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62129B1 -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129B1
KR102262129B1 KR1020150174393A KR20150174393A KR102262129B1 KR 102262129 B1 KR102262129 B1 KR 102262129B1 KR 1020150174393 A KR1020150174393 A KR 1020150174393A KR 20150174393 A KR20150174393 A KR 20150174393A KR 102262129 B1 KR102262129 B1 KR 102262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resonance tube
resonance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951A (ko
Inventor
윤석환
추교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1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타이어휠 구조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가 장착되도록 마련된 림; 양단부에는 상기 림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마련된 공명튜브; 및 상기 공명튜브를 바라보는 일면에는 상기 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명튜브의 상기 돌기부가 상기 삽입홈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STRUCTURE OF TIRE WHE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공명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공명튜브가 장착된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 중 타이어의 내부공간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명음은 차량의 노이즈로 작용된다. 타이어 내부의 공명음은 노면에서 타이어로 전해지는 무작위의 진동이 타이어 내부공간의 공기를 진동시킴으로써 발생된다.
이러한 타이어 내부 공명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림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공명튜브가 마련될 수 있다. 공명튜브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헬름홀쯔 공명기 원리에 따라 타이어 내부의 공명음을 저감시키도록 마련된다.
다만, 이러한 공명튜브는 그 부피에 따라 공명음 저감성능이 달라지는 바, 설계적인 측면에서 가능한한 부피 감소원인이 제거된 형상으로 마련될수록 효과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공명튜브는 고속회전체인 휠 림에 장착됨으로써 장착위치에 대한 안정적인 발란스가 형성될 것이 요구되며, 특히 공명튜브와 림 사이가 이격되어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3-0061327 A1
본 발명은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립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되고 공명음 저감효과가 증가된 공명튜브가 장착된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는 타이어가 장착되도록 마련된 림; 상기 림의 외주면에서 상기 림의 원주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간이 형성되고, 연장된 양단부에는 상기 림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마련된 공명튜브; 및 상기 림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공명튜브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공명튜브를 바라보는 일면에는 상기 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명튜브의 상기 돌기부가 상기 삽입홈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공명튜브 양단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림의 외주면을 향하는 일면이 개방됨으로써, 삽입된 상기 돌기부의 하면이 상기 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명튜브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공명튜브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림의 외주면에는 상기 림의 외주방향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그루브의 기저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고정부보다 폭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그루브의 측면부에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명튜브 및 상기 고정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공명튜브는 상기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한쌍의 상기 공명튜브 사이에 위치되고, 마주보는 각각의 상기 공명튜브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돌기부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한쌍의 상기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따르면, 공명튜브의 조립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되고 공명음 저감효과가 증가된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공명튜브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에 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공명튜브가 슬라이딩결합됨으로써, 별도의 조립장치 없이도 공명튜브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다. 또한, 공명튜브와 림 또는 고정부간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차량의 진동을 저감시키는데 유리하다.
한편, 공명튜브의 돌기부가 공며튜브의 하부측에 마련되고 삽입홈 또한 고정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그 하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돌기부가 림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어 간극 형성에 따른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림에는 그루브가 마련되고, 그 기저면에 공명튜브가 안착됨으로써 공명튜브 장착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서 하나의 공명튜브 및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서 공명튜브의 돌기부가 고정부의 삽입홈에 삽입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서 공명튜브가 슬라이딩되어 고정부에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는 도 1 내지 4와 같이, 타이어가 장착되도록 마련된 림; 상기 림의 외주면(120)에서 상기 림의 원주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간이 형성되고, 연장된 양단부에는 상기 림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145)가 마련된 공명튜브(140); 및 상기 림의 외주면(120)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공명튜브(140)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공명튜브(140)를 바라보는 일면에는 상기 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삽입홈(165)이 형성되어, 상기 공명튜브(140)의 상기 돌기부(145)가 상기 삽입홈(165)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삽입홈(165)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된 고정부(160);를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림은 타이어가 장착되도록 마련된다. 림은 타이어휠(100)의 외주면을 이루고 타이어가 장착되기 위한 고정요소가 마련된다. 도 1 내지 2에는 이러한 림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공명튜브(140)는 상기 림의 외주면(120)에서 상기 림의 원주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간이 형성되고, 연장된 양단부에는 상기 림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145)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공명튜브(140)는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공명튜브(140)의 내부공간은 음압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하여 타이어의 공명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명음 저감현상은 헬름홀쯔의 공명기 원리에 근거하며, 내부공간의 부피가 클수록 더 넓은 주파수 대역의 공명음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공명튜브(140)는 그 길이방향이 휠의 회전방향인 림의 원주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되, 림의 외주면(120)으로서 타이어의 내부공간상에 마련되고, 림의 외주면(120)에 고정되기 위해 양단부에 림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145)가 마련된다.
하기할 내용과 같이, 공명튜브(140)는 돌기부(145)가 고정부(160)의 삽입홈(165)에 삽입됨으로써 림의 외주면(1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는 복수의 공명튜브(140)가 일렬로 배열된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3에는 돌기부(145)가 형성된 공명튜브(140)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고정부(160)는 상기 림의 외주면(120)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공명튜브(140)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공명튜브(140)를 바라보는 일면에는 상기 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삽입홈(165)이 형성되어, 상기 공명튜브(140)의 상기 돌기부(145)가 상기 삽입홈(165)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삽입홈(165)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60)는 림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개별성형되어 림의 외주면(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부(160)는 공명튜브(140)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된다. 도 2에는 하나의 공명튜브(140) 양단부에 고정부(160)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고정부(160)는 공명튜브(140)를 바라보면 측면부에 삽입홈(165)이 형성된다. 삽입홈(165)은 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외부로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삽입홈(165)의 단면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돌기부(145)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삽입홈(165)의 위치된 높이는 공명튜브(140)의 돌기부(145)와 대응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삽입홈(165)의 형상에 따라 공명튜브(140)의 돌기부(145)는 삽입홈(165)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삽입홈(165)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 있다. 즉, 고정부(160)의 측부에서부터 공명튜브(140)가 슬라이딩되어 한쌍의 고정부(160) 사이로 진입되면서 공명튜브(140)의 돌기부(145)는 고정부(160)의 삽입홈(165) 단부를 통해 삽입홈(165)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결합과정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과 같이, 고정부(160)가 림의 외주면(120)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고, 공명튜브(140)가 림의 외주면(120)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공명튜브(140)의 돌기부(145)가 고정부(160)의 삽입홈(165)에 삽입되게 되면, 가압에 의해 돌기부(145)가 삽입홈(165)으로 합형될 것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돌기부(145)와 삽입홈(165)의 단면 형상을 최대로 대응되게 형성할 수 있어 돌기부(145)와 삽입홈(165) 사이의 간극형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간극발생에 따른 돌기부(145)측의 진동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명튜브(140)와 고정부(160)의 결합에 있어서 돌기부(145)가 탄성 또는 변형과 복원이 용이한 특징적인 형상으로 마련될 것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공명튜브(140)의 내부공간 용적을 증가시키는데 돌기부(145) 형상설계에 따른 제한이 없어 공명튜브(140) 내부공간의 부피를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다.
예컨대, 돌기부(145)가 가압되어 변형을 일으키면서 림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는 방식은 돌기부(145)의 변형 용이성을 위해 일정수준 이하의 강성으로 마련되되, 공명튜브(140)의 고정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압축 등에 따른 탄성력으로 홈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방향을 향해 탄성에 따른 가압력 발생되도록 돌기부(145)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공명튜브(140)의 형상에도 제한이 발생되기 쉬워, 결국 공명튜브(140)의 내부공간 부피를 증가시키는데 제한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돌기부(145)가 변형이 용이하게 설계될 필요가 없고, 특히 탄성력을 가지기 용이한 형상으로 마련될 필요가 없는 슬라이딩체결방식으로 통해 공명튜브(140)를 림의 외주면(120)에 고정시킴으로써, 돌기부(145) 성형에 따른 공명튜브(140)의 설계적 제한이 사라져 공명튜브(140)의 부피 증가에 유리한 것이다.
또한, 공명튜브(140)의 돌기부(145)가 가압되어 홈에 합형되는 방식은 공명튜브(140)의 고정을 위해 돌기부(145)가 홈에 삽입시 홈을 가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예컨대 탄성력을 지니며 휘어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돌기부(145)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공명튜브(140)의 높이가 설계적인 제한을 받는 등, 공명튜브(140)의 내부공간 부피에 제한이 발생되고 부피증가가 어려워 공명음 저감효과가 감소된다.
한편, 공명튜브(140)가 림의 외주면(120)에 가압되어 합형되는 경우, 공명튜브(140)의 돌기부(145)가 림의 외주면(120)에 마련된 홈에 삽입시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별도의 결합기구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명튜브(140)의 돌기부(145)가 슬라이딩결합방식으로 고정부(160)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기구가 필요없이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공명튜브(140)를 림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140)는 상기 림의 외주면(120)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공명튜브(140)와 림의 외주면(120) 사이에 이격거리가 형성되면, 차량 주행에 따른 림의 회전시 이격거리 형성에 따른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때문에, 공명튜브(140)는 그 하면이 림의 외주면(120)에 밀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타이어휠(100)의 회전시 이격거리 형성에 따른 진동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45)는 상기 공명튜브(140) 양단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165)은 상기 고정부(160)의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림의 외주면(120)을 향하는 일면이 개방됨으로써, 삽입된 상기 돌기부(145)의 하면이 상기 림의 외주면(120)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돌기부(145)는 공명튜브(140)의 하부에서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서 그 하면이 림의 외주면(120)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대응되도록, 고정부(160)의 삽입홈(165)의 고정부(16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림의 외주면(120)을 바라보는 일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삽입홈(165) 및 돌기부(145)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결국, 삽입홈(165)의 하면이 개방됨에 따라 삽입홈(165)에 삽입된 돌기부(145)는 그 하면이 림의 외주면(120)에 밀착될 수 있어 공명튜브(140)의 림의 외주면(120)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돌기부(145)의 고정시 주변과의 간극을 최소화하는데 유리하여 불필요한 진동발생을 억제하는데 유리한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140)의 상기 돌기부(145)는 상기 공명튜브(14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공명튜브(140)는 양단부에 형성된 돌기부(145)가 고정부(160)에 고정됨에 따라 림의 외주면(120)에 고정되는데, 공명튜브(140)의 양단부 중 돌기부(145)가 형성된 일부분만이 고정부(160)와의 관계에서 고정력이 발생되므로, 돌기부(145)가 형성되지 않은 타부분은 림의 외주면(120)에 대한 밀착성 또는 고정력이 비교적 저하되어 공명튜브(140) 고정에 불리하다.
이에 따라, 림의 폭방향으로 기준으로 하는 돌기부(145)의 폭을 공명튜브(14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공명튜브(140) 양단부의 폭방향 전체에 고정력이 작용되고,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림의 외주면(120)에는 상기 림의 외주방향을 따라 그루브(130)가 형성되고, 상기 공명튜브(140)는 상기 그루브(130)의 기저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그루브(130)는 림의 외주면(120)에 마련되되 림의 외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폐곡선을 이루고, 바람직하게는 그 형상이 림의 외주방향을 따라 동일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고정부(160)는 그루브(130)의 기저면에 위치되고 공명튜브(140)는 한쌍의 고정부(160) 사이로서 그루브(130)의 기저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루브(130)의 기저면은 평탄하게 성형되어 공명튜브(140)가 밀착되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명튜브(140)가 림의 외주면(120)에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공명튜브(140)가 밀착되기 위한 그루브(130)가 마련되어 공명튜브(140)가 고정되도록 하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130)는 상기 고정부(160)보다 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명튜브(140)는 림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고정부(160)에 돌기부(145)가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그루브(130)내에서 공명튜브(14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그루브(130)는 적어도 고정부(160)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3에는 그루브(130)가 고정부(160)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결국, 도 4와 같이 그루브(130)내에서 공명튜브(140)가 슬라이딩되기 위해 준비될 수 있도록 그루브(130)는 고정부(160)보다 더 넓은 폭으로 마련되어 공명튜브(14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별도의 조립장치가 요구되지 않더라도 공명튜브(140)의 돌기부(145)는 고정부(160)의 삽입홈(165)에 슬라이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140)는 상기 그루브(130)의 측면부(135)에 접하도록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그루브(130)는 림의 외주면(120)에서 림의 중앙부를 향하여 만입된 형상이며, 그루브(130)의 측면부(135)는 그루브(130)가 형성되지 않은 림의 외주면(120)과 단차가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도 2 내지 4에는 그루브(130)의 기저면과 그루브(130)가 형성되지 않은 림의 외주면(120)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림의 측면부에는 공명튜브(140)의 측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완만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림의 측면부는 바람직하게는 림의 반경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단차가 형성되어 림의 기저면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그루브(130)의 구체적 형상은 설계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공명튜브(140)는 슬라이딩되어 돌기부(145)가 고정부(160)의 삽입홈(165)에 삽입됨으로써 림의 외주면(120)상에서 특히 그루브(130)의 기저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데, 이러한 결합방식은 공명튜브(140)에 림의 반경방향으로 작용되는 하중에는 안정적일 수 있으나, 림의 폭방향 하중이 발생되면 공명튜브(140)의 고정에 비교적 취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공명튜브(140)가 안정적으로 마련될 수 있도록 림의 외주면(120)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그루브(130)를 형성하고, 고정부(160)를 그루브(130)의 측면부(135)에 밀착되도록 마련함으로써, 한쌍의 고정부(160) 사이에 슬라이딩된 공명튜브(140)가 그루브(130)의 측면부(135)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림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공명튜브(140)가 그루브(130)의 측면부(135)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그루브(130)의 측면부(135)에 공명튜브(140)가 접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림의 외주면(120)에 대한 공명튜브(140)의 고정구조가 더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림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공명튜브(140)의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140) 및 상기 고정부(160)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공명튜브(140)는 상기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공명튜브(140) 내부공간의 부피에 따라 소음이 저감되는 주파수 폭이 결정되고, 이러한 공명튜브(140)의 갯수에 따라 소음이 저감되는 수준이 결정될 수 있다.
즉, 공명튜브(140)의 내부공간 부피가 증가되면 소음이 저감되는 주파수대역이 넓어지되 공명튜브(140)의 갯수가 많아야 해당 주파수대역의 소음 저감수준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명튜브(140)는 복수로 마련되되,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회전시의 위치밸런스가 유지되도록 마련되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공명음 저감효과를 향상시키면서 타이어휠(100)의 회전에 대한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60)는 한쌍의 상기 공명튜브(140) 사이에 위치되고, 마주보는 각각의 상기 공명튜브(140)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돌기부(145)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한쌍의 상기 삽입홈(165)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각 공명튜브(140) 사이에는 고정부(160)가 마련되고, 공명튜브(140)의 단부는 서로 바라보는 고정부(160)에 밀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결국 고정부(160) 및 공명튜브(140)는 이격거리 없이 림의 외주면(120)을 따라 배열된다.
즉, 고정부(160)는 한쌍의 공명튜브(140) 사이에 위치되고, 각 공명튜브(140)를 바라보는 측면부에 한쌍의 삽입홈(165)이 마련됨으로써, 양측으로 공명튜브(140)의 돌기부(145)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공명튜브(140)는 림의 외주면(120)을 따라 구비되는 갯수가 최대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이고, 결국 공명튜브(140)에 의한 타이어측의 공명음 저감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40 : 공명튜브 145 : 돌기부
160 : 고정부 165 : 삽입홈

Claims (9)

  1. 타이어가 장착되도록 마련된 림;
    상기 림의 외주면에서 상기 림의 원주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간이 형성되고, 연장된 양단부에는 상기 림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마련된 공명튜브; 및
    상기 림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공명튜브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공명튜브를 바라보는 일면에는 상기 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명튜브의 상기 돌기부가 상기 삽입홈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명튜브 및 상기 고정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공명튜브는 상기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는 한쌍의 상기 공명튜브 사이에 위치되고, 마주보는 각각의 상기 공명튜브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돌기부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한쌍의 상기 삽입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공명튜브 양단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림의 외주면을 향하는 일면이 개방됨으로써, 삽입된 상기 돌기부의 하면이 상기 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공명튜브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림의 외주면에는 상기 림의 외주방향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그루브의 기저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고정부보다 폭이 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그루브의 측면부에 접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8. 삭제
  9. 삭제
KR1020150174393A 2015-12-08 2015-12-08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Active KR102262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393A KR102262129B1 (ko) 2015-12-08 2015-12-08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393A KR102262129B1 (ko) 2015-12-08 2015-12-08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951A KR20170067951A (ko) 2017-06-19
KR102262129B1 true KR102262129B1 (ko) 2021-06-10

Family

ID=5927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393A Active KR102262129B1 (ko) 2015-12-08 2015-12-08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233B1 (ko) 2018-01-10 2023-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의 소음 저감장치
KR101893350B1 (ko) * 2018-02-01 2018-08-31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공명기 휠
KR101897623B1 (ko) 2018-06-27 2018-09-12 엔디케이테크(주) 자동차용 타이어 휠에 공명기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밴드
JP2020066381A (ja) * 2018-10-26 2020-04-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21784B1 (ko) * 2019-08-19 2022-07-19 핸즈코퍼레이션 주식회사 공명기 휠
CN110758007B (zh) 2019-11-08 2024-08-06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具有吸声装置的车轮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6684A1 (en) * 2004-10-28 2006-05-11 Olivier Heuze Device designed to prevent a tire cover fitted onto a one-piece wheel rim from rolling off its rim, process for manufacturing this device and fitted assembly incorporating it
JP2007137393A (ja) * 2005-11-22 2007-06-07 Asahi Tec Corp 車両用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7191069A (ja) 2006-01-20 2007-08-02 Nissan Motor Co Ltd タイヤ空気圧センサ取付構造およびタイヤホイール
JP2008120222A (ja) 2006-11-10 2008-05-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08183932A (ja) 2007-01-26 2008-08-14 Asahi Tec Corp 車両用ホイール
JP2008279911A (ja) 2007-05-11 2008-11-2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09149234A (ja) 2007-12-21 2009-07-09 Bridgestone Corp 車両用ホイール
JP2010095113A (ja) * 2008-10-15 2010-04-3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12045971A (ja) 2010-08-24 2012-03-08 Nippon Plast Co Ltd 自動車用ホイール共振防止装置
WO2014132850A1 (ja) 2013-02-28 2014-09-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JP2014196011A (ja) 2013-03-29 2014-10-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996B1 (ko) 2011-12-01 2013-09-1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기주 공명음을 고려한 타이어 패턴 소음 저감 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6684A1 (en) * 2004-10-28 2006-05-11 Olivier Heuze Device designed to prevent a tire cover fitted onto a one-piece wheel rim from rolling off its rim, process for manufacturing this device and fitted assembly incorporating it
JP2007137393A (ja) * 2005-11-22 2007-06-07 Asahi Tec Corp 車両用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7191069A (ja) 2006-01-20 2007-08-02 Nissan Motor Co Ltd タイヤ空気圧センサ取付構造およびタイヤホイール
JP2008120222A (ja) 2006-11-10 2008-05-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08183932A (ja) 2007-01-26 2008-08-14 Asahi Tec Corp 車両用ホイール
JP2008279911A (ja) 2007-05-11 2008-11-2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09149234A (ja) 2007-12-21 2009-07-09 Bridgestone Corp 車両用ホイール
JP2010095113A (ja) * 2008-10-15 2010-04-3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12045971A (ja) 2010-08-24 2012-03-08 Nippon Plast Co Ltd 自動車用ホイール共振防止装置
WO2014132850A1 (ja) 2013-02-28 2014-09-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JP2014196011A (ja) 2013-03-29 2014-10-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951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129B1 (ko)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JP6218651B2 (ja) レゾネータ
US11130366B2 (en) Resonator wheel
US10215253B2 (en) Nozzle plate of engine mount
KR101845418B1 (ko) 마운팅 브라켓의 구조
KR101648427B1 (ko) 다이나믹 댐퍼
US20070151404A1 (en) Vehicle Handle and Vehicle
US10850558B2 (en) Apparatus for reducing tire noise
JP2015067051A (ja) レゾネータ
JP2013107599A (ja) レゾネータ
KR102474604B1 (ko) 차량용 공명관 휠
US20190070894A1 (en) Vehicle wheel
KR20200056037A (ko) 스트랩 센터 고정식 공명기 및 이를 포함하는 휠 어셈블리
JP2014506109A (ja) ファンモジュール駆動装置
JP2010281410A (ja) 緩衝弾性板
EP2960540B1 (en) Vibration isolator
KR101324533B1 (ko) 하이드로 엔진마운트
CN105745466A (zh) 制动器安装支架装置
KR102044206B1 (ko) 슬라이딩 장착 공명기 휠
KR101927745B1 (ko) 차량용 머플러 행거
JP2004232824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2421784B1 (ko) 공명기 휠
US20190143800A1 (en) Vibration isolator
JP2015168404A (ja) レゾネータ
US20060061023A1 (en) Dual window preloaded engine bu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