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60688B1 -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및 아스팔트 혼합물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및 아스팔트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688B1
KR102260688B1 KR1020210012964A KR20210012964A KR102260688B1 KR 102260688 B1 KR102260688 B1 KR 102260688B1 KR 1020210012964 A KR1020210012964 A KR 1020210012964A KR 20210012964 A KR20210012964 A KR 20210012964A KR 102260688 B1 KR102260688 B1 KR 102260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eve
asphalt mixture
asphalt
weight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이종율
권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Priority to KR102021001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6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7Recycled materials, i.e. waste materials re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am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2Binder incorporated in hot state, e.g. heated bitume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2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courses of different kind made in situ
    • E01C7/325Joining different layers, e.g. by adhesive layers; Intermediate layers, e.g. for the escape of water vapour, for spreading str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76Deodoriz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2Segregation-preventing agents; Sedimentation-preven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84Materials permeable to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탈리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개질재 및 개질재를 적용한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방법으로 식물성 에센셜 오일과 활성탄에 의한 아스팔트 소취 효과로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포장 및 시공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며 아민계 접착 촉진제, 나프테네이트 첨가물에 의한 골재의 양전하화로 아스팔트 바인더와 골재의 부착성을 증가시켜 골재에 대한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은 생산, 이동 및 포장시 아스팔트 혼합물의 악취가 없으며 아스팔트 포장체는 내수성 및 탈리 방지성이 향상되어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 포장과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 및 기타 특수 아스팔트 포장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및 아스팔트 혼합물 {Asphalt modifier and asphalt mixture to remove odor and prevent aggregate desorption}
본 발명은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탈리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개질재 및 개질재를 적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성 에센셜 오일과 활성탄(activated carbon)에 의한 아스팔트 소취 효과로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포장 및 시공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며 아민계 접착 촉진제, 나프테네이트 첨가물에 의한 골재의 양전하화로 아스팔트 바인더와 골재의 부착성을 증가시켜 골재에 대한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포장체 형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아스팔트 혼합물은 생산, 이동 및 포장시 아스팔트 혼합물의 악취가 없으며 아스팔트 포장체는 내수성 및 탈리 방지성이 향상되어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 포장과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 및 기타 특수 아스팔트 포장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최근 국내 강수량은 20세기 초반에 비하여 10년간 16.3mm가 증가하였고, 특히 일일 10mm 이상의 강수 빈도와 일일 80mm 이상의 강한 강수일수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고, 아스팔트 포장은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 및 집중호우로 인하여 소성변형, 포트홀 등과 같은 파손이 증가하고 있다.
아스팔트 포장 파손을 예방하고 포장의 공용수명을 늘리기 위해 개질 아스팔트 포장의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나 개질 아스팔트 포장의 경우 포장재에 개질재가 첨가되며 생산온도가 170℃ 이상으로 매우 높아 생산, 이동 및 포장시 악취로 인한 민원 발생과 같은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친환경 아스팔트 포장공법 개발의 일환으로 아스팔트 혼합물의 생산부터 시공까지 발생하는 악취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특허 10-1154857호의 경우 유황토 아스팔트 생산 중 황토분말을 첨가하여 황토 분말이 소취 작용을 하지만 유황냄새를 저감하기 위한 첨가물에 국한되며 포장 후 포장체에 황토분말이 남아 포장체의 강도가 저하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특허 10-1187291호의 경우 플랜트에 여과필터와 집진부 등으로 구성된 대형 시스템을 별도로 설치하여 아스팔트 포장재의 냄새를 저감하지만, 시스템 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과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높은 초기비용과 운영, 인력비용이 발생하며 운반 및 포설시 발생하는 악취는 방지할 수 없다.
또한, 특허 10-2134403호에서는 소석회 및 나트륨계 첨가물을 혼합한 냄새 저감용 첨가제 0.01~0.2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규정하나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에 국한되며 가열아스팔트 혼합물 사용 시 그 효과가 감소되는 한계가 있다.
현재 주거 및 주행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소음 저감을 위한 저소음 배수성, 저소음 비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우수한 배수성을 가지는 배수성 아스팔트의 경우 저소음 비배수성 포장에 비하여 수분이 포장체 내부에 장기간 체류함에 따라 수분에 의한 표면 박리로 탈리 및 포트홀이 발생하여 도로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수분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존 아스팔트 개질재는 고분자 블록공중합체를 적용하여 고점도의 아스팔트 바인더를 형성함으로써 피복두께를 증가시켰지만, 골재와 바인더와의 부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골재로부터 바인더가 박리되는 현상이 발견됨에 따라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박리방지제를 첨가하여 물성은 유지하되 바인더 및 골재와의 박리를 방지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포장체를 적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특허 10-1427722호에서는 폴리인산을 SBS와 반응시킨 개질재를 아스팔트 혼합물에 적용함으로써 바인더의 전하를 증가시켜 골재와의 부착력을 개선한 기술이 명시되어 있다.
특허 10-1166155호에서는 폴리아민을 첨가한 중온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기술을 명시하고 있으나, 이는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로 한정되며 첨가 박리방지제 또한 폴리아민만을 명시하여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 시 고온에서의 성능유지에는 불안전한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특허 10-1864168호에서는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을 위하여 나프텐산 코발트를 적용하지만 나프텐산 코발트는 주요 첨가물이 아닌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을 위한 촉매로만 적용되며 사용량 또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특허들은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리적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재를 적용하며 높은 점도와 강성을 특징으로 하지만 수분침투에 의한 바인더와 골재의 박리, 혼합물 내 체류수 장기 잔류시 물리적 강도 저하 등 낮은 수분저항성을 보인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운반 및 시공 중 발생하는 아스팔트 냄새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기간의 수분 노출에도 아스팔트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아스팔트 혼합물 포장체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본 발명의 개질재를 적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하며 또한 생산, 운반 및 시공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냄새를 제거하며 현장에 적용되어 골재탈리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포장체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탈리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개질재 및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개질재는 가) 시험온도 200℃, 시험하중 5kg에서 멜트플로우 값이 15g/10분 미만인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역 디엔 블록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성부여 수지 0.1~100중량부, 방향족 성분 함유량이 20~60중량%이고 40℃에서의 동점도가 70~900㎟/s인 프로세스 오일 5~100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성분들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40중량부의 고무를 더 포함하는 아스팔트 개질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나) 내수성 증가제로서 폴리아민(POLYAMINE), 폴리 아미도아민(POLYAMIDOAMINE), 지방산 아미도아민(FATTY AMIDOAMINE), 반응성 아미도아민(REACTIVE AMIDOAMINE)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민 접착 촉진제 0.1~5중량부와, 아연 나프테네이트(ZINC NAPHTHENATE), 칼슘 나프테네이트(CALCIUM NAPHTHENATE), 망간 나프테네이트(MANGANESE NAPHTHENATE) 및 철 나프테네이트(IRON NAPHTHENATE)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나프테네이트 첨가물 0.1~3중량부;
다) 아스팔트 소취제로서 사이프러스 에센셜 오일, 파인 에센셜 오일, 시더우드 에센셜 오일, 아니스 에센셜 오일, 시트러스 에센셜 오일, 클로브 에센셜 오일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성 에센셜 오일에 알코올, 에테르(Ether), 에스테르(Ester), 모노테르펜(Monoterpenes),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s), 옥사이드(Oxide), 케톤(Ketone), 알데하이드(Aldehyde)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혼합한 식물성 에센셜 오일 혼합물 0.001~2중량부 및 입경 100미크론 이하의 분말상 활성탄 0.1~0.3중량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냄새 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를 함유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개질재의 각 성분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하드 세그멘트에 폴리스티렌, 소프트 세그멘트에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올레핀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로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모노머인 스티렌과 공역 디엔 모노머인 부타디엔, 이소프렌등의 중합체로 구성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역디엔 블록 공중합체이며 가소성 및 엘라스토머의 특성을 모두 갖는 재료이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아스팔트 첨가재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상을 양말단에 갖는 블록공중합물에서 중간상에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엘레핀 등이 결합된 SBS (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SBR (styrene-butadiene rubber), SIS (Styrene Isoprene Styrene Block Copolymer), SEBS (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Block Copolymer), STE (Styrenic Thermoplastic Elastom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소프트 세그멘트와 하드 세그멘트가 공존하며, 소프트 세그멘트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특유의 고무탄성을 나타내며 성형 가공시 소프트 세그멘트가 용융, 가소화하여 성형가공성을 나타내며 성형 완료시 경화되어 소성변형을 방지하는 성분으로 기능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의 함량이 11%를 초과, 바람직하게는 11~53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중량% 비율로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첨가되어 아스팔트의 저분자량 성분들을 흡수하여 부피가 확대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아스팔트의 결합을 증진시킨다. 특히 이와 같이 확장된 폴리머 영역(swollen polymer)은 열역학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는 폴리스티렌의 말단블록이 상호 응집하여 극미소립자를 형성해 균일하게 분산되며, 이 극미소립자는 물리적 가교점을 형성하여 아스팔트 바인더에 가황고무 가교점 수준의 탄성 및 강도를 부여한다.
<프로세스유>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세스유는 구매성 및 보관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파라핀계 나프텐계 아로마틱계 프로세스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스유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방향족 성분을 15~65중량% 이내로 포함하며 40℃에서 10.1~60cSt 이상의 동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스유 중의 방향족 성분 함유량 및 동점도 값이 상기의 범위를 상회하면 개질재 생산 중 혼합 및 성형 시 충분히 유연한 점도를 형성하지 못하여 혼합기의 날이나 혼합탱크의 표면에 부착되며, 생산 후에도 개질재 펠렛이 일체화되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프로세스유의 방향족 성분의 함유량 및 동점도 값이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개질재 생산시 타 성분들이 충분히 균일하게 용해되지 않으며, 최종 가공시 충분한 보형성을 형성하지 못한다. 방향족 성분 외 나프텐 성분 및 파라빈 성분의 함량은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스유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10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프로세스유의 사용이 과도하게 적으면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용해성이 저하되며, 과도하게 많으면 아스팔트 혼합물의 연화점 및 점도 등의 특성이 저하된다.
<점착성 부여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성 부여 수지는 로진, 수계화 로진 유도체, 불균화 로진 유도체, 2중화 로진 유도체, 산 첨가 로진 유도체, 에스테르화 로진 유도체, 테르펜 수지, 테르펜 페놀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수소화 테르펜 수지, 지방족(C5), 방향족(C9), C5/C9 공중합계, 지환족계, 페놀, 키실렌, 크마론-인덴 수지, 케톤 수지 및 로진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성 부여 수지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점착성 부여수지의 사용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5~70 중량부가 적당하다.
점착성 부여 수지의 사용량이 과도하게 적으면 아스팔트 혼합물의 연화점, 동적 안정도, 인장강도비 등의 특성이 떨어지며 점착성 부여 수지의 사용량이 과도하면 아스팔트 혼합물의 신도나 터프니스 등 강성력 특성이 떨어진다.
<고무 첨가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첨가제는 VTBN (vinyl-terminated poly(butadiene-co-acrylonitrile)), CTBN (carboxyl-terminated poly(butadiene-co-acrylonitrile)), ATBN (amine-terminated poly(butadiene-co-acrylonitrile)) 등 액상고무 또는 NBR (nitrile butadiene rubber), BR (butadiene rubber) 등 합성고무 또는 아크릴, 하이파론, 실리콘, 바이톤, 에피클로로히드린, 아핀 고무, 염소화부틸 고무, 부틸고무, IIR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이며, 이들 고무 첨가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고무 첨가제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프로세스 오일, 접착성 부여 수지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가 첨가되며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아스팔트 개질재의 가공성이 나빠지며 아스팔트 혼합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시공 시 충분한 다짐율이 나오지 않는다.
<아민 접착 촉진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아민 접착 촉진제는 폴리아민(POLYAMINE), 폴리아미도아민(POLYAMIDOAMINE), 지방산 아미도아민(FATTY AMIDOAMINE), 반응성 아미도아민(REACTIVE AMIDOAMINE)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 상태이다.
통상 상기 아민 접착 촉진제는 4차 암모늄이온 화합물(QA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R-NH3)을 형성하고 있으며, 아민 극성기에 10-20개의 탄소사슬이 형성된 화합물로 좀 더 바람직하게는 13-19개의 탄소사슬을 형성하는 아민 접착 촉진제이다.
아민 접착 촉진제는 내부의 QAC가 매우 안정적인 형태로 양전하를 띠고 있어 아스팔트 바인더와 결합하며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골재에 존재하는 실리카 표면과 반응, 산성의 실리카 표면에 질소 고립 전자쌍을 형성하여 바인더의 음전하와 골재의 양전하를 극대화하여 상호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최적의 접착력은 무극성 탄화수소 사슬의 길이와 개수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최적의 탄화수소 사슬은 10-20개이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13-19개의 탄화수소 사슬 형성시 최대의 결합력을 나타낸다.
아민 접착 촉진제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프로세스 오일, 점착성 부여 수지 혼합물 100중량부에 0.1~5중량부를 첨가하며 첨가량이 0.1보다 낮을 경우 충분한 접착 촉진성능을 발현할 수 없으며, 첨가량이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아스팔트 개질재의 가공성이 나빠지며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유동성, 마샬안정도 등 물리적 강도가 저하된다.
<나프테네이트 첨가물>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프테네이트 첨가물은 금속계 나프테네이트로서, 좀 더 명확히는 아연 나프테네이트(ZINC NAPHTHENATE), 칼슘 나프테네이트(CALCIUM NAPHTHENATE), 망간 나프테네이트(MANGANESE NAPHTHENATE), 철 나프테네이트(IRON NAPHTHENATE) 중 1종 이상의 나프테네이트 첨가물로, 나프테네이트는 나프텐산(Naphthenic acid)을 나타낸다.
첨가된 나프테네이트는 아스팔트 생산시 아스팔트 바인더에서 골재 표면으로 이동하며 양전하를 갖는 아스팔트 바인더와 음전하를 갖는 골재의 전하 밀도를 증가시켜 정전기적 반발력의 감소로 아스팔트 바인더와 골재 간의 부착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전하 밀도란 골재 및 아스팔트의 압력강하(P)에 따른 Streaming Potential(E)을 측정하여 기울기 E/P를 구한 후 Smoluchowski 식을 사용하여 Zeta Potential을 구하여 측정하였다. Zeta Potential은 E/P에 비례하므로 Streaming Potentiometer를 통한 시험에서 충진층에 걸리는 압력 강하당 Streaming Potential을 측정하면 Zeta Potential을 측정할 수 있다. 충진층에 걸리는 압력강하는 Ergun 식으로부터 계산된다. 이때 아스팔트 및 골재는 180℃에서 혼합한 후 다시 135℃에서 열처리한다.
나프테네이트 첨가물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프로세스 오일, 점착성 부여 수지 혼합물 100중량부에 0.1~3중량부를 첨가하며 첨가량이 0.1보다 낮을 경우 상승하는 전하 밀도의 양이 미미하여 아스팔트 바인더와 골재 간 부착력 증대 효과가 매우 낮으며,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내유동성, 마샬안정도 등 물리적 강도가 저하된다.
<식물성 에센셜 오일>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성 에센셜 오일은 사이프러스 에센셜 오일, 파인 에센셜 오일, 시더우드 에센셜 오일, 아니스 에센셜 오일, 시트러스 에센셜 오일, 클로브 에센셜 오일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성 에센셜 오일이며, 이를 알코올, 에테르, 에스테르, 모노테르펜, 세스퀴테르펜, 옥사이드, 케톤, 알데하이드 화합물 중 1종 이상에 혼합하여 식물성 에센셜 오일 혼합물로 사용한다.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첨부하여 가열 아스팔트 냄새의 원인물질과 정전기 인력에 의한 분자결합을 통해 냄새 분자를 무독, 무취물로 중성화한다. 이후 생성되는 아황산 수소염은 대기에서 자연 분해되어 최종적으로 친환경적인 소취 효과를 발휘한다.
식물성 에센셜 오일 혼합물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프로세스 오일, 점착성 부여수지 혼합물 100중량부에 0.001~2중량부가 첨가되며 첨가량이 0.001중량부에 미달할 경우 소취 효과 발현이 어려우며, 2중량부 초과시 혼합물 내 오일이 잔존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을 저하시킨다.
<활성탄>
활성탄(activated carbon)은 아스팔트 혼합시 발생되는 분진 및 미세 에어로졸과 정전기적 성질로 결속, 활성탄 내부의 다공성 미세공극에 부착하여 일체화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첨가되는 식물성 에센셜 오일 혼합물과 결합하여 발생되는 분진 및 미세 에어로졸을 저감한다.
활성탄은 입경 100미크론 이하의 분말상 형태이어야 하며 100미크론 이상의 활성탄은 과도한 자중으로 생산 중 확산되는 분진 및 에어로졸을 충분히 포집하지 못한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프로세스 오일, 점착성 부여 수지 혼합물 100중량부에 0.01~0.3중량부가 첨가되며 첨가량이 0.01중량부에 미달할 경우 소취 효과 발현이 어려우며, 0.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개질재의 생산 비용을 과다하게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은 가) 골재류 70~95.9중량%, 나) 채움재 1~10중량% 다) 아스팔트 3~10중량%, 라) 상기 아스팔트 개질재 0.1~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재류의 함량이 70중량부 미만일 경우 과다한 아스팔트 함량으로 공극의 확보가 어려워 배수, 소음저감 등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공용중 교통 통행에 의하여 과다한 변형이 발생한다. 또한, 골재류의 함량이 95.9중량부를 초과하면 아스팔트 함량이 과소하여 충분한 결합력을 갖지 못한다.
또한, 상기 채움재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 아스팔트 바인더의 투입량이 과다하게 증가하며 혼합물의 박리저항성이 감소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공극률이 과다하게 감소한다.
상기 개질재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구성 및 박리방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생산 비용이 과도하게 상승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WC-1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3mm 체 90-100%, 10mm 체 76-90%, 5mm 체 44-74%, 2.5mm 체 28-58%, 0.6mm 체 11-32%, 0.3mm 체 5-21%, 0.15mm 체 3-15%, 0.08mm 체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WC-2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3mm 체 95-100%, 10mm 체 84-92%, 5mm 체 55-70%, 2.5mm 체 35-50%, 0.6mm 체 18-30%, 0.3mm 체 10-21%, 0.15mm 체 6-16%, 0.08mm 체 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WC-3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20mm 체 90-100%, 13mm 체 72-90%, 10mm 체 56-80%, 5mm 체 35-65%, 2.5mm 체 23-49%, 0.6mm 체 10-28%, 0.3mm 체 5-19%, 0.15mm 체 3-13%, 0.08mm 체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WC-4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20mm 체 95-100%, 13mm 체 75-90%, 10mm 체 67-84%, 5mm 체 45-65%, 2.5mm 체 35-50%, 0.6mm 체 18-30%, 0.3mm 체 10-21%, 0.15mm 체 6-16%, 0.08mm 체 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WC-5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20mm 체 90-100%, 13mm 체 69-84%, 10mm 체 56-74%, 5mm 체 35-55%, 2.5mm 체 23-38%, 0.6mm 체 10-23%, 0.3mm 체 5-16%, 0.15mm 체 3-12%, 0.08mm 체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내유동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WC-6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3mm 체 90-100%, 10mm 체 73-90%, 5mm 체 40-60%, 2.5mm 체 25-40%, 0.6mm 체 11-22%, 0.3mm 체 7-16%, 0.15mm 체 4-12%, 0.08mm 체 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내유동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배수성 포장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20mm 체 90-100%, 13mm 체 45-85%, 10mm 체 27-73%, 5mm 체 5-40%, 2.5mm 체 5-32%, 0.6mm5-32%, 0.3mm 체 5-32%, 0.15mm 체 5-32%, 0.08mm 체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mm 배수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배수성 포장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3mm 체 85-100%, 10mm 체 57-92%, 5mm 체 5-43%, 2.5mm 체 5-32%, 0.6mm 5-32%, 0.3mm 체 5-32%, 0.15mm 체 5-32%, 0.08mm 체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mm 배수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배수성 포장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8mm 체 76-100%, 5mm 체 21-76%, 2.5mm 체 5-42%, 0.6mm 체 2-21%, 0.3mm 체 1-20%, 0.15mm 체 1-19%, 0.08mm 체 1-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mm 배수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배수성 포장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5mm 체 80-100%, 2.5mm 체 12-52%, 0.6mm 체 2-18%, 0.3mm 체 2-15%, 0.15mm 체 1-11%, 0.08mm 체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mm 배수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13mm 밀입도 포장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3mm 체 80-100%, 10mm 체 40-95%, 5mm 체 20-70%, 2.5mm 체 10-60%, 1.2mm 체 5-35%, 0.3mm 체 3-32%, 0.08mm 체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mm 저소음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10mm 밀입도 포장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0mm 체 85-100%, 5mm 체 25-70% 2.5mm 체 10-50%, 1.2mm 체 5-25%, 0.3mm 체 2-20%, 0.08mm 체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mm 저소음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5mm 체 50-100% 2.5mm 체 13-55%, 0.3mm 체 8-27%, 0.08mm 체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mm 저소음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5mm 체 82-100% 2.5mm 체 11-61%, 0.3mm 체 6-32%, 0.08mm 체 1-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mm 저소음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가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5mm 체 82-100% 2.5mm 체 11-61%, 0.3mm 체 6-32%, 0.08mm 체 1-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mm 저소음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하며, 또한 5mm 저소음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포설 후 상부에 MMA (methyl methacrylate) 수지 95~99.5중량%를 주제로 하고 bpo (Benzoyl Peroxide) 0.5~5중량%를 경화제로 하는 프라이머를 m2 당 0.1~0.8ℓ 이상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개질 아스팔트 포장체 및 포장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은 생산 및 운반, 포설시 냄새를 저감하여 친환경적이며, 바인더와 골재의 부착력을 높여 박리현상을 방지하며 우수한 내수성을 나타내어 일반 아스팔트 포장 이상의 성능이 요구되는 구간 및 배수성 포장, 저소음 포장 등 특수포장을 요하는 곳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온도 200℃, 시험하중 5kg에서 멜트플로우 값이 15g/10분 미만인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역 디엔 블록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성부여 수지 50중량부, 방향족 성분 함유량이 20~60중량%이고 40℃에서의 동점도가 70~900㎟/s인 프로세스 오일 40중량부와 상기 성분들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11중량부의 고무를 더 포함하는 아스팔트 개질재를 비교예 1로 하였다. 비교예 1에 대하여 내수성 증가제로서 폴리아민 4중량부, 철 나프테네이트 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실시예 1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 아스팔트 소취제로서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s) 0.005중량부, 70미크론 분말상 활성탄 0.1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실시예 2로 하였다. 또한, 일반 아스팔트 바인더 및 PG 64-22를 사용한 것을 비교예 2로 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개질재 13.2 13.2 13.2 -
본 발명의 내수성 증가제 0.5 0.5 - -
본 발명의 아스팔트 소취제 - 0.1 - -
아스팔트 바인더
(PG 64-22)
86.3 86.2 87.8 100
아래 표 2는 상기 표의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한 아스팔트 바인더의 침입도, 신도, 탄성회복률 및 연화점 시험결과이다.
바인더 시험항목 단위 시험 결과 시험방법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침입도
1/10mm 52 53 42 40 KS M 2252
신도
cm, 15℃ 111 121 118 76 KS M 2254
연화점
90 93 75 67 KS M 2250
탄성회복율
% 88 92 42 37 -
황화합물
ppb 1525 282 1625 1701 환경부 - 악취공정 시험법
휘발성 유기화합물 ppb 631 172 620 632 환경부 - 악취공정 시험법
상기 표 2의 실시예 1,2 및 비교예 1,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개질재만 사용한 경우(비교예 1)와 비교하여 연화점 및 신도 특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스팔트 소취재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바인더 믹싱 직후 악취공정시험법의 시험방법을 준용하여 황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 농도를 시험하였다. 황화합물의 경우 저온농축-모세관 컬럼-기체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였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경우 저온농축 -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측정방법을 적용하였다.
측정 결과, 실시예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아스팔트 소취제 적용시 아스팔트 바인더의 물리적 성능의 저하 없이 주요 악취 원인물질인 황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아래 표 3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바인더로 제작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조성비를 나타낸다. 이때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상기 5mm 배수성 입도를 적용하였으며 시험의 신뢰성을 위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배합으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적용하였고, 실시예 3, 4는 각각 실시예 1, 2의 아스팔트 바인더를, 비교예 3, 4는 각각 비교예 1, 2의 바인더를 적용하였다.
구분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3 비교예 4
아스팔트 바인더
8.0
(실시예 1)
8.0
(실시예 2)
8.0
(비교예 1)
8.0
(비교예 2)
골재
86.0 86.0 86.0 86.0
채움재
6.0 6.0 6.0 6.0
아스팔트 혼합물 제작시 아스팔트 바인더가 3중량% 미만일 경우 바인더의 피막 두께 부족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며,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바인더 사용으로 아스팔트 아스팔트 바인더의 흐름 현상이 발생하였다(데이터 넣지 않음).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이하의 실험에서는 아스팔트 바인더를 8.0중량% 또는 6.0중량% 넣어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아래 표 4는 실시예 3, 4와 비교예 3, 4의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을 시험한 결과이다.
시험항목
단위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3 비교예 4 시험방법
동적수침시험
% 94 95 80 78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지침
공극률
% 21.5 21.2 20.9 20.2 KS F 2337
동적안정도
회/mm 4,695 4,725 2,066 1,860 KS F 2374
칸타브로
손실률(20℃)
% 5.6 5.7 11.2 15.3 KS F 2492
칸타브로
손실률(-20℃)
% 7.1 7.0 17.6 18.2 KS F 2492
인장강도비
(TSR)
- 0.97 0.98 0.86 0.78 KS F 2382
함부르크
휠트래킹(60℃)
mm/
20,000회
6.2 6.0 10.5 18.9 KS F 2344
황화합물
ppb 3,159 825 3,252 3,162 환경부 - 악취공정 시험법
휘발성 유기화합물 ppb 1,010 282 1,121 1,025 환경부 - 악취공정 시험법
실시예 3,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수성 증가제를 첨가하였을 경우 아스팔트 혼합물의 동적수침시험, 20℃ 및 -20℃에서의 칸타브로 손실률, 인장강도비, 함부르크 휠트래킹 테스트에서 개질재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3, 4와 비교하였을 때 수분저항성이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본 발명의 아스팔트 소취재를 첨가할 경우 실시예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팔트 혼합물 냄새의 주 원인인 황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현저히 저감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 형성시 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 표 5와 같이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바인더로 제작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작하였으며 이때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WC-6 기준인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 13mm 체 90-100%, 10mm 체 73-90%, 5mm 체 40-60%, 2.5mm 체 25-40%, 0.6mm 체 11-22%, 0.3mm 체 7-16%, 0.15mm 체 4-12%, 0.08mm 체 3-9%의 골재 입도를 적용하였다. 시험의 신뢰성을 위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배합으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적용하였고, 실시예 5, 6은 각각 실시예 1, 2의 아스팔트 바인더를, 비교예 5, 6의 경우 각각 비교예 1,2의 바인더를 적용하였다.
구분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5 비교예 6
아스팔트 바인더
6.0
(실시예 1)
6.0
(실시예 2)
6.0
(비교예 1)
6.0
(비교예 2)
골재
91.0 91.0 91.0 91.0
채움재
3.0 3.0 3.0 3.0
아래 표 6은 실시예 5, 6과 비교예 5, 6의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을 시험한 결과이다.
시험항목
단위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5 비교예 6 시험방법
동적수침시험 % 95 96 82 76 아스팔트혼합물 생산 및 시공지침
마샬안정도
N 16,100 16,150 10,450 10,850 KS F 2337
공극률
% 3.2 3.4 4.2 4.5 KS F 2337
동적안정도
회/mm 8,550 8,725 3,675 3,535 KS F 2374
MMLS-3
mm/
300k회
3.7 3.6 7.6 9.8 -
인장강도비
(TSR)
- 0.98 0.98 0.79 0.77 KS F 2382
함부르크
휠트래킹(60℃)
mm/
20,000회
2.7 2.6 5.8 10.9 KS F 2344
황화합물
ppb 3,125 815 3,240 3,290 환경부 - 악취공정 시험법
휘발성유기화합물 ppb 985 310 1,210 1,175 환경부 - 악취공정 시험법
실시예 5,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내수성 증가제를 첨가한 실시예 5, 6 의 배합이 비교예 5, 6에 비하여 체류수 잔류 중 현장 모사시험 방법인 MMLS-3 (Third scale model mobile loading simulator)와 함부르크 휠트래킹(60℃)시험에서 포장체의 변형을 저감시켜 우수한 소성변형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내수성 증가제에 첨부된 폴리아민, 폴리아미도아민, 지방산 아미도아민, 반응성 아미도아민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합성된 상태의 아민 접착 촉진제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프로세스 오일, 점착성 부여수지 혼합물 100중량부에 0.1~5중량부, 금속계 나프테네이트, 더 명확히는 아연 나프테네이트(ZINC NAPHTHENATE), 칼슘 나프테네이트(CALCIUM NAPHTHENATE), 망간 나프테네이트(MANGANESE NAPHTHENATE), 철 나프테네이트(IRON NAPHTHENATE) 중 1종 이상의 나프테네이트 첨가물을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프로세스 오일, 점착성 부여수지 혼합물 100중량부에 0.1~3중량부 범위 내로 첨가하여 나타난 결과로, 아민 접착 촉진제의 경우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QA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R-NH3)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시 적용되는 골재의 실리카 표면과 반응, 산성의 실리카 표면에 질소 고립 전자쌍을 형성하여 접착력을 증대하며, 나프테네이트 첨가물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아스파트 바인더에서 골재 표면으로 이동하여 아스팔트 바인더의 양전하와 골재의 음전하의 전하 밀도를 증가시켜 정전기적 반발을 감소시켜 부착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아스팔트 소취재를 적용할 경우 실시예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팔트 혼합물 냄새의 주원인인 황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현저히 저감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아스팔트 소취제에 첨가된 식물성 에센셜 오일이 아스팔트 혼합물 내의 황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결합하여 중성화하며, 활성탄이 아스팔트 혼합물 혼합시 발생하는 분진 및 미세 에어로졸과 물리적으로 부착되어 최종적으로 발생하는 냄새의 강도 및 농도를 저감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Claims (20)

  1. 가) 시험온도 200℃, 시험하중 5kg에서 멜트플로우 값이 15g/10분 미만인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역 디엔 블록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성 부여 수지 0.1~100중량부, 방향족 성분 함유량이 20~60중량%이고 40℃에서의 동점도가 70~900㎟/s인 프로세스 오일 5~100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성분들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40중량부의 고무를 더 포함하는 아스팔트 개질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나) 내수성 증가제로서 폴리아민(POLYAMINE), 폴리아미도아민(POLYAMIDOAMINE), 지방산 아미도아민(FATTY AMIDOAMINE), 반응성 아미도아민(REACTIVE AMIDOAMINE)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민 접착 촉진제 0.1~5중량부 및 아연 나프테네이트(ZINC NAPHTHENATE), 칼슘 나프테네이트(CALCIUM NAPHTHENATE), 망간 나프테네이트(MANGANESE NAPHTHENATE), 철 나프테네이트(IRON NAPHTHENATE)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나프테네이트 첨가물 0.1~3중량부; 및
    다) 아스팔트 소취제로서 사이프러스 에센셜 오일, 파인 에센셜 오일, 시더우드 에센셜 오일, 아니스 에센셜 오일, 시트러스 에센셜 오일, 클로브 에센셜 오일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성 에센셜 오일 및 알코올, 에테르, 에스테르, 모노테르펜, 세스퀴테르펜, 옥사이드, 케톤, 알데하이드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혼합한 식물성 에센셜 오일 혼합물 0.001~2중량부 및 입경 100미크론 이하의 분말상 활성탄 0.1~0.3중량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냄새 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2. 가) 골재류 70~95.9중량%;
    나) 채움재 1~10중량% 및
    다) 아스팔트 3~10중량%; 및
    라) 상기 청구항 1의 아스팔트 냄새 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0.1~10중량%;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WC-1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3mm 체 90-100%, 10mm 체 76-90%, 5mm 체 44-74%, 2.5mm 체 28-58%, 0.6mm 체 11-32%, 0.3mm 체 5-21%, 0.15mm 체 3-15% 및 0.08mm 체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WC-2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3mm 체 95-100%, 10mm 체 84-92%, 5mm 체 55-70%, 2.5mm 체 35-50%, 0.6mm 체 18-30%, 0.3mm 체 10-21%, 0.15mm 체 6-16% 및 0.08 mm 체 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WC-3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20mm 체 90-100%, 13mm 체 72-90%, 10mm 체 56-80%, 5mm 체 35-65%, 2.5mm 체 23-49%, 0.6mm 체 10-28%, 0.3mm 체 5-19%, 0.15mm 체 3-13% 및 0.08mm 체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WC-4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20mm 체 95-100%, 13mm 체 75-90%, 10mm 체 67-84%, 5mm 체 45-65%, 2.5mm 체 35-50%, 0.6mm 체 18-30%, 0.3mm 체 10-21%, 0.15mm 체 6-16% 및 0.08mm 체 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WC-5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20mm 체 90-100%, 13mm 체 69-84%, 10mm 체 56-74%, 5mm 체 35-55%, 2.5mm 체 23-38%, 0.6mm 체 10-23%, 0.3mm 체 5-16%, 0.15mm 체 3-12% 및 0.08mm 체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내유동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WC-6 입도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3mm 체 90-100%, 10mm 체 73-90%, 5mm 체 40-60%, 2.5mm 체 25-40%, 0.6mm 체 11-22%, 0.3mm 체 7-16%, 0.15mm 체 4-12% 및 0.08mm 체 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층용 내유동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배수성 포장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20mm 체 90-100%, 13mm 체 45-85%, 10mm 체 27-73%, 5mm 체 5-40%, 2.5mm 체 5-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mm 배수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배수성 포장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3mm 체 85-100%, 10mm 체 57-92%, 5mm 체 5-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mm 배수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12. 삭제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8mm 체 76-100%, 5mm 체 21-76%, 2.5mm 체 5-42%, 0.6mm 체 2-21%, 0.3mm 체 1-20%, 0.15mm 체 1-19% 및 0.08mm 체 1-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mm 배수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5mm 체 80-100%, 2.5mm 체 12-52%, 0.6mm 체 2-18%, 0.3mm 체 2-15%, 0.15mm 체 1-11% 및 0.08mm 체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mm 배수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13mm 밀입도 포장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3mm 체 80-100%, 10mm 체 40-95%, 5mm 체 20-70%, 2.5mm 체 10-60%, 1.2mm 체 5-35%, 0.3mm 체 3-32% 및 0.08mm 체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mm 저소음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1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10mm 밀입도 포장의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10mm 체 85-100%, 5mm 체 25-70% 2.5mm 체 10-50%, 1.2mm 체 5-25%, 0.3mm 체 2-20% 및 0.08mm 체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mm 저소음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1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5mm 체 50-100% 2.5mm 체 13-55%, 0.3mm 체 8-27% 및 0.08mm 체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mm 저소음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1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입도는 체 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인 5mm 체 82-100% 2.5mm 체 11-61%, 0.3mm 체 6-32% 및 0.08mm 체 1-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mm 저소음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19. 삭제
  20. 삭제
KR1020210012964A 2021-01-29 2021-01-29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및 아스팔트 혼합물 Active KR102260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964A KR102260688B1 (ko) 2021-01-29 2021-01-29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및 아스팔트 혼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964A KR102260688B1 (ko) 2021-01-29 2021-01-29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및 아스팔트 혼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688B1 true KR102260688B1 (ko) 2021-06-07

Family

ID=7637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964A Active KR102260688B1 (ko) 2021-01-29 2021-01-29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및 아스팔트 혼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6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171B1 (ko) * 2022-07-13 2022-11-01 주식회사한수나텍 소취 기능을 갖는 고강도 중저온 아스팔트 개질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40103951A (ko) 2022-12-26 2024-07-04 주식회사한수나텍 균열유도장치를 이용한 노후콘크리트 도로 보수 방법
KR20250071961A (ko) * 2023-11-15 2025-05-23 중앙아스콘(주) 아스팔트 냄새를 제거한 저소음형 pcm 개질 순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156B1 (ko) * 2006-08-28 2007-06-19 주식회사 콘위즈 강화 배수성 아스팔트
KR20100087824A (ko) * 2009-01-29 2010-08-06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KR20140116851A (ko) * 2011-12-20 2014-10-06 토탈 마케팅 서비스 H2s 방출량을 줄이면서 가교화된 역청/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627553B1 (ko) * 2016-02-03 2016-06-07 주식회사한수나텍 반사균열 억제형 저소음 고내구성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박층 포장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156B1 (ko) * 2006-08-28 2007-06-19 주식회사 콘위즈 강화 배수성 아스팔트
KR20100087824A (ko) * 2009-01-29 2010-08-06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KR20140116851A (ko) * 2011-12-20 2014-10-06 토탈 마케팅 서비스 H2s 방출량을 줄이면서 가교화된 역청/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627553B1 (ko) * 2016-02-03 2016-06-07 주식회사한수나텍 반사균열 억제형 저소음 고내구성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박층 포장 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171B1 (ko) * 2022-07-13 2022-11-01 주식회사한수나텍 소취 기능을 갖는 고강도 중저온 아스팔트 개질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40103951A (ko) 2022-12-26 2024-07-04 주식회사한수나텍 균열유도장치를 이용한 노후콘크리트 도로 보수 방법
KR102747602B1 (ko) 2022-12-26 2024-12-30 주식회사한수나텍 균열유도장치를 이용한 노후콘크리트 도로 보수 방법
KR20250071961A (ko) * 2023-11-15 2025-05-23 중앙아스콘(주) 아스팔트 냄새를 제거한 저소음형 pcm 개질 순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2813274B1 (ko) * 2023-11-15 2025-05-29 중앙아스콘(주) 아스팔트 냄새를 제거한 저소음형 pcm 개질 순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688B1 (ko)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및 아스팔트 혼합물
US10392509B2 (en) High-grade asphalt composition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893791B1 (ko) Sis 및 sbs를 포함하는 프라임 코팅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9031B1 (ko) 부분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점접착 조성물, 점접착성 테이프, 라벨,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및 포장용 바인더 조성물
CN101341198B (zh) 高阻尼可膨胀材料
TWI329661B (en) Asphalt binder for porous pavements
JP6119760B2 (ja) アスファルト用の改質瀝青を実現するための化合物
CN101684199B (zh) 改性沥青及二液型树脂组合物
KR102040532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및 sis를 이용한 도로 포장용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5934B1 (ko) 건축 및 토목구조물용 개질아스팔트 씰계 방수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125956B (zh) 一种铺筑降噪排水性路面用的高粘彩色沥青胶结料
KR101999964B1 (ko) Sis 및 재생고무분말을 이용한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52335B1 (ko)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6353A (ko) 자가수선형 고무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포장공법
CN103436039A (zh) 一种橡塑合金改性沥青和沥青混合料
KR102461171B1 (ko) 소취 기능을 갖는 고강도 중저온 아스팔트 개질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5176443A (zh) 一种溶剂型橡胶胶粘剂及其制备方法
KR102188825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6948415B (zh) 一种沥青改性剂、改性沥青及其制备方法
JP6563679B2 (ja) 接着用改質アスファルト組成物及び混合物、並びにその積層体
KR102054820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sbs를 이용한 교면포장용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일체형 교면 균열부 보수공법
KR101030574B1 (ko) 습윤면 접착 고점도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 방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30191212A1 (en) Asphalt improving material which comprising specific composition, improved asphalt mixture and its pavement method, and composition
KR102052402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및 sis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1662033A (zh) 一种净味高粘沥青改性剂及其沥青混合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