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825B1 -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3825B1 KR102263825B1 KR1020190103661A KR20190103661A KR102263825B1 KR 102263825 B1 KR102263825 B1 KR 102263825B1 KR 1020190103661 A KR1020190103661 A KR 1020190103661A KR 20190103661 A KR20190103661 A KR 20190103661A KR 102263825 B1 KR102263825 B1 KR 1022638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structure
- road surface
- rainwater
- pipe
- rainwater flow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시공방법은, 대상 노면을 일정한 폭 및 깊이로 터파기하고, 바닥면을 다지는 기초단계와,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할 저류 구조부를 설치하는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와, 상기 저류 구조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내는 분리시트를 상기 저류 구조부의 상부에 설치하는 분리시트 설치 단계와,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집수 공간이 구비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정을 하향 경사진 노면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설치하는 집수정 설치 단계와, 노면의 우수가 유입되는 수직 유입관과, 상기 수직 유입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상기 저류 구조부로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된 유공분배관과, 상기 유공분배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에서 월류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제1 배수관을 노면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 관로 설치 단계와, 상기 저류 구조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는 제2 배수관과,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배수관과 연통 형성되는 점검관을 노면의 일측에 형성하는 설치하는 제2 관로 설치 단계 및 저류 구조부의 상부 및 측부를 되메워 마감하는 되메우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류 구조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류 구조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1000 :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100 : 식생부
200 : 저류 구조부
210 : 하부 구조체
220 : 수직부재
230 : 상부 구조체
231 : 배수홀
233 : 결합구
235 : 제1 보강용 지지체
237 : 제2 보강용 지지체
239 : 제3 보강용 지지체
240 : 보호시트
250 : 연결부재
300 : 분리시트
400 : 집수정
500 : 수직 유입관
600 : 유공분배관
700 : 제1 배수관
800 : 제2 배수관
900 : 점검관
S100 : 기초단계
S200 :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
S210 : 하부 구조체 설치 단계
S220 : 수직부재 설치 단계
S230 : 상부 구조체 설치 단계
S240 : 보호시트 설치 단계
S300 : 분리시트 설치 단계
S400 : 집수정 설치 단계
S500 : 제1 관로 설치 단계
S600 : 제2 관로 설치 단계
S700 : 되메우기 단계
Claims (4)
-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
상기 식생부 및 노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식생부 및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하는 저류 구조부;
상기 저류 구조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류 구조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내는 분리시트;
하향 경사진 노면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집수 공간이 구비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정;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노면의 우수가 유입되는 수직 유입관;
상기 수직 유입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상기 저류 구조부로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된 유공분배관;
상기 유공분배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에서 월류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제1 배수관;
상기 저류 구조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는 제2 배수관; 및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배수관과 연통 형성되는 점검관;을 포함하고,
상기 저류 구조부는,
판상의 하부 구조체와,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되, 복수의 배수홀과, 상기 수직부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구와, 상측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보강용 지지체와, 상측 가장자리에 폭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보강용 지지체 및 상측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되는 X자 형상의 제3 보강용 지지체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 삭제
- 대상 노면을 일정한 폭 및 깊이로 터파기하고, 바닥면을 다지는 기초단계;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할 저류 구조부를 설치하는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
상기 저류 구조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내는 분리시트를 상기 저류 구조부의 상부에 설치하는 분리시트 설치 단계;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집수 공간이 구비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정을 하향 경사진 노면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설치하는 집수정 설치 단계;
노면의 우수가 유입되는 수직 유입관과, 상기 수직 유입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상기 저류 구조부로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된 유공분배관과, 상기 유공분배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에서 월류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제1 배수관을 노면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 관로 설치 단계;
상기 저류 구조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는 제2 배수관과,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배수관과 연통 형성되는 점검관을 노면의 일측에 형성하는 설치하는 제2 관로 설치 단계; 및
저류 구조부의 상부 및 측부를 되메워 마감하는 되메우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시공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는,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판상의 하부 구조체를 설치하는 하부 구조체 설치 단계와,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의 수직 부재를 설치하는 수직부재 설치 단계와,
상기 수직부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판상의 상부 구조체를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설치하는 상부 구조체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3661A KR102263825B1 (ko) | 2019-08-23 | 2019-08-23 |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3661A KR102263825B1 (ko) | 2019-08-23 | 2019-08-23 |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3456A KR20210023456A (ko) | 2021-03-04 |
KR102263825B1 true KR102263825B1 (ko) | 2021-06-11 |
Family
ID=7517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3661A Active KR102263825B1 (ko) | 2019-08-23 | 2019-08-23 |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382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5001B1 (ko) * | 2013-08-21 | 2015-01-2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
KR101662758B1 (ko) * | 2015-10-29 | 2016-10-05 | (주)아록이엔지 |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
KR101701387B1 (ko) * | 2016-06-07 | 2017-02-01 | (주) 일신네이쳐 | 빗물 침투 시설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7086B1 (ko) | 2012-10-30 | 2013-06-19 | 주식회사 한길 |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KR20160148949A (ko) * | 2015-06-17 | 2016-12-27 | 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 유량분배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
-
2019
- 2019-08-23 KR KR1020190103661A patent/KR10226382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5001B1 (ko) * | 2013-08-21 | 2015-01-2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
KR101662758B1 (ko) * | 2015-10-29 | 2016-10-05 | (주)아록이엔지 |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
KR101701387B1 (ko) * | 2016-06-07 | 2017-02-01 | (주) 일신네이쳐 | 빗물 침투 시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3456A (ko) | 2021-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52348C (en) | Integrated tree root and storm water system | |
KR101701387B1 (ko) | 빗물 침투 시설 | |
KR20160022632A (ko) | 식생 성장 촉진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제거를 갖는 빗물 정원 시설의 시공 방법 | |
CN109267445B (zh) | 一种海绵城市生态道路雨水调蓄系统 | |
CN113818534B (zh) | 用于海绵城市道路的生物滞留设施 | |
CN112982072B (zh) | 一种绿化带蓄排水路沿石系统及蓄排水方法 | |
US20090285632A1 (en) | Water conserv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 |
KR101206057B1 (ko) |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 |
KR101510615B1 (ko) |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2076482B1 (ko) |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 |
CN106717413B (zh) | 一种海绵城市绿化灌溉系统及其施工方法 | |
KR102263825B1 (ko) |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0352143B1 (ko) | 가로수의 생육여건개선용 식수대(植樹帶) 시공방법 | |
JPH0786247B2 (ja) | 複合機能型側溝 | |
CN217711015U (zh) | 一种基于不同水位梯度的雨水花园连通溢流系统 | |
WO2008035964A1 (en) | Growing location, method and holder | |
JP2024063319A (ja) | 植栽システム及び桝 | |
KR101668420B1 (ko) | 우수 저류침투형 잔디조성구조 | |
CN104179242A (zh) | 一种复合型雨水沟和雨水综合利用系统 | |
KR102076296B1 (ko) | 식생침투를 위한 우수저류 시스템 | |
CN114086444A (zh) | 一种基于重型地面排水的地下网联系统及方法 | |
KR100926539B1 (ko) | 지열과 우수의 순환을 통한 석재포장 보도의 온도 습도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석재포장 보도의 시공방법 | |
KR101246030B1 (ko) | 초기우수 집수 및 식재 기능이 구비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2377744B1 (ko) | 저영향개발 침투도랑을 조합한 식물재배화분 | |
Papakos et al. | Redeveloping brownfields with LID desig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