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076B1 - Multi slit marked crack gauge - Google Patents
Multi slit marked crack gau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7076B1 KR102267076B1 KR1020200136670A KR20200136670A KR102267076B1 KR 102267076 B1 KR102267076 B1 KR 102267076B1 KR 1020200136670 A KR1020200136670 A KR 1020200136670A KR 20200136670 A KR20200136670 A KR 20200136670A KR 102267076 B1 KR102267076 B1 KR 1022670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outer plate
- inner plate
- crack
- disp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검측하는 균열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균열 게이지를 구성하는 중첩 판체인 내판(10) 및 투명 외판(20)에 각각 다수의 표시부(16) 및 은폐부(25)를 등간격(等間隔)으로 이격된 대상체(帶狀體) 형태로 형성하여, 내판(10)과 외판(20)의 일정 수준 이상의 상대 이동시 다수의 표시부(16)가 일시에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균열의 유의한 변동 여부에 대한 즉각적이고 명확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균열 게이지가 부착된 구조물 균열 부위의 변동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 점검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진단 업무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ck gauge for detecting cracks in a concrete structur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parts 16 and concealment parts 25 on the inner plate 10 and the transparent outer plate 20, which are overlapping plates constituting the crack gauge, respectively. By forming in the form of an object spaced apart by an interval, and when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move relative to each other over a certain level,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16 are displayed at once, so that the significance of cracking This is to enable immediate and clear confirmation of any change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imply grasp the fluctuation of the crack site of the structure to which the crack gauge is attach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safety diagnosis of concrete structures including crack insp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검측하는 균열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균열 게이지를 구성하는 중첩 판체인 내판(10) 및 투명 외판(20)에 각각 다수의 표시부(16) 및 은폐부(25)를 등간격(等間隔)으로 이격된 대상체(帶狀體) 형태로 형성하여, 내판(10)과 외판(20)의 일정 수준 이상의 상대 이동시 다수의 표시부(16)가 일시에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균열의 유의한 변동 여부에 대한 즉각적이고 명확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ck gauge for detecting cracks in a concrete structur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균열은 콘크리트 구조물 건전성 판단에 있어서의 핵심 지표로서, 균열의 규모, 위치 및 진행 양태를 검측함으로써,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및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Cracks are a key indicator in judging the integrity of a concrete structure, and by detecting the size, location, and progression of cracks, the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concrete structure can be grasped.
특히, 균열 상태의 경시적(經時的) 변화는 구조물의 장단기 안전성을 진단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인 바, 대부분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균열 발생 지점에 대한 주기적인 검측이 수행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temporal change of crack state is essential information in diagnosing the long-term and short-term safety of a structure, and in most concrete structures, periodic inspection of crack occurrence points is performed.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에 대한 주기적인 검측은 균열 발생 부위에 균열 게이지를 부착하고 이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러한 균열 게이지는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측정 기구로서 관련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2083255호 등을 들 수 있다.Periodic detection of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is performed by attaching a crack gauge to the cracking site and observing it. This crack gauge is a measuring instrument composed of a pair of overlapping plate bodies, and is a related prior art in Patent No. 2083255 and the like.
특허 제2083255호를 비롯한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도 1에서와 같이,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표척(92)이 표시된 내판(10)과 지시선(93)이 표시된 투명 소재의 외판(20)으로 구성되며, 이들 내판(10)과 외판(20) 각각의 후단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되어 이들 정착부(91)가 검측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접착제 등을 통하여 부착된다.The conventional crack gauge including Patent No. 2083255 is composed of a pair of plate bodies overlapping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 and an
즉,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 지점 양측 표면에 균열 게이지를 부착하는 것으로, 선상(線狀) 균열에 직교하는 일측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지점의 구조물 표면에 내판(10)의 정착부(91)를 부착하고, 선상 균열에 직교하는 타측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지점의 구조물 표면에는 외판(20)의 정착부(91)를 부착하되, 내판(10) 전단부(前端部)의 표척(92) 표시 부위와 외판(20) 전단부의 지시선(93) 표시 부위가 상호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1, by attaching crack gauges to the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crack occurrence point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따라서, 내판(10)의 표척(92) 표시 부위 표면에 충첩된 외판(20)의 지시선(93)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균열폭의 경시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의 확대 속도 및 허용치 도달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by periodicall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이렇듯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진행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균열 폭의 확대 상황을 확인하는 작업을 전적으로 점검원의 육안(肉眼)에 의존하는 한계를 가진다.As such,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as shown in FIG. 1 has the advantage of accurately grasping the progress of cracks generated in the concrete structure even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pair of plate bodies,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operation completely depends on the inspector's visual observation (肉眼).
즉,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내판(10)과 외판(20) 중첩부에서, 내판(10)에 표시된 표척(92) 표면에서의 투명 외판(20)에 표시된 지시선(93)의 위치를 육안으로 판독하는 방식으로 균열의 변동을 검측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은 그 변동폭이 극히 미미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점검원이 균열 변동을 즉각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균열 게이지에 근접하여 세밀하게 관찰하거나 확대경 등의 보조 수단을 활용하여야 실질적인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visually reads the position of the
따라서,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점검원의 근접 관찰이 전제된 상황에서만 정상적인 운용이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can be operated normally only under the premise of close observation of the inspector, which causes various problems as follows.
우선, 종래의 균열 게이지에서는 표척(92)상의 지시선(93) 위치를 점검원이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바, 균열 변동폭 측청 수치는 물론 일정 수준 이상 유의(有意)한 변동의 발생 여부에 대한 즉각적이고 신속한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First of all, in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the inspector must visually check the position of the
즉,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점검원이 균열 게이지 설치 지점에 근접한 상태에서 확대경 등을 활용하여 지시선(93)의 표척(92)상 이동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바, 극히 미세하게 진행되는 균열의 변동을 신속하게 확인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측정 과정 전반에 세밀한 관찰이 요구되는 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the inspector must check the movement state of the
특히, 대규모 구조물의 경우 다수의 균열 발생 지점 각각에 별도의 균열 게이지가 설치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단일 균열이라 하여도 균열 진행 양태의 정확한 파악을 위하여 균열 선상의 다수의 지점에 별도의 균열 게이지가 설치되는 바, 각각의 균열 게이지를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에서 장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고, 이는 작업 효율의 저하 및 점검 비용의 증대로 직결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arge-scale structures, separate crack gauges need to be installed at each of multiple cracks, and separate crack gauges are located at multiple points along the crack line for accurate identification of crack progress even in a single crack. is installed, the process of checking each crack gauge one by one inevitably takes a long time, which directly leads to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and an increase in inspection cost.
또한,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점검원의 근접 관찰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바, 점검원의 자유로운 접근이 제한될 수 있는 고소(高所) 구조물, 구조물의 협소 공간내 심부(深部) 또는 수상 구조물 등에서는 점검 작업에 상당한 애로점이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작업 과정에서도 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requires close observation of an inspector, and a high-altitude structure in which the inspector's free access may be restricted, a deep part in a narrow space of the structure, or In the case of floating structures, there is inevitably a significant difficulty in the inspection work, and there was a serious problem that the risk of an accident still exists during the work proces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균열 폭이 변동됨에 따라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근접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균열 게이지에 있어서, 내판(10) 표면에는 암부인 배경부(15)가 형성되고 배경부(15) 내부에는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대상체(帶狀體)로서 명부인 표시부(16)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투명 소재의 외판(20)에는 상기 표시부(16)와 평행한 방향의 암부 대상체인 은폐부(25)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고 은폐부(25) 사이에 형성되는 투시부(26)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되, 표시부(16)의 이격 간격과 투시부(26)의 이격 간격은 동일하여, 내판(10)의 표시부(16)와 외판(20)의 은폐부(25)가 중첩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상대 이동됨에 따라 내판(10)의 표시부(16)와 외판(20)의 투시부(26)가 중첩되면서 전체 표시부(16)가 동시에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슬릿 표시형 균열 게이지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 part of the tip of the
또한, 상기 내판(10)에는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유도벽(12) 한쌍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유도벽(12) 사이에는 외판(20)측 측면에 경사면(41)이 형성된 이동판(40)이 유도벽(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sliding)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경사면(41)과 인접 유도벽(12)의 사이각은 45도 미만으로 설정되며, 외판(20)의 선단에는 돌출된 억지판(24)이 형성되어, 내판(10)과 외판(20)의 중첩 설치시 억지판(24)의 말단이 이동판(40)의 경사면(41)에 접하면서 이동판(40)의 이동을 억지하고,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따라 억지판(24)과 경사면(41)의 접점이 변동되면서 이동판(40)이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슬릿 표시형 균열 게이지이다.In addition, a pair of
본 발명을 통하여, 균열 게이지가 부착된 구조물 균열 부위의 변동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 점검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진단 업무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grasp the fluctuations of the cracked part of the structure to which the crack gauge is attach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safety diagnosis of concrete structures including crack inspection.
특히, 균열의 일정 수준 이상 진행 여부를 균열 게이지에 대한 근접 관찰 없이도 원거리에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 점검 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whether a crack has progressed beyond a certain level from a distance without close observation of the crack gauge, thereby dramatically improving the speed and convenience of inspection work.
또한, 고소 구조물 또는 수상 구조물 등 점검원의 근접이 곤란한 지점에 대한 일상 점검을 원거리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점검 작업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검 수행중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daily inspection of points where it is difficult for inspectors to approach, such as structures at height or water structures, can be performed from a distance, the burden of inspection work can be greatly reduced and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inspection can be delayed This can be prevented to ensure work safety.
도 1은 종래의 균열 게이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균열 상태별 표시 상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표시 방식 설명도
도 6은 계단식 표시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표시 방식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 사시도
도 8은 이동판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9는 도 8 실시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 실시예의 작동 방식 설명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rack gaug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display state for each crack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anatory view of 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stepped display unit is applied.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moving plate is applie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Fig. 8;
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8;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균열 게이지이며, 선단부에는 표척(92)이 표시되고 후단부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된 내판(10)과, 선단부에는 지시선(93)이 표시되고 역시 후단부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된 외판(20)으로 구성되어, 이들 내판(10)의 표척(92)과 외판(20)의 지시선(93)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균열 발생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부착되어 설치된다.Firs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ack gauge composed of a pair of plate bodies overlapping each other, the front end is marked with a
본 발명에 있어서, 내판(10)과 외판(20)의 균열 발생 콘크리트 구조물 부착은 내판(10) 후단부에 형성된 정착부(91)와 외판(20) 후단부에 형성된 정착부(91)를 각각 균열선을 기준으로 균열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 지점 및 타측 지점에 콘크리트용 접착제 또는 나사 등의 결합 금구를 활용하여 결속함으로써 수행되며, 따라서 피검체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대한 본 발명 균열 게이지의 설치시 내판(10) 및 외판(20)은 각각의 선단부 일부가 중첩된 상태로 선상(線狀)의 균열을 직교 또는 직교에 근사한 방향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부착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of the crack-generating concrete structure of the
즉,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균열 폭이 변동됨에 따라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근접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균열 게이지로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내판(10)에는 배경부(15) 및 표시부(16)가 형성되고, 투명체인 외판(20)에는 은폐부(25) 및 투시부(26)가 형성되어, 이들 표시부(16) 및 투시부(26)간 중첩 위치에 따라 시각적 표시 상태가 극적으로 변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tip of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배경부(15), 표시부(16), 은폐부(25) 및 투시부(26)는 피검 구조물의 균열 일측에 부착된 내판(10)과 균열 타측에 부착된 외판(20)이 상대 이동함에 따라, 그 중첩 상태가 변동되면서 은폐부(25)와 배경부(15)에 의하여 형성되는 암부(暗部) 내부에서 표시부(16)와 투시부(26)에 의하여 형성되는 명부(明部)가 극적으로 일시에 표출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균열 변동 발생 여부에 대한 파악에 있어서, 종래의 표척(92) 및 지시선(93) 활용 방식에 비하여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라 할 수 있다.The
여기서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이란 균열 폭의 확대 또는 축소 등 균열 상태의 변동에 따른 내판(10) 또는 외판(20)의 상대적인 이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적용되는 균열 검측 방식을 고려할 때 상기 상대 이동의 방향은 균열폭의 증감을 반영할 수 있도록 균열선과 직교 내지 직교와 근접한 방향으로 설정되며, 이렇듯 설정된 상대 이동 방향에 따라 본 발명 균열 게이지를 구성하는 내판(10) 및 외판(20)이 균열선의 일측 부위 및 타측 부위에 각각 부착된다.Here,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즉, 본 발명을 비롯한 중첩 판체형 균열 게이지가 선상 균열을 직교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됨을 감안할 때, 전술한 내판(10) 또는 외판(20)의 상대 이동 방향은 내판(10) 또는 외판(20) 자체의 중심축 방향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판(10) 또는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있어서, 균열의 진행 양태에 따라 내판(10) 또는 외판(20) 중 어느 일방만이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내판(10) 및 외판(20)이 동시에 이동하면서 균열 폭이 증감할 수도 있는 바, 균열 게이지의 거동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비록 내판(10)과 외판(20) 중 어느 일방이 정지된 상태일지라도 타방의 이동을 통하여 균열 변동을 반영할 수 있도록 내판(10) 및 외판(20)의 상대 이동 상태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considering that the overlap plate-shaped crack gauge inclu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ar crack,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암부로서 형성되는 배경부(15) 및 은폐부(25)는 인쇄층, 도료의 도포층 또는 박막체의 부착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내판(10)의 표면에는 암부인 배경부(15)가 형성되고 배경부(15) 내부에는 전술한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대상체로서 명부(明部)인 표시부(16)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암부와 명부는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암부는 흑색을 비롯한 명도가 낮고 배후부에 대한 은폐성이 높은 색상으로 구성되며, 명부는 백색 또는 황색 등 명도가 높고 암부와의 대비가 명확한 색상으로 구성된다.Here, as in the dictionary meaning, the dark part and the bright part represent the dark part and the bright part. The dark part is composed of a color with low brightness including black and high hiding power for the back part, and the bright part shows the brightness such as white or yellow. It is composed of colors that are high in color and have a clear contrast with the dark areas.
따라서 배경부(15)가 형성되는 내판(10)이 백색 등 명도가 높은 색상의 표면을 가질 경우, 암부인 배경부(15)를 인쇄 또는 도색하여 형성함에 있어서 표시부(16) 형성 부위를 제외한 부분에만 배경부(15) 색상을 인쇄 또는 도색하는 방식으로 명부인 표시부(16)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refore, when the
또한,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투명 소재의 외판(20)에는 상기 표시부(16)와 평행한 방향의 암부 대상체인 은폐부(25)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고 은폐부(25) 사이에 형성되는 투시부(26)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데, 도 5에서와 같이, 표시부(16)의 이격 간격과 투시부(26)의 이격 간격은 동일하게 설정된다.In addition, as in FIGS. 3 and 5 , a plurality of
즉, 도 3에서와 같이, 내판(10)에는 암부인 배경부(15) 내부에 다수의 표시부(16)가 등간격 배치되고, 투명판인 외판(20)에는 암부인 은폐부(25) 사이에 투명 부위인 투시부(26)가 반복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다중 슬릿(slit) 구조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내판(10)의 표시부(16)와 외판(20)의 은폐부(25)가 중첩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상대 이동됨에 따라 내판(10)의 표시부(16)와 외판(20)의 투시부(26)가 중첩되면서 전체 표시부(16)가 동시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That is, as in FIG. 3 , in the
이러한 배경부(15), 표시부(16), 은폐부(25) 및 투시부(26)를 형성함에 있어서, 외측 투명 판체인 외판(20)의 두께로 인한 시차(視差), 굴절 또는 왜곡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후부 표시물인 배경부(15) 및 표시부(16)는 내판(10)의 표면에 형성하고, 표층부 표시물인 은폐부(25)는 외판(20)의 이면에 형성하여, 배경부(15), 표시부(16) 및 은폐부(25)의 중첩시 일체의 두께차 없이 동일 평면상에서 중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orming the
여기서 은폐부(25)의 폭은 투시부(26) 및 표시부(16) 폭에 비하여 확대하여 형성함으로써,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과정에서 일정 수준 미만의 이동 발생시에는 표시부(16)의 표출이 억제되다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이동이 발생되면 비로소 전체 표시부(16)가 일거에 표출되는 방식의 거동이 가능하며, 이로써 단순한 표척(92) 및 지시선(93) 중첩 방식에 비하여 월등하게 향상된 시각적 표시 효과를 얻을 수 있다.Here, the width of the hiding
즉, 내판(10)과 외판(20)의 초기 설치 상대가 유지되거나 균열폭 확대가 미미하여 상대 이동 거리가 미세할 경우 전술한 배경부(15), 표시부(16), 은폐부(25) 및 투시부(26)간 중첩 상태가 도 4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조성되어 암부만이 표시되나, 균열이 확대되어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거리가 일정 수준을 상회하는 즉시 다수의 표시부(16) 전체가 다수의 투시부(26)를 통하여 일시에 표출되면서 동 도면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암부의 면적을 상당 부분 잠식하는 명부가 극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점검원이 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nitial installation relative of the
이러한 표시부(16) 일시 표출에 따른 명부 형성은 확대경 등을 동원할 필요 없이도 육안만으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균열 게이지에 대한 근접 없이 원거리에서도 확인이 가능한 바, 안전진단 등의 구조물 유지관리 업무 수행에 있어서의 작업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소 구조물, 협소 구조물 또는 수상 구조물 등 위험 지점에 대한 작업 부담 역시 획기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The list formation according to the temporary display of the
또한, 다수의 피검 지점에 대한 주기적인 검측 수행시, 우선 원거리에서 전술한 표시부(16)의 표출 여부를 확인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변동이 발생된 측점을 선정한 후, 선정된 측점에 한하여 근접 정밀 검측을 수행하는 방식을 도입할 수도 있는 바, 안전진단 업무의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periodic detection of a plurality of points to be inspected, first check whether the above-described
특히, 명부인 표시부(16)를 형성함에 있어서 반사체를 노출시키거나 반사성 또는 형광성 도료를 적용하면 일층 향상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렇듯 표시부(16)에 반사성 또는 형광성을 부여함으로써 점검원이 손전등 등의 광원을 활용하여 반사광을 확인하는 방식의 점검이 가능하여 상당 거리 이격된 원격지에서도 검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exposing a reflector or applying a reflective or fluorescent paint in forming the
도 6은 배경부(15) 내부에 표시부(16)를 형성함에 있어서, 표시부(16)를 계단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로써 동 도면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수준 이상의 균열 변동을 표출함은 물론, 균열의 계속 진행시에도 이를 명확하게 표시함과 동시에 그 진행 정도도 표시부(16) 표출 위치 변화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6 shows that in forming the
도 7은 내판(10)에 형성되는 배경부(15) 및 표시부(16)와 외판(20)에 형성되는 은폐부(25) 등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킨 실시예로서,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배경부(15) 및 표시부(16)를 내판(10) 표면에 형성하고, 외판(20) 선단부에 내판(10)측으로 돌출된 투명 확장부(30)를 형성하고 이 확장부(30)에 은폐부(25) 및 투시부(26)를 형성하였으나,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내판(10) 선단부를 일부 돌출 확장하여 확장부(30)를 구성하고 이 확장부(30)에 배경부(15) 및 표시부(16)를 형성하였으며, 그 자체가 투명체인 외판(20)의 판체 내부에 은폐부(25) 및 투시부(26)를 형성하였다.7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이러한 도 7의 실시예를 통하여 내판(10)의 중앙부 내지 후단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은 이동판(40)을 적용할 수 있어, 본 발명 균열 게이지의 운용상 시인성과 정밀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7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즉,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내판(10)에는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유도벽(12) 한쌍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유도벽(12) 사이에는 외판(20)측 측면에 경사면(41)이 형성된 이동판(40)이 유도벽(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sliding)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판(20)의 선단에는 돌출된 억지판(24)이 형성되어, 억지판(24)의 말단이 이동판(40)의 경사면(41)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동판(40)의 경사면(41)과 억지판(24) 사이의 이동 방향 변환 및 이동 거리 증폭 작용을 통하여 균열 변동에 의한 내판(10) 및 외판(20)의 상대 이동 거리가 증폭되어 이동판(40)의 활동 이동 거리로 표출됨으로써, 일층 정밀한 검측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as in FIGS. 8 to 10 , the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호 이격된 한쌍의 유도벽(12) 사이에 결합되는 이동판(40)은 전체적으로 장방형 형태를 가지며 그 정면상 폭이 상기 이격된 한쌍의 유도벽(12) 사이 공간의 폭과 일치함으로써, 유도벽(12) 사이에 결합된 이동판(40)이 유도벽(12)과 평행한 방향인 도면상 상, 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다.8 and 9, the moving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판(40)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는 활동을 수행하게 되며, 동 도면에서와 같이, 외판(20)의 억지판(24)에 의하여 이동판(40) 일 측면의 경사면(41)이 접촉 지지됨에 따라, 내판(10)과 외판(20)의 중첩 설치시 억지판(24)의 말단이 이동판(40)의 경사면(41)에 접하면서 이동판(40)의 이동을 억지하게 되는데,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면상 이동판(40) 상단부와 내판(10) 사이에 탄발력을 가하는 용수철 등의 탄성체를 구성하여 이동판(40)의 원활한 하강을 도모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10, the moving
이렇듯 본 발명의 이동판(40) 적용 실시예에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따라 억지판(24)과 경사면(41)의 접점이 변동되면서 이동판(40)이 이동하게 되는데, 내판(10)과 외판(20)이 상호 이격되는 상대이동 즉, 동 도면상 내판(10)이 좌측으로 이동하거나, 외판(20)이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내판(10) 및 외판(20)이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경우, 억지판(24)이 이동판(4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판(40)은 동 도면상 하강하는 방향으로 활동 이동하게 되고, 반대로 내판(10)과 외판(20)이 상호 근접되는 상대이동 즉, 동 도면상 내판(10)이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외판(20)이 좌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내판(10) 및 외판(20)이 각각 우측 및 좌측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경우, 억지판(24)이 이동판(40)측으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판(40)은 도면상 상승하는 방향으로 활동 이동하게 된다.As such, in the embodiment of the application of the moving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 균열 게이지의 설치 작업 과정에서 또는 이동판(40)의 하강 활동과정에서 이동판(40)이 유도벽(12) 사이에서 완전히 이탈되어 망실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판(40) 하부의 내판(10) 표면에는 돌출물인 스토퍼(19)를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FIGS. 9 and 10 , the moving
이렇듯 본 발명의 이동판(40) 활동 구조를 통하여 균열 변동에 따른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거리를 증폭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이동판(40) 경사면(41)의 경사 각도 즉, 경사면(41)과 인접 유도벽(12)의 사이각(θ)을 45도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기술에서는 실질적인 육안 판독이 불가능하였던 미세한 균열 변동치도 정확하게 검측할 수 있다.As such, it can be confirmed by amplifying the relative movement distance of the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일측 유도벽(12)에 확대척(13)을 표시하고 이동판(40) 표면에는 지시자(49)를 표시하며, 유도벽(12)으로부터의 이동판(40) 이탈을 억제하는 투시판(45)을 유도벽(12)에 부착함으로써, 투명 소재인 투시판(45)을 통하여 이동판(40) 표면 지시자(49)의 확대척(13) 지시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내판(10) 및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따른 이동판(40)의 위치 변동을 구체적인 수치로 검측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FIG. 9 , an
도 10은 전술한 이동판(40)에 의한 균열 변동 거리 증폭 효과를 설명하는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판(40)의 경사면(41)과 인접 유도벽(12)의 사이각(θ)은 45도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그 사이각(θ)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면(41)의 동 도면상 수평거리 대 수직거리는 h 대 v로서, 사이각(θ)이 45도 미만일 경우, v/h는 1을 초과하게 되고, v/h는 동 도면상 억지판(24)의 수평 이동 거리에 대한 이동판(40)의 수직 활동 거리의 비로 환산될 수 있어, 결국 v/h는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거리를 증폭하는 이동판(40)의 활동 이동 거리의 증폭비라 할 수 있다.10 is to explain the effect of amplifying the crack variation distance by the moving
따라서,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v/h가 2로 설정될 경우 균열 변동에 따른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거리가 2배로 증폭되어 이동판(40)의 이동 거리로 표출되는 바, 표척(92)상 지시선(93)의 위치를 판독하는 방식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된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사이각(θ)을 더욱 축소하여 v/h를 증가시킬 경우 그 검측 정밀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도 있다.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10 , when v/h is set to 2, the relative movement distance of the
10 : 내판
12 : 유도벽
13 : 확대척
15 : 배경부
16 : 표시부
19 : 스토퍼
20 : 외판
24 : 억지판
25 : 은폐부
26 : 투시부
30 : 확장부
40 : 이동판
41 : 경사면
45 : 투시판
49 : 지시자
91 : 정착부
92 : 표척
93 : 지시선10: inner plate
12: guide wall
13: zoom
15: background part
16: display unit
19 : stopper
20: outer plate
24 : Suppression board
25 : Concealment
26: see-through
30: extension
40: moving plate
41: slope
45: sight plate
49: indicator
91: fixing unit
92 : mark
93: leader line
Claims (2)
상기 내판(10)에는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유도벽(12) 한쌍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유도벽(12) 사이에는 외판(20)측 측면에 경사면(41)이 형성된 이동판(40)이 유도벽(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sliding)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경사면(41)과 인접 유도벽(12)의 사이각은 45도 미만으로 설정되며;
외판(20)의 선단에는 돌출된 억지판(24)이 형성되어, 내판(10)과 외판(20)의 중첩 설치시 억지판(24)의 말단이 이동판(40)의 경사면(41)에 접하면서 이동판(40)의 이동을 억지하고;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따라 억지판(24)과 경사면(41)의 접점이 변동되면서 이동판(40)이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슬릿 표시형 균열 게이지.A part of the tip of the inner plate 1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racked part of the structure and a part of the tip of the outer plate 20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cracked part overlap each other, and as the crack width fluctuates, the outer plate 20 on the surface of the inner plate 10 ) As a crack gauge in which the overlapping portion is changed while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crack width change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s are close, a dark background portion 15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plate 10 In the background part 15, a plurality of display parts 16, which are bright parts as an object orthogonal to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20), a plurality of concealing units 25, which are dark object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splay unit 16,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see-through units 26 formed between the concealing units 25 are spaced at equal intervals. formed,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unit 16 and the see-through unit 26 is the same, so that the display unit 16 of the inner plate 10 and the concealing unit 25 of the outer plate 20 are overlapped with the inner plate ( As 10) and the outer plate 20 ar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the display part 16 of the inner plate 10 and the see-through part 26 of the outer plate 20 overlap and the entire display part 16 is exposed at the same time. In
A pair of guide walls 12 orthogonal to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plate 10;
Between the guide wall 12, a moving plate 40 having an inclined surface 41 formed on the side of the outer plate 20 is coupled to be able to slide free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uide wall 12, the inclined surface 41 and the angle between the adjacent guide wall 12 is set to less than 45 degrees;
A protruding restraining plate 24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plate 20, so that when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are overlapped and installed, the end of the restraining plate 24 is on the inclined surface 41 of the moving plate 40. inhibit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40 while in contact;
A multi-slit display type crack gaug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plate 40 moves while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restraining plate 24 and the inclined surface 41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6670A KR102267076B1 (en) | 2020-10-21 | 2020-10-21 | Multi slit marked crack gau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6670A KR102267076B1 (en) | 2020-10-21 | 2020-10-21 | Multi slit marked crack gau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7076B1 true KR102267076B1 (en) | 2021-06-17 |
Family
ID=7660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6670A Active KR102267076B1 (en) | 2020-10-21 | 2020-10-21 | Multi slit marked crack gau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7076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9837B1 (en) * | 2021-07-14 | 2022-07-12 | 경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Accurate crack gauge |
KR20240139479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 Scale extending crack gauge |
KR20240139478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magnifying crack gauge |
KR20240139477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extending crack gaug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72883A (en) * | 1982-09-28 | 1984-09-25 | Ortega Richard I | Structural movement measuring device |
EP1110053B1 (en) * | 1998-08-26 | 2002-11-27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Belt elongation measurement device |
KR200489397Y1 (en) * | 2017-12-29 | 2019-06-13 | 장미희 | Crack measuring apparatus |
KR102083255B1 (en) * | 2019-09-02 | 2020-03-02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Gauge for measuring crack |
-
2020
- 2020-10-21 KR KR1020200136670A patent/KR1022670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72883A (en) * | 1982-09-28 | 1984-09-25 | Ortega Richard I | Structural movement measuring device |
EP1110053B1 (en) * | 1998-08-26 | 2002-11-27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Belt elongation measurement device |
KR200489397Y1 (en) * | 2017-12-29 | 2019-06-13 | 장미희 | Crack measuring apparatus |
KR102083255B1 (en) * | 2019-09-02 | 2020-03-02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Gauge for measuring crack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9837B1 (en) * | 2021-07-14 | 2022-07-12 | 경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Accurate crack gauge |
KR20240139479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 Scale extending crack gauge |
KR20240139478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magnifying crack gauge |
KR20240139477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extending crack gauge |
KR102756334B1 (en) | 2023-03-14 | 2025-01-21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extending crack gauge |
KR102756337B1 (en) | 2023-03-14 | 2025-01-21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magnifying crack gauge |
KR102763360B1 (en) | 2023-03-14 | 2025-02-05 |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 Scale extending crack gau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0165B1 (en) | Fine metric crack gauge | |
KR102267076B1 (en) | Multi slit marked crack gauge | |
KR102230168B1 (en) | Mini metric crack gauge | |
KR102358123B1 (en) | Accurate crack gauge | |
KR102083255B1 (en) | Gauge for measuring crack | |
KR102417776B1 (en) | Triaxial concrete crack gauge | |
KR102365210B1 (en) | Magnifying crack gauge | |
KR102419837B1 (en) | Accurate crack gauge | |
US4472883A (en) | Structural movement measuring device | |
WO2009031420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micro foreign matter within transparent plate | |
KR102360320B1 (en) | Concrete Crack Width Measuring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Check | |
KR102408018B1 (en) | Rapid measurement type crack scale for structure inspection | |
KR102408008B1 (en) | Prompt measurement type crack scale for structure inspection | |
KR102745930B1 (en) | Measurement magnifying type crack gauge | |
KR100430106B1 (en) | Device for testing crack progress with vernier type | |
KR102408024B1 (en) | Convenient measurement type crack scale for structure inspection | |
KR102758287B1 (en) | Gliding type magnetic crack gauge | |
KR102573814B1 (en) | Climbing type magnetic crack gauge | |
KR200265796Y1 (en) | A system using a laser device for inspecting a safety of a road structure | |
KR101604286B1 (en) |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using laser | |
CN201716267U (en) | Additional device for measuring retroreflection coefficient of marked line | |
KR102758710B1 (en) | Measurement expanding type crack gauge | |
KR102762000B1 (en) | Measurements magnification type recording crack gauge | |
KR102761981B1 (en) | Measurements magnification type recording crack gauge | |
KR102716197B1 (en) | Crack measurement jig for safety diagnosis of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0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