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2182B1 -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182B1
KR102272182B1 KR1020190157342A KR20190157342A KR102272182B1 KR 102272182 B1 KR102272182 B1 KR 102272182B1 KR 1020190157342 A KR1020190157342 A KR 1020190157342A KR 20190157342 A KR20190157342 A KR 20190157342A KR 102272182 B1 KR102272182 B1 KR 102272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artificial aggregate
waste vinyl
film
viny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574A (ko
Inventor
양근혁
권성준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7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1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1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04B18/021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agglomerated by a mineral binder, e.g.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04B18/023Fired or melted materials
    • C04B18/026Melt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0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인 인공골재 제조방법 및 흡수율이 거의 없으며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건설현장에서 경량골재를 대체하여 유용하게 활용이 될 수 있는 인공골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선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세척하고 소정 크기의 입도로 파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용융하여 슬러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러지를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성형물 표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부착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폐필름 또는 폐비닐을 재활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artificial aggregate using recycled film materials}
본 발명은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필름 또는 폐비닐 포장재를 용융, 성형한 후 시멘트 페이스트를 상기 성형물 외부에 부착시켜 인공골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식품류 등의 포장에는 방습, 미려한 외장 등의 여러가지 목적을 위해 PET, PP와 PE 등의 플라스틱 필름층과 알루미늄층으로 구성된 포장용 다층필름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포장용 다층필름의 사용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를 폐기할 경우 환경오염의 발생 및 자원낭비 등의 사회, 경제적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므로 정부에서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이러한 폐필름 또는 폐비닐을 재활용 중점관리 품목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인공골재로 재활용하게 된다면, 기존 골재의 취약점인 흡수율을 보완할 수 있어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양질의 골재품질 대체효과, 폐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오염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740813호에서는 폐 플라스틱으로부터 폴리염화비닐(PVC)를 추출하여 이를 이용한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차음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폐 플라스틱의 폴리염화비닐을 재활용한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흡수율을 개선한 인공골재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경제성이 충분하고 시멘트, 콘크리트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건축용 골재로 손색이 없는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재활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재활용 성형물의 표면 처리를 통해 시멘트와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활용도가 우수한 인공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세척하고 소정 크기의 입도로 파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용융하여 슬러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러지를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성형물 표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부착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폐필름 또는 폐비닐을 재활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성형물 표면에 규칙적인 홈을 성형하여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성형물을 80~100℃에서 유류기화하여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인공골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인 인공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인공골재는 수분 흡수율이 거의 없으며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건설현장에서 경량골재를 대체하여 유용하게 활용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선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세척하고 소정 크기의 입도로 파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용융하여 슬러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러지를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성형물 표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부착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필름 또는 폐비닐을 재활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세척하고 소정 크기의 입도로 파쇄하는 단계는 인공골재로 가공할 폐비닐 또는 폐필름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적을 증가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파쇄하는 단계에서는 세척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한 변의 길이가 1-50 mm, 바람직하게는 10-4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 mm인 불규칙한 모양의 다각형으로 분쇄하여 상기 폐비닐 또는 폐필름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폐비닐 또는 폐필름은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PVC, PET,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비닐 또는 필름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이 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소정 크기의 입도록 파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 분쇄물을 반응기에 투입한 후 고온으로 용융하여 슬러지를 제조한다. 상기 용융 온도는 100~3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0~270℃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온도가 100℃ 미만이면 상기 파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 분쇄물이 분해되지 않을 수 있고, 300℃를 초과하면 온도가 높아 상기 파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 분쇄물이 2차 용융, 즉 탄화수소의 열분해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성형하는 단계에서는 파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용융한 슬러지를 소정의 형태로 성형한다. 다만, 성형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조된 슬러지를 일정한 형상의 성형물로 성형하되, 건설현장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그 크기 및 형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를 부착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는 성형된 재활용 폐비닐 성형물의 표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부착한 후 경화시켜 최종적인 인공골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및 물을 1: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3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상기 재활용 폐비닐 성형물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부착한 후 성형물을 80~100℃에서 소정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이며, 이때 상기 폐비닐 성형물 표면의 시멘트 페이스트를 50~80%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활용 폐비닐 성형물의 표면에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부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상기 재활용 폐비닐 성형물의 표면에 규칙적인 홈(예를 들면, 골프공의 딤플과 같은 형상)을 성형하거나 재활용 폐비닐 성형물을 관통하는 일정한 수의 관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용 폐비닐 성형물을 80~100℃에서 소정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유류기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활용 폐비닐 성형물의 표면이 유류 기화되면 표면이 용융되어 끈적한 상태됨으로써 부착력이 증대되며, 상기 표면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더욱 단단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인공골재는 이후 목적하는 크기의 인공골재를 선별하기 위하여 체로 선별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수분 흡수율이 낮고 시멘트 페이스트와 부착력이 증대된 재활용 폐비닐 또는 폐필름 유래의 인공골재를 개시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인공골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선별과정에서 버려지는 폐비닐을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시키면서 큰 이물질과 파쇄기의 감김현상을 유발하는 테이프류를 제거하고 분류한 폐비닐을 세척 후 햄머밀형 슈레더(shredder)를 이용하여 파쇄하고, 분쇄기로 20mm∼30mm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폐비닐을 150∼270℃의 온도로 배출구에 직경 9mm의 구멍이 뚫려있는 형틀이 부착된 압출기에서 용융 및 압출하면서 연속회전 칼을 이용하여 길이가 약 7mm가 되도록 절단하여 성형물을 제작하였다.
상기 성형물을 90℃에서 30분간 열처리한 후 시멘트 페이스트(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및 물을 1:1~3 중량비로 혼합)를 부착하고 다시 60~90℃에서 10~30분간 열처리하여 폐비닐 인공골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에서 폐비닐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인공골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인공골재를 KS F 2526에 따라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23727668-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제조예에서 제조된 인공 골재는 골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인공골재를 대상으로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흡수율은 제조된 인공골재 시편을 건조기에 넣고 105±10℃에서 24시간 동안 공기 중탕을 통해 건조하여 데시케이터에서 방랭한 후 건조 무게(m1) 측정한 후 시편 상부와 수면 사이 거리를 50-60mm로 하여 20±5℃의 물속에서 24시간 정치하였다. 시편을 물속에서 꺼내어 재빨리 헝겊으로 표면의 수분을 닦아 낸 후 공시체의 무게를 측정(m2)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흡수율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흡수율(%)=(m2-m1/m1)×100
Figure 112019123727668-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골재는 흡수율이 매우 낮아 실제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경량골재의 대체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골재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공 골재를 포함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콘크리트를 배합한 후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물성(슬럼프) 및 굳은 콘크리트의 물성(절건밀도, 압축강도)을 각각 KS F 2402 및 KS F 2405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23727668-pat00003
Figure 112019123727668-pat00004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재료분리현상 없이 정상적인 배합이 가능했다. 또한, 인공 골재 치환률이 증가함에 따라 슬럼프는 우수한 유동성을 보였으며, 인공 골재 치환율이 100%일 때 절건 밀도는 1,738 kg/m3으로 경량이면서 압축강도는 24.1 MPa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는 인공 골재와 시멘트 시멘트 페이스트의 결합력이 우수해져 인공 골재와 시멘트 메트릭스 사이의 공극이 저감되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선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세척하고 소정 크기의 입도로 파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된 폐비닐 또는 폐필름을 용융하여 슬러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러지를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성형물 표면에 규칙적인 홈을 성형 및 80~100℃에서 유류기화하고, 시멘트 페이스트를 부착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 및
    인공골재 선별을 위해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가 부착된 성형물을 체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폐필름 또는 폐비닐을 재활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57342A 2019-11-29 2019-11-29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Active KR102272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42A KR102272182B1 (ko) 2019-11-29 2019-11-29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42A KR102272182B1 (ko) 2019-11-29 2019-11-29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74A KR20210067574A (ko) 2021-06-08
KR102272182B1 true KR102272182B1 (ko) 2021-07-02

Family

ID=7639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342A Active KR102272182B1 (ko) 2019-11-29 2019-11-29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256B1 (ko) * 2022-04-22 2023-11-16 주창수 폐기물을 이용한 건설용 자재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614A (ja) * 2001-02-23 2002-09-11 Sekisui Chem Co Ltd プラスチック人工軽量骨材
JP2006169066A (ja) * 2004-12-17 2006-06-29 Tanaka Kosan Kk 軽量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110A (ko) * 2004-07-08 2006-01-12 김원만 폐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한 건축, 토목시공용 경량 골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경량골재
KR101347496B1 (ko) * 2012-02-29 2014-01-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614A (ja) * 2001-02-23 2002-09-11 Sekisui Chem Co Ltd プラスチック人工軽量骨材
JP2006169066A (ja) * 2004-12-17 2006-06-29 Tanaka Kosan Kk 軽量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74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ppola et al. Investigation on the use of foamed plastic waste as natural aggregates replacement in lightweight mortar
Iucolano et al. Recycled plastic aggregate in mortars composition: Effect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CN100503699C (zh) 一种利用废弃物制成的复合材料的制备方法
US9919452B2 (en) Building bricks including plastics
CN105585867A (zh) 一种废旧织物增强木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154098A (zh) 来自废弃物以及固化橡胶和轮胎帘布中的至少一种成分的复合材料
CN105419372A (zh) 一种用改性木粉和废旧塑料制备木塑复合材料的方法
KR102272182B1 (ko)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CA26341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waste materials
WO2020052205A1 (zh) 一种地毯、汽车内饰边角料回收利用工艺及疏水透气砖
JPH01281901A (ja) 産業廃棄物及び/又は固形都市廃棄物から回収される混合熱可塑性材料の再利用方法
Wiswamitra et al. Heat resistance of lightweight concrete with plastic aggregate from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mineral filler
CN1988991A (zh) 加工塑料废料获取基质材料的方法,基质材料与复合材料
TWI861094B (zh) 具有高機械性能的瀝青礫岩的添加劑組成物的生產過程
US20180086671A1 (en) Artificial stone comprised of waste plastic materials
EP1354681A1 (en) Moulded product comprising a thermoplastic component and a particulate filler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22504922A (ja) プラスチック組成物を製造するための新規組成物およびその方法
CN108000773A (zh) 一种工业固体废料的再利用工艺
JP6504775B2 (ja) ペレット状再生プラスチック材及びペレット状再生プラスチック材の製造方法
KR101154814B1 (ko) 패각을 함유하는 인조 목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 목재
KR102714632B1 (ko) 유리장섬유 단열재 폐기물을 활용한 단열판재의 제조방법
KR101779907B1 (ko) Alc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인테리어용 보드의 제조방법
AU2013219194A1 (en) A rigid composite material
JPH08131989A (ja) 有機繊維廃材の再生処理方法
KR102704890B1 (ko) 폐골재를 이용한 색선별 건축자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