를 이용하는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미국 등록특허 8,989,042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퀘어 형태의 RF 커넥터의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80)와 플러그 커넥터(60)의 4면이 직접 접촉하고 있으므로, 진동시 흔들릴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없어 진동에 취약한 단점이 존재한다. 즉, 커넥터에 진동이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파손될 위험이 존재하므로 차량용 커넥터 등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To solve this problem, U.S. Patent No. 8,989,042 proposes a square-shaped RF connector. That is, since an RF connection is implemented by inserting a plug connector (60) into a receptacle connector (80) as shown in FIGS. 7 and 8,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that may occur in a method using a conventional coaxial connector. However, in the case of the square-shaped RF connector proposed in U.S. Patent No. 8,989,042, since the four side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80) and the plug connector (60) are in direct contact, there is no free space for shaking during vibration, 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vulnerable to vibration. In other words, since there is a risk of easy damage when vibration or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connecto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s a vehicle connector, etc.

본 출원은, 진동이나 외부충격에 강인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seeks to provide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that is robust against vibration or external shock.

본 출원은,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충분한 플로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seeks to provide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that is easy to connect and can secure sufficient floating space.

본 출원은, 체결이 용이하여 블라인드 체결도 가능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seeks to provide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that is easy to connect and can also be blind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는, 플로팅 B2B 커넥터(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에 관한 것으로, 바 형상의 제1 몸체부(111) 및 상기 제1 몸체부(11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삽입부(113)를 포함하는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몸체부(111)의 길이가 L1, 상기 제1 삽입부(113)의 길이가 L2이고, 상기 제1 몸체부(111)의 두께가 D1, 상기 제1 삽입부(113)의 두께가 D2일 때, L1>L2 및 D2>D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B2B connector), and includes a plug insulator (110) including a bar-shaped first body portion (111) and a first insertion portion (113)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 wherein when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 is L1, the length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3) is L2,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 is D1,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3) is D2, L1>L2 and D2>D1 may be satisfied.

여기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커버쉘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를 결합하여 몸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를 결합하여 삽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plug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cover shell that is coupl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g insulator and includes a second body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portion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can be coupled to form a body portion, and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can be coupled to form an insertion portion.

여기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너비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sertion portion may further include support portions protruding on each of the two sides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너비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너비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protruding on each of two side surfaces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 portion and formed to cover the first support portion.

여기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삽입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sertion portion may include a guide portion formed on an insertion surface positio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삽입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제1 삽입부 상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삽입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 상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쉘을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guid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guide portions formed on the insertion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formed such that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is fixed o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guide portions formed on the insertion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and fastened on the first guide portion to fix the cover shell to the plug insulator.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위치를 지정하는 오목한 형상의 위치가이드부; 및 상기 위치가이드부의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guide part may include a concave position guide part that specifies a position into which the second guide part is inserted; and a fixing protrusion located at both ends of the position guide part to fix the position of the second guide part.

여기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두께방향에 위치하는 제2 삽입부로부터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면; 상기 제1 가이드면과 연결되며, 삽입면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2 가이드면; 및 상기 제2 가이드면과 연결되며, 상기 삽입면 방향으로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3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guid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guide surface extend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from a second insertion portion positio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second guide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surface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and a third guide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surface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to form a flat surface.

여기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너비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휘어지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를 커버하도록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면; 상기 제1 지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휘어지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를 커버하도록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면; 상기 제2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휘어지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를 커버하도록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3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bent outward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 first supporting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bent to cover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form a flat surface; a second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from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and bent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 second supporting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bent to cover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form a flat surface; a third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and bent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third supporting surface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and bent to cover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form a flat surface.

여기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삽입면에 형성되며, 이너쉘들의 결합위치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lug insulator is formed on an insertion surface positio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 fixing the joining positions of the inner shells.

여기서 상기 커버쉘은 하나 또는 두개의 부재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Here, the cover shell may be formed by combining one or two members.

여기서, 상기 지지부(21)는 W3 > (W2-W1) / 2를 만족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W3는 상기 삽입부(20)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지지부(21)의 길이(높이), W1은 상기 몸체부(10)의 너비방향 길이, W2는 상기 삽입부(20)의 너비방향 길이일 수 있다. Here, the support member (21) satisfies W3 > (W2-W1) / 2, where W3 may be the length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21) protruding from the insertion member (20), W1 may be the widthwise length of the body member (10), and W2 may be the widthwise length of the insertion member (20).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olu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does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can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by referr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면, 상대물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충분한 플로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connection with a counterpart and secure sufficient floating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는, 플로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진동이나 외부충격에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접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용 RF(Radio Frequency) 커넥터의 플러그로 활용가능하다. The plug connector of the floating B2B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loating function, and thus can stably maintain a contact point despite vibration or external impact. Accordingly, it can be utilized as a plug of a vehicle RF (Radio Frequency) connector.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은 종래의 스퀘어 형태의 RF 커넥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Figures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are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coupling of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floating B2B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conventional square-shaped RF connec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Also,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s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100)는 몸체부(10) 및 삽입부(20)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도1a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 내에 포함되는 이너쉘 및 컨텍트부의 구성을 생략하여 표시하였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a plug connec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body portion (10) and an insertion portion (20). Here, in FIG. 1A,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shell and contact portion included in the plug connector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하 도1a 및 도1b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and FIGS. 6a and 6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는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된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포함하며,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결합되며 전기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러그 커넥터(100)는 플로팅 B2B 커넥터(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결합홈(201)에 결합되면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부와 도시된 컨택트부(1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러그 커넥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와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내부에 컨택트부(130)가 실장된 몸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100)는 몸체부(10)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길이방향(삽입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100)는 절연소재의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를 포함하는데, 도 2a와 도 2b에서와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는 몸체부(10)를 구성하는 바 형상의 제1 몸체부(111)와, 제1 몸체부(111)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삽입부(20)를 구성하는 제1 삽입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10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 몸체부(111)의 길이가 L1, 제1 삽입부(113)의 길이가 L2이고, 상기 제1 몸체부(111)의 두께가 D1, 상기 제1 삽입부(113)의 두께가 D2일 때, L1>L2 및 D2>D1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0)는, 도 6a와 도 6b에서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삽입홈(201)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때, 상술의 삽입부(20)는 외측면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삽입홈(201)의 내주면 일측 구비된 탄성 재질의 접촉돌기(210)와 접촉하며 지지되고, 몸체부(10)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간격을 가지며 플로팅 구간(F)을 형성할 수 있다.
A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B2B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g connector (100) and a receptacle connector (200) connected to different substrates,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are combin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In other words, the plug connector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it is coupled to a coupling groove (201) of a receptacle connector (200) forming a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hrough the illustrated contact portion (130).
To this end, the plug connector (100) may include a body part (10) having a contact part (130) mounted therein and having a bar shape having a width, a length, and a thickness as illustrated. In addition, the plug connector (100) may include an insertion part (20) formed to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ertion direction) to be coupled to a receptacle connector from the body part (10).
Meanwhile, the plug connector (100) includes a plug insulator (110)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plug insulator (110) may include a first body part (111) in the shape of a bar forming the body part (10), and a first insertion part (113) form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11) and forming an insertion part (20).
At this time, the plug connector (100) can be configured to satisfy L1>L2 and D2>D1 when, as in FIG. 3,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part (111) is L1, the length of the first insertion part (113) is L2,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part (111) is D1,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insertion part (113) is D2.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lug connector (1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01)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and coupled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insertion portion (20) described above is supported by having its outer surface come into contact with the elastic contact projection (2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201)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body portion (10) can form a floating section (F) at a gap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다시 말해, 재차 설명하자면, 플러그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몸체부(10)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20)는 몸체부(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o explain again, the body part (10) constituting the plug connector (100) can be formed in a bar shape, and the insertion part (20) can be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10).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길이는 L1, 두께는 D1일 수 있으며, 삽입부(120)의 경우 길이는 L2, 두께는 D2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는 L1>L2 및 D2>D1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length of the body part (10) may be L1, the thickness may be D1, and the length of the insertion part (120) may be L2, the thickness may be D2. Here, the plug connec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satisfy L1>L2 and D2>D1.

한편, 플러그 커넥터(100)는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플러그 인슐레이터(110) 및 커버쉘(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는 바 형상의 제1 몸체부(111), 제1 몸체부(11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삽입부(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쉘(140)은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제1 몸체부(111)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몸체부(141)와 제1 삽입부(113)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삽입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lug connector (100) may further include the plug insulator (110) and the cover shell (140) described above, as illustrated in FIG. 2A. Here, the plug insulator (110) may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111) having a bar shape, a first insertion portion (113)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 and the cover shell (140) may be coupled to cover the plug insulator (110) and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14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portion (111)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14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3).

또한,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는 제1 몸체부(111) 및 제2 몸체부(141)를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삽입부(20)는 제1 삽입부(113) 및 제2 삽입부(143)를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body part (10) can be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second body part (141), and the insertion part (20) can be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insertion part (113)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143).

여기서, 삽입부(20)는 몸체부(10)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므로, 리셉터클의 접촉돌기(210)와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0)는 접촉돌기(210)의 탄성력에 의하여, 리셉터클(200)로부터 플로팅될 수 있다. . Here, the insertion portion (20)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cker than the body portion (10), so that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rojection (210) of the receptacle. 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10) can float from the receptacle (200)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ontact projection (210).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삽입부(20)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너비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는 지지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1)는, 플러그 커넥터(100)가 상대물에 결합시 좌우방향으로의 진동시 결합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지지부(21)가 상대물을 지지하여 좌우방향으로 진동시 가동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도3(a) 및 도4b를 참조하면, 삽입부(20)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21)의 높이(W3)는 W3 > (W2-W1)/2를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W1은 몸체부(10)의 너비방향 길이, W2는 삽입부의 너비방향 길이에 해당하며, 이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등 상대물과의 체결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the insertion portion (20) may further include support portions (21) protruding on each side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100). Here, the support portions (21) may perform a function of maintaining the coupling when the plug connector (100) vibrat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en coupled to the counterpart. In other words, the support portions (21) may support the counterpart and restrict movement within a range of motion when vibrat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3(a) and 4B, the height (W3) of the support portions (21) protru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20) may be formed to satisfy W3 > (W2-W1)/2. Here, W1 corresponds to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body portion (10), and W2 corresponds to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through this, coupling with a counterpart such as a receptacle connector may be performed more easily.

한편, 도2a를 참조하면, 지지부(21)는 제1 지지부(113A) 및 제2 지지부(143A)로 구별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113A)는 제1 삽입부(113)의 너비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제2 지지부(143A)는 제2 삽입부(143)의 너비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 지지부(113A)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143A)는 제1 지지부(113A)를 보호하고, 플러그 커넥터(100)가 상대물에 삽입시 지지부(21)가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A, the support portion (21) can be distinguished into a first support portion (113A)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143A). That is,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may be protruded from each of the two side surface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3). The second support portion (143A) may be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3) and may be formed to cover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That is, the second support portion (143A) may protect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and guide the support portion (21) to be easily inserted when the plug connector (100) is inserted into a counterpart.

구체적으로, 도2b를 참조하면, 제2 지지부(143A)는 제1 연결부(P1), 제1 지지면(P2), 제2 연결부(P3), 제2 지지면(P4), 제3 연결부(P5) 및 제3 지지면(P6)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b, the second support member (143A)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P1), a first supporting surface (P2), a second connecting member (P3), a second supporting surface (P4), a third connecting member (P5), and a third supporting surface (P6).

제1 연결부(P1)는 너비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삽입부(14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113A)의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휘어진 것일 수 있다. 제1 지지면(P2)는 제1 연결부(P2)와 연결된 것으로, 제1 지지부(113A)를 커버하도록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P1) 및 제1 연결부(P2)에 의하여 제1 지지부(113A)는 너비 방향의 외측면이 커버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P1)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3)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can be bent outward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P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P2), and can be bent to cover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to form a flat surface. Here,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3A) can have its outer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covered by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P1)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P2).

이후, 제2 연결부(P3)는 제1 지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P3)는 제1 지지부(113A)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면(P4)는 제2 연결부(P3)와 연결되어, 제1 지지부(113A)를 커버하도록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P3) 및 제2 지지면(P4)에 의하여 제1 지지부(113A)가 삽입방향에서 커버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P3) can b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P3) can be formed to be bent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3A).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P4)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P3) and can be bent to cover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3A) to form a flat surface. That is,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3A) can be cover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b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P3) and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P4).

또한, 제3 연결부(P5)는 제2 지지면(P4)으로부터 너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 지지부(113A)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제3 지지면(P6)은 제3 연결부(P5)와 연결되어 제1 지지부(113A)를 커버하도록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3연결부(P5)와 제3 지지면(P6)은 제1 지지부(113A)의 너비 방향의 내측면이 커버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부(143A)를 제1 지지부(113A)에 고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P5) can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P4) and can be bent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ing portion (113A). The third supporting surface (P6) can be bent to cover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3A) by being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P5) to form a flat surface. In this case,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P5) and the third supporting surface (P6) can cover the width directio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3A) and can fix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43A) to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3A).

한편, 삽입부(20)는 가이드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삽입면(A)에 가이드부(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22)는 제1 가이드부(113B) 및 제2 가이드부(143B)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sertion portion (2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22). That is, the guide portion (22) may be formed on the insertion surface (A) loca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100), and the guide portion (22) may include a first guide portion (113B) and a second guide portion (143B).

제1 가이드부(113B)는 제1 삽입부(113)의 상기 삽입면(A)에 형성되며, 제2 삽입부(143)가 제1 삽입부(113) 상에 고정되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부(113B)는 위치가이드부(G1) 및 고정용돌기(G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가이드부(G1)는 제2 가이드부(143B)가 삽입되는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용돌기(G2)는 위치가이드부(G1)의 양단에 위치하여 제2 가이드부(143B)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위치가이드부(G1)에 의하여 커버쉘(113)이 셀프얼라인(self align)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ortion (113B) is formed on the insertion surface (A)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3), and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ortions (143) may be formed so that they are fixed o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3). Here, the first guide portion (113B)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guide portion (G1) and a fixing projection (G2). The position guide portion (G1)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designate a position in which the second guide portion (143B) is inserted, and the fixing projections (G2) may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position guide portion (G1) to fix the position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43B). That is, the cover shell (113) may be self-aligned by the position guide portion (G1).

제2 가이드부(143B)는 제2 삽입부(143)의 삽입면(A)에 형성되며, 제1 가이드부(113B)상에 체결되어 커버쉘(140)을 플러그 인슐레이터(110)에 고정시키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43B)는 제1 가이드부(113B) 내에 체결되기 위해 복수의 면으로 구별될 수 있다. 즉,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143B)는 제1 가이드면(S1), 제2 가이드면(S2) 및 제3 가이드면(S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portion (143B) is formed on the insertion surface (A)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3), and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to be fastened on the first guide portion (113B) to fix the cover shell (140) to the plug insulator (110). The second guide portion (143B) may be distinguished into multiple surfaces in order to be fastened within the first guide portion (113B).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2B, the second guide portion (143B) may include a first guide surface (S1), a second guide surface (S2), and a third guide surface (S3).

제1 가이드면(S1)은 두께방향에 위치하는 제2 삽입부(143)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면(S2)은 제1 가이드면과 연결되어 삽입면(A)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3 가이드면(S3)은 제2 가이드면(S2)과 연결되어, 삽입면 방향(A)으로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부(143B)는 제2 삽입부(143)로부터 연장되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은 삽입면 방향(A)으로 휘어져 제1 가이드부(113B)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surface (S1) may extend from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3) loc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S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surface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A). Thereafter, the third guide surface (S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surface (S2)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A) to form a flat surface. That is, a plurality of second guide portions (143B)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3), and each may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A) and coupled and fix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113B).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100)는 플러그 인슐레이터(plug insulator, 110), 이너쉘(inner shell, 120), 컨텍트부(130) 및 커버 쉘(cover shell, 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a, a plug connec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g insulator (110), an inner shell (120), a contact portion (130), and a cover shell (140).

이하 도2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를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2a below,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소재로 구현할 수 있으며, 내부에 이너쉘(120) 및 컨텍트부(130)를 실장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홈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는 각각의 이너쉘(120) 및 컨텍트부(130)를 고정홈부(112)로 구별하여 실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각각의 이너쉘(120) 및 컨텍트부(130)들을 절연할 수 있다.The plug insulator (110) can be implemen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that does not conduct electricity, and can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12) for mounting an inner shell (120) and a contact portion (130) therein. That is, the plug insulator (110) can mount each inner shell (120) and contact portion (130) by distinguishing them with the fixing grooves (112), and thereby insulate each inner shell (120) and contact portion (130).

한편, 도1a 및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는 리셉터클 커넥터(미도시) 등 상대물과의 결합시, 가장 먼저 삽입되는 삽입부(20)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는 길이방향의 단면이 T 형상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 등과 결합시 두꺼운 삽입부(20)부터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는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11), 고정홈부(112) 및 제1 삽입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A and 1B, when the plug insulator (110) is coupled with a counterpart such as a receptacle connector (not illustrated), the insertion portion (20) that is inserted first may have a relatively thick shape. That is, the plug insulator (110) may be implemented so that its longitudinal cross-section has a T shape, and may be inserted starting from the thick insertion portion (20) when coupled with a receptacle connector, etc. Specifically, the plug insulator (110) may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111), a fixing groove portion (112), and a first insertion portion (113), as illustrated in FIG. 2A.

제1 몸체부(111)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삽입부(113)는 제1 몸체부(11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면(A)은 플러그 커넥터(100)의 상대물과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삽입면(A)부터 상대물에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part (111) can be formed in a bar shape, and the first insertion part (113) can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part (111). The insertion surface (A) is positio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unterpart of the plug connector (100),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counterpart from the insertion surface (A).

고정홈부(112)은 제1 삽입부(113)에 형성된 삽입면(A)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부(112)은 삽입면(A) 상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홈부(112)들은 나란히 정렬될 수 있다. 이후, 각각의 고정홈부(112) 내에는 이너쉘(120) 및 컨텍트부(130)가 삽입될 수 있다. The fixed groove portion (112) can be formed on the insertion surface (A) formed o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3). A plurality of fixed groove portions (112) can be formed on the insertion surface (A), and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fixed groove portions (112) can be aligned in parallel. Thereafter, an inner shell (120) and a contact portion (130) can be inserted into each fixed groove portion (112).

이너쉘(120)은 고정홈부(112) 내에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 도전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너쉘(120)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 빈 사각기둥의 형상일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각기둥 또는 원통형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너쉘(120)은 도전성 재질로 구현되므로, 이너쉘(120) 내부에 포함되는 컨텍트부(130)에 대한 전자기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ner shell (120) is inserted into each fixed groove (112)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s shown in FIG. 2, the inner shell (120) may have a shape of a hollow square pillar,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also be implemented with a polygonal pillar or cylinder. Since the inner shell (120) is implemen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it may perform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function for the contact portion (130) included inside the inner shell (120).

컨텍트부(130)는 이너쉘(120) 내에 포함되며,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미도시) 내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텍트부(130)는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11)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단은 이너쉘(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너쉘(120) 내에서 플로팅(floating)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텍트부(130)는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핀(131)과 몰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130) is included in the inner shell (120), and when the plug connector (10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not shown), it can form a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As shown in FIG. 2A, the contact portion (130) can have a shape extending paralle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 and one end can be fixed to the inner shell (120) and the other end can be floated within the inner shell (12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A, the contact portion (130) can include a contact pin (131) and a molding portion (132).

컨텍트핀(131)은 금속 등 도전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 내에 삽입시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텍트핀(131)은 선형의 금속핀에 해당하므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압력에 대응하는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텍트핀(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RF 신호용 단자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act pin (131) may be implemen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and may form an electrical contact when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Here, since the contact pin (131) corresponds to a linear metal pin, it may provide elasticity corresponding to pressure in the up-down or left-right direction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utilize at least one of the contact pins (131) as a terminal for an RF signal.

몰딩부(132)은 컨텍트 핀(131)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컨텍트 핀(131)을 절연시킬 수 있으며, 컨텍트 핀(131)을 이너쉘(120) 내부에 플로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딩부(132)의 일단은 이너쉘(120)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이너쉘(12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몰딩부(132)의 일단에는 컨텍트 핀(131)의 일단이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몰딩부(13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컨텍트핀(131)의 타단이 이너쉘(120) 내부에 플로팅될 수 있다. 즉, 컨텍트핀(131)의 타단은 이너쉘(120)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이너쉘(120) 내에 떠있을 수 있다.The molding part (132) is formed to surround the contact pin (131) to insulate the contact pin (131) and to float the contact pin (131) inside the inner shell (12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A, one end of the molding part (132)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hell (120) and can be fixed inside the inner shell (120). Here, one end of the contact pin (131) can be fixed by be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molding part (132), and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in (131)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molding part (132) can be floated inside the inner shell (120).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in (131) can float inside the inner shell (120) without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hell (120).

다만, 컨텍트핀(131)과 이너쉘(12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 등으로 컨텍트핀(131)이 이너쉘(120)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누전이나 단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몰딩부(132)는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핀(131)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컨텍트핀(131)을 이너셀(120)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결합하는 경우에는 컨텍트핀(131)이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몰딩부(132)는 컨텍트핀(131)이 노출되는 접촉부(C)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텍트부(130)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 접촉부(C)를 통하여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However, the contact pin (131) and the inner shell (12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f the contact pin (1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hell (120) due to external impact, etc., problems such as leakage or short circuit may occur. Therefore, as shown in FIG. 2A, the molding part (132) is formed to surround the contact pin (131), thereby insulating the contact pin (131) from the inner shell (120). Here, since the contact pin (131) needs to form an electrical contact when the plug connector (100) is coupled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molding part (132) may additionally include a contact portion (C) where the contact pin (131) is exposed. That is, the contact portion (130) may form an electrical contact through the contact portion (C) when coupled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커버 쉘(140)은 플러그 인슐레이터(110)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2a에서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2개의 부재를 결합하여 커버쉘(140)을 형성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커버 쉘(14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재를 결합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커버 쉘(140)은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인슐레이터(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결합되어,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러그 인슐레이터(110)의 경우, 가공이 용이한 플라스틱 등으로 사출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강도가 약하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 쉘(140)을 플러그 인슐레이터(110)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쉘(140)은 접지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커버 쉘과도 연결될 수 있다. The cover shell (140) can be combin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insulator (110). In FIG. 2A,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wo members of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are combined to form the cover shell (140), but the cover shell (140) can be formed to combine one or more members. The cover shell (140) can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and can be combin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lug insulator (110), respectively, to protect the plug insulator (110) from external impact, etc. In general, the plug insulator (110) can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plastic that is easy to process, but since this has low strength,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due to external impact, etc.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the plug insulator (110), the cover shell (140) can be add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insulator (110). Here, the cover shell (140) can function as a ground, in which case it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cover shell of the receptacle connector.

한편, 삽입부(20)의 설정길이(L2)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적어도 플러그 커넥터(100)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삽입홈의 깊이보다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삽입부(20)의 설정길이(L2)를 컨텍트부(130)의 유효접촉길이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유효접촉길이는 컨텍트부(130)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길이로, 접촉부(C)의 길이에 대응한다. 여기서는, 삽입부(20)의 설정길이(L2)를 유효접촉길이 이상으로 설정하여, 접촉부(C)에 대한 와이핑(wiping)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t length (L2) of the insertion portion (20) may be se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but may be set at least shorter than the depth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nto which the plug connector (100) is inserted.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t length (L2) of the insertion portion (20) may be set to be longer than the effective contact length of the contact portion (130). The effective contact length is a length at which the contact portion (130) can form an electrical contact, and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contact portion (C). Here, the set length (L2) of the insertion portion (20) may be set to be longer than the effective contact length, so that wiping of the contact portion (C) may be performed.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6a 및 도6b는 결합시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5a 및 도5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러그 커넥터(100)에 포함된 이너쉘(120) 및 컨텍트부(130)의 구성을 생략하여 표시하였다. FIGS. 5A and 5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combination of a plug connector (100) and a receptacle connecto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at the time of combination.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S. 5A and 5B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shell (120) and the contact portion (130) included in the plug connector (100) without showing them.

도5a 및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20)의 설정두께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삽입홈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부(20)가 정확히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삽입홈 상에 위치하지 않으면, 체결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시 삽입부(20)에 의하여, 삽입위치가 용이하게 특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정확하게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삽입홈 내에 삽입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set thickness of the insertion portion (20) can be set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In this case, if the insertion portion (20) of the plug connector (100) is not positioned exactly on the insertion groov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the connection becomes impossible. That is, when the plug connector (100) is inserted, the insertion position can be easily specified by the insertion portion (20), and through this, the plug connector (100) can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일반적으로, 플로팅 B2B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를 플로팅시키기 위해 상대물 내부에 플러그 커넥터가 변위할 수 있는 플로팅 간격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플로팅 간격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물과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작업자는 결합을 위하여 반복적으로 결합을 시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충돌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 또는 상대물이 등이 파손될 위험성도 존재한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 floating B2B connector, a floating gap may be provided within the counterpart to allow the plug connector to be displaced in order to float the connector. However, due to the floating gap, the plug connector may not be precisely aligned with the corresponding counterpart, and in this case, mating of the plug connector may be difficult.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worker may repeatedly attempt to mate, and in some cases, there is a risk that the plug connector or the counterpart may be damaged due to a collision.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의 경우에는, 삽입부(20)를 포함하므로, 삽입부(20)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삽입홈과 밀착하여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플러그 커넥터(100)로 별도로 정렬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리셉터클 커넥터(200) 내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작업자는 리셉터클 커넥터(200)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블라인드(blind) 체결시에도, 용이하게 플러그 커넥터(100)를 삽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lug connec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20), the plug connector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in close contact with it by the insertion portion (20). Accordingly, the worker can easily insert it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align it with the plug connector (100). That is, even in the case of blind connec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onfirm the posi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the worker can easily insert the plug connector (100).

추가적으로, 도6a 및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0)는 몸체부(10)와 삽입부(20)로 이루어지며, 삽입부(20)는 몸체부(10)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바(bar) 형상의 몸체부, 몸체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 및 삽입홈의 내주면 상에 설정두께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plug connector (100) is composed of a body portion (10) and an insertion portion (20), and the insertion portion (20)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thicker than the body portion (10). At this time,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may include a bar-shaped body portion,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protrusion formed with a set thicknes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200) 내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촉돌기(210)가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부(20)가 접촉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100)는 접촉돌기(210)의 탄성에 의하여 플로팅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촉돌기(210)에 의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100) 사이에 플로팅 구간(F)을 제공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100) 각각의 이너쉘에 삽입된 컨택트 단자도 플로팅 될 수 있다. Here, when the plug connector (100)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and connected, the contact projection (21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sertion portion (20) of the plug connector (100), and the plug connector (100) can float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contact projection (210). That is, a floating section (F) can be provided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and the plug connector (100) by the contact projection (21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and the contact terminals inserted into the inner shells of each of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and the plug connector (100) can also float.

만약,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100) 사이에 플로팅 구간(F)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각각의 이너쉘들은 고정되어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100) 내부에 삽입되어 있게 되므로, 고정되어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100) 내부에 부딪혀 파손될 위험이 크다. If a floating section (F) is not provided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and the plug connector (100), each inner shell is inserted into the fixed receptacle connector (200) and plug connector (100), and thus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by hitting the fixed receptacle connector (200) and plug connector (10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와의 체결시 플로팅 구간(F)을 형성하여 이너쉘이 플로팅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너쉘의 플로팅에 의하여, 이너쉘 내부의 컨택트부도 함께 플로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플로팅 구간(F)은 플러그 커넥터(100), 이너쉘(120), 컨텍트부(130)가 플로팅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진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Accordingly, the plug connec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floating section (F) when connected to a receptacle connector (200) so that the inner shell can float, and further, by floating the inner shell, the contact portion inside the inner shell can also float. That is, the floating section (F) allows the plug connector (100), the inner shell (120), and the contact portion (130) to float, and also provides a space that can alleviate shock due to external vibration.

플로팅 B2B 커넥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체결된 이후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이 인가되더라도, 플러그 커넥터(100)의 컨텍트부(130)과 리셉터클의 컨텍트부 사이의 전기적 접점을 유지하면서 외부 진동에 따라 컨텍트부(130)가 같이 플로팅되는 것이다. 따라서, 컨택트부가 삽입된 이너쉘이 플로팅될 수 있도록,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 사이에 플로팅 구간(F)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The most important point in a floating B2B connector is that even if vibration or external impact is applied after the plug connector (10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are connected,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30) of the plug connector (100)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receptacle is maintained, and the contact portion (130) floats together with the external vib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 a floating section (F) between the plug connector (10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so that the inner shell into which the contact portion is inserted can float.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플러그 커넥터 110: 플러그 인슐레이터
111: 몸체부 112: 결합홈
113: 삽입부 120: 이너쉘
130: 컨텍트부 131: 컨텍트핀
132: 몰딩부 140: 커버 쉘
200: 리셉터클 커넥터
100: Plug connector 110: Plug insulator
111: Body 112: Joining groove
113: Insert 120: Inner shell
130: Contact part 131: Contact pin
132: Molding part 140: Cover shell
200: Receptacle connector

Claims (12)

플로팅 B2B 커넥터(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삽입홈(201)에 삽입되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컨택트부(1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100)에 있어서,
너비와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컨택트부(130)가 실장된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부(2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를 구성하는 바 형상의 제1 몸체부(111)와, 상기 제1 몸체부(111)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20)를 구성하는 제1 삽입부(113)를 포함하는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111)의 길이가 L1, 상기 제1 삽입부(113)의 길이가 L2이고,
상기 제1 몸체부(111)의 두께가 D1, 상기 제1 삽입부(113)의 두께가 D2일 때,
L1>L2 및 D2>D1을 만족하고,
상기 삽입부(20)는 외측면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삽입홈(201)에 구비된 탄성 재질의 접촉돌기(210)와 접촉하며 지지되고,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과 간격을 가지며 플로팅 구간(F)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In a plug connector (100) that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201) of a receptacle connector forming a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B2B connecto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through a contact portion (130),
A body part (10) in the shape of a bar having a width, length and thickness, and having the contact part (130) mounted inside;
Including an insertion portion (20)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along a longitudinal end portion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in the body portion (10);
It includes a plug insulator (110) including a first body part (111) in the shape of a bar forming the body part (10) and a first insertion part (113) form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11) and forming the insertion part (20).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part (111) is L1, the length of the first insertion part (113) is L2,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part (111) is D1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insert part (113) is D2,
Satisfies L1>L2 and D2>D1,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0) is supported by contacting an elastic contact projection (210)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201)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body portion (10) has a gap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forms a floating section (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110)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부(111)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몸체부(141) 및 상기 제1 삽입부(113)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삽입부(143)를 포함하는 커버쉘(1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부(111)와 상기 제2 몸체부(141)는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삽입부(113)와 제2 삽입부(143)는 결합되면서 상기 삽입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It further includes a cover shell (140) that is coupl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plug insulator (110) and includes a second body part (14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part (111) and a second insertion part (14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part (113).
The abov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above second body part (141) are combined to form the above body part (10),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3)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3) are combined to form the insertion portion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너비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는 지지부(2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21)는
상기 제1 삽입부(113)의 너비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는 제1 지지부(113A); 및
상기 제2 삽입부(143)의 너비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부(113A)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부(14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In the second paragraph, the insertion part (20)
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21) protruding on each side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100).
The above support member (21)
First support parts (113A) protruding from each side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on part (113); and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support portion (143A)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3) and formed to cover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삽입면(A)에 형성되는 가이드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In the second paragraph, the insertion part (20)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uide portion (22) formed on an insertion surface (A) positio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10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2)는
상기 제1 삽입부(113)의 상기 삽입면(A)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143)가 상기 제1 삽입부(113) 상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부(113B); 및
상기 제2 삽입부(143)의 상기 삽입면(A)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113B) 상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쉘(140)을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110)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제2 가이드부(14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In the fifth paragraph, the guide part (22)
A plurality of first guide parts (113B) formed on the insertion surface (A) of the first insertion part (113) and formed so that the second insertion part (143) is fixed on the first insertion part (113); and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guide portions (143B) formed on the insertion surface (A)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3) and fastened on the first guide portion (113B) to fix the cover shell (140) to the plug insulator (1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113B)는
상기 제2 가이드부(143B)가 삽입되는 위치를 지정하는 오목한 형상의 위치가이드부(G1); 및
상기 위치가이드부(G1)의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가이드부(143B)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용 돌기(G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In the sixth paragraph, the first guide part (113B)
A concave-shaped position guide part (G1) that specifies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guide part (143B) is inserted; and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ing projection (G2) located at both ends of the position guide portion (G1) to fix the position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43B).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143B)는
두께방향에 위치하는 제2 삽입부(143)로부터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면(S1);
상기 제1 가이드면(S1)과 연결되며, 삽입면(A)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2 가이드면(S2); 및
상기 제2 가이드면(S2)과 연결되며, 상기 삽입면(A) 방향으로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3 가이드면(S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In the sixth paragraph, the second guide part (143B)
A first guide surface (S1) extend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from a second insertion portion (143) loc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second guide surface (S2)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surface (S1)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A); and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hird guide surface (S3)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surface (S2)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A) to form a flat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143A)는
상기 너비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삽입부(143)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113A)의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휘어지는 제1 연결부(P1);
상기 제1 연결부(P1)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113A)를 커버하도록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면(P2);
상기 제1 지지면(P2)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113A)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휘어지는 제2 연결부(P3);
상기 제2 연결부(P3)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113A)를 커버하도록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면(P4);
상기 제2 지지면(P4)으로부터 상기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113A)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휘어지는 제3 연결부(P5); 및
상기 제3 연결부(P5)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113A)를 커버하도록 휘어져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3 지지면(P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In the third paragraph, the second support member (143A)
A first connecting portion (P1) connected to a second insertion portion (143)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bent outwar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A first support surface (P2)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P1) and bent to cover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to form a flat surface;
A second connecting portion (P3)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first support surface (P2) and bending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A second support surface (P4)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P3) and bent to cover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to form a flat surface;
A third connecting portion (P5)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support surface (P4) and bending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and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hird support surface (P6) that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P5) and is bent to cover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A) to form a flat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11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삽입면(A)에 형성되며, 이너쉘(120)들의 결합위치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홈부(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In the second paragraph, the plug insulator (110)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12) formed on an insertion surface (A) positio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100) and fixing the joining positions of inner shells (1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쉘(140)은
하나 또는 두개의 부재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In the second paragraph, the cover shell (140)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by combining one or two memb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1)는
W3 > (W2-W1) / 2를 만족하며, 상기 W3는 상기 삽입부(20)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21)의 높이, W1은 상기 몸체부(10)의 너비방향 길이, W2는 상기 삽입부(20)의 너비방향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In the third paragraph, the support member (21)
A plug connector of a floating B2B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satisfies W3 > (W2-W1) / 2, wherein W3 is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21) protruding from the insert portion (20), W1 is the widthwis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0), and W2 is the widthwise length of the insert portion (20).
KR1020190113650A 2018-10-05 2019-09-16 plug connector for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Active KR10277899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18890 2018-10-05
KR1020180118890 2018-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556A KR20200039556A (en) 2020-04-16
KR102778998B1 true KR102778998B1 (en) 2025-03-12

Family

ID=7045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650A Active KR102778998B1 (en) 2018-10-05 2019-09-16 plug connector for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89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33314B2 (en) 2021-03-30 2024-08-14 Smk株式会社 Receptacle connectors and connector se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891B1 (en) 2013-08-08 2015-02-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US20180175561A1 (en) * 2016-12-21 2018-06-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35072U (en) * 2012-03-28 2012-08-01 Speedtech Corp Board to board connector
US10084257B2 (en) * 2015-06-03 2018-09-25 Molex, Llc Electrical connector
KR101814008B1 (en) * 2016-06-17 2018-01-0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891B1 (en) 2013-08-08 2015-02-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US20180175561A1 (en) * 2016-12-21 2018-06-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WM435072 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556A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5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580253B1 (en) Connector
CN110915068B (en) Connector assembly
KR101495399B1 (en)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skew between a differential signal pair
KR20230019919A (en) receptacle connector
EP3196989B1 (en) Coaxial connector equipped with floating mechanism
US7186126B2 (en)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US9190750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802731B1 (en)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US20160261080A1 (en) Connector
CN111244654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EP1684387A1 (en) Earth terminal fitting and electric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180077069A (en) Electric connector
KR20180111144A (en) Board to board connector
US10170868B1 (en) Connector
CN113690688A (en) connector assembly
US6457980B2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KR101926725B1 (en) Plug connection
JP7403614B2 (en) connector
KR102778999B1 (en) receptacle connector for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KR102611241B1 (en)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KR102778998B1 (en) plug connector for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KR101488891B1 (en)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KR101488892B1 (en)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CN113169471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3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