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4508B1 - 의상의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의상의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508B1
KR102274508B1 KR1020200110934A KR20200110934A KR102274508B1 KR 102274508 B1 KR102274508 B1 KR 102274508B1 KR 1020200110934 A KR1020200110934 A KR 1020200110934A KR 20200110934 A KR20200110934 A KR 20200110934A KR 102274508 B1 KR102274508 B1 KR 102274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rt
pattern piece
width
pattern
center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현
김예지
핑캠 미쉘
Original Assignee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로버추얼패션 filed Critical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to CN202110219041.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313842B/zh
Priority to US17/186,467 priority patent/US1220117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508B1/ko
Priority to US18/975,566 priority patent/US20250098804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00Patterns for cutting-out; 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such patterns, e.g. on the cloth
    • A41H3/007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patterns using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60Rot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6Rotation, translation, sca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24Style var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는 의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조각에 포함된 제1 다트와 연관하여 생성할 제2 다트의 위치를 입력받고, 제1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선과 제2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선 간의 교점에 의한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고,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를 고려하여 패턴 조각에 제2 다트를 생성하며,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의상의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DARTS ON PATTERN PIECES OF GARMENT}
실시예들은 의상의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상(clothes)은 사람이 착용한 경우에 3차원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2차원의 패턴(pattern)에 따라 재단된 천(fabric) 조각의 조합에 해당하므로 2차원에 가깝다. 의상의 재료가 되는 천은 유연(flexible)하기 때문에 착용한 사람의 신체 모양이나 움직임에 따라 그 모습이 시시각각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 바람, 또는 신체와의 충돌에 의해서 착용한 의상이 흘러내리거나, 주름이 지고 접힐 수 있다. 다트(dart)는 의상에서 평면적인 옷감을 입체적인 체형에 맞추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허리나 어깨, 옆구리 등과 같은 일정한 부분을 삼각형으로 주름을 잡아 줄이는 부분 또는 일정한 부분을 삼각형으로 주름잡아 솔기가 겉에 드러나지 않게 꿰매는 것을 의미한다. 다트는 의상의 일정 부분에 볼륨을 나타내거나 장식적인 효과를 주기 위한 것으로서 패턴 조각에 사용자가 희망하는 입체감을 주기 위해 복수개의 다트들을 표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상의 패턴 조각에서 복수개의 다트들을 서로 연관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트를 포함하는 의상 패턴을 자동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은 의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조각에 포함된 제1 다트(dart)와 연관하여 생성할 제2 다트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선과 상기 제2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선 간의 교점에 의한 회전 중심점(pivot)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 상기 제1 다트의 너비(width)를 고려하여,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분할한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를 기초로,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의 너비가 반영된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는 상기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에 연동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연장선에서 상기 회전 중심점을 초과하여 연장된 부분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제2 연장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의해 상기 패턴 조각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에 대한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상기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제1 다트의 양 선분 간의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 전의 상기 제1 다트의 너비와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다트의 너비 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의 일정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제2 다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다트의 깊이(depth)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다트의 깊이를 유지하여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다트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1 다트가 표시된 패턴 조각의 외곽선 상에서 제2 다트의 시작점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다트가 표시된 패턴 조각 내에서 상기 제2 다트의 꼭지점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다트가 표시된 패턴 조각과 연관된 패턴 조각 내에서 상기 제2 다트의 꼭지점을 입력받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다트의 꼭지점을 거치는 상기 제1 다트의 중심선이 연장된 제1 연장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다트의 시작점 또는 상기 제2 다트의 꼭지점에서 법선(normal)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연장선과 상기 제2 연장선 간의 교점을 상기 회전 중심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제2 다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다트의 깊이를 재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장치는 의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조각에 포함된 제1 다트(dart)와 연관하여 생성할 제2 다트의 위치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1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선과 상기 제2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선 간의 교점에 의한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고,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고려하여,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을 표시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분할한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하고,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를 기초로,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하며,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의 너비가 반영된 제2 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는 상기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에 연동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연장선에서 상기 회전 중심점을 초과하여 연장된 부분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제2 연장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의해 상기 패턴 조각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결정하고,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에 대한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상기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제1 다트의 양 선분 간의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 전의 상기 제1 다트의 너비와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다트의 너비 간의 차이를 산출하고, 상기 차이의 일정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다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다트의 깊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다트의 깊이를 유지하여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의상의 패턴 조각에서 복수개의 다트들을 서로 연관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다트를 포함하는 의상 패턴을 자동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라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 내지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라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다트의 너비 및 깊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장치의 블록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패턴 조각(들)'은 3차원 의상을 위한 2차원의 패턴 조각(들)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차원 패턴 조각(들)을 패턴 조각(들)으로 간략화하여 기재하지만,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패턴 조각(들)'은 2차원의 패턴 조각(들)로 이해될 수 있다. '패턴 조각(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3차원 아바타에 착장시키고자 하는 의상의 제작에 이용되는 2차원 패턴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패턴 조각(들)은 예를 들어, 소매, 몸통(앞, 뒤), 목 칼라, 하의 등과 같이 3차원 아바타의 각 신체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의상'은 예를 들어, 3차원 가상 의상(virtual clothes)에 해당하며, 2차원 패턴에 대응되는 의상일 수 있다. '2차원 패턴'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가상으로 제작되는 2차원 평면의 패턴에 해당할 수 있다. 2차원 패턴은 3차원 아바타의 각 신체 부분(예를 들어, 손목, 몸통(앞, 뒤), 목, 다리 등)에 해당하는 패턴 조각들을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패턴은 3차원 가상 의상의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복수의 다각형(예를 들어, 삼각형)들을 포함하는 메쉬(mesh)로 모델링될 수 있다. 다각형(삼격형)의 세 꼭지점은 질량을 가지고 있는 점(point mass)이며, 다각형의 각 변은 그 질량을 연결하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스프링들로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차원 패턴은 예를 들어, 질량-스프링 모델(Mass-Spring Model)에 의해 모델링될 수 있다. 스프링들은 사용되는 천(fabric)의 물성에 따라 예를 들어, 신축(stretch), 비틀림(shear), 및 굽힘(bending)에 대한 각 저항값(resist)을 가질 수 있다. 각 꼭지점들은 중력 등과 같은 외부적인 힘(external force)과 신축, 비틀림, 및 굽힘의 내부적인 힘(internal force)의 작용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적인 힘과 내부적인 힘을 계산하여 각 꼭지점에 가해지는 힘을 구하면, 각 꼭지점의 변위 및 움직임의 속도가 구해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시점(time step)의 다각형의 꼭지점들의 움직임을 통하여 가상 의상의 움직임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메쉬로 이루어진 2차원의 가상 의상 패턴들을 3차원의 아바타에 착장(draping)시킴으로써 물리 법칙에 기반한 자연스러운 모습의3차원 가상 의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착장(draping)'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의상의 2차원 패턴 조각들을 결합(또는 재봉한) 3차원 의상을 3차원 아바타에 입히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장치(이하, '표시 장치')가 단계(110) 내지 단계(140)를 통해 패턴 조각에 제1 다트와 연관된 제2 다트를 표시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단계(110)에서, 표시 장치는 의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조각에 포함된 제1 다트(dart)와 연관하여 생성할 제2 다트의 위치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제1 다트와 연관하여 제2 다트를 생성한다'는 것은 제1 다트에 의한 입체 효과를 나누어 반영할 제2 다트를 생성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트가 의상에서 가슴 또는 허리에 입체감을 주기 위한 것이라고 하자. 이 경우, 제1 다트 하나만으로 입체감을 주기보다는 제1 다트와 제2 다트와 같이 2개의 다트들을 이용하는 것이 입체감을 표현하는 데에 더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다트의 너비 및/또는 깊이와 일정 비례 관계를 가지는 제2 다트를 생성하여 의상의 입체감을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제1 다트의 너비 및/또는 깊이와 일정 비례 관계를 가지도록 제2 다트를 생성하는 것이 제1 다트와 연관하여 제2 다트를 생성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다트는 패턴 조각에 원래부터 포함된 다트라는 점에서 '원본 다트'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다트의 각 부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다트의 '너비'는 예를 들어, 아래 도 3의 제1 다트(315)를 구성하는 세 정점(A, B, C) 중 정점 B와 정점 C를 연결하는 라인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다트의 '깊이'는 정점 B와 정점 C 사이의 가운데에 해당하는 중심점과 정점 A를 연결하는 라인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정점 B와 정점 C 사이의 중심점과 정점 A를 연결하는 라인을 연장한 것을 다트의 '중심선'이라 부를 수도 있다.
정점 A는 다트의 '꼭지점'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정점 A(꼭지점 A)와 정점 B를 연결하는 제1 라인 및 정점 A(꼭지점 A)와 정점 C 를 연결하는 제2 라인은 다트의 '양 선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다트의 '양 선분 간의 각도'는 정점 A(꼭지점 A)를 중심으로 제1 라인과 제2 라인이 이루는 내각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110)에서,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아래 도 3의 화면(310)과 같이 제1 다트(315)가 표시된 패턴 조각(311)의 외곽선 상에서 새로이 생성하고자 하는 제2 다트의 시작점(317)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2 다트의 시작점(317)은 제2 다트의 중심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아래 도 4의 화면(410)과 같이 제1 다트(413)가 표시된 패턴 조각(411) 내에서 제2 다트의 꼭지점(417)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밖에도, 표시 장치는 제1 다트가 표시된 패턴 조각과 연관된 패턴 조각 내에서 제2 다트의 꼭지점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다트가 표시된 패턴 조각과 연관된 패턴 조각'은 제1 다트가 표시된 패턴 조각과 이웃하는 패턴 조각 또는 제1 다트가 표시된 패턴 조각과 서로 연결된 패턴 조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계(110)에서,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9의 사용자 인터페이스(910) 참조)를 통해 제2 다트의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120)에서, 표시 장치는 제1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선과 제2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선 간의 교점에 의한 회전 중심점(pivot)을 설정한다. 여기서, 제2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선은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회전에 의해 이동될 다트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선분에 해당될 수 있다 '회전 중심점'은 제2 다트의 생성을 위해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계(120)에서, 표시 장치가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130)에서, 표시 장치는 단계(120)에서 설정된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width)를 고려하여, 패턴 조각에 제2 다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회전을 통해 변경되는 제1 다트의 너비 및 제1 다트와 연관하여 생성되는 제2 다트의 너비 간의 상관 관계는 예를 들어,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복제 패턴 조각들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제2 다트를 생성하는 과정은 아래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140)에서, 표시 장치는 단계(130)에서 생성한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는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을 명시적(explicitly)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암시적(implicitly)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다트를 표시하는 패턴 조각을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도면 상에 표시하거나, 및/또는 옷감 또는 종이 등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다트를 표시하는 패턴 조각을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대응되는 3차원 가상 의상을 시뮬레이션하거나, 또는 및/또는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대응되는 가상 의상을 착장한 3차원 아바타를 도면 상에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단계(210) 내지 단계(230)을 통해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단계(210)에서, 표시 장치는 제1 다트의 꼭지점을 거치는 제1 다트의 중심선이 연장된 제1 연장선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표시 장치는 제2 다트의 시작점 또는 제2 다트의 꼭지점에서 법선(normal)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선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표시 장치는 단계(210)에서 생성된 제1 연장선과 단계(220)에서 생성된 제2 연장선 간의 교점을 회전 중심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다트(315)가 표시된 패턴 조각(311)의 외곽선 상에 입력받은 제2 다트의 시작점(317)을 나타낸 화면(310), 제1 다트(315)의 꼭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선(331) 및 제2 다트의 시작점(317)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선(333)을 나타낸 화면(330) 및 제1 연장선(331)과 제2 연장선(333) 간의 교점에 의해 설정된 회전 중심점(355)을 나타낸 화면(350)이 도시된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화면(310)과 같이, 제1 다트(315)가 표시된 패턴 조각(311)의 외곽선 상에서 제2 다트의 시작점(317)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 커서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포인트를 화면(310) 상에 표시된 패턴 조각(311)의 외곽선 상으로 이동시켰다고 하자. 이 경우, 패턴 조각(311)의 외곽선 상으로 이동된 마우스 커서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Click on a guideline to rotate the center point"와 같은 안내 문구가 화면(31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안내 문구에 따라 패턴 조각(311)의 외곽선 상에서 제2 다트를 생성할 시작점(317)을 클릭함에 따라 표시 장치는 제2 다트의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제2 다트의 시작점(317)은 예를 들어, 제2 다트의 외곽선 상의 두 정점의 중심에 해당하는 제2 다트의 중심점에 해당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화면(330)과 같이, 제1 다트(315)의 꼭지점(정점 A)을 거치는 제1 다트의 중심선을 연장하여 제1 연장선(331)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제2 다트의 시작점(317)에서 외곽선에 수직하는 법선(normal)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선(333)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선(331)과 제2 연장선(333)이 서로 만나는 지점이 교점(335)이 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화면(330)에서 제1 연장선(331)과 제2 연장선(333)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화면(350)과 같이, 제1 연장선(331)과 제2 연장선(333)이 서로 만나는 교점(335)을 회전 중심점(355)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는 제1 연장선(331)에서 회전 중심점(355)을 초과하여 연장된 부분을 화면(350)과 같이, 제거할 수 있다. 이후, 표시 장치는 회전 중심점(355)을 초과하여 연장된 부분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과 제2 연장선(333)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의해 패턴 조각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다트(413)가 표시된 패턴 조각(411) 내에서 입력받은 제2 다트의 꼭지점(417)을 나타낸 화면(410) 및 제1 다트(413)의 꼭지점(415)을 거치는 제1 다트(413)의 중심선을 연장한 제1 연장선(431) 및 제2 다트의 꼭지점(417)으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선(433) 간의 교점에 의해 설정된 회전 중심점을 나타낸 화면(430)이 도시된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화면(410)과 같이, 제1 다트(413)가 표시된 패턴 조각(411) 내에서 제2 다트의 꼭지점(417)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 커서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포인트를 화면(410) 상에 표시된 패턴 조각(411) 내의 어느 한 지점(417)을 선택했다고 하자. 이 경우,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한 지점(417)을 제2 다트의 꼭지점(417)으로 결정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화면(430)과 같이, 제1 다트(413)의 꼭지점(415)을 거치는 제1 다트(413)의 중심선이 연장된 제1 연장선(431)과 제2 다트의 꼭지점(417)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선(433)이 서로 교차하는 교점(435)을 회전 중심점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단계(510) 내지 단계(540)을 통해 패턴 조각에 제2 다트를 생성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단계(510)에서, 표시 장치는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분할한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510)에서,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연장선 및 제2 연장선 각각에서 교점을 초과하는 부분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에 의해 패턴 조각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각각에 대응하는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표시 장치는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는 복제 패턴 조각들 중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 커서를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에 위치시키는 경우,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복제 패턴이 회전시킬 복제 패턴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복제 패턴 조각들 중 면적이 가장 작은 복제 패턴 조각을 회전시킬 복제 패턴 조각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면적이 가장 큰 복제 패턴 조각을 회전시킬 복제 패턴 조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에 대한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회전 방향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도 있고, 또는 제1 다트의 너비를 감소시키는 방향, 또는 제2 다트의 너비를 증가시키는 방향에 의해 회전 방향을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520)에서 표시 장치는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앞서 결정된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앞서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회전에 의해 변경되는 제1 다트의 양 선분 간의 각도에 비례하여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복제 패턴 조각들은 패턴 조각의 해당 부분과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복제 패턴 조각의 회전에 의해 해당 복제 패턴 조각이 이동되는 거리만큼 매칭되는 패턴 조각의 해당 부분(예를 들어, 제1 다트)의 너비에 반영되어 제1 다트의 너비가 변경될 수 있다.
단계(530)에서, 표시 장치는 단계(520)에서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를 기초로,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다트의 너비는 예를 들어, 단계(520)에서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에 연동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530)에서,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변경 전의 제1 다트의 너비('제1 너비')와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제2 너비) 간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제1 너비와 제2 너비 간의 차이의 일정 비율(예를 들어, 50% 또는 70% 등)에 기초하여,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표시 장치는 패턴 조각에 단계(530)에서 결정된 제2 다트의 너비가 반영된 제2 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 장치는 제2 다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다트의 깊이(depth)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다트의 깊이 값은 예를 들어, 제1 다트의 깊이 값으로 초기 설정될 수 있다. 이후,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아래 도 8의 도면(830)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깊이 값을 제2 다트의 깊이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는 제2 다트의 깊이를 유지하여 패턴 조각에 제2 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 장치는 제2 다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다트의 깊이를 재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중심점(617)을 기준으로 A 부분과 B 부분으로 구획된 패턴 조각(611)을 나타낸 화면(610), 패턴 조각(611)의 A 부분에 대응하는 복제 패턴 조각(635)을 나타낸 화면(630), 복제 패턴 조각(635)을 회전 중심점(617)을 기준으로 제1 다트(651)의 너비만큼 회전시킨 결과를 나타낸 화면(650), 및 복제 패턴 조각(635)을 회전 중심점(617)을 기준으로 제1 다트(651)의 1/2너비만큼 회전시킨 결과를 나타낸 화면(670)이 도시된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화면(610)과 같이, 회전 중심점(617)을 초과하여 연장된 부분을 제거한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1 연장선 부분(613)과 제2 다트의 중심점(619)으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선(615)에 의해 패턴 조각(611)을 두 개의 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는 구획된 두 개의 부분에 의해 패턴 조각(611)을 A 부분과 B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610)에서 마우스 커서를 A 부분에 위치시키면, 표시 장치는 커서가 위치하는 A부분에 해당하는 패턴 조각의 외곽선이 마우스 오버될 수 있다. 이때, A부분에 해당하는 패턴 조각의 외곽선에는 해당 패턴 조각의 꼭지점들이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화면(630)과 같이 A부분에 해당하는 패턴 조각의 외곽선에 포함된 꼭지점들과 회전 중심점(615)을 연결함으로써 A 부분에 대응하는 복제 패턴 조각(635)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는 B 부분에 해당하는 패턴 조각의 외곽선에 포함된 꼭지점들과 회전 중심점(617)을 연결함으로써 B 부분에 대응하는 복제 패턴 조각을 생성할 수 있다.
화면(630)에서,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결정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사용자가 마우스를 위치시킨 지점에 해당하는 복제 패턴 조각을 회전시킬 복제 패턴 조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회전시킬 복제 패턴 조각으로 결정된 복제 패턴 조각의 외곽선은 회전되지 않는 복제 패턴 조각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화면(650)과 같이, 복제 패턴 조각(635)을 회전 중심점(617)을 기준으로 제1 다트(651)의 너비(예를 들어, 14mm)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회전 방향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도 있고, 또는 제1 다트(651)의 너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화면(650)과 같이, 복제 패턴 조각(635)을 회전 중심점(617)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제1 다트(651)의 너비(예를 들어, 14mm)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가 복제 패턴 조각(635)을 제1 다트(651)의 너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제1 다트(651)의 너비는 0mm로 변경되고, 복제 패턴 조각(635)의 회전에 의해 패턴 조각(611)에서 제2 다트의 중심점(619)에 대응하는 복제 패턴 조각(635)의 정점(653)의 위치는 9.3mm 만큼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복제 패턴 조각(635)의 회전에 의해 제1 다트(651)의 너비가 14mm에서 0mm로 줄어든 것에 연동하여 이동된 정점(653)의 거리(또는 해당 거리의 일정 비율을 곱한 결과 값)를 제2 다트의 너비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는 화면(670)과 같이, 복제 패턴 조각(635)을 회전 중심점(617)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제1 다트(651)의 1/2너비(예를 들어, 7mm)만큼 회전시킬 수도 있다. 표시 장치가 복제 패턴 조각(635)을 제1 다트(651)의 1/2너비(예를 들어, 7mm)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제1 다트(651)의 너비는 7mm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복제 패턴 조각(635)의 회전에 의해 패턴 조각(611)에서 제2 다트의 중심점(619)에 대응하는 복제 패턴 조각(635)의 정점(653)의 위치는 변경 전후의 제1 다트(651)의 너비 차이(7mm)에 대한 일정 비율(예를 들어, 70%)에 해당하는 값(예를 들어, 약 5mm )만큼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화면(670)에서 복제 패턴 조각(635)의 회전에 의해 제1 다트(651)의 너비가 14mm에서 7mm으로 줄어든 것에 연동하여 이동된 정점(653)의 거리(예를 들어, 5mm)를 제2 다트의 너비로 결정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변경된 너비(예를 들어, 7mm)에 따라 제1 다트를 수정하여 표시하고, 결정된 제2 다트의 너비(예를 들어, 5mm)를 반영하여 제2 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다트의 깊이는 제2 다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아래 도 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값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제2 다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결정된 제2 다트의 깊이를 유지하여 패턴 조각에 제2 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수정된 제1 다트 및 생성된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제 패턴 조각(635)의 회전에 의해 그 너비가 줄어드는 다트(예를 들어, 제1 다트)를 "닫힌 다트(Closed Dart)" 또는 '폐쇄 다트'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복제 패턴 조각(635)의 회전에 의해 그 너비가 늘어나는 다트(예를 들어, 제2 다트)를 "열린 다트(Open Dart)" 또는 '개방 다트'라고 부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 장치는 제1 다트(닫힌 다트)의 너비와 제2 다트(열린 다트)의 너비를, 아래 도 8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10)을 통해 직접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1 다트의 너비와 제2 다트의 너비가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경우,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너비 값이 만족되도록 복제 패턴 조각(635)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다트의 너비는 제1 다트의 최대 너비를 초과할 수 없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조각(711)에 대응하여 생성된 2개의 복제 패턴 조각들(제1 복제 패턴 조각(713) 및 제2 복제 패턴 조각(715))을 나타낸 화면(710), 제1 복제 패턴 조각(713)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 다트(735)가 생성되는 상황을 나타낸 화면(730), 및 제2 복제 패턴 조각(715)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 다트(755)가 생성되는 상황을 나타낸 화면(750)이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면(710)과 같이 패턴 조각(711)에 설정된 회전 중심점(717)을 기초로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분할한 복제 패턴 조각들(713, 715)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복제 패턴 조각들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연장선에서 회전 중심점을 초과하여 연장된 부분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과 제2 연장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의해 분할될 수도 있고, 화면(710)과 같이 회전 중심점(717)을 포함하는 수평선에 의해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화면(710)에 도시된 패턴 조각(711)에서 회전 중심점(717)을 기준으로 위쪽에 생성된 복제 패턴 조각을 제1 복제 패턴 조각(713)이라 부르고, 회전 중심점(717)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생성된 복제 패턴 조각을 제2 복제 패턴 조각(715)이라 부를 수 있다. 제1 복제 패턴 조각(713) 및 제2 복제 패턴 조각(715)의 각 정점은 패턴 조각(711)의 각 정점과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730)와 같이, 제1 복제 패턴 조각(713)을 회전시키는 경우, 표시 장치는 제2 다트(735)의 너비가 증가하도록 회전 중심점(717)을 기준으로 제1 복제 패턴 조각(713)을 좌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는 제1 복제 패턴 조각(713)의 회전에 의해 제1 복제 패턴 조각(713)의 외곽선 상의 어느 한 정점이 이동된 거리에 비례하는 너비를 제2 다트(735)의 너비로 결정하여 제2 다트(735)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화면(750)과 같이, 제2 복제 패턴 조각(715)을 회전시키는 경우, 표시 장치는 제2 다트(755)의 너비가 증가하도록 회전 중심점(717)을 기준으로 제2 복제 패턴 조각(715)을 우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는 제2 복제 패턴 조각(715)의 회전에 의해 제2 복제 패턴 조각(715)의 외곽선 상의 어느 한 정점이 이동된 거리에 비례하는 너비를 제2 다트(755)의 너비로 결정하여 제2 다트(755)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다트의 너비 및 깊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제1 다트 및 제2 다트의 너비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810) 및 표시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제2 다트의 깊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83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화면(650) 또는 화면(670)과 같이 마우스 커서를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에 위치시켜 복제 패턴 조각을 회전시키는 중에 사용자가 마우스를 우 클릭했다고 하자. 이 경우, 도면(810)과 같이 화면에 Shift Dart 창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Shift Dart 창에는 닫힌 다트인 제1 다트의 너비 및 열린 다트인 제2 다트의 너비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Shift Dart 창에 표시되는 각 다트의 너비는 사용자가 복제 패턴 조각을 이동시키는 중에 마우스를 우 클릭한 시점에 이동된 제1 다트의 너비, 및 제2 다트의 너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각 다트의 너비 최소 값은 0.0mm이고, 각 다트의 너비 최대 값은 제1 다트의 너비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면(810)에 표시된 Shift Dart 창을 통해 새로운 제1 다트의 너비 및 제2 다트의 너비를 입력할 수 있고, 표시 장치는 입력된 너비를 제1 다트 및 제2 다트에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의 화면(730) 또는 화면(750과 같이 제2 다트가 생성된 후, 사용자는 마우스 커서를 해당 화면에 표시된 제2 다트의 시작점 또는 끝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커서의 위치에 따라 다트의 길이가 조절되고, 커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다트 중심선에 제2 다트의 길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다트에 대해 커서를 이동 중에 마우스를 우 클릭한 경우, 도면(830)과 같이 화면에 Rotate Dart 창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Rotate Dart 창에는 제2 다트의 길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Rotate Dart 창에 표시되는 제2 다트의 길이 초기값은 사용자가 제2 다트의 위치에서 마우스를 우 클릭한 시점의 제2 다트의 길이(깊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제2 다트의 최소 길이(깊이)는 0.0mm 이고, 최대 길이(깊이)는 해당 패턴 조각의 외곽선에서 회전 중심점까지의 길이일 수 있다.
사용자는 Rotate Dart 창을 통해 새로운 제2 다트의 길이를 입력할 수 있고, 표시 장치는 입력된 길이를 제2 다트에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10), 프로세서(930), 메모리(950), 및 출력 장치(9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10), 프로세서(930), 메모리(950), 및 출력 장치(970)는 통신 버스(9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는 의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조각에 포함된 제1 다트와 연관하여 생성할 제2 다트의 위치를 입력받는다.
프로세서(930)는 제1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선과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로부터 입력받은 제2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선 간의 교점에 의한 회전 중심점을 설정한다. 프로세서(930)는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를 고려하여, 패턴 조각에 제2 다트를 생성한다.
메모리(9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입력 받은 제2 다트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프로세서(930)에 의해 설정된 회전 중심점에 대한 정보 및/또는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950)는 제2 다트가 생성된 패턴 조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상술한 프로세서(930)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950)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 장치(970)는 프로세서(930)에 의해 생성된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을 표시한다. 출력 장치는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 및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대응하여 시뮬레이션된 가상 의상 및/또는 가상 의상을 착장한 3차원 아바타를 도면 상에 출력할 수도 있고, 또는 종이 또는 옷감 등에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출력 장치(97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고, 또는 종이 또는 옷감에 패턴 조각을 표시하는 프린트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930)는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3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3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NPU(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표시 장치(9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3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표시 장치(9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93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950)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900: 표시 장치
905: 통신 버스
910: 사용자 인터페이스
930: 프로세서
950: 메모리
970: 출력 장치

Claims (20)

  1. 의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조각에 포함된 제1 다트(dart)와 연관하여 생성할 제2 다트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선과 상기 제2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선 간의 교점에 의한 회전 중심점(pivot)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 상기 제1 다트의 너비(width)를 고려하여,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분할한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를 기초로,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의 너비가 반영된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는
    상기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에 연동하여 결정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연장선에서 상기 회전 중심점을 초과하여 연장된 부분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제2 연장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의해 상기 패턴 조각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에 대한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상기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제1 다트의 양 선분 간의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 전의 상기 제1 다트의 너비와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다트의 너비 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의 일정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다트의 깊이(depth)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다트의 깊이를 유지하여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트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1 다트가 표시된 패턴 조각의 외곽선 상에서 제2 다트의 시작점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다트가 표시된 패턴 조각 내에서 상기 제2 다트의 꼭지점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다트가 표시된 패턴 조각과 연관된 패턴 조각 내에서 상기 제2 다트의 꼭지점을 입력받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다트의 꼭지점을 거치는 상기 제1 다트의 중심선이 연장된 제1 연장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다트의 시작점 또는 상기 제2 다트의 꼭지점에서 법선(normal)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연장선과 상기 제2 연장선 간의 교점을 상기 회전 중심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다트의 깊이를 재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12.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1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한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의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조각에 포함된 제1 다트(dart)와 연관하여 생성할 제2 다트의 위치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1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선과 상기 제2 다트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선 간의 교점에 의한 회전 중심점을 설정하고,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고려하여,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다트를 포함하는 패턴 조각을 표시하는 출력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분할한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하고,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를 기초로,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하며,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의 너비가 반영된 제2 다트를 생성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는
    상기 변경된 제1 다트의 너비에 연동하여 결정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연장선에서 상기 회전 중심점을 초과하여 연장된 부분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제2 연장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의해 상기 패턴 조각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을 생성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제 패턴 조각들 중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결정하고,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에 대한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시킬 어느 하나의 복제 패턴 조각을 상기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제1 다트의 양 선분 간의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1 다트의 너비를 변경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 전의 상기 제1 다트의 너비와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다트의 너비 간의 차이를 산출하고, 상기 차이의 일정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다트의 너비를 결정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다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다트의 깊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다트의 깊이를 유지하여 상기 패턴 조각에 상기 제2 다트를 생성하는,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장치.
KR1020200110934A 2020-02-26 2020-09-01 의상의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274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219041.XA CN113313842B (zh) 2020-02-26 2021-02-26 在服装的纸样块上显示省道的方法及装置
US17/186,467 US12201174B2 (en) 2020-02-26 2021-02-26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rts on pattern pieces of garment
US18/975,566 US20250098804A1 (en) 2020-02-26 2024-12-10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rts On Pattern Pieces Of Gar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81962P 2020-02-26 2020-02-26
US62/981,962 2020-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508B1 true KR102274508B1 (ko) 2021-07-08

Family

ID=7689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934A Active KR102274508B1 (ko) 2020-02-26 2020-09-01 의상의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2201174B2 (ko)
KR (1) KR102274508B1 (ko)
CN (1) CN11331384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524A1 (ko) * 2021-08-17 2023-02-23 (주)클로버추얼패션 재봉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1820A (ja) * 2009-05-20 2010-12-02 Honda Motor Co Ltd 立体形状生成方法及び立体形状生成システム
KR102130252B1 (ko) * 2019-08-23 2020-07-06 (주)클로버추얼패션 바인딩을 반영한 의복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136620B1 (ko) * 2019-08-23 2020-07-23 (주)클로버추얼패션 의상 패턴들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3004A (en) * 1929-03-28 1930-11-25 Smith Helen Hall Pattern
US2054715A (en) * 1933-04-04 1936-09-15 Stack Nannie Ida Garment pattern
US3803717A (en) * 1971-01-28 1974-04-16 Scovill Manufacturing Co Method of transferring and directing the darts in a dress pattern
JPS58208412A (ja) * 1982-05-28 1983-12-05 保利 有薫 前身頃の裁断方法
US4916634A (en) * 1988-03-16 1990-04-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pany System for preparing garment pattern data to enable subsequent computerized prealteration
US5107444A (en) * 1988-09-13 1992-04-21 Computer Desig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lattening three-dimensional surfaces
JP2002279014A (ja) * 2001-03-16 2002-09-27 Toyobo Co Ltd 服飾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服飾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服飾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縫製データ生成方法
US6751877B2 (en) * 2002-07-15 2004-06-22 Carol S. Grove Wearable adjustable garment pattern template
KR100742751B1 (ko) 2005-09-21 2007-07-25 유주화 숙녀용 의류의 상의 원형
FR2894783B1 (fr) * 2005-12-19 2011-06-10 Lectra Sa Dispositif et procede de conception d'un vetement
CN101006873B (zh) * 2006-09-18 2012-03-07 邓炎驹 按一种结构平面图的平面结构进行服装纸样设计制图方法
WO2012061834A1 (en) * 2010-11-07 2012-05-10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interactive garment modeling and editing
JP2013101526A (ja) * 2011-11-09 2013-05-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60050B2 (ja) 2013-04-19 2018-01-17 西川 正秀 バストダーツにしわが無いtシャツとカットソー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101665653B1 (ko) * 2015-04-27 2016-10-13 (주)클로버추얼패션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CN105513135A (zh) 2015-09-15 2016-04-20 浙江大学 一种三维服装纸样的空间位置自动设置方法
KR101672299B1 (ko) 2016-02-22 2016-11-03 이정구 의복패턴의 자동맞춤 서비스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되는 맞춤의복
CN108634459B (zh) * 2018-05-08 2020-04-17 东华大学 一种基于3d人体测量数据的女上装衣身样板生成方法
JP7038380B2 (ja) 2019-01-08 2022-03-18 株式会社友縫機械 胸ダーツ縫製装置及び胸ダーツ縫製方法
KR102173900B1 (ko) * 2019-07-11 2020-11-04 호전실업 주식회사 의복 디자인 생성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통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1820A (ja) * 2009-05-20 2010-12-02 Honda Motor Co Ltd 立体形状生成方法及び立体形状生成システム
KR102130252B1 (ko) * 2019-08-23 2020-07-06 (주)클로버추얼패션 바인딩을 반영한 의복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136620B1 (ko) * 2019-08-23 2020-07-23 (주)클로버추얼패션 의상 패턴들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ptitex Help Center. 2D & 3D INTEGRATED PATTERN DESIGN SOFTWARE 0/15. Optitex, 2017년 6월, pp. 1-12.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524A1 (ko) * 2021-08-17 2023-02-23 (주)클로버추얼패션 재봉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50098804A1 (en) 2025-03-27
CN113313842B (zh) 2024-01-05
US20210259341A1 (en) 2021-08-26
CN113313842A (zh) 2021-08-27
US12201174B2 (en) 202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404B1 (ko) 의상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228098B1 (ko) 3차원 가상 의상에 대응하는 2차원 패턴의 치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28099B1 (ko) 의상의 패턴 조각들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33553B1 (ko) 의상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US202500988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rts On Pattern Pieces Of Garment
KR101702069B1 (ko) 3d 의상 착장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332069B1 (ko)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및 장치
KR20160128131A (ko) 재봉선 및 시접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772432B1 (ko)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754343B1 (ko) 의상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818073B1 (ko) 의상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20230026291A (ko) 재봉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257182B1 (ko) 의상의 풀니스를 위해 패턴 조각을 가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2211164B2 (en) Simulating and editing of garment of hierarchical structure
KR20230148554A (ko) 3d 아바타의 의상 착장 시뮬레이션 방법
HK40056765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pattern pieces for fullness of clothes
KR20240073762A (ko) 롤-업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50090679A (ko) 의상의 패턴들의 재봉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20250057670A (ko) 의상 패턴 변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