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3865B1 -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865B1
KR102273865B1 KR1020200018556A KR20200018556A KR102273865B1 KR 102273865 B1 KR102273865 B1 KR 102273865B1 KR 1020200018556 A KR1020200018556 A KR 1020200018556A KR 20200018556 A KR20200018556 A KR 20200018556A KR 102273865 B1 KR102273865 B1 KR 102273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door
rack gear
door
vehicle
hi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20001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8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측면도어를 차체에 대하여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마련되고 측면도어에 고정되어 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드라이브 유닛; 상기 드라이브 유닛에서 돌출된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기어; 및 일측은 차체에 피벗식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랙기어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힌지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린 랙기어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힌지로드는 측면도어의 회전에 따른 각도를 보상하면서 측면도어가 차체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ide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화된 구조로 측면도어를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정지상태에서, 도어를 통해 승하차시 또는 물건을 싣고 내릴 때 도어가 그 개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만 승하차나 화물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나, 상기 도어힌지는 단순히 도어의 장착상태만 유지하고, 도어의 회동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것일 뿐으로, 도어의 개폐 경로 중에 소정 각도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은 하거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열고 닫게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도어 개폐장치에서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체커아암에 전달하여 도어의 자동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구동모터(180)와, 상기 구동모터(180) 구동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회전력을 가지면서 회전하는 구동축을 가지는 드라이브 유닛(121)에 장착되고 상기 드라이브 유닛(1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재(122)와, 상기 드라이브 유닛(121)의 구동축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개폐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이 드라이브 유닛 내부에 배치된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됨에 따라서 이를 랙기어로 전달하여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이 랙기어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고 이러한 회전력 변환에 의하여 랙기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자동차의 측면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개폐장치에서, 상기 랙기어는 피니언 기어와 맞물림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각도가 변화되면 랙기어가 피니언 기어로부터 이탈되어 동력이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랙기어와, 도어 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는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평행한 상태로 회전해야 하는데, 측면도어의 특성상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회전각도를 다르게 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회전각의 보상을 위하여 종래기술에서는 도어측에 설치되는 드라이브 유닛이 도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도어측에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고정부재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각도보상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
먼저, 드라이버 유닛은 구동모터, 클러치, 감속기 등 다양한 부품을 포함하고 있어서, 도어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크게 된다. 이러한 드라이버 유닛이 전체적으로 고정부재에 대해서 회전하게 되면 회전반경이 커서 드라이버 유닛의 회전반경까지 고려하여 도어 내부에 빈공간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도어의 슬림화가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동모터와, 드라이버 유닛의 구동축은 모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드라이버 유닛의 수평방향 폭이 커지게 되어 도어의 폭을 줄이는데 한계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드라이버 유닛이 도어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회전이동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다른 구성품과 부딪히게 되는 경우에는 드라이버 유닛이 파손되는 일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장치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개폐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는, 자동차의 측면도어를 차체에 대하여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마련되고 측면도어에 고정되어 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드라이브 유닛;
상기 드라이브 유닛에서 돌출된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기어; 및
일측은 차체에 피벗식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랙기어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힌지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린 랙기어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힌지로드는 측면도어의 회전에 따른 각도를 보상하면서 측면도어가 차체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되게 한다.
상기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에서,
상기 랙기어의 하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기엇니가 배치되고, 상기 기엇니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랙기어의 상측에는, 힌지핀이 끼워지는 힌지본체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로드의 타측이 상기 힌지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힌지핀이 상기 힌지로드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본체에 끼워고정되어 상기 힌지로드가 피벗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에서 차체에 대면하는 부분에는 힌지로드가 통과하는 삽입부가 마련되고,
측면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삽입부 내에서 힌지로드가 회전이동을 하며 힌지로드의 과도한 회전시 힌지로드가 상기 삽입부재 내에 접촉하여 힌지로드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랙기어가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공이 마련되고,
랙기어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공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공을 따라서 슬라이드이동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힌지로드가 피벗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에서,
상기 랙기어의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공 내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공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힌지본체는 랙기어의 돌출부 상단에 상기 가이드공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 유닛이 측면도어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아도 측면도어의 개폐과정에서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맞물림이 유지될 수 있어서 측면도어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도어용 개폐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4의 자동차용 측면도어용 개폐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측면도어용 개폐장치의 주요부분의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측면도어용 개폐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10)는, 자동차의 측면도어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이 수동으로 측면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이 아니라 버튼 조작, 또는 도어에 일정한 힘을 가하는 등의 일부 조작이 가해지는 경우 구동모터(20)가 동작함으로서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개폐장치(10)는, 구동모터(20), 드라이브 유닛(30), 피니언 기어(40), 랙기어(50), 힌지로드(60) 및 가이드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0)는 동력원으로서 작동하는 것으로서 자동차 내에서 소정의 전기신호가 가해지는 경우 회전축(21)이 회전함으로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모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20)는 수평하게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20)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동작하며 구동모터(20)의 동작시 회전축(21)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21)에는 나사형 웜(2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나사형 웜이 드라이브 유닛 내의 웜휠(321)과 맞물려서 상기 웜휠(32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드라이브 유닛(30)은, 상기 구동모터(20)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토크비로 구동축(33)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드라이브 유닛(30)은,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나사형 윔이 삽입되어 상기 나사형 윔의 회전력을 구동축(33)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2)과, 상기 동력전달수단(32)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하는 구동축(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31)은, 측면도어의 내부에 부착설치되는 것으로서 측판부(311)와, 상기 측판부(311)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차체에 대면하는 절곡부(312) 및 상기 측판부(311)를 감싸며 내부에 동력전달수단이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측판부(311)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 하부에 구동모터가 고정설치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측판부(311)에는 구동모터의 윔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웜휠(321)과, 웜휠(321)의 회전력을 수정의 기어비로 구동축(33)에 전달하는 클러치 및 각종 기어수단이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절곡부(312)는 상기 측판부(311)의 일측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세워지는 것으로서 차체와 대면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절곡부(312)에는 힌지로드(60)가 통과하는 삽입부(312a)가 마련되어 있다. 측면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삽입부(312a) 내에서 힌지로드(60)가 회전이동을 하며 힌지로드(60)의 과도한 회전시 힌지로드(60)가 상기 삽입부재 내에 접촉하여 힌지로드(60)의 회전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 커버(313)는 측판부(311)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배치된 동력전달수단(32)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커버(313)에는 랙기어(50)의 직선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재(70)가 고정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구동축(33)은 상기 동력전달수단(32)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하는 것으로서, 커버(313)에 마련된 구멍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구동축(33)은 하우징(31)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구동축(33)은 피니언 기어(40)와 연결되어 있게 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40)는 상기 드라이브 유닛(3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구동축(33)과 함께 회전하며 측면에 기어가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피니언 기어(40)를 구동축(33)에 의하여 전달될 회전력을 랙기어(5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랙기어(50)는, 구동축(33)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서 피니언 기어(40)와 맞물려서 피니언 기어(40)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랙기어(50)는 전체적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랙기어(50)는 기어본체(51)와, 상기 기어본체(51)의 상부에 마련된 삽입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본체(51)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하면에는 다수의 기엇니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삽입본체(52)는, 하측에 개방되어 기어본체(51)는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것이다. 이러한 삽입본체(52)는 "∩"자형 단면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삽입본체(52)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공(71)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공(71)을 따라서 슬라이드이동하는 돌출부(521)가 마련된다. 이러한 돌출부(521)는 가이드공(71) 내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공(71)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위치가 제어된다.
상기 돌출부(521)의 상측에 힌지로드(60)가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521)에는 힌지본체(53)가 부착되고, 상기 힌지본체(53)에 힌지로드(60)가 배치된 상태에서 힌지핀(81)이 상기 힌지본체(53)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본체(53)는 랙기어(50)의 돌출부(521) 상단에 상기 가이드공(71)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돌출부(52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공(71)에서 벗어나지 않고 가이드공(71) 내에서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힌지로드(60)는, 일측은 차체에 피벗식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랙기어(50)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힌지로드(6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차체측에 고정설치된 브라켓(82)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도록 제1핀(80)이 끼워지는 제1구멍(61)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랙기어(50)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도록 힌지핀(81)이 끼워지는 제2구멍(6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힌지로드(60)는, 랙기어(50)의 직선운동을 브라켓(82)에 전달하여 측면도어가 개방 및 폐쇄되게 함은 물론, 차체에 대하여 측면도어가 힌지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각도를 보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로드(60)의 타측은 상기 힌지본체(53)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힌지핀(81)이 상기 힌지로드(60)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본체(53)에 끼워고정되어 상기 힌지로드(60)가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힌지로드(60)의 타측에는 힌지핀(81)이 끼워진 상태에서 그 하부의 힌지본체(53)에 피벗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70)는 하우징(31)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면서 랙기어(50)를 직선운동하게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7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랙기어(5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부재(7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공(71)이 마련되며 랙기어(50)의 돌출부(521)는 상기 가이드공(71)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공(71)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서 이동방향이 가이드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측면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구동모터(20)에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면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은 드라이드 유닛(30)을 통하여 구동축(33)에 전달된다. 구동축(33)이 회전하면 구동축(33)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40)가 함께 회전하고, 이에 따라서 피니언 기어(40)에 맞물린 랙기어(50)는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랙기어(50)는 가이드부재(70)에 의하여 직선운동이 안내되어 있어서 설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랙기어(50)가 직선적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랙기어(50)의 상측에 배치된 힌지로드(60)도 이동하게 되는데, 힌지로드(60)는 일측이 차체에 연결되어 있어서 차체에 대하여 도어를 스윙운동할 수 있게 한다.
랙기어(50)와, 도어 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40)는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평행한 상태로 회전해야 하는데, 측면도어의 특성상 랙기어(50)와 피니언 기어(40)의 회전각도를 다르게 될 수 밖에 없게 되는데, 이러한 도어 개방의 특성을 감안하여 힌지로드(60)는 랙기어(50)와 일체로 결합된 것이 아니라 힌지에 의하여 측면도어의 회전에 따른 각도를 보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존에는 하우징을 전체적으로 회전시켜야 하는데 반해서, 본 발명은 랙기어(50)에 힌지연결된 힌지로드(60)만을 추가함으로서 하우징(31)을 회전하지 않고도 힌지로드(60)의 회전만을 허용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개폐장치를 원활하게 작동하게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31)이 도어에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31) 내부에 배치된 각종 기어, 클러치 수단이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으며 하우징(31)의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장등의 염려도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힌지로드(60)가 과도한 회전으로 인하여 하우징(31) 내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로드(60)의 각도를 일정각도 이하로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즉, 힌지로드(60)는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도를 보상하게 되는데, 과도한 힌지로드(60)의 회전은 주변부품들을 손상시킬 염려가 있으므로 가이드공(71)이 이를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31)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부재(70)에 가이드공(71)이 마련되고, 가이드 공 내에 랙기어(50)의 돌출부(521)가 삽입되어 가이드공(71)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므로 설계자가 원하는 직선경로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랙기어(50)와 피니언 기어(40)가 정확한 각도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측면도어에서 드라이브 유닛(30)이 자체측에 고정설치되고 드라이브 유닛(30)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드라이브 유닛(30) 전체가 회전함에 따라서 도어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도어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됨에 따라서 도어의 슬림화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라이브 유닛(30)을 전체적으로 힌지운동하게 하는 고정수단을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서 전체적인 개폐장치(10)의 부피도 감소시키고 중량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개폐장치 20....구동모터
30...드라이브 유닛 31...하우징
32...동력전달수단 33...구동축
40...피니언 기어 50...랙기어
51...기어본체 52...삽입본체
521...돌출부 53...힌지본체
60...힌지로드 70...가이드부재
71...가이드공

Claims (5)

  1. 자동차의 측면도어를 차체에 대하여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마련되고 측면도어에 고정되어 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드라이브 유닛;
    상기 드라이브 유닛에서 돌출된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어본체와, 하측이 개방되고 기어본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하고 기어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홈이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복수 형성된 삽입본체를 가지는 랙기어;
    일측은 차체에 피벗식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랙기어의 삽입본체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힌지로드;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삽입본체가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삽입본체의 외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양단이 닫힌 폐곡선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공이 마련되고, 랙기어의 삽입본체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공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공을 따라서 슬라이드이동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힌지로드가 피벗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린 랙기어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힌지로드는 측면도어의 회전에 따른 각도를 보상하면서 측면도어가 차체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고,
    측면도어 도어가 일정이상 회전하여 개방되는 경우 돌출부는 가이드공에 내면에 걸려서 측면도어의 회전을 정지시켜 도어의 과도한 개방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의 하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기엇니가 배치되고, 상기 기엇니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랙기어의 상측에는, 힌지핀이 끼워지는 힌지본체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로드의 타측이 상기 힌지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힌지핀이 상기 힌지로드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본체에 끼워고정되어 상기 힌지로드가 피벗식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본체는 랙기어의 돌출부 상단에 상기 가이드공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KR1020200018556A 2020-02-14 2020-02-14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Active KR102273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56A KR102273865B1 (ko) 2020-02-14 2020-02-14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56A KR102273865B1 (ko) 2020-02-14 2020-02-14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865B1 true KR102273865B1 (ko) 2021-07-06

Family

ID=7686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556A Active KR102273865B1 (ko) 2020-02-14 2020-02-14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8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5423A (zh) * 2022-08-08 2022-10-1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辆滑移门驱动装置、车辆滑移门及车辆
CN116278665A (zh) * 2023-03-10 2023-06-23 桂林京达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电动铰链门及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241A (ja) * 2000-02-22 2001-09-18 Delphi Technol Inc 車両リフトゲートパワー作動システム
JP2004156431A (ja) * 2002-10-18 2004-06-03 Asmo Co Ltd ドア開閉制御装置
KR20190019366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241A (ja) * 2000-02-22 2001-09-18 Delphi Technol Inc 車両リフトゲートパワー作動システム
JP2004156431A (ja) * 2002-10-18 2004-06-03 Asmo Co Ltd ドア開閉制御装置
KR20190019366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5423A (zh) * 2022-08-08 2022-10-1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辆滑移门驱动装置、车辆滑移门及车辆
CN116278665A (zh) * 2023-03-10 2023-06-23 桂林京达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电动铰链门及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865B1 (ko)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US11466496B2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harging door
US6530619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liding vehicle door
US7930855B2 (en) Automatic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US11499360B2 (en) Guide mechanism for sliding door
US7509773B2 (en) Sliding window,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9003708B2 (en) Moving body drive apparatus
GB2431082A (en) Shielding door for radiation inspection system
US6454339B2 (en) Power open/power close deck lid
US7287805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2273866B1 (ko) 오버스윙 방지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JP2000087641A (ja) 窓の操作装置
JP5079636B2 (ja) 塵芥収集車の塵芥投入箱
CN111927254A (zh) 潜入式滑门系统及投影设备
JP2011241655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102203863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JPWO2008072397A1 (ja) パネル駆動装置
KR20210037972A (ko) 자동차용 측면도어의 개폐장치
JP6098067B2 (ja) 回転体の開閉支持機構
CN114934465B (zh) 可节省空间的折叠门装置
CN215556198U (zh) 一种密闭式垃圾转运箱尾门结构
WO2025108483A1 (en) Driver for vehicle side door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060099671A (ko) 휴대용 컴퓨터
US10653024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101154298B1 (ko)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