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044B1 -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4044B1 KR102264044B1 KR1020210004282A KR20210004282A KR102264044B1 KR 102264044 B1 KR102264044 B1 KR 102264044B1 KR 1020210004282 A KR1020210004282 A KR 1020210004282A KR 20210004282 A KR20210004282 A KR 20210004282A KR 102264044 B1 KR102264044 B1 KR 1022640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acuation
- disaster
- information
- emergency
- buil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6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75 data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369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02 risk assess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제1 종래기술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방향 지시 유닛의 구성도.
도 3은 제2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피난경로가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제2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단말기로 피난경로가 제공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2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단말기가 비콘으로부터 비콘정보를 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2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단말기가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연기확산 및 피난로 예측부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사물인터넷 센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연기확산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에서 결정된 피난로가 재실자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 센싱 상태의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의 이동 상태의 센싱 상태 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의 출입 상황 센싱 모식도.
도 20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재실자의 전체 이동 상태의 센싱 상태 모식도.
도 21은 도 13에서 재난 발생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로 송신될 문자 메시지의 일예.
도 22는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가 접속시 스마트폰 앱 시작 화면의 일예.
도 23은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가 접속시 스마트폰 앱 메인 화면의 일예.
도 24는 도 13에서 서버의 전체 제어방법에 대한 메인 플로우챠트.
도 25는 도 24에서 비콘 센싱 방식에 의한 재실 인원 파악 및 단말장치 그룹화를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플로우챠트.
도 26 내지 도 28은, 도 25에서 건물내 단말장치 센서부의 비콘 센싱 데이터의 생성 및 처리에 대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26은 범용 단말장치 내장 센서들의 플로우챠트이고, 도 27은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의 센서의 플로우챠트이며, 도 28은 온도 센싱 데이터의 처리에 대한 서브루틴이다.
도 29는 도 24에서 mmWave 센싱 방식에 의한 재실 인원 파악 및 단말장치 그룹화를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플로우챠트.
도 30 및 도 31은, 도 29에서 평상시 건물내 단말장치 센서부의 mmWave 센싱 데이터의 생성 및 처리에 대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30은 범용 단말장치 내장 센서의 플로우챠트이고, 도 31는 출입구 주변 단말장치의 센서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32는 도 13에서 안전관리자 단말 및 구조센터의 비상방송 처리에 대한 플로우챠트.
10 : BLE 비콘 카드
100 : 서버 200 :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
200' : 종래의 천정매립형 스피커 200" : 변형예의 단말장치
210 : 스피커부 220 : 스피커 선택기
230 : 라인 체커 240 : 통신모듈
250 : 앰프모듈 260 : 서브스피커 연결포트
270 : 디스플레이부 271 : 힌지
272 : 서보모터 280 : 보조 배터리
290 : 센서부 291 : mmWave 센서
292 : 온도 센서 293 : BLE 검색 센서
300 : 재난정보 수신단말기 400 : 음성방송 메인컨트롤러
500 : 오디오믹서 500' : 오디오 우선순위 전환기
600 : 오디오 앰프 700 : 상황실 구조센터
800 : 안전관리자 단말 900 : TOF 센서
Claims (10)
-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100); 및 상기 서버와 함께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행하는 복수 개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 각 층별 및 실별 인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나, 비상시에는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스피커 선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는 직접 유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 오디오 방송으로 전환하여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대피 안내 시각 정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받아 시청각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으로서,
(a) 서버(100)가 단말장치(200)들과 건물내 재실 인원을 파악하는 단계(S101);
(b) 상기 (a) 단계 이후, 외부로부터 재난정보 수신단말기(300)를 통해 재난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
(d) 상기 (b) 단계 이후, 재난단계가 '심각' 단계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8);
(e)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109);
(h) 상기 (e)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건물내의 모든 센서들을 스캔하는 단계(S117);
(k) 상기 (h) 단계 이후, 건물내 화재가 진압되었거나 재난단계가 '경계' 이하로 격하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9);
(m) 상기 (k)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격하된 경우, 재난상태표시를 '경계'로 표기하고 상기 (a) 단계부터 재실행하는 단계(S119); 및
(n) 상기 (d) 단계에서 재난단계가 '심각' 단계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e) 단계에서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및 상기 (k) 단계에서 건물내 화재진압도 안 되고 재난단계가 격하되지도 않은 경우, 중의 적어도 어느 한 가지 경우에는 비상방송 루틴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면서, 지진이나 외부 화재 및 해일 발생과 같은 경우에는 외부 서버로부터 건물외 재난 발생 데이터를 재난정보수신 단말기(30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재난 방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0)는, 재난 발생 인지 후,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 및 안전관리자 단말(800) 중의 어느 하나로, 외부접속 권한 URL 및 패스워드를 문자 전송하고, 이에 응하여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나 안전관리자 단말(800)로부터 외부접속 권한 URL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재난 정보 및 각 층별 및 실별 재실 인원 정보, 선물 도면, 스피커 선택 버튼 등의 재난 정보를 발송하여, 비상방송 사용권한이 있는 상황실 구조센터(700)나 안전관리자 단말(800)로부터 스피커선택 데이터 및 비상 음성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에서도 재난 방송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 단계는,
(n1) 각 단말장치(200)와 연결된 출입구 주변에 설치된 센서(900)를 구동하고(S120),
(n2) 건물내 사각지대의 재실인원을 더욱 정확히 파악하면서 재실자의 이동에 따른 변동 인원을 체크하기 위해 출입구 주변에 설치된 센서(900)를 통해 건물내 재실인원을 평시보다 더 정확히 파악하고(S122),
(n3) 재난정보 및 표시정보 데이터를 재실자들의 인원 및 위치에 매칭시켜 각 단말장치의 스피커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70)로 전송하여(S123), 비상방송이 이루어지면서 피난경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p)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화재데이터 수신 여부를 재확인하고(S106), 단말장치들(200)과 함께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7); 및
(q) 상기 (p)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처음 단계로 리턴하고, 건물내 화재발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n)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c)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재난단계가 '경계' 단계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5);
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재난단계가 '경계' 단계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p) 단계로 진행하고, 재난단계가 '경계' 단계 이상인 경우에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f) 상기 (e)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건물내 화재발생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현재 재난단계 및 건물내 재실인원 현황을 안전관리자 단말(800)에게 통보하는 단계(S110);
(g) 상기 (f) 단계 이후, 상기 안전관리자 단말로부터 재난 단계 격상 여부를 확인하여(S111), 재난단계가 격상된 경우에는 상기 (n) 단계로 진행하고, 재난 단계가 격상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h)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j) 상기 (h) 단계 이후, 상황종료 시까지 건물내 재실 인원현황 및 표시정보데이터를 안전관리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S118);
를 더 포함하고,
상기 (n) 단계는,
(n4) 안전관리자 단말(800)에게는 방송장비 제어 권한 및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부여되도록 하는 단계(S124)와,
(n5) 안전관리자 단말의 로그인에 응하여 재난단계 및 건물내 재실인원 현황을 안전관리자 단말에게 통보하는 단계(S125)와,
(n6) 상기 (n4) 단계 및 상기 (n5) 단계 직후나 그와 동시에, 건물내 재실인원 데이터를 119 센터와 같은 담당 상황실 구조센터(700)로 통보하며(S126), 상기 (j)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100); 및 상기 서버와 함께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행하는 복수 개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 각 층별 및 실별 인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나, 비상시에는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스피커 선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는 직접 유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 오디오 방송으로 전환하여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대피 안내 시각 정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받아 시청각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에서 비콘 센싱 방식을 통한 재실 인원 파악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100)가, 재난단계 상태표시가 '경계' 이상이거나 화재발생상황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1);
상기 S4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일반적인 재실인원 파악의 경우에는,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온도 센서들(292) 및 BLE 검색 센서들(293)을 통해 실내 온도 이상 유무 및 재실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402);
상기 S402 단계 이후, 각 층의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Observer 위치에 있는 곳의 인원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 중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403);
상기 S40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 중 동일한 UUID 데이터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한 Observer들의 해당 RSSI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404);
상기 S404 단계 이후, 각 Observer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며, 다중 Observer 들 중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감지되는 Observer의 구역에 해당하는 위치로 재실자의 위치를 적용하게 되는 단계(S405);
상기 S405 단계 이후, 다른 층 Observer의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6);
상기 S40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UUID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해당 Observer의 고유 MAC Address를 검색한 뒤 예외처리를 하는 단계(S410);
상기 S410 단계 이후, 해당 층에 2대 이상 Observer의 수신된 데이터를 다시 감지하여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7);
상기 S40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감지된 같은 층의 2대 이상 Observer들의 동일한 UUID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Observer들과 주변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을 각각의 대피 경로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S408);
상기 S408 단계 이후, 해당 Advertiser 모드의 비콘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 갱신하여, 해당 구역 또는 위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409);
상기 S4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재난 발생 또는 화재 발생인 경우)에는, 상기 서버(100)는,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의 온도 센서들(292) 및 BLE 검색 센서들(293)을 통해 실내 온도 이상 유무 및 출입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420);
상기 S420 단계 이후, 각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로부터 출입 인원을 파악하여 사각지대의 인원 및 출입으로 인한 유동 인원까지의 정확한 인원 파악을 위해, 1대 이상 Observer의 패킷이 수신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2); 및
상기 S42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1대 이상 Observer의 패킷이 수신되었으면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증가시키고(S423), 그렇지 않으면 건물내 활동 인원수를 감소시키는 단계(S4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100); 및 상기 서버와 함께 재실 인원 감지 및 재난 정보 표시를 행하는 복수 개의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 각 층별 및 실별 인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나, 비상시에는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스피커 선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는 직접 유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 오디오 방송으로 전환하여 대피 안내 및 대피 정보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평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대피 안내 시각 정보 및 대피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전송받아 시청각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에서 mmWave 센싱 방식을 통한 재실 인원 파악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100)가, 건물내 범용 단말장치들(200)의 mmWave 검색 센서들(291)을 통해 재실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700);
상기 S700 단계 이후, 재난단계 상태표시가 '경계' 이상이거나 화재발생상황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1);
상기 S7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일반적인 재실인원 파악의 경우에는, 2대 이상의 mmWave 센서의 범위가 겹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703);
상기 S700 단계 이후, 2대 이상의 mmWave 센서의 범위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5);
상기 S7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중복되는 경우에는 중복감지 필터링을 행하고 나서 재실 인원 수를 반영하는 단계(S706);
상기 S7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중복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S706 단계 이후, 곧바로 mmWave 센서들 간 영역 밖 사각지대에 있을 수 있는 재실자 인원을 확인하는 단계(S707);
상기 S700 단계 이후, 해당 mmWave 센서를 벗어난 재실자 인원이 주변 mmWave 센서에 감지가 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8);
상기 S70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각지대에 재실자 인원의 존재를 확인하고, 해당 영역 mmWave 센서에 감지된 인원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여 해당 영역의 감지를 벗어나고 다른 영역에 감지가 되었을 경우, 그 인원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해당 영역과 이동한 영역의 인원을 증감하여 인원수에 반영하도록 하는 단계(S709);
상기 S709 단계 이후에, 그리고 상기 S70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에는 곧바로, 해당 영역별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과 출구쪽 재난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장치들을 각각의 대피 경로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S710);
상기 S710 단계 이후, 해당 영역 내의 고객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 갱신하여, 해당 구역 또는 위치에 해당하는 그룹에 대해 인원이 증감된 것이므로, 해당 구역 또는 위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711);
상기 S7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인 경우(재난 발생 또는 화재 발생인 경우)에는, 비상시 건물내 재실자들의 보다 정확한 인원 파악을 위해 각 층의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을 통해, 출입구를 통해 건물내 입장한 고객의 인원까지도 파악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100)는,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의 mmWave 검색 센서들(291)을 통해 출입 인원을 체크하게 되는 단계(S720); 및
상기 S720 단계 이후, 각 출입구 주변의 단말장치들(200d)로부터 출입 인원을 파악하여 사각지대의 인원 및 출입으로 인한 유동 인원까지의 정확한 인원 파악을 위해, 건물내 활동 인원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S7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4282A KR102264044B1 (ko) | 2021-01-12 | 2021-01-12 |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4282A KR102264044B1 (ko) | 2021-01-12 | 2021-01-12 |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4044B1 true KR102264044B1 (ko) | 2021-06-14 |
Family
ID=7641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4282A Active KR102264044B1 (ko) | 2021-01-12 | 2021-01-12 |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404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633467A (zh) * | 2023-07-20 | 2023-08-22 | 杭州工信光电子有限公司 | 一种结合人工智能技术的应急广播系统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4376A (ko) * | 2009-04-15 | 2010-10-25 | 박창길 | 화재지역 통지용 방송 장치 |
KR20120029141A (ko) * | 2010-09-16 | 2012-03-26 | 주식회사 콜온 | 지역 방송 시스템 및 방법 |
KR101261448B1 (ko) | 2011-06-28 | 2013-05-10 | (주)주영일렉트로닉 |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200475222Y1 (ko) * | 2014-06-26 | 2014-11-20 | 주식회사 쓰리하이엘렉트로닉스 | 비상 대피 유도 장치 |
KR101583586B1 (ko) | 2014-06-10 | 2016-01-08 | 최장식 | 실시간 재난대응 위치파악 및 피난경로 안내 솔루션 |
KR20180096308A (ko) * | 2017-02-21 | 2018-08-29 |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 비상시 안전 유도 표시 방법 |
KR102124097B1 (ko) | 2018-12-26 | 2020-06-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21
- 2021-01-12 KR KR1020210004282A patent/KR10226404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4376A (ko) * | 2009-04-15 | 2010-10-25 | 박창길 | 화재지역 통지용 방송 장치 |
KR20120029141A (ko) * | 2010-09-16 | 2012-03-26 | 주식회사 콜온 | 지역 방송 시스템 및 방법 |
KR101261448B1 (ko) | 2011-06-28 | 2013-05-10 | (주)주영일렉트로닉 |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1583586B1 (ko) | 2014-06-10 | 2016-01-08 | 최장식 | 실시간 재난대응 위치파악 및 피난경로 안내 솔루션 |
KR200475222Y1 (ko) * | 2014-06-26 | 2014-11-20 | 주식회사 쓰리하이엘렉트로닉스 | 비상 대피 유도 장치 |
KR20180096308A (ko) * | 2017-02-21 | 2018-08-29 |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 비상시 안전 유도 표시 방법 |
KR102124097B1 (ko) | 2018-12-26 | 2020-06-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633467A (zh) * | 2023-07-20 | 2023-08-22 | 杭州工信光电子有限公司 | 一种结合人工智能技术的应急广播系统 |
CN116633467B (zh) * | 2023-07-20 | 2023-10-10 | 杭州工信光电子有限公司 | 一种结合人工智能技术的应急广播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4097B1 (ko) |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771579B1 (ko) | 통합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상시 환경제어 및 재난대응 관제시스템 | |
US20070194922A1 (en) | Safe warn building system and method | |
CN107851349B (zh) | 具有电梯系统的建筑物中需要疏散的楼层的顺序 | |
US6873256B2 (en) | Intelligent building alarm | |
KR101475134B1 (ko) |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 |
KR102126281B1 (ko) |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 |
EP3696624A1 (en) |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 |
WO2017073101A1 (ja) | デジタルスマートセフ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2019438B1 (ko) | 위치정보에 기반한 피난경로 제공 방법 및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 |
US20120047083A1 (en) |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 |
KR102392733B1 (ko) |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KR20180058348A (ko) |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재/부재 검출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US9513131B2 (en) | Use of the occupancy rate of areas or buildings to simulate the flow of persons | |
KR20170106665A (ko) |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20160019322A (ko) | 건축-구조물의 스마트 재난대피 및 안전정보시스템 및 그 방법 | |
JP6067197B1 (ja) | デジタルスマートセフ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12817261A (zh) | 隧道内多元联动的人员疏散系统、方法及存储介质 | |
KR102264040B1 (ko) |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 |
KR20190099992A (ko) | 스마트폰 통합측위를 활용한 지하철역 도착알림 및 역사 정보안내 시스템 | |
KR102362295B1 (ko) |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 |
CN107449429A (zh) | 一种室内火警救援方法 | |
EP3803808A1 (en) | A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 |
CN113473377A (zh) | 一种消防安全疏散用室内定位系统 | |
KR102264044B1 (ko) |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1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