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165B1 - Fine metric crack gauge - Google Patents
Fine metric crack gau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0165B1 KR102230165B1 KR1020200136673A KR20200136673A KR102230165B1 KR 102230165 B1 KR102230165 B1 KR 102230165B1 KR 1020200136673 A KR1020200136673 A KR 1020200136673A KR 20200136673 A KR20200136673 A KR 20200136673A KR 102230165 B1 KR102230165 B1 KR 1022301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rack
- outer plate
- moving plate
- mo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3 mo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검측하는 균열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균열 게이지를 구성하는 중첩 판체인 내판(10) 및 외판(20)에 각각 이동판(40) 및 억지판(24)을 구성하고, 이동판(40)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41)에 억지판(24) 말단부가 밀착되어,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따라 이동판(40)이 활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균열 변동 상태에 대한 즉각적이고 미세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균열 게이지가 부착된 구조물 균열 부위의 변동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 점검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진단 업무의 정확성,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ck gauge for detecting cracks in a concrete structure, and constitutes a moving plate 40 and an inhibiting plate 24 on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which are overlapping plates constituting the crack gauge, respectively, The distal end of the inhibiting plate 2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41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plate 40 so that the moving plate 40 can be activated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thereby cracking This is to enable immediate and minute confirmation of the state of fluctuation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simply and accurately grasp the fluctuation of the crack area of the structure to which the crack gauge is attached,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safety diagnosis work for concrete structures including crack insp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검측하는 균열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균열 게이지를 구성하는 중첩 판체인 내판(10) 및 외판(20)에 각각 이동판(40) 및 억지판(24)을 구성하고, 이동판(40)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41)에 억지판(24) 말단부가 밀착되어,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따라 이동판(40)이 활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균열 변동 상태에 대한 즉각적이고 미세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ck gauge for detecting cracks in a concrete structure, and constitutes a moving
균열은 콘크리트 구조물 건전성 판단에 있어서의 핵심 지표로서, 균열의 규모, 위치 및 진행 양태를 검측함으로써,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및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Cracks are a key indicator in determining the integrity of a concrete structure, and by detecting the size, location and progress of the crack, the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concrete structure can be grasped.
특히, 균열 상태의 경시적(經時的) 변화는 구조물의 장단기 안전성을 진단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인 바, 대부분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균열 발생 지점에 대한 주기적인 검측이 수행되고 있다.In particular, changes in crack conditions over time are essential information in diagnosing the long- and short-term safety of a structure, and in most concrete structures, periodic detection of crack occurrence points is performed.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에 대한 주기적인 검측은 균열 발생 부위에 균열 게이지를 부착하고 이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러한 균열 게이지는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측정 기구로서 관련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2083255호 등을 들 수 있다.Periodic detection of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is performed by attaching a crack gauge to the cracking area and observing it, and this crack gauge is a measuring instrument composed of a pair of plates that overlap each other, and is a related prior art patent No. 2083255. Etc. are mentioned.
특허 제2083255호를 비롯한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도 1에서와 같이,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표척(92)이 표시된 내판(10)과 지시선(93)이 표시된 투명 소재의 외판(20)으로 구성되며, 이들 내판(10)과 외판(20) 각각의 후단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되어 이들 정착부(91)가 검측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접착제 등을 통하여 부착된다.Conventional crack gauges, including Patent No. 2083255, are composed of a pair of plate bodies that overlap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and an
즉,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 지점 양측 표면에 균열 게이지를 부착하는 것으로, 선상(線狀) 균열에 직교하는 일측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지점의 구조물 표면에 내판(10)의 정착부(91)를 부착하고, 선상 균열에 직교하는 타측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지점의 구조물 표면에는 외판(20)의 정착부(91)를 부착하되, 내판(10) 전단부(前端部)의 표척(92) 표시 부위와 외판(20) 전단부의 지시선(93) 표시 부위가 상호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1, by attaching crack gauges to both surfaces of the crack occurrence point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따라서, 내판(10)의 표척(92) 표시 부위 표면에 충첩된 외판(20)의 지시선(93)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균열폭의 경시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의 확대 속도 및 허용치 도달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by periodicall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이렇듯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진행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균열 폭의 확대 상황을 확인하는 작업을 전적으로 점검원의 육안(肉眼)에 의존하는 한계를 가진다.As such,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as shown in FIG. 1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curately grasp the progress of cracks generated in the concrete structure even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pair of plate bodies, but checks the expansion of the crack width. It has a limit that depends entirely on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inspector.
즉,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내판(10)과 외판(20) 중첩부에서, 내판(10)에 표시된 표척(92) 표면에서의 투명 외판(20)에 표시된 지시선(93)의 위치를 육안으로 판독하는 방식으로 균열의 변동을 검측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은 그 변동폭이 극히 미미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점검원이 균열의 미미한 변동을 원거리에서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균열 게이지에 근접하여 세밀하게 관찰하거나 확대경 등의 보조 수단을 활용하여야 실질적인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visually reads the position of the
따라서,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점검원의 근접 관찰이 전제된 상황에서만 정상적인 운용이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can be normally operated only in a situation where close observation of an inspector is premised, and this causes various problems as follows.
우선, 종래의 균열 게이지에서는 표척(92)상의 지시선(93) 위치를 점검원이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바, 균열 변동폭 측청 수치를 독취(讀取)함에 있어서 그 정확성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변동량이 미미할 경우 측정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First of all, in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the position of the
즉,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점검원이 균열 게이지에 근접한 상태에서 확대경 등을 통하여 표척(92)상 지시선(93)의 위치를 육안으로 판독하는 것인 바, 극히 미세하게 진행되는 균열의 변동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측정 과정 전반에 확대경 등 보조 기구를 동원한 세밀한 관찰이 요구되는 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the position of the
특히, 대규모 구조물의 경우 다수의 균열 발생 지점 각각에 별도의 균열 게이지가 설치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단일 균열이라 하여도 균열 진행 양태의 정확한 파악을 위하여 균열 선상의 다수의 지점에 별도의 균열 게이지가 설치되는 바, 각각의 균열 게이지를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에서 장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고, 이는 작업 효율의 저하 및 점검 비용의 증대로 직결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arge-scale structures, separate crack gauges need to be installed at each of the multiple cracking points, and even for a single crack, separate crack gauges at multiple points along the crack line to accurately grasp the crack progression mode. Is installed, it takes a long time in the process of checking each crack gauge one by one, which directly leads to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and an increase in inspection cos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균열 폭이 변동됨에 따라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근접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균열 게이지에 있어서, 내판(10)에는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유도벽(12) 한쌍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유도벽(12) 사이에는 외판(20)측 측면에 경사면(41)이 형성된 이동판(40)이 유도벽(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sliding)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경사면(41)과 인접 유도벽(12)의 사이각은 45도 미만으로 설정되며, 외판(20)의 선단에는 돌출된 억지판(24)이 형성되어, 내판(10)과 외판(20)의 중첩 설치시 억지판(24)의 말단이 이동판(40)의 경사면(41)에 접하면서 이동판(40)의 이동을 억지하고,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따라 억지판(24)과 경사면(41)의 접점이 변동되면서 이동판(40)이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측정형 균열 게이지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part of the tip of the
또한, 상기 이동판(40) 표면에는 암부인 배경부(15)가 형성되고 배경부(15) 내부에는 이동판(40)의 활동 방향과 직교하는 대상체(帶狀體)로서 명부인 표시부(16)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유도벽(12)에는 투명 소재의 투시판(45)이 부착되고, 투시판(45)에는 상기 표시부(16)와 평행한 방향의 암부 대상체인 은폐부(25)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고 은폐부(25) 사이에 형성되는 투시부(26)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되, 표시부(16)의 이격 간격과 투시부(26)의 이격 간격은 동일하여, 이동판(40)의 표시부(16)와 투시판(45)의 은폐부(25)가 중첩된 상태에서 이동판(40)이 이동됨에 따라 표시부(16)와 투시부(26)가 중첩되면서 전체 표시부(16)가 동시에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측정형 균열 게이지이다.In addition, a
본 발명을 통하여, 균열 게이지가 부착된 구조물 균열 부위의 변동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 점검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진단 업무의 정확성,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simply and accurately grasp the fluctuation of the crack area of the structure to which the crack gauge is attached,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safety diagnosis work for concrete structures including crack inspection.
특히, 종래 균열 게이지에서는 육안으로 판독이 어려운 미세한 균열 변동도 별도의 장비 없이 판독이 가능한 바,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의 진행 및 그에 따른 위험도를 조기에 검측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성능 저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구조물의 심각한 파손 또는 붕괴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다.In particular, in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even minute crack fluctuations that are difficult to read with the naked eye can be read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so that the progress of concrete structure cracks and the resulting risk can be detected early, thereby reducing structural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By quickly grasping,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pe with serious damage or collapse of the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균열 게이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방식 설명도
도 5는 스프링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도 6 실시예의 작동 방식 설명도
도 8은 도 6 실시예의 상황별 표시 상태 설명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rack gaug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spring is appli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6
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isplay state for each situa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6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균열 게이지이며, 선단부에는 표척(92)이 표시되고 후단부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된 내판(10)과, 선단부에는 지시선(93)이 표시되고 역시 후단부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된 외판(20)으로 구성되어, 이들 내판(10)의 표척(92)과 외판(20)의 지시선(93)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균열 발생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부착되어 설치된다.Firs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ack gauge composed of a pair of plate bodies overlapping with each other, the
본 발명에 있어서, 내판(10)과 외판(20)의 균열 발생 콘크리트 구조물 부착은 내판(10) 후단부에 형성된 정착부(91)와 외판(20) 후단부에 형성된 정착부(91)를 각각 균열선을 기준으로 균열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 지점 및 타측 지점에 콘크리트용 접착제 또는 나사 등의 결합 금구를 활용하여 결속함으로써 수행되며, 따라서 피검체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대한 본 발명 균열 게이지의 설치시 내판(10) 및 외판(20)은 각각의 선단부 일부가 중첩된 상태로 선상(線狀)의 균열을 직교 또는 직교에 근사한 방향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부착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of the crack-generating concrete structure between the
즉,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균열 폭이 변동됨에 따라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근접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균열 게이지로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내판(10)에는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유도벽(12) 한쌍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유도벽(12) 사이에는 외판(20)측 측면에 경사면(41)이 형성된 이동판(40)이 유도벽(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sliding)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판(20)의 선단에는 돌출된 억지판(24)이 형성되어, 억지판(24)의 말단이 이동판(40)의 경사면(41)에 접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여기서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이란 균열 폭의 확대 또는 축소 등 균열 상태의 변동에 따른 내판(10) 또는 외판(20)의 상대적인 이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적용되는 균열 검측 방식을 고려할 때 상기 상대 이동의 방향은 균열폭의 증감을 반영할 수 있도록 균열선과 직교 내지 직교와 근접한 방향으로 설정되며, 이렇듯 설정된 상대 이동 방향에 따라 본 발명 균열 게이지를 구성하는 내판(10) 및 외판(20)이 균열선의 일측 부위 및 타측 부위에 각각 부착된다.Here,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즉, 본 발명을 비롯한 중첩 판체형 균열 게이지가 선상 균열을 직교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됨을 감안할 때, 전술한 내판(10) 또는 외판(20)의 상대 이동 방향은 내판(10) 또는 외판(20) 자체의 중심축 방향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판(10) 또는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있어서, 균열의 진행 양태에 따라 내판(10) 또는 외판(20) 중 어느 일방만이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내판(10) 및 외판(20)이 동시에 이동하면서 균열 폭이 증감할 수도 있는 바, 균열 게이지의 거동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비록 내판(10)과 외판(20) 중 어느 일방이 정지된 상태일지라도 타방의 이동을 통하여 균열 변동을 반영할 수 있도록 내판(10) 및 외판(20)의 상대 이동 상태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considering that the overlapping plate-like crack gauge inclu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inear crack,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호 이격된 한쌍의 유도벽(12) 사이에 결합되는 이동판(40)은 전체적으로 장방형 형태를 가지며 그 정면상 폭이 상기 이격된 한쌍의 유도벽(12) 사이 공간의 폭과 일치함으로써, 유도벽(12) 사이에 결합된 이동판(40)이 유도벽(12)과 평행한 방향인 도면상 상, 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판(40)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는 활동을 수행하게 되고, 양측 유도벽(12)의 표면에는 투명 소재의 투시판(45)이 부착되어 이동판(40)의 이탈을 억제하면서도, 유도벽(12) 사이에 결합된 이동판(40)의 위치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동 도면 및 도 4에서와 같이, 외판(20)의 억지판(24)에 의하여 이동판(40) 일 측면의 경사면(41)이 접촉 지지됨에 따라, 내판(10)과 외판(20)의 중첩 설치시 억지판(24)의 말단이 이동판(40)의 경사면(41)에 접하면서 이동판(40)의 이동을 억지하게 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and 3, the moving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따라 억지판(24)과 경사면(41)의 접점이 변동되면서 이동판(40)이 이동하게 되는데, 내판(10)과 외판(20)이 상호 이격되는 상대이동 즉, 동 도면상 내판(10)이 좌측으로 이동하거나, 외판(20)이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내판(10) 및 외판(20)이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경우, 억지판(24)이 이동판(4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판(40)은 동 도면상 하강하는 방향으로 활동 이동하게 되고, 반대로 내판(10)과 외판(20)이 상호 근접되는 상대이동 즉, 동 도면상 내판(10)이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외판(20)이 좌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내판(10) 및 외판(20)이 각각 우측 및 좌측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경우, 억지판(24)이 이동판(40)측으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판(40)은 도면상 상승하는 방향으로 활동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inhibiting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 균열 게이지의 설치 작업 과정에서 또는 이동판(40)의 하강 활동과정에서 이동판(40)이 유도벽(12) 사이에서 완전히 이탈되어 망실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판(40) 하부의 내판(10) 표면에는 돌출물인 스토퍼(19)를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ituation in which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판(40) 활동 구조는 실제로 이동하는 부품을 도입함으로써, 표척(92)상 지시선(93)의 위치를 판독하는 세밀한 작업 없이도, 균열의 변동에 따른 내판(10) 및 외판(20)의 상대 이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In the active structure of the moving
즉, 실제 안전진단 등의 업무에서 균열 게이지를 활용하는 점검원의 입장에서,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내판(10)의 표척(92) 상부에서 이동하는 외판(20)의 지시선(93)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판독한 연후에야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및 균열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실제 이동체인 이동판(40)의 이동 여부만을 확인함으로써 균열의 변동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from the standpoint of an inspector who utilizes a crack gauge in tasks such as actual safety diagnosis, the conventional crack gauge precisely shows the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일측 유도벽(12)에 확대척(13)을 표시하고 이동판(40) 표면에는 지시자(49)를 표시하여, 투명 소재인 투시판(45)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이동판(40) 표면 지시자(49)의 확대척(13) 지시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내판(10) 및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따른 이동판(40)의 위치 변동을 구체적인 수치로 검측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magnifying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하여 안전진단 등의 구조물 유지관리 업무 수행에 있어서의 작업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의 피검 지점에 대한 주기적인 검측 수행시, 우선 원거리에서 이동판(40)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여, 변동이 발생된 측점을 일차 확인한 후, 이동이 확인된 측점에 한하여 근접 정밀 검측을 수행하여 변동 수치를 획득하는 방식을 도입할 수도 있는 바, 안전진단 업무의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not on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work in performing structure maintenance tasks such as safety diagnosis, but also to perform periodic inspection of a plurality of points to be tested, first, the moving
특히, 본 발명의 일측 경사면(41) 형성 이동판(40)은 그 경사면(41)의 경사 각도 즉, 경사면(41)과 인접 유도벽(12)의 사이각(θ)을 45도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균열 변동에 따른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거리를 증폭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기술에서는 실질적인 육안 판독이 불가능하였던 미세한 균열 변동치도 정확하게 검측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도 4는 이러한 이동판(40)에 의한 균열 변동 거리 증폭 효과를 설명하고 있는데, 동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판(40)의 경사면(41)과 인접 유도벽(12)의 사이각(θ)은 45도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그 사이각(θ)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면(41)의 동 도면상 수평거리 대 수직거리는 h 대 v로서, 사이각(θ)이 45도 미만일 경우, v/h는 1을 초과하게 되고, v/h는 동 도면상 억지판(24)의 수평 이동 거리에 대한 이동판(40)의 수직 활동 거리의 비로 환산될 수 있어, 결국 v/h는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거리를 증폭하는 이동판(40)의 활동 이동 거리의 증폭비라 할 수 있다.4 illustrates the effect of amplifying the crack fluctuation distance by the moving
따라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v/h가 2로 설정될 경우 균열 변동에 따른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거리가 2배로 증폭되어 이동판(40)의 이동 거리로 표출되는 바, 표척(92)상 지시선(93)의 위치를 판독하는 방식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된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사이각(θ)을 더욱 축소하여 v/h를 증가시킬 경우 그 검측 정밀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도 있다.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4, when v/h is set to 2, the relative movement distance betwee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판(40)은 상호 이격된 한쌍의 유도벽(12) 사이 공간에 결합된 상태로 유도벽(12)과 평행한 방향으로 활동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그 활동 이동은 이동판(40)의 자중에 의하여 수행되는 바, 원활한 이동판(40) 이동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이에, 도 5에서와 같이, 이동판(40) 상단부와 내판(10)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47)을 장착하여 이동판(40)을 도면상 하측으로 압박하는 탄발력이 상시 작용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로써 일층 원활한 이동판(40) 이동이 가능하다.Thus, as shown in FIG. 5, a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판(10)과 외판(20)의 중첩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내판(10)과 외판(20) 각각에 핀공(37)을 천공하고, 핀공(37)의 내경과 일치하는 직경을 가지는 결속핀(38)이 외판(20)의 핀공(37)을 관통하여 내판(10)의 핀공(37)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내판(10)과 외판(20)을 일시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suppress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이러한 내판(10)과 외판(20)의 고정은 도 5에서와 같이, 스프링(47)의 탄발력이 이동판(40)에 작용하여 그 이동판(40)의 하강 압력이 다시 억지판(24) 및 외판(20)에 전달됨으로써 내판(10)과 외판(20)이 불필요하게 이격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5 실시예의 균열 게이지를 피검 구조물에 설치함에 있어서, 일단 결속핀(38)을 외판(20) 핀공(37) 및 내판(10) 핀공(37)에 결합하여 내판(10) 및 외판(20)의 이동을 억제한 상태에서, 내판(10) 및 외판(20)의 정착부(91)를 검측 지점에 부착하고, 내판(10) 및 외판(20) 정착부(91)의 정착이 완료된 연후에 결속핀(38)을 제거하여 균열 변동에 따른 내판(10) 및 외판(20)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In the fixing of the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전술한 이동판(40)의 실제 이동에 따른 시각적 표출 효과를 극대화한 실시예로서, 이동판(40)에는 배경부(15) 및 표시부(16)가 형성되고, 투명체인 투시판(45)에는 은폐부(25) 및 투시부(26)가 형성되어, 이들 표시부(16) 및 투시부(26)간 중첩 위치에 따라 시각적 표시 상태가 극적으로 변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S. 6 to 8 are embodiments in which the visual display effect according to the actual movement of the above-described moving
이러한 본 발명의 배경부(15), 표시부(16), 은폐부(25) 및 투시부(26)는 투시판(45) 배후의 이동판(40)이 이동함에 따라, 그 중첩 상태가 변동되면서 은폐부(25)와 배경부(15)에 의하여 형성되는 암부(暗部) 내부에서 표시부(16)와 투시부(26)에 의하여 형성되는 명부(明部)가 극적으로 일시에 표출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균열 변동 발생 여부에 대한 파악에 있어서, 종래기술인 표척(92) 및 지시선(93) 활용 방식은 물론, 본 발명의 전술한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비하여도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라 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있어서 암부로서 형성되는 배경부(15) 및 은폐부(25)는 인쇄층, 도료의 도포층 또는 박막체의 부착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이동판(40)의 표면에는 암부인 배경부(15)가 형성되고 배경부(15) 내부에는 전술한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대상체(帶狀體)로서 명부(明部)인 표시부(16)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암부와 명부는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암부는 흑색을 비롯한 명도가 낮고 배후부에 대한 은폐성이 높은 색상으로 구성되며, 명부는 백색 또는 황색 등 명도가 높고 암부와의 대비가 명확한 색상으로 구성된다.Here, as in the dictionary meaning, the dark and bright areas represent dark and bright areas, and the dark areas are composed of colors with low brightness including black and high concealment for the background, and bright areas such as white or yellow. It is composed of a color that is high and has a clear contrast with the dark.
따라서 배경부(15)가 형성되는 이동판(40)이 백색 등 명도가 높은 색상의 표면을 가질 경우, 암부인 배경부(15)를 인쇄 또는 도색하여 형성함에 있어서 표시부(16) 형성 부위를 제외한 부분에만 배경부(15) 색상을 인쇄 또는 도색하는 방식으로 명부인 표시부(16)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refore, when the moving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투명 소재의 투시판(45)에는 상기 표시부(16)와 평행한 방향의 암부 대상체인 은폐부(25)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고 은폐부(25) 사이에 형성되는 투시부(26)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데, 도 7에서와 같이, 표시부(16)의 이격 간격과 투시부(26)의 이격 간격은 동일하게 설정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a plurality of concealing
즉, 도 7에서와 같이, 이동판(40)에는 암부인 배경부(15) 내부에 다수의 표시부(16)가 등간격 배치되고, 투명판인 투시판(45)에는 암부인 은폐부(25) 사이에 투명 부위인 투시부(26)가 반복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다중 슬릿(slit) 구조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이동판(40)의 표시부(16)와 투시판(45)의 은폐부(25)가 중첩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상대 이동됨에 따라 이동판(40)이 이를 추종하여 이동하고, 그에 따라 이동판(40)의 표시부(16)와 투시판(45)의 투시부(26)가 중첩되면서 전체 표시부(16)가 동시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이러한 배경부(15), 표시부(16), 은폐부(25) 및 투시부(26)를 형성함에 있어서, 외측 투명 판체인 투시판(45)의 두께로 인한 시차(視差), 굴절 또는 왜곡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후부 표시물인 배경부(15) 및 표시부(16)는 이동판(40)의 표면에 형성하고, 표층부 표시물인 은폐부(25)는 투시판(45)의 이면에 형성하여, 배경부(15), 표시부(16) 및 은폐부(25)의 중첩시 일체의 두께차 없이 동일 평면상에서 중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orming the
여기서 은폐부(25)의 폭은 투시부(26) 및 표시부(16) 폭에 비하여 확대하여 형성함으로써, 이동판(40)의 이동 과정에서 일정 수준 미만의 이동 발생시에는 표시부(16)의 표출이 억제되다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이동이 발생되면 비로소 전체 표시부(16)가 일거에 표출되는 방식의 거동이 가능하며, 이로써 단순한 표척(92) 및 지시선(93) 중첩 방식은 물론 이동판(40) 지시자(49) 및 확대척(13) 적용 방식에 비하여도 월등하게 향상된 시각적 표시 효과를 얻을 수 있다.Here, the width of the concealing
즉, 내판(10)과 외판(20)의 초기 설치 상대가 유지되거나 균열폭 확대가 미미하여 상대 이동 거리가 미세할 경우 전술한 배경부(15), 표시부(16), 은폐부(25) 및 투시부(26)간 중첩 상태가 도 8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조성되어 암부만이 표시되나, 균열이 확대되어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거리가 일정 수준을 상회하는 즉시 다수의 표시부(16) 전체가 다수의 투시부(26)를 통하여 일시에 표출되면서 동 도면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암부의 면적을 상당 부분 잠식하는 명부가 극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점검원이 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initial installation relative of the
특히, 명부인 표시부(16)를 형성함에 있어서 반사체를 노출시키거나 반사성 또는 형광성 도료를 적용하면 일층 향상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렇듯 표시부(16)에 반사성 또는 형광성을 부여함으로써 점검원이 손전등 등의 광원을 활용하여 반사광을 확인하는 방식의 점검이 가능하여 상당 거리 이격된 원격지에서도 검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reflector is exposed or a reflective or fluorescent paint is applied in forming the
10 : 내판
12 : 유도벽
13 : 확대척
15 : 배경부
16 : 표시부
19 : 스토퍼
20 : 외판
24 : 억지판
25 : 은폐부
26 : 투시부
37 : 핀공
38 : 결속핀
40 : 이동판
41 : 경사면
45 : 투시판
47 : 스프링
49 : 지시자
91 : 정착부
92 : 표척
93 : 지시선10: inner plate
12: guide wall
13: magnification
15: background
16: display
19: stopper
20: outer plate
24: hard plate
25: concealment
26: see-through
37: pin ball
38: binding pin
40: moving plate
41: slope
45: see-through
47: spring
49: indicator
91: settlement unit
92: front view
93: leader line
Claims (2)
내판(10)에는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유도벽(12) 한쌍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유도벽(12) 사이에는 외판(20)측 측면에 경사면(41)이 형성된 이동판(40)이 유도벽(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sliding)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경사면(41)과 인접 유도벽(12)의 사이각은 45도 미만으로 설정되며;
외판(20)의 선단에는 돌출된 억지판(24)이 형성되어, 내판(10)과 외판(20)의 중첩 설치시 억지판(24)의 말단이 이동판(40)의 경사면(41)에 접하면서 이동판(40)의 이동을 억지하고;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에 따라 억지판(24)과 경사면(41)의 접점이 변동되면서 이동판(40)이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측정형 균열 게이지.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inner plate 1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structure and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outer plate 20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cracked portion overlap each other. ) In a crack gauge in which the overlapping portion is changed while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fluctuation of the crack width while the back surface is close,
In the inner plate 10, a pair of guide walls 12 orthogonal to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guide walls 12, a moving plate 40 having an inclined surface 41 formed on the side of the outer plate 20 is coupled so as to be freely slid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uide wall 12, but the inclined surface 41 The angle between the and the adjacent guide wall 12 is set to less than 45 degrees;
A protruding inhibition plate 24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plate 20, so that when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are overlapped and installed, the end of the inhibition plate 24 is on the inclined surface 41 of the moving plate 40. Inhibit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40 while being in contact;
Micro-measurement type crack gaug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plate 40 moves as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inhibiting plate 24 and the inclined surface 41 changes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ner plate 10 and the outer plate 20.
이동판(40) 표면에는 암부인 배경부(15)가 형성되고 배경부(15) 내부에는 이동판(40)의 활동 방향과 직교하는 대상체(帶狀體)로서 명부인 표시부(16)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유도벽(12)에는 투명 소재의 투시판(45)이 부착되고, 투시판(45)에는 상기 표시부(16)와 평행한 방향의 암부 대상체인 은폐부(25)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고 은폐부(25) 사이에 형성되는 투시부(26) 다수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되, 표시부(16)의 이격 간격과 투시부(26)의 이격 간격은 동일하여;
이동판(40)의 표시부(16)와 투시판(45)의 은폐부(25)가 중첩된 상태에서 이동판(40)이 이동됨에 따라 표시부(16)와 투시부(26)가 중첩되면서 전체 표시부(16)가 동시에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측정형 균열 게이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ackground portion 15, which is a dark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ving plate 40, and a number of display portions 16, which are bright portions, are objects orthogonal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ing plate 40 in the background portion 15. Formed at equal intervals apart;
A see-through plate 45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attached to the guide wall 12, and a plurality of concealing portions 25, which are dark object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splay portion 16,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ee-through plate 45. A number of the see-through portions 26 formed between the concealing portions 25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but the separation interval of the display portion 16 and the separation interval of the see-through portion 26 are the same;
As the moving plate 40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16 of the moving plate 40 and the concealing unit 25 of the see-through plate 45 are overlapped, the display unit 16 and the see-through unit 26 are overlapped. Micro-measurement type crack gau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16 is exposed at the same ti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6673A KR102230165B1 (en) | 2020-10-21 | 2020-10-21 | Fine metric crack gau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6673A KR102230165B1 (en) | 2020-10-21 | 2020-10-21 | Fine metric crack gau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0165B1 true KR102230165B1 (en) | 2021-03-18 |
Family
ID=7523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6673A Active KR102230165B1 (en) | 2020-10-21 | 2020-10-21 | Fine metric crack gau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0165B1 (en)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8123B1 (en) * | 2021-03-10 | 2022-02-08 | 주식회사 광명기술단 | Accurate crack gauge |
KR102365210B1 (en) * | 2021-03-10 | 2022-02-18 | 주식회사 광명기술단 | Magnifying crack gauge |
KR102419839B1 (en) * | 2021-07-14 | 2022-07-12 | 경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Accurate crack gauge |
KR102556935B1 (en) * | 2023-03-14 | 2023-07-19 |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 Scale magnifying crack gauge |
KR20240012766A (en) * | 2022-07-21 | 2024-01-30 |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 Maximum value marking type crack gauge |
KR20240025857A (en) * | 2022-08-19 | 2024-02-27 | 주식회사 명성엔지니어링 | Accurate crack gauge |
KR20240030211A (en) * | 2022-08-30 | 2024-03-07 | (주)광명기술단 | Measurements magnification type crack gauge |
KR20240030214A (en) * | 2022-08-30 | 2024-03-07 |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 Measurements magnification type crack gauge |
KR20240029828A (en) * | 2022-08-29 | 2024-03-07 | (주)광명기술단 | Measurements amplification type crack gauge |
KR20240139479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 Scale extending crack gauge |
KR20240139478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magnifying crack gauge |
KR20240139477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extending crack gauge |
KR20240156030A (en) * | 2023-04-21 | 2024-10-29 | 주식회사 이룸기술 | Measurement magnification crack gaug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110053B1 (en) * | 1998-08-26 | 2002-11-27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Belt elongation measurement device |
KR101546367B1 (en) * | 2015-05-04 | 2015-08-24 |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 Device for realtime measuring proceeding concrete crack |
KR102083255B1 (en) * | 2019-09-02 | 2020-03-02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Gauge for measuring crack |
-
2020
- 2020-10-21 KR KR1020200136673A patent/KR1022301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110053B1 (en) * | 1998-08-26 | 2002-11-27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Belt elongation measurement device |
KR101546367B1 (en) * | 2015-05-04 | 2015-08-24 |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 Device for realtime measuring proceeding concrete crack |
KR102083255B1 (en) * | 2019-09-02 | 2020-03-02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Gauge for measuring crack |
Cited B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8123B1 (en) * | 2021-03-10 | 2022-02-08 | 주식회사 광명기술단 | Accurate crack gauge |
KR102365210B1 (en) * | 2021-03-10 | 2022-02-18 | 주식회사 광명기술단 | Magnifying crack gauge |
KR102419839B1 (en) * | 2021-07-14 | 2022-07-12 | 경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Accurate crack gauge |
KR102746882B1 (en) | 2022-07-21 | 2024-12-26 |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 Maximum value magnetically marking type crack gauge |
KR20240012766A (en) * | 2022-07-21 | 2024-01-30 |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 Maximum value marking type crack gauge |
KR20240025857A (en) * | 2022-08-19 | 2024-02-27 | 주식회사 명성엔지니어링 | Accurate crack gauge |
KR102745744B1 (en) | 2022-08-19 | 2024-12-24 | 주식회사 명성엔지니어링 | Recording type orthogonal installed accurate crack gauge for crack width measurement |
KR102761947B1 (en) | 2022-08-29 | 2025-02-05 | (주)광명기술단 | Measurements amplification type recording crack gauge |
KR20240029828A (en) * | 2022-08-29 | 2024-03-07 | (주)광명기술단 | Measurements amplification type crack gauge |
KR102761981B1 (en) | 2022-08-30 | 2025-02-05 |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 Measurements magnification type recording crack gauge |
KR102762000B1 (en) | 2022-08-30 | 2025-02-05 | (주)광명기술단 | Measurements magnification type recording crack gauge |
KR20240030211A (en) * | 2022-08-30 | 2024-03-07 | (주)광명기술단 | Measurements magnification type crack gauge |
KR20240030214A (en) * | 2022-08-30 | 2024-03-07 |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 Measurements magnification type crack gauge |
KR20240139477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extending crack gauge |
KR102756337B1 (en) * | 2023-03-14 | 2025-01-21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magnifying crack gauge |
KR102756334B1 (en) * | 2023-03-14 | 2025-01-21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extending crack gauge |
KR102556935B1 (en) * | 2023-03-14 | 2023-07-19 |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 Scale magnifying crack gauge |
KR20240139478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Measurement magnifying crack gauge |
KR102763360B1 (en) * | 2023-03-14 | 2025-02-05 |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 Scale extending crack gauge |
KR20240139479A (en) * | 2023-03-14 | 2024-09-23 |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 Scale extending crack gauge |
KR102746141B1 (en) | 2023-04-21 | 2024-12-24 | 주식회사 이룸기술 | Measurement magnification crack gauge |
KR20240156030A (en) * | 2023-04-21 | 2024-10-29 | 주식회사 이룸기술 | Measurement magnification crack gau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0165B1 (en) | Fine metric crack gauge | |
KR102230168B1 (en) | Mini metric crack gauge | |
KR102358123B1 (en) | Accurate crack gauge | |
KR102267076B1 (en) | Multi slit marked crack gauge | |
KR102417776B1 (en) | Triaxial concrete crack gauge | |
KR102419837B1 (en) | Accurate crack gauge | |
US572385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racks and strains on structures using optical fibers and Bragg gratings | |
KR102365210B1 (en) | Magnifying crack gauge | |
KR102419838B1 (en) | Accurate crack gauge | |
KR102360320B1 (en) | Concrete Crack Width Measuring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Check | |
KR101041942B1 (en) | Calibration specimen for refractive wave probe | |
KR102520191B1 (en) | Device for Measurement of Displacement of Bridge Supporting Pads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 |
KR102408018B1 (en) | Rapid measurement type crack scale for structure inspection | |
KR10133795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xtensity of metallic meterial | |
JP2007198756A (en) | Maximum value storage type optical fiber sensor, maximum value storage type optical fiber sensor unit, and maximum value storage type optical fiber sensor system | |
KR102745930B1 (en) | Measurement magnifying type crack gauge | |
KR101012441B1 (en) | Portable nondestructive testing device using surface wave | |
KR102756334B1 (en) | Measurement extending crack gauge | |
KR102758287B1 (en) | Gliding type magnetic crack gauge | |
CN213208978U (en) |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automobile door hinge | |
KR102758710B1 (en) | Measurement expanding type crack gauge | |
KR102756337B1 (en) | Measurement magnifying crack gauge | |
CN209841251U (en) | Novel transparent material stress detection instrument | |
KR102573814B1 (en) | Climbing type magnetic crack gauge | |
Habel et al. | Calibration facility for quality certification of surface-attached fiber optic and electrical strain senso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0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