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5809B1 -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 Google Patents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809B1
KR102275809B1 KR1020200068596A KR20200068596A KR102275809B1 KR 102275809 B1 KR102275809 B1 KR 102275809B1 KR 1020200068596 A KR1020200068596 A KR 1020200068596A KR 20200068596 A KR20200068596 A KR 20200068596A KR 102275809 B1 KR102275809 B1 KR 102275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unit
folding
head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
최명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 최명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
Priority to KR102020006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8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5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involving a particular layout of the machinery or relative arrangement of its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Improv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0/00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having all side walls attached to the bottom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펼쳐진 포장박스(B)를 접어 완성하는 제함기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다수의 포장박스(B)를 적재하는 안착대(12)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대(12)로부터 최하측의 포장박스(B)를 순차적으로 배출하게 공급수단(11)을 구비하는 공급유니트(10); 상기 공급유니트(10)의 하류측으로 포장박스(B)를 이송하는 이송대(21)를 구비하고, 포장박스(B)를 안착하여 안내하는 안착부(22)를 구비하는 이송유니트(20); 상기 이송유니트(20)의 하류측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포장박스(B)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1)을 구비하는 분사유니트(30); 상기 이송유니트(20)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이동된 포장박스(B)의 접힘부(B1)로 가압하여 절첩하는 절첩헤드(41)를 구비하고, 포장박스(B)의 장(長)과 폭(幅)에 맞게 절첩헤드(41)의 제1ㆍ2헤드(44)(45)를 조절하는 헤드조절수단(60)을 구비하는 절첩유니트(40); 및 상기 공급유니트(10), 이송유니트(20), 분사유니트(30), 절첩유니트(40)를 포장박스(B)의 크기에 따라 각각 장(長)과 폭(幅)을 조정하는 조절유니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공급 및 절첩 공정을 완전 자동화하여 작동의 신속성과 정확성은 물론 생산성을 배가하고, 생산에 의한 에러와 제품 불량을 최소화시켜 공정 자동화에 따른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은 물론 포장박스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확보하여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에 대해 제한 없이 생산 가능하여 전반적인 공정 자동화의 효율을 더욱 더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Automatic Packaging box manufacturing For Box mak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으로 포장박스를 제조하는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장박스의 공급 및 절첩 공정을 완전 자동화하여 작동의 신속성과 정확성은 물론 생산성을 배가하고, 생산에 의한 에러와 제품 불량을 최소화시켜 공정 자동화에 따른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은 물론 포장박스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확보하여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에 대해 제한 없이 생산 가능하여 전반적인 공정 자동화의 효율을 더욱 더 극대화할 수 있는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포장박스(Box)는 다양한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과 이동이 유리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포장박스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데 특히, 골판지 등의 종이재로 형성되는 박스에 경우 접은 상태로 테이핑 또는 접착제 등을 통하여 사각형의 박스를 형성한다.
한편,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하여 이행해왔기 때문에 작업적 효율이 현저히 떨어져 많은 시간 소모와 함께 노동력을 발휘해야만 했다. 이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제함기를 사용하였지만 박스의 접히는 부위의 정확한 가압과 함께 전체적인 공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2410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1129호(선행문헌 2)가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동력장치와; 상기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캠과;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다수의 종동절과; 상단에 판재가 배치되는 절곡부재와; 상기 종동절과 상기 절곡부재를 연결하는 다수의 로우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곡부재는 중심에 배치되는 중앙절곡판을 포함하여 다수의 절곡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곡판에는 각각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호 힌지 결합하고, 상기 힌지부에는 스프링힌지가 장착되며, 상기 절곡판은 상기 종동절에 의한 로우프의 이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절곡되어 판재를 상자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상자 자동 제함기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상자를 접기 위해서 많은 연결 부재와 절곡부재가 순차적으로 작동이 되어야 하지만 약간의 작동에 대한 어긋남이 발생하면 전체적인 공정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2는 테이블 형상의 메인 프레임(100);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의 블랭크 박스(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된 박스 공급부(200); 상기 박스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박스(1)를 하나씩 분리시켜 사각 함체 형태로 개함시키기 위한 박스 개함부(300); 상기 박스 개함부(300)에서 개함된 박스의 하부에 형성된 내접이 플랩(21,25) 및 외접이 플랩(23,27)들을 상호 맞접혀지도록 절첩시키는 날개 절첩장치(400); 상기 절첩된 내접이 플랩(21,25)의 측면에 인접한 측벽을 일 방향으로 가압시켜 내접이 플랩(21,25)의 좌우외측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연장되는 수직면이 연속체의 내벽들과 정합되어 포장용 박스의 외형이 완성,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장치(600); 및 상기 가압장치(600)에 의해 외형이 유지된 상태로 박스(1)를 공급받아 외접이 플랩(23,27)의 맞접혀진 단면이 테이핑되도록 하는 박스 테이핑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 공급부(2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매거진(210)과, 상기 제1 매거진(210)과 대향하여 수평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폭조절되는 제2 매거진(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 2에 의하면, 박스의 면밀한 사각형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 불량률을 줄이는데 문제는 물론 다양한 크기의 박스를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2410호 "오픈 상자 자동 제함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1129호 "제함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박스의 공급 및 절첩 공정을 완전 자동화하여 작동의 신속성과 정확성은 물론 생산성을 배가하고, 생산에 의한 에러와 제품 불량을 최소화시켜 공정 자동화에 따른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은 물론 포장박스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확보하여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에 대해 제한 없이 생산 가능하여 전반적인 공정 자동화의 효율을 더욱 더 극대화할 수 있는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펼쳐진 포장박스를 접어 완성하는 제함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포장박스를 적재하는 안착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대로부터 최하측의 포장박스를 순차적으로 배출하게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공급유니트; 상기 공급유니트의 하류측으로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이송대를 구비하고, 포장박스를 안착하여 안내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이송유니트; 상기 이송유니트의 하류측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포장박스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분사유니트; 상기 이송유니트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이동된 포장박스의 접힘부로 가압하여 절첩하는 절첩헤드를 구비하고, 포장박스(B)의 장(長)과 폭(幅)에 맞게 절첩헤드의 제1ㆍ2헤드를 조절하는 헤드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절첩유니트; 및 상기 공급유니트, 이송유니트, 분사유니트, 절첩유니트를 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각각 장(長)과 폭(幅)을 조정하는 조절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수단은 다수개로 적재한 포장박스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대, 힌지를 중심으로 제1서보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급대, 공급대 상에 장착되어 안착대에서 최하측의 포장박스를 흡착하여 배출하는 다수개의 홀딩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유니트는 공급유니트로부터 전달받은 포장박스를 밀어 이동시키는 이송대, 레일 상에서 이송대를 직선방향으로 이송하는 볼스크류, 볼스크류의 이송력을 부여하는 제2서보모터를 구비하며,상기 절첩유니트는 절첩헤드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기어열에 연결되는 상하모터, 포장박스를 정위치로 정지시키는 스토퍼, 포장박스의 하단면의 중앙을 가압하는 제1헤드, 포장박스의 하단면의 끝단을 가압하는 동시에 포장박스로부터 이탈이 원활하게 회전되는 제2헤드, 제1, 2헤드의 가압 시 포장박스의 접힘을 안내하는 사각배열의 가이드, 포장박스의 상단면을 가압하여 접는 제1가압부와 제1가압실린더, 포장박스의 상단면의 날개면을 가압하여 접는 제2가압부와 제2가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유니트는 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엔코더(Encoder), 상기 엔코더에 의해 공급유니트의 안착대와 이송유니트의 안착부의 간격을 포장박스의 폭(幅)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조정모터, 상기 절첩유니트의 가이드를 포장박스의 장(長)과 폭(幅)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3조정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조절수단은 포장박스의 크기에 맞게 제1헤드와 제2헤드를 X축과 Y축 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교차 방향으로 형성되는 양방향 볼스크류와, 상기 양방향 볼스크류를 손수 회전시켜 제1헤드와 제2헤드가 벌어져 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각각 장(長)과 폭(幅)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는 포장박스의 공급 및 절첩 공정을 완전 자동화하여 작동의 신속성과 정확성은 물론 생산성을 배가하고, 생산에 의한 에러와 제품 불량을 최소화시켜 공정 자동화에 따른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은 물론 포장박스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확보하여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에 대해 제한 없이 생산 가능하여 전반적인 공정 자동화의 효율을 더욱 더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용 제함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용 제함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용 제함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용 제함기에 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
도 5a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용 제함기에 절첩유니트의 절첩헤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용 제함기에 절첩유니트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용 제함기에 의해 완성된 박스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용 제함기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펼쳐진 박스(B)를 접어 완성하는 제함기에 관련되며, 공급유니트(10), 이송유니트(20), 분사유니트(30), 절첩유니트(40), 조절유니트(50), 헤드조절수단(6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유니트(10)는 상기 다수의 포장박스(B)를 적재하는 안착대(12)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대(12)로부터 최하측의 포장박스(B)를 순차적으로 배출하게 공급수단(11)을 구비한다. 공급유니트(10)는 작업자가 다수의 포장박스(B)를 안착대(12) 상에 적재시킨 상태에서 최하측에 위치한 포장박스(B)를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수단(11)에 의해 후속하는 이송유니트(20)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공급수단(11)은 다수개로 적재한 포장박스(B)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대(12), 힌지(14)를 중심으로 제1서보모터(15)의 회전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급대(13), 공급대(13) 상에 장착되어 안착대(12)에서 최하측의 포장박스(B)를 흡착하여 배출하는 다수개의 홀딩패드(16)를 구비한다. 공급유니트(10)의 공급수단(11)은 안착대(12) 상에 다수개로 포장박스(B)가 적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배출이 용이하게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대(12)는 공급수단(11)에 의해 좀 더 수월하게 포장박스(B)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적합한 구성임으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공급수단(11)은 공급대(13)를 통해 안착대(12)에 적층되어 있는 최하측의 포장박스(B)를 이탈되게 하는데 제1서보모터(15)의 회전력으로 공급대(13)는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 포장박스(B)로 근접하게 되고, 공급대(13)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딩패드(16)가 포장박스(B)를 흡착한 상태로 안착부(22) 방향으로 재차 회전하여 포장박스(B)를 배출하여 후속하는 이송유니트(20)의 안착부(22)에 안착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유니트(20)는 상기 공급유니트(10)의 하류측으로 포장박스(B)를 이송하는 이송대(21)를 구비하고, 포장박스(B)를 안착하여 안내하는 안착부(22)를 구비한다. 이송유니트(20)는 공급유니트(10)의 하류측으로 위치하고 공급유니트(10)의 공급수단(11)으로부터 배출된 포장박스(B)가 안착부(22) 상에 안착되면 이송대(21)를 통해 포장박스(B)를 후속하는 분사유니트(30)와 절첩유니트(40)의 방향으로 밀어 이송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송유니트(20)는 공급유니트(10)로부터 전달받은 포장박스(B)를 밀어 이동시키는 이송대(21), 레일(25) 상에서 이송대(21)를 직선방향으로 이송하는 볼스크류(24), 볼스크류(24)의 이송력을 부여하는 제2서보모터(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장박스(B)는 분사유니트(30)와 절첩유니트(40) 방향으로 밀어 이동하도록 이송대(21)를 구비하는데, 이송대(21)는 직선방향으로 전후진하는 볼스크류(24) 상에 장착되고 레일(25) 상에서 이송대(21)가 정역회전을 통해 포장박스(B)의 이동과 복귀가 가능하도록 제2서보모터(23)를 구비하게 된다. 즉, 공급유니트(10)의 공급수단(11)으로부터 배출되어 안착부(22)에 안착된 포장박스(B)를 전진하여 절첩유니트(40)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공급유니트(10)의 공급수단(11)이 재차 다음 포장박스(B)를 흡착함은 물론 이송대(21)는 후진하여 배출된 다음 포장박스(B)를 밀어주는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이송유니트(20)는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송대(21)를 전후진하기 위해 볼스크류 방식이 아닌 제2서보모터(23)에 벨트(또는 체인)으로 연결하여 이송대(21)는 직선방향으로 전후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유니트(30)는 상기 이송유니트(20)의 하류측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포장박스(B)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1)을 구비한다. 분사유니트(30)는 이송유니트(20)의 이송대(21)로부터 안착부(22)에 안착된 상태로 절첩유니트(40)로 이동할 때, 상부에 위치한 분사노즐(31)에 의해 포장박스(B)의 접착 부위로 접착제를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분사유니트(30)에 경우 이송유니트(20)의 안착부(22) 상에 지지되게 고정됨으로 후속하는 조절유니트(50)를 통해 포장박스(B)의 크기에 따라 분사노즐(31)의 위치 또한 조절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첩유니트(40)는 상기 이송유니트(20)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이동된 포장박스(B)의 접힘부(B1)로 가압하여 절첩하는 절첩헤드(41)를 구비하고, 포장박스(B)의 장(長)과 폭(幅)에 맞게 절첩헤드(41)의 제1ㆍ2헤드(44)(45)를 조절하는 헤드조절수단(60)을 구비한다. 절첩유니트(40)는 이송유니트(20)의 하류측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이송유니트(20)의 이송대(21)를 통해 절첩유니트(40)로 이동되어 정위치에 안착된 포장박스(B)는 절첩헤드(41)를 통해 박스(B)에 형성된 각각의 접힘부(B1)에 맞게 가압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절첩헤드(41)는 제1헤드(44)와 제2헤드(45)로 각각 이루어지면서 헤드조절수단(60)에 의해 제1헤드(44)와 제2헤드(45)가 양측으로 조절되어 포장박스(B)의 장(長)과 폭(幅)에 맞게 조절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첩유니트(40)는 절첩헤드(41)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기어열(42a)에 연결되는 상하모터(42), 포장박스(B)를 정위치로 정지시키는 스토퍼(43), 포장박스(B)의 하단면(B2)의 중앙을 가압하는 제1헤드(44), 포장박스(B)의 하단면(B2)의 끝단을 가압하는 동시에 포장박스(B)로부터 이탈이 원활하게 회전되는 제2헤드(45), 제1, 2헤드(44)(45)의 가압 시 포장박스(B)의 접힘을 안내하는 사각배열의 가이드(46), 포장박스(B)의 상단면(B3)을 가압하여 접는 제1가압부(47)와 제1가압실린더(47a), 포장박스(B)의 상단면(B3)의 날개면(B4)을 가압하여 접는 제2가압부(48)와 제2가압실린더(48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첩유니트(40)는 절첩헤드(41)가 제1헤드(44)와 제2헤드(45)로 이루어지는데, 절첩헤드(41)로부터 스프링(도면번호 미부여)이 탄지된 제1헤드(44)와 제2헤드(45)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헤드(44)와 제2헤드(45)는 절첩헤드(41)가 하강시에 포장박스(B)의 하단면(B2)을 지지하여 그 형태(포장박스)를 만들어주고 포장박스(B)의 접힘부(B1)가 접힐 때까지 지지하고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 없이 제작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절첩헤드(41)가 상승시에 제1헤드(44)와 제2헤드(45)가 포장박스(B)의 접힘부(B1)에 닿으면 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접혀져 포장박스(B)의 손상을 주지 않고 절첩헤드(41)가 안전히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이송유니트(20)의 이송대(21)를 통해 이동되는 포장박스(B)를 정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스토퍼(43)를 구비하고, 정위치에 위치한 포장박스(B)의 상부에서 직하방으로 절첩헤드(41)가 기어열(42a)에 연결되는 상하모터(42)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이러한, 절첩헤드(41)의 제1헤드(44)와 제2헤드(45)가 이동하여 포장박스(B)의 하단면(B2) 중앙과 하단면(B2)의 끝단에 형성되는 접힘부(B1)를 가압하면 포장박스(B)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포장박스(B)의 끝단을 가이드(46)에 걸려 사각형 형태로 원활한 접힘을 안내한다. 이어서, 포장박스(B)의 상단면(B3)이 상부 방향으로 향하게 되면 제1가압실린더(47a)의 작동에 의해 제1가압부(47)가 회전하여 포장박스(B)의 상단면(B3)을 가압하여 접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연속적으로 제2가압실린더(48a)의 작동에 의해 제2가압부(48)가 회전하여 상단면(B3)의 날개면(B4)을 가압하여 접어주게 된다. 이로써, 분사유니트(30)의 분사노즐(31)을 통해 포장박스(B)에 분사된 접착제를 통해 포장박스(B)가 완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헤드조절수단(60)은 포장박스(B)의 크기에 맞게 제1헤드(44)와 제2헤드(45)를 X축과 Y축 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교차 방향으로 형성되는 양방향 볼스크류(61)(63)와, 양방향 볼스크류(61)(63)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헤드조절수단(60)은 후술하는 조절유니트(50)에 의해 포장박스(B)의 크기에 따라 각각 장(長)과 폭(幅)을 조정하게 되면 이와 대응되게 절첩헤드(41)의 제1헤드(44)와 제2헤드(45)를 조절한다. 이러한 헤드조절수단(60)은 포장박스(B)의 크기에 맞게 제1헤드(44)와 제2헤드(45)를 X축과 Y축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B)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바, 양방향 볼스크류(61)(63)를 손수 회전시켜 제1헤드(44)와 제2헤드(45)가 벌어져 포장박스(B)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도 5a와 도 5b처럼 볼스크류(61)(63)는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사산을 통해 서로 넓어지거나 좁아져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B)에 대해 절첩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유니트(50)는 상기 공급유니트(10), 이송유니트(20), 분사유니트(30), 절첩유니트(40)를 포장박스(B)의 크기에 따라 각각 장(長)과 폭(幅)을 조정한다. 조절유니트(50)는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B)에 따라 장(長)과 폭(幅)이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이에 맞게 공급유니트(10), 이송유니트(20), 분사유니트(30), 절첩유니트(40)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엔코더(Encoder)에 의해 각각 조정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조절유니트(50)는 포장박스(B)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엔코더(Encoder), 상기 엔코더에 의해 공급유니트(10)의 안착대(12)와 이송유니트(20)의 안착부(22)의 간격을 포장박스(B)의 폭(幅)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스크류(51)를 회전시키는 제1조정모터(52), 상기 절첩유니트(40)의 가이드(46)를 포장박스(B)의 장(長)과 폭(幅)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볼스크류(53)(54)를 회전시키는 제2,3조정모터(55)(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엔코더(Encoder)는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컨트롤박스 상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조작을 통해 엔코더를 조정하여 포장박스(B)의 크기에 따라 공급유니트(10), 이송유니트(20), 분사유니트(30), 절첩유니트(40)를 조정한다. 즉 공급유니트(10)의 안착대(12)와 이송유니트(20)의 안착부(22)는 동시에 조정되는데, 이는 제1조정모터(52)에 의해 볼스크류(51)가 회전하여 포장박스(B)의 폭(幅)에 맞게 조절한다. 이와 함께 절첩유니트(40)의 가이드(46)는 제2,3조정모터(55)(56)에 의해 양방향 볼스크류(53)(54)가 회전하여 포장박스(B)의 장(長)과 폭(幅)에 맞게 조절한다. 한편, 상기한 조정에 의해 조절되면 앞서 설명한 절첩헤드(41)를 헤드조절수단(60)에 의해 양방향 볼스크류(61)(63)를 손수 회전시켜 제1헤드(44)와 제2헤드(45)의 간격을 조절하여 포장박스(B)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공급 및 절첩 공정을 완전 자동화하여 작동의 신속성과 정확성은 물론 생산성을 배가하고, 생산에 의한 에러와 제품 불량을 최소화시켜 공정 자동화에 따른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은 물론 포장박스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확보하여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에 대해 제한 없이 생산 가능하여 전반적인 공정 자동화의 효율을 더욱 더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공급유니트 11: 공급수단
12: 안착대 13: 공급대
14: 힌지 15: 제1서보모터
16: 홀딩패드 20: 이송유니트
21: 이송대 22: 안착부
23: 제2서보모터 24: 볼스크류
25: 레일 30: 분사유니트
31: 분사노즐 40: 절첩유니트
41: 절첩헤드 42: 상하모터
42a: 기어열 43: 스토퍼
44: 제1헤드 45: 제2헤드
46: 가이드 47: 제1가압부
47a: 제1가압실린더 48: 제2가압부
48a: 제2가압실린더 50: 조절유니트
51: 볼스크류 52: 제1조정모터
53, 53: 양방향 볼스크류 55, 56: 제2조정모터
56: 제3조정모터 60: 헤드조절수단
61,63: 양방향 볼스크류
B: 박스
B1: 접힘부 B2: 하단면
B3: 상단면 B4: 날개면

Claims (6)

  1. 펼쳐진 포장박스(B)를 접어 완성하는 제함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포장박스(B)를 적재하는 안착대(12)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대(12)로부터 최하측의 포장박스(B)를 순차적으로 배출하게 공급수단(11)을 구비하는 공급유니트(10);
    상기 공급유니트(10)의 하류측으로 포장박스(B)를 이송하는 이송대(21)를 구비하고, 포장박스(B)를 안착하여 안내하는 안착부(22)를 구비하는 이송유니트(20);
    상기 이송유니트(20)의 하류측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포장박스(B)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1)을 구비하는 분사유니트(30);
    상기 이송유니트(20)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이동된 포장박스(B)의 접힘부(B1)로 가압하여 절첩하는 절첩헤드(41)를 구비하고, 포장박스(B)의 장(長)과 폭(幅)에 맞게 절첩헤드(41)의 제1ㆍ2헤드(44)(45)를 조절하는 헤드조절수단(60)을 구비하는 절첩유니트(40); 및
    상기 공급유니트(10), 이송유니트(20), 분사유니트(30), 절첩유니트(40)를 포장박스(B)의 크기에 따라 각각 장(長)과 폭(幅)을 조정하는 조절유니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수단(11)은 다수개로 적재한 포장박스(B)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대(12), 힌지(14)를 중심으로 제1서보모터(15)의 회전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급대(13), 공급대(13) 상에 장착되어 안착대(12)에서 최하측의 포장박스(B)를 흡착하여 배출하는 다수개의 홀딩패드(16)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유니트(20)는 공급유니트(10)로부터 전달받은 포장박스(B)를 밀어 이동시키는 이송대(21), 레일(25) 상에서 이송대(21)를 직선방향으로 이송하는 볼스크류(24), 볼스크류(24)의 이송력을 부여하는 제2서보모터(23)를 구비하며,
    상기 절첩유니트(40)는 절첩헤드(41)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기어열(42a)에 연결되는 상하모터(42), 포장박스(B)를 정위치로 정지시키는 스토퍼(43), 포장박스(B)의 하단면(B2)의 중앙을 가압하는 제1헤드(44), 포장박스(B)의 하단면(B2)의 끝단을 가압하는 동시에 포장박스(B)로부터 이탈이 원활하게 회전되는 제2헤드(45), 제1, 2헤드(44)(45)의 가압 시 포장박스(B)의 접힘을 안내하는 사각배열의 가이드(46), 포장박스(B)의 상단면(B3)을 가압하여 접는 제1가압부(47)와 제1가압실린더(47a), 포장박스(B)의 상단면(B3)의 날개면(B4)을 가압하여 접는 제2가압부(48)와 제2가압실린더(48a)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유니트(50)는 포장박스(B)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엔코더(Encoder), 상기 엔코더에 의해 공급유니트(10)의 안착대(12)와 이송유니트(20)의 안착부(22)의 간격을 포장박스(B)의 폭(幅)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스크류(51)를 회전시키는 제1조정모터(52), 상기 절첩유니트(40)의 가이드(46)를 포장박스(B)의 장(長)과 폭(幅)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볼스크류(53)(54)를 회전시키는 제2,3조정모터(55)(56)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조절수단(60)은 포장박스(B)의 크기에 맞게 제1헤드(44)와 제2헤드(45)를 X축과 Y축 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교차 방향으로 형성되는 양방향 볼스크류(61)(63)와, 상기 양방향 볼스크류(61)(63)를 손수 회전시켜 제1헤드(44)와 제2헤드(45)가 벌어져 포장박스(B)의 크기에 따라 각각 장(長)과 폭(幅)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68596A 2020-06-05 2020-06-05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Active KR102275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596A KR102275809B1 (ko) 2020-06-05 2020-06-05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596A KR102275809B1 (ko) 2020-06-05 2020-06-05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809B1 true KR102275809B1 (ko) 2021-07-12

Family

ID=7685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596A Active KR102275809B1 (ko) 2020-06-05 2020-06-05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8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3590A (zh) * 2022-05-18 2022-08-30 广西巨星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自动折盒系统
KR20230018110A (ko) *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삼원기계 특수형 자동 제함기
KR20230113046A (ko) 2022-01-21 2023-07-28 공준영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KR20240124621A (ko) 2023-02-09 2024-08-19 최현동 포장박스용 자동 제함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016A (ja) * 1991-11-01 1993-05-28 Fuji Pack Syst Ltd 包装ケースのフラツプ折曲装置
KR20040110237A (ko) * 2003-06-18 2004-12-31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포장용 종이상자 제함장치
KR200392410Y1 (ko) 2005-05-18 2005-08-17 문용호 오픈 상자 자동 제함기
KR20080010470A (ko) * 2008-01-10 2008-01-30 이미연 포장상자의 테두리 절곡용 형틀체
KR100881129B1 (ko) 2007-06-14 2009-02-02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
KR20100044671A (ko) *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016A (ja) * 1991-11-01 1993-05-28 Fuji Pack Syst Ltd 包装ケースのフラツプ折曲装置
KR20040110237A (ko) * 2003-06-18 2004-12-31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포장용 종이상자 제함장치
KR200392410Y1 (ko) 2005-05-18 2005-08-17 문용호 오픈 상자 자동 제함기
KR100881129B1 (ko) 2007-06-14 2009-02-02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
KR20080010470A (ko) * 2008-01-10 2008-01-30 이미연 포장상자의 테두리 절곡용 형틀체
KR20100044671A (ko) *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포장박스 제조장치의 용지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110A (ko) *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삼원기계 특수형 자동 제함기
KR102515000B1 (ko) * 2021-07-29 2023-03-29 주식회사 삼원기계 특수형 자동 제함기
KR20230113046A (ko) 2022-01-21 2023-07-28 공준영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CN114953590A (zh) * 2022-05-18 2022-08-30 广西巨星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自动折盒系统
KR20240124621A (ko) 2023-02-09 2024-08-19 최현동 포장박스용 자동 제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809B1 (ko)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US11565492B2 (en) Methods forming a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from a blank assembly using a pre-fold mandrel section
US9701087B2 (en) Methods and machine for forming a container from a blank using a pre-fold mandrel section
US5115625A (en) In-line bottom loading case packer
RU233466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паковок для сосудов
US6571539B2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of carton set up
US2013009022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olding paper boxes
CN109789937B (zh) 用于填充诸如纸板箱体的包装容器之前展开折翼的装置及配置该装置的填充工位
KR20110127061A (ko) 간헐회전 테이블식 백-필링 포장기
IE890635L (en) Cases formed from sheet material
NZ337613A (en) Packaging device for objects or stacks of objects with lower mechanism having four corner modules with folding plates being adjustable in plan area and being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JP2010506762A (ja) 段ボール箱ブランクを形成する機械
US5595043A (en) Cartoner with selectively interchangeable tucking and gluing modules
WO2015079341A1 (en) Apparatus to apply glue to paper blanks designed for covering paper or cardboard boxes
JP6923641B2 (ja) 多ヘッド多形式箱形成機械
US4066008A (en) Carton forming machine
CN115071206A (zh) 一种滤清器装盒机构
KR102471740B1 (ko) 싸바리 자동화 포장장치
CN212920598U (zh) 礼盒底衬成型装置
WO201406601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olding paper boxes
CN115027725A (zh) 一种自动装盒生产线及装盒工艺
JP7705010B2 (ja) 包装用箱の製函装置
CN213321981U (zh) 一种纸盒生产用上胶机
EP10689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an open cardboard box
DE60025653T2 (de) Verpackungs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